KR20220156055A -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055A
KR20220156055A KR1020227036305A KR20227036305A KR20220156055A KR 20220156055 A KR20220156055 A KR 20220156055A KR 1020227036305 A KR1020227036305 A KR 1020227036305A KR 20227036305 A KR20227036305 A KR 20227036305A KR 20220156055 A KR20220156055 A KR 20220156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weight
les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가타미
겐이치 가타오카
도모야 니시노
유스케 야마모토
신타로 노요리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49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08017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가 제공된다. 그 층간 시트는, 굴절률 n1이 1.570 이상이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이 30㎪ 내지 700㎪인 점탄성층 V1을 포함한다. 상기 층간 시트는,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0% 이하이다.

Description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
본 발명은,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3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052408호, 2020년 9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66429호, 및 2021년 3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04906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원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감압 접착제라고도 함. 이하 동일함)는,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유연한 고체(점탄성체)의 상태를 나타내어,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피착체에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다. 이와 같은 성질을 살려, 점착제는, 가전 제품부터 자동차, 각종 기계, 전기 기기, 전자 기기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있어서, 접합이나 고정, 보호 등의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점착제의 용도의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커버 윈도우 부재, 그 밖의 다양한 광투과성 부재와, 다른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를 들 수 있다. 광학 부재용의 점착제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 2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4-16938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7-128732호 공보
특허문헌 1, 2는, 모노머 단위로서 방향환을 복수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해당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제안하고 있지만, 1.570 이상의 굴절률과 유연성을 겸비한 구체적인 점착제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고굴절률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예를 들어, 산화지르코늄 입자나 산화티타늄 입자 등의 무기 입자)를 수지에 배합하여 굴절률을 높이는 기술도 알려져 있지만, 무기 입자가 배합된 점착제는 굴절률과 점착 특성(예를 들어 박리 강도, 유연성 등)이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점착제의 분야에 대한 적용은 어렵다. 특히 광학 용도용의 점착제에서는, 무기 입자의 배합에 있어서는 광학 특성(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등)에 대한 영향도 배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의 굴절률 향상을 검토함에 있어서는, 해당 층간 시트에 인접하는 부재에 대하여 적절한 밀착성이나 변형 추종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유연성 및 높은 투명성과의 밸런스를 맞추면서 고굴절률화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이며, 인접하는 부재에 대한 밀착이나 추종에 적합한 유연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굴절률 및 고투명성을 겸비한 층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련되는 다른 목적은, 상기 층간 시트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층간 시트는, 굴절률 n1이 1.570 이상인 점탄성층 V1을 포함한다. 상기 층간 시트는,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며, 헤이즈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이하, 「저장 탄성률 G'V1(25)」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이 30㎪ 내지 700㎪이다. 상기 층간 시트는, 고굴절률이면서 저장 탄성률 G'V1(25)이 일정 이하로 억제된 점탄성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고투명이라는 점에서, 광학 용도용의 층간 시트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층간 시트는 미리 시트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개소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상기 점탄성층의 두께는 5㎛ 이상이다. 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점탄성층은, 인접하는 부재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요철을 흡수함으로써 해당 부재에 밀착성 좋게 적층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관한 층간 시트는, 상기 점탄성층 V1에 적층된 점탄성층 V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탄성층 V2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2(이하, 「저장 탄성률 G'V2(25)」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보다 낮다. 이와 같은 구성의 층간 시트는, 점탄성층 V2의 기여에 의해, 보다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상기 점탄성층 V2의 굴절률 n2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굴절률 n1보다 낮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층간 시트에 의하면, 점탄성층 V1, V2의 굴절률차를 이용하여, 해당 층간 시트를 투과하는 광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것의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가 제공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이와 같이 적어도 한쪽의 표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의 형태로 제조, 보관, 유통, 가공 등을 행하고, 인접하는 부재와의 적층 전에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것의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에 적층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고굴절률 및 고투명성과 유연성을 겸비하는 것에 의한 이점이 바람직하게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요소를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건 특허 출원에 의해 특허에 의한 보호를 요구하는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층간 시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층간 시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교시와 출원 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제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자발광 소자란, 흐르는 전류값에 의해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소자를 의미한다. 자발광 소자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자발광 소자의 구체예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유기 EL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발광 장치에 언급하는 경우, 해당 발광 장치는, 이와 같은 자발광 소자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의 예에는, 조명으로서 이용되는 광원 모듈 장치(예를 들어, 면상 발광체 모듈)나, 화소를 형성한 표시 장치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명세서에 의해,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층간 시트는, 적어도 점탄성층 V1을 포함한다. 상기 층간 시트는, 상기 점탄성층 V1에 적층된 점탄성층 V2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점탄성층 V1, V2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전형적으로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 점착제층이다. 이러한 양태의 층간 시트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파악될 수 있다. 이하, 층간 시트를 점착 시트로, 점탄성층을 점착제층으로, 점탄성 재료를 점착제로, 점탄성층의 표면을 점착면으로, 각각 바꿔 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점탄성층이 적층되는 부재를, 해당 층간 시트(점착 시트)의 피착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층간 시트는,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된 점착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시트의 구성예>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비박리성의 기재(지지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예를 들어, 점탄성층 V1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 또는, 점탄성층 V1 및 점탄성층 V2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점착제층이 직접 접하여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갖는 형태의 기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되고, 상기 점착제층이 박리 라이너에 보유 지지된 형태 등의 무기재의 점착 시트(즉, 비박리성의 기재를 갖지 않는 점착 시트. 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시트의 개념에는,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롤상이어도 되고, 매엽상이어도 된다. 혹은, 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된 형태의 점착 시트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일 구성예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층간 시트(점착 시트)(1)는, 제1 표면(10A)이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10)과, 점착제층(10)의 제2 표면(10B)에 적층된 지지 기재(20)를 포함하는 편면 접착성의 점착 시트(편면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10)의 제2 표면(10B)은, 지지 기재(20)의 제1 면(비박리성의 표면)(20A)에 접합하고 있다. 지지 기재(20)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 기재(20)는,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사용 전(피착체에 대한 첩부 전)의 점착 시트(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면(10A)이, 적어도 해당 점착제층측이 박리성 표면(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30)로 보호된,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50)의 형태일 수 있다. 혹은, 지지 기재(20)의 제2 면(20B)(제1 면(20A)과는 반대측의 표면이며, 배면이라고도 함)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고, 이 제2 면(20B)에 점착면(10A)이 맞닿도록 권회 또는 적층됨으로써 점착면(10A)이 보호된 형태여도 된다. 점착제층(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탄성층 V1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조성이 다른 2 이상의 서브 점착제층(예를 들어, 점착면(10A)을 구성하는 점탄성층 V1과, 지지 기재(20)측에 배치된 점탄성층 V2의 2개의 서브 점착제층)이 직접 접하여(즉, 비점착성 재료의 층에 의해 이격되지 않고) 적층된 적층 구조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2)는, 사용 전에 있어서는, 점착제층(10)의 제1 표면(제1 점착면)(10A) 및 제2 표면(제2 점착면)(10B)이, 적어도 해당 점착제층측이 박리성 표면(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31, 32)로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혹은, 박리 라이너(31)의 배면(점착제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고, 박리 라이너(31)의 배면에 점착면(10B)이 맞닿도록 권회 또는 적층됨으로써 점착면(10A, 10B)이 보호된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 중 적어도 한쪽의 점착면에 기재(바람직하게는 광투과성 기재이며, 예를 들어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재일 수 있음)를 접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2)를 구성하는 점착제층(10)은, 조성이 다른 2개의 서브 점착제층이 직접 접하여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점착제층(10)은, 구체적으로는, 제1 점탄성층(제1 점착제층, 점탄성층 V1)(11)과, 제2 점탄성층(제2 점착제층, 점탄성층 V2)(12)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2층 구조)이다. 혹은,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점탄성층 V1)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 또는 단층 구조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의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에 각각 광학 부재가 적층된 광학 적층체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광학 부재가 접합된 광학 적층체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층간 시트(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0)의 제1 표면(10A)에 광학 부재(70)가 적층된 광학 적층체(100)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는, 예를 들어 유리판, 수지 필름, 금속판 등일 수 있다. 층간 시트(1)는, 광학 부재(70)와, 도시하지 않은 제2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광학 적층체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층간 시트(1)에 있어서, 지지 기재(20)가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재인 경우, 해당 층간 시트(1)는, 점착제층(10)의 제2 표면(10B)에 광학 부재가 적층된 광학 적층체로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비박리성의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지지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면에 제1 점착제층이 고정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 면에 제2 점착제층이 고정적으로 적층된,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접착성 점착 시트(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구성예로서, 도 1에 도시한 편면 점착 시트(1)에 있어서, 지지 기재(20)의 제2 면(20B)이 비박리성의 표면이며 해당 제2 면(20B) 상에 제2 점착제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제2 표면이 지지 기재(20)의 제2 면(20B)에 접합되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제1 표면(제2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이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제2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제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은, 제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과 마찬가지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이와 같은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의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에 각각 광학 부재가 적층된 광학 적층체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전의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는, 상술한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와 마찬가지로,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이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층간 시트의 특성>
(굴절률)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굴절률 n1이 1.570 이상인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점탄성층 V1은, 예를 들어 굴절률이 1.570 이상인 점착제(점탄성 재료)에 의해 해당 점탄성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점착면)을 구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굴절률이 1.570 이상인 점착제층 V1, 해당 점착제층 V1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점착제층 V1을 포함하는 층간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점탄성 재료)의 굴절률이란, 해당 점착제의 표면(점착면)의 굴절률을 말한다. 점착제의 굴절률은, 시판되고 있는 굴절률 측정 장치(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아베 굴절률계로서는, 예를 들어 ATAGO사제의 형식 「DR-M4」 또는 그 상당품이 사용된다. 측정 샘플로서는, 평가 대상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의 굴절률은,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해당 점착제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 필요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의 굴절률은, 1.570 초과인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1.5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90 이상(예를 들어 1.59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층 V1에 의하면, 해당 점착제층 V1과 이것에 인접하는 층(층간 시트에 포함되는 다른 점탄성층(예를 들어 점착제층 V2)이어도 되고, 점착제층 V1이 적층되는 피착체여도 됨)의 상대적인 굴절률의 관계를 이용하여, 점착제층 V1을 투과하는 광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0 이상 또는 1.600 초과, 1.605 이상 또는 1.605 초과, 혹은 1.610 이상 또는 1.610 초과일 수 있다. 점착제층 V1의 굴절률의 바람직한 상한은, 인접하는 층의 굴절률 등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므로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이나 투명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점착제층 V1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700 이하여도 되고, 1.670 이하여도 되고, 1.650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한쪽의 면이 제1 점착면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이 제2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양쪽을 포함함.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 동일함)의 형태이며, 상기 제1 점착면이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점착제층은, 적어도 제1 점착면이 상술한 어느 것의 굴절률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점착면의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제2 점착면의 굴절률 n2는, 제1 점착면의 굴절률 n1과 대략 동일 정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쪽 점착면의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 즉 |n1-n2|는, 예를 들어 0.05 미만, 또는 0.03 미만, 또는 0.01 미만일 수 있다. |n1-n2|의 하한은, 0.00이어도 되고, 0.00보다 커도 된다. 양쪽 점착면의 굴절률의 상대 관계는, n1>n2여도 되고, n1<n2여도 되고, n1=n2여도 된다.
다른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층간 시트의 제1 점착면의 굴절률 n1과 제2 점착면의 굴절률 n2의 차, 즉 n1-n2는, 예를 들어 0.00보다 커도 되고, 0.01 이상이어도 되고, 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이상이어도 되고, 0.05 이상이어도 되고, 0.10 이상이어도 되고, 0.15 이상이어도 되고, 0.20 이상이어도 되고, 0.25 이상이어도 된다. n1과 n2의 대소 관계는 역이어도 된다. n1-n2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이나 투명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n1-n2는, 예를 들어 0.30 이하여도 되고, 0.26 이하여도 되고, 0.21 이하여도 되고, 0.18 이하여도 되고, 0.16 이하여도 된다. 제1 점착면과 제2 점착면에서 굴절률이 다른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비박리성의 지지 기재에 서로 굴절률이 다른 제1, 제2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것이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2 이상의 서브 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로 하고, 해당 적층 구조에 있어서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굴절률과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제1 점착면의 굴절률 n1과 제2 점착면의 굴절률 n2의 비(n1/n2)는, 예를 들어 1.00보다 커도 되고, 대략 1.01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2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1.03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비(n1/n2)는, 대략 1.05 이상인 것이 유리하고, 대략 1.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1.11 이상이어도 된다. 비(n1/n2)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비(n1/n2)는, 예를 들어 대략 1.20 이하여도 되고, 대략 1.18 이하여도 되고, 대략 1.16 이하여도 되고, 대략 1.14 이하여도 되고, 대략 1.12 이하여도 된다.
(저장 탄성률 G')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V1(25))는,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고,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 탄성률 G'V1(25)은, 예를 들어 대략 30㎪ 내지 700㎪의 범위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첩부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저장 탄성률 G'V1(25)은, 대략 600㎪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예를 들어 3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실온역(예를 들어 25℃)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V1의 유연성을 높여 피착체에 밀착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저장 탄성률 G'V1(25)은, 대략 330㎪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역에서의 첩부성이나 유연성이 보다 중시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1(25)은, 예를 들어 270㎪ 미만 또는 250㎪ 미만이어도 되고, 200㎪ 미만인 것이 유리하고, 1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미만(예를 들어 14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1(25)은, 100㎪ 미만이어도 되고, 90㎪ 미만이어도 된다. 저장 탄성률 G'V1(25)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가공성이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30㎪ 이상이어도 되고, 50㎪ 이상이어도 되고, 7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고굴절률화를 고려하여, 저장 탄성률 G'V1(25)은, 100㎪ 이상이어도 되고, 150㎪ 이상이어도 되고, 200㎪ 이상이어도 되고, 250㎪ 이상이어도 되고, 300㎪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의 5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V1(50))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00㎪ 미만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1(50)은, 60㎪ 미만인 것이 적당하고, 4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8㎪ 미만(예를 들어 36㎪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장 탄성률 G'V1(50)가 제한된 점착제층 V1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가열을 행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장 탄성률 G'V1(50)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의 내열 특성 등의 관점에서, 저장 탄성률 G'V1(50)은, 예를 들어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고, 23㎪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은, 이하의 조건:
(a) 저장 탄성률 G'V1(25)이 350㎪ 이하(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예를 들어 180㎪ 이하)인 것; 및
(b) 저장 탄성률 G'V1(50)이 60㎪ 미만(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예를 들어 38㎪ 미만)인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조건 (a)를 충족하는 점착제층 V1은, 실온역(예를 들어 25℃)에 있어서의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나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조건 (b)를 충족하는 점착제층 V1을 갖는 층간 시트는, 실온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접착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 (a)를 충족하지 않고 또한 상기 (b)를 충족하는 점착제층 V1을 갖는 층간 시트는, 실온역에서의 첩부의 초기에는 리워크성(재접착성)이 좋아, 실온보다 조금 높은 정도로의 온도로의 가열에 의해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열 활성화 타입의 층간 시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열 활성화는, 피착체에 대한 첩부 시에 층간 시트를 실온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상기 실온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온도란, 예를 들어 60℃ 정도 또는 그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5℃ 정도 또는 그 이하(예를 들어, 50℃ 정도 또는 그 이하)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1(25)[㎪]에 대한 저장 탄성률 G'V1(50)[㎪]의 비, 즉 저장 탄성률비 G'V1(50)/G'V1(25)은, 예를 들어 70% 이하이고, 40% 이하여도 되고, 30% 이하여도 되고, 20% 이하여도 된다. G'V1(50)/G'V1(25)이 작은 점착제층 V1을 갖는 층간 시트는, 상기 열 활성화 타입의 층간 시트로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G'V1(50)/G'V1(25)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G'V1(50)/G'V1(25)은, 예를 들어 5% 이상이며, 층간 시트의 내열 특성의 관점에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된다.
