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641A -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641A
KR20220153641A KR1020227036136A KR20227036136A KR20220153641A KR 20220153641 A KR20220153641 A KR 20220153641A KR 1020227036136 A KR1020227036136 A KR 1020227036136A KR 20227036136 A KR20227036136 A KR 20227036136A KR 20220153641 A KR20220153641 A KR 2022015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cessor
act
transa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키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5Comme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손님의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구입 상품을 기억하는 처리를, 일시적으로 점원의 단말기와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형태의 거래 처리 장치는, 제1 등록부, 연계부 및 제2 등록부를 구비한다. 제1 등록부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한다. 연계부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제1 등록부에 의해 행하여지는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킨다. 제2 등록부는,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사용하여, 제2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거래 내용을,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으로서 제1 등록부에 기억시킨다.

Description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손님이 소지하는 단말기에서의 손님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구입 상품의 등록을 행하도록 한 거래 처리 시스템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코드의 판독이 곤란하거나, 바코드가 상품에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손님이 조작 방법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하는 다양한 사정에 의해, 일부 상품에 대한 구입 상품의 등록을 손님이 행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구입 상품 등의 거래 내용의 등록에 관계되는 조작을 일시적으로 점원이 대행할 수 있을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19-149176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님이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행하여지는 거래 내용의 등록에 관계되는 처리를, 점원이 사용하는 단말기와 일시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거래 처리 장치, 및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거래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점포 서버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가상 POS 서버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모바일 컨트롤러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되는 연계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되는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되는 유저 단말기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되는 점원 단말기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거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거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거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구입 상품의 등록이 행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일람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구입 상품이 등록 완료인 상태에서의 일람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연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9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4에 도시되는 프로세서에 의한 연계 처리의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의 거래 처리 장치는, 제1 등록부, 연계부 및 제2 등록부를 구비한다. 제1 등록부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연계부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제1 등록부에 의해 행하여지는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킨다. 제2 등록부는, 제2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거래 내용을,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으로서 제1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거래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거래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거래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점포 시스템(100), 유저 단말기(200), 점원 단말기(300) 및 중계 서버(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점포 시스템(100), 유저 단말기(200) 및 중계 서버(400)는,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다. 점원 단말기(300)도,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통신 가능해도 된다.
도 1에서는, 2개의 점포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점포 시스템(100)은, 거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각 다른 점포 A 및 점포 B에 각각 마련된다. 거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점포가 3개 이상 존재해도 되고, 점포마다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된다. 또한 이하에서, 각 점포에 마련된 점포 시스템(100)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점포 A에 마련된 점포 시스템(100)을 점포 시스템(100-1)이라고 나타내고, 점포 B에 마련된 점포 시스템(100)을 점포 시스템(100-2)이라고 나타낸다.
점포 A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점포 B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그 밖의 점포에서 거래 시스템이 이용되는 경우도, 그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점포 A 또는 점포 B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유저 단말기(200)는, 거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을 점포에서 행하는 손님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유저 단말기(200)는, 점포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하는 기능과, 통신 네트워크(500)와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유저 단말기(200)로서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유저 단말기(200)는, 손님에 의해 소유되어 있어도 되고, 점포에서 손님에게 대여되어도 된다. 유저 단말기(200)는, 손님이 조작자가 된다. 단 유저 단말기(200)는, 점원 등에 의해 손님을 대신해서 조작되는 경우도 있다. 유저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의 일례이다. 손님은, 제1 단말기의 이용자의 일례이다.
점원 단말기(300)는, 점원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점원 단말기(300)는, 점포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점원 단말기(300)로서는, 태블릿 컴퓨터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점원 단말기(300)는, 바코드 스캐너(301)를 구비한다. 바코드 스캐너(301)는, 상품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데 적합하게 구성된 판독 디바이스이다. 점원 단말기(300)는, 제2 단말기의 일례이다.
중계 서버(400)는, 점포 시스템(100)과 유저 단말기(200)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 중계 서버(400)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데이터 통신의 중계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500)로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공중 통신망, 이동체 통신망 등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500)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이동체 통신망과 인터넷 또는 VPN이 이용된다.
각 점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공통이다. 즉 점포 시스템(100)은, 점포 서버(1), 가상 POS 서버(2), 모바일 컨트롤러(3), 통신 서버(4), 회계기(5) 및 액세스 포인트(6)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해서 구성된다. 단, 점포 서버(1), 가상 POS 서버(2), 모바일 컨트롤러(3), 통신 서버(4), 회계기(5), 액세스 포인트(6) 및 점내 통신 네트워크(7)는, 후술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이 공통이면 되며,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점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점포 서버(1)는, 점포 시스템(100)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현되는 거래 처리의 대상이 된 복수의 거래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점포 서버(1)는 예를 들어, 기존의 POS 서버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가상 POS 서버(2)는,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거래마다의 구입 상품의 등록 및 당해 구입 상품의 대금 결제 등을 위한 정보 처리를 행한다. 즉 가상 POS 서버(2)는, 기존의 POS 단말기가 구비하는 기능을 가상적으로 실현한다. 가상 POS 서버(2)가 행하는 정보 처리는, 점포마다의 운영 방침의 차이에 적응하도록 커스터마이즈된다. 즉,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1)에 구비된 점포 서버(1)가 행하는 정보 처리와, 점포 시스템(100-2)에 구비된 점포 서버(1)가 행하는 정보 처리는, 일부 상이한 경우가 있다.
모바일 컨트롤러(3)는, 가상 POS 서버(2)에 의한 상기 정보 처리를, 유저 단말기(200)를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면서 행하게 하기 위한 지원을 행한다.
통신 서버(4)는, 점포 서버(1), 가상 POS 서버(2), 모바일 컨트롤러(3) 및 회계기(5)가,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중계 서버(400) 등과 데이터를 수수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회계기(5)는, 가상 POS 서버(2)에서 관리되고 있는 거래마다의 구입 상품에 관한 대금을 요구하여, 당해 대금을 손님에게 결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회계기(5)가 상기 결제를 위해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결제 방법은, 현금 결제, 신용카드 결제, 전자 화폐 결제, 포인트 결제, 코드 결제 등, 주지의 결제 방법 모두 또는 임의의 일부이면 된다. 또한, 코드 결제는, 모바일 결제 또는 스마트폰 결제 등이라고도 칭해진다. 회계기(5)는, 점원 및 손님의 누구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어도 된다. 회계기(5)로서는 예를 들어, 기존의 세미 셀프 방식의 PO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프 방식의 회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회계기(5)는, 상품을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하기 위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회계기(5)로서는 예를 들어, 기존의 PO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면식 POS 단말기 또는 기존의 셀프 방식의 PO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프식 POS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6)는, 유저 단말기(200)가 무선 통신에 의해 점내 통신 네트워크(7)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액세스 포인트(6)로서는 예를 들어, IEEE802.11 규격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주지의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6)는, 점포의 매장 어디에서도 유저 단말기(200)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점포 내에 설치된다. 점포 규모에 따라서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6)가, 1개의 점포 시스템(100)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점내 통신 네트워크(7)로서는, 인터넷, VPN, LAN, 공중 통신망, 이동체 통신망 등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전형적으로는, 점내 통신 네트워크(7)는 LAN이다.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된 점포에는, 그 입구 부근에 체크인용 2차원 코드(TCI)가 게시되고, 그 출구 부근에 체크아웃용 2차원 코드(TCO)가 게시된다. 2차원 코드(TCI)는, 체크인을 위한 체크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O)는, 체크아웃을 위한 체크아웃 데이터를 나타낸다. 체크인 데이터 및 체크아웃 데이터는 점포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점포 A용 2차원 코드(TCI, TCO)와 점포 B용 2차원 코드(TCI, TCO)를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점포 A용을 2차원 코드(TCIA, TCOA)라고 나타내고, 점포 B용을 2차원 코드(TCIB, TCOB)라고 나타낸다.
체크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1) 점포 시스템(100)의 동작 버전.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1)의 동작 버전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2)의 동작 버전을 나타낸다.
(2)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되는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업자 코드.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할당된 사업자 코드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할당된 사업자 코드를 나타낸다.
(3)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되는 점포를 식별하기 위한 점포 코드.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에 할당된 점포 코드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에 할당된 점포 코드를 나타낸다. 또한 점포 코드는, 거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점포 개개를 식별 가능한 것이어도 되고,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복수의 점포 개개를 식별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4)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되는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명칭.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명칭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명칭을 나타낸다.
(5)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되는 점포의 명칭.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의 명칭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의 명칭을 나타낸다.
(6) 2차원 코드(TCI)와 2차원 코드(TCO)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 체크인 데이터에서의 당해 플래그는, 체크인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당해 상태는, 예를 들어 "1"이다. 당해 플래그는, 모든 2차원 코드(TCI)에서 공통이다.
(7) 통신 서버(4)의 IP 어드레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1)에 포함되는 통신 서버(4)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2)에 포함되는 통신 서버(4)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8) 중계 서버(400)의 도메인명. 당해 도메인명은, 모든 2차원 코드(TCI)에서 공통이다. 단, 도메인명이 서로 다른 복수의 중계 서버(400)가 점포마다 구분지어 사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2차원 코드(TCI)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대응하는 점포에서 사용되는 중계 서버(400)의 도메인명이 나타내진다.
(9) 전자 영수증 서버의 어드레스. 전자 영수증 서버는, 도 1에 도시하는 거래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전자 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이용하는 전자 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영수증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이용하는 전자 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영수증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당해 어드레스는, 모든 2차원 코드(TCI)에서 공통이어도 되고, 복수의 어드레스의 어느 것이 2차원 코드(TCI)마다 나타내져 있어도 된다.
(10) 점포 시스템(100)과의 데이터 수수를 위해서 유저 단말기(200)가,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 및 통신 네트워크(500)와의 무선 통신의 어느 것을 이용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점포 시스템(100-1)과 유저 단말기(200)의 데이터 수수에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당해 플래그는 예를 들어 "1"이 된다.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점포 시스템(100-2)과 유저 단말기(200)의 데이터 수수에 통신 네트워크(500)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당해 플래그는 예를 들어 "0"이 된다.
(11) 액세스 포인트(6)를 식별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1)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를 식별하는 SSID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2)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의 SSID를 나타낸다.
(12) 액세스 포인트(6)에 액세스하기 위한 패스워드. 예를 들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1)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에 설정되어 있는 패스워드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2)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에 설정되어 있는 패스워드를 나타낸다.
(13) 액세스 포인트(6)가 이용하는 보안 방식의 식별 번호. 당해 식별 번호는 예를 들어, WPA2-PSK 방식에는 "1"이, WPA-PSK 방식에는 "2"가, 그리고 WEP 방식에는 "3"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1)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가 보안 방식으로서 WPA2-PSK 방식을 이용하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2)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6)가 보안 방식으로서 WPA-PSK 방식을 이용하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2"를 나타낸다.
(14) 유저 단말기(200)가 중계 서버(400)와의 접속에 실패했을 때 에러로 할지, 에러로 하지 않고 운용을 계속할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유저 단말기(200)가 중계 서버(400)와의 접속에 실패했을 때 에러로 하는 설정이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유저 단말기(200)가 중계 서버(400)와의 접속에 실패해도 운용을 계속하는 설정이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0"을 나타낸다.
