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670B1 -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670B1
KR102007670B1 KR1020190060153A KR20190060153A KR102007670B1 KR 102007670 B1 KR102007670 B1 KR 102007670B1 KR 1020190060153 A KR1020190060153 A KR 1020190060153A KR 20190060153 A KR20190060153 A KR 20190060153A KR 102007670 B1 KR102007670 B1 KR 10200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essel
fishing
catch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이성범
장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선이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로 마련되어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이 높고, 함선끼리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고, 선박의 정박 및 승하선을 위한 부착물의 설치가 용이하여, 어업 작업공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잔교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Floating Pier having Aluminum Structure}
본 발명은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선이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로 마련되어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이 높고, 함선끼리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고, 선박의 정박 및 승하선을 위한 부착물의 설치가 용이하여, 어업 작업공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잔교에 관한 기술이다.
부잔교는 부두에 연결되어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 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선박 접안용 구조물로 해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어획물을 하역할 수 있는 시설이다. 부잔교의 구성요소는 해상 부유체(함선), 연결도교, 계류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잔교 시설은 항만법에 의하여 선박 계류용으로 사용되는 기본시설이다. 항만법 상 국가관리무역항(14개)의 함선 보유 수량은 약 206개와 전국의 소규모 어촌계에 약 2400개정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어촌계에서 그물 손질과 휴식, 기타 활동을 위한 부잔교의 목적과 해상환경조건을 분석하고 그 목적에 맞는 기능과 구조를 갖추고 급변하는 해상환경에 저항성이 우수하여 작업자의 안전한 부잔교가 필요하나, 수산 활동을 생업으로 하는 어민들이 이용하는 부잔교는 반복 경험적인 방법 및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 목선(경량 스티로품 부유체 이용) 등을 이용하여 부잔교로 사용하는 실정이다.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0193호(2013.06.27.)는 부잔교의 상판이 수면 위로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폴리스틸렌을 포함하는 부잔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부잔교는 목선, 플라스틱 구조로 자외선과 염분에 의해 쉽게 노화되어 부식 진행속도가 빠르고 해상환경에 취약한 저가의 경량 부유체를 사용함으로서 파랑과 선박 충격 등으로 쉽게 파손되어 어민의 재산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파손된 부유물들은 해양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어민들의 그물 및 상하역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 등이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잔교의 대부분은 선박과 달리 어민들이 계류시설 및 작업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부유체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을 뿐만 아니라 부유체의 단부의 면이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부잔교에서 작업하는 어민들의 소중한 생명에 대한 위협과 재산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편, 마리나(Marina)란 라틴어로 “해변의 산책길”에서 유래된 단어로 다양한 종류의 오락용 선박과 어선을 위한 계류시설, 하역시설, 수역시설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시설(클럽하우스, 주차장, 보트선착장, 호텔, 맨션, 쇼핑센터 등)을 갖춘 종합적인 해양레저시설의 총칭이다. 최근 국민소득 향상과 주 5일 근무제 장착으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로 고급 해양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정부의 해양레저 활성화 방안 등의 관련 산업정책에 힘입어 마리나 관련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마리나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요트를 비롯한 다양한 선박의 계류 및 정박이며 이를 위해 계류시설(Mooring facilities)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마리나의 계류시설로는 조수간만의 차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부분 부유식 구조물인 함선이 사용되며 주로 콘크리트, 플라스틱, 유리섬유, 알루미늄과 철로 제작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0193호(2013.06.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전성과 사용성이 높은 부잔교를 보급하여 어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한 함선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선박의 계류 및 정박을 위한 부유식 구조물로 형성되는 함선과 상기 함선과 육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도교를 포함하고, 상기 함선은, 알루미늄 재질의 갑판과, 상기 갑판 하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쌍동형 바지를 포함하는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함선이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쌍동형 바지의 단부에 위치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함선은, 상기 갑판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양측에 다수 개 나란히 설치되고, 해상에 배치되지 않을 때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핸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함선은, 1개의 상기 함선 하부에 4개의 앵커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도교는, 상기 함선과 연결되는 단부 하단에, 수위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에 있어서, 상기 함선은, 상기 함선의 일측에 마련되는 어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창은, 어획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어창 본체과 상기 어창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어창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수가 상기 어창 본체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그물망과 상기 어창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를 포함하여, 상기 선박의 정박 시,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조립식 일체형으로 안전하고, 부력이 뛰어나 유속의 저항이 미약하여 수명이 길고, 현지지형에 맞게 주문 제작이 가능하여 상황에 맞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국내 마리나 환경에 적합한 부잔교 기술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의 기술자립화를 이루며 특히 함선 제작에 친환경 알루미늄을 적용함으로써 국내 탄소발생량 저감 목표에 기여함은 물론 향후 해외 수출시 유리한 입지를 선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선박의 정박 시,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선박에서 어획물을 상기 커버부(120)에 올려놓으면, 어획물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어창 본체(1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어획물을 옮기는데 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키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어창 본체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여 어획물이 보다 더 오래 생존하여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파력발전장치와 풍력발전장치가 생산한 전력을 상기 함선에 공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도, 상기 가로등이나 높이조절장치 등과 같은 전기기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가 해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함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함선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함선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함선의 접이식 핸드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교의 사시도이다.
