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89A - 틸러 헤드 - Google Patents

틸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89A
KR20220145289A KR1020220048786A KR20220048786A KR20220145289A KR 20220145289 A KR20220145289 A KR 20220145289A KR 1020220048786 A KR1020220048786 A KR 1020220048786A KR 20220048786 A KR20220048786 A KR 20220048786A KR 20220145289 A KR20220145289 A KR 2022014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element
operable
tiller
tiller hea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산네 쿠프너
짐 크라이머
로란트 뮬러
루잉 순
크리스토프 바벨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4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3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for low-lift hand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62D1/14Tillers, i.e. hand levers operating on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산업용 트럭을 위한 틸러 헤드가 도시되며 틸러 헤드는 중앙부,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되는 좌측 핸들부와 자신의 좌측과 마주하는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되는 우측 핸들부를 포함한다. 핸들부와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자신의 전방측과 마주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한다.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으로 가로질러 연장된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지며, 그리고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에 탑재된다. 틸러 바와 틸러 헤드를 포함하는 틸러가 또한 기술된다. 더욱이, 틸러와 틸러 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이 기술된다.

Description

틸러 헤드{TILLER HEAD}
본 개시는 산업용 트럭을 위한 틸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기술 분야는 산업용 트럭을 위한 틸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기술 분야는 산업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트럭은, 예를 들어, 창고와 저장 시설에서 널리 사용된다. 운전자는 틸러 헤드를 통해,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함으로써 산업용 트럭을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틸러 헤드의 틸러를 통해 트럭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산업용 트럭을 움직이고/이거나 조종할 수 있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운전자는 틸러 헤드의 틸러 위치에 관계없이 산업용 트럭을 정확하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틸러 헤드 위의 액츄에이팅 요소의 특정 배열은, 특히 산업용 트럭의 일부에 관하여 틸러의 소정 위치에서 운전자가 트럭을 제어하기 위한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전술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다른 바람직한 특징과 특성은 첨부 도면 및 본 개시의 배경과 함께 후속하는 개요 및 상세한 설명,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개선된 틸러와 개선된 산업용 트럭뿐만이 아니라 개선된 틸러 헤드를 제공한데 있다.
제 1 양상은 산업용 트럭을 위한 틸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틸러 헤드는 중앙부,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되는 좌측 핸들부 그리고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되는 우측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의 우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틸러 헤드는 액츄에이팅 요소(actua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는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어있을 수 있다. 격실은 전자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중앙부는 자신의 가장 긴 연장 측에 대응할 수 있는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전자 부품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되는 2개의 부품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좌측과 우측 핸들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좌측과 우측 핸들부는 또한 금속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좌측과 우측 핸들부는 모노리식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는 좌측과 우측 핸들부에 붙여지고/지거나 나사체결되고/되거나 포지티브-로킹 끼워맞춤(positive-locking fit)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와 부착될 수 있다. 중앙부는 적어도 스냅-온 연결(snap-on connection)에 의해 양 핸들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부는 부착을 위해 중앙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운전자에 의해, 특히 적어도 운전자의 한 손으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액츄에이팅 요소는 손가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산업용 트럭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핸들부와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부의 주 연장 방향은 평면을 정의할 수 있으며, 평면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나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중앙부의 주 연장 방향과 함께, 특히 좌측 축에서 중앙부로부터 가장 먼 각각의 핸들부의 지점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정의하는 평면을 정의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으로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틸러 헤드의 전방측의 방향에 마주하는 표면 및/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의 방향에 마주하는 표면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을 가로질러, 특히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front surface)과 작동가능한 후면(back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하나 초과의 작동가능한 전면 및/또는 하나 초과의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후방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동일한 방향으로 마주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수선(surface normal), 특히 중앙 및/또는 표면/측부의 주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수선을 포함하는 2개의 표면 및/또는 측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표면은 틸러 헤드의 요소의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 및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운전자가 작동할 수 있다. 작동가능한 면은 운전자에 의한 조작, 특히 직접적인 수동 조작을 위해 구성되는 표면일 수 있다. 작동가능한 면은 운전자, 예를 들어, 운전자의 손끝이 닿을 수 있게 배열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에 장착될 수 있다. 중앙부의 전방측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러 헤드의 전방측은 중앙부의 전방측, 특히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중앙부의 후방측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후방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중앙부의 후방측은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전방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 특히 전방향-후방향으로 중앙부의 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배열과 틸러 헤드의 구성으로 인해, 틸러 헤드는 운전자에 의한 산업용 트럭의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로, 이와 같은 틸러 헤드의 제조 및 조립은 간단하고, 비용 및 시간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틸러 헤드는 적은 수의 부품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낮은 비용과 견고한 디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상단측(top side)과 바닥측(bottom side)을 가질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은 틸러 헤드의 바닥측과 마주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은 중앙부의 중간 섹션에 관하여 틸러 헤드의 바닥측과 마주할 수 있다. 중앙부의 중간 섹션은 핸들부에 의해 테두리가 형성되고/되거나 핸들부로부터 떨어져 이격될 수 있다. 중앙부의 중간 섹션은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바닥측 사이의 같은 거리에 위치되고/되거나 중앙부의 상단 단부와 바닥 단부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틸러 헤드의 바닥측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가로지른다. 특히,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틸러 헤드의 바닥측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에 수직일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틸러 헤드의 바닥측은 중앙부의 우측과 중앙부의 좌측을 가로지른다. 특히,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틸러 헤드의 바닥측은 중앙부의 우측과 중앙부의 좌측에 수직일 수 있다. 중앙부의 우측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우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중앙부의 좌측은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좌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중앙부는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상단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상단면(top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중앙부는 본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바닥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바닥면(bottom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전방향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후방향은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방향은 후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상단 방향은 틸러 헤드의 상단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틸러 헤드의 바닥측에서 상단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닥 방향은 틸러 헤드의 바닥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서 틸러 헤드의 바닥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단 방향은 바닥 방향과 마주할 수 있다. 우측 방향은 중앙부의 우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중앙부의 좌측에서 중앙부의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좌측 방향은 중앙부의 좌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 및/또는 중앙부의 우측에서 중앙부의 좌측으로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방-후방 축은 전방향과 후방향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단-바닥 축은 상단 방향과 바닥 방향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좌-우 축은 좌측 및 우측 방향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전방-후방 축, 상단-바닥 축과 좌-우 축은 각각 서로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어 틸러 헤드, 특히, 중앙부 및/또는 핸들부에 대한 좌표계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중간 섹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운전자가 상이한 핸드 포지션을 갖는 액츄에이팅 요소에 쉽게 닿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배열은 좌측 핸들부를 손으로 쥐거나 우측 핸들부를 손으로 쥐도록 하여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앙부의 중간 섹션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 사이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중간 섹션은 중앙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이와 같은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의 중간 섹션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 사이, 특히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중앙부의 중간 섹션은 좌측 핸들부와 우측 핸들부 사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모노리식 구조, 특히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일체형 구조로 인해 낮을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는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사출-성형 부품은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제조에 있어서 조차도 비용-효율적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금소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는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주조 부품(cast part), 단조 부품(forged part) 및/또는 기계가공 부품(machined part)일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여전히 비용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튼튼하다. 