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655A -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655A
KR20220148655A KR1020210056036A KR20210056036A KR20220148655A KR 20220148655 A KR20220148655 A KR 20220148655A KR 1020210056036 A KR1020210056036 A KR 1020210056036A KR 20210056036 A KR20210056036 A KR 20210056036A KR 20220148655 A KR20220148655 A KR 2022014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pipe
plate
containers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002B1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21005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체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갖추어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판 구조물 ; 상기 메인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전방 연결링과 후방 연결링으로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갖추어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잠기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 ;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각 양단은 내부배치된 부력용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판에 의해서 마감처리되며,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물이 채위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체의 부력을 유지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Pipe float assembly}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되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부력재가 채워지는 부력체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에 관계없이 부력체의 부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력체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물에 의해서 부력체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또는 해상 부유구조물(이하 부유구조물이라함.)은 바다나 강 또는 호수의 수역 내에 일정한 이동로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하는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주로 부유교량(floating bridge), 부유도크(floating dock), 요트 계류장, 부두 선착장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 구조물의 하부에는 물에 뜰수 있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와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력체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부력체는 일반적으로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합성수지파이프 형태로 고정수단인 별도의 브라켓 또는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를 고정하는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은 부력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부력체를 지지하는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은 상호 여러개 조립되어 소정 크기의 부유구조체를 이룬다. 이와 같은, 부유구조체는 부력체를 지지하는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안정성이나 강도등 좀 더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고려하여 고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192858 B1
(특허문헌 2) KR10-1039461 B1
특허문헌 1에는 상부면이 해수 표면에 노출되며,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일정면적을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어 배치된 부유 파이프와, 상기 부유 파이프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부유 파이프 외측면에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빌즈 킬 브라켓과, 상기 빌즈 킬 브라켓의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부유 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빌즈 킬을 포함하는 해상부유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부유 구조물에서 메인 브라켓의 관통홀에 삽입배치되는 부유 파이프의 양끝단은 볼트 결합 등의 기계적 결합과 융착의 결합 또는 접착제 등에 별도의 밀봉수단인 캡에 의해 밀봉처리되어 강한 풍량이나 파도에 의해 부유 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부유 구조물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 파이프의 양단에 밀봉처리되는 캡이 다른 선박이나 다른 구조물과의 충돌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손상되는 경우, 손상부위를 통하여 부유 파이프의 내부가 수면 아래로 침수되면서 부력을 상실하여 부유 구조물의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의 손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부유 파이프를 외부노출시켜 캡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중량물인 부유 구조물을 수면 위로 완전히 상승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캡의 손상이나 파손시 이를 보수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부유 구조물을 보수유지 관리하는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력용기가 내장되는 부력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력체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상태에서도 부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 내부유입된 물에 의해서 부력체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력파이프가 침수된 상태에서도 부력을 발생시키는 구성부품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판체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갖추어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판 구조물 ; 상기 메인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전방 연결링과 후방 연결링으로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갖추어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잠기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 ;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각 양단은 내부배치된 부력용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판에 의해서 마감처리되며,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물이 채위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체의 부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각 양단에 배치되는 한쌍의 마감판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내부연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재의 각 양단은 상기 마감판에 관통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외부노출되어 상기 마감판에 단부가 접해지는 마감용 체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외부에서 부력파이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배치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외부연결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결재는 길이중간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면서 부력파이프의 각 외부면에 접해지는 복수개의 고정용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는 마개부재에 의해서 밀봉된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정렬배치되면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내부로 