(15) 유저 단말기(200)의 스테이터스에 관한 송신 모드의 식별 번호. 당해 송신 모드에는, 예를 들어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 3 모드가 있다. 당해 송신 모드의 식별 번호는 예를 들어, 제1 모드에는 "1"이, 제2 모드에는 "2"가, 제3 모드에는 "3"이 할당된다. 제1 모드에서는, 유저 단말기(200)의 스테이터스를 중계 서버(400)에 송신한다. 제2 모드에서는, 유저 단말기(200)의 스테이터스를 점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제3 모드에서는, 유저 단말기(200)의 스테이터스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송신 모드로서 제1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송신 모드로서 제2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2"를 나타낸다.
(16) 유저 단말기(200)의 로그 데이터를 축적한 로그 파일에 관한 송신 모드의 식별 번호. 당해 송신 모드에는, 예를 들어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및 제4 모드가 있다. 당해 송신 모드의 식별 번호는 예를 들어, 제1 모드에는 "1"이, 제2 모드에는 "2"가, 제3 모드에는 "3"이, 제4 모드에는 "4"가 할당된다. 제1 모드에서는, 로그 파일을 중계 서버(400)에만 송신한다. 제2 모드에서는, 로그 파일을 점포 시스템(100)에만 송신한다. 제3 모드에서는, 로그 파일을 점포 시스템(100) 및 중계 서버(400) 양쪽에 송신한다. 제4 모드에서는, 로그 파일을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송신 모드로서 제1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송신 모드로서 제2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식별 번호로서 "2"를 나타낸다.
(17) 로그 파일을,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중계 서버(400)에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의해 송신할 때 사용하는 호스트명 또는 IP 어드레스.
(18) 로그 파일을,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중계 서버(400)에 FTP에 의해 송신할 때 사용하는 유저명.
(19) 로그 파일을,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중계 서버(400)에 FTP에 의해 송신할 때 사용하는 패스워드.
(20)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중계 서버(400)에 FTP에 의해 송신하는 로그 파일의 경로 이름.
(21) 상품 코드의 일종인 UPC(universal product cord)의 검사 숫자를 삭제할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당해 검사 숫자를 삭제하지 않는 운용이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당해 검사 숫자를 삭제하는 운용이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0"을 나타낸다.
(22) 유저 단말기(200)에 있어서 카메라 화면을 자동 천이시킬 때까지의 시간.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3) 유저 단말기(200)가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점포 시스템(100)과 통신을 행할 때의 타임 아웃 시간.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4) 유저 단말기(200)와 점포 시스템(100)의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한 통신이 타임 아웃되었을 경우에 재시도를 허용하는 횟수.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횟수로서,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를 나타낸다.
(25) 유저 단말기(200)가 중계 서버(400)를 통해서 점포 시스템(100)과 통신을 행할 때의 타임 아웃 시간.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26) 유저 단말기(200)와 점포 시스템(100)의 중계 서버(400)를 통한 통신이 타임 아웃되었을 경우에 재시도를 허용하는 횟수.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횟수로서,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시간으로서,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를 나타낸다.
(27) 점원에 의한 확인이 필요한 상품을 대상으로 한 거래에 관한 확인 종료 선언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에서 사용하는 인증 데이터.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A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인증 데이터를 나타낸다.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점포 B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인증 데이터를 나타낸다. 인증 데이터는, 점포마다 다르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점포에서 동일한 인증 데이터가 설정되어도 상관없다.
(28) 점포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1)이, 거래 처리 시스템을 통상으로 운용하는 통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2)이, 거래 처리 시스템을 데모 운용하는 데모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2"를 나타낸다.
(29) 회계기(5)에의 데이터 전송의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1)이, 회계기(5)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2)이, 회계기(5)로부터의 요구 없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회계기(5)에 데이터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2"를 나타낸다.
(30) 유저 단말기(200)에서의 조작에 의한 코드 결제 방식으로의 결제를 허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당해 코드 결제가 허용되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당해 코드 결제가 허용되지 않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0"을 나타낸다.
(31) 구입자의 연령 제한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하, 연령 제한 상품이라고 칭함)의 유저 단말기(200)에서의 등록을 허용할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연령 제한 상품의 유저 단말기(200)에서의 등록이 허용되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는 당해 코드 결제가 허용되지 않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0"을 나타낸다.
(32) 포인트 회원의 회원 코드의 입력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1)이, 회원 코드를 수동 입력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시스템(100-2)이, 바코드의 판독에 의해 회원 코드를 입력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2"를 나타낸다.
(33) 포인트 회원의 회원 코드를 수동 입력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회원 코드의 입력 시에 점원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 예를 들어, 점포 A에서 당해 확인을 필요로 하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1"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에서 당해 확인을 요하지 않으면,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플래그로서 예를 들어 "0"을 나타낸다.
(34) 체크인 시에 유저 단말기(200)의 배터리 잔량의 체크를 하기 위한 역치. 당해 역치는, 점포마다 또는 사업자마다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점포 A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당해 역치를 「20%」라고 정하고 있을 경우는,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역치로서 예를 들어 "20"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 B가 당해 역치를 「25%」라고 정하고 있을 경우는, 2차원 코드(TCIB)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는 당해 역치로서 예를 들어 "25"를 나타낸다.
이상이, 체크인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보의 예이다. 단, 체크인 데이터는, 이상에 나타낸 각종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체크인 데이터는, 이상에 나타낸 각종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도 2는 점포 서버(1)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점포 서버(1)는,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통신 인터페이스(14) 및 전송로(1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및 통신 인터페이스(14)는, 전송로(15)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및 보조 기억 유닛(13)이 전송로(15)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점포 서버(1)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가 구성된다.
프로세서(1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점포 서버(1)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세서(1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순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SPLD),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의 처리 회로이면 된다. 프로세서(11)는, 단일한 처리 회로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처리 회로를 조합해서 프로세서(11)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프로세서도 마찬가지이다.
메인 메모리(12)는, 휘발성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판독 전용 메모리, 불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면 된다. 메인 메모리(12)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프로세서(11)는, 메인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12)에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대신에, 프로세서(11) 내에 프로그램을 직접 내장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프로세서(11)는, 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소정의 기능은, 프로세서(1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뿐만 아니라, 논리 회로의 조합에 의해 당해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보조 기억 유닛(13)은,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보조 기억 유닛(13)으로서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혹은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주지의 기억 디바이스를 사용한 기억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보조 기억 유닛(13)은, 프로세서(11)가 각종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이터, 혹은 프로세서(11)에서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보조 기억 유닛(13)은,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4)는, 점내 통신 네트워크(7)에 접속된 각 부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4)로서는, 예를 들어 LAN용의 주지의 통신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전송로(15)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및 제어 신호선 등을 포함하고, 접속된 각 부의 사이에 수수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로(15)는, 시리얼 전송로이어도, 패럴렐 전송로이어도 된다.
보조 기억 유닛(13)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하나인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을 기억한다.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점포 서버(1)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은, 점포마다, 혹은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마다의 점포 운영 방침에 적응해서 제작된 각각 별도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포 A와 점포 B에서 매출 데이터의 관리 방법이 다르면, 점포 시스템(100-1)에서 사용되는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은, 점포 A에서의 매출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적응한 매출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고, 점포 시스템(100-2)에서 사용되는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은, 점포 B에서의 매출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적응한 매출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된다.
보조 기억 유닛(1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데이터베이스군(DBAA)을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데이터베이스군(DBAA)은, 각종 정보 관리를 위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군(DBAA)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하나는, 점포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관리하기 위한 상품 데이터베이스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의 집합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레코드에는, 상품 코드, 가격 및 상품명 등의, 관련지어진 상품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품 코드는, 상품을 SKU(stock keeping unit)마다 식별하기 위해서 정해진 식별자이며, 예를 들어 JAN(Japanese article number) 코드가 사용된다. 상품명은, 상품을 인간이 구별하기 쉽도록 정해진 명칭이다. 가격은, 상품의 판매 대가가 되는 금액이다.
데이터베이스군(DBAA)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하나는, 점포의 이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로서 등록된 손님에게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의 집합이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레코드에는, 이용자 코드 및 이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속성 정보 등의, 관련지어진 손님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용자 코드는, 이용자를 개개로 식별하기 위해서 손님마다 정해진 고유한 식별 코드이다. 속성 정보는, 성명, 성별, 연령, 주소,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레코드에는, 이용자가 신고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결제 정보는, 크레디트 번호 또는 코드 결제 ID(identifier) 등이다. 또한 복수의 결제 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결제 정보에 결제 방법을 식별하기 위한 결제 방법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포의 경우에는, 포인트 서비스의 ID 및 보유 포인트수 등을 결제 정보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군(DBAA)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하나는,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이다.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는, 점포 내에서 사용되는 점원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의 단말기 코드를 각각 나타낸다.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어 점포에서 점원 단말기(300)로서 정해진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가 미리 세트된다. 혹은, 점원 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점원의 인증을 행하고, 미리 정해진 점원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가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세트되는 것이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군(DBAA)은, 점원 단말기(300)로부터 점포 시스템(100)에 대한 액세스가 있을 경우, 액세스를 행한 단말기가 점원용으로서 정해진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는, 제2 단말기의 식별자의 일례이다.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는, 점원 단말기(3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이밖에, 데이터베이스군(DBAA)에는, 기존의 POS 시스템에서의 POS 서버에서 관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군(DBAA)이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지, 혹은 그러한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데이터를 어떤 구조로 포함하고 있는지는, 점포마다 정해져도 된다.
도 3은 가상 POS 서버(2)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가상 POS 서버(2)는, 프로세서(21), 메인 메모리(22), 보조 기억 유닛(23), 통신 인터페이스(24) 및 전송로(2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 메인 메모리(22), 보조 기억 유닛(23) 및 통신 인터페이스(24)는, 전송로(25)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 메인 메모리(22) 및 보조 기억 유닛(23)이 전송로(25)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가상 POS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가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21), 메인 메모리(22), 보조 기억 유닛(23), 통신 인터페이스(24) 및 전송로(25)의 기능의 개략은,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통신 인터페이스(14) 및 전송로(15)와 동등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보조 기억 유닛(23)은,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 대신에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을 기억한다.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가상 POS 서버(2)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점포마다, 혹은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마다의 점포 운영 방침에 적응해서 제작된 각각 별개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포 A에서는, 점포 B에서는 행하여지지 않는 할인 서비스를 행하는 것이면, 점포 시스템(100-1)에서 사용되는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당해 할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고, 점포 시스템(100-2)에서 사용되는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당해 할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이 보조 기억 유닛(23)에 기억되지 않는 상태의 하드웨어와,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개별로 제공된다. 그리고, 임의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보조 기억 유닛(23)에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이 기입된다. 혹은, 가상 POS 서버(2)는, 보조 기억 유닛(23)에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이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리무버블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기억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보조 기억 유닛(2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데이터베이스군(DBAA) 대신에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를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는, 점내에서 쇼핑 중인 손님과의 거래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의 집합이다.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의 데이터 레코드에는, 거래 코드와,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 완료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포함한다. 거래 코드는, 거래 개개를 식별하기 위해서 거래마다 설정된 고유한 식별 코드이다. 상품 데이터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 등을 나타낸다.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의 구조는, 점포마다, 혹은 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자마다의 점포 운영 방침에 적응해서 개별로 정해져도 된다. 구입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는,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의 일례이다. 거래 코드는, 손님(이용자)에 의한 상품의 구입(거래)을 식별하는 거래 식별자의 일례이다. 거래 코드는, 어떤 거래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보조 기억 유닛(2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제1 기억부의 일례이다.
