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431A -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 Google Patents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431A
KR20220155431A KR1020227032989A KR20227032989A KR20220155431A KR 20220155431 A KR20220155431 A KR 20220155431A KR 1020227032989 A KR1020227032989 A KR 1020227032989A KR 20227032989 A KR20227032989 A KR 20227032989A KR 20220155431 A KR20220155431 A KR 2022015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copper
battery cover
post terminal
aluminum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주 리
Original Assignee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8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adapted for specific cells, e.g. electrochemica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파워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를 개시한다. 해당 파워 배터리 커버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 탑커버 시트, 밀봉부재, 상부 사출 부재 및 하부 사출 부재를 포함하되,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은 탑커버 시트, 상부 사출 부재 및 하부 사출 부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은 서로 연결된 동 베이스부와 알루미늄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알루미늄 베이스부와 동 베이스부 사이에는 복합연결면이 형성되고, 밀봉부재는 복합연결면을 커버하여 밀봉한다.

Description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본 출원은 파워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파워 배터리 기술분야에서, 포스트 터미널은 파워 배터리 커버에서 배터리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부재이고, 포스트 터미널의 일단은 파워 배터리의 외부 회로에 연결되며, 포스트 터미널의 타단은 파워 배터리의 내부 셀에 연결된다. 셀 내부의 음극 집전편은 동박 재질이기 때문에, 파워 배터리 커버의 음극 단자가 순동 재질을 사용해야만 배터리의 내부 셀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여 배터리가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에서 밀봉링의 밀봉효과가 좋지 못하고, 파워 배터리가 쉽게 고장나는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를 개시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 커버를 개시하고, 해당 파워 배터리 커버는,
탑커버 시트;
상기 탑커버 시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동 베이스부와 알루미늄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 베이스부는 제1 베이스부와 제1 컬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부는 제2 컬럼부와 제3 컬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컬럼부와 상기 제1 컬럼부의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1 컬럼부와 상기 제2 컬럼부의 단면이 연결되어 복합연결면을 형성하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과 상기 탑커버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복합연결면을 커버하여 밀봉하는 밀봉부재;
상기 탑커버 시트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이 관통되는 상부 사출 부재; 및
상기 탑커버 시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탑커버 시트와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사출 부재;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를 개시하고, 해당 파워 배터리는 상기 파워 배터리 커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면서, 배터리의 중량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파워 배터리 커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파워 배터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파워 배터리 커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밀봉부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측의 부분 단면도이다.
관련 기술에서, 순동 재질은 중량이 크고, 재질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고, 순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파워 배터리의 외부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순동 재질의 음극 단자의 중량이 무겁고, 재질 비용이 높은 상황에 대응한다.
관련 기술에서의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의 연결면은 일반적으로 밀봉링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런 배치 방식은 밀봉 작용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전해액이 침투되어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의 알루미늄 재질과 접촉하게 되면, 파워 배터리 내의 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파워 배터리가 고장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면서, 배터리의 중량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의 제공이 시급히 필요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를 개시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당업자가 진보성 노동 창출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 “중심”,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내”, “외” 등으로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이고, 본 출원을 설명하기 편리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정한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된 방위, 특정된 방위구조 및 조작을 반드시 갖도록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외, 용어 “제1”, “제2”는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여기서, 용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치이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부”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와 사선 윗방향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특징의 수평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만을 표시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부”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와 사선 아래방향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특징의 수평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만을 표시한다.