다른 예로서, 액츄에이팅 요소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세라믹 액츄에이팅 요소는 매우 튼튼하고 가벼울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가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액츄에이팅 요소는 분말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rocking paddle switch actuating element)일 수 있다.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단부는 작동시, 특히 전방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교대로 움직일 수 있다.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회전은 자신의 피봇 축 둘레에 시소같은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접촉 감지면(touch sensitive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접촉 감지면은 운전자에 의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움직임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시 중앙부에 관하여 제자리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저항 센서, 초음파 센서, 정전식 센서, 또는 CMOS 센서와 같은 광센서 중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는 접촉 감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면은 스위치의 락킹 이외에 또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락킹 대신에 추가적인 작동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를 넘어 중앙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back surface)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의 에지를 넘어 중앙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는 운전자가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앙부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는 좌측과 우측 방향에서 중앙부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에지는 예각(sharp angle), 직각(right angle)으로 형성될 수 있고/있으며 전면(fornt surface)과 각각의 중앙부의 좌면 및 중앙부의 우면 사이의 둥근 중간단계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는 가로방향 축(width-wise axis)을 따라서 중앙부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를 넘어 중앙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로방향 축 및/또는 수평 축은 좌-우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는 액츄에이팅 요소에 바로 인접한 중앙부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의 일부 보다 좌-우 방향으로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핸들부에 보다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에 바로 인접한 중앙부의 섹션보다 넓을 수 있다. 가로방향 축은 또한 좌-우 축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과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는 측부에 관계없이 운전자가 단지 하나의 핸들부를 잡고/잡거나 단지 한 손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을 똑같이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의 좌측 에지 및/또는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의 우측 에지를 넘어 중앙부의 전방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 모두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가 모노리식, 특히 일체형 구조로서 구성될 때 중앙부에 액츄에이팅 요소를 탑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배열은 비록 여전히 간단한 작동 요소 기하학적 구조를 허용하지만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후방측 모두로부터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후방측까지 또는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후방향을 향해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서 대칭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향해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서 대칭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향해 단독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은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향해 중앙부의 좌측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부분은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향해 중앙부의 우측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은 중앙부의 우측보다 중앙부의 좌측에 보다 가깝게 배열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부분은 중앙부의 좌측보다 중앙부의 우측에 보다 가깝게 배열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은 중앙부의 좌측 또는 각각 우측에 인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중앙부의 후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중앙부의 후면의 일부는 액츄에이팅 요소가 탑재되고 전면을 덮고 있는 중앙부의 전면 위의 일부와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는, 예를 들어, 중앙부의 대응하는 전방측 부분과는 달리, 중앙부의 상기 후방측 부분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중앙부의 후방측의 중간 섹션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핸들부와 중앙부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둘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예를 들어, 산업용 트럭을 움직일 때 장애물과 마주침으로 인해, 돌발적인 작동 및/또는 손상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과 또한 선택적으로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핸들부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특히, 핸들부에 의해 제공되는 프레임내에 위치되고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하는 운전자의 손은 틸러 헤드의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물리적 영향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은 틸러 헤드와 중앙부, 특히 중앙부의 좌측의 좌측 핸들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둘러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부분은 틸러 헤드와 중앙부, 특히 중앙부의 우측의 우측 핸들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둘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부는 좌-우 방향으로, 특히 좌-우 및 상단-바닥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 액츄에이팅 요소를 완전히 둘러쌓을 수 있다. 테두리 형성은 틸러 헤드의 전방과 후방측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존재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각각은 실질적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축은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배열은,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가 산업용 트럭의 하강 및 상승 작동을 제어하는 경우 매우 직관적으로 액츄에이팅 요소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축은 수평 피봇 축일 수 있다. 피봇 축은 좌-우 축까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피봇 축은 전방-후방 축에 수직일 수 있다. 축은 상단-바닥 축에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 각각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제 1 방법으로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할 수 있으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제 2 방법으로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는 산업용 트럭의 적어도 2개의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액츄에이팅 요소의 전면 또는 후면을 작동, 특히 푸싱하는 2개의 상이한 방법으로 하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작동가능한 전면과 후면은 하나 이상의 제 1 및/또는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작동가능한 전면 및/또는 하나 초과의 작동가능한 후면은 하나 이상의 제 1 및/또는 제 2 작동가능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가능한 전면과 후면 중 하나의 일측 위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으며 일측 위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작동가능한 표면부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top section)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bottom section)에 위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은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바닥 섹션위에 위치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섹션일 수 있다. 즉,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은 바닥 섹션보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 다른 한편,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은 상단 섹션보다 틸러 헤드의 바닥측에 가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을 작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제 1 마커를 포함하고/하거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제 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마커는 제 2 마커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하나의 제 1 마커를 포함하고/하거나 각각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하나의 제 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는 각각의 표면 위에 만입부 및/또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마커는 각각의 표면의 인접한 섹션과 다르게 채색되고/되거나 상이하고/하거나 증가된 거칠기와 같은 상이한 표면 구조를 갖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마커는 부호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할 수 있다. 마커는 운전자가 광학적 및/또는 촉각으로 검출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의 각각의 표면의 인접한 부분을 광학적으로 또는 촉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마커는 산업용 트럭의 상승 작동(lifting opera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마커는 산업용 트럭의 하강 작동(lowering opera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의 상승과 하강 작동을 위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대응하는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승 작동은 들어올리는 작동일 수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 위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제 1 마커뿐만이 아니라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 위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제 1 마커에 의해, 운전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틸러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상승 작동을 위한 정확한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식별할 수 있다. 운전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하강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식별하기 위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뿐만이 아니라 작동가능한 전면 위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제 2 마커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리지(ridge)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리지는 의도된 작동가능한 표면을 작동시 운전자를 더 도와줄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각각 인접한 제1 작동가능한 표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사이에 리지를 가질 수 있다. 리지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에지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리지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단부에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리지는 실질적으로 틸러 헤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지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지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분리할 수 있다. 