저장 탄성률 G'V1(25) 및 G'V1(50)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고, 그 결과로부터 G'V1(50)/G'V1(25)을 산출할 수 있다. 동적 점탄성 측정은, 시판되고 있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상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TA Instruments사제의 ARES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측정용의 샘플로서는, 평가 대상의 점착제층을 필요에 따라서 적층하거나 하여 두께 약 1.5㎜로 조제한 것을 사용한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
형상: 패럴렐 플레이트 7.9㎜φ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의 저장 탄성률 G'V1(25), G'V1(50) 및 저장 탄성률비는, 해당 점착제층 V1의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의 선택(예를 들어, 모노머(m1)의 종류 및 함유량의 선택), 가교제의 사용 유무 및 사용량의 선택, 후술하는 굴절률 향상제나 가소화 재료의 사용 유무, 종류 및 사용량의 선택)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머(m1)로서, 해당 모노머(m1)의 주성분인 제1 모노머에 더하여, 해당 제1 모노머와는 화학 구조가 다른 제2 모노머를 비교적 소량, 상기 제1 모노머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노머(m1)로서 제1 모노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더하여 G'V1(50)을 작게 하여, G'V1(50)/G'V1(25)을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가,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예를 들어,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된 제1 점착제층을 갖고, 해당 기재의 제2 면에 점착제층 V2에 의해 구성된 제2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 V1과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 V2가 비점착성의 기재를 통하지 않고 적층된 적층 구조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점착제층 V1의 한쪽의 면이 제1 점착면으로 되어 있고, 해당 점착제층 V1의 다른 쪽의 면이 제2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단층 구조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 등. 다른 마찬가지의 기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의 형태인 경우, 상술한 저장 탄성률 G'V1(25), G'V1(50) 및 저장 탄성률비는, 적어도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적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 및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양쪽에 적용된다.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와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전광선 투과율)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고굴절률을 갖는 점착제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해당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다. 이와 같이 투명성이 높은 층간 시트는, 기재를 갖는 구성 또는 갖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높은 광투과성이 요구되는 용도(예를 들어 광학 용도)나, 해당 점착 시트를 통해 피착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8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예를 들어 90.0%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5% 이상이어도 되고, 93% 이상이어도 되고, 95% 이상이어도 된다.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은, 이론적으로는, 100%로부터 공기 계면에서 발생하는 반사에 의한 광 손실(프레넬 손실)을 제외한 값이 되고, 실용상, 대략 98% 이하여도 되고, 대략 96% 이하여도 되고, 대략 95%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굴절률이나 점착 특성을 고려하여,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대략 94% 이하여도 되고, 대략 93% 이하여도 되고, 대략 92% 이하여도 된다. 전광선 투과율은,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시판되고 있는 투과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투과율계로서는,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의 상품명 「HAZEMETER HM-150」 또는 그 상당품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다.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해당 층간 시트에 포함되는 점탄성층의 조성이나 두께,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해당 기재의 종류나 두께 등의 선택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지지 기재에 고정적으로 적층된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이며, 제1 점착제층이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된 층인 경우, 적어도 해당 제1 점착제층이 상술한 어느 것의 전광선 투과율을 충족하면 되고, 제2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점착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광이 빠져나가는 사용 양태에서는, 제2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이, 상술한 제1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 중 어느 것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의 상대 관계는,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헤이즈값)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고굴절률을 갖는 점착제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해당 층간 시트의 헤이즈값이 1.0% 이하이다. 이와 같이 투명성이 높은 층간 시트는, 기재를 갖는 구성 또는 갖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높은 광투과성이 요구되는 용도(예를 들어 광학 용도)나, 해당 층간 시트를 통해 피착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층간 시트의 헤이즈값은, 0.9% 이하여도 되고, 0.8% 이하여도 되고, 0.5% 이하여도 되고, 0.3% 이하여도 된다. 층간 시트의 헤이즈값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헤이즈값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굴절률이나 점착 특성을 고려하여, 층간 시트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어 0.05% 이상이어도 되고, 0.1% 이상이어도 되고, 0.2% 이상이어도 되고, 0.3% 이상이어도 되고, 0.4% 이상이어도 된다. 층간 시트에 관한 이들 헤이즈값은,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무기재 점착 시트(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의 형태로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점착 시트의 헤이즈값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헤이즈값」이란, 측정 대상에 가시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전체 투과광에 대한 확산 투과광의 비율을 말한다. 흐림도라고도 한다. 헤이즈값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h(%)=Td/Tt×100
상기 식에 있어서, Th는 헤이즈값(%)이며, Td는 산란광 투과율, Tt는 전체 광투과율이다. 헤이즈값의 측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헤이즈값은, 예를 들어 측정 대상의 조성이나 두께 등의 선택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지지 기재에 고정적으로 적층된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 해당 층간 시트는, 전체로서 상술한 어느 것의 헤이즈값을 충족하면 되고,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각각의 헤이즈값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양쪽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의 상대 관계는,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제1 점착제층=제2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즉, 제1 점착제층의 헤이즈값과, 제2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은,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복수의 서브 점착제층(예를 들어, 점착제층 V1 및 점착제층 V2)이 직접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 서브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점착면의 표면 평활성)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해당 층간 시트의 점착면(예를 들어,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된 점착면)은, 높은 표면 평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면은, 그 산술 평균 조도 Ra가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조도 Ra가 낮아지도록 설계된 점착면을 구비하는 구성은, 광학적 균질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조도 Ra를 제한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점착면을 통해 광이 취출되는 사용 양태(발광 장치에 있어서 자발광 소자보다도 시점측에 배치되는 층간 시트 등)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 상태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낮은 것은, 광학 왜곡의 억제에도 유리하고, 광학 왜곡의 억제도 또한 광학적 균질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점착 시트가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에는, 적어도 제1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모두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 시트의 각 점착면이 높은 표면 평활성을 가짐으로써, 광학적 균질성이 우수한 접착을 바람직하게 실현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7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6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55㎚ 이하이고, 50㎚ 미만이어도 되고, 45㎚ 미만이어도 되고, 40㎚ 미만이어도 된다.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예를 들어 대략 1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2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30㎚ 이상(예를 들어 대략 40㎚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태의 층간 시트에 있어서, 제1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와 제2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점착면은, 최대 높이 Rz가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높이 Rz가 낮아지도록 설계된 점착면을 구비하는 구성은, 광학적 균질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최대 높이 Rz를 제한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면을 통해 광이 취출되는 사용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 상태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가 낮은 것은, 광학 왜곡의 억제에도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에는, 적어도 제1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가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가 모두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 시트의 각 점착면이 높은 표면 평활성을 가짐으로써, 광학적 균질성이 우수한 접착을 바람직하게 실현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6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5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45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400㎚ 이하이고, 350㎚ 미만이어도 되고, 300㎚ 미만이어도 되고, 250㎚ 미만이어도 된다.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는, 예를 들어 대략 1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5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200㎚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태의 층간 시트에 있어서, 제1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와 제2 점착면의 최대 높이 Rz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Rz는, 비접촉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비접촉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로서는, 광간섭 방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3차원 광학 프로파일러(상품명 「NewView7300」, ZYGO사제)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또는 해당 측정 방법에 의한 경우와 동등 혹은 대응하는 결과가 얻어지도록 측정 조작이나 측정 조건을 설정하여,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Rz를 측정할 수 있다.
즉, 23℃, 50%RH의 환경 하에 있어서, 3차원 광학 프로파일러(상품명 「NewView7300」, ZYGO사제)를 사용하여, 측정용 샘플의 표면 형상을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산술 표면 조도 Ra를, JIS B 0601-2001에 준하여 산출한다. 최대 높이 Rz는, 상기 측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조도 곡선)에 대하여, 해당 조도 곡선의 평균선으로부터 상측으로 가장 높은 산의 높이 Rp와, 상기 평균선으로부터 하측으로 가장 깊은 골의 깊이 Rv의 합으로서 구한다. 측정은 5회 행하고(즉 N=5), 그것들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상기 측정용 샘플은, 예를 들어 측정 대상의 점착제층 또는 해당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층간 시트를 길이 150㎜, 폭 50㎜ 정도의 사이즈로 커트하여 조제할 수 있다. 점착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박리 라이너를 가만히(예를 들어, 인장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점착면을 노출시킨다. 점착면을 노출시키고 나서 30분간 정도 정치한 후에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조건]
측정 면적: 5.62㎜×4.22㎜
(대물 렌즈: 2.5배, 내부 렌즈: 0.5배)
해석 모드:
Remove: Cylinder
Data Fill: ON(Max: 25)
Remove Spikes: ON(xRMS: 1)
Filter: OFF
점착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Rz는,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이나 성상(점도, 레벨링성 등), 점착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의 성상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흡수율)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은, 흡수율이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V1의 흡수율을 제한함으로써, 해당 점착제층 V1 중의 수분량의 변동(예를 들어, 환경 중의 습기 등의 수분의 흡수 및 방출)에 의한 점탄성층 V1의 치수 변화는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 V1과 이것에 인접하는 층(점착제층 V2, 지지 기재, 박리 라이너, 피착체 등일 수 있음)의 치수 변화의 불일치에 기인하는 층간 시트 또는 해당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점착제층 V1 중의 수분량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점착제층 V1의 평탄성, 투명성, 굴절률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율이 낮은 점착제층 V1을 갖는 층간 시트는, 수분을 흡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와 같이 수분에 취약한 요소를 포함하는 부재 또는 제품에 사용되는 층간 시트로서 적합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의 흡수율은, 대략 1.0%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예를 들어 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여도 되고, 0.3% 이하여도 되고, 0.2%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층 V1의 흡수율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착 특성과의 양립 등의 실용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0.01% 이상이어도 되고, 0.05% 이상이어도 되고, 0.1% 이상이어도 되고, 0.15% 이상이어도 되고, 0.25%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에는, 적어도 제1 점착제층(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 V1)의 흡수율이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제1, 제2 점착제층의 흡수율이 모두 소정값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흡수율(수분율이라고도 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수분율의 측정]
평가 대상의 점착제층을, 그 한쪽의 면 및 다른 쪽의 면 상에 배치된 2매의 박리 라이너와 함께 4㎝×5㎝(면적: 20㎠)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한쪽의 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미리 칭량해 둔 알루미늄박에 접합한다. 다음에, 점착제층의 다른 쪽의 면 상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항온 항습조에 투입하고, 72시간 후에 취출한다. 점착제층과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시험편을 칭량한 후, 가열 기화 장치(미츠비시 가가쿠 애널리텍 VA-200형)를 구비하는 수분계(미츠비시 가가쿠 애널리텍 CA-200형)를 사용하여, 칼 피셔 전량 적정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서 수분율을 측정한다.
양극액: 아쿠아마이크론 AKX(미츠비시 가가쿠제)
음극액: 아쿠아마이크론 CXU(미츠비시 가가쿠제)
가열 기화 온도: 150℃
(겔 분율)
점탄성층 V1의 겔 분율은,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고, 특정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겔 분율은, 예를 들어 대략 99% 이하이고, 대략 97% 이하가 적당하다.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을 적합하게 양립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겔 분율은 대략 9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92% 이하(예를 들어 대략 90% 이하)일 수 있다. 겔 분율이 너무 높지 않은 것은, 피착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요철(예를 들어, 발광 장치에 있어서 광 취출 효율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마련된 요철 구조)에 대하여 적절하게 추종하여, 양호하게 밀착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겔 분율은, 대략 88% 이하여도 되고, 대략 75% 이하여도 되고, 대략 65%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겔 분율은, 점착제에 적당한 응집성을 부여하여, 점착 특성을 적절하게 발현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대략 10% 이상이며, 대략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30% 이상이어도 된다. 점탄성층 V1의 내변형성(압력에 의한 비어져 나옴이나 이물의 혼입에 의한 기포의 방지 등)의 관점에서, 상기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이상이며, 대략 45%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5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65%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75% 이상이어도 된다. 층간 시트(전형적으로는, 무기재 점착 시트의 형태의 층간 시트)의 겔 분율도 상기에서 예시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분율은, 베이스 폴리머의 분자량이나 분자 구조, 농도, 가교도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겔 분율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겔 분율의 측정]
소정량의 샘플(중량 Wg1)을 평균 구멍 직경 0.2㎛의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중량 Wg2)으로 건착상으로 감싸고, 입구를 연실(중량 Wg3)로 묶는다.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막으로서는, 닛토덴코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품명 「니토플론(등록 상표) NTF1122」(평균 구멍 직경 0.2㎛, 기공률 75%, 두께 85㎛)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한다.
이 감싼 것을 충분량의 아세트산에틸에 침지하고, 실온(전형적으로는 23℃)에서 7일간 유지하여 점착제 중의 졸분만을 상기 막 외부로 용출시킨 후, 상기 감싼 것을 취출하여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에틸을 닦아내고, 해당 감싼 것을 130℃에서 2시간 건조시켜, 해당 감싼 것의 중량(Wg4)을 측정한다. 겔 분율은, 각 값을 이하의 식에 대입함으로써 구해진다.