삽입되어 일렬로 배치되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판은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면에 대응삽입배치되거나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에 걸림배치되는 삽입형 마감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판은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과 접하여 덮어지는 덮개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판은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단면상의 깔대기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는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일정길이의 내부연결재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는 상기 내부연결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관통하는 일정길이의 외부연결재에 의해서 부력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부력용기가 내장된 부력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력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지는 물에 의해서 부력체를 구속함과 동시에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력체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력체가 수면 아래로 필요이상 과도하게 침수되거나 파도와 같은 외란에 의한 전후 및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수면 아래에 부력체가 침수된 상태에서 부력체를 수면 위로 완전히 들어올릴 필요없이 부력을 발생시키는 구성부품인 붕력용기를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간편하게 배출하고,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를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에서 부력파이프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수상 부상 조립체에 적용되는 부력파이프와 외부연결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의 부력파이프에 적용되는 부력용기를 용기고정판에 위치고정한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의 부력파이프에 적용되는 마감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의 부력파이프에 적용되는 마감판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의 부력파이프에 적용되는 부력용기를 망체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부력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부력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100)는 도 1 과 도 2a,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판 구조물(10)과,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잠기어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상판 구조물(10)의 하부와 결합되는 부력체(20)를 포함하여 수면에 부상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 구조물(10)은 도 1 과 도 2a,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상부면을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11)를 포함하고, 상기 판체(11)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메인브라켓(12)을 갖추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서 수면 위로 몸체 대두분이 노출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판체(11)의 상부면에는 외측테두리를 따라 안전용 난간(41)을 설치하여 수상레저 시설물과 같은 다중이용시설물로 사용되거나 박스형태의 적재물(42)이 올려져 수화물 운반시설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12)은 양단인 일단과 타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전방 연결링(13)과 복수개의 후방 연결링(14)을 각각 구비하고, 복수개의 전,후방 연결링(13,14)은 후술하는 부력파이프(21)와 연결되는 링부재이다.
상기 복수개의 전,후방 연결링(13,14)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보강 연결리브를 매개로 하여 상기 메인브라켓(12)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브라켓(12)의 양단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중공원통상의 지지연결 구조물이다.
상기 부력체(20)는 도 1 과 도 2a,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병렬 배치되는 중공원통형의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는 상기 상판구조물(10)의 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배치되는 파이프부재이며, 이러한 부력파이프(21)의 각 양단은 상기 메인브라켓의 양단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전방연결링(13)과 복수개의 후방연결링(14)에 각각 대응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면서 수평상태로 지지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의 개방된 각 양단은 대략 원형의 마감판(23)에 의해서 각각 차단되어 마감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23)에 의해서 양단이 차단되는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는 침수시에도 일정세기의 부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페트병과 같은 부력용기(1)가 투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1)는 일단 주입구(2)에 마개부재(3)가 결합되어 공기와 같은 기체가 채워지는 원통상의 페트용기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여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면 아래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부력부재가 선택적으로 채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1)는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파이프(21)의 각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형의 용기 고정판(4)과 결합되어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내부공간에 정렬배치되며, 마개부재(3)에 의해서 밀봉된 주입구(2)가 상기 용기 고정판(4)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에 대응삽입하여 위치고정함으로써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수직한 용기 고정판(4)에 수평하게 병렬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용기(1)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망체(5)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렬로 배치되어 수용되고,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내부배치되어 양단이 결속처리된 복수개의 망체(5)는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내부공간에 다발형태로 묶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의 내부마다 수평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내부연결재(26)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재(26)의 각 양단은 상기 부력파이프(21)의 개방된 각 양단에 배치되어 마감처리되는 한쌍의 마감판(23)과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내부연결재(26)의 각 양단은 상기 마감판에 관통형성된 연결공(23a)을 통하여 외부노출되고, 외부노출되는 내부연결재의 각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결합되어 상기 마감판에 단부와 접해지는 마감용 체결부재(26a)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연결재(26)는 서로 인접하여 병렬배치되는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외부연결재와의 간섭없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좌우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력용기를 고정하는 용기 고정판에는 한쌍의 내부연결재가 간섭없이 그대로 통과하도록 좌우한쌍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연결재(26)는 침수시 