리지는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로부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동일하지 않게 분리할 수 있다.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표면 영역과 비교하여 보다 큰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반대일 수 있다. 적어도 또 하나의 리지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은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을 포함하고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은 4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을 포함한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 중 하나는,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에 위치된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 중 하나는,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에 위치된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작동가능한 전면부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아마도 사이에 연장되는 대응하는 리지에 의해 분리된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 위 4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 중 2개는,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에서 2개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후면에서 4개의 작동가능한 부분 중 2개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에서 2개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쌍의 2개의 작동가능한 후면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작동가능 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아마도 사이에 연장되는 대응하는 리지에 의해 분리된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는 두쌍의 작동가능한 후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여기서 한쌍의 작동가능한 표면의 두 표면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예를 들어, 작동가능한 후면의 2개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각각은, 특히 사이에 배열된 중앙부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가능한 후면의 2개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각각은, 특히 사이에 배열된 중앙부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중앙부의 전방측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일부는 중앙부의 전방측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섹션은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과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부분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은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중앙부의 좌측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중앙부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중앙부에 좌측에 인접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적어도 중앙부의 일부에 의해 중앙부의 우측에 인접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인접한 배열은 좌-우 축을 따라서 존재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하나의 제 1 및 하나의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중앙부의 좌측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에서 하나의 제 1 및 하나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중앙부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중앙부의 우측과 좌측 둘 위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는 운전자의 어느 한 손에 의해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쉽게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에 의해 산업용 트럭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의 상승 작동은 산업용 트럭 및/또는 팰릿 포크(pallet fork)와 같은 적재물 운반 구조에 의해 운반된 물체의 상승일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은 전기 모터 및/또는 유압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산업용 트럭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특히 운전자에 의한 액츄에이팅 요소의 터치 작동 및/또는 푸싱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동작일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가능한 표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및/또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틸러 헤드는 자신의 피봇 축 둘레에 대한 회전 움직임과 같이 중앙부에 관하여 액츄에이팅 요소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는 센서 신호는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과 같은 산업용 트럭의 기능을 제어하는 틸러 헤드, 특히 중앙부에 배열된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대응하여 전기 모터 및/또는 유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의 검출을 위해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는 보통 개방형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로스위치는 보통 폐쇄형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마이크로스위치가 보통 개방형 마이크로스위치이고 다른 하나의 마이크로스위치는 보통 폐쇄형 마이크로스위치인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스위치는,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로서 구성될 때, 액츄에이팅 요소 움직임의 검출을 신뢰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비용과 설치 공간에 있어서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중앙부와 액츄에이팅 요소 사이, 예를 들어 전방향-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스위치는 중앙부의 전방측과 중앙부의 전방측의 일부를 커버하고/하거나 중앙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후방측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는 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서 틸러 헤드의 바닥측으로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중앙부와 액츄에이팅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부는 2개의 리세스를 제공하며, 각각의 리세스는 하나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수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팅 요소는 2개의 리세스를 제공하며, 각각의 리세스는 하나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수용한다. 리세스가 중앙부에 제공되면, 리세스는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리세스가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에 제공되면, 리세스는 중앙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의 개방측은 각각의 리세스의 마주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의 마주하는 측 위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의 마주하는 측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2개의 작동가능한 전면부의 각각의 하부에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부는 후방향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피봇 축은 산업용 트럭에 틸러 헤드의 의도된 탑재시 수평축일 수 있다. 피봇 축의 마주하는 측은 상단-바닥 축에 관하여, 특히 피봇 축을 포함하는 좌-우 및 상단-바닥 축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히 운전자에 의해, 피봇 축을 중심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가 피봇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야기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중 제 1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피봇 축을 중심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야기하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중 제 2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스위치는 제 2 마이크로스위치보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 보다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마이크로스위치는 제 1 마이크로스위치보다 틸러 헤드의 바닥측에 보다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 1 마이크로스위치는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제 2 마이크로스위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락킹 패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 위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제 1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함으로써, 제 2 마이크로스위치는 작동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동작은, 특히 작동가능한 표면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푸시하는 푸싱 동작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동작은 또한 당김 동작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 위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푸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액츄에이팅 요소를 푸쉬하고 대응하는 제 1 회로를 닫음으로써, 이 경우 제 1 마이크로스위치가 정상적으로 개방된다. 작동동안 제 1 마이크로스위치와 액츄에이팅 요소간의 접촉은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푸싱 작동으로 안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은 제 2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푸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응하는 제 2 회로를 닫게 되고, 이 경우 제 2 마이크로스위치가 정상적으로 개방된다. 이들 전술한 예시적인 작동은 틸러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의 작동을 기술한다. 또한, 작동은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푸싱 작동에 의해, 상단부(top portion)는 제 1 회로를 닫기 위해 제 1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푸시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의 푸싱 작동에 의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부(bottom portion)는 제 2 회로를 닫기 위해 제 2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푸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작동 후 자신의 초기 위치로 액츄에이팅 요소를 되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이 끝난 후 액츄에이팅 요소의 푸시과 같은 산업용 트럭의 기능 중 원하지 않은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초기 위치는 중앙부에 관하여 액츄에이팅 요소의 정상 상태 위치(steady state position)일 수 있다. 특히, 초기 위치는 중앙부에 관하여 액츄에이팅 요소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앙부의 전방측과 작동가능한 전면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초기 위치는 또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츄에이팅 요소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지 않고/않거나 마이크로스위치가 액츄에이팅 요소에 의해 눌러지지 않고/않거나, 정상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개방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회로가 둘다 개방 상태인 위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틸러 헤드는 액츄에이팅 요소 위에 복원력(restoring force)을 가함으로써 액츄에이팅 요소를 자신의 초기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 위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의 각각의 측부 위에 정렬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 위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의 각각의 측부 위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프링은 마이크로스위치 중 하나로서 유사하게 배열, 특히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특히, 틸러 헤드의 락킹 패들 스위치는 중앙부와 2개의 스프링 요소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핸들부는 중앙부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칭적인 배열은 대칭면에 관하여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대칭면은 전방-후방 및 상단-바닥 방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대칭면은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의 중간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대칭 구성은 동일한 부품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과 우측 핸들부는 동일한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핸들부는 U 형상(U-shaped)일 수 있으며, 각각의 핸들부는 제 1 단과 제 2 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핸들부의 두께는 핸들부의 U 형상 연장을 따라서 변할 수 있거나 일정할 수 있다. 