겔 분율(%)=[(Wg4-Wg2-Wg3)/Wg1]×100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면과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이며, 제1 점착면이 점착제층 V1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점착면이 점착제층 V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탄성층 V1의 겔 분율과,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탄성층 V2의 겔 분율은,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겔 분율을 점탄성층 V1의 겔 분율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저겔 분율인 점탄성층 V2의 기여에 의해, 층간 시트의 유연성을 높이기 쉽다. 이것에 의해, 점탄성층 V1의 고굴절률화와 층간 시트의 유연성을 적합하게 양립시키는 층간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tanδ의 피크 온도는, 대략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략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제의 tanδ(손실 정접)란, 해당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G'에 대한 손실 탄성률 G"의 비를 말한다. 즉, tanδ=G"/G'이다. 점착제의 tanδ는, 두께 약 2㎜, 직경 7.9㎜의 원반상의 점착제 샘플을 패럴렐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넣고, 점탄성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주파수 1Hz의 전단 변형을 부여하면서, 측정 온도 범위 -60℃ 내지 60℃, 승온 속도 5℃/분의 조건에서, 전단 모드에 의해 해당 점착제의 온도 분산 시험을 행하고, 그때의 저장 탄성률 G'(Pa) 및 손실 탄성률 G"(Pa)로부터 다음 식: tanδ=G"/G';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tanδ의 추이로부터, 점착제의 tanδ의 피크 온도(이하, Tpeak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가 구해진다. 점탄성 시험 장치로서는, TA Instruments사제의 ARES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Tpeak는, 45℃ 이하 또는 35℃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30℃ 이하(예를 들어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된다. 보다 Tpeak가 낮은 점착제에 의하면, 실온역에 있어서 양호한 초기 접착성이나 밀착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점착제의 Tpeak가 너무 낮지 않은 것은, 점착제에 적당한 응집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고굴절률화와의 양립에도 적합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의 Tpeak는, 예를 들어 -40℃ 이상이어도 되고, -30℃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나아가 25℃ 이상이어도 된다. Tpeak가 비교적 높은 점착제는, 피착체에 대한 첩부 시에,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와 피착체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실온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의 Tpeak는, 해당 점착제의 조성의 선택(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 굴절률 향상제나 가소화 재료의 사용 유무, 종류 및 사용량의 선택)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 상술한 점착제의 Tpeak는, 적어도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바람직하게는 점탄성층 V1)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 및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양쪽에 적용된다. 제1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Tpeak와 제2 점착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Tpeak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탄성층 V1>
(베이스 폴리머)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착제는,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이들의 혼합물 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테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불소계 폴리머 등의 각종 고무상 폴리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점착성 폴리머(점착제를 형성하는 구조 폴리머라는 의미에서, 이하 「베이스 폴리머」라고도 함)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점착 성능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이하, 점착제층 V1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층간 시트, 즉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층간 시트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V1을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란, 해당 점착제에 포함되는 고무상 폴리머의 주성분을 말하고, 이것 이외, 전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무상 폴리머란,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말한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이란, 특기하지 않는 경우,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성분을 가리킨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란, 해당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물을 말한다. 이하,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를 「아크릴계 모노머」라고도 한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로서 정의된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전형례로서, 해당 아크릴계 폴리머의 합성에 사용되는 전체 모노머 중 아크릴계 모노머의 비율이 50중량% 초과(바람직하게는 70중량% 초과, 예를 들어 90중량% 초과)인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개념에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아크릴계 모노머)와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메타크릴계 모노머)의 양쪽이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A))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굴절률이 1.570 이상이며,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이 30㎪ 내지 700㎪이며,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인 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해당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방향환 함유 모노머(m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향환 함유 모노머(m1)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아크릴계 폴리머를 「아크릴계 폴리머(A)」라고도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란, 미리 형성된 중합물(올리고머일 수 있음)의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지, 미중합의 모노머의 형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지를 불문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 중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즉,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중합물, 미중합물, 부분 중합물 중 어느 형태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의 실질적으로 전부(예를 들어 9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중량% 이상)를 중합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중합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변형이나 휨이 적은 층간 시트를 형성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모노머(m1))
모노머(m1)로서는,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과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모노머(m1)로서는, 이러한 화합물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메트)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반응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고, 유연성이나 점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유연성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모노머(m1)로서는, 1분자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수가 1인 화합물(즉, 단관능 모노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모노머(m1)로서 사용되는 화합물 1분자에 포함되는 방향환의 수는, 1이어도 되고, 2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m1)에 포함되는 방향환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6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A)의 조제 용이성이나 점착제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상기 방향환의 수는, 예를 들어 12 이하여도 되고,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여도 되고, 4 이하여도 되고, 3 이하여도 되고, 2 이하여도 된다.
모노머(m1)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이 갖는 방향환은, 예를 들어 벤젠환(비페닐 구조나 플루오렌 구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벤젠환일 수 있음); 나프탈렌환, 인덴환, 아줄렌환, 안트라센환, 페난트렌환의 축합환; 등의 탄소환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피리딘환, 피리미딘환, 피리다진환, 피라진환, 트리아진환, 피롤환, 피라졸환, 이미다졸환, 트리아졸환, 옥사졸환, 이소옥사졸환, 티아졸환, 티오펜환; 등의 복소환이어도 된다. 상기 복소환에 있어서 환 구성 원자로서 포함되는 헤테로 원자는, 예를 들어 질소, 황 및 산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소환을 구성하는 헤테로 원자는, 질소 및 황 중 한쪽 또는 양쪽일 수 있다. 모노머(m1)는, 예를 들어 디나프토티오펜 구조와 같이, 1 또는 2 이상의 탄소환과 1 또는 2 이상의 복소환이 축합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방향환(바람직하게는 탄소환)은, 환 구성 원자 상에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치환기를 갖는 경우, 해당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 히드록시알킬기, 히드록시알킬옥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에 있어서, 해당 치환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고, 예를 들어 1 또는 2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환은, 환 구성 원자 상에 치환기를 갖지 않거나,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 원자(예를 들어 브롬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방향환일 수 있다. 또한, 모노머(m1)가 갖는 방향환이 그 환 구성 원자 상에 치환기를 갖는다란, 해당 방향환이,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치환기 이외의 치환기를 갖는 것을 말한다.
방향환과 에틸렌성 불포화기는, 직접 결합되어 있어도 되고, 링킹기를 통해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링킹기는, 예를 들어 알킬렌기, 옥시알킬렌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페닐기, 알킬페닐기, 알콕시페닐기, 이들 기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된 구조의 기(예를 들어, 히드록시알킬렌기), 옥시기(-O-기), 티오옥시기(-S-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기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방향환과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알킬렌기, 옥시알킬렌기 및 폴리(옥시알킬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링킹기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 및 상기 옥시알킬렌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고, 예를 들어 1 또는 2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 단위의 반복수는, 예를 들어 2 내지 3일 수 있다.
모노머(m1)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예로서,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환 함유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환 함유 비닐 화합물은, 각각,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함유 비닐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1)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원하는 굴절률과 점착 특성(예를 들어 박리 강도, 유연성 등) 및/또는 광학 특성(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성, 헤이즈값 등)을 양립시키는 점착제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1)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며, 6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보다 높은 굴절률을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m1)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70중량% 초과여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1)의 함유량의 상한은 100중량%이다.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m1)의 함유량은, 10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어 대략 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7중량% 이하여도 되고, 96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m1)의 함유량은, 93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75중량% 이하여도 된다. 보다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중시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모노머(m1)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60중량% 이하여도 되고, 45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m1)로서는, 높은 고굴절률화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1분자 중에 2 이상의 방향환(바람직하게는 탄소환)을 갖는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1분자 내에 2 이상의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이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라고도 함)의 예로서는,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링킹기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모노머,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즉, 다른 원자를 통하지 않고) 화학 결합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 축합 방향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링킹기는, 예를 들어 옥시기(-O-), 티오옥시기(-S-), 옥시알킬렌기(예를 들어 -O-(CH2)n-기, 여기에서 n은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티오옥시알킬렌기(예를 들어 -S-(CH2)n-기, 여기에서 n은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직쇄 알킬렌기(즉 -(CH2)n-기, 여기에서 n은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상기 옥시알킬렌기, 상기 티오옥시알킬렌기 및 상기 직쇄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가 부분 할로겐화 또는 완전 할로겐화된 기 등일 수 있다. 점착제의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링킹기의 적합예로서, 옥시기, 티오옥시기, 옥시알킬렌기 및 직쇄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링킹기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페녹시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m-페녹시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티오페녹시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비페닐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기 함유 비페닐 등일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o-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비페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축합 방향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예로서는, 나프탈렌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안트라센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기 함유 나프탈렌, 비닐기 함유 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1-나프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별명: 1-나프탈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화 β-나프톨아크릴레이트, 2-나프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나프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4-메톡시-1-나프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메트)아크릴레이트,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는, 2개의 벤젠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개념에 포함된다.
상기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디나프토티오펜, 비닐기 함유 디나프토티오펜, (메트)알릴기 함유 디나프토티오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나프토티오펜(예를 들어, 디나프토티오펜환의 5위치 또는 6위치에 CH2CH(R1)C(O)OCH2-가 결합한 구조의 화합물. 여기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임),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나프토티오펜(예를 들어, 디나프토티오펜환의 5위치 또는 6위치에, CH2CH(R1)C(O)OCH(CH3)- 또는 CH2CH(R1)C(O)OCH2CH2-가 결합한 구조의 화합물. 여기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임), 비닐디나프토티오펜(예를 들어, 나프토티오펜환의 5위치 또는 6위치에 비닐기가 결합한 구조의 화합물), (메트)알릴옥시디나프토티오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는, 나프탈렌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또한 티오펜환과 2개의 나프탈렌 구조가 축합한 구조를 가짐으로써도, 상기 축합 방향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개념에 포함된다.
상기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디벤조티오펜, 비닐기 함유 디벤조티오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는, 티오펜환과 2개의 벤젠환이 축합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축합 방향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개념에 포함된다.
또한, 디나프토티오펜 구조 및 디벤조티오펜 구조는, 모두,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모노머(m1)로서, 1분자 중에 1개의 방향환(바람직하게는 탄소환)을 갖는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1분자 중에 1개의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점착제의 유연성의 향상이나 점착 특성의 조정, 투명성의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1분자 중에 1개의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는, 점착제의 굴절률 향상의 관점에서,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분자 중에 1개의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의 예로서는,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크레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클로로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2-(4,6-디브로모-2-s-부틸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부틸페녹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페녹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브롬 치환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tert-부틸스티렌 등의, 탄소 방향환 함유 비닐 화합물; N-비닐피리딘,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 방향환 상에 비닐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m1)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방향환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방향환 사이에 옥시에틸렌쇄를 개재시킨 구조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방향환 사이에 옥시에틸렌쇄를 개재시킨 모노머는, 원래의 모노머의 에톡시화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상기 옥시에틸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에틸렌 단위(-CH2CH2O-)의 반복수는, 전형적으로는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며, 예를 들어 1이다. 에톡시화된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에톡시화 o-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크레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m1)의 실질적으로 100중량%가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여도 된다. 즉, 모노머(m1)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0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98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6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0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원하는 굴절률과 점착 특성(예를 들어 박리 강도, 유연성 등) 및/또는 광학 특성(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성, 헤이즈값 등)을 양립시키는 점착제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5중량% 초과여도 되고, 50중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초과여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0중량%일 수 있지만,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10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대략 99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8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중량% 이하여도 되고, 93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5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7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5중량% 이하여도 되고, 5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3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m1)의 적어도 일부로서, 고굴절률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굴절률 모노머」란, 그 굴절률이, 예를 들어 대략 1.51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1.5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550 이상인 모노머를 가리킨다. 고굴절률 모노머의 굴절률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이나, 점착제로서 적합한 유연성과의 양립 용이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3.000 이하이고, 2.500 이하여도 되고, 2.000 이하여도 되고, 1.900 이하여도 되고, 1.800 이하여도 되고, 1.700 이하여도 된다. 고굴절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아베 굴절률계로서는, ATAGO사제의 형식 「DR-M4」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메이커 등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공칭값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공칭값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모노머로서는, 여기에 개시되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개념에 포함되는 화합물(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화합물 및 화합물군) 중으로부터, 해당하는 굴절률을 갖는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m-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굴절률: 1.566, 호모폴리머의 Tg: -35℃), 1-나프틸메틸아크릴레이트(굴절률: 1.595, 호모폴리머의 Tg: 31℃), 에톡시화 o-페닐페놀아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 단위의 반복수: 1, 굴절률: 1.578), 벤질아크릴레이트(굴절률(nD20): 1.519, 호모폴리머의 Tg: 6℃),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굴절률(nD20): 1.517, 호모폴리머의 Tg: 2℃),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굴절률: 1.510, 호모폴리머의 Tg: -35℃), 6-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나프토티오펜(6MDNTA, 굴절률: 1.75), 6-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나프토티오펜(6MDNTMA, 굴절률: 1.726), 5-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나프토티오펜(5EDNTA, 굴절률: 1.786), 6-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나프토티오펜(6EDNTA, 굴절률: 1.722), 6-비닐디나프토티오펜(6VDNT, 굴절률: 1.802), 5-비닐디나프토티오펜(약호: 5VDNT, 굴절률: 1.79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노머(m1)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즉, 굴절률이 대략 1.51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1.5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550 이상인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보다 높은 굴절률을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모노머(m1)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m1)의 실질적으로 100중량%가 고굴절률 모노머여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모노머(m1)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0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98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6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모노머(m1)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5중량% 이하여도 되고, 10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모노머 성분(m1)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고굴절률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원하는 굴절률과 점착 특성(예를 들어 박리 강도, 유연성 등) 및/또는 광학 특성(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성, 헤이즈값 등)을 양립시키는 점착제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5중량% 초과여도 되고, 50중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초과여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0중량%일 수 있지만,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10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99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8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중량% 이하여도 되고, 93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5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7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5중량% 이하여도 되고, 5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모노머의 함유량이 3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모노머(m1)의 적어도 일부로서,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하(바람직하게는 5℃ 이하 또는 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예를 들어 -25℃ 이하)인 방향환 함유 모노머(이하, 「모노머 L」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를 채용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m1)(특히, 상술한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 및 고굴절률 모노머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해당하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G'는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바, 해당 모노머(m1)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모노머 L을 채용함으로써, 저장 탄성률 G'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점착제로서 적합한 유연성을 보다 좋게 유지하면서,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노머 L의 Tg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굴절률 향상 효과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L의 Tg는, 예를 들어 -70℃ 이상이어도 되고, -55℃ 이상이어도 되고, -45℃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L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L로서는, 여기에 개시되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개념에 포함되는 화합물(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화합물 및 화합물군) 중으로부터, 해당하는 Tg를 갖는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모노머 L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일 적합예로서, m-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호모폴리머의 Tg: -35℃)를 들 수 있다. 다른 일 적합예로서,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호모폴리머의 Tg: -35℃)를 들 수 있다.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고굴절률과 유연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시키는 점착제를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6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A1)의 실질적으로 100중량%가 모노머 L이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점착제로서 적합한 유연성과 고굴절률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100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98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0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모노머(m1)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모노머 L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고굴절률과 유연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시키는 점착제를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5중량% 초과여도 되고, 50중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초과여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100중량%일 수 있지만, 고굴절률과 점착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10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대략 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중량% 이하여도 되고, 95중량% 이하여도 되고, 93중량% 이하여도 되고,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85중량% 이하여도 되고, 80중량% 이하여도 되고, 7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은, 7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하여도 되고, 25중량% 이하여도 되고, 15중량% 이하여도 되고, 5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 L의 함유량이 3중량% 미만인 양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m1)의 조성에 기초하는 유리 전이 온도 Tgm1은, 점착제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대략 20℃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예를 들어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20℃ 이하여도 되고, -25℃ 이하여도 된다. 유리 전이 온도 Tgm1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굴절률 향상 효과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 Tgm1은, 예를 들어 -70℃ 이상이어도 되고, -55℃ 이상이어도 되고, -45℃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유리 전이 온도 Tgm1이 예를 들어 -40℃ 이상, -35℃ 이상, -33℃ 이상, -30℃ 이상, 또는 -25℃ 이상인 양태로도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노머(m1)의 조성에 기초하는 유리 전이 온도 Tgm1이란,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모노머(m1)만의 조성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Fox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Tg를 말한다. 유리 전이 온도 Tgm1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모노머(m1)만을 대상으로 하여 후술하는 Fox의 식을 적용하여, 모노머(m1)로서 사용되는 각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와, 모노머(m1)의 합계량에 차지하는 각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중량 분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모노머(m1)로서 1종류의 모노머만을 사용하는 양태에서는, 해당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와 유리 전이 온도 Tgm1은 일치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방향환 함유 모노머(m1)로서는, 모노머 L(즉, 호모폴리머의 Tg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또는 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예를 들어 -25℃ 이하인 방향환 함유 모노머)과, Tg가 10℃보다도 높은 모노머 H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H의 Tg는, 예를 들어 10℃ 초과여도 되고, 15℃ 초과여도 되고, 20℃ 초과여도 된다. 모노머 L과 모노머 H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구성에 있어서, 점착제의 고굴절률과 유연성을 보다 고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모노머 L과 모노머 H의 사용량비는, 이러한 효과가 적합하게 발현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어느 것의 유리 전이 온도 Tgm1을 충족하도록 모노머 L과 모노머 H의 사용량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방향환 함유 모노머(m1)는,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예를 들어 비페닐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미만이고, 0중량%여도 됨)인 조성의 모노머 성분에 의해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은, 유연성이나 점착성과 고굴절률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킨 점착제를 실현하는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모노머(m2))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상기 모노머(m1)에 더하여, 모노머(m2)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m2)는,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중 적어도 한쪽에 해당하는 모노머이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1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1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시기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모노머(m2)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점을 도입하거나, 점착제에 적당한 응집성을 부여하거나 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모노머(m2)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m2)는, 전형적으로는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모노머이다.
