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386A -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 Google Patents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386A
KR20220145386A KR1020227033228A KR20227033228A KR20220145386A KR 20220145386 A KR20220145386 A KR 20220145386A KR 1020227033228 A KR1020227033228 A KR 1020227033228A KR 20227033228 A KR20227033228 A KR 20227033228A KR 20220145386 A KR20220145386 A KR 20220145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lumn
fixed
position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리
톈 톈
이춘 청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관형 칼럼의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이 개시된다. 장착 조립체(10)는 고정 브라켓(1) 및 연결 브라켓(2)을 포함하고; 걸림 구멍(11) 및 제1 조립 구멍(12)이 고정 브라켓(1) 상에 제공되고; 걸림 칼럼(21) 및 제2 조립 구멍(22)이 연결 브라켓(2) 상에 제공되고, 걸림 칼럼(21)은 걸림 구멍(11) 내에 걸리며; 고정 연결 부재(3)가 제1 조림 구멍(12) 및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정합된다. 장착 조립체에서, 걸림 칼럼은 걸림 구멍 내에 걸리고, 연결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 상에 사전-고정되어, 작업자는 고정 연결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관형 칼럼 상에 유지된 2개의 손을 완전히 풀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 브라켓을 고정 브라켓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장착 조립체는 단순한 구조를 갖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작업 시간을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관련 출원 참조
본 개시내용은,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2020년 2월 28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020225641.8호에 기초하여 제안되며 그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차량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차체와 스티어링 칼럼 사이의 연결 구조는 복잡하고 조립을 위해 동시에 다수의 사람의 협력을 필요로 하며, 이는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낭비하여 낮은 조립 효율을 유발한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은 스티어링 칼럼과 차체 사이의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장착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을 더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는 고정 지지체 및 연결 지지체를 포함한다. 고정 지지체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걸림 슬롯(hanging slot) 및 걸림 칼럼(hanging column) 중 하나를 구비하며, 또한 제1 조립 구멍을 구비한다. 연결 지지체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걸림 슬롯과 걸림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또한 제2 조립 구멍을 구비하고, 여기서 걸림 칼럼은 연결 지지체를 고정 지지체 상에 사전-장착하기 위해 걸림 슬롯 내에 배치되고, 고정 커넥터가 연결 지지체를 고정 지지체 상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조립 구멍 및 제2 조립 구멍과 각각 피팅(fitting)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에서, 걸림 칼럼은 먼저 연결 지지체를 고정 지지체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를 고정 지지체의 제1 조립 구멍 및 연결 지지체의 제2 조립 구멍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가 고정 지지체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와 고정 지지체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는 또한 위치결정 슬롯 및 위치결정 칼럼 중 하나를 구비하고, 연결 지지체는 위치결정 슬롯 및 위치결정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위치결정 슬롯은 위치결정 칼럼과 피팅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는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위치결정 슬롯은 걸림 슬롯 아래에 있으며, 걸림 칼럼이 걸림 슬롯에 배치된 후 연결 지지체는 위치결정 슬롯을 위치결정 칼럼과 피팅시키도록 회전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결정 슬롯은 위치결정 개구 및 위치결정 슬롯 바닥을 포함하고, 위치결정 슬롯 바닥은 위치결정 개구 아래에 있으며, 위치결정 칼럼은 위치결정 개구를 통과하여 위치결정 슬롯 바닥 상에 지지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걸림 슬롯의 개구는 위쪽을 향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걸림 슬롯의 개구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가 걸림 슬롯의 슬롯 바닥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지지체 및 고정 지지체 중 하나는 사전-설정된 너트를 구비하고, 고정 커넥터는 사전-설정된 너트와 나사식으로 피팅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는 고정 기초판 및 고정 기초판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 측판들을 포함하고, 고정 측판들 각각은 걸림 슬롯 및 걸림 칼럼 중 하나를 구비하며; 연결 지지체는 연결 기초판 및 연결 기초판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 측판들을 포함하고, 연결 측판들 각각은 걸림 슬롯 및 걸림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측판들은 고정 기초판에 수직이고, 연결 측판들은 연결 기초판에 수직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및 장착 조립체를 포함한다. 장착 조립체는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착 조립체이며, 연결 지지체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상에 배열되고, 고정 지지체는 차체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에서, 걸림 칼럼은 먼저 연결 지지체를 고정 지지체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를 고정 지지체의 제1 조립 구멍 및 연결 지지체의 제2 조립 구멍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가 고정 지지체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와 고정 지지체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은 차체 및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는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이며, 고정 지지체는 차체 상에 고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에서, 걸림 칼럼은 먼저 연결 지지체를 고정 지지체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를 고정 지지체의 제1 조립 구멍 및 연결 지지체의 제2 조립 구멍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가 고정 지지체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와 고정 지지체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설명에서 주어질 것이며, 그 중 일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로부터 알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및/또는 추가적인 양태들 및 이점들은 다음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실시예 설명에서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측판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의 연결 지지체 및 고정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략도이다.
