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018A -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018A
KR20220147018A KR1020220041044A KR20220041044A KR20220147018A KR 20220147018 A KR20220147018 A KR 20220147018A KR 1020220041044 A KR1020220041044 A KR 1020220041044A KR 20220041044 A KR20220041044 A KR 20220041044A KR 20220147018 A KR20220147018 A KR 2022014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amount
efficiency
precipit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오카모토
히데키 미타니
타쿠미 요시미네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과제) 유저에 의한 진척 상황의 파악을 지원한다.
(해결수단) 작업 관리 방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방법은 작업 효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방법은 추정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본 발명은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은 날씨의 영향에 따라 작업량이 다르다. 예를 들면, 수확된 농작물의 집하장에서는 이상적인 집하량이 반입되도록,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자가 반입되는 집하량을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집하기간의 어느 시점, 예를 들면, 하루 중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 집하장에 반입된 집하량과, 이상적인 집하량의 변화를 비교해서 집하량의 과부족을 추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기술은 집하량이 부족하다고 추정되었을 때, 생산자에게 그러한 바를 통지하여, 생산자가 농작물을 수확해서 집하장에 반입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일본 특허 제626733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집하장에 반입되는 농작물의 양에 의거하여 과부족을 추정하고 있지만, 생산자의 작업 효율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본 개시는 포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의 작업 효율에 의거하여 진척 상황을 추정함으로써 유저, 예를 들면, 포장의 소유자나 작업자에 의한 진척 상황의 파악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다른 목적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재 및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서 사용되는 번호·부호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기 이한 수단을 설명한다. 이들의 번호·부호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해서, 참고로서 괄호를 붙여 부가된 것이다. 따라서, 괄호를 붙인 기재에 의해, 특허청구의 범위는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방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방법은 작업 효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방법은 추정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방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과,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방법은 추정된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작업 효율 산출부(160)와, 추정부(170)와, 출력부(180)를 구비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추정부(170)는 작업 효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한다. 출력부(180)는 추정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추정부(170)와, 출력부(180)를 구비한다. 추정부(17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과,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출력부(180)는 추정된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연산 장치(120)에 실행시킨다. 또한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작업 효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연산 장치(120)에 실행시킨다. 또한,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추정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120)에 실행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과,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을 연산 장치(120)에 실행시킨다. 또한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추정된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120)에 실행시킨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유저는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작업 관리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관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작업 관리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듯이,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작업 관리 장치(100)와, 단말(200)을 구비한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20),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단말(20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작업 장치(30)는 포장 내를 이동함으로써 농작업을 행한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로부터 포장에서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작업 영역, 식부량, 산포한 농약량, 수확량 등을 나타내는 농업 데이터(300)를 저장한다. 작업 장치(30)는 예를 들면, 트랙터, 전식기, 콤바인 등의 수확기, 드론 등의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장치(30)는 수확물이나 자재 등을 나르는 운반차를 포함해도 좋다.
가동 정보는 포장에서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의 작업 장치(3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작업 장치(30)의 속도, 조타각, 엔진 회전수, 각종 클러치의 온/오프 상황, 작업 장치(30)의 각 시각의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 장치(30)가 작업 기계를 견인하는 차량, 예를 들면, 트랙터일 때, 가동 정보에는 작업 기계에 동력을 전달할 때의 PTO(power take-off) 회전수, 작업 기계의 자세를 나타내는 히치 높이나 리프트암 각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단말(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200)은 출력된 추정 완료 신호에 의거하여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추정일 표시 영역(580)을 갖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한다. 단말(200)은 추정일 표시 영역(580)에 추정 완료일로서 추정 완료 시기를 표시한다.
이렇게,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일을 표시한다. 유저는 단말(200)의 작업 관리 화상(500)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일을 파악하여 작업의 진척을 관리한다.