도 9는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 커버부가 함선과 선박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전 함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후 계류 시의 함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 커버부가 함선과 선박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전 핸드레인과 고리걸이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후 핸드레일과 고리걸이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후 핸드레일과 고리걸이가 하강하고 커버부가 선박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착 후 핸드레인과 고리걸이가 하강하고 한 커버부가 선박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계류 및 정박을 위한 부유식 구조물로 형성되는 함선(10), 및 상기 함선(10)과 육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도교(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함선(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갑판(11)과, 상기 갑판(11) 하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쌍동형 바지(12)를 포함하는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갑판(11)은 상부에 미끄럼 방지 도장이 처리될 수 있다.
기존의 함선은 부유식 구조물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플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로트로는 물이 스며들어도 중량 증가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공극률이 적은 스티로품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플로트는 대부분 스티로품 플로트를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감싼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함선은 플로트와 알루미늄데크의 합성, 플로트와 콘크리트데크의 합성, 중공 콘크리트 등과 같은 종류가 있다. 우선, 알루미늄 함선은 플로트 위에 알루미늄 프레임과 원목 등의 패널을 이용한 데크가 놓여 구성된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압출 단면의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속시설을 탈부착하기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함선은 플로트 위에 콘크리트 바닥판을 합성시킨 형식으로 알루미늄 데크보다 무거운 콘크리트 데크가 적용되어 파랑이나 이용자에 의한 진동이 양호한 특징이 있다. 중공 콘크리트 함선은 콘크리트 쉘과 스티로품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세 형식 중 중량이 가장 크므로 안전성 또한 가장 높아 대형 요트의 접안시설이나 태풍 등에 취약한 환경에 적합하다.
이러한 함선 구조물은 인명과 고가의 선박이 이용하는 구조물이고 염분을 포함한 해수나 빙압이 작용하는 담수 환경과 태풍, 홍수, 파도 등의 환경에 상시 노출되므로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함선 구조물의 경우 요동에 따라 플로트와 데크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함선끼리 연결할 수 있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여야 하고, 선박의 정박 및 승하선을 위한 시설 등의 부착물의 설치가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요구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일체형 알루미늄 함선 구조의 부잔교의 개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국내 마리나 환경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함선 제작에 친환경 알루미늄을 적용함으로써 국내 탄소발생량 저감 목표에 기여함은 물론 향후 해외 수출시 유리한 입지를 선점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는 방오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선(10)은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 상호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쌍동형 바지(12)의 단부에 위치되는 힌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13)는 파도에 의해 결합상태가 해체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선(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갑판(11)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양측에 다수 개 나란히 설치되고, 해상에 배치되지 않을 때 회동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핸드레일(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선(10)은, 1개의 상기 함선 하부에 4개의 앵커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앵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선(10)은, 선박의 접안 시 선박과 상기 함선(1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고리걸이(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걸이(15)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선박의 계류 시, 상기 고리걸이(15)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선박의 출항 시, 상기 고리걸이(15)가 지면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선(10)은, 야간에 선박의 접안 또는 어업 작업 시 시야를 밝혀줄 수 있도록 가로등(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로등(16)은 또한, 상기 선박이 계류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선박이 어획물을 보유한 경우, 상기 가로등(16)의 동쪽에 위치하는 고리걸이(15)에 계류줄을 묶으면, 상기 어획물을 이송하기 편리하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 어창(100)의 내용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한다.