참조 번호들:
100.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
10. 장착 조립체; 20. 차체; 30. 스티어링 칼럼;
1. 고정 지지체; 11. 걸림 슬롯; 111. 위치결정 볼록부; 12. 제1 조립 구멍; 13. 위치결정 슬롯; 131. 위치결정 개구; 132. 위치결정 슬롯 바닥; 133. 안내면; 14. 사전-설정된 너트; 15. 고정 기초판; 16. 고정 측판; 161. 제1 장변;
2. 연결 지지체; 21. 걸림 칼럼; 22. 제2 조립 구멍; 23. 위치결정 칼럼; 24. 연결 기초판; 25. 연결 측판; 251. 제2 장변;
3. 고정 커넥터;
4. 가스 스프링;
200. 차량; 및 210. 바퀴.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고, 실시예들의 예들을 첨부 도면에 도시하며,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단지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중심", "길이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위", "아래", "앞", "뒤", "좌측", "우측", "수직", "수평", "상단", "바닥", "내측", "외측",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축방향",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과 같은 용어에 의해 나타낸 배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배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배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명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개시내용의 용이하고 간결한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및 "제2"에 의해 정의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는 2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거나 정의되지 않는 한, "장착하다", "연결하다", 및 "연결"과 같은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 분리가능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거나; 또는 연결은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거나; 또는 연결은 직접 연결, 중개자를 통한 간접 연결, 또는 2개의 컴포넌트 사이의 내부 통신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을 위한 장착 조립체(10)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을 위한 장착 조립체(10)는 고정 지지체(1) 및 연결 지지체(2)를 포함한다. 고정 지지체(1)는, 차체(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걸림 슬롯(11)과 걸림 칼럼(21) 중 하나를 구비하고, 또한 제1 조립 구멍(12)을 구비한다. 연결 지지체(2)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걸림 슬롯(11)과 걸림 칼럼(21)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고, 또한 제2 조립 구멍(22)을 구비하며, 여기서 걸림 칼럼(21)은 연결 지지체(2)를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장착하기 위해 걸림 슬롯(11) 내에 배치되고, 고정 커넥터(3)가 연결 지지체(2)를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조립 구멍(12) 및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된다.
고정 지지체(1)는 차체(20) 상에 고정되고, 스티어링 칼럼(30)은 연결 지지체(2) 상에 장착되며, 그 후 걸림 칼럼(21)은 연결 지지체(2) 및 스티어링 칼럼(30)을 고정 지지체(1) 상의 연결 지지체(2)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11) 내에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30)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3)를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 및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심지어 한 사람이 차체(20)에 대한 스티어링 칼럼(3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어,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고,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또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로부터 제거될 때, 먼저 고정 커넥터(3)를 제거한 다음 걸림 슬롯(11)으로부터 걸림 칼럼(21)을 제거하기만 하면 되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조립 및 조립해제의 동작들이 더 간단해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걸림 슬롯(11)이 간격을 두고 고정 지지체(1) 상에 제공되고, 다수의 걸림 칼럼(21)이 간격을 두고 연결 지지체(2) 상에 제공되며, 다수의 걸림 칼럼(21)은 일 대 일 대응으로 다수의 걸림 슬롯(11)에 배치되어, 고정 지지체(1)와 연결 지지체(2)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키며,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의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2개의 걸림 슬롯(11) 및 2개의 걸림 칼럼(21)이 존재한다. 걸림 슬롯(11) 및 걸림 칼럼(21)의 수량은,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는 한, 실제 상황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걸림 슬롯(11) 및 걸림 칼럼(21)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을 위한 장착 조립체(10)에서, 걸림 칼럼(21)은 먼저 연결 지지체(2)를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11)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30)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3)를 제1 조립 구멍(12) 및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1)는 또한 위치결정 슬롯(13) 및 위치결정 칼럼(23) 중 하나를 구비하고, 연결 지지체(2)는 위치결정 슬롯(13) 및 위치결정 칼럼(23)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위치결정 슬롯(13)은 위치결정 칼럼(23)과 피팅된다. 