모노머(m2)가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메트)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반응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고, 유연성이나 점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유연성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모노머(m2)로서는, 1분자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수가 1인 화합물(즉, 단관능 모노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히드록시라우릴,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Tg: -40℃) 및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Tg: -15℃)을 들 수 있다. 실온역에 있어서의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보다 Tg가 낮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모노머(m2)의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중량% 초과, 70중량% 초과 또는 85중량% 초과)이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일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m2)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메타크릴로일기를 갖지 않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적합예로서, 상술한 각종 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머(m2)로서 사용하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 중 50중량% 초과, 70중량% 초과 또는 85중량% 초과가 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의 사용에 의해, 가교점의 제공이나 적당한 응집성의 부여에 도움이 되는 히드록시기를 아크릴계 폴리머에 도입할 수 있고, 또한 대응하는 메타크릴산히드록시알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실온역에 있어서의 유연성이나 점착성이 좋은 점착제가 얻어지기 쉽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산카르복시펜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 외에,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2)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m2)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1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또는 0.5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높은 사용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A2)의 함유량은, 1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4중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2)의 함유량의 상한은,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m2)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0중량% 이하 또는 2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모노머(m1)의 함유량을 상대적으로 많게 하여 고굴절률화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2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0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7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모노머(m2)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0.01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상기 모노머 성분의 1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4중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예를 들어 30중량% 이하 또는 2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모노머(m1)의 함유량을 상대적으로 많게 하여 고굴절률화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2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0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7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모노머(m2)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0.01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2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4중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다른 모노머의 사용량과의 합계가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예를 들어 30중량% 이하 또는 2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모노머(m1)의 함유량을 상대적으로 많게 하여 고굴절률화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2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0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의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7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5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중량% 미만으로 해도 되고, 1중량% 미만으로 해도 되고, 0.5중량% 미만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모노머(m2)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만을 사용하는 양태, 즉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1)와 모노머(m2)의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어 31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1중량% 이상이며, 61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1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1)와 모노머(m2)의 합계 함유량은, 이들 모노머의 효과를 적합하게 발휘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76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6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1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6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9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실질적으로 100중량%여도 된다.
(모노머 m3)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모노머(m1) 및 상기 모노머(m2) 이외의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임의 성분의 일례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하, 「모노머(m3)」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모노머(m3)는, 점착제의 유연성의 조정이나, 점착제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모노머(m3)로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즉, C1-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C1 -20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m3)의 적어도 일부로서, 호모폴리머의 Tg가 -2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예를 들어 -50℃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Tg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제의 유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Tg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85℃ 이상이어도 되고, -75℃ 이상이어도 되고, -65℃ 이상이어도 되고, -6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저Tg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n-부틸(BA),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아크릴산이소노닐(iNA)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m3)를 사용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유연성이나 점착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m3)의 적어도 일부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노머(m3) 중 5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알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m3)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아크릴레이트만을 사용하고,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여도 된다.
모노머 성분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그 사용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1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3)의 함유량의 상한은,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과의 합계가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예를 들어 50중량% 미만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m3)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5중량% 미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굴절률은 비교적 낮기 때문에, 고굴절률화를 위해서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모노머(m3)의 함유량을 제한하고, 모노머(m1)의 함유량을 상대적으로 많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노머(m3)의 함유량은, 모노머 성분의 24중량%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23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2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7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3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모노머(m3)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밖의 모노머)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모노머(m1), (m2), (m3) 이외의 모노머(이하, 「그 밖의 모노머」라 함)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의 Tg 조정, 점착 성능의 조정,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의 개선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의 예로서,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 밖의 모노머로서,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 기점이 될 수 있는 관능기를 도입할 수 있고, 혹은 박리 강도의 향상이나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모노머로서,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케토기 함유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 중에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과 같이,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에도 해당되는 것이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와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의 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관능기 함유 모노머 이외에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모노머로서는,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 염화비닐 등의 염소 함유 모노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의 유연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모노머의 일 적합예로서, 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별명: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호모폴리머의 Tg: -67℃)를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모노머 성분의 합계량이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m1)의 사용에 의한 굴절률 향상 효과를 발휘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그 밖의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대략 35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대략 2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25중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20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20중량%)여도 되고, 대략 10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5중량% 이하여도 되고, 예를 들어 대략 1중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모노머 성분이 상기 그 밖의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타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소정 이하로 억제된 조성일 수 있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메타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5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3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0.5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메타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은, 유연성이나 점착성과 고굴절률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킨 점착제를 실현하는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타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예를 들어, 아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조성)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해당 점탄성층 V1의 착색 또는 변색(예를 들어 황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1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0.5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중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0.05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은, 점탄성층 V1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피착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금속 배선이나 금속막 등)의 부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모노머 성분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산성 관능기(카르복시기 외에, 술폰산기, 인산기 등을 포함함)를 갖는 모노머의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의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의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으로서는, 상술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바람직한 사용량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모노머 성분이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양태(즉 점탄성층 V1의 베이스 폴리머가 산 프리인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는, 해당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기초하는 유리 전이 온도 TgT가, 대략 20℃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여도 되고, -20℃ 이하여도 되고, -25℃ 이하여도 되고, -28℃ 이하여도 되고, -30℃ 이하여도 된다. 유리 전이 온도 TgT가 낮은 것은, 점착제의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 TgT는, 예를 들어 -60℃ 이상이어도 되고, 점착제의 고굴절률화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초과이며, -40℃ 초과여도 되고, -35℃ 초과여도 되고, -25℃ 초과여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T란, 특기하지 않는 경우, 해당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기초하여, Fox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유리 전이 온도를 말한다. Fox의 식이란,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공중합체의 Tg와, 해당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각각을 단독 중합한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i의 관계식이다.
1/Tg=Σ(Wi/Tgi)
상기 Fox의 식에 있어서, Tg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해당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모노머 i의 중량 분율(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 Tgi는 모노머 i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를 나타낸다.
Tg의 산출에 사용하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 등의 공지 자료에 기재된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복수 종류의 값이 기재되어 있는 모노머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값을 채용한다. 공지 자료에 호모폴리머의 Tg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 폴리머의 조제 방법)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모노머 성분에 의해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A))를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용액 중합법, 에멀션 중합법, 벌크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광 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용액 중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을 행할 때의 중합 온도는, 사용하는 모노머 및 용매의 종류,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170℃ 정도(전형적으로는 40℃ 내지 140℃ 정도)로 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중합 용매)는, 종래 공지의 유기 용매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전형적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헥산이나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1가 알코올류); tert-부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에 사용하는 개시제는, 중합 방법의 종류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중합 개시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다른 예로서는, 과황산칼륨 등의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또 다른 예로서, 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의 사용량이면 되고,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0.005 내지 1중량부 정도(전형적으로는 대략 0.01 내지 1중량부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중합에는,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각종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티오글리콜산, α-티오글리세롤 등의 머캅탄류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황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연쇄 이동제(비황계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비황계 연쇄 이동제의 예로서는,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등의 아닐린류; α-피넨, 테르피놀렌 등의 테르페노이드류; α-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의 스티렌류;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모노머 원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대략 0.01 내지 1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대략 10×104 내지 500×104의 범위일 수 있다. 점착 성능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의 Mw는, 대략 20×104 내지 400×104(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30×104 내지 150×104, 예를 들어 대략 50×104 내지 130×104)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머의 Mw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 「HLC-8220GPC」(도소사제)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 농도: 0.2중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10μL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유속): 0.6mL/분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칼럼:
샘플 칼럼: 상품명 「TSKguardcolumn SuperHZ-H」 1개+상품명 「TSKgel SuperHZM-H」 2개」(도소사제)
레퍼런스 칼럼: 상품명 「TSKgel SuperH-RC」 1개(도소사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표준 시료: 폴리스티렌
(굴절률 향상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층)에는, 베이스 폴리머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굴절률 향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란, 그 사용에 의해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높일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굴절률 향상제로서는, 해당 굴절률 향상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굴절률보다도 고굴절률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굴절률 향상제로서는, 해당 굴절률 향상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A))보다도 고굴절률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굴절률 향상제의 적절한 사용에 의해, 보다 높은 굴절률과, 실용적인 점착 성능을 적합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는 유기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유기 재료는, 중합체여도 되고, 비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굴절률 향상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 향상제(예를 들어, 후술하는 첨가제(HRO))의 굴절률은, 베이스 폴리머의 굴절률과의 상대 관계로 적당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굴절률 향상제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55 초과, 1.56 초과 또는 1.57 초과이며, 또한 베이스 폴리머의 굴절률보다 높은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의 굴절률은, 1.58 이상인 것이 유리하고, 1.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6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5 이상이어도 되고, 1.70 이상이어도 되고, 1.75 이상이어도 된다. 보다 굴절률이 높은 굴절률 향상제에 의하면, 보다 소량의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에 의해서도 목적의 굴절률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의 저하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굴절률 향상제의 굴절률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이나, 고굴절률화와 점착제로서 적합한 유연성의 양립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3.000 이하이고, 2.500 이하여도 되고, 2.000 이하여도 되고, 1.950 이하여도 되고, 1.900 이하여도 되고, 1.850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예를 들어, 후술하는 첨가제(HRO))의 굴절률 nb와 베이스 폴리머의 굴절률 na의 차, 즉 nb-na(이하, 「ΔnA」라고도 함)는, 0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ΔnA는, 예를 들어 0.02 이상이며, 0.05 이상이어도 되고, 0.07 이상이어도 되고, 0.10 이상이어도 되고, 0.15 이상이어도 되고, 0.20 이상 또는 0.25 이상이어도 된다. ΔnA가 보다 커지도록 베이스 폴리머 및 굴절률 향상제를 선택함으로써,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에 의한 굴절률 향상 효과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이나, 점착제층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ΔnA는, 예를 들어 0.70 이하여도 되고, 0.60 이하여도 되고, 0.50 이하여도 되고, 0.40 이하 또는 0.35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예를 들어, 후술하는 첨가제(HRO))의 굴절률 nb와, 해당 굴절률 향상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굴절률 nT의 차, 즉 nb-nT(이하, 「ΔnB」라고도 함)는, 0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ΔnB는, 예를 들어 0.02 이상이며, 0.05 이상이어도 되고, 0.07 이상이어도 되고, 0.10 이상이어도 되고, 0.15 이상이어도 되고, 0.20 이상 또는 0.25 이상이어도 된다. ΔnB가 보다 커지도록 점착제층의 조성 및 굴절률 향상제를 선택함으로써,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에 의한 굴절률 향상 효과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이나, 점착제층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ΔnB는, 예를 들어 0.70 이하여도 되고, 0.60 이하여도 되고, 0.50 이하여도 되고, 0.40 이하 또는 0.35 이하여도 된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량(복수종의 굴절률 향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1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3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5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80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와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의 저하 억제를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6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을 중시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3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2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3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굴절률 향상제의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이거나, 또는 굴절률 향상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란, 적어도 의도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첨가제(HRO))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 향상제로서는, 베이스 폴리머보다도 고굴절률의 유기 재료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유기 재료를 「첨가제(HRO)」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상기 「HRO」는, 고굴절률(High Refractive index)의 유기 재료(Organic material)인 것을 나타낸다.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폴리머(A))와 첨가제(HRO)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굴절률과 점착 특성(박리 강도, 유연성 등) 및/또는 광학 특성(전광선 투과율, 헤이즈값 등)을 보다 적합하게 양립시키는 점착제를 실현할 수 있다. 첨가제(HRO)로서 사용되는 유기 재료는, 중합체여도 되고, 비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첨가제(HRO)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HRO)의 굴절률은, 모노머의 굴절률과 마찬가지로, 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메이커 등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공칭값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공칭값을 채용할 수 있다.
첨가제(HRO)로서 사용하는 유기 재료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첨가제(HRO)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30000 이하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HRO)는, 베이스 폴리머보다 저분자량의 중합체 또는 비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화의 효과와 다른 특성(예를 들어, 점착제에 적합한 유연성, 헤이즈 등의 광학 특성)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HRO)의 분자량은, 대략 10000 미만인 것이 적당하고, 5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 미만(예를 들어 100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 미만이어도 되고, 600 미만이어도 되고, 500 미만이어도 되고, 400 미만이어도 된다. 첨가제(HRO)의 분자량이 너무 크지 않은 것은,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 향상의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첨가제(HRO)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130 이상이어도 되고, 15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HRO)의 분자량은, 해당 첨가제(HRO)의 고굴절률화의 관점에서, 1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0 이상이어도 되고, 250 이상이어도 되고, 270 이상이어도 되고, 5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 이상이어도 되고, 200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 정도(예를 들어 1000 이상 5000 미만)인 중합체를, 첨가제(HRO)로서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HRO)의 분자량으로서는, 비중합체 또는 저중합도(예를 들어 2 내지 5량체 정도)의 중합체에 대해서는, 화학 구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분자량, 혹은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리 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법(MALDI-TOF-MS)을 사용한 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HRO)가 보다 중합도가 높은 중합체인 경우에는, 적절한 조건에서 행해지는 GPC에 기초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사용할 수 있다. 메이커 등으로부터 분자량의 공칭값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공칭값을 채용할 수 있다.
첨가제(HRO)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유기 재료의 예에는, 방향환을 갖는 유기 화합물, 복소환(방향환이어도 되고, 비방향족성의 복소환이어도 됨)을 갖는 유기 화합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첨가제(HRO)로서 사용되는 상기 방향환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하, 「방향환 함유 화합물」이라고도 함)이 갖는 방향환은, 모노머(m1)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이 갖는 방향환과 마찬가지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향환은, 환 구성 원자 상에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치환기를 갖는 경우, 해당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 히드록시알킬기, 히드록시알킬옥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에 있어서, 해당 치환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10이며, 유리하게는 1 내지 6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며, 예를 들어 1 또는 2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환은, 환 구성 원자 상에 치환기를 갖지 않거나, 알킬기, 알콕시기 및 할로겐 원자(예를 들어 브롬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방향환일 수 있다.