상술한 상기 함선(10)은 1개 당 폭 6m, 길이 12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도교(2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선(10)과 육지 사이의 다리를 형성하는 구조물로써, 평판으로 형성되는 갑판(21)과, 상기 갑판(21)과 육지, 상기 갑판(21)과 상기 함선(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판(21)은 상부에 미끄럼 방지 도장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교(20)는 상기 갑판(21)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양측에 다수 개 나란히 설치되어, 난간이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손잡이프레임(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22)은 상기 핸드레일(14)과 동일하게 해상에 배치되지 않을 때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교(20)는 상기 함선(10)과 연결되는 단부 하단에, 수위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러(2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교(20)는 해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함선(10)과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에 추가적으로 방오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이후 부잔교에 대한 규정검토, 구조안정성 해석, 생산기술 개발 및 안전검사를 거쳐 어업 작업공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잔교를 최종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기술적 측면에서 조립식 일체형으로 안전하고, 부력이 뛰어나 유속의 저항이 미약하여 수명이 길며, 현지지형에 맞게 주문제작이 가능하기에 상황에 맞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많은 부구로 이어져 침수될 우려가 없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한 접안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고령화된 어민들의 선박접안 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롤링에 안정한 부잔교 개발로 어업, 해양관광 산업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는,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유지관리비가 절감되고,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여 어촌 및 항만시설에 디자인의 선도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뛰어나 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시접안이 가능하므로 어업생산성이 뛰어남으로 인해 소득이 증대될 수 있고, 부잔교의 안정성 확보, 신뢰성 확보 설치의 용이성으로 부잔교를 확대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함선(10)은 상기 함선(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어창(1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창(100)은 어획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어창 본체(110)와 상기 어창 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120)와 상기 어창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수가 상기 어창 본체(110)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그물망(130)과 상기 어창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140)를 포함하여, 상기 선박의 정박 시,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상기 어창 본체(110)가 마련된다. 상기 어창 본체(110)는 내부에 어획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어창 본체(110)는 어획물을 저장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어창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어창 본체(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의 단부에는 고리형태의 고정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120)는 개방 시, 상기 커버부(120)의 단부가 상기 선박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부(120)의 일단부는 상기 어창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박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커버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창 본체(110)에 고정되는 상기 커버부(120)의 일단부는 상기 선박에 고정되는 상기 커버부(120)의 타단부보다 더 낮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120)는 경사지게 고정되되 상기 어창 본체(110)가 상기 선박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선박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도면 미도시)와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커버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에서 어획물을 상기 커버부(120)에 올려놓으면, 어획물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어창 본체(110)에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는 어획물이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커버부(120)의 측방향으로 어획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120)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재(121)가 마련되어, 어획물이 상기 어창 본체(1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의 일측에는 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선(10)에서 낚시 등을 통하여 포획한 어획물을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어창 본체(110)에 저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다수개의 그물망(130)이 마련된다. 상기 다수개의 그물망(130)은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그물망(130)은 상기 어창 본체(110) 내의 어획물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어창 본체(11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어창 본체(110)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여 어획물이 보다 더 오래 생존하여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어창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상기 산소공급기(140)가 마련되어, 어획물이 보다 더 오래 생존하여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함선(10)은 상기 선박의 계류 시, 상기 선박이 상기 함선(10)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50)는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의 계류 시, 상기 선박의 크기나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함선(10)에 상기 선박이 부딪히더라도 상기 함선이나 선박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함선(10)은 상기 함선(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파력발전장치(도면 미도시)와 해풍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력발전장치와 풍력발전장치가 생산한 전력을 상기 함선(10)에 공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도, 상기 가로등(16)이나 높이조절장치 등과 같은 상기 함선(10) 내의 전기기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함선(10)에 상기 선박이 계류하고, 어획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평시 상기 함선(10)은 상기 핸드레일(14)과 고리걸이(15)가 각각 상승해 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후,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선박이 상기 함선(10)에 인접하게 이동하고, 상기 고리걸이(15)에 계류줄을 묶어 계류시킨다. 이때,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 본체(110)로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부(120)와 인접한 지점의 핸드레일(14)과 고리걸이(15)를 하강시켜 상기 커버부(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커버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20)가 회동하여 상기 커버부(120)의 타단부가 상기 선박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커버부(120)에 올려놓으면, 상기 어획물이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기 어창 본체(11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국내 마리나 환경에 적합한 부잔교 기술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의 기술자립화를 이루고 특히, 함선 제작에 친환경 알루미늄을 적용함으로써 국내 탄소발생량 저감 목표에 기여하며, 상기 선박의 정박 시,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용이하게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함선(10)은 쌍동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창(100)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함선(10)은 상기 함선(10) 하부의 양측면이 각각 볼록하게 돌출된 쌍동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창(100)은 상기 함선(10)의 돌출된 부분에 각각 독립된 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어창(100)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어창(100)은 각각 독립된 공간을 마련하여, 어획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함선(10)이 쌍동형 형태로 형성되어, 파도나 바람에 의해 상기 함선(10)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어창(100)이 다수개로 각각 독립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어획물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함선