위치결정 슬롯(13)과 위치결정 칼럼(23) 사이의 위치결정 피팅은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장착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30)과 차체(20) 사이의 장착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위치결정 슬롯(13)이 간격을 두고 고정 지지체(1) 상에 제공되고, 다수의 위치결정 칼럼(23)이 간격을 두고 연결 지지체(2) 상에 제공되며, 다수의 위치결정 칼럼(23)은 일 대 일 대응으로 다수의 위치결정 슬롯(13)과 피팅되어, 고정 지지체(1)와 연결 지지체(2) 사이의 장착 정확도를 증가시키므로, 연결 지지체(2)는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의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2개의 위치결정 슬롯(13) 및 2개의 위치결정 칼럼(23)이 존재한다. 위치결정 슬롯(13) 및 위치결정 칼럼(23)의 수량은,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위치결정되고 장착될 수 있는 한, 실제 상황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치결정 슬롯(13) 및 위치결정 칼럼(23)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1)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위치결정 슬롯(13)은 걸림 슬롯(11) 아래에 있으며, 걸림 칼럼(21)이 걸림 슬롯(11)에 배치된 후 연결 지지체(2)는 위치결정 슬롯(13)을 위치결정 칼럼(23)과 피팅시키도록 회전된다. 고정 지지체(1)는 차체(20)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위치결정 슬롯(13)은 걸림 슬롯(11) 아래에 제공되며,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먼저 걸림 슬롯(11)을 걸림 칼럼(21)과 피팅시킴으로써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고정될 수 있다. 고정 지지체(1)는 비스듬히 배치되며,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위치결정 슬롯(13)을 위치결정 칼럼(23)과 피팅시키기 위해 고정 지지체(1)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위치결정 슬롯(13)과 위치결정 칼럼(23) 사이의 위치결정 피팅은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피팅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지지체(2)는 먼저 사전-위치결정한 다음 고정함으로써 고정 지지체(1) 상에 조립되어, 조립 정확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슬롯(13)은 위치결정 개구(131) 및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을 포함하고,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은 위치결정 개구(131) 아래에 있으며, 위치결정 칼럼(23)은 위치결정 개구(131)를 통과하고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 상에 지지된다. 연결 지지체(2) 및 고정 지지체(1)가 장착될 때, 위치결정 칼럼(23)은 사전-위치결정을 위해 먼저 위치결정 슬롯(13)의 위치결정 개구(131)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위치가 조정된 후, 연결 지지체(2)는 위치결정 칼럼(23)이 위치결정 슬롯(13) 내로 연장되고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 상에 지지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압되고,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안정성 및 조립 정확도를 개선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결정 개구(131)와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 사이에 아치-형상 안내면(133)이 제공되어, 위치결정 칼럼(23)은 위치결정 개구(131)로부터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으로 더 쉽게 슬라이딩하므로, 조립 효율이 더 개선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걸림 슬롯(11)의 개구는 위쪽을 향한다. 걸림 슬롯(11)의 개구는 걸림 슬롯(11)에 걸림 칼럼(21)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쪽을 향하므로,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장착이 더 노동-절약적이 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걸림 슬롯(11)의 개구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가 걸림 슬롯(11)의 슬롯 바닥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연결 지지체(2) 및 고정 지지체(1)가 장착될 때, 걸림 칼럼(21)은 사전-위치결정을 위해 먼저 걸림 슬롯(11)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위치가 조정된 후, 걸림 슬롯(11)의 개구에서의 거리가 걸림 슬롯(11)의 슬롯 바닥에서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걸림 칼럼(21)이 걸림 슬롯(11)의 비교적 좁은 슬롯 바닥에 진입한 후,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피팅 정확도가 더 높아지고, 이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30)과 차체(20) 사이의 조립 정확도를 개선시킨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결정 볼록부(111)가 개구와 걸림 슬롯(11)의 슬롯 바닥 사이에 제공된다. 위치결정 볼록부(111)는 걸림 칼럼(21)을 차단할 수 있어서, 고정 지지체(1)에 대한 연결 지지체(2)의 위치가 조정된 후에, 걸림 칼럼(21)은 걸림 슬롯(11)의 개구로부터 걸림 슬롯(11)의 슬롯 바닥에 진입하고, 이에 의해 장착 정확도를 증가시킨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작업자는 먼저 차체(20) 상에 고정 지지체(1)를 고정시키고 연결 지지체(2) 상에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한 다음, 고정 지지체(1)의 걸림 슬롯(11)의 개구에서 연결 지지체(2)의 걸림 칼럼(21)을 사전-지지하고, 연결 지지체(2)의 위치결정 칼럼(23)을 고정 지지체(1)의 위치결정 개구(131)까지 연장시키도록 걸림 칼럼(21)의 축을 회전 중심선으로 하여 연결 지지체(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고정된다. 이 경우, 연결 지지체(2)는 제1 상태(도 6에 도시되는 파선 부분 참조)에 있다.