또한 작업 관리 화상(500)은 작업의 진척으로서, 작업량(501)과 날짜(502)의 관계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의 진척을 표시할 때, 작업량(501)은 작물을 수확한 면적을 나타낸다. 단말(200)은 현재까지 작업을 행한 작업 실적량(510)과, 현재의 날짜를 나타내는 현시점(515)을 표시하고, 현재의 진척 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작업 관리 화상(500)에는 수확해야 할 전체의 작업량을 나타내는 총작업량(550), 예를 들면, 수확해야 할 영역의 면적이 나타내어진다. 작업 관리 화상(500)은 현재의 진척률로 작업을 진행한 경우의 추정 진척량(520)과, 작업이 완료된다라고 추정되는 추정 완료일(525)을 나타낸다. 또한, 단말(200)은 작업 관리 화상(500)에 형성된 우천 빈도 표시 영역(570)에 작업을 개시하고나서 맑은 날과, 비가 내린 날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작업의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
작업 관리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작업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입출력 장치(110)와, 연산 장치(120)와, 통신 장치(130)와, 기억 장치(140)를 구비한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컴퓨터이다. 입출력 장치(110)에는 연산 장치(120)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110)는 연산 장치(120)가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입출력 장치(110)는 여러가지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터치패널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110)는 생략되어도 좋다.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네트워크(20)를 통해 각각의 장치와의 통신을 행한다. 통신 장치(130)는 작업 장치(30)로부터 취득하는 가동 정보를 연산 장치(120)로 전송한다. 또한 연산 장치(120)가 생성한 신호를 단말(200)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면, NIC(Network Interface Card),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여러가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140)는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산출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 예를 들면, 농업 데이터(300)와,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저장한다. 기억 장치(140)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로서 사용된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1)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농업 데이터(300)는 작업 장치(30)로부터 취득하는 가동 정보와,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평가 정보를 포함한다. 가동 정보는 예를 들면, 작업 장치(30)의 각 시각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 장치(30)의 위치 정보는 작업 장치(30)에 설치된 측위 장치, 예를 들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수신기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가동 정보는 위치 정보에 관련지어진 식부량, 산포한 농약량, 수확량 등을 포함한다.
평가 정보는 작업 면적, 단위 면적당 수확량, 단위 면적당 산포한 농약이나 비료의 양, 식부한 작물의 양, 파종량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작업 면적은 작업 장치(30)의 위치 정보로부터 산출된다.
농업 데이터(300)는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하는 포장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농업 데이터(300)는 작업을 행해야 할 포장의 면적을 포함한다.
연산 장치(120)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기억 장치(140)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해서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산출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연산 장치(120)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한다.
연산 장치(120)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듯이, 데이터 기억부(150)와, 작업 효율 산출부(160)와, 추정부(170)와, 출력부(180)를 실현한다. 데이터 기억부(150)는 농업 데이터(300)를 기억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농업 데이터(300)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추정부(170)는 산출된 작업 효율과, 작업해야 할 영역의 작업 면적에 의거하여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추정 완료 시기를 산출한다. 출력부(180)는 산출된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진척 신호, 예를 들면,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말(20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입출력 장치(210)와, 연산 장치(220)와, 통신 장치(230)와, 기억 장치(240)를 구비한다. 단말(200)은 예를 들면, 컴퓨터, 태블릿, 휴대전화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210)에는 연산 장치(220)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210)는 연산 장치(220)가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입출력 장치(210)는 여러가지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터치패널 등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230)는 네트워크(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네트워크(20)를 통해 각각의 장치와의 통신을 행한다. 통신 장치(230)는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를 연산 장치(220)로 전송한다. 또한 연산 장치(220)가 생성한 신호를 작업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230)는 예를 들면, NIC(Network Interface Card),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여러가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240)는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단말(200)의 입출력 장치(210)에 표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 예를 들면, 표시 프로그램(320)을 저장한다. 기억 장치(240)는 표시 프로그램(320)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로서 사용된다. 표시 프로그램(320)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2)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표시 프로그램(320)은 기억매체(1)에 기록되어서 제공되어도 좋다.
연산 장치(220)는 표시 프로그램(320)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취득하는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연산 장치(220)는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한다.
연산 장치(220)는 표시 프로그램(320)을 판독하여 실행하면, 입출력 장치(210)와 협동해서, 도 3에 나타내듯이, 표시부(250)를 실현한다. 표시부(250)는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진척 상황을 취득해서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한다.
