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164A -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164A
KR20220148164A KR1020227027437A KR20227027437A KR20220148164A KR 20220148164 A KR20220148164 A KR 20220148164A KR 1020227027437 A KR1020227027437 A KR 1020227027437A KR 20227027437 A KR20227027437 A KR 20227027437A KR 20220148164 A KR20220148164 A KR 2022014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witching
vehicle
displayed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호 하야시
사치코 니시데
미유키 시라카와
도모나리 무라카미
아키오 스즈키
아사미 야마기시
고지 나가타
세이시 도모나가
데츠오 이케다
도루 나가라
히로시 다케우치
다카시 다카마츠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Guidance using head up displays or projectors, e.g. virtual vehicles or arrows projected on the windscreen or on the road itse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4Info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5Videos and anim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6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71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cei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탑승자에게 쾌적한 화면 표시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개시는,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의 천장에 설치된 유기 EL 시트 등의 스크린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에, 현재 위치로부터 보이는 천공도를 표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크린에,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외길 및 당해 외길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8624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는, 탑승자에게 쾌적한 화면 표시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화면을 조작하면 차멀미가 일어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탑승자에게 쾌적한 화면 표시를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한 일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스크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1)이다.
도 3은 스크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2)이다.
도 4는 모드 및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주행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1)이다.
도 7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2)이다.
도 8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3)이다.
도 9는 모드 간의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모드 내의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목적지 및 탑승자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목적지를 추가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재생할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스크린 간의 화면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이동 후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자동차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1)이다.
도 21은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2)이다.
도 22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순서로 설명을 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
2. 이동체에의 응용예
[1.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10)는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내에 구비된 스크린에의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력부(11)는 자동차의 주행 상황, 탑승자의 상황 및 탑승자에 의한 조작 등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이다. 입력부(11)에는, 화상 센서, 뎁스 센서 및 터치 센서 등의 각종 센서가 포함된다. 화상 센서는, 이차원의 화상을 취득하는 센서이고, 예를 들어 가시광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 등이다. 뎁스 센서는, 깊이를 포함하는 삼차원의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이고, 예를 들어 스테레오 카메라나, time of flight 방식, structured light 방식 등을 실시 가능한 센서이다. 입력부(11)는 탑승자에 의한 조작으로서, 터치 디스플레이에 의한 조작, 음성에 의한 조작, 골격장(骨格場)을 사용한 제스처 조작 등을 접수한다.
통신부(12)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2)는, 예를 들어 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에 의해 실현된다.
정보 처리부(13)는 콘텐츠 표시에 관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처리부(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정보 처리부(13)는 입력부(11)로부터 접수한 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에 포함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정보 처리부(13)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윈도우 등의, 멀티 콘텐츠의 묘화 제어나, 각 콘텐츠에 대한 터치 등의 이벤트 배신을 행한다. 정보 처리부(13)는 일반적인 OS의 제어 레이어에 상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화상 표시 장치(40)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화상 표시 장치(40)는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 스크린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40)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이후, 프로젝터 스크린 및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실제로 화상이 표시되는 면을, 단순히 스크린이라고 칭한다.
도 2는 스크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1)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40)는 프로젝터(20) 및 프로젝터 스크린(30)이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20)는 자동차의 후방부로부터 각 스크린에 화상을 투사한다. 프로젝터(20)는 스크린의 형상에 따라, 화상을 투사하는 방향 및 높이를 변경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프로젝터(20)는 뒷좌석의 후방에 거치되어도 되고, 뒷좌석의 후방의 천장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헤드레스트에 구비되어도 된다.
도 3은 스크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2)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40)는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31)여도 된다.
음성 출력 장치(50)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음성 출력 장치(50)는 스피커이다.
표시 출력 제어부(14)는 표시할 화상 및 출력할 음성의 작성을 행한다. 표시 출력 제어부(14)는, 예를 들어 CPU를 구비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출력 제어부(14)는 콘텐츠 취득부(141), 화상 음성 작성부(142) 및 입력 정보 축적부(143)를 갖는다.
