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231A -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 - Google Patents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231A
KR20220155231A KR1020220058954A KR20220058954A KR20220155231A KR 20220155231 A KR20220155231 A KR 20220155231A KR 1020220058954 A KR1020220058954 A KR 1020220058954A KR 20220058954 A KR20220058954 A KR 20220058954A KR 20220155231 A KR20220155231 A KR 2022015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nector
coupling
locking element
flui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옌센
우베 피들러
Original Assignee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5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48Bayonet-typ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to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자동차의 어셈블리(2)와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1)은 튜브(3)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4)를 포함한다. 커넥터(4)는 상보적인 커플링(5)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본체(6) 및 커플링(5)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 요소(9)를 갖는다. 잠금 요소(9)는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6)에 대해 장착되며, 잠금 요소(9)를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시켜 커넥터(4)의 잠금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다. 잠금 요소(9)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윤곽(16)을 가지며, 커플링(5)과의 잠금 과정 동안에 잠금 요소(9)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4)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커플링(5)의 방향으로 가해지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FLUID LINE FOR CONNECTING WITH A COUPL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어셈블리 또는 다른 유체 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에 관한 것으로, 유체 라인은 튜브 또는 파이프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상보적인 커플링(5)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커넥터는 본체 및 커플링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하며, 잠금 요소는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에 대해 장착되며, 커넥터 또는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를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시켜 커넥터의 잠금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잠금 요소는 잠금 윤곽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유체 라인과 커플링을 포함하는 유체 연결부 및 이 유체 라인과 유체 연결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체 연결부는 DE 41 29 397 C1에 알려져 있으며, 어셈블리의 커플링을 포함하고, 이의 외부 부분은 연속적인 홈을 갖는다. 이 홈은 커넥터의 잠금 요소의 대응하는 훅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잠금 요소는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요넷(bayonet) 처럼 커플링의 홈과 결합할 수 있다.
이 유체 연결부 및 아마도 모든 알려진 유체 연결부는 하나 또는 2개의 탄성 시일링 링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시일을 포함하며, 그 탄성 시일링 링은 반경 방향으로 커넥터의 커넥터 축과 커플링의 내벽 사이에 배치된다. 시일링 링은 커넥터 상에 그리고 커플링 안 모두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시일링 링에 작용하는 클램핑력이 클수록 시일링 링의 시일링 효과는 더 효과적으로 된다. 그러나, 이는 또한 커넥터를 커플링 안으로 완전히 삽입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가해져야 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직경과 관련하여 시일링 링, 커넥터 및 커플링은 약 0.1 mm 또는 심지어 그 미만의 공차로 정밀하게 일치한다. 커플링이 약간 너무 크거나 시일링 링 또는 커넥터가 약간 너무 작으면, 유체 연결부는 타이트하지 않게 될 것이다. 반대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높은 축방향 힘이 발생한다. 이는 개별적인 유체 연결부를 함께 구성하는 것을 복잡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체 연결부의 질적인 인상이 상당히 감소된다.
직경에 대한 낮은 공차에 비추어, 유체 라인 제조업자는 어셈블리 또는 전체 시스템의 제조업자(예컨대, 차량 제조업자)에 어댑터를 공급하는데, 이 어댑터는 한 단부에서 어셈블리의 나머지 부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다른 단부에서는 유체 라인에 정확하게 상보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대로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 결합, 압입 및/또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는 한편으로는 최적의 플러그 연결을 허용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자 그대로 인터페이스 형태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어셈블리와의 알려진 유체 연결부의 단점은, 어셈블리에 비해 제조 비용이 너무 높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어셈블리에 대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기술적인 문제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를 절약하여 어댑터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조 비용을 제거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는, 자동차의 어셈블리 또는 다른 유체 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으로 해결되며, 유체 라인은 튜브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어셈블리 또는 다른 유체 라인의 상보적인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커넥터는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는 커플링에 할당되는 제 1 단부 및 이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는 유체 채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유체 채널은 축선을 가지며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을 규정하고, 제 2 단부는 본체의 연결부의 일 구성 부품이고, 연결부는 튜브와 연결되며,
커넥터는 커플링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는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에 대해 장착되며, 커넥터 및/또는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를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시켜 커넥터의 잠금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윤곽을 가지며, 잠금 요소는, 커플링과의 잠금 과정 동안에 잠금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커플링의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처음에, 커플링 및 커넥터의 교환은 처음에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정밀한 내경은 정밀한 외경 보다 만들기가 더 쉽다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정밀한 내경은 드릴링 또는 재드릴링으로 설정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이는 외경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가 유체 라인에 할당되고 커플링은 어셈블리에 할당되는 것이, 처음에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특히, 이로써, 시일 정밀도를 위한 어댑터를 제공할 이전의 필요가 없어지며, 이리하여 동시에 어댑터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없어진다. 본 발명은 가동 잠금 요소를 커넥터에 할당함으로써 어셈블리에 대한 지출이 마찬가지로 감소된다는 지견에 기반한다. 이는, 가동 잠금 요소를 어셈블리에 할당하고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장에서의 작업 단계들이 결과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는, 잠금 요소의 회전 가능성으로 인해, 힘을 축방향으로 가함으로써 가능한 경우 보다 더 큰 축방향이 잠금 과정에서 커넥터에 가해질 수 있다는 지견에 기반한다. 그래서, 커플링의 수용 영역과 커넥터 사이에 덜 정밀한 공차가 요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시일에 발생하는 더 큰 힘이 잠금 요소에 의해 더 쉽게 가해질 수 있으므로, 회전 가능한 잠금 요소가 주어지면 가해질 수 있는 큰 축방향 힘에 의해 커플링에 대한 허용 내경의 범위가 아래쪽으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커플링에 있는 보어홀은 또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그래서 어셈블리에 대한 제조 비용은 본질적으로 커플링을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주조하거나 사출 성형하는 것에 국한될 수 있다. 이로써, 처음에 언급된 문제가 해결된다.