첨가제(HRO)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방향환 함유 화합물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머;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부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기(환 구성 원자에 결합한 치환기일 수 있음) 또는 해당 기 중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기(예를 들어, 수산기, 아미노기,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킬기, 히드록시알킬옥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등)로 치환한 구조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첨가제(HRO)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방향환 함유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구체예에는, 벤질아크릴레이트, m-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o-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상술한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등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 3-페녹시벤질알코올, 디나프토티오펜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디나프토티오펜환에, 히드록시기, 메탄올기, 디에탄올기, 글리시딜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치환기가, 1 또는 2 이상 결합한 구조의 화합물)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방향환 함유 화합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방향환 함유 화합물은, 이와 같은 방향환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머(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대략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0 이하의 올리고머. 예를 들어 2 내지 5량체 정도의 저중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공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HRO)로서는, 높은 고굴절률화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1분자 중에 2 이상의 방향환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하,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이라고도 함)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은, 에틸렌성 불포화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은, 중합체여도 되고, 비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중합체는,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머(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대략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0 이하의 올리고머. 예를 들어 2 내지 5량체 정도의 저중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의 공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모노머는, 방향환 복수 함유 모노머에 해당되지 않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여도 되고, 방향환을 갖지 않는 모노머여도 되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링킹기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 2 이상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즉, 다른 원자를 통하지 않고) 화학 결합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축합 방향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화합물,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나, 이러한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외에,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굴절률: 1.68),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굴절률: 1.73),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굴절률: 1.68),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굴절률: 1.65) 등의, 9,9-비스페닐플루오렌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나, 이러한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외에, 디나프토티오펜(굴절률: 1.808); 6-히드록시메틸디나프토티오펜(굴절률: 1.766) 등의 히드록시알킬디나프토티오펜; 2,12-디히드록시디나프토티오펜(굴절률: 1.750) 등의 디히드록시디나프토티오펜; 2,12-디히드록시에틸옥시디나프토티오펜(굴절률: 1.677) 등의 디히드록시알킬옥시디나프토티오펜; 2,12-디글리시딜옥시디나프토티오펜(굴절률 1.723) 등의 디글리시딜옥시디나프토티오펜; 2,12-디알릴옥시디나프토티오펜(약호: 2,12-DAODNT, 굴절률 1.729)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이상 갖는 디나프토티오펜; 등의, 디나프토티오펜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나, 이러한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외에, 디벤조티오펜(굴절률: 1.607), 4-디메틸디벤조티오펜(굴절률: 1.617), 4,6-디메틸디벤조티오펜(굴절률: 1.617)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HRO)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복소환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하, 복소환 함유 유기 화합물이라고도 함)의 예로서는, 티오에폭시 화합물, 트리아진환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에폭시 화합물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제3712653호 공보에 기재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술피드 및 그 중합물(굴절률 1.74)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환을 갖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1분자 내에 트리아진환을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3 내지 4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아진환은 방향족성을 갖기 때문에, 트리아진환을 갖는 화합물은 상기 방향환 함유 화합물의 개념에도 포함되고, 또한, 트리아진환을 복수 갖는 화합물은 상기 방향환 복수 함유 화합물의 개념에도 포함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HRO)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이나 광에 의한 점착제 조성물의 변질(겔화의 진행이나 점도 상승에 의한 레벨링성의 저하)을 억제하여,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첨가제(HRO)를 채용하는 것은, 해당 첨가제(HRO)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나, 해당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체 등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반응에 기인하는 치수 변화나 변형(휨, 물결침 등), 광학 왜곡의 발생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첨가제(HRO)로서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해당 올리고머는, 대응하는 모노머 성분을 공지의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를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노머 성분에,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중합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이들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올리고머의 합성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이나 연쇄 이동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의 올리고머가 얻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올리고머의 합성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전량 100중량부에 대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대략 1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중량부 정도 이하여도 된다. 올리고머의 합성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전량 100중량부에 대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0.0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굴절률 향상제로서 첨가제(HRO)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제(HRO)의 사용량(복수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제(HRO)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1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3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5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제(HRO)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80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와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의 저하 억제를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6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을 중시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제(HRO)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3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2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가소화 재료)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A))에 더하여, 해당 베이스 폴리머보다 저분자량의 가소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소화 재료의 사용에 의해, 점착제층 V1의 유연성을 높여,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나, 층간 시트 전체로서의 유연성이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소화 재료로서는,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 재료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소화 재료는, 상술한 굴절률 향상제(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HRO))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재료여도 된다.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은, 베이스 폴리머보다 낮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은, 가소화 효과를 발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30000 이하여도 되고, 25000 이하여도 되고, 10000 미만이어도 되고, 5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 미만(예를 들어 100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 미만이어도 되고, 600 미만이어도 되고, 500 미만이어도 되고, 400 미만이어도 된다.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이 너무 크지 않은 것은,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은, 충분한 가소화 효과를 발휘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130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이상이어도 되고, 200 이상이어도 되고, 250 이상이어도 되고, 30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은, 5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 이상이어도 되고, 2000 이상이어도 된다. 가소화 재료의 분자량이 너무 낮지 않은 것은, 층간 시트의 내열 성능이나 피착체의 오염 억제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가소화 재료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예에는,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예를 들어, 벤질기, 페녹시기, 나프틸기 등의 방향환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디벤조티오펜 구조를 갖는 모노머 등);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머;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부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부분을 제외하고, 수소 원자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기로 치환한 구조의 화합물(예를 들어, 3-페녹시벤질알코올); 등이 포함된다. 모노머(m1)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머에는,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n-부틸아크릴레이트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저Tg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가소화 재료로서, 공지의 가소제(예를 들어, 프탈산에스테르계, 테레프탈산에스테르계, 아디프산에스테르계,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벤조산글리콜에스테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가소화 재료로서는, 굴절률이 대략 1.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53 이상)인 유기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소화 재료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화합물의 구체예에는,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굴절률 1.55),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굴절률 1.54), 3-페녹시톨루엔(굴절률 1.57), 3-에틸비페닐(굴절률 1.59), 3-메톡시비페닐(굴절률 1.61), 4-메톡시비페닐(굴절률 1.57), 폴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3-페녹시벤질알코올(굴절률 1.59), 트리페닐포스페이트(굴절률 1.56), 벤조산벤질(굴절률 1.57), 4-(tert-부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굴절률 1.56), 트리메틸페닐포스페이트(굴절률 1.55), 부틸벤질프탈레이트(굴절률 1.54), 로진메틸에스테르(굴절률 1.53), 알킬벤질프탈레이트(굴절률 1.53), 부틸(페닐술포닐)아민(굴절률 1.53), 트리메틸트리멜리테이트(굴절률 1.52), 벤질프탈레이트(굴절률 1.52),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굴절률 1.51), 아인산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굴절률 및 상용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소화 재료의 굴절률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3.00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이나, 점착제 내에 있어서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가소화 재료의 굴절률은, 2.50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2.00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1.90 이하여도 되고, 1.80 이하여도 되고, 1.70 이하여도 된다.
또한, 가소화 재료의 굴절률은, 모노머의 굴절률과 마찬가지로, 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메이커 등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공칭값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공칭값을 채용할 수 있다.
가소화 재료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화 재료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가소화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화 재료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보다 높은 가소화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1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7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제의 고굴절률화와 투명성 및 가소화 효과를 밸런스 좋게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화 재료의 사용량은, 대략 10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8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3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25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보다 점착 특성이나 광학 특성을 중시하는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화 재료의 사용량은, 1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레벨링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점탄성층 V1 및/또는 점탄성층 V2일 수 있음)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해당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외관 향상(예를 들어, 두께의 균일성의 향상)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레벨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레벨링제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아크릴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레벨링제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상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로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골격을 갖는 모노머(이하, 「모노머 S1」이라고도 함)와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원료(이하, 「모노머 원료 B」라고도 함)의 중합물인 폴리머(이하, 「폴리머(B)」라고도 함)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B)는, 모노머 S1과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라고 할 수 있다. 폴리머(B)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S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골격을 함유하는 임의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S1로서는, 편말단에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구조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편말단에 중합성 반응기를 갖고, 또한, 다른 말단에 베이스 폴리머(해당 레벨링제가 배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 반응을 발생시키는 관능기를 갖지 않는 구조의 모노머 S1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에츠 가가쿠 고교사제의 편말단 반응성 실리콘 오일(예를 들어, X-22-174ASX, X-22-2426, X-22-2475, KF-2012 등의 품번)을 들 수 있다. 모노머 S1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은, 예를 들어 100g/mol 내지 30000g/mol 정도일 수 있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관능기 당량은, 예를 들어 500g/mol 이상이며, 800g/mol 이상이어도 되고, 1500g/mol 이상이어도 되고, 2000g/mol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관능기 당량은, 예를 들어 20000g/mol 이하여도 되고, 10000g/mol 미만이어도 되고, 7000g/mol 이하여도 되고, 5500g/mol 이하여도 된다.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양호한 레벨링 효과가 발휘되기 쉽다.
또한, 모노머 S1로서 관능기 당량이 다른 2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이란, 각 종류의 모노머의 관능기 당량과 해당 모노머의 중량 분율의 곱의 총합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능기 당량」이란, 관능기 1개당에 결합되어 있는 주골격(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을 의미한다. 표기 단위 g/mol에 관해서는, 관능기 1mol로 환산하고 있다.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은, 예를 들어 핵자기 공명(NMR)에 기초하는 1H-NMR(프로톤 NMR)의 스펙트럼 강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1H-NMR의 스펙트럼 강도에 기초하는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g/mol)의 산출은, 1H-NMR 스펙트럼 해석에 관한 일반적인 구조 해석 방법에 기초하여, 필요하면 일본 특허 제5951153호 공보의 기재를 참조하여 행할 수 있다. 모노머 S1의 관능기 당량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란, 중합성 관능기(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의미한다.
모노머 원료 B에 있어서의 모노머 S1의 함유량은, 해당 모노머 S1을 사용하여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에서 적절한 값을 채용할 수 있고,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원료 B에 있어서의 모노머 S1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 내지 60중량%여도 되고, 10 내지 50중량%여도 되고, 15 내지 40중량%여도 된다.
모노머 원료 B는, 모노머 S1에 더하여, 모노머 S1과 공중합 가능한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 내에 있어서의 폴리머(B)의 상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모노머 원료 B에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알킬」은, 쇄상(직쇄상, 분지쇄상을 포함함)의 알킬(기)을 말하고, 후술하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원료 B는, (메트)아크릴산 C4-12 알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4-10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C6-10 알킬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원료 B는, 메타크릴산 C1-18 알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C1-14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C1-10 알킬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할 수 있다. 모노머 원료 B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MMA), 메타크릴산n-부틸(BMA) 및 메타크릴산2-에틸헥실(2EHMA)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다른 예로서,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모노머 원료 B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여도 되고, 2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여도 되고, 3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4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여도 되고, 50중량% 이상 85중량% 이하여도 된다.
모노머 S1과 함께 모노머 원료 B에 포함될 수 있는 모노머의 다른 예로서, 아크릴계 폴리머에 사용될 수 있는 모노머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 (메트)아크릴산아미노알킬류,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올레핀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할로겐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B)의 Mw는, 예를 들어 5,0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폴리머(B)의 Mw는, 예를 들어 200,000 이하여도 되고,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이하여도 되고, 30,000 이하여도 된다. 폴리머(B)의 Mw를 적당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적합한 상용성 및 레벨링성이 발휘될 수 있다.
폴리머(B)는, 예를 들어 상술한 모노머를, 용액 중합법, 에멀션 중합법, 벌크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광 중합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폴리머(B)의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연쇄 이동제의 예로서는, t-도데실머캅탄, 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등의 머캅토기를 갖는 화합물;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등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류;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원하는 분자량을 갖는 폴리머(B)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1 내지 5중량부여도 되고, 0.2 내지 3중량부여도 되고, 0.5 내지 2중량부여도 된다.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폴리머(B)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001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보다 높은 사용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01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되고, 0.03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머(B)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3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굴절률에 대한 영향을 경감하는 관점에서 1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1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무기 입자)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굴절률 향상제로서의 무기 입자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단,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적용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굴절률 향상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다. 굴절률 향상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입자의 예로서는, 티타니아(산화티타늄, TiO2), 지르코니아(산화지르코늄, ZrO2),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구리, 티타늄산바륨, 산화니오븀(Nb2O5 등) 등의 무기 산화물(구체적으로는 금속 산화물)에 의해 구성된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레이저 산란·회절법에 기초하는 50% 체적 평균 입자경을 말함)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의 굴절률은, 당해 무기 입자를 구성하는 재료의 단층막(굴절률 측정이 가능한 막 두께로 함)에 대해, 시판되고 있는 분광 엘립소미터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3℃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분광 엘립소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제품명 「EC-400」(JA. Woolam사제) 또는 그 상당품이 사용된다. 굴절률 향상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HRO)를 사용하는 양태에서는, 상기 무기 입자의 사용량은, 중량 기준으로, 상기 첨가제(HRO)의 사용량의 2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배 이하 또는 0.5배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점탄성층 V1 및/또는 점탄성층 V2일 수 있음)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의 조정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멜라민계 수지,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의,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다른 예로서, 1분자 내에 2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즉 다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2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류;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알로파네이트 결합, 뷰렛 결합,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우레트디온 결합, 우레아 결합, 카르보디이미드 결합, 우레톤이민 결합, 옥사디아진트리온 결합 등에 의해 변성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의 예로서는, 상품명 타케네이트 300S, 타케네이트 500, 타케네이트 600, 타케네이트 D165N, 타케네이트 D178N(이상, 다케다 야쿠힌 고교사제), 스미두르 T80, 스미두르 L, 데스모두르 N3400(이상,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사제), 밀리오네이트 MR, 밀리오네이트 MT, 코로네이트 L, 코로네이트 HL, 코로네이트 HX(이상, 도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비스페녹시에탄올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틸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다관능성 모노머일 수 있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점착제의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이고, 1.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5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2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또한, 가교제의 사용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0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8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가교 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가교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가교 촉매의 예로서는, 테트라-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나셈제2철, 부틸주석옥시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금속계 가교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 가교 촉매가 바람직하다. 가교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교 촉매의 사용량은, 가교 반응 속도의 빠르기와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의 길이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대략 0.0001중량부 이상 1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고, 0.001중량부 이상 0.5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 지연제로서, 케토-엔올 호변 이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하는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케토-엔올 호변 이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케토-엔올 호변 이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는, 각종 β-디카르보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β-디케톤류(아세틸아세톤, 2,4-헥산디온 등)나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류(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등)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케토-엔올 호변 이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케토-엔올 호변 이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0.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로 해도 되고, 1중량부 이상 5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
(점착 부여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점탄성층 V1 및/또는 점탄성층 V2일 수 있음)에는, 점착 부여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폴리아미드계 점착 부여 수지, 에폭시계 점착 부여 수지, 엘라스토머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점착 성능이 발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굴절률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은,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 부여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점탄성층 V1 및/또는 점탄성층 V2일 수 있음)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소제, 연화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방부제 등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각종 첨가제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상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리 강도)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해당 층간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박리 강도는, 대략 1.0N/25㎜ 이상(예를 들어 1.5N/25㎜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N/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N/25㎜ 이상이며, 4N/25㎜ 이상이어도 되고, 6N/25㎜ 이상이어도 되고, 8N/25㎜ 이상이어도 되고, 10N/25㎜ 이상이어도 되고, 12N/25㎜ 이상이어도 된다.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30N/25㎜ 이하, 25N/25㎜ 이하 또는 20N/2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 강도는, 피착체로서의 알칼리 유리판에 압착하여 23℃, 50%RH의 환경에서 30분간 방치하고, 다음에 가압 탈포 장치(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온도 50℃, 압력 0.5㎫의 조건에서 30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하고, 또한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박리 각도 180도,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에서 180° 박리 점착력을 측정함으로써 파악된다. 측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측정 대상의 층간 시트에 적절한 배접재(예를 들어, 두께 25㎛ 정도 내지 50㎛ 정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를 첩부하여 보강할 수 있다. 박리 강도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술한 박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점착면에 적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의 양쪽에 적용된다. 제1 점착면의 유리판에 대한 박리 강도와, 제2 점착면의 유리에 대한 박리 강도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탄성층 V2>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해당 층간 시트는, 상술한 점탄성층 V1에 더하여, 해당 점탄성층 V1에 적층된 점탄성층(점착제층) V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탄성층 V2는,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2가, 상기 점탄성층 V1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G'V2(25)<G'V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층간 시트는, 점탄성층 V2의 기여에 의해, 보다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저장 탄성률 G'V2(25)를 저장 탄성률 G'V1(25)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층간 시트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에 의한 고굴절률과, 점탄성층 V2에 의한 유연성을 바람직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점탄성층 V1에 점탄성층 V2를 적층함으로써, 밀착성이나 유연성이 부여됨으로써 단차 추종성이나 곡면 등에 대한 추종성이 개선되어, 다양한 디바이스 디자인의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한 층간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저장 탄성률 G'V2(25)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500㎪의 범위일 수 있다. 점탄성층 V2에 의한 유연성 부여나 변형에 대한 추종성 향상의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2(25)는, 400㎪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예를 들어 180㎪ 이하, 또는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여도 되고, 90㎪ 이하여도 되고, 7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점탄성층 V2에 적당한 응집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2(25)는, 5.0㎪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25㎪ 이상이어도 되고, 35㎪ 이상이어도 되고, 60㎪ 이상이어도 되고, 80㎪ 이상이어도 된다. 보다 높은 응집력이나 점착 특성을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 G'V2(25)는, 95㎪ 이상이어도 되고, 110㎪ 이상이어도 되고, 14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점탄성층(점착제층) V2의 굴절률 n2는,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의 굴절률 n1보다 낮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층간 시트에 의하면, 점탄성층 V1, V2의 굴절률차를 이용하여, 해당 층간 시트를 투과하는 광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2의 굴절률 n2는, 점착제층 V1의 굴절률 n1보다도 낮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35 내지 1.55 정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굴절률 n1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하여 후술하는 정면 휘도 향상 효과를 높이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점탄성층 V2의 굴절률 n2는, 예를 들어 1.4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7 이하(예를 들어 1.46 이하 또는 1.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3 이하여도 되고, 1.41 이하여도 되고, 1.4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재료의 입수 용이성이나 점착 특성과의 양립 용이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굴절률 n2는, 예를 들어 1.36 이상이어도 되고, 1.38 이상이어도 되고, 1.40 이상이어도 되고, 1.42 이상이어도 된다.