각각의 핸들부는 제 1 레그(leg)와 제 2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레그는 제 1 단을 포함하고 제 2 레그는 각각의 핸들부의 제 2 레그를 포함한다. 제 1 레그와 제 2레그는 각각의 U 형상 핸들부의 바닥에서 바닥부(bottom portion)와 함께 서로 연결될 수 있다. U 형상 핸들부의 바닥부는 중앙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레그는 바닥부로부터, 특히 좌-우 축을 따라서 중앙부를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핸들부의 제 1 단은 중앙부의 바닥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중앙부의 바닥 섹션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보다 틸러 헤드의 바닥측에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좌측 핸들부의 제 1 단은 중앙부의 바닥 섹션의 좌측에 부착될 수 있다. 우측 핸들부의 제 1 단은 중앙부의 바닥 섹션의 우측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에 대해 핸들부의 각각의 부착은 직접적일 수 있으며 접착 이음(glued joint), 나사 이음(screwed joint), 마찰 끼워맞춤, 스냅-온 연결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핸들부의 제 2 단은 중앙부의 상단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중앙부의 상단 섹션은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보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좌측 핸들부의 제 2 단은 중앙부의 상단 섹션의 좌측에 부착될 수 있다. 우측 핸들부의 제 2 단은 중앙부의 상단 섹션의 우측에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핸들부의 제 2 단의 부착은 중앙부의 상단 섹션에서 중앙부에 직접 및/또는 간접적인 부착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핸들부의 제 1 단과 제 2 단 중 하나는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핸들부의 다른 단은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핸들부의 한 단은 중간에 배열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예를 들어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를 통하여 중앙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는 매우 간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한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운전자에 의한, 예를 들어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를 푸시하거나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적어도 버튼, 접촉 감지 액츄에이팅 요소, 또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 및/또는 핸들부 중 하나의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하나는 중앙부의 상단 단부(top end)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벨리 버튼(belly button)일 수 있다. 상단 단부에 탑재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와 함께 중앙부의 상단 단부는 틸러 헤드의 상단 단부에 대응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하방으로 푸시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하방 작동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상단-바닥 축을 따른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본 경우에 있어서 푸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하나는 상단 섹션과 중앙부의 전방측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보다 틸러 헤드의 상단측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와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 위에 떨어져 이격될 수 있다. 중앙부의 상단 전방 섹션은 전방향으로,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를 넘어 돌출되는 돌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 위에 상단 섹션의 돌출 섹션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돌출 섹션은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가 배열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돌출 섹션의 상단측보다 돌출 섹션의 바닥측을 향해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전방-바닥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푸시가능한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푸시 버튼 또는 푸시 스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하나는 비상 차단(emergency shutoff), 비상 제동 및/또는 후진 기능(reversing functionality)을 제공하기 위해 경적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부의 상단 단부에 배열된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비상 차단, 비상 제동, 그리고 후진 버튼 중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후방향 및/또는 상단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단 섹션 및 중앙부의 전면 위에 배열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경적 버튼일 수 있다.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후진 버튼일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은 도보 또는 행인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오토-리버스 안전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산업용 트럭은 작동될 때 운전자로부터 떨어져 움직일 것이다. 산업용 트럭은 탑승 모드(riding mode)로 작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는 브레이크 버튼일 수 있으며 산업용 트럭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버튼을 작동하는 경우에 정지할 것이다. 산업용 트럭은 접을 수 있는 운전자의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업용 트럭은 플랫폼이 접혀질 때 도보 모드로 작동할 수 있고, 산업용 트럭은 플랫폼이 펼쳐질 때 탑승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2개는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일 수 있다.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의 회전은 회전 축, 특히 동축 회전 축(coaxial rotation axes)을 중심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축은 대응하는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의 중앙 길이방향 축과 일치, 특히 좌-우 축을 따라서 연장할 수 있다. 2개의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의 각각은, 특히 인접한 핸들부를 쥐고 있는 동안,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은, 예를 들어 전기 구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산업용 트럭의 가속 및/또는 감속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마커 및/또는 제 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마커는 산업용 트럭의 가속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마커는 산업용 트럭의 감속을 표시할 수 있다. 속도 제어는 이와 같은 설계로 매우 직관적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틸러 헤드를 잡지 못한 산업용 트럭의 돌발적인 가속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러 헤드는 작동 후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가 자신의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로서 구성된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하나는 중앙부와 좌측 핸들부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로서 구성된 좌측 핸들부와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다른 하나는 중앙부와 우측 핸들부 사이, 특히 중앙부와 각각의 좌측과 우측 핸들부의 각각의 제 2 단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대응하는 핸들부는 사이에 배열된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를 통하여 중앙부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2개의 핸들부의 제 2 단의 각각은 2개의 추가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좌측 핸들부의 제 2 단과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사이에 갭(gap)이 존재할 수 있으며 우측 핸들부의 제 2 단과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자신의 왼손으로 좌측 핸들부 그리고 오른손으로 우측 핸들부를 잡음으로써 틸러 헤드를 쥐고 있는 운전자는 하나의 엄지 손가락 및/또는 집게 손가락(index finger)으로 2개의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의 각각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 작동시 운전자가 핸들부를 놓지 않고 운전자에 의한 산업용 트럭의 가속 및/또는 감속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산업용 트럭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기는 틸러 헤드의 중앙부 위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표시기는 틸러 헤드의 중앙부의 후방측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작동 상태는 산업용 트럭의 에러 상태이거나 산업용 트럭의 서비스 상태일 수 있다. 표시기는 표시기 빛 및/또는 표시기 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헤드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access control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컴퓨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전자의 권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전자의 권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에 통신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컴퓨팅 수단은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전자의 권한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장점으로서, 자격이 있는 운전자만이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권한이 없는 사람에 의한 산업용 트럭의 원하지 않는 사용은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산업용 트럭의 기능, 특히 틸러 헤드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산업용 트럭의 기능의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상기 기능의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의 사용을 허용한 후, 운전자는 상기 산업용 트럭 위, 특히 상기 틸러 헤드 위의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이는 버튼의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하기 전에, 특히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가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버튼이 눌러질 때, 상기 기능은 버튼을 누를 시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액세스 제어 신호에 의해, 예를 들어 틸러 헤드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에러 신호가 주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이 확인되지 않았을 때, 산업용 트럭은 상기 버튼의 푸시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이 확인되었는지에 따라서 기능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운전자는 제 1 세트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되고 제 2 운전자는 제 2 세트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세트는 기능 및/또는 소정의 기능의 설정에 의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의 상승 기능이 아닌 구동 기능만을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그에 비해, 제 2 운전자는 운전 기능과 상승 기능 둘다 사용 및/또는 제 1 운전자보다 빠른 속도로 트럭을 운전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장점으로, 산업용 트럭의 어려운 기능 및/또는 특별한 라이센스를 요구하는 기능의 사용은 어떤 운전자에게 제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도록 훈련되고/되거나 증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의 전기 구동 모터 또는 적재물 운반 수단(load carrying means)과 같은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특히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의 컴퓨팅 수단은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특히 상기 부품을 위해 산업용 트럭의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이 가능한 ECU 및/또는 전력 MOSFET과 같은 전력 제어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고 운전자에 의한 기능의 