도 4는 모바일 컨트롤러(3)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컨트롤러(3)는,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보조 기억 유닛(33), 통신 인터페이스(34) 및 전송로(3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보조 기억 유닛(33) 및 통신 인터페이스(34)는, 전송로(35)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및 보조 기억 유닛(33)이 전송로(35)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모바일 컨트롤러(3)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가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31), 메인 메모리(32), 보조 기억 유닛(33), 통신 인터페이스(34) 및 전송로(35)의 기능의 개략은,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통신 인터페이스(14) 및 전송로(15)와 동등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보조 기억 유닛(33)은, 점포 관리 애플리케이션(APAA) 대신에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기억한다.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입 상품의 등록을 지원하기 위한 후술하는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은, 각 점포 시스템(100)에서 공통이다. 단,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를 위한 각종 설정은, 점포 시스템(100)마다 커스터마이즈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이 보조 기억 유닛(33)에 기억되지 않는 상태의 하드웨어와,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이 개별로 제공된다. 그리고, 임의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보조 기억 유닛(33)에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이 기입된다. 혹은, 모바일 컨트롤러(3)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이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리무버블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기억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억 유닛(3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데이터베이스군(DBAA) 대신에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 및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 및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의 구조는, 각 점포 시스템(100)에서 공통이다.
도 5는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DRA)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는, 점내에서 손님이 이용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A)의 집합이다. 이 때문에, 점내에서 유저 단말기(200)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이 1명일 때는,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는 데이터 레코드(DRA)를 1개 포함한다. 또한 점내에서 유저 단말기(200)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이 1명도 없을 때는,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는 데이터 레코드(DRA)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 레코드(DRA)는, 필드(FAA, FAB, FAC)를 포함한다.
필드(FAA)에는, 관련지어진 유저 단말기(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단말기 코드가 세트된다. 단말기 코드로서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200)로서 이용되는 통신 단말기 개개를 식별하기 위해서 통신 단말기마다 설정된 고유한 식별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단말기 코드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을 유저 단말기(200)에 인스톨할 때 당해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정되는 식별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식별자의 일례이다.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는, 유저 단말기(2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필드(FAB)에는, 관련지어진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하고 있는 손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회원 코드가 세트된다. 필드(FAC)에는, 관련지어진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거래 코드가 세트된다.
데이터 레코드(DRA)는, 제1 단말기와 거래의 관련지음의 일례이다. 또한,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를 기억하는 보조 기억 유닛(3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제2 기억부의 일례이다.
도 6은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DRB)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에 연계하고 있는 점원 단말기(300)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B)의 집합이다. 이 때문에, 연계하고 있는 점원 단말기(300)가 1개만일 때는,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는 데이터 레코드(DRB)를 1개만 포함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200)에 연계하고 있는 점원 단말기(300)가 1개도 없을 때는,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는 데이터 레코드(DRB)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 레코드(DRB)는, 필드(FBA, FBB)를 포함한다.
필드(FBA)에는, 관련지어진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가 세트된다. 필드(FBB)에는, 관련지어진 점원 단말기(300)가 연계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가 세트된다. 데이터 레코드(DRB)는, 유저 단말기(200)(제1 단말기)와 점원 단말기(300)(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의 일례이다. 또한,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기억하는 보조 기억 유닛(33)의 기억 영역의 일부는, 제3 기억부의 일례이다.
도 7은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 포함되는 데이터 레코드(DRC)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는, 점내에서 쇼핑 중인 손님과의 거래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의 집합이다. 그리고 데이터 레코드(DRC)는, 필드(FCA, FCB)를 포함한다. 데이터 레코드(DRC)는 또한, 필드(FCC, FCD, …)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FCA)에는, 관련지어진 거래의 거래 코드가 세트된다. 이 거래 코드는, 관련지어진 거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A)의 필드(FAB)에 세트된 거래 코드와 동일하다. 필드(FCB)에는, 관련지어진 거래에 관해서 시도된 상품 등록에 관한 등록 데이터가 세트된다. 등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 레코드(DRC)에는, 관련지어진 거래에 관해서 2개 이상의 구입 상품의 등록이 시도되었을 경우에, 필드(FCC) 이후의 필드가 포함된다. 그리고 필드(FCC) 이후의 필드에도, 필드(FCB)와 마찬가지의 등록 데이터가 세트된다.
도 8은 유저 단말기(20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유저 단말기(200)는, 프로세서(201), 메인 메모리(202), 보조 기억 유닛(203), 터치 패널(204), 카메라(205), 사운드 유닛(206), 센서군(207), 무선 통신 유닛(208), 모바일 통신 유닛(209) 및 전송로(210) 등을 구비한다. 프로세서(201)와, 메인 메모리(202), 보조 기억 유닛(203), 터치 패널(204), 카메라(205), 사운드 유닛(206), 센서군(207), 무선 통신 유닛(208) 및 모바일 통신 유닛(209)은, 전송로(210)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01), 메인 메모리(202) 및 보조 기억 유닛(203)이 전송로(210)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유저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가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201), 메인 메모리(202), 보조 기억 유닛(203) 및 전송로(210)의 기능의 개략은,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및 전송로(15)와 동등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패널(204)은, 유저 단말기(200)의 입력 디바이스 및 표시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카메라(205)는, 광학계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시야 내의 상을 나타낸 화상 데이터를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생성한다.
사운드 유닛(206)은, 음성 및 멜로디 등의 각종 사운드를 출력한다.
센서군(207)은, 각속도 센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닛(208)은, 액세스 포인트(6)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수한다. 무선 통신 유닛(208)으로서는, 예를 들어 IEEE802.11 규격에 준거한 주지의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유닛(209)은,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한 데이터 통신의 인터페이스이다. 모바일 통신 유닛(209)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주지의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억 유닛(203)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하나인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을 기억한다.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2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유저 단말기(200)를 점포 시스템(100)의 손님용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은, 복수의 유저 단말기(200)에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도 9는 점원 단말기(300)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점원 단말기(300)는, 바코드 스캐너(301) 이외에, 프로세서(302), 메인 메모리(303), 보조 기억 유닛(304), 터치 패널(305), 사운드 유닛(306), 무선 통신 유닛(307) 및 전송로(308) 등을 구비한다. 프로세서(302)와, 바코드 스캐너(301), 메인 메모리(303), 보조 기억 유닛(304), 터치 패널(305), 사운드 유닛(306) 및 무선 통신 유닛(307)은, 전송로(308)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02), 메인 메모리(303) 및 보조 기억 유닛(304)이 전송로(308)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점원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가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302), 메인 메모리(303), 보조 기억 유닛(304), 터치 패널(305), 사운드 유닛(306), 무선 통신 유닛(307) 및 전송로(308)의 기능의 개략은, 프로세서(11), 메인 메모리(12), 보조 기억 유닛(13), 터치 패널(204), 사운드 유닛(206) 및 무선 통신 유닛(208) 및 전송로(15)와 동등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조 기억 유닛(304)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하나인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을 기억한다.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302)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점원 단말기(300)를 점포 시스템(100)의 점원용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정보 처리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은, 점원 단말기(300)에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점원 단말기(300)의 하드웨어로서는, 예를 들어 범용의 태블릿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이 보조 기억 유닛(304)에 기억되지 않는 상태, 혹은 동종의 별도 버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 유닛(304)에 기억된 상태의 하드웨어와,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은, 개별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임의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보조 기억 유닛(304)에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이 기입됨으로써, 점원 단말기(300)가 구성된다. 또한, 점원 단말기(300)는, 보조 기억 유닛(304)에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이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거래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처리의 내용은 일례이며, 일부 처리 순서 변경, 일부 처리 생략, 혹은 다른 처리의 추가 등은 적절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처리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그 에러에 대처하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처리의 일부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거래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의해 손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스마트폰 POS 서비스라고 칭한다.
스마트폰 PO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기(200)가 점포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수수하는데, 그것을 위한 통신에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 및 통신 네트워크(500)와의 무선 통신의 어느 것을 이용할지는, 체크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의 상태에 의해 정해진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회계기(5)에서 회계를 행하게 하기 위해서 가상 POS 서버(2)로부터 회계기(5)에의 데이터 전송을, 회계기(5)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모드와, 회계기(5)로부터의 요구 없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회계기(5)에 데이터 전송하는 모드의 어느 것을 이용할지는, 체크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의 상태에 의해 정해진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회계기(5)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모드가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손님은, 스마트폰 PO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에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을 인스톨하여, 유저 단말기(200)로서 이용 가능하게 해 둔다. 혹은, 손님은, 태블릿 컴퓨터 등에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을 인스톨해서 구성된 유저 단말기(200)를 점포에서 빌린다. 그리고 손님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를 기동한 상태의 유저 단말기(200)를 갖고, 점포 시스템(100)이 마련된 어느 것의 점포에 들어간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200)에 있어서 프로세서(201)는,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을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프로세서(201)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하는 ACT 101로서 프로세서(201)는, 메인 메뉴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메인 메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메인 메뉴 화면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에 기초해서 행해야 하는 몇 가지의 처리의 어느 것의 지정을 받기 위한 화면이다. 메인 메뉴 화면에는, 쇼핑의 개시를 지정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GUI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GUI 요소는, 예를 들어 소프트 키이다.
ACT 102로서 프로세서(201)는, 쇼핑의 개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03으로 진행한다.
ACT 103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쇼핑의 개시 이외의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02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02 및 ACT 103으로서는, 메인 메뉴 화면에서의 어떠한 지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쇼핑의 개시 이외의 지정이 이루어졌으면, ACT 103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지정된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이 경우의 프로세서(201)의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님은, 점포에 들어가서 쇼핑을 개시할 경우에는, 메인 메뉴 화면에서 쇼핑의 개시를 지정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한다.
프로세서(201)는, 쇼핑의 개시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예를 들어 터치 패널(204)에서 검출되면, ACT 102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04로 진행한다.
ACT 104로서 프로세서(201)는, 체크인용 스캔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체크인용 스캔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체크인용 스캔 화면은, 체크인용 2차원 코드(TCI)를 판독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화면이다.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카메라(205)를 기동하여, 이에 의해 카메라(205)에서 얻어진 화상에, 2차원 코드(TCI)를 판독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문자 메시지와, 2차원 코드(TCI)를 갖다 대어야 하는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라인을 겹쳐서 스캔 화면을 생성한다.
손님은, 스캔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었으면, 점포의 입구 부근에 게시되어 있는 2차원 코드(TCI)가 스캔 화면에 찍히도록 카메라(205)를 2차원 코드(TCI)를 향하게 한다.
ACT 105로서 프로세서(201)는, 2차원 코드가 판독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카메라(205)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반복해서 해석하여, 2차원 코드의 판독을 시도한다. 이 2차원 코드의 판독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되고, 2차원 코드의 판독용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2차원 코드가 판독되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06으로 진행한다.
ACT 10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판독한 2차원 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가 체크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체크인 데이터가 아니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05로 돌아간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잘못된 2차원 코드가 판독된 것을 손님에게 통지하는 화면을 터치 패널(204)에 표시시켜도 된다.
프로세서(201)는, 판독한 2차원 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가 체크인 데이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ACT 106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07로 진행한다. ACT 107로서 프로세서(201)는, 판독한 체크인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202) 또는 보조 기억 유닛(203)에 보존한다.