점탄성층 V2를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점탄성층 V2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이들의 혼합물 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테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불소계 폴리머 등의 각종 고무상 폴리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점착 성능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탄성층 V1이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양태에서는, 점탄성층 V1과 점탄성층 V2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점탄성층 V2가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해당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성을 갖는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물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 모노머로서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를 부 모노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는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이어도 된다. 여기서 주 모노머란, 상기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모노머 조성의 50중량% 초과를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상기 모노머 조성의 55중량% 초과 또는 60중량% 초과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여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H2=C(R1)COOR2 (1)
여기서, 상기 식 (1)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R2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이하, 이와 같은 탄소 원자수의 범위를 「C1-20」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이다.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등의 관점에서, R2가 C1-12(예를 들어 C2-10, 전형적으로는 C4- 8)의 쇄상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R2가 C1-20의 쇄상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점을 도입하거나, 아크릴계 폴리머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다른 예로서,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점탄성층 V1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사용될 수 있는 모노머로서 상술한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응집력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및/또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적합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적합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나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2의 굴절률 n2를 낮게 하기 위해,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불소 함유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보다 굴절률의 점탄성층 V2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불소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4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100중량%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불소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99.9중량%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9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9중량% 이하여도 되고, 97중량% 이하여도 되고, 92중량% 이하여도 된다. 불소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 함유 모노머로서는,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갖고 있는 아크릴계 모노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적합예로서, 에스테르 말단에 불소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불소화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불소화 지환식 탄화수소기, 불소화 방향족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탄화수소기로서는,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적합하다.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불소화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있어서, 지방족 탄화수소 부위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지쇄상이어도 된다. 또한,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있어서, 불소 원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부위의 어느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1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불소 원자는, 단수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불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그 중에서도, 불소화 알킬기)에 있어서, 탄화수소기 부위의 탄소 원자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탄소 원자수가 예를 들어 1 내지 18(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정도인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불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등의 불화 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기, 1,2,2,2-테트라플루오로에틸기, 1,1,2-트리플루오로에틸기, 1,2,2-트리플루오로에틸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기, 1,1-디플루오로에틸기, 1,2-디플루오로에틸기, 2,2-디플루오로에틸기, 1-모노플루오로에틸기, 2-모노플루오로에틸기 등의 불화 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가 3 이상인 불소화 알킬기로서는, 상기 예시의 불소화 메틸기나 불소화 에틸기와 마찬가지로, 알킬기 부위의 탄소 원자 중 어느 1개 이상의 탄소 원자에 단수 또는 복수의 불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다양한 불소화 알킬기를 예시할 수 있다.
불소화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불소화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마찬가지로, 불소화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있어서, 불소 원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의 어느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불소 원자는 단수 및 복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불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불소화 지환식 탄화수소기에는, 예를 들어 2-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3-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4-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등의 불소 원자를 1개 갖는 시클로헥실기; 2,4-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2,6-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등의 불소 원자를 2개 갖는 시클로헥실기; 2,4,6-트리플루오로시클로헥실기 등의 불소 원자를 3개 갖는 시클로헥실기 등이 포함된다.
불소화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되고,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치환기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알킬기 등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불소화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예를 들어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불소화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불소화 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특히, 불소화 알킬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하다.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3F」 등),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4F」 등),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8F」 등),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8FM」 등), 2-(헵타데카플루오로노닐)에틸아크릴레이트(교에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FA-108」 등), 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비스코트 13F」 등)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의 불소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저굴절률화 효과나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 3 이상인 것이 유리하고,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 또는 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점착 성능 등의 관점에서, 18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여도 되고, 9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7 이하여도 되고, 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알킬기의 1위치의 탄소에 불소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이, 알킬기의 1위치의 탄소 및 2위치의 탄소 중 어느 것에도 불소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점탄성층 V2가 아크릴계 점착제층이며, 해당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인 아크릴계 폴리머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예를 들어,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어도 포함하고, 해당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성을 갖는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를 더 포함해도 되는 모노머 원료의 중합물일 수 있다. 이 모노머 원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해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보다 저굴절률의 점탄성층 V2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4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100중량%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99.9중량%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9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9중량% 이하여도 되고, 97중량% 이하여도 되고, 92중량% 이하여도 된다.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탄성층 V2의 베이스 폴리머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머 원료는,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예를 들어,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더하여,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모노머(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등의 N-비닐 환상 아미드),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다른 예로서,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점탄성층 V1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사용될 수 있는 모노머로서 상술한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응집력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및/또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베이스 폴리머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머 원료는, 불소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고,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일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응집력의 향상이나 가교점의 도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적합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나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을 들 수 있다. 실온역에 있어서의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0.01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상기 모노머 원료의 0.7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9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5중량% 이하 또는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저굴절률화의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중량% 미만인 것이 적당하고, 5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2.5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1.5중량% 미만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베이스 폴리머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머 원료는, 점탄성층 V2의 착색 또는 변색(예를 들어 황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중량% 미만이어도 되고, 0.5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중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미만(예를 들어 0.05중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은, 점탄성층 V2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피착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금속 배선이나 금속막 등)의 부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모노머 원료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2의 베이스 폴리머를 조제하기 위한 모노머 원료는, 산성 관능기(카르복시기 외에, 술폰산기, 인산기 등을 포함함)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의 모노머 원료에 있어서의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으로서는, 상술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바람직한 함유량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상기 모노머 원료가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양태(즉 점탄성층 V2의 베이스 폴리머가 산 프리인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점착제층 V2의 베이스 폴리머는, 점착제층 V1의 베이스 폴리머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중합 방식을 적절히 채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대략 10×104 내지 500×104의 범위여도 되고, 대략 20×104 내지 200×104의 범위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1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 V2의 베이스 폴리머의 Mw는, 150×104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120×104 이하(예를 들어 95×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104 이하여도 되고, 68×104 이하여도 되고, 60×104 이하여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V2의 응집성 등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의 Mw는, 예를 들어 30×104 이상이어도 되고, 40×104 이상이어도 되고, 50×104 이상이어도 된다. Mw를 조제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 V2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의 Tg는, 대략 0℃ 이하인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5℃ 이하(예를 들어 대략 -15℃ 이하, 혹은 -25℃ 이하)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응집력의 관점에서, 점착제층 V2의 베이스 폴리머의 Tg는, 대략 -7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70℃ 이상(예를 들어 -50℃ 이상, 나아가 -30℃ 이상)이다. 베이스 폴리머의 Tg는, 모노머 조성(즉, 해당 폴리머의 합성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나 사용량비)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 V2에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V2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 부여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나 점착 부여제는, 점착제층 V1에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V2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를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량은, 점착제층 V1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0.5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3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2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15중량부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가교제의 사용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0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8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제작>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에 있어서, 점탄성층 V1, V2의 각각을 구성하는 점탄성 재료는, 각각, 용제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분산형, 핫 멜트형 등의 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가교, 중합, 냉각 등에 의해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수단(예를 들어 건조, 가교, 중합, 냉각 등)은, 1종만을 적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동시에, 또는 다단계에 걸쳐 적용해도 된다.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해당 조성물을 건조(바람직하게는, 또한 가교)시켜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합 반응 및/또는 가교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점착제가 형성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에서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건조 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면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점탄성층 V1, V2는, 점착제 조성물을 적당한 표면에 부여(예를 들어 도포)한 후, 해당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에 있어서, 점탄성층 V1, V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후경화성을 갖는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후경화성을 갖지 않는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여기서, 후경화성을 갖는 점착제층이란, 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예를 들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더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점착제층을 말한다. 후경화성을 갖는 점착제층의 예로서, 베이스 폴리머의 측쇄에 미반응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점착제층이나, 미반응의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후경화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경화성을 갖지 않는 점착제층은, 후경화 반응에 수반되는 치수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기(즉, 치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점착 시트 또는 해당 점착 시트가 첩부된 피착체의 휨을 억제하기 쉽다. 후경화에 의한 치수 변화(예를 들어 경화 수축)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점착제층의 광학 왜곡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
점탄성층 V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3㎛ 이상으로 할 수 있고,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5㎛ 이상의 점탄성층 V1에 의하면, 양호한 점착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이러한 두께의 점탄성층 V1은, 피착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요철을 흡수하여 해당 피착체에 밀착성 좋게 접합시키기 쉽다. 점탄성층 V1의 두께가 5㎛ 이상인 것은, 광 간섭에 의한 착색이나 색 불균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두께는, 10㎛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고, 30㎛ 이상이어도 되고, 50㎛ 이상이어도 되고, 70㎛ 이상 또는 8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0㎛ 이하여도 되고, 250㎛ 이하여도 되고, 200㎛ 이하여도 되고, 150㎛ 이하여도 되고, 120㎛ 이하여도 된다. 점탄성층 V1의 두께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은, 층간 시트의 박형화 등의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점탄성층 V1의 두께가 3㎛ 내지 200㎛(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범위가 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점탄성층 V1 및 점탄성층 V2를 갖는 층간 시트의 경우, 점탄성층 V2의 두께는, 상기에서 예시한 점탄성층 V1의 두께와 마찬가지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점탄성층 V1의 두께와 점탄성층 V2의 두께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의 층간 시트에서는, 해당 점착제층의 두께가 층간 시트의 두께가 된다.
점착제층 V1과 점착제층 V2가 적층된 구성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박리성 표면(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박리면) 상에 점착제층 V1, V2를 각각 형성하여, 그것들의 점착면끼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나, 점착제층 V2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층 V1 상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반대로 점착제층 V1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층 V2 상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리 형성한 점착제층 V1, V2의 점착면끼리를 접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양쪽 점착제층의 밀착을 촉진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처리, 롤 프레스 처리 등을 행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 기재>
몇 가지의 형태에 관한 층간 시트(점착 시트)는, 지지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기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지지 기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점착 시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기재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폴리프로필렌(PP)이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PE) 폼, 폴리클로로프렌 폼 등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시트; 각종 섬유상 물질(마, 면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일 수 있음)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 및 부직포; 화지(和紙), 상질지, 크라프트지, 크레이프지 등의 종이류; 알루미늄박, 구리박 등의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복합한 구성의 기재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복합 기재의 예로서, 예를 들어 금속박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기재, 유리 클로스 등의 무기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각종 필름 기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재는, 발포체 필름이나 부직포 시트 등과 같이 다공질의 기재여도 되고, 비다공질의 기재여도 되고, 다공질의 층과 비다공질의 층이 적층된 구조의 기재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재로서는, 독립적으로 형상 유지 가능한(자립형의, 혹은 비의존성의) 수지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필름」이란, 비다공질의 구조이며, 전형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보이드리스의) 수지 필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수지 필름은, 발포체 필름이나 부직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서는, 독립적으로 형상 유지 가능한(자립형의, 혹은 비의존성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예를 들어, 3층 구조)여도 된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PA)계 수지, 폴리이미드(PI)계 수지, 투명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술폰(PES),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PPS)계 수지, 폴리우레탄(PU),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나 불소화 폴리이미드 등의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이와 같은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블렌드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무연신이어도 되고, 연신(예를 들어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PET 필름, PBT 필름, PEN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PP/PE 블렌드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강도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수지 필름의 예로서, PET 필름, PEN 필름, PPS 필름 및 PEEK 필름을 들 수 있다. 입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PET 필름 및 PPS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염료, 안료 등), 충전재,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점착 시트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T 다이캐스트 성형, 캘린더 롤 성형 등의,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수지 필름 성형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이와 같은 베이스 필름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혹은, 상기 기재는, 상기 베이스 필름 외에, 보조적인 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보조적인 층의 예로서는, 광학 특성 조정층(예를 들어 착색층, 반사 방지층), 기재에 원하는 외관을 부여하기 위한 인쇄층이나 라미네이트층, 대전 방지층, 하도층, 박리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지지 기재로서는,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이하, 광투과성 기재라고도 함)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투과성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50% 초과여도 되고, 7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지지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95% 이상(예를 들어 95 내지 100%)이어도 된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시판되고 있는 투과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투과율계로서는,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의 상품명 「HAZEMETER HM-150」 또는 그 상당품이 사용된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적합예로서,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층간 시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0㎛ 이하여도 되고, 층간 시트의 취급성이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여도 되고, 100㎛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되고, 25㎛ 이하여도 되고, 10㎛ 이하여도 된다. 기재의 두께가 작아지면, 피착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취급성이나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25㎛ 이상이어도 된다.