"유체 라인"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편리하게는 2개의 커넥터를 갖는 튜브 또는 파이프를 지칭하며, 여기서 각각의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두 커넥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보적인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편리하다. "어셈블리"라는 용어는, 유리하게는 모든 비유체 라인 구성품을 포함하는 집합적 용어이다. 예를 들어,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탱크, 분사 노즐, 배터리 모듈, 펌프, 열교환기 등이 포함된다. "커플링"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 요소를 지칭한다. 상보적인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기 위한 커넥터는 편리하게는 수형 플러그 요소이다.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튜브 또는 파이프는 다층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의 플라스틱 층을 포함한다. 튜브 또는 튜브 층의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커넥터, 본체 또는 잠금 요소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일 수 있다. 커넥터 또는 본체 또는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만 구성된다. 커플링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및/또는 잠금 요소 및/또는 커플링은 유리하게는 비가역적으로 단일체이며,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설계되거나, 또는 주조 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다.
본체는 회전 대칭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는 잠금 요소를 위한 배치 요소를 제외하고는 회전 대칭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유체 라인과 커플링은 유체 연결부의 구성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연결부가 잠금 상태에서 유밀(fluid tight)함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커넥터가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유체 연결부는 개방 상태에 있다. 유체 연결부는 개방 상태 및 잠금 상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을 때의 중간 상태이다. "커넥터는 상보적인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다"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라는 것을 말한다. 특히, 이러한 표현은, 커플링은 유체 라인의 구성 부품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커플링은 유체 연결부의 일 구성 부품이다.
커플링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잠금 부분을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단지 2개의 잠금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이 커플링에 단단히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은 커플링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의 외부측의 적어도 일부분은 축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가장 좋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이 커플링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외부측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은 핀으로 설계된다. 이 핀은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커플링의 외부측으로부터 진행하는 잠금 부분의 반경방향 확장은 적어도 1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의 반경 방향 확장은 유리하게는 최대 5mm, 바람직하게는 최대 4mm에 대응한다. 잠금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 거리를 갖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커플링과의 잠금 과정 동안에 잠금 요소의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수행되는 회전이 축방향으로 커넥터에 작용하는 힘으로 전환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잠금은 단지 잠금 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커넥터 또는 잠금 요소는, 잠금 요소의 회전이 커넥터의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커넥터의 축방향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안으로 들어가는 커넥터의 마지막 축방향 경로 부분에 대응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윤곽은 커플링의 바람직하게는 강성적인 잠금 부분을 위한 가동 잠금 경로를 규정한다. 커넥터, 커플링 또는 잠금 요소 또는 잠금 부분은, 잠금 윤곽이 잠금 요소의 회전 동안에 할당된 잠금 부분을 따라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에 걸쳐 움직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경로 또는 잠금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의 회전 운동을 커넥터의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다. 잠금 윤곽 또는 잠금 경로는 편리하게는 시작점을 가지며, 잠금 목적으로 회전 동안에 잠금 부분은 그 시작점에서 처음으로 잠금 경로 또는 잠금 윤곽과 접촉하게 된다. 잠금 윤곽 또는 잠금 경로는 잠금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분의 잠금점이 도달되면, 커플링 안으로 들어가는 커넥터의 축방향 운동이 끝나도록 설계된다. 잠금점은 잠금 경로의 한 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윤곽은, 잠금 요소를 잠그는 동안에 가해질 필요가 있는 힘은 처음에 상승하다가 낮아지고, 그래서 그 잠금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에서의 랫칭(latching)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잠금점은 본체의 전방에 있는 잠금 경로의 일 부분 보다 축방향으로 본체의 제 2 단부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잠금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시작점과 잠금점 사이의 잠금 경로의 일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경로의 모든 다른 부분보다 본체의 제 2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잠금 경로의 시작점은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본체의 제 2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잠금 경로의 지점 또는 부분이다. 특히, 잠금 상태 동안에, 잠금점은 축방향으로 시작점과 본체의 제 2 단부에 가장 가까운 잠금 경로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잠금 경로는 적어도 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mm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윤곽은 잠금 경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가장자리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윤곽은 잠금 경로를 규정하는 2개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잠금 윤곽의 두 가장자리는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두 가장자리 사이의 잠금 부분의 직경 또는 확장 보다 큰 것이 편리하다.