고정 지지체(1)에 대한 연결 지지체(2)의 위치가 조정된 후에, 연결 지지체(2)는 연결 지지체(2)의 중력 하에 연결 지지체(2)의 걸림 칼럼(21)을 고정 지지체(1)의 걸림 슬롯(11)의 슬롯 바닥 내로 슬라이딩시키고 연결 지지체(2)의 위치결정 칼럼(23)을 고정 지지체(1)의 위치결정 슬롯 바닥(132) 내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고정 지지체(1) 상에 조립된다. 이 경우, 연결 지지체(2)는 제2 상태(도 6에 도시되는 실선 부분 참조)에 있다.
마지막으로,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30)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서 고정 커넥터(3)를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 및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시킬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심지어 한 사람이 차체(20)에 대한 스티어링 칼럼(3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어,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고,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지지체(2) 및 고정 지지체(1) 중 하나는 사전-설정된 너트(14)를 구비하고, 고정 커넥터(3)는 사전-설정된 너트(14)와 나사식으로 피팅된다. 고정 커넥터(3)는 사전-설정된 너트(14)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가 더 간단해진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커넥터(3)는 볼트일 수 있고, 사전-설정된 너트(14)는 고정 지지체(1) 상에 용접되고, 사전-설정된 너트(14)의 나사형 구멍이 제1 조립 구멍(12)과 연통하고, 따라서 고정 커넥터(3)는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 및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이어서 사전-설정된 너트(14)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장착 조립체(10)의 구조를 더 안정적으로 만든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은 나사형 구멍으로서 제공될 수 있어서, 고정 커넥터(3)는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을 통과하고 그 다음에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에 직접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더 간단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지지체(1)는 고정 기초판(15) 및 고정 기초판(15)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 측판(16)을 포함하고, 고정 측판(16) 각각은 걸림 슬롯(11) 및 걸림 칼럼(21) 중 하나를 구비하고; 연결 지지체(2)는 연결 기초판(24) 및 연결 기초판(24)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 측판(25)를 포함하고, 연결 측판(25) 각각은 걸림 슬롯(11) 및 걸림 칼럼(21)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한다.