이용에 응답하여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전력이 공급될 하나 이상의 부품의 작동 상태(powered status)는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산업용 트럭의 에너지 저장부, 예를 들어,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절약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열쇠, 동글(dongle)과 RFID-칩, 핀 코드(pin code), 및/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 속성을 통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운전자를 식별 및/또는 인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각의 운전자는 대응하는 RFID-칩에 할당된다. RFID-칩을 통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함으로써,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어느 운전자가 산업용 트럭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인증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각각의 열쇠, RFID-칩, PIN 코드 및/또는 생체 속성은 특정 운전자와 관계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기능 세트에 대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이들의 식별 및 액세스 주문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및 열쇠 및/또는 RFID 칩을 갖는 틸러 헤드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 액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시스템은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 후술되는 제 2 양상에 따른 틸러 및/또는 후술되는 제 3 양상에 따른 산업용 트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시스템은 이들 양상들의 특징, 실시예 및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특히 중앙부의 바닥 섹션 및/또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에 배열된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슬 통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관해 운전자에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중앙부의 바닥 섹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열함으로써, 특히 틸러 헤드의 상단부 및/또는 중간 섹션에 배열된 다른 버튼의 작동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운전자가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자신의 권한을 확인할 때 상기 버튼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후방측 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열함으로써, 상방향 및/또는 직립 상태인 틸러와 함께, 틸러 헤드의 뒤에 서있는 운전자를 위해 쉬운 접근이 제공된다. 장점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친화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산업용 트럭의 하나의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는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용 트럭의 허용된 기능을 표시하고/하거나,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권한이 확인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RFID-리더, 로킹 실린더, 지문 스캐너와 같은 생체 스캐너,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및/또는 어느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느 조합을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RFID-리더와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은 RFID-칩에 RFID-리더를 근접시키고 키패드로 PIN을 입력한 후 완료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은 로킹 실린더(locking cylinder)에 열쇠를 삽입하고 돌림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장점으로, 사용자는 확인에 응답하여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RFID-칩을 RFID-리더 근처에서 떨어지도록 할 때 확인이 철회되어, 이에 의해 산업용 트럭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의 전방 부분의 전방측은 바닥 섹션 및/또는 상단 섹션내 전방 부분의 전방측보다 이의 중간 섹션에서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set back)된다. 전방 부분의 전방측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섹션 및/또는 상단 섹션내 전방 부분의 완전한 전방측보다 이의 중간 섹션에서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될 수 있다. 중앙부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부의 전방측이 형성될 수 있어 바닥 섹션 및/또는 상단 섹션으로부터 중간 섹션까지 전방측을 따라서 이동할 때 및 틸러 헤드의 좌측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향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중간 섹션로부터 상단 섹션 및/또는 바닥 섹션까지 전방측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전방측은 좌측에서 볼 때 전방향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좌측에에서 볼 때, 중앙부의 전방측은 굽힘 곡률(bend curvature)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부의 이와 같은 기하학적 구조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인체공학적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부의 전방 부분의 전방측은 중간 섹션에 리세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액츄에이팅 요소가 리세스에 탑재되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은 바닥 섹션 및/또는 상단 섹션내 전방 부분의 전방측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된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주요 부분 또는 완전히 작동가능한 전면은 바닥 섹션내 전방 부분의 완전한 전방측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주요 부분 또는 완전히 작동가능한 전면은 상단 섹션내 전방 부분의 완전한 전방측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완전히 작동가능한 전면은 바닥 섹션과 상단 섹션내 전방 부분의 전방측의 섹션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된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표면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자신의 핸들부로 틸러 헤드를 유지하는 운전자가 작동하기에 편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두 핸들부의 제 1 단의 중간 및 제 2 단의 중간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된다. 본 명세서에서, 핸들부의 제 1 및 제 2 단의 중간은 전방-후방 및 상단-바닥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내에서 볼 때 핸들부의 제 1 및 제 2 단의 기하학적 중심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주요 부분 또는 완전히 작동가능한 후면은 두 핸들부의 제 1 및 제 2 단의 중간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될 수 있다. 장점으로, 핸들부에 관하여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을 이와 같이 위치시킴으로써, 운전자가 핸들부를 잡고 있을 때, 운전자는 후방향보다 손가락으로 직접 작동가능한 전면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하기 위해 적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동가능한 전면의 작동이 단순해질 수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의 대부분을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함으로써, 틸러 헤드의 모든 기능의 작동이 개선될 수 있다. 핸들부에 대해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해, 작동가능한 후면이 틸러 헤드의 후방측에 보다 가깝기 때문에, 운전자가 핸들부를 잡고 있는 동안에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을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두 핸들부의 제 1 단의 중간 및 제 2 단의 중간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도록 액츄에이팅 요소를 배열함으로써, 배열은 사람 손의 집게 손가락이 엄지 손가락보다 통상적으로 길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가능한 후면이 엄지에 의해 닿는 것이 편안하더라도 작동가능한 전면은 집게 손가락에 의해 여전히 쉽게 작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집게 손가락에 의해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대응하는 손은 2개의 핸들부 중 하나를 잡는다. 2개의 핸들부 중 하나를 잡고 있는 손은 운전자의 손일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는 대응하는 손으로 대응하는 핸들부를 잡고 있는 것을 놓지 않고 틸러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집게 손가락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신의 오른손으로 우측 핸들부를 잡고 있는 운전자는 자신의 우측 집게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을 작동할 수 있다.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제 1 및/또는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동일하게 좌측 핸들부에 대해해 잡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특히 자신의 손으로 핸들부를 잡음으로써, 틸러 헤드을 제어하고 따라서 산업용 트럭의 조종을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대응한 손은 2개의 핸들부 중 하나를 잡는다. 2개의 핸들부 중 하나를 잡고 있는 손은 운전자의 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자신의 좌측손으로 좌측 핸들부를 잡을 수 있고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좌측 엄지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을 작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오른손으로 우측 핸들부를 잡을 수 있고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자신의 우측 엄지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을 작동할 수 있다.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의 제 1 및/또는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작동할 수 있다. 자신의 오른손으로 우측 핸들부 및 자신의 왼손으로 좌측 핸들부를 잡는 운전자는 핸들부를 잡고 있는 동안 틸러 헤드의 액츄에이팅 요소 전부를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 작동을 위해 사용된 손으로 핸들부에 대한 자신의 그립을 유지하는 동안 전방측나 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를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운전자가 액츄에이팅 요소를 편하고 정확히 작동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산업용 트럭에 부착된 틸러 헤드에 의해 산업용 트럭의 틸러 바(tiller bar)의 임의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산업용 트럭의 연결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틸러 헤드는 틸러 바의 제 1 단에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여기서 중앙부는 틸러 바의 제 1 단에 탑재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2개의 핸들부는 틸러 바의 제 1 단에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틸러 바의 제 1 단에 틸러 헤드를 탑재하는 것은 틸러 헤드를 틸러 바의 제 1 단에 접착, 용접, 나사체결, 그리고 플러깅(plugging)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는, 예를 들어 접착 연결, 용접 연결, 나사체결 연결, 그리고 마찰 끼워맞춤 또는 스냅-온 연결에 의해 틸러 바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틸러 바는 실질적으로 주 연장 방향(main extension direction)을 갖는 바이다. 틸러 바의 제 1 단에 틸러 헤드를 탑재함으로써, 틸러 헤드, 특히 틸러 헤드의 중앙부 및/또는 액츄에이팅 요소와 틸러 바 사이에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핸들부는 틸러 바를 통하여 중앙부에만 또는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틸러 바에 2개의 핸들부를 부착하는 것은 틸러가 커다란 조종력(steering force)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틸러를 통하여 산업용 트럭을 수동으로 끌고/끌거나 밀때 변형 저항(resistance to deformation)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헤드의 중앙부는 틸러 바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필터 헤드의 중앙부는, 특히 적어도 틸러 헤드의 바닥 섹션과 함께 틸러 바의 주 연장의 기본적인 직선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틸러 헤드의 중앙부의 주 연장 방향과 틸러 바의 주 연장 방향은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부의 바닥 섹션은 틸러 바의 제 1 단에 부착될 수 있다. 중앙부의 바닥 섹션을 틸러 바의 제 1 단에 부착하는 것은 틸러 바의 제 1 단에 중앙부의 바닥 섹션을 탑재 및/또는 배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의 바닥측은 틸러 바의 대응하는 제 1 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틸러 바의 제 1 단에 중앙부의 바닥 섹션의 부착은 특별히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위해 영구적일 수 있다. 틸러 바의 제 1 단에 중앙부의 바닥 섹션의 부착은,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의 경우, 유지보수의 용이함 및/또는 틸러 헤드 교환을 위해 분리가능할 수 있다.