커넥터는 잠금 과정에서 회전 동안에 커플링을 향해 축방향으로 적어도 1 mm 또는 2 mm 또는 3 mm 만큼 끌려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축방향으로의 잠금 윤곽 또는 잠금 경로의 확장은 적어도 1 mm 또는 2 mm 또는 3 mm 인 것이 유리하다. 잠금 윤곽 또는 잠금 경로는 잠금 윤곽 또는 잠금 경로의 방향으로 잠금 부분의 연장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점은 커플링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잠금점에 수용되는 잠금 부분이 잠금 상태를 규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잠금 요소 또는 잠금 윤곽은,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그리고/또는 잠금 상태에서 나가기 위해 임계력이 극복되어야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윤곽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점을 포함하고,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분이 잠금점에서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잠금 요소는 적어도 축방향 부분을 따라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본체 또는 스탑을 감싸는 것이 가장 좋다. 잠금 요소는 본체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유리하게는 오목부를 가지며, 그래서 잠금 부분이 잠금 과정 동안에 보이거나 완전히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오목부는 특히 길게 늘여진 형상을 갖는 창문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오목부는 단일 가장자리, 예를 들어 회전 아암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잠금 동안에, 특히 잠금 과정에서의 회전 동안에 잠금 부분이 보이는 이점은, 사용자가 잠금 진행을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커넥터 및/또는 잠금 요소는 완전한 잠금 과정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요소를 포함하고, 이 표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윤곽의 스탑 및/또는 표시 심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윤곽의 스탑은 잠금 경로의 끝이 된다. 잠금 윤곽의 스탑은 바람직하게는 잠금점을 규정한다. 잠금 윤곽의 스탑은 유리하게는 잠금 윤곽의 벽 또는 잠금 경로의 단부의 벽을 형성한다. 표시 요소 또는 잠금 윤곽의 스탑은 잠금 과정 동안에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커넥터는 잠금 부분이 커넥터의 잠금 상태에서 잠금점에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표시 심볼은 사용자에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표시 심볼은 커넥터 또는 본체에 가해지거나 눌려지거나 엠보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심볼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심볼은 예를 들어 커넥터 상에 또는 본체 상에 녹색 또는 적색 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또는 본체 또는 잠금 요소는 표시 심볼이 잠금 위치에서만 또는 개방 위치에서만 잠금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표시 심볼은 잠금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 잠금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잠금 위치에서는 잠금 요소에 의해 약간 덮이거나 또는 전혀 덮이지 않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표시 심볼은 본체의 스탑 또는 본체의 스탑의 외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는 잠금 요소의 작동 부분이 보이는 경우에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서 표시 심볼도 보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잠금 과정 동안에 잠금 요소를 잠금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부분을 포함한다. 잠금 요소의 작동 부분은 본체의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잠금 요소의 축방향 절반부에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작동 부분은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작동 부분은 손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작동 부분은 돌출부 및/또는 미끄럼 방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분은 훅크 또는 잠금 스크류 처럼 설계될 수 있다. 잠금 윤곽은 잠금 요소의 커플링측 단부와 작동 부분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넥터 또는 본체는 스탑, 바람직하게는 스탑 플랜지를 갖는다. 스탑은 본체의 외부측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탑 또는 스탑 플랜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원주 방향으로 설계된다. 스탑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3mm의 반경방향 확장을 갖는다. 스탑은 적어도 1/2/3mm의 축방향 확장을 갖는 것이 편리하다. 스탑은 본체의 축방향 확장의 중심 절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는 축방향으로 연결 부분과 커넥터 축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스탑은 축방향으로 본체를 연결 부분과 커넥터 축으로 분할하는 것이 편리하다. 커넥터 축은 유리하게는 커플링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의 축방향 부분에 대응한다. 커넥터 축은 축방향으로 스탑과 본체의 제 1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부분은 본체의 제 2 단부와 본체의 스탑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커넥터 축의 축방향 확장은 연결 부분의 축방향 확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는 유리하게 시일을 포함한다. 이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링으로 설계된다. 시일은 탄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시일은 유리하게는 환형 홈을 포함한다. 시일 또는 시일링 링 또는 링 홈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축에 또는 커넥터 축 또는 커넥터 또는 본체의 외부측에 배치된다. 시일링 링은 환형 홈에 삽입되는 것이 편리하다. 커넥터 축 또는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 및/또는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은 축방향으로 시일과 본체의 스탑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은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커넥터 축을 단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분할한다. 단부 부분은 축방향으로 시일과 본체의 제 1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단부 부분 및/또는 중간 부분은 적어도 2/3/4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의 축방향 길이가 본체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50/60/70/80%에 대응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잠금 요소는 수동으로 더 잘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요넷형 잠금 요소의 경우에, 잠금 요소의 작동 부분은 잠금 윤곽 또는 잠금 부분 또는 어셈블리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이격될 수 있으며, 그래서 한 손으로 잠금 요소를 더 잘 작동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축선(A)에 수직인 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손의 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하는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그렇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요소의 큰 축방향 길이는 작동 부분의 레버 길이가 더 커지도록 하여, 대응적으로 더 큰 힘이 잠금 윤곽 또는 잠금 부분에 작용할 수 있다. 본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20/25/30mm 이다. 