고정 지지체(1)는 고정 기초판(15)에 의해 차체(20)에 연결될 수 있어, 고정 지지체(1)와 차체(20) 사이의 연결 구조를 더 간단하게 하고; 연결 지지체(2)는 연결 기초판(24)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30)에 연결될 수 있어, 연결 지지체(2)와 스티어링 칼럼(30) 사이의 연결 구조를 더 간단하게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측판들(16)은 고정 기초판(15)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 측판들(25)은 연결 기초판(24)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고, 걸림 슬롯(11)과 걸림 칼럼(21) 중 하나는 고정 측판(16) 상에 제공되고, 걸림 슬롯(11)과 걸림 칼럼(21) 중 다른 하나는 연결 측판(25) 상에 제공되어, 고정 지지체(1)와 연결 지지체(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가 조립될 때,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는 반대로 개방될 수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30)의 다른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에 장착 공동이 형성되어, 스티어링 칼럼(30)의 일부 부분들을 보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고정 기초판(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고정 측판(16)의 측면에 제1 장변(161)이 제공되고, 고정 지지체(1)의 개구가 2개의 제1 장변(161) 사이에 제공되고; 연결 기초판(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연결 측판(25)의 측면에 제2 장변(251)이 제공되며, 2개의 제2 장변(251) 사이에 연결 지지체(2)의 개구가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기초판(15)과 2개의 고정 측판(16)은 제1 챔버를 형성하고, 연결 기초판(24)과 2개의 연결 측판(25)은 제2 챔버를 형성하고, 고정 지지체(1)의 개구는 연결 지지체(2)의 개구와 대향하며, 고정 지지체(1)가 연결 지지체(2)에 연결된 후에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전술한 장착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측판들(16)은 고정 기초판(15)에 수직이고, 연결 측판들(25)은 연결 기초판(24)에 수직이다. 즉, 연결 지지체(2) 및 고정 지지체(1) 양자 모두는 일반적으로 U 형상이므로, 스티어링 칼럼(30)의 다른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해 장착 공동의 공간이 보장될 수 있어, 스티어링 칼럼(30)의 일부 부분들을 보호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100)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 및 장착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장착 조립체(10)는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착 조립체(10)이며, 연결 지지체(2)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30) 상에 배치되고, 고정 지지체(1)는 차체(20)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100)에서, 걸림 칼럼(21)은 먼저 연결 지지체(2)를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11)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30)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3)를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 및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티어링 칼럼(30)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운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장착된 후에, 운동 조립체는 연결 지지체(2)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운동 조립체가 연결 지지체(2)에 대해 이동할 때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정하여, 차량을 상이한 운전자들에 대해 적합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티어링 칼럼(30)은 또한 가스 스프링(4)을 포함하고, 가스 스프링(4)의 양 단부는 운동 조립체 및 연결 지지체(2)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 지지체(2)가 고정 지지체(1) 상에 장착된 후에, 가스 스프링(4)은 운동 조립체를 연결 지지체(2)에 대해 이동하도록 가압하며, 그래서 스티어링 휠의 위치의 조정은 더 노동-절약적이 된다. 또한, 가스 스프링(4)은 가스 스프링(4)을 보호하기 위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에 형성된 장착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200)은 차체(20) 및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100)는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100)이며, 고정 지지체(1)는 차체(20) 상에 고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200)에서, 걸림 칼럼(21)은 먼저 연결 지지체(2)를 고정 지지체(1) 상에 사전-고정하기 위해 걸림 슬롯(11)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칼럼(30)을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는 스티어링 칼럼(30)에 대한 파지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어 고정 커넥터(3)를 고정 지지체(1)의 제1 조립 구멍(12) 및 연결 지지체(2)의 제2 조립 구멍(22)과 각각 피팅되도록 장착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지지체(2)는 고정 지지체(1) 상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 지지체(2)와 고정 지지체(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인력, 재료 자원 및 인시를 크게 절약하며, 조립 효율을 개선시킨다.
차량(200)은 또한 차체(20)의 바닥에 장착되고 차량(200)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바퀴(210)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 "특정예" 또는 "일부 예"라는 참조 용어를 사용하는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성,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 관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특정 특성,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로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변화들, 수정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1)

  1.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이며,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걸림 슬롯 및 걸림 칼럼 중 하나를 구비하고, 또한 제1 조립 구멍을 구비하는 고정 지지체; 및