콘텐츠 취득부(141)는 콘텐츠를 취득한다. 콘텐츠 취득부(141)는 소정의 기억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해도 되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의 장치나 다른 자동차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해도 된다.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한다. 또한,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입력 정보 축적부(143)는 탑승자가 입력한 정보를 축적하는 기억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 축적부(143)는 후술하는 플레이리스트의 정보 등을 축적한다.
각 모드에 속하는 화면을 패널이라고 칭한다. 도 4를 사용하여, 모드 및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모드 및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오픈카 모드 및 극장 모드를 갖는 것으로 한다.
오픈카 모드에서는, 자동차의 상공을 촬영한 화상이 배경으로서 표시되고, 배경 위에 각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오픈카 모드의 바깥 풍경 패널에는, 자동차의 상공을 촬영한 화상만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오픈카 모드의 카 네비게이션 패널에는, 자동차의 상공을 촬영한 화상 위에 카 네비게이션의 화상이 표시된다.
극장 모드에서는, 주로 관상용의 콘텐츠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극장 모드의 하와이 패널에는, 하와이의 풍경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극장 모드의 불꽃 패널에는, 불꽃의 영상이 표시된다. 그 외에도, 극장 모드의 패널에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다른 자동차에서 촬영된 화상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도 5를 사용하여, 주행 방향을 설명한다. 도 5는 주행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주행 방향은 자동차가 전진하는 방향이다. 단, 스크린이 프론트 글래스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주행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6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1)이다. 도 6의 화면은, 예를 들어 천장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6에 있어서의 스크린의 상부는 하부에 대하여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스크린 하부는 상부에 대하여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 이 경우, 화면이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화면이 도 6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도 7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2)이다. 도 7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은, 자동차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도 8은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3)이다. 도 8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은,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여기서, 탑승자는, 모드 간의 화면의 전환에 있어서는, 보고 싶은 모드를 목표로 하여 화면을 전환하기 때문에, 화면의 천이 횟수가 적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모드 내의 화면의 전환, 즉 동일 모드의 패널 전환에 있어서는, 텔레비전의 채널 재핑(zipping)과 같이, 다수의 화면 천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화면 하방이 지면이고 상방이 하늘이라는 모델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빈번히 전환이 발생해도 탑승자는 멀미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한편,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탑승자는 멀미하기 쉬워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는 화면의 전환의 빈도가 낮다고 생각되는 모드 간의 화면 천이의 경우에는,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킨다. 반대로, 화상 처리 장치(10)는 화면의 전환의 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모드 내의 화면 천이의 경우에는, 주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탑승자의 차멀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모드 간의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탑승자는, 먼저, 패널 하방의 검은 점을 제스처로 지시한다(101v). 그러면, 점이 가로로 퍼져서, 미터가 쌓여간다(102v). 미터가 완전히 쌓이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103v), 패널이 축소되고(104v), 전환 후의 패널이 전환 전의 패널을 위로 밀어내듯이, 각 패널이 아래에서 위로 이동(스크롤)한다(105v). 그리고, 모드 간의 패널의 전환이 완료된다(106v). 또한, 패널의 전환 입력에 사용되는 검은 점은, 패널 상방에 마련해도 된다. 그 경우, 패널 상방의 검은 점을 지시하면, 패널은 위에서 아래로 이동(스크롤)한다.
도 10은 모드 내의 화면 천이의 애니메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탑승자는, 먼저, 패널 왼쪽 단부의 검은 점을 제스처로 지시한다(101p). 그러면, 점이 세로로 퍼져서, 미터가 쌓여간다(102p). 미터가 완전히 쌓이면(103p), 패널이 축소되고(104p), 전환 후의 패널이 전환 전의 패널을 오른쪽으로 밀어내듯이, 각 패널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스크롤)한다(105p). 그리고, 모드 내의 패널의 전환이 완료된다(106p). 또한, 패널 우측의 검은 점을 제스처로 지시한 경우, 패널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스크롤)한다.
도 9에(104v)와 도 10에(104p)에 있어서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축소 표시하여 이동시켰다. 이에 의해, 화면 전체의 표시량이 적어지고, 또한 탑승자는 시야가 넓어진 감각을 얻기 때문에, 멀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때,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명도를 낮추어서 이동시킴으로써, 더욱 탑승자를 멀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는 패널을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동안(스텝 S101, "아니오")은 대기한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패널을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스텝 S101, "예"), 패널의 표시를 축소한다(스텝 S102).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10)는 패널의 표시의 명도를 낮춘다(스텝 S103).