물이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중공형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실형 바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내,외부파이프부재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재(26)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부력파이프(21)의 개방된 양단을 마감처리하는 마감판(23)은 상기 부력파이프(2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추어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거나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돌기에 걸림배치되는 삽입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23)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파이프(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추어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과 접하여 덮어지는 덮개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되거나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단면상의 깔대기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23)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을 덮는 덮개형 마감판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깔대기형 마감판재로 구비됨으로써 해상 설치시 부력체에 부딛히는 파도를 소산시켜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파력에 의한 부력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부상조립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내부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침수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용기는 상기 마감판에 의해서 부력파이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용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감판은 상기 내부연결재에 의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에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파이프(21)의 외부에서 병렬배치되는 부력파이프(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부력파이프(21)를 서로 연결하는 외부연결재(29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연결재(29a)는 길이중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구비되거나 중공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면서 부력파이프의 각 외부면에 접해지는 복수개의 고정용 너트부재(29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연결재(29a)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은 상기 부력파이프의 대략 중심 부근을 관통하는 한쌍의 내부연결재와의 간섭이 없도록 몸체중심의 상부 또는 하부 측 편심된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연결재는 병렬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들사이를 외부에서 지지고정함으로써,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들간의 결합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판(23) 또는 부력파이프(21)의 외부면에는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내장설치되는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의 빈공간에 빠르게 채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에는 물유입 통로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밸브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마개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100)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상에 설치되면,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내부공간에 설치한 부력파이프에서 제공되는 부력에 의해서 수하물이 적재되거나 이용자가 탑승하게 되는 상판 구조물(10)은 수면 위로 노출되는 반면에 상기 부력체(20)의 몸체 일부 또는 전체는 수면 아래에 침수되면서 일정세기의 부력을 발생시킨다.
수면 아래에 침수되는 부력파이프(21)의 각 내부공간에는 상기 마감판과 부력파이프사이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물이 침입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마감판 또는 부력파이프가 외력에 의해서 손상되거나 파손되면서 발생되는 파손부위를 통하여 물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부력용기들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지더라도 복수개의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체의 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의 각 내부공간에는 독립적인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가 내장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부력파이프의 양단에 대한 밀봉여부나 상기 마감판(23)이나 부력파이프의 손상 또는 파손에 의한 크랙발생에 관계없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 물이 유입되어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지더라도 부력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체의 부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부상 조립체가 수면 아래로 과도하게 침수되어 침몰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20)를 구성하는 부력파이프(21)는 각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지는 일정량의 물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써 부상 조립체(100)의 좌우요동 및 전후요동을 최소화하면서 부상 조립체(100)의 평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파도와 같은 외란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파이프(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복수개의 부력용기(1)는 상기 부력파이프()21)가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양단에 마감처리된 마감판(23)을 분리해제한 다음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부력체의 부력파이프를 수면 위로 완전히 들어올릴 필요가 없이 새로운 부력용기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수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부력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20)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내부연결재(26)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연결재(26)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부력체(20)마다 구비되는 부력파이프(21)의 개방된 양단을 마감처리하는 한쌍의 마감판(23)과 마감용 체결부재(27c)를 매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파이프(27a)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부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최외측 외부파이프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양단이 다른 마감용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내부재(2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파이프(27a)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20)의 부력파이프(21)의 단위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갖추어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마다 내부배치되는 중공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외부파이프(27a)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마다 구비되는 마감판(23)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마감판과 결합되도록 마감용 체결부재를 나사결합한다.