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접속” 및 “연결”을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직접 접속되는 것일 수 있고, 중간 매질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를 도면에 도시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고, 파워 배터리 커버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 탑커버 시트(2), 밀봉부재(3), 상부 사출 부재(4) 및 하부 사출 부재(5)를 포함하되,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은 탑커버 시트(2), 상부 사출 부재(4) 및 하부 사출 부재(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상부 사출 부재(4)는 탑커버 시트(2)의 상방에 배치되며, 하부 사출 부재(5)는 탑커버 시트(2)의 하방에 배치되고, 하부 사출 부재(5)는 탑커버 시트(2)와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 사이에 개재된다.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은 서로 연결된 동 베이스부(12)와 알루미늄 베이스부(11)를 포함하되, 동 베이스부(12)는 파워 배터리의 셀 내부의 음극 집전편과 연결되고, 알루미늄 베이스부(11)는 파워 배터리의 외부 회로에 연결되기 때문에, 파워 배터리 커버에서 순동 재질을 음극 단자로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중량이 무겁고, 비용이 높은 단점에 대응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면서, 파워 배터리의 중량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동 베이스부(12)는 제1 베이스부(120)와 제1 컬럼부(121)를 포함하고, 알루미늄 베이스부(11)는 제2 컬럼부(112)와 제3 컬럼부(113)를 포함하며, 제2 컬럼부(112)와 제1 컬럼부(121)의 직경은 동일하고, 알루미늄 베이스부(11)와 동 베이스부(12) 사이에는 복합연결면이 형성되며, 밀봉부재(3)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과 탑커버 시트(2) 사이에 개재되고, 밀봉부재(3)는 복합연결면을 커버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배치는 밀봉부재(3)가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복합연결면을 밀봉할 수 있기에, 전해액이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알루미늄 재질에 접촉되어, 파워 배터리 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베이스부(11)와 동 베이스부(12)는 마찰용접 또는 리벳팅 등 공정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기타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3)는 통형상을 갖는 제1 밀봉부(31)를 포함하되, 제1 밀봉부(31)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제1 밀봉부(31)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에 긴밀하게 부착되며, 제1 밀봉부(31)는 복합연결면을 커버하여 밀봉하기 때문에,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에 대한 밀봉부재(3)의 밀봉 작용을 구현한다. 또한, 제1 밀봉부(31)는 통형상 구조를 갖기에,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에 대한 위치한정 작용 및 상부 사출 부재(4)에 대한 지지 작용을 할 수도 있으므로, 추후의 가공, 사용 과정에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복합연결면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호한다. 아울러, 밀봉부재(3)는 링형상을 갖는 제2 밀봉부(32)를 포함하되, 제2 밀봉부(32)의 하단면은 동 베이스부(12)의 제1 베이스부(120)의 상단면에 긴밀하게 부착되고, 제2 밀봉부(32)는 동 베이스부(12)의 제1 베이스부(120)의 상단면을 밀봉한다.
도 5는 도 3의 A-A측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것이며, 관찰 방향은 A의 화살표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밀봉부(31)와 제2 밀봉부(32)는 일체로 성형되는데, 이런 방식은 밀봉부재(3)의 가공 과정을 간소화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재(3)는 링형상의 제3 밀봉부(33)를 더 포함하고, 장착시, 재료의 유동성으로 인해, 밀봉부재(3)가 압력이 가해질 때 필요한 압축량으로 압축될 때까지 주위로 재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봉부재(3)의 밀봉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파워 배터리 커버는 스탬핑 방식으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을 고정하고, 제3 컬럼부(113)의 상단면을 스탬핑면으로 선택하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워 배터리 커버는 리벳팅 블록(6)을 더 포함하되, 리벳팅 블록(6)은 상부 사출 부재(4)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3 컬럼부(113)의 스탬핑면의 일단은 리벳팅 블록(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리벳팅 블록(6)에는 동축으로 분포된 연통되는 제1 단차홀(61)과 제2 단차홀(62)이 배치되고, 제3 컬럼부(113)는 제1 단차홀(6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리벳팅 블록(6)에는 카운터보어 홀(63)이 더 배치되고, 카운터보어 홀(63)은 제1 단차홀(61) 및 제2 단차홀(62)과 연통되고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런한 배치는 리벳팅 펀치가 아래쪽으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스탬핑 단부에 충격을 가하는데 편리하기 때문에, 제3 컬럼부(113)의 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1 단차홀(61) 내에 걸림 설치되어,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을 고정시키므로,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이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사출 부재(4)에는 수용홈이 배치되고, 리벳팅 블록(6)은 수용홈 내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파워 배터리 커버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파워 배터리의 셀에 더 큰 장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파워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사출 부재(4)로부터 멀어지는 탑커버 시트(2)의 일측에는 수용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 챔버는 동 베이스부(12)를 수용할 수 있는데, 이런한 배치는 파워 배터리 커버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므로, 파워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추가로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를 더 제공하고, 해당 파워 배터리는 상기 파워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파워 배터리 커버 내의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동 베이스부(12)는 파워 배터리의 셀 내부의 음극 집전편과 연결되고,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알루미늄 베이스부(11)는 파워 배터리의 외부 회로에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면서, 파워 배터리의 중량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파워 배터리는 파워 배터리의 사용 성능을 보장하면서, 파워 배터리의 전체 중량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파워 배터리의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1: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
11: 알루미늄 베이스부
112: 제2 컬럼부
113. 제3 컬럼부
12. 동 베이스부
120. 제1 베이스부
121. 제1 컬럼부
2. 탑커버 시트
3. 밀봉부재
31. 제1 밀봉부
32. 제2 밀봉부
33. 제3 밀봉부
4. 상부 사출 부재
5. 하부 사출 부재
6. 리벳팅 블록
61. 제1 단차홀
62. 제2 단차홀
63. 카운터보어 홀

Claims (10)