ACT 108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체크인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201)는, 체크인 데이터에 나타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유닛(208)과 액세스 포인트(6)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예를 들어 점포 A에서 2차원 코드(TCIA)에 손님에 의해 카메라(205)가 향해졌으면, 2차원 코드(TCIA)가 나타내는 체크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01)는, 점포 시스템(100-1)에 마련된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서, 체크인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앞으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포 시스템(100-1)에 마련된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요구 데이터는, 점포 시스템(100-1)에 마련된 액세스 포인트(6) 및 점내 통신 네트워크(7)를 통해서, 점포 시스템(100-1)에 마련된 모바일 컨트롤러(3)에 전송된다. 또한 프로세서(201)는, 체크인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에는, 체크인의 요구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와, 자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는, 손님이 스마트폰 POS 서비스의 이용 등록자이며, 회원 코드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회원 코드도 요구 데이터에 포함한다. 회원 코드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200)의 보조 기억 유닛(203)에서 기억된다.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손님을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 등의 기타 데이터를 요구 데이터에 포함해도 된다.
또한, 이후에서 설명하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의 각종 요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요구의 이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요구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6) 및 점내 통신 네트워크(7)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보냄으로써 실현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체크인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되면,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의 실행을 개시하여, 체크인하려고 하고 있는 손님과의 거래에 관한 정보 처리(이하, 거래 처리라고 칭함)를 행한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은, 프로세서(31)가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거래 처리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31)는, 체크인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당해 거래 처리를 개시한다. 다른 요구에 기초해서 개시한 거래 처리를 이미 실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것에 병행해서 새로운 거래 처리를 개시한다. 즉 프로세서(31)는, 복수의 유저 단말기(200)를 각각 대상으로 해서 거래 처리를 복수 병행하여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단순히 「유저 단말기(200)」라고 나타낼 경우에는, 설명 중의 거래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유저 단말기(200)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4의 ACT 201로서 프로세서(31)는, 체크인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가상 POS 서버(2)에 거래의 개시를 요구하여, 거래 코드의 통지를 받는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코드를 필드(FAA)에 세트한 새로운 데이터 레코드(DRA)를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에 추가한다. 프로세서(31)는, 요구 데이터에 회원 코드가 포함되면, 당해 회원 코드를, 새로운 데이터 레코드(DRA)의 필드(FAB)에 세트한다. 프로세서(31)는, 상기 통지된 거래 코드를, 새로운 데이터 레코드(DRA)의 필드(FAC)에 세트한다. 이에 의해, 체크인을 요구한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거래의 관리가 개시된다.
또한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거래의 개시가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요구되었으면, 미리 정해진 룰에 따라서 거래 코드를 결정하고, 그 거래 코드에 관련지은 구입 상품의 등록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21)는, 결정한 거래 코드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통지한다.
ACT 202로서 프로세서(31)는, 체크인 처리를 정상적으로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어떠한 이상에 의해 체크인 처리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없었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3으로 진행한다.
ACT 203으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에러를 통지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에러 통지를 위한 통지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프로세서(31)는, 에러의 통지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통지 데이터에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에러의 원인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를 통지 데이터에 포함해도 된다.
또한, 이후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유저 단말기(200)에의 각종 통지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통지의 이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통지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유저 단말기(200)에 보냄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거래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세서(31)는 한편, 체크인 처리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었으면 ACT 202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204로 진행한다.
ACT 204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체크인 완료를 통지한다.
유저 단말기(200)에 있어서 프로세서(201)는, 도 10 중의 ACT 108에서 체크인을 요구한 후에는, ACT 109로 진행한다.
ACT 109로서 프로세서(201)는, 체크인 완료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당해 통지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0으로 진행한다.
ACT 110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체크인의 에러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당해 통지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09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09 및 ACT 110으로서는, 체크인의 완료 또는 에러가 통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에러 통지를 위한 통지 데이터가 무선 통신 유닛(208)에 의해 수신되었으면 ACT 110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1로 진행한다.
ACT 111로서 프로세서(201)는, 에러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에러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에러 화면은, 체크인할 수 없는 것을 손님에게 통보하는 것으로서 정해진 화면이다.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에러 화면 중에 나타낸 GUI 요소의 조작 등에 의해 에러 화면의 표시 해소가 지시되었으면, ACT 101로 돌아간다.
프로세서(201)는 한편, 상술한 체크인 완료의 통지를 위한 통지 데이터가 무선 통신 유닛(208)에 의해 수신되었으면 ACT 10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1 중의 ACT 112로 진행한다.
ACT 112로서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일람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람 화면은, 등록 완료된 구입 상품의 일람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7은, 손님에 대하여 제시되는 일람 화면(SC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람 화면(SCA)은, 표시 에어리어(ARAA, ARAB) 및 버튼(BUAA, BUAB, BUAC, BUAD)을 포함한다. 표시 에어리어(ARAA)는, 구입 상품의 총수와, 구입 상품의 대금 총액을 나타낸다. 표시 에어리어(ARAB)는, 구입 상품의 일람을 나타낸다. 버튼(BUAA)은, 구입 상품 모두를 취소하고 쇼핑을 중지하는 것을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버튼(BUAB)은,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하는 상품의 스캔을 개시하는 것을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버튼(BUAC)은, 회계를 개시하는 것을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버튼(BUAD)은, 후술하는 도움 서비스를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일람 화면(SCA)은, 아직 구입 상품의 등록이 행하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에어리어(ARAA)에는 총수 및 총액으로서 모두 "0"을 나타내고, 표시 에어리어(ARAB)에는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1 중의 ACT 113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도움 서비스의 개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4로 진행한다.
ACT 114로서 프로세서(201)는, 상품의 스캔 개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5로 진행한다.
ACT 115로서 프로세서(201)는, 수량의 변경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6으로 진행한다.
ACT 11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쇼핑의 중지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7로 진행한다.
ACT 117로서 프로세서(201)는, 회계의 개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8로 진행한다.
ACT 118로서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시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13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13 내지 ACT 118로서는, 도움 개시, 스캔 개시, 수량, 중지 및 회계 개시의 어느 것이 지정되는지, 일람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모바일 컨트롤러(3)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도 14 중의 ACT 204에서 체크인 완료 통지를 행한 후에는, ACT 205로 진행한다.
ACT 205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가 구입하는 상품의 등록을 요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6으로 진행한다.
ACT 206으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가 수량 변경을 요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7로 진행한다.
ACT 207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가 구입 상품의 삭제를 요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8로 진행한다.
ACT 208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가 구입 상품의 취소를 요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9로 진행한다.
ACT 209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가 회계를 요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05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31)는 ACT 205 내지 ACT 209로서는, 유저 단말기(200)가 등록, 수량 변경, 삭제, 취소 및 회계의 어느 것을 요구하는 것을 기다린다.
손님은, 상품을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하면, 일람 화면(SCA)에서의 버튼(BUAB)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스캔 개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도 11 중의 ACT 114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9로 진행한다.
ACT 119로서 프로세서(201)는, 등록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등록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다시 생성한다. 등록 화면은,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하는 상품의 상품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화면이다.
도 18은, 손님에 대하여 제시되는 등록 화면(SC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등록 화면(SCB)은, 표시 에어리어(ARBA), 메시지(MEBA) 및 버튼(BUBA)을 포함한다. 표시 에어리어(ARBA)는, 카메라(205)에서 얻어진 화상을 표시한다. 메시지(MEBA)는,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문자 메시지이다. 버튼(BUBA)은, 상품 코드의 스캔을 중지하는 것을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카메라(205)를 기동하여, 이에 의해 카메라(205)에서 얻어진 화상에, 표시 에어리어(ARBA)의 범위를 나타내는 라인과, 메시지(MEBA) 및 버튼(BUBA)을 나타낸 화상을 겹쳐서 등록 화면(SCB)을 생성한다.
도 11 중의 ACT 120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바코드가 판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카메라(205)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해석하여, 바코드의 판독을 시도한다. 이 바코드의 판독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되고, 바코드의 판독용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21로 진행한다.
ACT 121로서 프로세서(201)는, 스캔의 중지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20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20 및 ACT 121로서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지, 스캔 중지가 지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손님은, 금회의 스캔은 행하지 않고 일람 화면(SCA)의 표시 상태로 돌아갈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버튼(BUBA)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스캔 중지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21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2로 돌아간다. 이 경우에는, 구입 상품의 등록 상태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201)는, 삭제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한 상태의 일람 화면(SCA)이 터치 패널(204)에 다시 표시되도록, 삭제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어 있었던 것과 동일한 상태의 일람 화면(SCA)의 화상 데이터를 다시 생성한다.
손님은, 등록 화면(SCB)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었으면,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하려고 하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가 표시 에어리어(ARBA)에 찍히도록 카메라(205)를 상품을 향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20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22로 진행한다.
ACT 122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등록을 요구한다. 프로세서(201)는, 여기에서 송신하는 요구 데이터에는, 판독한 바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바코드 데이터라고 칭함)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구입 상품의 등록이 요구되었으면 도 14 중의 ACT 205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210으로 진행한다.
ACT 210으로서 프로세서(31)는, 가상 POS 서버에 대하여, 거래 코드를 통지함과 함께, 등록 요구(요구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등록 요구를 행하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를 사용해서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를 참조하여, 유저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거래 코드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해도 되고, 어떠한 처리에 의한 변환 후의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단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바코드 데이터는, 가상 POS 서버(2)에 통지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을 실행함으로써,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바코드 데이터가, 기존의 POS 단말기에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판독된 것이라고 간주하고, 기존의 POS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구입 상품의 등록을 시도한다. 단, 어떠한 사정에 의해, 바코드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품 코드가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상품에는, 상품 코드를 나타내는 것과는 다른 바코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프로세서(21)는, 구입 상품의 등록을 행할 수 없어, 에러로 한다.
이렇게 해서, 모바일 컨트롤러(3)의 프로세서(31)에 의한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등록 요구의 전송과, 이 등록 요구에 기초하는 가상 POS 서버(2)의 프로세서(21)에 의한 구입 상품의 등록에 의해, 제1 단말기의 일례인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진 상품 데이터가, 유저 단말기(200)의 이용자(손님)가 구입하는 상품으로서, 가상 POS 서버(2)의 보조 기억 유닛(23) 내의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기억된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1)가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을 실행함과 함께, 프로세서(31)가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2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가상 POS 서버(2))와 프로세서(3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모바일 컨트롤러(3))에 의해, 제1 등록부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프로세서(21)는, 이러한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프로세서(21)는, 구입 상품의 등록을 올바르게 행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정규 등록의 통지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와, 등록한 상품의 상품 코드, 상품명 및 가격을 결과 데이터에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21)는, 에러로 한 경우에는, 에러의 통지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와, 등록 요구로 보내져 온 바코드 데이터를 결과 데이터에 포함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ACT 210에서 등록 요구를 전송한 뒤에, ACT 211로 진행한다.
ACT 211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해서 가상 POS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한다.
ACT 212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갱신한다. 이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의 갱신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행하여진다.
제1 케이스: 정규 등록의 통지이며,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 등록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케이스에서 프로세서(31)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이미 존재하는 최후의 필드 다음에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여, 당해 필드에 새로운 등록 데이터를 추가한다. 프로세서(31)는, 새로운 등록 데이터에는, 통지된 상품 코드와, 에러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0"으로 한 에로 플래그와, 통지된 상품명 및 가격과, "1"로 한 개수와, 취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0"으로 한 취소 플래그를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이 케이스에서 추가되는 등록 데이터는, 도 6의 우측 상단측에 나타내지는 구조가 된다.
제2 케이스: 정규 등록의 통지이며,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 등록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만, 당해 등록 데이터의 취소 플래그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1"로 되어 있을 경우.
이 케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상기 제1 케이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제3 케이스: 정규 등록의 통지이며,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 등록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등록 데이터의 취소 플래그가 "0"으로 되어 있을 경우.