상기 내부재(27b)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20)의 부력파이프(21)의 전체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갖추어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공재로 이루어지거나 중실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내부재는 최외 양측 외부파이프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어 양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외부파이프와 결합되도록 다른 마감용 체결부재를 나사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는 부력파이프 마다 구비되어 마감판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부파이프와, 이들의 내부를 관통하여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를 서로 연결하는 내부재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조건에 따라 부상조립체의 전체크기를 보다 확대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를 부력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20)는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연결재(2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력체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21)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외부연결재(29a)에 의해서 부력파이프(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연결재(29a)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부력체(20)마다 구비되는 부력파이프(21)를 관통하여 최외측 부력파이프의 외부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다른 마감용 체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연결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복수개의 부력파이프가 병렬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는 병렬배치되는 부력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개의 부력파이프와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외부연결재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조건에 따라 부상조립체의 전체크기를 보다 확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복수개의 수직연결재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부력용기 2 : 주입구
3 : 마개 4 : 용기 고정판
10 : 상판 11 : 판체
12 : 메인브라켓 13,14 : 전,후방 연결링
20 : 부력체 21 : 부력파이프
23 : 마감판 26 : 내부연결재

Claims (10)

  1. 판체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갖추어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판 구조물 ;
    상기 메인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전방 연결링과 후방 연결링으로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갖추어 수면 아래에 몸체 일부가 잠기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 ;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각 양단은 내부배치된 부력용기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판에 의해서 마감처리되며, 서로 인접하는 부력용기들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물이 채위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부력용기에 의해서 부력체의 부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각 양단에 배치되는 한쌍의 마감판과 양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연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재의 각 양단은 상기 마감판에 관통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외부노출되어 상기 마감판에 단부가 접해지는 마감용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각 외부에서 부력파이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배치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외부연결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결재는 길이중간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면서 부력파이프의 각 외부면에 접해지는 복수개의 고정용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는 마개부재에 의해서 밀봉된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정렬배치되면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부력용기가 내부로 삽입되어 일렬로 배치되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면에 대응삽입배치되거나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에 걸림배치되는 삽입형 마감판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상기 부력파이프의 개방된 양단과 접하여 덮어지는 덮개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단면상의 깔대기형 마감판부재로 구비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는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부력파이프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일정길이의 내부연결재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10.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는 상기 내부연결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파이프를 관통하는 일정길이의 외부연결재에 의해서 부력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KR1020210056036A 2021-04-29 2021-04-29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KR10256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36A KR102562002B1 (ko) 2021-04-29 2021-04-29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36A KR102562002B1 (ko) 2021-04-29 2021-04-29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55A true KR20220148655A (ko) 2022-11-07
KR102562002B1 KR102562002B1 (ko) 2023-07-31

Family

ID=8404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036A KR102562002B1 (ko) 2021-04-29 2021-04-29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0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54B1 (ko) * 2012-05-02 2013-02-13 남궁동우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20140015033A (ko) * 2012-07-27 2014-02-06 박기태 양식장용 부이
KR20160099754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1715289B1 (ko) * 2016-01-29 2017-03-17 정재진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20170042243A (ko) * 2015-10-08 2017-04-18 강흥묵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1761072B1 (ko) * 2016-11-09 2017-07-24 주식회사 영신테크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54B1 (ko) * 2012-05-02 2013-02-13 남궁동우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20140015033A (ko) * 2012-07-27 2014-02-06 박기태 양식장용 부이
KR20160099754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KR20170042243A (ko) * 2015-10-08 2017-04-18 강흥묵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1715289B1 (ko) * 2016-01-29 2017-03-17 정재진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101761072B1 (ko) * 2016-11-09 2017-07-24 주식회사 영신테크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002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0047B2 (en) Protection barrier apparatus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KR102173166B1 (ko)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US7284497B2 (en) Swing mooring pontoon
KR102146664B1 (ko) 수상용 부유식 구조물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CN103010615A (zh) 一种具有系泊功能的水面储油装置及其安装方法
US6330865B1 (en) Flexible barge
CN109356096A (zh) 一种悬浮式防船撞多层耗能装置
KR102007670B1 (ko)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KR101097422B1 (ko) 부잔교
KR20220148655A (ko)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EP0557397B1 (en) Tanker vessel
US3611728A (en) Structure for confining and storing floating liquid products
ES2369445A1 (es) Método de instalación de una cerca para barrera contenedora de hidrocarburo presentando una configuración en espiral.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40041231A (ko) 합성수지 관을 부력 재로 이용한 부잔 교의 구조와 장치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CN213804833U (zh) 一种给浮桥提供浮力的悬浮机构
KR10102624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 높이가 조절되는 방파제 및 방파제 겸용 계류장
KR102391626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