본체는 최대 100/80/60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잠금 요소는 잠금 상태 및/또는 개방 상태에서 커플링을 향해 축방향으로 시일 위에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개방 위치 및/또는 잠금 위치에서 제 2 단부 또는 튜브를 향해축방향으로 본체의 스탑 위에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또는 본체의 커넥터 축 안으로 삽입 가능한 부분의 축방향 확장은 본체의 전체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20%/30%/40%/50%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체와 커플링 사이에 발생하는 형상 폐쇄가 더 큰 축방향 범위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유체 연결부의 기계적 안정성을 개선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요소의 회전 축선(D)은 축방향 또는 본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있거나 축선(A)에 평행하다. 잠금 요소는 베이요넷형 슬리브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의 작동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본체 주위에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작동 부분은 잠금 스크류의 헤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작동 부분은, 본체의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거나 본체의 제 2 단부에 할당되는 잠금 요소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부분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를 갖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작동 부분 또는 잠금 요소 또는 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어깨부는 커넥터의 잠금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본체의 스탑에 맞닿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방향 커플링에 힘을 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잠금 위치에서, 어깨부의 축방향 내부측은 본체의 제 2 단부와 대향하는 스탑의 벽에 맞닿는 것이 가장 좋다. 작동 부분의 어깨부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본체의 연결 부분 주위 및/또는 튜브의 단부 주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커플링측 단부에서 보강부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보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원주 방향 칼라로 설계될 수 있다. 잠금 윤곽은 유리하게는 커플링측 단부 또는 보강부와 작동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잠금 윤곽은 잠금 요소의 벽에 위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잠금 윤곽은 잠금 요소의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뚫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의 벽에 있는 잠금 윤곽은 유리하게는 대략 나선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잠금 요소의 벽에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잠금 부분이 보이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넥터의 상면도에서 볼 때 잠금 요소의 회전 축선(D)은 축선(A)에 대해 경사져, 바람직하게는 그 축선에 수직으로, 특히 반경 방향 또는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있다. 잠금 요소는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 레버 처럼 설계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회전 아암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은 유리하게는 잠금 윤곽을 갖는다. 2개의 대향하는 회전 핀, 특히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회전 핀의 회전 축선은 본체의 외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회전 핀은 스탑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핀은 잠금 요소의 내부측에 배치되고 본체의 외부측에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에 결합한다.
작동 부분은 연결 부분 쪽으로 대략 반경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작동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잠긴 잠금 요소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작동 부분은 잠금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훅크로 설계될 수 있다. 회전 축선(D)은 축방향으로 작동 부분과 회전 아암 또는 회전 아암들 또는 잠금 윤곽 또는 잠금 윤곽들 사이 배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윤곽은 회전 축선(D) 또는 작동 부분과 대향하는 회전 아암의 내측면 또는 내측 가장자리를 통해 형성된다. 회전 아암은 대략 L자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요소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레그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랫칭 레그를 포함한다. 랫칭 레그(들)는 유리하게 연결 부분 상의 튜브의 한 단부에서 잠금 위치로 랫칭된다. 랫칭 레그 또는 랫칭 레그들은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서 튜브의 한 단부 또는 연결 부분에 맞닿도록 설계되며, 그래서 작동 부분은 힘을 가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방향으로만 더 움직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심볼은 본체 또는 스탑의 외부측에 배치된다. 레버형 잠금 요소는 개방 위치에서 표시 심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잠금 위치에서, 잠금 요소는 표시 심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처음에 언급된 문제는 유체 연결부로 해결되며, 이 유체 연결부는, 커플링 및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라인을 포함하고, 유체 라인의 커넥터는 커플링 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커플링은 어셈블리 또는 일부 다른 유체 라인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커플링은 커넥터 또는 본체 또는 본체의 스탑과 대향하는 전방 단부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시일링 부분 및/또는 단부 수용부를 갖는다. 내경 면에서, 시일링 부분은 커넥터의 시일을 유밀한 방식으로 수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커플링의 단부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반경으로 커넥터의 단부 부분과 형상 폐쇄를 이루도록 설계된다. 시일링 부분의 내경은 단부 수용부의 내경 보다 큰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커플링, 어셈블리 또는 다른 유체 라인은 연결 채널을 갖는 것이 편리하다. 단부 수용부는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시일링 부분과 연결 채널 사이에 배치된다. 시일링 부분 및/또는 단부 수용부 및/또는 연결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축선(A)과 동심으로 설계된다. 연결 채널의 내경은 단부 수용부의 내경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유체 채널의 내경에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다. 커플링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가질 수 있다.
처음에 언급된 과제는, 자동차에,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모듈에 또는 배터리 모듈과의 연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라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연결부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유체 라인 또는 유체 커넥터는 전기 구동기를 갖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유체 라인 또는 유체 연결부는 냉각제 회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2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절취도이다.