이 케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하고, 취소 플래그가 "0"으로 되어 있는 등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개수의 값을, 1개 큰 값으로 고쳐 쓴다.
제4 케이스: 에러의 통지일 경우.
이 케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이미 존재하는 최후의 필드 다음에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여, 당해 필드에 새로운 등록 데이터를 추가한다. 프로세서(31)는, 새로운 등록 데이터에는, 통지된 바코드 데이터와, 에러를 나타내는 "1"로 한 에러 플래그를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이 케이스에서 추가되는 등록 데이터는, 도 6의 우측 하단측에 나타내지는 구조가 된다.
이렇게 프로세서(31)에 의해 갱신됨으로써,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는, 가상 POS 서버(2)에서 등록 완료된 구입 상품의 리스트를 나타냄과 함께, 이에 더하여 에러가 된 바코드 판독을 기록한 것이 된다.
또한 프로세서(31)는, 등록 요구로 보내져 온 바코드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해 두고, 상기 제4 케이스에서는, 이 보존되어 있는 바코드 데이터를 등록 데이터에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결과 데이터에 바코드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31)는, 보존되어 있는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상품 코드를 취출하여, 이 상품 코드에 기초해서 제1 내지 제3 케이스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상품명 및 가격은, 프로세서(31)가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점포 서버(1) 등으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프로세서(31)는 이 후에, ACT 213으로 진행한다.
ACT 213으로서 프로세서(31)는, 일람 화면(SCA)의 표시를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지시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일람 화면(SCA)의 표시 지시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지시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프로세서(31)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에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서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지시 데이터에 포함한다.
또한, 이후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유저 단말기(200)에의 각종 지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시의 이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지시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유저 단말기(200)에 보냄으로써 실현된다.
이 후 프로세서(31)는, ACT 205 내지 ACT 209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1 중의 ACT 122에서 등록을 요구한 뒤에, ACT 123으로 진행한다.
ACT 123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SCA)의 표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람 화면(SCA)의 표시가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지시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2로 돌아가서, 다시 일람 화면(SCA)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일람 화면(SCA)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SCA)을, 지시 데이터에 포함된 구입 상품의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한다.
이 때문에, 손님은 스캔 개시 지정을 반복하여, 등록하려고 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순차적으로 유저 단말기(200)에 판독시킴으로써, 상품을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해 나갈 수 있다.
도 19는, 손님에 대하여 제시되는, 등록 완료인 구입 상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람 화면(SC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일람 화면(SCA)은, 상품명이 "AAA"이며, 가격이 120엔인 상품이 1개, 상품명이 "BBB"이며, 가격이 98엔인 상품이 2개, 그리고 상품명이 "CCC"이며, 가격이 1,024엔인 상품이 1개,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 완료인 경우의 예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일람 화면(SCA)에서는, 표시 에어리어(ARAB)에는, 이들 등록 완료된 상품에 관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시 에어리어(ARAA)에는, 총수로서 "4"를 나타냄과 함께, 총액으로서 "1,340"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품명의 좌측 파선으로 둘러싸인 에어리어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에어리어를 나타낸다. 당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파선은, 실제로는 일람 화면(SCA)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유저 단말기(200)의 카메라(205)는, 많은 경우, 바코드의 판독을 위해서 최적화된 판독 디바이스가 아니다. 이 때문에, 바코드를 판독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또한, 바코드가 상품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손님은, 유저 단말기(200)에서의 바코드 판독을 능숙하게 행할 수 없을 경우 등에 있어서, 점원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람 화면(SCA)에서의 버튼(BUAD)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도움 서비스를 지정한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이렇게 도움 서비스가 지정되었으면 도 11 중의 ACT 113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24로 진행한다.
ACT 124로서 프로세서(201)는, 연계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연계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0은, 손님에 대하여 제시되는 연계 화면(SCC)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계 화면(SCC)은, 메시지(MECA), 바코드(BCCA) 및 버튼(BUCA)을 포함한다. 메시지(MECA)는, 연계 화면(SCC)을 점원에게 제시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문자 메시지이다. 바코드(BCCA)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를 포함한 바코드 데이터를 나타낸다. 버튼(BUCA)은, 표시 화면을 일람 화면으로 되돌리는 것을 손님이 지정하기 위한 소프트 키이다.
손님은, 점원을 불러서 연계 화면(SCC)을 제시한다. 연계 화면(SCC)은, 그 손님의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행하여지고 있는 거래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점원 단말기(300)와 연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점원은, 연계 화면(SCC)의 제시를 받으면, 점원 단말기(300)의 연계 기능을 기동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연계 기능이 기동되면,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을 실행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도 21은, 프로세서(302)가 점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EA)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정보 처리의 흐름도이다.
ACT 301로서 프로세서(302)는, 안내 화면이 터치 패널(305)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305)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안내 화면은, 손님이 제시한 연계 화면(SCC)에 나타내진 바코드(BCCA)를 스캔하도록 점원에게 촉구하는 화면이다.
점원은 안내 화면에 따라서, 손님이 제시한 연계 화면(SCC)에 나타내진 바코드(BCCA)를 바코드 스캐너(301)에 스캔시킨다. 바코드 스캐너(301)는 바코드(BCCA)를 스캔하면, 바코드(BCCA)가 나타내는 바코드 데이터를 프로세서(302)에 통지한다.
또한, 손님은, 연계 화면(SCC)에 나타내진 바코드(BCCA)가 스캔되면, 버튼(BUCA)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돌아가기를 지시한다. 또한 손님은, 도움 서비스의 이용을 그만 둘 경우에는, 점원에게 연계 화면(SCC)을 제시하지 않고 돌아가기를 지시한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연계 화면(SCC)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도 11 중의 ACT 125로 진행한다.
ACT 125로서 프로세서(201)는, 돌아가기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기와 같이 돌아가기가 지시되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2로 돌아가서, 그 이후를 상술과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도 21 중의 ACT 301에서 안내 화면을 터치 패널에 표시한 뒤에, ACT 302으로 진행한다.
ACT 302로서 프로세서(302)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가 취득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스캐너(301)로부터 바코드 데이터가 통지되면, 이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된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를 취득한 것이 되므로, "예"라고 판정해서 ACT 303으로 진행한다.
ACT 303으로서 프로세서(302)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행하여지고 있는 구입 상품(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와의 연계를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302)는, 미리 정해진 통신 설정에 따라서 무선 통신 유닛(307)과 액세스 포인트(6)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액세스 포인트(6)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서, 연계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앞으로 송신한다. 이 요구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6) 및 점내 통신 네트워크(7)를 통해서 모바일 컨트롤러(3)에 전송된다. 프로세서(302)는, 연계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에는, 연계의 요구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와, 상기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된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 설명하는 점원 단말기(300)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의 각종 요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요구의 이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요구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6) 및 점내 통신 네트워크(7)를 통해서 점원 단말기(300)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보냄으로써 실현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 있어서 프로세서(31)는, 연계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되면,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실행하여,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행하여지고 있는 구입 상품의 등록 처리에 점원 단말기(300)를 연계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이하, 연계 처리라고 칭함)를 개시한다.
도 22는 프로세서(31)가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연계 처리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31)는, 연계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당해 연계 처리를 개시한다. 프로세서(31)는, 다른 점원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해서 개시한 연계 처리를 이미 실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에 병행해서 새로운 연계 처리를 개시한다. 즉 프로세서(31)는, 복수의 점원 단말기(300)를 각각 대상으로 해서 연계 처리를 복수 병행하여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연계 처리에 관한 설명에서는, 단순히 「점원 단말기(300)」라고 나타낼 경우에는, 설명 중의 연계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점원 단말기(300)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ACT 401로서 프로세서(31)는, 요구원이 점원 단말기(30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연계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의 송신원의 단말기 코드로 식별되는 단말기가 점원 단말기(300)인지 여부를, 점포 서버(1)에 조회한다. 점포 서버(1)는, 조회된 단말기 코드를 사용해서 점포 서버(1)의 보조 기억 유닛(13)에 기억된 데이터베이스군(DBAA)의 일부인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당해 단말기 코드가 점원용으로서 정해진 단말기의 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조회된 단말기 코드가 점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면 점원 단말기(300)인 것을, 또한 포함되지 않으면 점원 단말기(300)가 아닌 것을 모바일 컨트롤러(3)에 통지한다. 그래서 프로세서(31)는, 점원 단말기(300)가 아닌 것이 점포 서버(1)로부터 통지되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402로 진행한다.
ACT 402로서 프로세서(31)는, 연계 거부를 점원 단말기(300)에 대하여 통지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연계 거부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통지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점원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이것으로써 연계 처리를 종료한다. 즉 이 경우에 프로세서(31)는, 점원 단말기(300)를 유저 단말기(200)에 연계시키지 않는다.
프로세서(31)는 한편, 점원 단말기(300)인 것이 점포 서버(1)로부터 통지되면 ACT 401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403으로 진행한다.
ACT 403으로서 프로세서(31)는, 점원 단말기(300)가,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코드로 식별되는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한 구입 상품의 등록 처리와 연계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와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의 관련지음을 기억하도록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갱신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요구 데이터의 송신원의 단말기 코드를 필드(FBA)에 세트함과 함께,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코드를 필드(FBB)에 세트한 새로운 데이터 레코드(DRB)를 포함하도록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갱신한다.
이에 의해, 제2 단말기로서의 점원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로서의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행하여지고 있는 구입 상품(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에 연계된다. 이렇게 해서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를 프로세서(31)가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3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모바일 컨트롤러(3))는 연계부로서 기능한다.
ACT 404로서 프로세서(31)는,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를 점원 단말기(300)에 대하여 지시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 지시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지시 데이터를, 점내 통신 네트워크(7) 및 액세스 포인트(6)를 통해서 점원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프로세서(31)는,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200)에 관한 거래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 데이터 레코드(DRB)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점원 단말기(300)에 대한 지시 데이터에 포함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도 21 중의 ACT 303에서 연계를 요구한 뒤에, ACT 304로 진행한다.
ACT 304로서 프로세서(302)는,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305로 진행한다.
ACT 305로서 프로세서(302)는, 연계 거부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해당 통지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304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302)는 ACT 304 및 ACT 305로서는,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 지시 또는 거부 통지의 어느 것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프로세서(302)는, 거부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데이터가 무선 통신 유닛(307)에서 수신되면, ACT 305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306으로 진행한다.
ACT 306으로서 프로세서(302)는, 에러 화면을 터치 패널(305)에 표시시킨다. 에러 화면은, 연계할 수 없는 것을 점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이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그 후, 에러 화면에서의 통지를 확인한 것의 점원에 의한 선언을 기다려서, 혹은 미리 정해진 에러 화면의 표시 기간의 종료를 기다려서, 도 21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세서(302)는,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를 지시하는 지시 데이터가 무선 통신 유닛(307)에서 수신되면, ACT 304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307로 진행한다.
ACT 307로서 프로세서(302)는, 등록 상황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등록 상황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302)는, 등록 상황 화면을, 지시 데이터에 포함된 구입 상품의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점원은, 터치 패널(204)에 표시된 등록 상황 화면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연계된 유저 단말기(200)에서의 구입 상품의 등록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점원은, 손님의 요청에 따라, 손님이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할 것을 희망하는 상품을 지정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은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의 상품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301)에 스캔시키기 위한 조작이다. 이 조작은, 터치 패널에서 상품 코드를 입력하는 조작 등이어도 된다.