제 2 양상은 산업용 트럭을 위한 틸러에 관한 것이다. 틸러는 틸러 헤드와 틸러 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틸러 헤드는 틸러 바에 부착된다. 틸러 헤드는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양상에 따른 틸러는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의 특징, 실시예 및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틸러 헤드는 틸러 헤드의 바닥측에서 틸러 바의 상단측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틸러 헤드는 틸러 바의 제 1 단에 부착될 수 있다. 틸러 헤드는 틸러 바에 탑재될 수 있다. 틸러 바에 틸러 헤드를 부착하는 것은 틸러 바, 특히 틸러 바의 제 1 단에 틸러 헤드를 접착, 용접, 나사체결 및/또는 부착(sticking)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중앙부는, 특히 용접, 접착 및/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틸러 바의 제 1 단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부는, 특히 용접, 접착 및/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틸러 바의 제 1 단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바는 수평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여기서 틸러 바의 제 2 단은 산업용 트럭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수평 피봇 축은 좌-우 축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러의 수평 피봇 축은 틸러 헤드의 액츄에이팅 요소의 피봇 축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틸러 바의 제 2 단은 틸러 바의 제 1 단에 대하여 대응하는 단일 수 있다. 틸러 바의 제 2 단은 수평 피봇 축에 배열될 수 있다. 틸러 바는 틸러의 수평 피봇 축에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 바의 제 2 단은 산업용 트럭에 틸러의 회전가능한 탑재를 제공하는 조인트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조인트는 적어도 수평 틸러바 피봇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러 바의 제 2 단은 틸러 바를 산업용 트럭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기 위해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틸러 바의 제 2 단은 산업용 트럭에 틸러 바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핀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는 니 조인트(knee joint)일 수 있다. 조인트는 볼 조인트 또는 구형 조인트(spherical joint)일 수 있다. 볼 조인트 또는 구형 조인트의 움직임의 범위는 니 조인트의 움직임의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움직임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제한될 수 있다. 틸러 바의 제 2 단은 부품 또는 심지어 완전한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는 산업용 트럭의 사용을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제 1 양상에 따라서 틸러 헤드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추가적이고/이거나 상이한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틸러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틸러 바 위에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 1 양상에 따라서 틸러 헤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또한 추가적이고/이거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용 트럭은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는 틸러 헤드 위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틸러 바 위헤 배열된다.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안으로서 상이한 액세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틸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 1 양상에 따라서 틸러 헤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기술된 임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틸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로킹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로킹 실린더는 틸러 바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실린더는 틸러 헤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일 수 있으며 따라서 틸러 헤드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로킹 실린더는 하나 이상의 열쇠, 예를 들어 선회 동작(turning motion)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들 열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일부 일 수 있다. 열쇠를 이용해, 사용자는 이와 같은 틸러를 갖는 산업용 트럭을 이용하기 위해 액세스할 수 있다. 틸러 바는 이와 같은 로킹 실린더를 위해 충분한 공간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로킹 실린더의 열쇠구멍(key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쇠구멍은 틸러 바의 돌출부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돌출부는 틸러 바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으며 상단-후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어서, 열쇠구멍은 또한 상단-후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대기 상태에서 틸러와 함께 운전자에 의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로킹 실린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틸러 헤드는 키패드, 로킹 실린더, 디스플레이 또는 생체 센서와 같은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없을 수 있으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추가 부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는 매우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 대안으로, 틸러 헤드는, 예를 들어 RFID-리더, 키패드, 디스플레이, 또는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틸러 헤드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열쇠를 틸러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의 열쇠구멍에 삽입하고/하거나 틸러 헤드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의 임의의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산업용 트럭의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방향은 틸러 바, 특히 틸러 바의 측부에 탑재된 제 1 양상에 따라서 틸러 헤드에 의해 정의된다.
제 3 양상은 산업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트럭은 제 2 양상에 따른 틸러 및/또는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양상에 따른 산업용 트럭은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 및/또는 제 2 양상에 따른 틸러의 특징, 실시예, 그리고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틸러 및/또는 틸러 헤드는 산업용 트럭의 몸체에 탑재될 수 있다. 틸러 헤드 및/또는 틸러는 산업용 트럭을 제어, 특히 산업용 트럭을 조종 및/또는 상승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승 작동은 적재물 운반 수단의 상승 작동일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의 몸체는 전자 제어 유닛, 에너지 저장 유닛, 모터, 특히 전기 구동 모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재장전(reloading) 및/또는 리필하기 위한 수단, 유압 시스템, 및/또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의 틸러는 산업용 트럭의 조종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틸러 헤드는,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으로 인한 산업용 트럭의 상승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트럭은 적재물 운반 수단을 포함하고, 적재물 운반 수단은 포크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형 구조는 파렛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은 전단과 후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틸러 바는 산업용 트럭의 전단 보다 산업용 트럭의 후단에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의 포크형 구조는 산업용 트럭의 후단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전단을 향한 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포크형 구조는 2개의 포크 이빨(fork teeth)을 포함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은 파렛트 트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트럭은 근처에서 걷고 있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산업용 트럭은 산업용 트럭의 직립 및/또는 좌석 플랫폼으로부터 탑승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은 보행 파렛트 트럭(walking pallet truck)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행 모드(walking mode)에서, 트럭의 플랫폼은, 바람직하게 산업용 트럭의 상단-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탑승 모드에서, 플랫폼은, 예를 들어 좌-우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랫폼의 피봇 축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펼쳐지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트럭의 틸러 헤드의 액츄에이팅 및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모드에서 산업용 트럭의 제 1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탑승 모드에서 제 2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산업용 트럭은 또한 보행 산업용 트럭으로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운전자의 수송을 위해 구성된 어떤 플랫폼 또는 좌석이 부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는, 특히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상태는 상방향 및/또는 직립 상태이고 제 2 상태는 피봇 및/또는 보행 상태이다. 특히, 틸러 바는, 예를 들어 트럭 몸체에 틸러 바를 부착하는 자신의 제 2 단에서 조인트를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틸러는 운전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틸러 바는 산업용 트럭의 포크형 구조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되고/되거나 본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틸러 바는 포크형 구조와 틸러 바 사이의 각이 90도 보다 클 수 있도록 피봇되고/되거나 본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제 1 상태는 타이트한 공간(tight space)에서 산업용 트럭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상태는, 특히 보다 빠른 속도로 주변을 움직이는 동안 산업용 트럭의 조종 및 전반적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상태에서,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을 작동하는 동안 틸러 헤드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를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상태에서, 틸러 헤드의 전방측은 본질적으로 운전자로부터 멀리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에서, 틸러 헤드의 전방측은 본질적으로 트럭 몸체 및/또는 포크형 구조를 향해 마주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본질적으로 운전자를 향하고/향하거나 트럭 몸체 및/또는 포크형 구조로부터 떨어져 마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상태에서, 틸러 헤드의 전방측은 상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방향은 산업용 트럭이 위치되고 있는 지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특히 지면을 향해 하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제 4 양상은 산업용 트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틸러 헤드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제 4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는 중앙부,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되는 좌측 핸들부 및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되며 좌측 핸들부와 마주하는 우측 핸들부, 그리고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와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 및 전방측과 마주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할 수 있다.