도 5b는 잠금 위치에 있는 도 3 내지 5a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4)의 제 1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커넥터(4)는 본체(6)와 잠금 요소(9)를 포함하며, 잠금 요소는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요넷(bayonet)형 설계로 되어 있다. 본체(6) 및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설계된 요소이다. 본체(6) 및/또는 잠금 요소(9)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단일체 또는 일체형이다. 커넥터(4)는, 커넥터(4)와 별개로 특히 튜브(3)도 갖는 유체 라인(1)의 일 구성 부품이다. 튜브(3)는 커넥터(4)와 연결되며, 이는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커넥터(4) 또는 본체(6)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설계된 유체 채널(7)을 갖는다. 유체 채널(7) 또는 본체(6)는 바람직하게는 본체(6)의 회전 축선 또는 길이 방향 축선인 축선(A)을 규정한다. 유체 채널(7)은 커플링(5)과 대향하는 커넥터(4) 또는 본체(6)의 제 1 단부를 이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본체(6)의 제 2 단부와 연결한다.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본체(6)의 제 2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8)의 일 구성 부품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그 연결부(8)는 바람직하게는 외부측에서 홈형 표면을 가지며, 그래서 장착된 튜브(3)가 본체(6) 또는 연결부(8)에 더 잘 유지된다. 튜브(3)는 바람직하게는 강제 폐쇄를 통해 본체(6)의 외부측에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튜브(3)는 또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본체의 중공 원통형 수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그 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4)는 커플링(5) 형태의 상보적인 상대 요소로 유체 연결부(3, 4, 5)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그 커플링(5)은 예컨대 탱크, 분사 노즐, 배터리 모듈 또는 다른 비유체 라인 구성품일 수 있는 어셈블리(2)의 일 구성 부품일 수 있다. 커플링(5) 너머의 어셈블리(2)는 본 도에서 평평한 실린더로 설계되어 있지만, 이는 모든 종류의 어셈블리(2)에 대한 컷아웃 또는 상징적 설계로서만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커플링(5)은 또한 제 2 유체 라인의 구성 부품일 수 있으며,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연결부는 특히 두 튜브(3)의 연결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커플링(5)의 외측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핀(pin)의 형태로 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잠금 부분(14)을 갖는다. 커플링(5)은 유체 라인(1)의 방향으로 전방 단부(22)에 의해 경계져 있는 것이 편리하다. 커플링(5)은 유리하게는 커넥터(4) 또는 본체(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체(6)는 바람직하게는 스탑(12)을 포함하고, 이 스탑은 더 바람직하게는 스탑 플랜지로 설계된다. 스탑 플랜지는 유리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순환하는 요소로 설계된다. 스탑(12)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본체(6)를 연결부(8)(도 2 참조)와 커넥터 축(27)으로 분할한다. 커넥터(4)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시일링 링으로 설계된 시일(1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축(27)은 시일(11)이 배치되는 원주 방향 환형 홈을 포함하는 것이 편리하다. 시일(11)은 축 방향으로 커넥터 축(27) 또는 본체(6)를 단부 부분(18)과 중간 부분(20)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요소(9)는 둘러싸는 요소의 형태로 된 슬리브 처럼 설계된다. 본체(6)의 제 2 단부에 할당된 축방향 부분에서,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10)을 포함하고, 이 작동 부분은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스크류의 헤드와 유사하다. 잠금 요소(9)의 보강부(17)(예컨대 연속 칼라(collar)의 형태임)는 유리하게는 본체(6)의 제 1 단부에 할당된 잠금 요소(9)의 축방향 부분에 위치된다.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본체(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축선(A)에 평행한 회전 축선(D)을 규정한다(도 2 참조).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윤곽(16)을 가지며, 이는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형 잠금 요소(9)의 벽에 있는 길게 늘여진 오목부로서 구성된다. 잠금 요소(9)는 유리하게는, 축선(A)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 잠금 윤곽(16)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윤곽(16)은 그에 할당된 커플링(5)의 잠금 부분(14)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잠금 요소(9)에 대한 잠금 부분(14)이 잠금 윤곽(16)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편리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부분(14)이 움직이지 않고 오히려 잠금 요소(9)가 작동 부분(10)을 사용하여 작동되어 잠금 요소(9)가 잠금 윤곽(16)과 함께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금 부분(14)은 잠금 윤곽(16)에 대해 움직인다.
잠금 윤곽(16)은, 커넥터(4)의 삽입 동안에 커플링(5)의 잠금 부분(14)과 먼저 접촉하게 되는 시작점(28)을 갖는다. 잠금 요소(9)가 회전하면, 잠금 부분(14)이 궁극적으로 잠금 윤곽(16)의 잠금 지점(15)에 도달하게 하고, 잠금 윤곽(16)은 바람직하게는 견고하게 설계된 잠금 부분을 위한 가동 잠금 경로를 바람직하게 규정한다. 잠금 경로 또는 잠금 윤곽(16)은, 잠금 요소(9)의 회전 동안에 커플링(5)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방향 힘을 커넥터(4)에 가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잠금 윤곽(16)은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설계된다.