(작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
도 1에 나타내는 작업 장치(30)는 정지하면, 예를 들면, 엔진을 정지하면, 가동 정보를 작업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작업 장치(30)는 가동하고 있을 때, 차례대로 가동 정보를 작업 관리 장치(100)로 송신해도 좋다.
작업 관리 장치(100)의 연산 장치(120)는 작업 장치(30)로부터 가동 정보를 수신하면,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작업 관리 방법인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수신된 가동 정보는 연산 장치(120)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기억부(150)에 의해, 농업 데이터(300)에 기억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연산 장치(120)에 의해 실현되는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을 행한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과,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강수량에 따른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최초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을 행한 날을 포함하는, 작업을 행한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을 취득한다. 강수량은 작업 관리 시스템(1000)에 포함되지 않는 기상 정보 서버로부터 취득해도 좋고, 유저에 의해 단말(200)의 입출력 장치(210)에 입력되어도 좋다.
다음에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취득된 강수량에 따라,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작업일을 복수의 강수상태로 분류한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량이 역치 미만인 날을 청천일로서 분류하고, 강수량이 역치 이상인 날을 우천일로서 분류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2개 이상의 역치를 설정하고, 작업일을 3개 이상의 강수상태로 분류해도 좋다. 또한 강수상태는 작업일로부터 소정의 기간만큼 거슬러 올라간 기간의 강수량에 의거하여 분류되어도 좋다.
다음에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분류된 강수상태마다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상태마다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수확한 작업량, 예를 들면, 수확한 면적을 나타내는 작업 면적의 합계를 산출한다. 또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상태마다 수확하는데에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는 작업시간의 합계를 산출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상태마다 산출된 작업량의 합계를 작업시간의 합계로 제산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스텝 S120에 있어서, 추정부(170)는 산출된 작업 효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작업이 행해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비율을 나타내는 상태 빈도와, 작업 효율과,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한다. 총작업량(550)은 복수의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하는 경우, 각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작업량의 합계를 나타낸다.
최초로, 추정부(170)는 작업이 행해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일수에 대한 각 강수상태의 일수의 비율을 상태 빈도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20일 중 우천일이 5일일 때, 우천일을 나타내는 상태 빈도를 25%로서 산출한다. 또한 추정부(170)는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20일 중 청천일이 15일일 때, 청천일을 나타내는 상태 빈도를 75%로서 산출한다.
다음에 추정부(170)는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을 취득한다. 총작업량(550)은 예를 들면, 농업 데이터(300)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추정부(170)는 산출된 상태 빈도가 나타내는 확률로 각 강수상태가 되는 지역에서 산출된 각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로 작업을 행할 때, 총작업량(550)의 작업을 완료하는 날짜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식(1)을 충족시키는 작업일수(x)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i는 대상의 작업 장치(30)를 나타내고, j는 각 강수상태를 나타낸다. αi,j는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i에 대응하는 작업 장치(30)의 작업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βj는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나타낸다. 또한 wall은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을 나타내고, wd는 현시점에서 작업이 완료되어 있는 작업량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추정부(170)는 현시점의 날짜에, 산출된 작업일수(x)를 가산해서 추정 완료 시기를 산출한다.
스텝 S130에 있어서, 출력부(180)는 산출된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추정 완료 신호는 추정 완료 시기 외에, 도 2에 나타내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한다. 출력부(180)는 작업 관리 화상(5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출력부(180)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40에 있어서, 단말(200)의 연산 장치(220)에서 실현되는 표시부(250)는 추정 완료 신호에 의거하여 추정 완료 시기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한다. 유저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일을 파악하여 작업의 진척을 관리한다.
(실시형태 2)
또한,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목표 완료일에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목표 효율을 유저에게 통지해도 좋다. 목표 효율은 단위시간, 예를 들면, 1일당 작업해야 할 작업량인 목표 작업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도 5에 나타내듯이, 목표 효율 표시 영역(590)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한다. 목표 효율 표시 영역(590)에는 각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목표 효율이 표시된다.