    상기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 슬롯 및 상기 걸림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고, 또한 제2 조립 구멍을 구비하는 연결 지지체 - 상기 걸림 칼럼은 상기 연결 지지체를 상기 고정 지지체 상에 사전-장착하기 위해 상기 걸림 슬롯 내에 배치되고, 고정 커넥터가 상기 연결 지지체를 상기 고정 지지체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조립 구멍 및 상기 제2 조립 구멍과 각각 피팅됨 - 를 포함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는 또한 위치결정 슬롯 및 위치결정 칼럼 중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지지체는 상기 위치결정 슬롯 및 상기 위치결정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결정 슬롯은 상기 위치결정 칼럼과 피팅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상기 위치결정 슬롯은 상기 걸림 슬롯 아래에 있으며, 상기 걸림 칼럼이 상기 걸림 슬롯에 배치된 후에 상기 연결 지지체는 상기 위치결정 슬롯을 상기 위치결정 칼럼과 피팅시키도록 회전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슬롯은 위치결정 개구 및 위치결정 슬롯 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슬롯 바닥은 상기 위치결정 개구 아래에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 칼럼은 상기 위치결정 개구를 통과하고 상기 위치결정 슬롯 바닥 상에 지지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슬롯의 개구는 위쪽을 향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슬롯의 상기 개구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걸림 슬롯의 슬롯 바닥에서의 대향 측벽들 사이의 거리보다 큰,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체 및 상기 고정 지지체 중 하나는 사전-설정된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커넥터는 상기 사전-설정된 너트와 나사식으로 피팅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는 고정 기초판 및 상기 고정 기초판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 측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측판들 각각은 상기 걸림 슬롯 및 상기 걸림 칼럼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지지체는 연결 기초판 및 상기 연결 기초판의 대향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 측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측판들 각각은 상기 걸림 슬롯 및 상기 걸림 칼럼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측판들은 상기 고정 기초판에 수직이며, 상기 연결 측판들은 상기 연결 기초판에 수직인,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10.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이며,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장착 조립체 - 상기 연결 지지체는 상기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지지체는 차체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
  11. 차량이며,
    차체; 및
    제10항에 따른 상기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 - 상기 고정 지지체는 상기 차체 상에 고정됨 - 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27033228A 2020-02-28 2021-02-08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KR20220145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225641.8U CN211869495U (zh) 2020-02-28 2020-02-28 汽车管柱的安装组件、管柱组件以及车辆
CN202020225641.8 2020-02-28
PCT/CN2021/076017 WO2021169791A1 (zh) 2020-02-28 2021-02-08 汽车管柱的安装组件、管柱组件以及车辆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386A true KR20220145386A (ko) 2022-10-28

Family

ID=7325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8A KR20220145386A (ko) 2020-02-28 2021-02-08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14871A (ko)
KR (1) KR20220145386A (ko)
CN (1) CN211869495U (ko)
WO (1) WO2021169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869495U (zh) * 2020-02-28 2020-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管柱的安装组件、管柱组件以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316C1 (de) * 1996-09-19 1998-02-19 Lemfoerder Metallwaren Ag Kraftfahrzeuglenksäulenbaueinheit
JP4628561B2 (ja) * 2001-02-23 2011-02-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3934389B2 (ja) * 2001-10-22 2007-06-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組付け構造
KR20040102788A (ko) * 2003-05-29 2004-12-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조향칼럼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 구조
CN203485977U (zh) * 2013-09-29 2014-03-19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预装结构
CN211869495U (zh) * 2020-02-28 2020-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管柱的安装组件、管柱组件以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4871A (ja) 2023-04-11
CN211869495U (zh) 2020-11-06
WO2021169791A1 (zh)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472B2 (en) Coupl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in an oscillatory manner
US8475098B2 (en) Accessory retaining device
JP6293783B2 (ja) 自動車のクレードルのための連結装置
US8191862B2 (en) Portable spring-damper compressor
US20110204589A1 (en) Commercial vehicle and device for attaching a spring element to a commercial vehicle axle
KR20220145386A (ko) 자동차 관형 칼럼을 위한 장착 조립체, 관형 칼럼 조립체, 및 차량
US10625767B2 (en) Steering device
JP526744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2011098629A (ja)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におけるアクスルハウジングの支持構造
JP2005225360A (ja) 車両用マウント構造
EP4105109A1 (en) Mudguard unit for motor vehicles
JP3142275B1 (ja) 車両用燃料タンク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4938500A (en) Air bag mount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JP663506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仮止め構造
EP15640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leaf spring to an axle housing
CN110300695B (zh) 车辆尤其是机动车辆的车身装置
US11396318B2 (en) Steering device
CN217918266U (zh) 一种平衡车减震装置的连接结构
US10315684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JP4758286B2 (ja) ヘッドランプ装置
CN219969801U (zh) 一种连接结构、前机舱横梁和边梁总成及车辆
CN214084600U (zh) 平衡车的电机轴安装结构
CN213261938U (zh) 一种悬置系统及车辆
CN215155370U (zh) 车把组件和具有该车把组件的代步车
CN108163097B (zh) 一种汽车部件的安装支架及汽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