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43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437A
KR20220152437A KR1020210058852A KR20210058852A KR20220152437A KR 20220152437 A KR20220152437 A KR 20220152437A KR 1020210058852 A KR1020210058852 A KR 1020210058852A KR 20210058852 A KR20210058852 A KR 20210058852A KR 20220152437 A KR20220152437 A KR 2022015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housing
cpa
hole
hou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091B1 (ko
Inventor
최봉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5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는: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는 설치구를 갖는 피메일하우징, 피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삽입 허용하기 위해 삽입구를 갖는 메일하우징,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설정깊이만큼 삽입됨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구를 통해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씨피에이(CPA), 및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연동되어 설치구에 대한 씨피에이의 삽입 깊이를 달리하도록 허용하는 조립연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메일하우징에 씨피에이(CPA)를 일차적으로 고정 결합 후, 메일하우징을 피메일하우징에 완전히 조립됨과 동시에 메일하우징으로써 피메일하우징에 대한 씨피에이의 일차 고정을 해제 안내하여, 씨피에이를 최종 고정 위치까지 피메일하우징에 삽입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조립 불량 방지를 위한 씨피에이의 체결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구성된다.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는 각각 하우징과 단자를 구비한다.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하우징이 기계적으로 완전 체결될 때, 피메일커넥터 단자와 메일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조립 후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부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조립 후 CPA 부재를 피메일커넥터의 소정 위치에서 더 삽입되도록 이동시키고 나서, CPA 부재의 돌출 여부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CPA 부재가 피메일커넥터의 소정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이동되면 커넥터 조립체가 완전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CPA 부재가 피메일커넥터의 소정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이동되지 못하여 소정 위치에 돌출된 상태가 되면 커넥터 조립체가 불완전 체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기존의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배경기술로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4521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커넥터 조립체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완전 결합시 메일커넥터 내의 돌기가 CPA 부재의 1차 락(lock)을 해제시켜 CPA 부재의 전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메일커넥터 내에 돌기가 필요함으로써 사출 금형 제작비가 증가하고, 제작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CPA 부재를 메일커넥터의 돌기를 형성하는 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메일하우징에 씨피에이(CPA)를 일차적으로 고정 결합 후, 메일하우징을 피메일하우징에 완전히 조립됨과 동시에 메일하우징으로써 피메일하우징에 대한 씨피에이의 일차 고정을 해제 안내하여, 씨피에이를 최종 고정 위치까지 피메일하우징에 삽입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조립 불량 방지를 위한 씨피에이의 체결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는 설치구를 갖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삽입 허용하기 위해 삽입구를 갖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설정깊이만큼 삽입됨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설치구를 통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씨피에이(CPA); 및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연동되어 상기 설치구에 대한 상기 씨피에이의 삽입 깊이를 달리하도록 허용하는 조립연동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씨피에이는, 패드; 상기 패드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가 상기 설치구 내부에서 설정 궤적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패드의 일측 양쪽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상기 설치구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접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연동안내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걸림구;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상기 제 1걸림구와 설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걸림구; 상기 씨피에이에 돌출되어, 상기 씨피에이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시, 상기 제 1걸림구 또는 상기 제 2걸림구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 및 상기 메일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삽입구로 삽입시, 상기 제 1걸림구에 수용된 상기 걸림돌기를 눌러 상기 제 1걸림구로부터 이탈 유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 2걸림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프레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걸림구와 상기 제 2걸림구 사이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스토퍼를 돌출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프레스부재가 상기 제 1걸림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 2걸림구를 노출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구의 양측에 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씨피에이는 대응되는 상기 슬롯홀에 탄성 변형되며 삽입되는 탄성삽입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삽입고정부재는, 상기 씨피에이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서 연장된 채 상기 씨피에이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슬롯홀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피메일하우징에 씨피에이(CPA)를 일차적으로 고정 결합 후, 메일하우징을 피메일하우징에 완전히 조립됨과 동시에 메일하우징으로써 피메일하우징에 대한 씨피에이의 일차 고정을 해제 안내하여, 씨피에이를 최종 고정 위치까지 피메일하우징에 삽입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조립 불량 방지를 위한 씨피에이의 체결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에서 씨피에이(CPA)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하우징에서 씨피에이를 분리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피에이가 피메일하우징에 일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피에이가 피메일하우징에 일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피메일하우징에서 씨피에이(CPA)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하우징에서 씨피에이를 분리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피에이가 피메일하우징에 일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피에이가 피메일하우징에 일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피메일하우징(110), 메일하우징(120), 씨피에이(CPA,130) 및 조립연동안내부(14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메일하우징(110)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피메일단자를 구비하고, 메일하우징(120)은 피메일단자에 대응되도록 메일단자를 구비한다.
그래서, 피메일하우징(110)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메일하우징(120)에 삽입됨으로써, 피메일단자와 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 메일하우징(12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삽입구(122)를 형성하여 피메일하우징(110)의 타측을 삽입 안내한다.