기재 중 점착제층(점탄성층)이 적층되는 측의 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프라이머)의 도포에 의한 하도층의 형성 등의, 종래 공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점착제층의 기재에 대한 투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하도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프라이머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하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 정도가 적당하고, 0.1㎛ 내지 1㎛ 정도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에 실시될 수 있는 다른 처리로서, 대전 방지층 형성 처리, 착색층 형성 처리, 인쇄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처리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기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형태인 경우, 해당 층간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0㎛ 이하여도 되고, 350㎛ 이하여도 되고, 200㎛ 이하여도 되고, 120㎛ 이하여도 되고, 75㎛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층간 시트의 두께는,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이상이어도 되고, 25㎛ 이상이어도 되고, 80㎛ 이상이어도 되고, 13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층간 시트의 두께란, 피착체에 첩부되는 부분의 두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층간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의 제1 표면(점착면)(10A)으로부터 지지 기재의 제2 면(20B)까지의 두께를 가리키고, 박리 라이너(30)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을 박리 라이너의 박리면에 맞닿게 한 점착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의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것의 층간 시트와, 해당 층간 시트의 점착면에 맞닿는 박리면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점착 제품)가 제공된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이나 종이(폴리에틸렌 등의 수지가 라미네이트된 종이일 수 있음) 등의 박리 라이너 기재 상에 박리 처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나, 불소계 폴리머(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나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와 같은 저접착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은, 박리 라이너 기재를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황화몰리브덴(IV) 등의 공지의 박리 처리제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층의 두께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에 있어서 적절한 박리성이 발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면의 평활성 등의 관점에서, 박리 라이너 기재로서의 수지 필름(이하, 박리 필름 기재라고도 함) 상에 박리 처리층을 갖는 구성의 박리 라이너(이하, 박리 필름이라고도 함)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박리 필름 기재로서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이란, 전형적으로는 비다공질의 시트이며, 예를 들어 부직포와는 구별되는(즉, 부직포를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박리 필름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박리 필름 기재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예를 들어 PET 필름)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박리 필름 기재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무연신 필름,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2층 이상의 서브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는,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활제, 충전제, 대전 방지제, 핵제 등의, 점착 시트의 박리 필름 기재에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 각 첨가제는, 모든 서브층에 배합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의 서브층에만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박리 필름 기재(전형적으로는 플라스틱 필름)로서, 그 박리면측의 층에 있어서 무기 입자 등의 입자(예를 들어 안료나 활제, 충전제 등일 수 있음)의 함유량이 제한되어 있거나, 혹은 그와 같은 입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당해 층 중의 입자(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양이 1중량% 미만인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예를 들어 0 내지 0.01중량%)인 것을 말한다. 그와 같은 박리 필름 기재를 구비하는 박리 필름은, 박리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나 최대 높이 Rz가 낮은 것이 되기 쉽다. 상기 박리 필름 기재(전형적으로는 플라스틱 필름)가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박리면측의 층 중의 입자 함유량은, 당해 박리면측 층 이외의 층 중의 입자 함유량의 1/10 이하(예를 들어 1/50 이하)일 수 있다.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 상에 각각 박리 라이너를 갖는 형태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에 있어서, 한쪽의 점착면 상에 배치되는 박리 라이너(이하, 한쪽의 박리 라이너라고도 함)와, 다른 쪽의 점착면 상에 배치되는 박리 라이너(이하, 다른 쪽의 박리 라이너라고도 함)는, 동종의 재료 및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재료,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500㎛ 정도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강도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20㎛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이어도 되고, 40㎛ 이상이어도 되고, 4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취급성(예를 들어, 권회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여도 되고, 150㎛ 이하여도 되고, 130㎛ 이하여도 된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대략 125㎛ 이하이고, 대략 115㎛ 이하여도 되고, 대략 105㎛ 이하여도 되고, 대략 90㎛ 이하여도 되고, 대략 70㎛ 이하여도 된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를 소정값 이하로 함으로써, 롤상으로 하였을 때의 권취 자국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점착 시트로부터의 제거가 원활해져, 박리 라이너 제거 후의 점착면에 있어서 높은 표면 평활성이 얻어지기 쉽다.
한쪽의 박리 라이너 및 다른 쪽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양태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에 있어서, 그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박리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한쪽의 박리 라이너와 다른 쪽의 박리 라이너가 다른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보다 두꺼운 쪽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가, 보다 얇은 쪽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의 대략 1.1배 이상(예를 들어 대략 1.25배 이상.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면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는, 점착면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가 소정값 이하(예를 들어 대략 100㎚ 이하, 나아가 50㎚ 미만)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높은 표면 평활성을 갖는 점착면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예를 들어 대략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20㎚ 이하여도 되고, 대략 18㎚ 이하여도 된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제조 용이성이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산술 평균 조도 Ra는, 예를 들어 대략 5㎚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5㎚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 상에 각각 박리 라이너가 배치된 형태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에서는, 양쪽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이 모두 상술한 어느 것의 산술 평균 조도 Ra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점착면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는, 점착면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가 700㎚ 이하인 것이, 높은 표면 평활성을 갖는 점착면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600㎚ 이하이고, 대략 500㎚ 이하여도 되고, 대략 400㎚ 이하여도 되고, 대략 3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제조 용이성이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최대 높이 Rz는, 예를 들어 대략 5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8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200㎚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300㎚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점착면 및 제2 점착면 상에 각각 박리 라이너가 배치된 형태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에서는, 양쪽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이 모두 상술한 어느 것의 최대 높이 Rz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박리 라이너의 점착면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는,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배면의 표면 성상)
박리 라이너(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의 배면(점착제층측의 반대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나 최대 높이 Rz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박리 라이너의 배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30㎚ 초과(예를 들어 35㎚ 초과, 나아가 대략 50㎚ 이상)여도 된다. 박리 라이너의 배면의 최대 높이 Rz는,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400㎚ 초과(예를 들어 대략 500㎚ 이상)여도 되고, 800㎚ 초과(예를 들어 1000㎚ 이상)여도 된다.
박리 필름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Rz는, 필름 재료의 선택이나 성형 방법, 박리 처리 등의 표면 처리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성 표면을 구성하는 층(안티 블로킹층, 하드 코트층, 올리고머 방지층 등)의 평활성의 조절, 당해 표면층이나 박리 필름 기재 중의 필러 입자의 감량이나 불사용(무입자화), 그 밖에, 연신 조건의 조정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Rz는, 비접촉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비접촉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로서는, 광간섭 방식의 표면 조도 측정 장치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3차원 광학 프로파일러(상품명 「NewView7300」, ZYGO사제)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측정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유리판(MATSUNAMI사제의 소다석회 유리판, 두께 1.3㎜)을 점착제로 접합하여 고정하고, 23℃, 50%RH의 환경 하에 있어서, 3차원 광학 프로파일러(상품명 「NewView7300」, ZYGO사제)를 사용하여 표면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용도>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각종 피착체에 접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 구성 재료(피착체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 은, 금, 철, 주석, 팔라듐,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크롬, 인듐, 아연 등,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금속 재료나,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ET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소위 아라미드 수지 등),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액정 폴리머, 그래핀 등의 카본 재료 등의 각종 수지 재료(전형적으로는 플라스틱재),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SiO2, ITO(산화인듐주석), ATO(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 및 그의 혼합물,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티타늄, 질화갈륨, 질화인듐 등의 질화물 및 그의 복합물, 알칼리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사파이어 유리 등의 무기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적어도 표면이 상기 재료로 구성된 부재(예를 들어 광학 부재)에 첩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피착체에 접합한 후, 실온 정도의 온도역(예를 들어 20℃ 내지 35℃)보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첩부 양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층간 시트의 구성 재료(예를 들어 기재의 재질)나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서 허용되는 경우에는, 피착체에 대한 접합 후, 접합의 시점, 및 접합 전 중 적어도 어느 것의 타이밍에 가열 처리를 행해도 된다. 가열 처리는, 점착제의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향상이나 접착 촉진 등의 목적으로 행할 수 있다. 가열 처리 온도는, 층간 시트의 구성 재료나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에서, 피착체의 표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0℃ 정도 또는 그 이하여도 되고, 80℃ 이하여도 되고, 60℃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된다.
층간 시트의 첩부 대상 또는 적층 대상인 부재나 재료(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의 층간 시트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의 피착체)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착체에서는,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고투명성인 것의 이점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피착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50% 초과여도 되고, 70%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피착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예를 들어 95 내지 100%)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전광선 투과율이 소정값 이상인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재)에 첩부 또는 적층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시판되고 있는 투과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투과율계로서는,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의 상품명 「HAZEMETER HM-150」 또는 그 상당품이 사용된다.
피착체의 굴절률과, 해당 피착체에 맞닿아 배치되는 점탄성층(예를 들어 점탄성층 V1이며, 점탄성층 V2를 갖는 형태에서는 해당 점탄성층 V2여도 됨)의 굴절률은,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피착체의 굴절률에 비하여 점탄성층(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상대적으로 높게 함으로써, 피착체측으로부터 점착제층에 임계각 이하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정면측으로 굴절시켜, 정면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피착체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55 이하, 1.50 이하, 1.48 이하, 1.45 이하여도 되고, 1.45 미만이어도 되고, 또한 예를 들어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또는 1.3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굴절률의 피착체에 의하면, 점착제층측으로부터 피착체에 입사하는 광을 정면측으로 굴절시켜, 정면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피착체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이상, 1.65 이상 또는 1.70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예를 들어 3.00 이하이고, 2.50 이하 또는 2.0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점착제층과 피착체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으로써, 계면에서의 광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착체의 굴절률은, 1.55 내지 1.80 정도여도 되고, 1.55 내지 1.75 정도여도 되고, 1.60 내지 1.70 정도여도 된다. 피착체의 굴절률은, 점착제의 굴절률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피착체는, 상술한 어느 것의 굴절률을 갖고, 또한 상술한 어느 것의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착체에 첩부되거나 또는 적층되는 양태에 있어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한 효과는 특히 바람직하게 발휘된다.
바람직한 용도의 일례로서, 광학 용도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광학 부재 접합용)나 상기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광학 제품)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로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란,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의 기기(광학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하드 코트(HC) 필름, 충격 흡수 필름, 방오 필름, 포토크로믹 필름, 조광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나아가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이들을 총칭하여 「기능성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및 「필름」은, 각각 판상, 필름상, 시트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판」이나 「편광 시트」 등을 포함하고, 「도광판」은, 「도광 필름」이나 「도광 시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은,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마이크로 LED(μLED), 미니 LED(miniLED), PDP(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예를 들어, 시트상이나 필름상, 판상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에는,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가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광의 투과, 반사, 확산, 도파, 집광, 회절 등의 1 또는 2 이상의 기능을 갖는 필름이나 형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과, 다른 광학 부재(다른 광학 필름일 수 있음) 사이에 배치되는 양태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다른 광학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의 도파, 집광, 회절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접합에 있어서는, 접합층의 벌크 전체가 고굴절률인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합층으로서 점탄성층(점착제층) V1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점탄성층(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 예를 들어, 점탄성층 V1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 또는, 점탄성층 V1 및 점탄성층 V2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점착제층이 직접 접하여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도광 필름, 확산 필름, 형광 필름, 조색 필름, 프리즘 시트, 렌티큘러 필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도에서는, 광학 부재의 소형화의 경향이나 고성능화의 관점에서, 박형화나 광 취출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점탄성층(예를 들어 점착제층)으로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점탄성층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도광 필름이나 확산 필름의 접합에서는, 접합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조정(예를 들어 고굴절률화)함으로써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형광 필름의 접합에서는, 형광 발광체와 점착제의 굴절률차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광 취출 효율(발광 효율로서도 파악될 수 있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색 필름의 접합에서는, 조색용 안료와의 굴절률차가 작아지도록 점착제의 굴절률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산란 성분을 저감하여, 광투과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 렌티큘러 필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필름 등의 접합에 있어서는, 점착제의 굴절률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광의 회절을 제어하여, 휘도 및/또는 시야각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고굴절률의 피착체(고굴절률의 층이나 부재 등일 수 있음)에 첩부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상기 피착체와의 계면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로 사용되는 층간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굴절률의 피착체와 해당 피착체에 첩부되는 점착제층(전형적으로는 점탄성층 V1)의 굴절률차가 작고, 또한 피착체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관의 균질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의 균일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점착면의 표면 평활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의 피착체의 두께가 비교적 작은 경우(예를 들어 5㎛ 이하, 4㎛ 이하, 또는 2㎛ 이하인 경우)에는, 반사광의 간섭에 의한 착색이나 색 불균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특히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사용 양태의 일례로서, 편광자와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제1 위상차층의 접합 및/또는 상기 제1 위상차층과 상기 제2 위상차층의 접합에 사용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고굴절률의 점탄성층 V1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광 반도체 등의 발광층(예를 들어, 주로 무기 재료에 의해 구성된 고굴절의 발광층)에 첩부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광층과 점탄성층 V1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으로써, 그것들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억제하여,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양태로 사용되는 층간 시트는, 점탄성층 V1로서, 고굴절률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에 의한 자발광 소자의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는 관점에서, 점탄성층 V1의 흡수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 향상의 관점에서, 층간 시트는 저착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층간 시트에 기인하는 비의도적인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의 점탄성층 V1은, 카메라나 발광 장치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그 밖의 렌즈 부재(예를 들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필름를 구성하는 마이크로렌즈나, 카메라용 마이크로렌즈 등의 렌즈 부재)에 있어서, 렌즈면을 덮는 코팅층, 상기 렌즈면에 대향하는 부재(예를 들어, 렌즈면에 대응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부재)와의 접합층, 상기 렌즈면과 상기 부재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층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탄성층 V1은, 고굴절률화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고굴절률의 렌즈(예를 들어, 고굴절률 수지에 의해 구성된 렌즈나, 고굴절률 수지제의 표면층을 갖는 렌즈)에 맞닿아 배치되어도 해당 렌즈와의 굴절률차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렌즈 및 해당 렌즈를 구비한 제품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수차의 억제나 아베수의 향상에도 공헌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탄성층 V1을 구성하는 점탄성 재료는, 예를 들어 적절한 투명 부재의 오목부 또는 공극에 충전된 형태로, 그것 자체를 렌즈 수지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양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를 통해 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양태나, (2)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를 통해 광학 부재를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양태여도 되고, (3)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해당 층간 시트를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한, 상기 (3)의 양태에 있어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의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지지체가 광학 부재(예를 들어, 광학 필름)인 층간 시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로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의 층간 시트는, 점착형 광학 부재(예를 들어, 점착형 광학 필름)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가 지지체를 갖는 타입의 점착 시트이며, 상기 지지체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는, 기능성 필름의 적어도 편면측에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형 기능성 필름」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층간 시트와, 해당 층간 시트가 첩부된 부재(예를 들어, 광학 필름 등의 수지 필름)를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가 제공된다. 층간 시트가 첩부되는 부재는, 상술한 피착체 재료의 굴절률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층간 시트의 점착면을 구성하는 층(예를 들어 점탄성층 V1)의 굴절률과 부재의 굴절률의 차(굴절률차)는, 상술한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굴절률차일 수 있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재, 재료, 피착체로서 설명한 대로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 및 이하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사항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이며,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구성된 점착면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굴절률이 1.570 초과이며,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3.0% 이하인, 점착 시트.
〔2〕 상기 점착제층은, 두께가 5㎛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점착 시트.
〔3〕 유리판에 대한 박리 강도(점착력)가 3N/25㎜ 이상인, 상기 〔1〕 또한 〔2〕에 기재된 점착 시트.
〔4〕 상기 점착면은, 산술 평균 조도 Ra가 100㎚ 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5〕 상기 점착제층은, 흡수율이 1.0%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6〕 상기 점착제층과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7〕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수지 필름인, 상기 〔6〕에 기재된 점착 시트.