잠금점(15)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윤곽(16)의 이전 부분에 비해 축방향으로 커플링에 약간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잠금 윤곽(16) 및 잠금 부분(14)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이 점점 줄어들어, 잠금 효과가 특히 유리하게는 랫칭(latching)의 형태로 달성된다. 잠금점(15)은 스탑의 형태로 된 디스플레이 요소(13)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부분(14)은 잠금점(15)까지 보다 잠금 윤곽(16)과 관련하여 더 움직일 수 없다. 스탑의 형태로 된 디스플레이 요소(13)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언뜻 보기에 잠금 과정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알 수 있다.
동시에, 커플링(5) 및 커넥터(4)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5)의 전방 단부(22)가 잠금 위치에서 커넥터(4) 또는 본체(6)의 스탑(12)에 부딪히도록 도 2에 따른 방식으로 설계된다. 여기서 잠금 요소(9)의 어깨부(23)의 축방향 작용력이 바람직하게는 스탑(12)에 작용하여, 이 스탑을 커플링(5)의 전방 단부(22)에 누르게 된다. 시일(11)과 시일링 부분(21) 사이의 상당히 큰 힘 폐쇄가 주어지면, 커넥터(4)가 커플링(5) 안으로 삽입되는 동안에, 대응적으로 큰 축방향 힘이 극복되어야 하다. 잠금 윤곽(16)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9)를 회전시키면 완전한 잠금까지 마지막 축방향 경로 부분을 위해 수동으로 가해질 힘이 현저히 줄어들도록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시일(11)과 시일링 부분(21) 사이의 강제 폐쇄에는 상당히 큰 설계가 주어질 수 있다.
도 2의 유체 라인(1)과 어셈블리(2)로 구성된 유체 연결부(1, 2)의 종단면은 잠금 위치에 있는 유체 연결부(1, 2)를 나타낸다. 그러면 본체(6)의 단부 부분(18)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5)의 단부 수용부(19)에 위치된다. 단부 부분(18)은 유리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단부 수용부에 확고히 배치된다. 커플링(5)의 시일링 부분(21)과 함께 시일(11)은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으로 형상 폐쇄 및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강제 폐쇄를 생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시일링 부분(21)의 내경은 유리하게는 단부 수용부(19)의 내경보다 크다. 연결 채널(29)은 어셈블리(2)를 향한 축방향으로 단부 수용부(19)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채널(29)의 내경은 단부 수용부(19)의 내경 보다 유리하게 작다. 연결 채널(29)의 내경이 본체(6)의 내경 또는 유체 채널(7)의 외경에 대응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이로써 특히 흐르는 매체의 난류가 회피된다. 축선(A)은 연결 채널(29) 또는 연결부(8) 상의 튜브(3)의 축선과 동일한 것이 가장 좋다.
특히 도 2와 관련하여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5) 또는 어셈블리(2)는 바람직하게는 내경에 대해 단차를 갖는 구조적 설계를 갖는다. 시일링 부분(21), 단부 수용부(19) 및 연결 채널(29)의 내경은 어셈블리(2)의 내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어셈블리(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작업물을 포함하고, 이 작업물은 사출 성형 또는 주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그에 따라 큰 공차를 갖는다. 그러나, 내경에 대해서도 발생하는 큰 공차는, 특히 드릴링 또는 수직 드릴링에 의해 단부 수용부(19) 및 시일링 부분(21)의 영역을 개선함으로써 제조 기술의 관점에서 매우 쉽게 피할 수 있다. 이로써, 단부 수용부(19)와 단부 부분(18) 사이에 완전한 형상 폐쇄가 얻어진다. 유사한 방식으로, 시일(11)과 시일링 부분(21) 사이에 이상적인 강제 폐쇄가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어셈블리(2)의 제조업체는 또한 재드릴링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더 큰 공차가 수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차는, 어떤 경우에는 시일링 부분(21)의 내경이 커서 시일링 요소(11)가 충분히 시일링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조금 너무 작은 시일링 부분(21)의 내경으로 인해 예외적으로 큰 강제 폐쇄가 일어나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요소(9)의 회전이 커넥터(4)의 삽입 동안에 마지막 축방향 경로 부분에 대해 소비되는 힘을 현저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큰 강제 폐쇄는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4)의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어셈블리(2), 튜브(3) 및 시일(11)은 제 1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설계 면에서 동일하다. 본체(6)는 또한 제 1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본체와도 설계 면에서 거의 동일하고, 완전히 다른 구성을 갖는 잠금 요소(9)의 부착 측면에서만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본체(6)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회전 핀(24)을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회전 핀(24)은 스탑(12)에 배치되고, 따라서 잠금 요소(9)의 회전 축선(D)을 규정한다. 그래서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회전 축선(D)은 더 이상 축선(A)에 평행하지 않고 오히려 그 축선에 수직하게 정렬된다(도 4 참조).