또한 작업 관리 화상(500)은 목표 효율로 작업을 행한 경우의 목표 진척량(530)과, 목표 완료일(535)을 표시한다. 또한, 작업 관리 화상(500)은 한계 작업량(560)을 표시해도 좋다. 한계 작업량(560)은 작업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작업량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한계 작업량(560)은 예를 들면,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나타낼 때, 수확한 후에 건조 등의 하베스트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수확량에 따른 진척량을 나타낸다. 또한 수확물이 사탕수수인 경우, 하베스트 작업은 제당 공장에 있어서의 제당 처리 등을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하베스트 작업에 있어서 처리 가능한 최대 수량이 1일당 900톤이며, 또한, 수확량이 1a당 0.4톤일 때, 추정부(170)는 한계 작업량(560)이 1일당 2250a이다라고 산출한다.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
작업 관리 장치(100)의 연산 장치(120)는 작업 장치(30)로부터 가동 정보를 수신하면, 작업 관리 프로그램(310)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작업 관리 방법인 도 6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연산 장치(120)에 의해 실현되는 추정부(170)는 목표 완료 시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미리 등록된 목표 관리 시기를 기억 장치(14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추정부(170)는 유저가 단말(200)의 입출력 장치(210)에 입력한 목표 완료 시기를 표시부(250)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스텝 S220에 있어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일을 강수량으로 분류한 2개의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과,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강수량에 따른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산출된 작업 효율에 의거하여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일을 강수량으로 분류한 2개의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최초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실시형태 1의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10과 마찬가지로,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을 행한 날을 포함하는, 작업을 행한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을 취득한다. 취득된 강수량에 따라,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작업일이 복수의 강수상태로 분류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분류된 강수상태마다 작업량의 합계와 작업시간의 합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작업량의 합계를 작업시간의 합계로 제산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다음에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2개의 강수상태의 조합에 있어서,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작업일을 2개의 강수상태(예를 들면, 청천일과, 우천일)로 분류했을 때,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청천일의 작업 효율에 대한 우천일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작업일을 3개 이상의 강수상태로 분류했을 때,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1개의 강수상태의 작업 효율을 기준 작업 효율로 해서 기준 작업 효율에 대한 각 강수상태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이 때문에, 각 강수상태의 작업 효율은 기준 작업 효율과 비율로 나타내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스텝 S230에 있어서, 추정부(170)는 산출된 작업 효율의 비율과, 목표 완료 시기와, 작업 장치(30)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각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 목표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작업이 행해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비율을 나타내는 상태 빈도와, 비율과, 목표 완료 시기와,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최초로, 추정부(170)는 작업이 행해지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산출한다. 상태 빈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20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추정부(170)는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을 취득한다. 총작업량(550)은 예를 들면, 농업 데이터(300)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추정부(170)는 산출된 상태 빈도가 나타내는 확률로 각 강수상태가 되는 지역에서, 각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산출된 비율이 되도록 작업을 행할 때, 총작업량(550)의 작업을 목표 완료 시기까지 완료하기 위한 목표 효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식(2)을 충족시키는 기준 작업 효율(αb)을 산출한다. 또, αb는 예를 들면, 임의의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작업 장치(30) 중 1개의 작업 효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i는 대상의 작업 장치(30)를 나타내고, j는 각 강수상태를 나타낸다. γi,j는 기준 작업 효율에 대한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i에 대응하는 작업 장치(30)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βj는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나타낸다. x는 현시점으로부터 목표 완료 시기까지의 작업일수를 나타낸다. 또한 wall은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을 나타내고, wd는 현시점에서 작업이 완료되어 있는 작업량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추정부(170)는 산출된 기준 작업 효율(αb)에, 대응하는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작업 장치(30)의 작업 효율의 비율(γi,j)을 적산해서 각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 목표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산출한다.