ACT 308로서 프로세서(302)는, 상품 코드를 취득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상품 코드를 취득할 수 없었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309로 진행한다.
ACT 309로서 프로세서(302)는, 연계 해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해당 지시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308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302)는 ACT 308 및 ACT 309로서는, 상품 코드가 취득되거나, 해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프로세서(3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졌으면, 그 조작에 따라서 상품 코드를 취득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프로세서(302)는, ACT 308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310으로 진행한다.
ACT 310으로서 프로세서(302)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상품 등록을 요구한다. 프로세서(302)는, 여기에서 송신하는 요구 데이터에는, 취득한 상품 코드를 포함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도 22 중의 ACT 404에서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 뒤에, ACT 405로 진행한다.
ACT 405로서 프로세서(31)는, 상품 등록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406으로 진행한다.
ACT 40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연계 해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405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31)는 ACT 405 및 ACT 406으로서는, 등록 또는 해제가 요구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원 단말기(300)로부터 등록이 요구되었으면 ACT 405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407로 진행한다.
ACT 407로서 프로세서(31)는, 상품 등록 요구를, 요구 데이터로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점원 단말기(300)가 연계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에 관해서 실행되어 있는 거래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의 거래 코드를 요구 데이터에 부가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요구원의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가 필드(FBA)에 세트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DRB)를, 보조 기억 유닛(33)에 기억된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로부터 찾아내어, 해당 데이터 레코드(DRB)의 필드(FBB)에 세트되어 있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프로세서(31)는, 취득된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가 필드(FAA)에 세트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DRA)를, 보조 기억 유닛(33)에 기억된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로부터 찾아, 해당 데이터 레코드(DRA)의 필드(FAC)에 세트되어 있는 거래 코드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취득된 거래 코드를, 가상 POS 서버(2)에 전송되는 요구 데이터에 부가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동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거래 코드로 식별되는 거래의 구입 상품으로서, 보조 기억 유닛(23)에 기억된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등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1)는, 이러한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ACT 212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이렇게 해서, 모바일 컨트롤러(3)의 프로세서(31)에 의한 점원 단말기(300)로부터의 등록 요구의 전송과, 이 등록 요구에 기초하는 가상 POS 서버(2)의 프로세서(21)에 의한 구입 상품의 등록 처리에 의해, 점원 단말기(300)(제2 단말기)에서 지정된 상품이, 유저 단말기(200)의 이용자인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으로서, 가상 POS 서버의 보조 기억 유닛(23) 내의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기억된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1)가 가상 POS 애플리케이션(APBA)을 실행함과 함께, 프로세서(31)가 등록 지원 애플리케이션(APCA)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2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가상 POS 서버(2))와 프로세서(3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모바일 컨트롤러(3))에 의해, 제2 등록부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의 프로세서(31)는, ACT 407에서 등록을 요구한 뒤에, ACT 408로 진행한다.
ACT 408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해서 가상 POS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한다.
ACT 409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상술과 마찬가지로 갱신한다.
ACT 410으로서 프로세서(31)는, 점원 단말기(300)가 연계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일람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다. 프로세서(31)는, 이 표시의 지시를 위한 지시 데이터에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에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서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B)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그 후, ACT 404로 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를 상술과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즉 프로세서(31)는 이때,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에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서 관련지어진 갱신 후의 데이터 레코드(DRB)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낸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를 점원 단말기(300)에 지시하게 된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상기와 같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일람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었으면, 도 11 중의 ACT 118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12로 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를 상술과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즉 프로세서(201)는 이때,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에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에서 관련지어진 갱신 후의 데이터 레코드(DRB)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낸 일람 화면의 표시를 유저 단말기(200)에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 표시되는 일람 화면(SCA)에는, 점원 단말기(300)에서의 조작에 따른 등록 결과가 반영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도 21 중의 ACT 310에서 상품 등록을 요구한 뒤에, ACT 311로 진행한다.
ACT 311로서 프로세서(302)는,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 상황 화면의 표시가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지시되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307로 돌아가서, 다시 등록 상황 화면이 터치 패널(305)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305)에 표시되는 등록 상황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점원 단말기(300)에서의 점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점원 단말기(300)가 연계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200)에 관한 거래 처리에서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에 관한 구입 상품이 등록된다.
점원은, 손님으로부터 요구된 모든 상품을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을 끝냈으면, 예를 들어 등록 상황 화면에 나타내진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연계 해제를 지시한다.
프로세서(302)는, 상기와 같이 연계 해제가 지시되었으면, ACT 30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312로 진행한다.
ACT 312로서 프로세서(302)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연계 해제를 요구한다.
ACT 313으로서 프로세서(302)는, 해제 통지를 기다린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연계 해제가 요구되면, 도 22 중의 ACT 406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411로 진행한다.
ACT 411로서 프로세서(31)는, 요구원의 점원 단말기(300)에 관한 유저 단말기(200)와의 연계를 해제하도록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갱신한다. 프로세서(31)는 예를 들어, 요구원의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가 필드(FBA)에 세트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DRB)를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로부터 삭제한다.
ACT 412로서 프로세서(31)는, 점원 단말기(300)에 대하여 연계 해제를 통지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연계 처리를 종료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상기와 같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연계 해제가 통지되면, 도 21 중의 ACT 313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21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를 종료한다.
손님이 일람 화면(SCA)에서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는 에어리어에 터치하면,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SCA)에 겹쳐서 개수 지정을 위한 리스트 박스가 표시되도록, 개수 지정을 위한 리스트 박스를 일람 화면(SCA)에 겹쳐서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리스트 박스가 조작되면, 프로세서(201)는 이것을 개수의 지정으로서 받는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이 경우, 도 11 중의 ACT 115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2 중의 ACT 126으로 진행한다.
ACT 12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지정수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지정수가 0이 아니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27로 진행한다.
ACT 127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수량 변경을 요구한다. 프로세서(201)는 여기에서 송신하는 요구 데이터에는, 개수가 지정된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와 지정수를 포함한다. 특정 데이터는, 상품 코드이어도 되고, 구입 상품의 리스트 내에서 각 구입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 등과 같이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만 구입 상품을 특정 가능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특정 데이터로서 상품 코드를 사용하면, 프로세서(31)는, 일람 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데이터에, 각 구입 상품에 관한 상품 코드를 포함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수량 변경이 요구되었으면, 도 14 중의 ACT 206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5 중의 ACT 214로 진행한다.
ACT 214로서 프로세서(31)는, 거래 코드의 통지를 수반하여, 수량 변경 요구를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해도 되고, 어떠한 처리에 의한 변환 후의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단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는, 가상 POS 서버(2)에 통지한다. 또한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상품 코드가 아니면, 프로세서(31)는, 당해 특정 데이터를 상품 코드로 치환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가, 기존의 POS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것이라고 간주하고, 기존의 POS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구입 상품의 개수를 변경한다. 프로세서(21)는, 개수를 변경한 상품의 상품 코드와, 변경 후의 개수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ACT 214에서 수량 변경 요구를 전송한 뒤에, ACT 215로 진행한다.
ACT 215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해서 가상 POS 서버(2)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한다.
ACT 216으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갱신한다. 즉 프로세서(31)는,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로부터,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 등록 데이터를 찾아낸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하는 등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개수를,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로 고쳐 쓴다.
또한 프로세서(31)는, 수량 변경의 요구 데이터로 보내져 온 특정 데이터 및 개수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해 두고, 갱신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는 결과 데이터를 받은 것에 따라서, 이 보존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로 특정되는 상품에 관한 등록 데이터의 개수를, 보존되어 있는 개수로 고쳐 써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결과 데이터에 상품 코드 및 개수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ACT 217로서 프로세서(31)는, 일람 화면의 표시를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지시한다.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갱신한 데이터 레코드(DRC)에 포함되는 등록 데이터 중에서 취소 플래그가 "0"인 등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지시 데이터에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그 후, 도 14 중의 ACT 205 내지 ACT 209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그런데,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지정수가 0이면, 도 12의 ACT 126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28로 진행한다.
ACT 128로서 프로세서(201)는, 삭제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삭제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삭제 화면은, 개수를 0개로 하는 것이 지정된 상품이 구입 상품으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손님에게 통보하는 화면이다. 삭제 화면은, 삭제를 지정하기 위한 삭제 버튼과, 개수를 변경하지 않고 개수의 변경을 지정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지정하기 위한 돌아가기 버튼을 포함한다.
ACT 129로서 프로세서(201)는, 삭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30으로 진행한다.
ACT 130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돌아가기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29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29 및 ACT 130으로서는, 삭제 또는 돌아가기가 지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손님은, 삭제를 중지하고, 개수의 변경을 지정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희망하면, 삭제 화면에서 돌아가기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돌아가기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30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1 중의 ACT 112로 돌아가서, 다시 일람 화면(SCA)을 터치 패널(204)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는, 구입 상품의 등록 상태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201)는, 삭제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한 상태의 일람 화면(SCA)을 터치 패널(204)에 다시 표시시킨다.
손님은, 삭제가 틀림 없으면, 삭제 화면에서 삭제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삭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2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31로 진행한다.
ACT 131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삭제를 요구한다. 프로세서(201)는 여기에서 송신하는 요구 데이터에는, 삭제가 지정된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삭제가 요구되면, 도 14 중의 ACT 207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5 중의 ACT 218로 진행한다.
ACT 218로서 프로세서(31)는, 거래 코드의 통지를 수반하여, 삭제 요구를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해도 되고, 어떠한 처리에 의한 변환 후의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단 프로세서(31)는,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상품 코드가 아니면, 프로세서(31)는, 당해 특정 데이터를 상품 코드로 치환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의한 요구를, 기존의 POS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삭제 지시라고 간주하고, 기존의 POS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대상이 되는 상품을, 보조 기억 유닛(23)에 기억된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등록된 구입 상품으로부터 제외한다. 프로세서(21)는, 구입 상품으로부터 제외한 상품의 상품 코드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ACT 218에서 삭제 요구를 전송한 뒤에, ACT 219로 진행한다.
ACT 219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해서 가상 POS 서버(2)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한다.
ACT 220으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갱신한다. 즉 프로세서(31)는, 거래 코드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로부터, 통지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 등록 데이터를 찾아낸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해당하는 등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취소 플래그를 "1"로 변경한다.
또한 프로세서(31)는, 삭제의 요구 데이터로 보내져 온 특정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해 두고, 삭제가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는 결과 데이터를 받은 것에 따라서, 이 보존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로 특정되는 상품에 관한 등록 데이터의 취소 플래그를 변경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결과 데이터에 상품 코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ACT 221로서 프로세서(31)는, 일람 화면(SCA)의 표시를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지시한다.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갱신한 데이터 레코드(DRC)에 포함되는 등록 데이터 중에서 취소 플래그가 "0"인 등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표시 지시 데이터에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그 후, 도 14 중의 ACT 205 내지 ACT 209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그런데,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2 중의 ACT 127에서 수량 변경을 요구한 뒤, 혹은 ACT 131에서 삭제를 요구한 뒤에, ACT 132로 진행한다.
ACT 132로서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SCA)의 표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수량 변경의 요구에 따라, 혹은 삭제 요구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일람 화면(SCA)의 표시가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지시되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도 11 중의 ACT 112로 돌아가서, 다시 일람 화면(SCA)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일람 화면(SCA)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일람 화면(SCA)을, 지시 데이터에 포함된 구입 상품의 상품명, 가격 및 개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구입 상품의 등록 상태가 변경되므로, 프로세서(201)는, 수량 변경 또는 삭제가 지정될 때 표시하고 있었던 것과는 다른 구입 상품을 나타내는 상태의 일람 화면(SCA)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일람 화면(SCA)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손님은, 이미 등록한 구입 상품 모두를 취소하고, 쇼핑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람 화면(SCA)에서 버튼(BUAA)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중지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도 11 중의 ACT 116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2 중의 ACT 133으로 진행한다.