여기서, 화상 처리 장치(10)는 패널의 전환이 모드 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패널의 전환이 모드 간인 경우(스텝 S104, "예"), 화상 처리 장치(10)는 전환 전후의 패널을 세로(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로 스크롤한다(스텝 S106). 패널의 전환이 모드 간이 아닌 경우(스텝 S104, "아니오"), 화상 처리 장치(10)는 전환 전후의 패널을 가로(주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로 스크롤한다(스텝 S105).
각 패널의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될,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작성한다.
통상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화면 상방에 목적지, 하방에 현재지가 표시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는 루트를 천장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화면 상방에 현재지, 하방에 목적지를 표시하고, 주행 방향과 루트의 진행 방향을 일치시킨다.
도 12는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의 스크린은 크기 때문에, 거기에 표시된 화면은, 탑승자의 시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때문에, 화면 상의 GUI가 크게 움직이면, 탑승자는 멀미하기 쉬워진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화상 처리 장치(10)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고정하고, 루트는 간이화하여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는 현재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관광지나 서비스 에어리어 등의 스폿을 이동시킴으로써, 현재의 주행 위치를 간격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의 예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는 △△ 파크를 통과한 후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루트로부터 소거하고 있다.
천장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에 대해서는, 복수의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네비게이션 패널에 대하여, 복수의 탑승자가 각자 임의로 목적지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 목적지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목적지를 설정한 탑승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한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카 네비게이션 패널에 추가된 목적지마다, 당해 목적지를 추가한 탑승자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13은 목적지 및 탑승자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처리 장치(10)가 목적지를 추가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4는 목적지를 추가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화상 처리 장치(10)는 목적지를 추가하는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스텝 S201, "아니오") 대기한다.
목적지를 추가하는 조작이 행해지면(스텝 S201, "예"), 화상 처리 장치(10)는 조작한 탑승자를 특정한다(스텝 S202).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10)는 조작한 탑승자를 특정한다(스텝 S202).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는 추가된 목적지의 카테고리를 판정한다(스텝 S203).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10)는 조작한 탑승자의 아이콘 옆에, 목적지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목적지의 카테고리는, 크게 경유지와 최종 도달지로 분류된다. 경유지로 분류되는 카테고리에는, 화장실 휴식, 식사 휴식 등이 있다. 화장실 휴식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목적지에는, 예를 들어, 서비스 에어리어, 파킹 에어리어가 있다. 또한, 식사 휴식으로 분류되는 카테고리에는, 예를 들어, 음식점, 편의점이 있다.
또한, 최종 도달지로 분류되는 카테고리에는, 쇼핑, 공공 시설, 관광지가 있다. 쇼핑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목적지에는, 예를 들어, 쇼핑몰, 슈퍼마켓이 있다. 또한, 공공 시설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목적지에는, 도서관, 시청, 학교, 철도역, 도로 휴게소, 버스 터미널이 있다. 또한, 관광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목적지에는, 유원지, 미술관, 동물원이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편의점을 목적지로서 추가한 경우, 당해 탑승자의 아이콘과 식사 휴식 카테고리의 아이콘이 화면에 추가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뒷좌석의 어린이가 화장실 휴식이나 식사 휴식을 원하고 있는 것을 운전자 등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1대의 자동차를 라이드 셰어(합승)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 각 탑승자가 다른 탑승자에게 희망 목적지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또한 현재지와 미리 대응지어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을 작성한다. 도 15는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플레이리스트가 대응지어진 위치가 루트 상에 나타내어져 있어도 된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자동차가 플레이리스트에 대응지어진 위치에 다다르면, 작성된 음악을 출력한다.
여기서,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는 자동 운전 시의 속도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는, 예를 들어 ECU(Engine Control Unit)이다. 또한, 루트 제어 장치(70)는 자동 운전 시의 루트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 및 루트 제어 장치(70)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에 의해 작성된 화면의 표시 시간(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루트 및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재생할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 및 루트 제어 장치(70)는 60분간의 영상과 30분간의 영상을 재생한 후에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루트 또는 주행 속도를 제어한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스크린 간에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10)는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어 있는 루트를, 천장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그 때, 화상 음성 작성부(142)는 자동차의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상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하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을,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2 화면을 작성한다.