스텝 S240에 있어서, 출력부(180)는 산출된 목표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한다. 목표 신호는 단위시간당 목표 작업량 외에, 도 5에 나타내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한다. 출력부(180)는 작업 관리 화상(5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출력부(180)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스텝 S250에 있어서, 단말(200)의 연산 장치(220)에서 실현되는 표시부(250)는 목표 신호에 의거하여 도 5에 나타내듯이, 목표 효율 표시 영역(590)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한다. 유저는 작업 관리 화상(500)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이 목표 완료 시기까지 완료되기 위한 목표 작업량을 파악하고, 작업의 진척을 관리한다.
(변형예)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은 일례이며,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단위시간당 목표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작업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작업량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한계 작업량(560) 이하가 되도록 추정해도 좋다. 추정부(170)는 복수의 강수상태의 목표 효율에 한계 작업량(560)보다 큰 목표 효율이 포함될 때, 이 목표 효율을 한계 작업량(560)에 고정해서 기준 작업 효율(αb)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식(3)을 충족시키는 기준 작업 효율(αb)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i는 대상의 작업 장치(30)를 나타내고, j는 목표 효율이 한계 작업량(560) 미만인 각 강수상태를 나타내고, γi,j는 기준 작업 효율에 대한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i에 대응하는 작업 장치(30)의 작업 효율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βj는 강수상태(j)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나타낸다. x는 현시점으로부터 목표 완료 시기까지의 작업일수를 나타낸다. k는 목표 효율이 한계 작업량(560) 이상인 각 강수상태를 나타내고, βk는 강수상태(k)에 있어서의 상태 빈도를 나타낸다. αmax는 목표 효율의 최대값인 한계 작업량(560)을 나타낸다. 또한 wall은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550)을 나타내고, wd는 현시점에서 작업이 완료되어 있는 작업량을 나타낸다.
추정부(170)는 한계 작업량(560) 미만인 목표 효율을 산출된 기준 작업 효율(αmax)과 비율(γi,j)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한계 작업량(560) 이상인 목표 효율을 한계 작업량(560)으로서 산출한다. 이렇게, 추정부(170)는 한계 작업량(560) 이하가 되는 목표 효율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작업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처리할 수 없는 목표 작업량을 산출할 가능성을 저감한다.
또한 추정부(170)는 목표 효율이 한계 작업량(560)보다 작은 역치 이하가 되도록 추정해도 좋다. 이 경우, 추정부(170)는 식(3)에 있어서, αmax를 역치로 해서 기준 작업 효율(αb)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관리 시스템(1000)은 작업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처리할 수 없는 목표 작업량을 산출할 가능성을 저감한다.
이 한계 작업량(560)은 임의의 방법으로 산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한계 작업량(560)은 유저가 입출력 장치(210)에 입력하는 단위면적당 수확량과, 작업 전 또는 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확량에 의거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입력된 단위면적당 수확량과, 처리 가능한 수확량을 단말(200)의 표시부(25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데이터 기억부(150)는 가동 정보로부터, 작업 장치(30)가 작업을 행한 면적과, 작업 장치(30)가 수확한 수확량을 취득한다. 취득된 면적과 수확량에 의거하여 데이터 기억부(150)는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산출한다.
각 강수상태에 속하는 작업일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태 빈도는 현시점까지 작업이 행해진 작업일의 비율로 결정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단말(200)의 입출력 장치(210)로의 입력에 따라 상태 빈도는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는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우천 빈도 표시 영역(570)의 슬라이더(575)를 좌우로 이동하는 조작을 입출력 장치(210)에 입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단말(200)의 표시부(250)는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에 의거하여 상태 빈도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태 빈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작업 관리 장치(100)의 추정부(170)에 출력한다. 추정부(170)는 표시부(250)로부터 취득한 상태 빈도를 이용하여, 진척 상황, 예를 들면, 추정 완료 시기 또는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출력부(180)는 추정된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진척 신호, 예를 들면, 추정 완료 신호 또는 목표 신호를 출력한다.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량에 따른 작업 효율을 임의의 방법으로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가동 정보와, 기상 정보에 의거하여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함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이 함수는 강수량과 작업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근사 곡선이다. 이 경우, 추정부(170)는 작업을 행하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의 분포와,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함수와,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한다.