ACT 133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취소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취소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취소 화면은, 이미 등록한 구입 상품 모두가 취소되는 것을 손님에게 통보하는 화면이다. 취소 화면은, 취소 실행을 지정하기 위한 실행 버튼과, 개수를 변경하지 않고 개수의 변경을 지정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지정하기 위한 돌아가기 버튼을 포함한다.
ACT 134로서 프로세서(201)는, 취소 실행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35로 진행한다.
ACT 135로서 프로세서(201)는, 돌아가기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해당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34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34 및 ACT 135로서는, 취소 실행 또는 돌아가기가 지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손님은, 그대로 쇼핑을 계속한다면, 취소 화면에서 돌아가기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돌아가기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35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1 중의 ACT 112로 돌아가서, 다시 일람 화면(SCA)을 터치 패널(204)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는, 구입 상품의 등록 상태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201)는, 취소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한 상태의 일람 화면(SCA)을 터치 패널(204)에 다시 표시시킨다.
손님은, 쇼핑을 중지하는 것이라면, 취소 화면에서 실행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거래의 취소 실행을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34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36으로 진행한다.
ACT 13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거래 취소를 요구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거래 취소가 요구되었으면, 도 14 중의 ACT 208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5 중의 ACT 222로 진행한다.
ACT 222로서 프로세서(31)는, 가상 POS 서버에 대하여, 거래 코드를 통지함과 함께, 거래 취소의 요구(요구 데이터)를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해도 되고, 어떠한 처리에 의한 변환 후의 요구 데이터에 거래 코드를 부가해서 가상 POS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의한 요구를, 기존의 POS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취소 지시라고 간주하고, 기존의 POS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보조 기억 유닛(23)에 기억된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있어서, 통지된 거래 코드에 관련지어서 등록된 구입 상품 모두를 삭제한다. 프로세서(21)는, 취소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ACT 222에서 거래 취소의 요구를 전송한 뒤에, ACT 223으로 진행한다.
ACT 223으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해서 가상 POS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프로세서(31)는, 취득한 결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32) 또는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한다.
ACT 224로서 프로세서(31)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DBCC)를 갱신한다. 즉 프로세서(31)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레코드(DRC)에 포함되는 등록 데이터 모두에 관해서, "0"으로 되어 있는 취소 플래그를 "1"로 변경한다.
ACT 225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취소를 통지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그 후, 도 14 중의 ACT 205 내지 ACT 209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그런데,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2 중의 ACT 136에서 취소를 요구한 뒤에, ACT 137로 진행한다.
ACT 137에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취소가 통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취소가 통지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도 10 중의 ACT 101로 돌아간다.
손님은,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 모두를 구입 상품으로서 등록을 끝내면, 결제로 진행한다. 이때 손님은, 일람 화면(SCA)에서의 버튼(BUAC)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회계 개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도 11 중의 ACT 117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3 중의 ACT 138로 진행한다.
ACT 138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회계를 요구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상기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회계 요구를 받았으면, 도 14 중의 ACT 20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6 중의 ACT 226으로 진행한다.
ACT 226으로서 프로세서(31)는, 회계 화면의 표시를 유저 단말기(200)에 지시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3 중의 ACT 138에서 회계 요구를 한 뒤에, ACT 139로 진행한다.
ACT 139로서 프로세서(201)는, 회계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계 화면의 표시가 지시된 것을 확인하였으면 ACT 13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40으로 진행한다.
ACT 140으로서 프로세서(201)는, 회계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회계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회계 화면은, 대금의 결제를 위한 조작을 유저 단말기(200) 및 회계기(5)의 어느 것에서 행할지를 손님이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손님은, 대금의 결제를 위한 조작을 유저 단말기(200)에서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유저 단말기(200)를 지정한다. 또한 손님은, 대금의 결제를 위한 조작을 회계기(5)에서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회계기(5)를 지정한다.
ACT 141로서 프로세서(201)는, 유저 단말기(200)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당해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42로 진행한다.
ACT 142로서 프로세서(201)는, 회계기(5)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당해 지정을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41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201)는 ACT 141 및 ACT 142로서는, 유저 단말기(200) 또는 회계기(5)가 지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가 지정되었으면, ACT 141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43으로 진행한다.
ACT 143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결제를 요구한다. 또한 프로세서(201)는, 결제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데이터에는, 결제를 위해서 필요한, 크레디트 번호 또는 온라인 결제 서비스용 이용자 코드 등과 같은 결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계기(5)가 지정되었으면, ACT 142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44로 진행한다.
ACT 144로서 프로세서(201)는, 회계 바코드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회계 바코드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회계 바코드 화면은, 회계기(5)가 가상 POS 서버(2)로부터 거래 내용에 관한 데이터(이하, 회계 데이터라고 칭함)를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해지는 데이터를 나타낸 회계 바코드를 나타낸 화면이다. 또한, 상세한 처리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를 통해서 가상 POS 서버(2)로부터 회계 바코드를 취득하고, 당해 회계 바코드를 회계 바코드 화면에 나타낸다.
손님은, 다른 손님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회계기(5)가 구비하는 스캐너에, 회계 바코드를 판독시킨다. 이에 따라서 회계기(5)는, 회계 바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라서, 가상 POS 서버(2)로부터 회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회계 데이터에 기초해서 정해지는 결제액을 결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회계기(5)는, 결제가 완료되었으면, 그 취지를 가상 POS 서버(2)에 통지한다. 가상 POS 서버(2)에서 프로세서(21)는, 회계기(5)로부터 결제 완료가 통지되었으면, 모바일 컨트롤러(3)에 결제 완료를 통지한다. 또한, 회계기(5)에서의 결제 완료는, 회계기(5)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직접 통지되어도 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도 16 중의 ACT 226에서 회계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 뒤에, ACT 227로 진행한다.
ACT 227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결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당해 요구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28로 진행한다.
ACT 228로서 프로세서(31)는, 결제 완료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당해 통지를 확인할 수 없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227로 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프로세서(31)는 ACT 227 및 ACT 228로서는, 결제 요구 또는 결제 완료 통지를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결제가 요구되었으면 ACT 227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229로 진행한다.
ACT 229로서 프로세서(31)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거래의 거래 코드의 통지를 수반하여, 결제 요구를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한다. 프로세서(31)는 이때,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져 온 요구 데이터를 그대로 가상 POS 서버(2)에 전송해도 되고, 어떠한 처리에 의한 변환 후의 요구 데이터를 가상 POS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가상 POS 서버(2)에 있어서 프로세서(21)는,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보내진 요구 데이터에 의한 요구를, 기존의 POS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결제 지시라고 간주하고, 기존의 POS 단말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통지된 거래 코드로 식별되는 거래에 관한 대금을 산출하고, 이것을 결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결제를 위한 처리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결제 서버에의 결제 요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1)는, 결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결과 데이터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송신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ACT 229에서 결제 요구를 전송한 뒤에, ACT 230으로 진행한다.
ACT 230으로서 프로세서(31)는, 결제 완료가 가상 POS 서버(2)로부터 통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POS 서버(2)가 송신한, 결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결과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신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231로 진행한다. 또한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계기(5)에서의 결제 완료가 통지되면, ACT 228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231로 진행한다.
ACT 231로서 프로세서(31)는, 유저 단말기(200)에 대하여 결제 완료를 통지한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3 중의 ACT 143에서 모바일 컨트롤러(3)에 결제를 요구한 뒤, 혹은 ACT 144에서 회계 바코드 화면을 표시한 뒤에, ACT 145로 진행한다.
ACT 145로서 프로세서(201)는, 결제 완료가 통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결제 완료가 통지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46으로 진행한다.
ACT 146으로서 프로세서(201)는, 완료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완료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완료 화면은, 결제가 완료된 것을 손님에게 통보하기 위한 화면이다.
손님은, 완료 화면을 확인하였으면, 완료 화면에 나타내진 버튼에 터치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확인한 것을 선언한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201)는 ACT 147로 진행한다. 또한 프로세서(201)는, 완료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ACT 147로 진행되어도 된다.
ACT 147로서 프로세서(201)는, 체크아웃용 스캔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는 체크아웃용 스캔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체크아웃용 스캔 화면은, 체크아웃용 2차원 코드(TCO)를 판독하기 위한 화면이다.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카메라(205)를 기동하여, 이에 의해 카메라(205)에서 얻어진 화상에, 2차원 코드(TCO)를 판독하도록 손님에게 촉구하는 문자 메시지와, 2차원 코드(TCO)를 갖다 대어야 할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라인을 겹쳐서 스캔 화면을 생성한다.
손님은, 체크아웃용 스캔 화면이 터치 패널(204)에 표시되었으면, 점포의 출구 부근에 게시되어 있는 2차원 코드(TCO)가 스캔 화면에 찍히도록 카메라(205)를 2차원 코드(TCO)를 향하게 한다.
ACT 148로서 프로세서(201)는, 2차원 코드가 판독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카메라(205)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반복해서 해석하여, 2차원 코드의 판독을 시도한다. 이 2차원 코드의 판독은, 스마트폰 POS 애플리케이션(APDA)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되고, 2차원 코드의 판독용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처리로서 행하여져도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2차원 코드가 판독되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49로 진행한다.
ACT 149로서 프로세서(201)는, 판독한 2차원 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가 체크아웃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체크아웃 데이터가 아니면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 148로 돌아간다. 이때 프로세서(201)는, 잘못된 2차원 코드가 판독된 것을 손님에게 통지하는 화면을 터치 패널(204)에 표시시켜도 된다.
프로세서(201)는, 판독한 2차원 코드가 나타내는 데이터가 체크아웃 데이터인 것이 확인되었으면, ACT 149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 150으로 진행한다.
ACT 150으로서 프로세서(201)는,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체크아웃을 요구한다.
모바일 컨트롤러(3)에서 프로세서(31)는, 도 16 중의 ACT 231에서 결제 완료를 통지한 뒤에, ACT 232로 진행한다.
ACT 232로서 프로세서(31)는, 체크아웃이 요구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체크아웃이 요구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233으로 진행한다.
ACT 233으로서 프로세서(31)는, 체크아웃 처리를 실행한다. 체크아웃 처리는,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던 거래의 관리를 위해서 메인 메모리(32) 및 보조 기억 유닛(33)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클리어하는 등의 처리이다. 또한 가상 POS 서버(2)는, 결제가 완료된 것에 따라, 해당하는 거래에 관한 처리를 종료해도 되고,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거래에 관한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프로세서(31)는 체크아웃 처리에 있어서, 가상 POS 서버(2)에 대하여 상기 지시를 한다. 또한, 잘못된 바코드 스캔 등을 포함하는 유저의 조작 이력을 나타낸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점포 서버(1), 가상 POS 서버(2) 또는 모바일 컨트롤러(3), 혹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31)는 체크아웃 처리에 있어서, 금회의 거래에 관한 조작 이력을 반영하도록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ACT 234로서 프로세서(31)는, 체크아웃의 완료를 유저 단말기(200)에 통지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1)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를 종료한다.
유저 단말기(200)에서 프로세서(201)는, 도 13 중의 ACT 150에서 체크아웃을 요구한 뒤에, ACT 151로 진행한다.