〔8〕 상기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접착성 점착 시트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의 점착면 상에 배치된 박리 라이너
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
〔1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
〔11〕 방향환 함유 모노머(m1)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A)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보다도 고굴절률의 유기 재료인 첨가제(HRO)
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상기 첨가제(HRO)의 굴절률은 1.60 이상인, 상기 〔11〕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3〕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첨가제(HRO)의 함유량은, 0중량부를 초과하고 60중량부 이하인,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4〕 상기 첨가제(HRO)는, 방향환 함유 화합물 및 복소환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5〕 상기 첨가제(HRO)는, 1분자 내에 2 이상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1〕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6〕 상기 첨가제(HRO)는, 상기 1분자 내에 2 이상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로서,
(i) 2개의 비축합 방향환이 직접 화학 결합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 및
(ii) 2개의 방향환이 축합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충족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7〕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 상기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함유량은 50중량% 이상인, 상기 〔11〕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8〕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 상기 방향환 함유 모노머(m1)의 함유량은 70중량%를 초과하고 100중량% 미만이며,
상기 방향환 함유 모노머(m1) 중 50중량% 이상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모노머인, 상기 〔11〕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9〕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모노머(m2)를 더 함유하는,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2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21〕 상기 〔11〕 내지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이며, 굴절률이 1.570보다 높은, 점착제.
〔22〕 상기 〔11〕 내지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23〕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상기 〔22〕에 기재된 점착 시트.
〔24〕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이며,
굴절률 n1이 1.570 이상인 점탄성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인 것;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것; 및,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 내지 700㎪인 것;
을 충족하는, 층간 시트.
〔25〕 두께가 5㎛ 이상인, 상기 〔24〕에 기재된 층간 시트.
〔26〕 상기 점탄성층 V1은, 주 폴리머와, 상기 주 폴리머보다 분자량이 낮은 가소화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24〕 또는 〔25〕에 기재된 층간 시트.
〔27〕 상기 가소화 재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 이하인, 상기 〔26〕에 기재된 층간 시트.
〔28〕 상기 점탄성층 V1에 적층된 점탄성층 V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탄성층 V2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2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보다 낮은, 상기 〔24〕 내지 〔2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층간 시트.
〔29〕 상기 점탄성층 V2의 굴절률 n2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굴절률 n1보다 낮은, 상기 〔28〕에 기재된 층간 시트.
〔30〕 상기 점탄성층 V1은,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층인, 상기 〔24〕 내지 〔2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층간 시트.
〔31〕 상기 점탄성층 V1은,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인, 상기 〔24〕 내지 〔2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층간 시트.
〔32〕 상기 〔24〕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에 적층된 수지 필름
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33〕 상기 〔24〕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
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량이나 함유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1의 조제>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m-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교에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OB-A」, 굴절률: 1.566, 호모폴리머의 Tg: -35℃. 이하, 「POB-A」로 약기함) 95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5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부를 투입하여,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하여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중합 평균 분자량(Mw)은 50만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은, 상기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기초하는 Tg(즉 TgT)가 -35℃이고, 방향환 함유 모노머의 조성에 기초하는 Tg(즉 Tgm1)가 -35℃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용액(50%)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이 용액 334부(불휘발분 100부)에, 가교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도소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2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제2철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부(불휘발분 0.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1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2의 조제>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POB-A를 72부, 1-나프틸메틸아크릴레이트(교에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NMT-A」, 굴절률: 1.595, 호모폴리머의 Tg: 31℃. 이하, 「NMT-A」로 약기함)를 23부 및 4HBA를 5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0.2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부를 투입하여,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하여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2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2의 중합 평균 분자량(Mw)은 50만이었다.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POB-A를 20부, NMT-A를 80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0.2부,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을 3.5부, 및 메틸에틸케톤 67부를 투입한 후, 질소 가스를 흘리고, 교반하면서 약 1시간 질소 치환을 행하였다. 그 후, 플라스크를 70℃로 가열하고, 12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Mw) 4000, 굴절률 1.63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올리고머 B)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2의 용액(50%)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이 용액 334부(불휘발분 100부)에, 상기에서 조제한 올리고머 B를 20부, 가교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도소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2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제2철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부(불휘발분 0.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2를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3의 조제>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5부,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8F) 30부, N-비닐-2-피롤리돈(NVP, 닛폰 쇼쿠바이제) 3부, 및 4HBA 2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200부를 투입하여,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하여 9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3의 용액(33%)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3의 중합 평균 분자량(Mw)은 55만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3의 용액(33%)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불휘발분(고형분) 100부에 대해, 가교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도소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3을 조제하였다.
<층간 시트의 제작>
(예 1)
상기에서 조제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1을, 편면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R1(두께 50㎛)의 실리콘 처리면에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편면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된 PET 필름 R2(두께 38㎛)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양면이 PET 필름(박리 라이너) R1, R2에 의해 보호된 형태의 점착제층(점착제층 V1)을 얻었다. 또한, 박리 라이너 R2는, 박리 라이너 R1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박리이다.
또한, 상기에서 조제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3을, 편면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된 PET 필름 R1(두께 50㎛)의 실리콘 처리면에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하여, 두께 10㎛의 점착제층 V2를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편면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된 PET 필름 R2(두께 38㎛)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양면이 PET 필름(박리 라이너) R1, R2에 의해 보호된 형태의 점착제층(점착제층 V2)을 얻었다.
점착제층 V1, V2로부터 박리 라이너 R2를 박리하여 점착면끼리를 접합하고, 핸드 롤러로 압착하였다. 이 적층체에 대해, 50℃, 0.60㎫의 조건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50℃의 환경에서 48시간 에이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제층 V1/V2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층간 시트(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층간 시트의 표면은, 2매의 박리 라이너 R1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예 2)
점착제층 V1, V2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종류 및 각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V1/V2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층간 시트(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예 3 내지 5)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1 내지 C3의 각각으로 이루어지고,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는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제작하여, 예 3 내지 5에 관한 층간 시트로 하였다.
얻어진 층간 시트는, 23℃, 50%RH의 환경에 충분히 적응시킨 후에, 이하의 측정 및 평가에 사용하였다.
<측정 및 평가 (1)>
(굴절률)
각 점착제층에 대하여,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아베 굴절률계(ATAGO사제, 형식 「DR-M4」)를 사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저장 탄성률 G')
각 예에 관한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1.5㎜로 한 것을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TA Instruments사제의 ARES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를 판독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
형상: 패럴렐 플레이트 7.9㎜φ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
각 예에 관한 층간 시트를 무알칼리 유리(두께 0.8 내지 1.0㎜, 전광선 투과율 92%, 헤이즈 0.4%)에 접합한 시험편을 사용하고, 23℃의 측정 환경 하에 있어서,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 상품명 「HAZEMETER HM-150」)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편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무알칼리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차감한 값을, 층간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대 유리판 박리 강도)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 있어서, 각 예에 관한 층간 시트의 한쪽의 면(예 1, 2에서는, 점착제 조성물 C3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의 표면)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두께 50㎛의 PET 필름을 접합하여 배접한 후, 폭 25㎜, 길이 100㎜의 사이즈로 커트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시험편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피착체로서의 알칼리 유리판(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사제, 두께 1.35㎜, 청판 연마품)의 표면에, 2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이것을 동일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하고, 다음에 가압 탈포 장치(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온도 50℃, 압력 0.5㎫의 조건에서 30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하고, 또한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Z 0237:2000에 준하여, 인장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 강도(점착력)[N/25㎜]를 측정하였다.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로서는, 미네베아사제의 「인장 압축 시험기, TG-1kN」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 1 내지 4의 층간 시트는, 굴절률 n1이 1.570 이상, 저장 탄성률 G'V1(25)이 700㎪ 이하인 점착제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해당 층간 시트에 있어서 높은 투명성을 나타냈다. 이들 층간 시트는, 광학 부재의 층간의 접합에 적합한 실용적인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정면 휘도 향상 효과의 평가>
백색 LED 발광 광원 상에, 각 예에 관한 층간 시트를 첩부하고, 암실 환경 하에서 30분 이상 광원을 점등시켜 안정화시킨 후, 분광 방사계 SR-UL1R(가부시키가이샤 탑콘 테크노하우스제)을 사용하여, 층간 시트를 첩부한 부분에 있어서의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 3회 측정한 휘도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층간 시트를 첩부하지 않은 광원의 휘도에 비하여 10% 이상의 휘도 향상 효과가 있었던 것을 G(Good), 휘도 향상이 10% 미만인 것을 P(Poor)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저굴절률의 예 5의 점착제층(점착제층 V2)과, 고굴절률의 예 3, 4의 점착제층(점착제층 V1)을 조합한 적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갖는 예 1, 2의 층간 시트에 의하면, 해당 층간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10% 이상의 정면 휘도 향상 효과가 보였다. 층간 시트의 점착제층이 단층 구조인 예 3 내지 5의 층간 시트에서는, 해당 층간 시트 단독에 의한 정면 휘도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예 3, 4의 층간 시트는, 보다 저굴절률의 부재(예를 들어 수지 필름)에 적층함으로써, 해당 부재와의 적층체에 있어서 정면 휘도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예 5의 층간 시트는, 보다 고굴절률의 부재(예를 들어 수지 필름)에 적층함으로써, 해당 부재와의 적층체에 있어서 정면 휘도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4의 조제>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POB-A를 79부, n-부틸아크릴레이트(BA)를 20부, 4HBA를 1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부를 투입하여,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하여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Mw는 52만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용액(50%)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이 용액 334부(불휘발분 100부)에,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HX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2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제2철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부(불휘발분 0.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4를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5의 조제>
모노머 성분의 조성(중량비)을, POB-A/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CBA)/4HBA=79/20/1로 변경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용액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5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5의 Mw는 46만이었다.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용액 대신에 아크릴계 폴리머 A5의 용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4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5를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6의 조제>
모노머 성분의 조성(중량비)을, P2H-A/4HBA=99/1로 변경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폴리머 A4의 용액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6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상기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있어서의 「P2H-A」는,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교에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2H-A」, 굴절률: 1.510, 호모폴리머의 Tg: -35℃)를 나타낸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6의 Mw는 100만이었다.
아크릴계 폴리머 A6의 용액(50%)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이 용액 334부(불휘발분 100부)에, 첨가제(HRO)로서 6-에틸아크릴레이트-디나프토[2,1-b:1',2'-d]티오펜(스가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6-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나프토티오펜, 약호: 6EDNTA, 굴절률: 1.722)을 20부,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HX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2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제2철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부(불휘발분 0.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6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7의 조제>
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용액(50%)을 아세트산에틸로 30%로 희석하고, 이 용액 334부(불휘발분 100부)에, 첨가제(가소화 재료)로서 POB-A를 10부,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HX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0부(불휘발분 0.1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2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제2철의 1%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1부(불휘발분 0.01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7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8의 조제>
POB-A 10부를, 3-페녹시벤질알코올(도쿄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굴절률 1.59) 10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7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8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9의 조제>
모노머 성분의 조성(중량비)을, 2EHA/비스코트 13F/4HBA=49/50/1로 변경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폴리머 A3의 용액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9의 용액(50%)을 조제하였다. 상기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있어서의 「비스코트 13F」는, 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13F」)를 나타낸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9의 Mw는 55만이었다. 아크릴계 폴리머 A3의 용액 대신에 아크릴계 폴리머 A9의 용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3의 조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9를 조제하였다.
<층간 시트의 제작>
(예 6 내지 10)
점착제층 V1, V2의 형성에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종류 및 각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3에 나타내는 대로 한 것 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V1/점착제층 V2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층간 시트(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예 6 내지 10에 의해 얻어진 층간 시트를 23℃, 50%RH의 환경에 충분히 적응시킨 후, 상술한 「측정 및 평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 항목의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 6 내지 10의 층간 시트는, 굴절률 n1이 1.570 이상, 저장 탄성률 G'V1(25)이 700㎪ 이하인 점착제층 V1을 포함하고, 또한 해당 층간 시트에 있어서 높은 투명성을 나타냈다. 이들 층간 시트는, 광학 부재의 층간의 접합에 적합한 실용적인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2: 층간 시트(점착 시트)
10: 점탄성층(점착제층, 점탄성층 V1)
10A: 제1 표면(점착면)
10B: 제2 표면
11: 제1 점탄성층(제1 점착제층, 점탄성층 V1)
12: 제2 점탄성층(제2 점착제층, 점탄성층 V2)
20: 지지 기재
20A: 제1 면
20B: 제2 면(배면)
30, 31, 32: 박리 라이너
50: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70: 광학 부재
100: 광학 적층체

Claims (6)

  1. 광학 용도에 있어서 적층체의 층간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층간 시트이며,
    굴절률 n1이 1.570 이상이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이 30㎪ 내지 700㎪인 점탄성층 V1을 포함하고,
    전광선 투과율이 86%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층간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5㎛ 이상인, 층간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층 V1에 적층된 점탄성층 V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탄성층 V2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2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V1보다 낮은, 층간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층 V2의 굴절률 n2는, 상기 점탄성층 V1의 굴절률 n1보다 낮은, 층간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
    를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층간 시트와,
    상기 층간 시트에 적층된 수지 필름
    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KR1020227036305A 2020-03-24 2021-03-24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 KR20220156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52408 2020-03-24
JPJP-P-2020-052408 2020-03-24
JPJP-P-2020-166429 2020-09-30
JP2020166429 2020-09-30
JPJP-P-2021-049063 2021-03-23
JP2021049063A JP2022008017A (ja) 2020-03-24 2021-03-23 層間シート、剥離ライナー付き層間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PCT/JP2021/012260 WO2021193723A1 (ja) 2020-03-24 2021-03-24 層間シート、剥離ライナー付き層間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055A true KR20220156055A (ko) 2022-11-24

Family

ID=7789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305A KR20220156055A (ko) 2020-03-24 2021-03-24 층간 시트,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층간 시트 및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156055A (ko)
CN (1) CN115362233A (ko)
TW (1) TW202142396A (ko)
WO (1) WO2021193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9760B2 (ja) * 2021-12-24 2023-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半導体素子封止用シート
JP7369761B2 (ja) * 2021-12-24 2023-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半導体素子封止用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9382A (ja) 2013-03-04 2014-09-18 Lintec Corp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7128732A (ja) 2017-03-02 2017-07-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1190B2 (ja) * 2009-02-27 2014-06-25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偏光フィルム用粘着シート並びに粘着型偏光フィルム
JP5524640B2 (ja) * 2010-01-26 2014-06-18 大王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565815B2 (ja) * 2011-02-14 2014-08-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層及び光学用粘着性積層体
JP2015081288A (ja) * 2013-10-22 2015-04-27 パナック株式会社 光学用接着剤組成物、光学用接着シート及び光学製品
JP6234970B2 (ja) * 2015-07-22 2017-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透明導電層付カバー部材
EP3507337A4 (en) * 2016-08-30 2020-04-08 Henkel IP & Holding GmbH LIGHT-STABLE ADHESIVE COMPOSITIONS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AND ASSEMBLIES, ARTICLES AND LIGHT-EMITTING ELE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9382A (ja) 2013-03-04 2014-09-18 Lintec Corp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7128732A (ja) 2017-03-02 2017-07-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2396A (zh) 2021-11-16
CN115362233A (zh) 2022-11-18
WO2021193723A1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93719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1193718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WO2021193724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1193722A1 (ja) 粘着剤およびその利用
WO2021193721A1 (ja) 発光装置
JP2022008015A (ja) 発光装置
WO2021193723A1 (ja) 層間シート、剥離ライナー付き層間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WO2021193720A1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2022008014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
WO2024070789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2008017A (ja) 層間シート、剥離ライナー付き層間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JP2022008012A (ja) 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WO2023013399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3013400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3042686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2008013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4010041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4070788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230141560A (ko) 발광 장치
KR20240011748A (ko) 광경화성 점착제 및 그 이용
KR20230141561A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적층 시트
TW202409232A (zh) 黏著劑
JP2023022805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3022806A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