도 3에 따르면, 잠금 요소(9)는 축선(A)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회전 아암(25)을 가지며, 이들 아암은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핀(24)을 통해 장착된다. 잠금 요소(9)는 예를 들어 훅크 형태의 작동 부분(10)에 의해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잠금 요소(9)는, 잠금 요소(9)의 작동 동안에 튜브(3)를 제자리에 랫칭하는 2개의 랫칭 레그(26)를 포함한다. 제 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각 회전 아암(25)은 유리하게 잠금 윤곽(16)을 포함하고, 이 잠금 윤곽은 편리하게는 시작점(28)을 가지며 또한 유리하게는 잠금점(15)을 갖는다. 잠금점(15)은 표시 요소(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표시 요소는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잠금 부분(14)에 대한 스탑으로서 설계된다.
어셈블리(2)를 유체 라인(1)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4)는 커플링(5)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그때까지, 랫칭 레그(26)는 바람직하게는 튜브(3)에 접하며, 그래서 도 3의 랫칭 레그(26)는 아래쪽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잠금 요소(9)는 개방 위치에 남아 있다. 커넥터(4)는 스탑(12)까지 또는 시일링 부분(21)과 시일(11)의 강제 폐쇄로 인한 저항이 너무 커질 때까지, 커플링(5)의 전방 단부(22)가 스탑(12)에 부딪힘이 없이, 커플링(5) 안으로 밀리게 된다. 그런 다음에 잠금 요소(9)는 작동 부분(10)을 통해 작동된다. 두 번째 경우에, 잠금 요소(9)가 작동 부분(10)에서 작동을 통해 회전될 때, 잠금 윤곽(16)은 커넥터(4)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잠금 부분(14)을 따르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힘에 의해, 전방 단부(22)가 스탑(12)에 부딪힐 때까지 커넥터(4)가 커플링(5) 안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사용자는 잠금 부분(14)이 표시 요소(13)에 부딪히는 때로 잠금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 및 4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도 5a의 확대도에 의해 강조되는 바와 같이, 표시 심볼(30)이 본체(6) 또는 스탑(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표시 심볼(30)은 인쇄된 QR 코드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서 잠금 요소(9)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10)의 작동 시에 표시 심볼(30)을 노출시키거나 보이게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표시 심볼(30)은 표시 요소(13)의 기능과 완전히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유체 연결부(1, 2) 또는 커넥터(4) 또는 잠금 요소(9)가 잠금 위치를 취했는지의 여부를 기계로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단순화한다. 표시 심볼(30)은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10)이 또한 위치되는 본체(6)의 측면에 배치된다. 표시 심볼(30)은 커넥터(4)의 범위의 작동 부분(10)과 동일한 절반 또는 동일한 1/3 또는 1/4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Claims (15)

  1. 자동차의 어셈블리(2) 또는 다른 유체 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1)으로서, 상기 유체 라인은 튜브(3)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4)를 포함하고, 커넥터(4)는 상기 어셈블리(2) 또는 다른 유체 라인의 상보적인 커플링(5) 안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4)는 본체(6)를 가지며, 이 본체(6)는 커플링(5)에 할당되는 제 1 단부 및 이 제 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는 유체 채널(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유체 채널(7)은 축선(A)을 가지며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본체(6)의 연결부(8)의 일 구성 부품이고, 연결부(8)는 상기 튜브(3)와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4)는 상기 커플링(5)과의 잠금을 위한 잠금 요소(9)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9)는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6)에 대해 장착되며, 상기 커넥터(4) 및/또는 잠금 요소(9)는, 잠금 요소(9)를 상기 회전 축선(D) 주위로 회전시켜 커넥터(4)의 잠금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요소(9)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윤곽(16)을 가지며,
    상기 잠금 요소(9)는, 커플링(5)과의 잠금 과정 동안에 잠금 요소(9)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4)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커플링(5)의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유체 라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윤곽(16)은 커플링(5)의 바람직하게는 강성적인 잠금 부분(14)을 위한 가동 잠금 경로를 규정하는, 유체 라인(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윤곽(16)은, 잠금 요소(9)를 잠그는 동안에 가해질 필요가 있는 힘은 처음에 상승하다가 낮아지도록 설계되고, 그래서 상기 잠금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요소(9)에서의 랫칭(latching)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 및/또는 잠금 요소(9)는, 상기 잠금 과정에서의 회전 동안에 상기 커넥터(4)가 커플링(5)을 향해 축방향으로 적어도 1 mm 만큼 끌려가도록 설계되어 있는, 유체 라인(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윤곽(16)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점(15)을 포함하고, 잠금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분(14)이 상기 잠금점(15)에서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도록 설계되어 있는, 유체 라인(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 및/또는 잠금 요소(9)는 완전한 잠금 과정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요소(13)를 포함하고, 이 표시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윤곽(16)의 스탑 및/또는 표시 심볼(30)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9)는 잠금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 부분(10)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 또는 본체(6)는 스탑(12), 바람직하게는 스탑 플랜지를 갖는, 유체 라인(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는 시일(11)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9)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본체(6)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50% 또는 60%에 대응하는, 유체 라인(1).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5) 안으로 삽입 가능한 본체(6)의 일 부분의 축방향 확장은 상기 본체의 전체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20% 또는 30% 또는 40%에 대응하는, 유체 라인(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9)의 회전 축선(D)은 축방향 또는 본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있는, 유체 라인(1).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의 상면도에서 볼 때 잠금 요소(9)의 회전 축선(D)은 축선(A)에 대해 경사져,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또는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있는, 유체 라인(1).