11 : 갑판
12 : 쌍동형 바지
13 : 힌지
14 : 핸드레일
15 : 고리걸이
16 : 가로등
20 : 도교
21 : 갑판
22 : 손잡이프레임
23 : 연결부
24 : 롤러
100 : 어창
110 : 어창 본체
120 : 커버부
121 : 돌출부재
122 : 힌지부
130 : 그물망
140 : 산소공급기
150 : 완충부재

Claims (5)

  1. 선박의 계류 및 정박을 위한 부유식 구조물로 형성되는 함선; 및
    상기 함선과 육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도교;를 포함하고,
    상기 함선은,
    알루미늄 재질의 갑판;과, 상기 갑판 하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쌍동형 바지;를 포함하는 일체형 알루미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함선이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쌍동형 바지의 단부에 위치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선은,
    상기 함선의 일측에 마련되는 어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창은,
    어획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어창 본체;
    상기 어창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어창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수가 상기 어창 본체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그물망; 및
    상기 어창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를 포함하여,
    상기 선박의 정박 시,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어창은, 다수개로 상기 함선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쌍동형 바지에 각각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어획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선박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어창 본체가 상기 선박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 및
    상기 어획물이 상기 커버부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어획물을 상기 어창 본체로 이송시킬 시, 상기 센서가 상기 선박의 높이를 측정한 후, 상기 높이조절장치가 상기 어창 본체를 상기 선박보다 낮은 위치로 승강시키고,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는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의 타단부는 상기 어창 본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경사지게 고정된 후, 상기 선박에서 상기 어획물을 상기 커버부에 놓으면 상기 어획물이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기 어창 본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0153A 2018-12-12 2019-05-22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KR102007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9951 2018-12-12
KR1020180159951 201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670B1 true KR102007670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53A KR102007670B1 (ko) 2018-12-12 2019-05-22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KR102275983B1 (ko) * 2020-12-31 2021-07-12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부유식 방파제
CN114457680A (zh) * 2021-12-18 2022-05-10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挂车机械化桥的配重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219A (ja) * 1994-11-17 1996-06-04 Nitta Ind Corp 渡り橋の支持構造
KR20100003066U (ko) * 2010-02-17 2010-03-17 유한회사 주하나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어촌계용 부잔교
KR20110002632A (ko) * 2009-07-02 2011-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핸드레일
KR20130070193A (ko)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마린앤디자인 부잔교용 부력체 및 이를 구비한 부잔교
KR101547589B1 (ko) * 2014-12-23 2015-08-28 최찬용 조립식 부력구조물
KR20180027108A (ko) *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219A (ja) * 1994-11-17 1996-06-04 Nitta Ind Corp 渡り橋の支持構造
KR20110002632A (ko) * 2009-07-02 2011-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핸드레일
KR20100003066U (ko) * 2010-02-17 2010-03-17 유한회사 주하나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어촌계용 부잔교
KR20130070193A (ko)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마린앤디자인 부잔교용 부력체 및 이를 구비한 부잔교
KR101547589B1 (ko) * 2014-12-23 2015-08-28 최찬용 조립식 부력구조물
KR20180027108A (ko) * 2016-09-06 2018-03-14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 및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KR102275983B1 (ko) * 2020-12-31 2021-07-12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부유식 방파제
CN114457680A (zh) * 2021-12-18 2022-05-10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挂车机械化桥的配重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457680B (zh) * 2021-12-18 2024-04-26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挂车机械化桥的配重系统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670B1 (ko)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부잔교
KR100615566B1 (ko) 부유 구조물, 부유 활주로 및 부교 설치 방법
CN202295235U (zh) 一种浮式多功能的海上牧场建筑结构
CN101850834A (zh) 一种半潜式多功能防波堤
CN100393576C (zh) 停泊的方法和系统
US7284497B2 (en) Swing mooring pontoon
US20110002739A1 (en) Temporary floating breakwater and causeway with simulated beach and kelp
CN101234662A (zh) 一种浮动式酒店
CN109131761B (zh) 浅水近岛礁旅游观光站及其运行方法
CN208559704U (zh) 一种开放海岸的浮桥滚装运输系统
CN201816726U (zh) 一种浮式多功能避风港结构
KR20150043668A (ko) 푼툰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Gates et al. South Pacific Commission Fish Aggregating Device (FAD) Manual-Volume II: Rigging deep-water FAD moorings
CN201762686U (zh) 一种半潜式多功能防波堤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KR20130070174A (ko) 계류시설
US5398633A (en)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Van Buurt Implementation of an ongoing FAD programme in Curacao (Netherlands Antilles) during the period 1993-2000
Lušić et al. Mooring area and mooring buoys plan
KR20110084742A (ko)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KR101074923B1 (ko) 피어가 없는 선박 계류장
CN207519425U (zh) 混合系泊刚柔组合超大型生态游钓网箱
Nikas Where the Street Meets the Sea: A Nautical Glossary for Maritime Lawyers
Vidler The Rye river bar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