물론, 피메일하우징(110)과 메일하우징(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씨피에이(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130)는 메일하우징(120)의 일측이 피메일하우징(110)의 타측에 설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정상적으로 조립됨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역할을 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110)은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는 설치구(112)를 형성한다. 설치구(112)는 씨피에이(130)를 삽입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씨피에이(130)는, 메일하우징(120)이 피메일하우징(110)에 설정깊이만큼 삽입됨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구(112)를 통해 피메일하우징(110)에 최종적으로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된다.
한편, 조립연동안내부(140)는 메일하우징(120)이 피메일하우징(110)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연동되어 설치구(112)에 대한 씨피에이(130)의 삽입 깊이를 달리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씨피에이(130)는 피메일하우징(110)의 설치구(112)에 일차 삽입 위치에 고정된 후, 메일하우징(120)이 피메일하우징(110)의 타측을 설정만큼 삽입시 조립연동안내부(140)에 의해 이차(최종) 삽입 위치로 이동되고 나서 고정된다.
이때, 씨피에이(130)는 패드(132), 리브(134) 및 가이드부재(136)를 포함한다.
패드(13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씨피에이(130)의 대부분이 설치구(112)에 삽입될 경우, 설치구(112)의 외측에 해당되는 피메일하우징(110)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패드(132)는 씨피에이(130)가 설치구(11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손잡이 역할을 한다.
물론, 패드(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리브(134)는 패드(13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설치구(112)에 삽입된다. 이때, 리브(134)는 바(bar) 타입으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리브(134)는 패드(132)의 일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단부 또는 가장자리가 자유단으로 이룸으로써,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리브(134)는, 피메일하우징(110)의 설치구(112)에 삽입시, 설치구(112)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유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부재(136)는, 리브(134)가 설치구(112) 내부에서 설정 궤적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패드(132)의 일측 양쪽 가장자리와 일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설치구(112)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접한 채 안내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110)은 대응되는 가이드부재(136)를 직선 이동 안내하기 위해 설치구(112)의 내측면에 가이드홈(114)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부재(136)는 개수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조립연동안내부(140)는 제 1걸림구(142), 제 2걸림구(144), 걸림돌기(146) 및 프레스부재(148)를 포함한다.
제 1걸림구(142)는 피메일하우징(110)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걸림구(142)는 설치구(1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 2걸림구(144)는 피메일하우징(11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제 1걸림구(142)와 설정간격 이격된 채 피메일하우징(110)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 2걸림구(144)는 설치구(112)와 연통된다.
아울러, 걸림돌기(146)는 씨피에이(130) 특히 리브(134)에 돌출되어, 리브(134)가 설치구(112)에 삽입시, 제 1걸림구(142) 또는 제 2걸림구(14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걸림돌기(146)가 제 1걸림구(142)에 수용될 경우, 씨피에이(130)는 피메일하우징(110)에 일차 위치에 고정된다. 걸림돌기(146)가 제 1걸림구(142)의 내측면에 접하여 걸림에 따라, 씨피에이(130)는 임의적으로 설치구(11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46)가 제 2걸림구(144)에 수용될 경우, 씨피에이(130)는 피메일하우징(110)에 이차(최종) 위치에 고정된다. 걸림돌기(146)가 제 2걸림구(144)의 내측면에 접하여 걸림에 따라, 씨피에이(130)는 임의적으로 설치구(11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걸림돌기(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프레스부재(148)는 메일하우징(120)에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110)이 삽입구(122)로 삽입시, 제 1걸림구(142)에 수용된 걸림돌기(146)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 제 1걸림구(142)로부터 이탈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걸림돌기(146)는 제 2걸림구(144)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때, 프레스부재(148)는 메일하우징(120)의 삽입구(122)의 가장자리 자체일 수도 있고, 메일하우징(12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110)은 제 1걸림구(142)와 제 2걸림구(144) 사이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스토퍼(152)를 돌출 형성한다. 그래서, 제 1걸림구(142)와 제 2걸림구(144)는 피메일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스토퍼(152)의 너비만큼 이격된다.
아울러, 메일하우징(120)은 개방구(154)를 삽입구(122)에 연결되도록 둘레면에 통공한다.
프레스부재(148)가 제 1걸림구(142)에 대응되는 피메일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위치한 경우, 개방구(154)는 제 2걸림구(144)를 노출함으로써, 걸림돌기(146)가 제 2걸림구(144)에 수용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스토퍼(152)가 개방구(154)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조립된 피메일하우징(110)과 메일하우징(120)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메일하우징(120)이 피메일하우징(110)에 조립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스토퍼(152)는 경사면(153)을 형성한다.
또한, 피메일하우징(110)은 축 방향을 따라 설치구(112)의 양측에 슬롯홀(162)을 통공하고, 씨피에이(130)는 대응되는 슬롯홀(162)에 탄성 변형되며 삽입되는 탄성삽입고정부재(164)를 구비한다.