ACT 151로서 프로세서(201)는, 체크아웃 완료의 통지를 기다린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컨트롤러(3)로부터 체크아웃 완료가 통지되면 "예"라고 판정하고, ACT 152로 진행한다.
ACT 152로서 프로세서(201)는, 예를 들어 도 10 중의 ACT 107에서 보존한 체크인 데이터 등과 같은, 금회의 쇼핑에 관해서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01)는 그 후, 도 10 중의 ACT 101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손님이 구입 상품을 등록하는 처리에, 점원 단말기(300)를 일시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어,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행하여지고 있는 상품 등록 처리를 중지하지 않고, 점원이 조작하는 점원 단말기(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구입상품의 등록 처리로서, 이전의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한 당해 등록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유저 단말기(200)를 점원이 조작함으로써도, 구입 상품의 등록에 관계되는 조작을 점원이 대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유저 단말기(200)는 손님의 소유물이므로, 손님의 프라이버시 보호, 오조작에 의한 유저 단말기(200) 내의 데이터 소거나 기기 손상 등의 문제를 감안하여, 점원이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원은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지 않고,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점원 단말기(300)에 전달되는 정보는 유저 단말기(200)의 단말기 코드만이므로, 점원이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할 필요는 없고, 점원이 유저 단말기(200)에 보존된 정보에 액세스할 기회도 없다. 또한, 유저 단말기(200)의 카메라(205) 성능에 기인하여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상품 등록이 곤란한 상황 등에 있어서는, 점원이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해도 상품 등록이 곤란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데 적합하게 구성된 바코드 스캐너(301)를 갖는 점원 단말기(300)를 사용해서 상품 등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해서 상품 등록을 행하는 경우의 상술한 어려움이 해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연계 기능에 의하면, 거래 코드 등의 점포 시스템(10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가 유저 단말기(200)나 점원 단말기(300)에 보내지지 않으므로, 손님에 대한 점포 시스템(100)의 보안도 지켜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컨트롤러(3)의 보조 기억 유닛(33) 내의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와 「거래 코드」가 관련지어서 기억되고, 가상 POS 서버(2)의 보조 기억 유닛(23) 내의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에 있어서 「거래 코드」와 「구입을 예정하는 상품 코드」가 관련지어서 기억된다.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구입 상품의 등록 요구는,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CA)와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를 사용해서 처리된다. 그리고, 손님이 점포 내를 한창 쇼핑 중일 때 일시적으로 점원의 서포트를 받을 필요가 생겼을 경우, 손님이 서포트를 의뢰한 점원이 조작하는 점원 단말기(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모바일 컨트롤러(3)의 보조 기억 유닛(33) 내의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와 「점원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가 관련지어서 기억된다. 모바일 컨트롤러(3)는,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참조하는 것만으로, 점원 단말기(300)의 「점원 단말기 코드」로부터 쇼핑 중인 손님의 「유저 단말기 코드」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를 추가한다는, 거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의 약간의 변경만으로, 모바일 컨트롤러(3)와 가상 POS 서버(2)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상품 등록 처리를 중지하지 않고, 당해 상품 등록 처리를 계속하여, 점원 단말기(300)로부터의 상품 등록 요구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점원 단말기(300)의 연계가 해제된 것이 거래 관리 데이터베이스(DBBA)나 거래 데이터베이스(DBBA)의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전의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한 상품 등록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즉, 손님은, 점포 내를 한창 쇼핑 중의 언제든지, 일시적으로 점원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등록의 서포트가 회계 코너에 주재하는 점원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라고 한다면, 손님은 구입 상품으로서의 등록이 끝나지 않은 상품을 갖고 다녀야만 한다. 또한, 등록이 끝나지 않은 상품을 장바구니에 넣을 경우, 등록 완료된 상품과의 구별이 번거로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귀찮은 일은 생기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점원 단말기(30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당해 카메라에 의해 바코드를 촬영하여 얻은 화상을 처리해서 바코드 데이터를 얻는 것이어도 된다. 바코드 데이터를 얻기 위한 화상 처리를,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데 적합하게 정해 두면, 상품 코드를 나타내는 것과는 다른 다양한 바코드를 판독하는 범용적인 화상 처리에 비해서 상품 코드의 판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원 단말기(300)에서 상품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은, 다소 번거롭더라도 점원이라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점원 단말기(300)가, 상품의 지정을 유저 단말기(200)보다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유저 단말기(200)에의 점원 단말기(300)의 연계는,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를 나타낸 바코드를 점원 단말기(300)의 터치 패널(305) 등에서 표시하고, 이 바코드를 유저 단말기(200)에서 판독함으로써,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를 유저 단말기(200)에서 취득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컨트롤러(3)에, 연계 요구와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가 보내진다. 모바일 컨트롤러(3)는,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진 연계 요구에 따라, 보조 기억 유닛(33) 내의 연계 데이터베이스(DBCB)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와 「점원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를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점원 단말기(300)에의 정보의 전달이 없으므로, 점원 단말기(300)를 조작하는 점원으로부터 손님의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유저 단말기(200) 또는 점원 단말기(300)에서, 연계 대상의 단말기의 단말기 코드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등의 바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어도 된다. 혹은, 단말기 코드와는 다른 연계용 코드를 한쪽 단말기로부터 다른 쪽 단말기에 취득시켜, 각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기 코드를 연계용 코드와 함께 모바일 컨트롤러(3)에 통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연계시키는 유저 단말기(200)와 점원 단말기(300)의 단말기 코드의 조를, 어떠한 방법으로 모바일 컨트롤러(3)에 통지할 수 있으면, 그 방법은 임의이어도 된다.
등록에 관계되는 조작의 일환으로서, 구입 상품에 대한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을 위한 조작이 유저 단말기(200)에서 행하여져도 된다. 당해 조작은 예를 들어, 가격 인하 쿠폰에 인쇄된 바코드를 유저 단말기(200)에 판독시키기 위한 조작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구입 상품에 대한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을 위한 조작을 유저 단말기(200)와의 연계 중에 접수하여, 조작에 따른 요구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등록에 관계되는 조작의 일환으로서, 거래에 대한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을 위한 조작이 유저 단말기(200)에서 행하여져도 된다. 당해 조작은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는 손님이, 거래에 대한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의 서비스를 받는 권리자인 것의 인증을 위한 조작이다. 당해 조작은 일례로서는, 회원 카드 또는 육아 지원 카드 등, 손님이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의 서비스를 받는 권리자인 것을 증명하는 카드를 유저 단말기(200)에 판독시키기 위한 조작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거래에 대한 가격 인하 또는 할인을 위한 조작을 유저 단말기(200)와의 연계 중에 접수하여, 조작에 따른 요구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점원 단말기(300)에서 프로세서(302)는, 수량 변경, 구입 상품의 삭제, 혹은 구입 상품의 취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작을 유저 단말기(200)와의 연계 중에 접수하여, 조작에 따른 요구를 모바일 컨트롤러(3)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세서(2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와 프로세서(3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제1 등록부로서의 기능 및 제2 등록부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즉 상기 실시 형태는, 가상 POS 서버(2)와 모바일 컨트롤러(3)의 조합에 의해 거래 처리 장치를 실현하는 예이다. 그러나, 유저 단말기(200) 및 점원 단말기(300)로부터의 요구를 가상 POS 서버(2)가 직접 받도록 하고, 모바일 컨트롤러(3)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는, 제1 등록부 및 제2 등록부로서의 기능은, 프로세서(21)를 중추 부분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게 된다. 그리고 가상 POS 서버(2)가 거래 처리 장치에 상당하게 된다.
유저 단말기(200)가 쇼핑 카트에 설치된 태블릿 단말기 등으로서 점포에서 손님에게 대여될 경우, 체크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종 데이터를 유저 단말기(200)에 사전에 기억시켜서 둠으로써, 체크인용 2차원 코드(TCI)의 판독을 생략해도 된다. 또한 체크아웃도, 예를 들어 기존의 카트 POS 시스템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처리 등의 다른 처리로 치환해도 된다.
정보 처리에 의해 프로세서(11, 21, 31, 201, 302)가 실현하는 각 기능은, 그 일부 또는 모두를 로직 회로 등과 같은 프로그램에 기초하지 않는 정보 처리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기능 각각은, 상기 로직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제어를 조합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 기기에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되고, 전자 기기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어도 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매체이면 된다. 기록 매체는, 컴퓨터 가독 매체이면 된다. 기록 매체는, CD-ROM, 메모리 카드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 가능하면서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이면 되며, 그 형태는 상관없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1 등록부와,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제1 등록부에 의해 행하여지는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는 연계부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관련지음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거래 내용을,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으로서 상기 제1 등록부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제2 등록부
    를 구비한 거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점원용으로서 정해진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점원용으로서 정해진 단말기일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는, 거래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가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서 취득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의 상기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제1 등록부에 의해 행하여지는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는, 거래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서 취득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의 상기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제1 등록부에 의해 행하여지는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는, 거래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록부는, 상기 연계부에 의한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의 연계가 해제된 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행하는, 거래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록부는, 상기 이용자에 의한 상기 거래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자를 생성하여, 상기 거래 내용을 상기 거래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제1 기억부에 기억하는, 거래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식별자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구비하는, 거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를 관련지어서 기억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상기 관련지음을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로 상기 제3 기억부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를 취득해서 상기 제2 등록부에 전달하는, 거래 처리 장치.
  9.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에 관한 상기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관련지음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거래 내용을,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으로서 기억하는,
    거래 처리 방법.
  10. 컴퓨터에,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것과,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관련지음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에 관한 상기 거래 내용을 기억하는 처리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연계시키는 것과,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이 보내질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관련지음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거래 내용을, 상기 이용자에 관한 거래 내용으로서 기억하는 것
    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20227036136A 2020-09-04 2021-09-03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20220153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9085 2020-09-04
JPJP-P-2020-149085 2020-09-04
PCT/JP2021/032466 WO2022050383A1 (ja) 2020-09-04 2021-09-03 取引処理装置、取引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641A true KR20220153641A (ko) 2022-11-18

Family

ID=8049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136A KR20220153641A (ko) 2020-09-04 2021-09-03 거래 처리 장치, 거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1146A1 (ko)
EP (1) EP4210011A1 (ko)
JP (1) JPWO2022050383A1 (ko)
KR (1) KR20220153641A (ko)
CN (1) CN115989533A (ko)
WO (1) WO20220503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9176A (ja) 2019-03-27 2019-09-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決済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1078B2 (ja) * 2009-11-18 2014-02-19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システム、商品カートおよび販売支援方法
JP7163171B2 (ja) * 2018-12-25 2022-10-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店舗サーバ、店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69788B2 (ja) * 2019-12-04 2024-04-17 株式会社寺岡精工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商品販売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9176A (ja) 2019-03-27 2019-09-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決済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89533A (zh) 2023-04-18
EP4210011A1 (en) 2023-07-12
WO2022050383A1 (ja) 2022-03-10
JPWO2022050383A1 (ko) 2022-03-10
US20230031146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18857A (ja) 買物支援装置及び買物支援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買物支援方法
US20210142306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CN113362055A (zh) 交易处理系统、便携终端及存储介质
WO2022050383A1 (ja) 取引処理装置、取引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740765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48257B2 (ja) 情報処理装置
JP7368573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952144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取引支援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取引処理方法
JP7148703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993443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78768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
JP7475961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
US202300966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327510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transaction suppor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US20210182819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JP7461261B2 (ja) 棚卸し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2139573A (ja) 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