도 17은 스크린 간의 화면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좌측에는,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루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7의 우측에는, 천장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루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 네비게이션과 천장의 스크린에서는, 예를 들어 「마쿠하리」와 「타케이시」의 상하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18은 이동 후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 스크린에서는, 목적지가 전방에 표시되기 때문에, 탑승자는 직감적으로 루트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음성 작성부(14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는, 모드 간과 모드 내에서의 화면의 전환의 빈도에 따라 화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쾌적한 화면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전환부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축소 표시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면을 조작하는 탑승자를 멀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명도를 낮추어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면을 조작하는 탑승자를 멀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작성부는,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될,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작성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양태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작성부는, 자동차의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상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하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을,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2 화면을 작성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크린에 따라,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양태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작성부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 목적지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목적지를 설정한 탑승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히 라이드 셰어 등에 있어서, 탑승자가 희망하는 목적을 용이하게 다른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작성부는 또한 현재지와 미리 대응지어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을 작성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는 장소에 맞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화면의 표시 시간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루트 및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주행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는 영상을 마지막까지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여행 등에 있어서, 탑승자는, 방문지의 정보를 사전에 학습해 둘 수 있다.
[2. 이동체에의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자동 이륜차,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 비행기, 드론, 선박, 로봇 등의 어느 종류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도 19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체 제어 시스템의 일례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통신 네트워크(12001)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도 19에 도시한 예에서는,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구동계 제어 유닛(12010), 바디계 제어 유닛(12020),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 및 통합 제어 유닛(12050)을 구비한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12050)의 기능 구성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12051), 음성 화상 출력부(12052), 및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Interface)(12053)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의 구동계와 관련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내연 기관 또는 구동용 모터 등의 차량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력 발생 장치, 구동력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구, 차량의 타각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기구, 및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 등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체에 장비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스마트 키 시스템, 파워 윈도우 장치, 혹은 헤드 램프, 백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방향 지시등 또는 포그 램프 등의 각종 램프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에는, 키를 대체하는 휴대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또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이들 전파 또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고, 차량의 도어록 장치, 파워 윈도우 장치, 램프 등을 제어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을 탑재한 차량의 외부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는, 촬상부(12031)가 접속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촬상부(12031)에 차외의 화상을 촬상시킴과 함께, 촬상된 화상을 수신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수신한 화상에 기초하여, 사람, 차, 장애물, 표지 또는 노면상의 문자 등의 물체 검출 처리 또는 거리 검출 처리를 행해도 된다.
촬상부(12031)는 광을 수광하고, 그 광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센서이다. 촬상부(12031)는 전기 신호를 화상으로서 출력할 수도 있고, 측거의 정보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촬상부(12031)가 수광하는 광은, 가시광이어도 되고, 적외선 등의 비가시광이어도 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차내의 정보를 검출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가 접속된다.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는, 예를 들어 운전자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피로 정도 또는 집중 정도를 산출해도 되고, 운전자가 졸고 있지 않은지를 판별해도 된다.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 의해 취득되는 차내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의 제어 목표값을 연산하여,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량의 충돌 회피 또는 충격 완화, 차간 거리에 기초한 추종 주행, 차속 유지 주행, 차량의 충돌 경고, 또는 차량의 레인 일탈 경고 등을 포함하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기능 실현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 의해 취득되는 차량의 주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 등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따르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 의해 취득되는 차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 의해 검지된 선행 차 또는 대향 차의 위치에 따라 헤드 램프를 제어하여, 하이 빔을 로 빔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차외에 대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력 장치에 음성 및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의 출력 신호를 송신한다. 도 19의 예에서는, 출력 장치로서, 오디오 스피커(12061), 표시부(12062)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12063)이 예시되어 있다. 표시부(12062)는, 예를 들어, 온보드 디스플레이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20은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1)이다.