  14. 유체 연결부로서, 커플링(5) 및 제 1 항에 따른 유체 라인(1)을 포함하고, 유체 라인(1)의 커넥터(4)는 상기 커플링(5) 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유체 연결부.
  15. 자동차에, 특히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위한 냉각제 회로에 사용되는 제 1 항에 따른 유체 라인(1)의 용도.
KR1020220058954A 2021-05-14 2022-05-13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 KR20220155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73854.7A EP4089308A1 (de) 2021-05-14 2021-05-14 Fluidleitung zur verbindung mit einer kupplung
EP21173854.7 2021-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231A true KR20220155231A (ko) 2022-11-22

Family

ID=7593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954A KR20220155231A (ko) 2021-05-14 2022-05-13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64667A1 (ko)
EP (1) EP4089308A1 (ko)
JP (1) JP7492550B2 (ko)
KR (1) KR20220155231A (ko)
CN (1) CN115342251A (ko)
MX (1) MX20220058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1412B2 (en) 2017-04-19 2021-09-28 Mueller International, Llc Joint restraint device
US11199280B2 (en) * 2017-04-19 2021-12-14 Mueller Intemational, LLC Joint restraint device
GB201715211D0 (en) * 2017-09-20 2017-11-01 Tekmar Energy Ltd Protection device, assembly and method
US11162621B2 (en) 2019-02-04 2021-11-02 Mueller International, Llc Gland assembly
US11698157B2 (en) * 2020-07-24 2023-07-1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latch verification utilizing a scannable co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71A (en) * 1895-08-06 Hose-coupler
GB191308150A (en) * 1913-04-07 1913-10-02 William Harrison Huggin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Couplings.
DE960436C (de) * 1952-12-11 1957-03-21 Friedrich Segler Maschinenfabr Von Hand zu bedienender, kniehebelartig wirkender Verschluss zum Verbinden von Foerderrohrleitungen
FR1435899A (fr) * 1965-02-08 1966-04-22 Marseillaise Du Caoutchouc Sa Raccord à accouplement rapide pour tuyaux ou conduits
DE2624521A1 (de) * 1975-06-03 1976-12-16 Lera Holding S A Manuelle kupplung
JPS5930995U (ja) * 1982-08-20 1984-02-25 株式会社大誠製作所 流体継手
DE4129397C1 (ko) 1991-09-04 1993-03-11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JP4226132B2 (ja) * 1999-03-03 2009-02-1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継手
JP2006017157A (ja) * 2004-06-30 2006-01-19 Yazaki Corp ホースカップリング
JP2006300127A (ja) * 2005-04-18 2006-11-02 Togo Seisakusho Corp 止め具
JP5566759B2 (ja) * 2010-04-19 2014-08-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弁付き配管継手
US10052473B2 (en) * 2014-04-24 2018-08-21 Nordson Corporation Genderless connector and method of fluid connection
DE102016004069B4 (de) * 2016-04-08 2023-05-11 Bernhard Hunklinger Kopplungseinrichtung, zur Koppelung eines ersten Anschlussabschnitts mit einem komplementären, zweiten Anschlussabschnitt, insbesondere eines Hydraulikleitung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05861A (es) 2023-02-22
JP2022176130A (ja) 2022-11-25
CN115342251A (zh) 2022-11-15
EP4089308A1 (de) 2022-11-16
JP7492550B2 (ja) 2024-05-29
US20220364667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5231A (ko) 커플링과 연결되기 위한 유체 라인
US7914315B2 (en) Coupling between a medical handpiece part and a supply hose
US7213845B2 (en) Tube joint
CN106233055B (zh) 插接器组件
WO2006044763A2 (en) Subsea junction plate assembly running tool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122882B1 (ko) 유체 라인을 위한 커넥터
JP4198066B2 (ja) スライディングスリーブおよびコレットチャックを有する接続カップリング
EP3358204B1 (en) Anti-vibration locking connector
WO2017157526A1 (en) Aircraft fluid line coupling assembly for releasably interconnecting fluid conveying members
CN113494645A (zh) 具有塑料波纹软管的液体管线
JP4662847B2 (ja) 流体管継手
CA3097309C (en) Coupling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luids
EP4176193B1 (en) Connection units for quick connection/disconnection fluidic lines
CN113357461B (zh) 一种流体管路快速接头
CN114174710B (zh) 流体连接器的插入式构件、具有这种插入式构件的流体连接器以及这种插入式构件的装配方法
CN213692182U (zh) 液冷管连接结构、液冷系统及电动汽车
JP2014102162A (ja) アクチュエータ用位置検出器及びアクチュエータ
CN220568183U (zh) 加氢口测试工装
JP2006183866A (ja) アダプターを有する流体用クイックコネクタ
CN109944996A (zh) 流体连接器、流体连接器组件
JP2002327885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CN219014648U (zh) 一种热水器
JP7049523B2 (ja) 口腔ケア装置のためのワークピース保持機構
CN216142732U (zh) 一种水下采油树阀门操纵工具
CN210436063U (zh) 加油管导流口压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