탄성삽입고정부재(164)가 대응되는 슬롯홀(162)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씨피에이(130)는 피메일하우징(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때, 탄성삽입고정부재(164)는 지지부재(165), 탄성부재(166) 및 이탈방지돌기(167)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65)는 씨피에이(130)의 패드(132)의 일측 양쪽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66)는 지지부재(165) 각각의 단부에서 연장된 채 씨피에이(130)의 패드(132)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특히, 평면상, 대응되는 지지부재(165)와 탄성부재(166)는 대략 링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부재(166)는 대응되는 지지부재(165)에 지지된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탈방지돌기(167)는 탄성부재(166) 각각의 외측에 돌출되어 슬롯홀(162)에 수용된다.
이때, 걸림돌기(146)가 제 1걸림구(142)에서 제 2걸림구(144)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이탈방지돌기(167)는 슬롯홀(162) 내부에서 이동 안내된다.
특히, 걸림돌기(146)가 제 1걸림구(142)에 일차적으로 걸려 고정될 경우, 이탈방지돌기(167)는 대응되는 슬롯홀(162)의 내부 일측에 걸림으로써, 씨피에이(130)가 설치구(1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165), 탄성부재(166) 및 이탈방지돌기(16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110: 피메일하우징
112: 설치구 114: 가이드홈
120: 메일하우징 122: 삽입구
130: 씨피에이 132: 패드
134: 리브 136: 가이드부재
140: 조립연동안내부 142: 제 1걸림구
144: 제 2걸림구 146: 걸림돌기
148: 프레스부재 152: 스토퍼
153: 경사면 154: 개방구
162: 슬롯홀 164: 탄성삽입고정부재
165: 지지부재 166: 탄성부재
167: 이탈방지돌기

Claims (6)

  1.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는 설치구를 갖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삽입 허용하기 위해 삽입구를 갖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설정깊이만큼 삽입됨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설치구를 통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씨피에이(CPA); 및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연동되어 상기 설치구에 대한 상기 씨피에이의 삽입 깊이를 달리하도록 허용하는 조립연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피에이는,
    패드;
    상기 패드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가 상기 설치구 내부에서 설정 궤적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패드의 일측 양쪽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상기 설치구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접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연동안내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걸림구;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상기 제 1걸림구와 설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걸림구;
    상기 씨피에이에 돌출되어, 상기 씨피에이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시, 상기 제 1걸림구 또는 상기 제 2걸림구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 및
    상기 메일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삽입구로 삽입시, 상기 제 1걸림구에 수용된 상기 걸림돌기를 눌러 상기 제 1걸림구로부터 이탈 유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 2걸림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프레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걸림구와 상기 제 2걸림구 사이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스토퍼를 돌출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프레스부재가 상기 제 1걸림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 2걸림구를 노출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구의 양측에 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씨피에이는 대응되는 상기 슬롯홀에 탄성 변형되며 삽입되는 탄성삽입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삽입고정부재는,
    상기 씨피에이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서 연장된 채 상기 씨피에이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슬롯홀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10058852A 2021-05-06 2021-05-06 커넥터 KR10249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52A KR102496091B1 (ko) 2021-05-06 2021-05-0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52A KR102496091B1 (ko) 2021-05-06 2021-05-06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37A true KR20220152437A (ko) 2022-11-16
KR102496091B1 KR102496091B1 (ko) 2023-02-07

Family

ID=8423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52A KR102496091B1 (ko) 2021-05-06 2021-05-0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651A (en) * 1996-02-07 1998-09-08 Yazaki Corporation Double locking connector
US6261116B1 (en) * 1999-11-22 2001-07-17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with lock protection feature
JP2003264039A (ja) * 2002-03-06 2003-09-19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KR20100007799U (ko) * 2007-10-12 2010-08-04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651A (en) * 1996-02-07 1998-09-08 Yazaki Corporation Double locking connector
US6261116B1 (en) * 1999-11-22 2001-07-17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with lock protection feature
JP2003264039A (ja) * 2002-03-06 2003-09-19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KR20100007799U (ko) * 2007-10-12 2010-08-04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091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793B1 (ko) 전기 커넥터
JP449703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20182908A1 (en) Lever-Type Connector
US7182652B2 (en) Connector
EP0851535B1 (en) Connector members
JPH0523440U (ja) 端子の二重係止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H08222312A (ja) コネクタ
JPH0718378U (ja) 嵌合確認機構付コネクタ
JP3767460B2 (ja) 防水コネクタ
EP1033788B1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GB2260865A (en) Stirrup lever connector
JP4168906B2 (ja) 分割コネクタ
EP1049209B1 (en) Connector having a terminal retainer
JPH09245869A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EP0539093B1 (en) An electrical socket
KR102496091B1 (ko) 커넥터
JP2001118636A (ja) コネクタ
JP2004247055A (ja) コネクタ
JP3856768B2 (ja) コネクタ
JP4661910B2 (ja) 分割コネクタ
US2019014888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3634111B2 (ja) 雌型コネクタ
JP4273681B2 (ja) 端子金具
JP4370739B2 (ja) コネクタ
JP2001016743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