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에 탑재될 수 있다. 제 4 양상에 따라서 산업용 트럭을 제어하는 틸러 헤드는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로서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의 몇몇 또는 모든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트럭 및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에 의해 제어되는 트럭 기능이 작동가능한 후면에 의해 제어되는 트럭 기능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와 같은 트럭 기능을 작동가능한 전면을 작동함으로써 제어할지 또는 작동가능한 후면을 작동함으로써 제어할지의 선택이 자유롭다. 따라서, 운전자는 틸러 위치 및 보다 편안하고 직관적인 사용을 만드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서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럭 기능은 산업용 트럭의 제어 및 사용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럭 기능은, 전방 및/또는 후방 운전과 같은 운전 기능, 및/또는 상승/하강 작동, 특히 포크의 유압 상승 및/또는 하강과 같은 포크 제어 기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전방측과 후방측 둘다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 특히 운전자에 의한 동일 또는 유사한 작동으로 동일한 트럭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산업용 트럭과 액츄에이팅 요소는 액츄에이팅 요소의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트럭과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의 상단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작동가능한 후면의 바닥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후면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작동가능한 전면의 바닥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작동가능한 후면의 상단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작동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의 피봇 축과 단순한 센서 및/또는 스위치를 갖는 액츄에이팅 요소로서 단순한 락킹 패들 스위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틸러 피봇 위치에 따라 운전자를 위한 직관적인 제어를 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볼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러 헤드와 산업용 트럭은 후속하는 특징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의 좌측 에지를 넘어서 그리고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의 우측 에지를 넘어서 중앙부의 전방측에서 연장된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은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팅 요소의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은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한다. 산업용 트럭과 액츄에이팅 요소는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우측 자동가능한 후면, 또는 둘 다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또는 둘 다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틸러 헤드의 제 5 양상은 중앙부, 좌측 핸들부, 우측 핸들부, 그리고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한다. 좌측 핸들부는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될 수 있다. 우측 핸들부는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좌측과 마주한다. 핸들부와 중앙부는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전방측과 마주한다.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틸러 헤드의 후방측은 중앙부의 좌측과 중앙부의 우측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질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는 중앙부의 전방측에 탑재될 수 있다. 제 5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는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로서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제 1 양상에 따른 틸러 헤드의 몇몇 또는 모든 특징을 갖는다.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후속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에 대한 도면 참조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후 첨부 도면과 함께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위와 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상태에서 틸러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의 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틸러가 제 1 상태에 있는 산업용 트럭의 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틸러가 제 2 상태에 있는 산업용 트럭의 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틸러가 제 2 상태에 있는 산업용 트럭의 후방측으로부터 산업용 트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서 틸러 헤드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갖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실시예에 따라서 키패드를 갖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실시예에 따라서 RFID-리더를 갖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b는 실시예에 따라서 락킹-실린더, 지문 스캐너, 그리고 키보드를 갖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틸러 헤드의 좌측으로부터 틸러 헤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로킹 실린더를 갖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의 후방측으로부터 틸러 헤드 및 틸러의 일부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에서 틸러 헤드(2) 위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틸러 헤드(2)는 도 5에 도시된 산업용 트럭(4) 위에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정면도에서 전방측으로부터 본 틸러 헤드(2)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측은 도 1과 도 2에 화살표(18)로 표시된다. 도 1과 도 2는 상단 방향(D1)과 바닥 방향(D2)을 도시하며, 여기서 바닥 방향(D2)은 상단 방향(D1)과 반대이다. 방향(D1 및 D2)은 도 1과 도 2의 도면내에 존재한다. 상단-바닥 축(D1 - D2)은 상단 방향과 바닥 방향(D1, D2)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된다. 도 1은 전방향(D3)과 후방향(D4)을 도시하며, 여기서 후방향(D4)은 전방향(D3)과 반대이다. 방향(D3와 D4)은 각각 도 2의 도면 내외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전방-후방 축(D3-D4)은 전방향과 후방향(D3, D4)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된다. 전방-후방 축(D3-D4)은 상단-바닥 축(D1-D2)에 수직이다. 도 2는 좌측 방향(D5)과 우측 방향(D6)을 도시하며, 여기서 우측 방향(D6)은 좌측 방향(D5)과 반대이다. 방향(D5, D6)은 도 2의 도면내에 존재한다. 좌-우 축(D5-D6)은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정의된다. 좌-우 축(D5-D6)은 상단-바닥 축(D1-D2)과 전방-후방 축(D3-D4)에 수직이다.
전방-후방 축(D3-D4) 및 상단-바닥 축(D1-D2)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평면(E1)을 정의한다. 도 3은 틸러 헤드(2)의 후방측(2)에서 틸러 헤드(2)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정면도로 후방측(20)으로부터 직접 틸러 헤드(2)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측은 도 3과 도 4에 화살표(20)로 표시된다. 평면(E1)은 좌-우 축(D5-D6)을 따라서 틸러 헤드(2)의 연장에 관하여 틸러 헤드(2)의 중앙 위치에 위치된다. 틸러 헤드(2)는 본질적으로 평면(E1)에 대해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이것은 틸러 헤드(2)의 대칭면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상단-바닥 축(D1-D2)과 좌-우 축(D5-D6)은 평면(E2)을 정의한다. 평면(E2)은 전방-후방 축(D3-D4)을 따라서 틸러 헤드(2)의 연장에 관하여 틸러 헤드(2) 및/또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중앙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평면(E1)은 평면(E2)에 수직이다.
도 5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와 도 7의 도면내에, 산업용 트럭(4)의 상단 방향과 바닥 방향(D1', D2')이 묘사된다. 수직으로, 산업용 트럭(4)의 후방향(D4')은 산업용 트럭(4)의 전방향(D3')보다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방향과 바닥 방향(D1'과 D2') 및 전방향과 후방향(D3', D4')으로 수직은 산업용 트럭(4)의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트럭(4)은 틸러(86), 몸체(92), 그리고 적재물 운반 수단(94)을 포함한다. 틸러(86)는 틸러 헤드(2), 틸러 바(82) 및 조인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물 운반 수단(94)은 몸체(92)의 단부 위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며, 몸체의 단부는 바닥-전방(D2'-D3') 방향으로 몸체(92)의 에지에 위치된다. 비록 산업용 트럭(4)이 상이한 적재물 운반 수단을 갖출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적재물 운반 수단(94)은 본 발명의 예에서 파렛트 포크로서 구성된다. 틸러 헤드(2)는 틸러 바(82)의 제 1 단(84) 위에 탑재된다. 틸러 바(82)는 틸러 바(82)의 제 2 단(88)에서 조인트(90)로 트럭 몸체(92)에 탑재되며, 이는 틸러(86)를 위한 피봇 축(P1)을 제공한다. 피봇 축(P1)은 좌-우(D5-D6) 축에 평행이다. 조인트(90)는 평면(E1)내에서 틸러의 회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틸러(86)의 이와 같은 회전 움직임은 타이트한 공간에서 조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인트(90)는 본 발명의 예에서 힌지 조인트(hinge joint)로서 구성된다. 산업용 트럭(4)은 추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조인트는 도면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추가 조인트는 수직 피봇 축(P2)을 중심으로 틸러(86)를 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 피봇 축(P2)은 상단-바닥 축(D1'-D2')에 평행하다. 수직 축(P2) 둘레에 틸러(86)의 회전은, 특히 좌우로 움직일 때 산업용 트럭(4)을 조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수평 피봇 축(P1)은 산업용 트럭(4)의 전방-후방(D3'-D4') 및 좌-우(D5'-D6') 축으로 정의된 평면에서 회전가능하다. 수직 피봇 축(P2)은 축 베어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축 베어링은 상단-바닥(D1'-D2') 축을 따라서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축 베어링은 조인트(90)에 관하여 전방향(D3')으로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틸러 헤드(2)는 피봇 축(P1과 P2)에 의해 정의된 구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틸러(86)를 변위시킬 수 있다.
틸러(86)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제 1 상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단-바닥 축(D1-D2 및 D1'D2')는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예를 들어, 틸러(86)는 제 1 상태에서 본질적으로 상방향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위치는 매우 타이트하거나 좁은 공간에서 조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은 실질적으로 산업용 트럭(4)의 전방향(D3')으로 향한다. 틸러(86)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제 2 상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틸러(86)는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이 산업용 트럭(4)의 상단-전방향(D1'-D3')으로 향하도록 수평 피봇 축(P1)을 중심으로 경사진다. 예를 들어, 틸러(86)는, 특히 순항 속도(cruise speed)로 전방 및 후방로 이동할 때, 산업용 트럭(4)의 제어, 특히 조종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된 위치 및/또는 보행 위치일 수 있다.