도 20에서는, 촬상부(12031)로서,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 12106)를 갖는다.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 12106)는, 예를 들어, 차량(12100)의 프론트 노즈, 사이드 미러, 리어 범퍼, 백 도어 및 차실 내의 프론트 글래스의 상방, 루프 등의 위치에 마련된다. 프론트 노즈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1) 및 차실 내의 프론트 글래스의 상방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5)는 주로 차량(12100)의 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2, 12103)는 주로 차량(12100)의 측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4)는 주로 차량(12100)의 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차실 내의 프론트 글래스의 상방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5)는 주로 선행 차량, 또는 보행자, 장애물, 신호기, 교통 표지 또는 차선 등의 검출에 사용된다. 루프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6)는 주로 상공의 화상을 촬영한다.
또한, 도 20에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영 범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촬상 범위(12111)는 프론트 노즈에 마련된 촬상부(12101)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2, 12113)는 각각 사이드 미러에 마련된 촬상부(12102, 12103)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4)는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마련된 촬상부(12104)의 촬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촬상부(12101 내지 12104)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중첩시킴으로써, 차량(12100)을 상방으로부터 본 부감 화상이 얻어진다.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촬상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여도 되고, 위상차 검출용의 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여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를 기초로, 촬상 범위(12111 내지 12114) 내에 있어서의 각 입체물까지의 거리와, 이 거리의 시간적 변화(차량(121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구함으로써, 특히 차량(12100)의 진행 경로 상에 있는 가장 가까운 입체물이고, 차량(12100)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예를 들어, 0km/h 이상)로 주행하는 입체물을 선행 차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선행 차 못미처에 미리 확보해야 할 차간 거리를 설정하고, 자동 브레이크 제어(추종 정지 제어도 포함함)나 자동 가속 제어(추종 발진 제어도 포함함)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르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입체물에 관한 입체물 데이터를, 2륜차, 보통 차량, 대형 차량, 보행자, 전신주 등 기타의 입체물로 분류하여 추출하여, 장애물의 자동 회피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차량(12100)의 주변 장애물을, 차량(12100)의 드라이버가 시인 가능한 장애물과 시인 곤란한 장애물로 식별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각 장애물과의 충돌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충돌 리스크를 판단하여, 충돌 리스크가 설정값 이상으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상황일 때는, 오디오 스피커(12061)나 표시부(12062)를 통해 드라이버에 경보를 출력하거나,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을 통해 강제 감속이나 회피 조타를 행함으로써, 충돌 회피를 위한 운전 지원을 행할 수 있다.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카메라여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자의 인식은,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로서의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수순과,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는 일련의 특징점에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하여 보행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별하는 수순에 의해 행해진다. 마이크로컴퓨터(12051)가,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보행자를 인식하면,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당해 인식된 보행자에 강조를 위한 사각형 윤곽선을 중첩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한다. 또한,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보행자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해도 된다.
도 21은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2)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부(12106)는 차량의 상공의 화상을 촬영한다. 촬상부(12106)는 광각 카메라 또는 전방위 카메라여도 된다.
이상,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이상 설명한 구성 중, 마이크로컴퓨터(12051)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10)의 표시 출력 제어부(14)의 처리는, 마이크로컴퓨터(12051)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4 등에서 설명한 자동차의 상공의 화상은, 촬상부(12106)에 의해 촬영된 것이어도 된다.