또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강수량에 따른 목표 효율의 비율도 임의의 방법으로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가동 정보와, 기상 정보에 의거하여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함수를 산출한다. 추정부(170)는 작업을 행하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의 분포와,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함수와, 총작업량(550)과,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예를 들면, 추정부(170)는 작업을 행하는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의 분포와,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함수에 의거하여 작업 장치(30)가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으로 작업을 행했을 때에 목표 완료 시기까지 완료하는 작업량을 산출한다. 추정부(170)는 목표 완료 시기까지 완료하는 작업량에 대한 총작업량(550)의 비율을 강수량에 대한 작업량에 승산함으로써 목표 효율을 산출한다.
표시부(250)는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작업 관리 화상(500)에 각 작업 장치(30)의 정보를 구별 가능하게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부(250)는 작업 장치(30)마다 작업 관리 화상(500)을 표시해도 좋고, 1개의 작업 관리 화상(500)에 작업 장치(30)마다의 작업 실적량(510), 추정 진척량(520), 목표 진척량(530) 등을 표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 예를 들면, 포장의 소유자는 각 작업 장치(30)에 의한 진척 상황을 파악해서 작업 장치(30)에 할당하는 포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50)는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작업 관리 화상(500)에 각 포장의 정보를 구별 가능하게 나타내도 좋다. 이 경우, 각 작업 장치(30)의 목표 작업량은 기준 작업 효율(αb)에 비율(γi,j)을 적산함으로써 산출된다.
또한 작업 효율 산출부(160)와, 추정부(170)는 강수상태로 분류하지 않고, 작업 효율, 추정 완료 시기, 목표 효율 등을 산출해도 좋다. 이 경우,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10에 있어서,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한다. 또한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도 6에 나타내는 스텝 S220의 처리를 생략한다. 추정부(170)는 도 6에 나타내는 스텝 S230에 있어서, 목표 완료 시기와, 총작업량(550)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 작업해야 할 목표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추정 완료 시기는 작업이 완료되는 날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시기,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는 주 등을 나타내도 좋다. 또한 작업 효율은 단위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고, 단위시간은 임의의 기간, 예를 들면, 1일, 1주일 등을 나타내도 좋다. 작업량은 작업 면적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의 진척을 나타내는 임의의 값, 예를 들면, 식부량 등을 나타내도 좋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일례이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은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해도 좋고, 또는/및 임의로 조합해도 좋다. 또한, 필요로 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일부의 기능을 생략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작업 효율 산출부(160)와, 추정부(170)와, 출력부(180)는 단말(200)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0)은 작업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기억부(150)로부터 농업 데이터(300)를 취득한다. 단말(200)에서 실현되는 작업 효율 산출부(160)는 작업 효율 또는 작업 효율의 비율을 산출한다. 단말(200)의 추정부(170)는 작업 효율 또는 작업 효율의 비율에 의거하여 추정 완료 시기 또는 목표 효율을 추정한다. 출력부(180)는 추정된 추정 완료 시기 또는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부(250)에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추정 완료 시기 또는 목표 효율을 표시한다. 또한 작업 관리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말(200)이 실행해도 좋다.
1, 2:기억매체
20:네트워크
30:작업 장치
100:작업 관리 장치
110:입출력 장치
120:연산 장치
130:통신 장치
140:기억 장치
150:데이터 기억부
160:작업 효율 산출부
170:추정부
180:출력부
200:단말
210:입출력 장치
220:연산 장치
230:통신 장치
240:기억 장치
250:표시부
300:농업 데이터
310:작업 관리 프로그램
320:표시 프로그램
500:작업 관리 화상
501:작업량
502:날짜
510:작업 실적량
515:현시점
520:추정 진척량
525:추정 완료일
530:목표 진척량
535:목표 완료일
550:총작업량
560:한계 작업량
570:우천 빈도 표시 영역
575:슬라이더
580:추정일 표시 영역
590:목표 효율 표시 영역
1000:작업 관리 시스템

Claims (13)

  1.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작업 효율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과,
    추정된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과, 상기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강수량에 따른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은,
    상기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상태 빈도와, 상기 강수량에 따른 상기 작업 효율에 의거하여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수량에 따른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강수량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상기 작업을 행한 날을 복수의 강수상태로 분류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강수상태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태 빈도는 현시점으로부터 상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의 상기 복수의 강수상태의 각각의 비율을 나타내는 작업 관리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빈도는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작업 관리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빈도는 상기 가동 정보와, 상기 강수량에 의거하여 현시점까지 행해진 상기 작업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강수상태의 각각의 비율을 나타내는 작업 관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
  7.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과, 상기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과,
    추정된 상기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은,
    상기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의 강수량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강수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행한 작업량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과,
    산출된 상기 비율에 의거하여 상기 강수량에 따른 상기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은,
    상기 포장을 포함하는 지역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비율을 나타내는 제 2 상태 빈도와, 상기 비율에 의거하여 상기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량의 상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강수량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상기 작업을 행한 날을 복수의 강수상태로 분류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강수상태 중, 2개의 강수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량의 상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 빈도는 현시점으로부터 상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의 상기 복수의 강수상태의 각각의 비율을 나타내는 작업 관리 방법.