  1. 탑커버 시트(2);
    상기 탑커버 시트(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동 베이스부(12)와 알루미늄 베이스부(11)를 포함하며, 상기 동 베이스부(12)는 제1 베이스부(120)와 제1 컬럼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부(11)는 제2 컬럼부(112)와 제3 컬럼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컬럼부(112)와 상기 제1 컬럼부(121)의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1 컬럼부(121)와 상기 제2 컬럼부(112)의 단면이 연결되어 복합연결면을 형성하는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과 상기 탑커버 시트(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복합연결면을 커버하여 밀봉하는 밀봉부재(3);
    상기 탑커버 시트(2)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이 관통되는 상부 사출 부재(4); 및
    상기 탑커버 시트(2)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탑커버 시트(2)와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사출 부재(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3)는 통형상을 갖는 제1 밀봉부(3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밀봉부(31)는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제1 밀봉부(31)는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에 긴밀하게 부착되며, 상기 복합연결면은 상기 제1 밀봉부(31)에 의해 커버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3)는 상기 제1 밀봉부(31)에 연결되고 링형상을 갖는 제2 밀봉부(3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밀봉부(32)의 하단면은 상기 제1 베이스부(120)의 상단면에 긴밀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31)와 상기 제2 밀봉부(32)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 커버는 스탬핑 방식으로 상기 동-알루미늄 복합 포스트 터미널(1)을 고정하고, 스탬핑면은 상기 제3 컬럼부(113)의 상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 커버는 리벳팅 블록(6)을 포함하되, 상기 리벳팅 블록(6)은 상기 상부 사출 부재(4)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컬럼부(113)의 상기 스탬핑면의 일단은 상기 리벳팅 블록(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팅 블록(6)에는 동축으로 분포된 연통되는 제1 단차홀(61)과 제2 단차홀(62)이 배치되고, 상기 제3 컬럼부(113)는 상기 제1 단차홀(6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컬럼부(113)의 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단차홀(61) 내에 걸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팅 블록(6)에는 카운터보어 홀(63)이 배치되고, 상기 카운터보어 홀(63)은 상기 제1 단차홀(61) 및 상기 제2 단차홀(62)과 연통되고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 부재(4)에는 수용홈을 배치되고, 상기 리벳팅 블록(6)은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커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워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KR1020227032989A 2021-05-14 2021-09-16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KR20220155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031942.8 2021-05-14
CN202121031942.8U CN215266482U (zh) 2021-05-14 2021-05-14 一种动力电池盖及动力电池
PCT/CN2021/118760 WO2022237030A1 (zh) 2021-05-14 2021-09-16 动力电池盖及动力电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431A true KR20220155431A (ko) 2022-11-22

Family

ID=7945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989A KR20220155431A (ko) 2021-05-14 2021-09-16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3238242U (ko)
KR (1) KR20220155431A (ko)
CN (1) CN215266482U (ko)
DE (1) DE202022102652U1 (ko)
FR (1) FR3122947B3 (ko)
GB (1) GB2610954A (ko)
HU (1) HU5581U (ko)
SE (1) SE2250985A1 (ko)
WO (1) WO2022237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8953B (zh) * 2022-10-17 2023-02-10 宁波震裕科技股份有限公司 顶盖片的冲压一体成型方法和电池顶盖结构及其制作方法
CN115458875A (zh) * 2022-11-11 2022-12-09 深圳海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顶盖组件的制造方法、顶盖组件及储能装置
CN117374491B (zh) * 2023-12-07 2024-02-20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58B1 (ko) * 2011-04-07 2013-03-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절연 커버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
JP7064695B2 (ja) * 2017-12-15 2022-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組電池、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CN207896134U (zh) * 2018-02-12 2018-09-21 芜湖天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盖组件
CN208848940U (zh) * 2018-08-21 2019-05-10 深圳市瑞德丰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电池顶盖
CN210535698U (zh) * 2019-05-10 2020-05-15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顶盖及二次电池
CN212848609U (zh) * 2020-09-14 2021-03-30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顶盖结构及动力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2947B3 (fr) 2023-09-29
HU5581U (hu) 2023-03-28
GB202217678D0 (en) 2023-01-11
JP3238242U (ja) 2022-07-11
FR3122947A3 (fr) 2022-11-18
SE2250985A1 (en) 2022-11-17
CN215266482U (zh) 2021-12-21
DE202022102652U1 (de) 2022-08-11
GB2610954A (en) 2023-03-22
WO2022237030A1 (zh)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5431A (ko) 파워 배터리 커버 및 파워 배터리
EP3321998B1 (en) Secondary battery
JP5013772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20070141449A1 (en) Secondary battery and pressing member
EP1973182A1 (en) Secondary batery
KR101799563B1 (ko) 전지팩용 레이저 용접 지그
CN111937186B (zh) 电池以及电池模块
CN102064333A (zh) 电池
JP6445805B2 (ja) 二次電池
KR20110047612A (ko) 이차전지
CN216213745U (zh) 一种方形二次电池的顶盖及二次电池
JP2022505993A (ja) バッテリー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有するバッテリー
CN208256740U (zh) 二次电池及用于其的顶盖组件
CN210200769U (zh) 一种动力电池顶盖结构及动力电池
CN112436214A (zh) 圆柱形电池负极端盖及其圆柱形电池
JP3778741B2 (ja) 角形蓄電池
CN216903149U (zh) 电池盖板组件和电池
JP2017059346A (ja)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CN214043796U (zh) 一种动力电池装置
KR20110003205A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3691311B2 (ja) 組電池
KR101750486B1 (ko)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CN209993627U (zh) 二次电池顶盖
CN219626763U (zh) 一种下塑胶组件、电池顶盖及二次电池
KR100851959B1 (ko) 단자핀 결합구조의 보호회로모듈을 가진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