화상 처리 장치를 탑재한 자동차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것이어도 된다. 도 22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100V)는 다른 자동차(110V)와 데이터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자동차(100V)는 네트워크 N을 통해 서버(100S)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네트워크 N은, 예를 들어 인터넷이다. 이 경우, 자동차(100V)에 구비된 화상 처리 장치는, 서버(100S) 또는 자동차(110V)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각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하나의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즉,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화상 처리 장치(10)와 마찬가지의 기능에 더하여, 화상 표시 장치(40), 음성 출력 장치(50),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 및 루트 제어 장치(70) 중 적어도 어느 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장치가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10), 화상 표시 장치(40), 음성 출력 장치(50),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 및 루트 제어 장치(70)의 모두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는, 도 1의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동등한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정보 처리부(13)와 표시 출력 제어부(14)의 기능을, 자동차의 외부의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갖게 하고, 자동차와 당해 서버가 통신 가능하게 구성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표시 장치(40), 음성 출력 장치(50), 자동 운전 제어 장치(60) 및 루트 제어 장치(70)는 당해 서버에 의해 제어되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2)
상기 전환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3)
상기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축소 표시하여 이동시키는 상기 (1) 내지 (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4)
상기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명도를 낮추어서 이동시키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5)
상기 작성부는, 상기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될,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작성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6)
상기 작성부는, 상기 자동차의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상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하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을, 상기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2 화면을 작성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7)
상기 작성부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 상기 목적지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목적지를 설정한 탑승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8)
상기 작성부는 또한 현재지와 미리 대응지어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을 작성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9)
상기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화면의 표시 시간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루트 및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주행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0)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와 화상 처리 장치를 갖는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11)
컴퓨터가,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
(12)
컴퓨터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0: 화상 처리 장치
11: 입력부
12: 통신부
13: 정보 처리부
14: 표시 출력 제어부
20: 프로젝터
30: 프로젝터 스크린
31: 액정 디스플레이
40: 화상 표시 장치
50: 음성 출력 장치
60: 자동 운전 제어 장치
70: 루트 제어 장치
141: 콘텐츠 취득부
142: 화상 음성 작성부
143: 입력 정보 축적부

Claims (12)

  1.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축소 표시하여 이동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전환 전후의 화면을 명도를 낮추어서 이동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부는, 상기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될,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작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부는, 상기 자동차의 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상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하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1 화면을, 상기 자동차의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천장에 구비된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하방에 목적지가 표시되고, 상방에 현재지가 표시되는 제2 화면을 작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부는,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루트, 상기 목적지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상기 목적지를 설정한 탑승자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부는 또한 현재지와 미리 대응지어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을 작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화면의 표시 시간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루트 및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주행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와 화상 처리 장치를 갖는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11. 컴퓨터가,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
  12. 컴퓨터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것에 속하는 화면을, 자동차에 구비된 스크린 상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 중인 화면을 동일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고, 표시 중인 화면을 상이한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 전후의 화면을 이동시키는 전환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27027437A 2020-02-28 2021-02-26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20148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4069 2020-02-28
JP2020034069 2020-02-28
PCT/JP2021/007266 WO2021172492A1 (ja) 2020-02-28 2021-02-26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64A true KR20220148164A (ko) 2022-11-04

Family

ID=7749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437A KR20220148164A (ko) 2020-02-28 2021-02-26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3637A1 (ko)
EP (1) EP4113486A4 (ko)
JP (1) JPWO2021172492A1 (ko)
KR (1) KR20220148164A (ko)
CN (1) CN115136111A (ko)
WO (1) WO2021172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042424A1 (ko) * 2021-09-17 2023-03-23
EP4303055A1 (en) * 2022-07-07 2024-0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hicle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of an occup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624A (ja) 2001-04-26 2002-11-15 Sony Corp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308A (ja) * 2006-06-26 2008-01-10 Fujifilm Corp Avシステム
JP5876363B2 (ja) * 2012-04-12 2016-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5903A (ja) * 2013-12-02 2015-06-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040967B2 (ja) * 2018-03-12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624A (ja) 2001-04-26 2002-11-15 Sony Corp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72492A1 (ko) 2021-09-02
EP4113486A4 (en) 2023-08-23
EP4113486A1 (en) 2023-01-04
CN115136111A (zh) 2022-09-30
WO2021172492A1 (ja) 2021-09-02
US20230083637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7314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4223B1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JP6375568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CN109383404B (zh) 显示系统、显示方法及存储程序的介质
EP3428027B1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7867296A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和控制该车辆的方法
CN107878460A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和服务器
KR20190098818A (ko) 자동 주차 시스템 및 차량
EP4049877A1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oving device
EP38361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bile bod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124118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172492A1 (ja)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1354475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移动体装置
KR101767507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80122A1 (ja) 運転支援装置と運転支援方法
KR102611338B1 (ko) 차량의 ar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WO2021131789A1 (ja) 車両
KR10208995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US2023005410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2008683B2 (en) Vehicle augmented reality navigational image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s
WO2023171401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2316698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移動体
US20220383556A1 (en) Imag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171065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