  10.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작업 효율 산출부와,
    상기 작업 효율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추정부와,
    추정된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11.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과, 상기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추정부와,
    추정된 상기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12.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행한 작업을 나타내는 가동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한 작업량을 나타내는 작업 효율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작업 효율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행해야 할 총작업량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완료 시기를 추정하는 것과,
    추정된 상기 추정 완료 시기를 나타내는 추정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키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
  13.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포장에서 작업을 행해야 할 총작업량과, 상기 작업을 완료해야 할 목표 완료 시기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작업 장치가 단위시간에 행해야 할 작업량을 나타내는 목표 효율을 추정하는 것과,
    추정된 상기 목표 효율을 나타내는 목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연산 장치에 실행시키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
KR1020220041044A 2021-04-26 2022-04-01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KR20220147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74012A JP2022168500A (ja) 2021-04-26 2021-04-26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JP-P-2021-074012 2021-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018A true KR20220147018A (ko) 2022-11-02

Family

ID=8132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044A KR20220147018A (ko) 2021-04-26 2022-04-01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83878A1 (ko)
JP (1) JP2022168500A (ko)
KR (1) KR20220147018A (ko)
CN (1) CN1152491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337B2 (ja) 2014-07-08 2018-01-24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集荷量調整支援装置、集荷量調整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269B2 (en) * 2016-08-25 2020-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ng crop productivity via intervention planning on small-scale far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337B2 (ja) 2014-07-08 2018-01-24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集荷量調整支援装置、集荷量調整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68500A (ja) 2022-11-08
CN115249145A (zh) 2022-10-28
EP4083878A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5014B1 (en) A system for forecasting the drying of an agricultural crop
JP2021009456A (ja) 農業支援装置
KR20220147018A (ko)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WO2022181258A1 (ja) 作業計画管理方法、作業計画管理装置、作業計画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7478066B2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7503009B2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装置、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2146358A (ja) 領域管理方法、領域管理装置、及び領域管理プログラム
KR20240119817A (ko) 작업 관리 방법,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관리 프로그램
WO2022163452A1 (ja) 農業情報管理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農業情報管理方法
US20230060662A1 (en) Work management method,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program
JP2023102334A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WO2022097549A1 (ja) 作業情報管理装置、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作業情報管理方法
JP7495889B2 (ja) 軌跡情報出力システム、軌跡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軌跡情報出力方法
JP2022190324A (ja) 収穫管理方法、収穫管理システム、及び収穫管理プログラム
JP2023061574A (ja) 圃場管理方法、圃場管理システム、及び圃場管理プログラム
JP2024092566A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WO2022176601A1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23182936A (ja) メンテナンス管理方法、メンテナ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メンテナンス管理プログラム
JP2024027923A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4114141A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3034879A (ja) 圃場管理方法、圃場管理システム、及び圃場管理プログラム
CN118195122A (zh) 作业辅助方法、作业辅助系统以及程序
JP2022146349A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3141280A (ja) 圃場管理方法、圃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圃場管理プログラム
JP2023101068A (ja) 圃場管理方法、圃場管理システム、及び圃場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