틸러 헤드(2)는 중앙부(6)를 포함한다. 중앙부(6)는 전방 부분(6a)과 후방 부분(6b)으로 형성되며, 이는 도 2, 도 4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틸러 헤드(2)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부분(6a, 6b)은 도 9에 도시된 빈 격실(108)을 형성하고, 빈 격실은 틸러 헤드(2)의 전자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전방 부분(6a)은 중앙부(6)의 전방측(26)를 정의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26)은 실질적으로 전방향(D3)으로 향한다. 전방측(26)은 실질적으로 전방향(D3)으로 향하는 중앙부(6)의 표면부를 실질적으로 정의한다. 후방 부분(6b)은 도 3에 도시된 중앙부(6)의 후방측(27)을 정의하고, 후방측(27)는 실질적으로 후방향(D4)과 향한다. 후방측(27)는 실질적으로 후방향(D4)으로 향하는 중앙부(6)의 표면부를 실질적으로 정의한다.
중앙부(6)는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주 연장 방향을 포함한다. 바닥 방향(D2)으로 중앙부(6)의 단은 틸러 헤드(2)의 바닥측(30)을 정의하고, 바닥측(30)은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닥 방향(D2)으로 향한다. 상단 방향(D1)으로 중앙부(6)의 단은 틸러 헤드(2)의 상단측(28)을 정의하고, 상단측(28)은 실질적으로 상단 방향(D1)으로 향한다. 중앙부(6)는 중앙부(6)의 우측(14)을 포함한다. 우측(14)은 실질적으로 우측 방향(D6)으로 향한다. 중앙부(6)는 도 3에 도시된 중앙부(6)의 좌측(12)을 포함한다. 좌측(12)은 실질적으로 좌측 방향(D5)으로 향한다. 측부(12, 14)는 실질적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으로 향하는 중앙부(6)의 표면부를 정의한다.
중앙부(6)는 도 3에 도시된 바닥 섹션(68), 중간 섹션(32), 그리고 상단 섹션(70)을 포함한다. 바닥 섹션(68)은 틸러 헤드(2)의 바닥측(30)에 가장 가깝게 배열된다. 상단 섹션(70)은 틸러 헤드(2)의 상단측(28)에 가장 가깝게 배열된다. 중간 섹션(32)은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바닥 섹션(68)과 상단 섹션(70) 사이에 배열된다. 대략, 중앙부(6)는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등거리로 3개의 섹션(68, 32, 및 7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중앙부(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좌측 에지(36)와 우측 에지(38)를 포함한다. 에지(36, 38)는 좌측(12) 및 우측(14)과 전방측(26)의 각각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다. 에지(36, 38)는 각이지거나 곡선일 수 있다. 우측(14)은 우측 에지(38)를 통하여 전방측(26)에 연결된다. 좌측(12)은 좌측 에지를 통하여 전방측(26)에 연결된다. 각각의 에지(36, 38)는 중앙부(6)의 전체 길이를 초과하여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지(36, 38)는 또한 중간 섹션(32)내 중앙부(6)를 따라서 연장되며, 여기서 에지(36, 38)는 액츄에이팅 요소(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도 9의 전개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 섹션(70)과 바닥 섹션(68)으로 중간 섹션(32)의 에지(36, 38) 사이에 계단이 존재한다.
틸러 헤드(2)는 좌측 핸들부(8)를 포함하고, 좌측 핸들부(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6)의 좌측(12)에 부착된다. 틸러 헤드(2)는 우측 핸들부(10)를 포함하고, 우측 핸들부(10)는 중앙부(6)의 우측(14)에 부착된다. 핸들부(8, 10)는 중앙부(6)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특히, 핸들부(8, 10)는 평면(P1)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핸들부(8, 10)와 중앙부(6)는 평면을 정의하고, 평면은 평면(P2)에 평행할 수 있다. 좌측 핸들부(8)의 좌측 단(42)은 틸러 헤드(2)의 좌측 단을 형성하고 우측 핸들부(10)의 우측 단(44)은 틸러 헤드(2)의 우측 단을 형성한다. 좌측 단(42)은 좌측 방향(D5)으로 중앙부(6)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배열된다. 우측 단(44)은 우측 방향(D6)으로 중앙부(6)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배열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핸들부(8)는 중앙부(6)의 바닥 섹션(68)의 좌측(12)으로부터 상단-좌측 방향으로 제 1 단(64)에서 연장된다. 제 1 단(64)은 바닥 섹션(68)에 부착된 좌측 핸들부(8)의 단부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탑재된 상태에서, 좌측 핸들부(8)의 제 1 단(64)은 중앙부(6)의 벌지 부분(bulge portion;116)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벌지 부분(116)은 전방 절반(116a)과 후방 절반(116b)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절반 벌지 부분(116a)은 전방 부분(6a)의 일부이고, 후방 절반 벌지 부분(116b)은 후방 부분(6b)의 일부이다. 벌지 부분(116)은 좌측 핸들부(8)의 튜브형 섹션 위에 고정시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핸들부(8)의 제 1 단(64)은 보어 구멍(bore hole)을 포함하는 고정판으로서 형성되는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틸러 헤드(2)의 탑재된 상태에서, 고정부(110)는 평면(P2)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고정부(110)는 중앙부(6)의 후방 부분(6b)의 고정부(114)와 중앙부(6)의 전방 부분(6a)의 고정부(115)에 볼트결합된다. 또한, 고정부(110)는 틸러 바(82)의 제 1 단(84)에 볼트결합되며, 이에 의해 틸러 바(82)에 틸러 헤드(2)를 고정시킨다. 중앙부(6)의 전방측(26)의 일부인 커버 패널(7)은 볼트결합 고정을 위한 각각의 나사(screw)를 커버하기 위해 전방 부분(6a) 위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패널(7)은 마찰 끼워맞춤 또는 스냅-연결로 중앙부(6)의 전방 부분(6a)에 부착될 수 있다. 평면(E1)에 대칭적으로, 우측 핸들부(10)는 벌지 부분(118)에 의해 둘러싸인 제 1 단(65)을 포함한다. 벌지 부분(118)은 전방 절반(118a)과 후방 절반(118b)을 포함한다. 우측 핸들부(10)의 제 1 단(65)은 고정부(112)를 포함하고 중앙부(6)에 탑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정부(110, 112, 114, 그리고 115)는 틸러 바(82)의 제 1 단(84)에 탑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42)에서, 좌측 핸들부(8)는 상단-우측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좌측 핸들부(8)의 곡률은 좌측 단(42)과 좌측 핸들부(8)의 제 2 단(66) 사이의 제 2 섹션과 비교하여 제 1 단(64)과 좌측 단(42) 사이의 제 1 섹션에서 보다 작다. 제 2 단(66)은 상단 섹션(70)에 가장 가까운 좌측 핸들부(8)의 단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바닥 축을 따라서, 좌측 단(42)은 제 1 단(64) 보다 제 2 단(66)에 보다 가깝다. 전반적으로, 좌측 핸들부(8)는 U-형상이며, 여기서 U는 자신의 개방측과 함께 우측으로 선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핸들부(8)와 우측 핸들부(10)는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우측 핸들부(10)는 우측 단(44)을 통하여 제 1 단(65)에서 우측 핸들부(10)의 제 2 단(67)을 향해 연장된다.
도 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틸러 헤드(2)의 상단측(28)은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액츄에이팅 요소(72)는 상단-후방향(D1-D4)으로 향한다. 액츄에이팅 요소(72)는 푸시 또는 누름 버튼일 수 있으며, 여기서 버튼의 작동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산업용 트럭(4)의 비상 제동 및/또는 자동-복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트럭(4)의 보행 모드로 산업용 트럭(4)의 액츄에이팅 요소(72)를 작동함으로써, 산업용 트럭(4)은 전방향(D3')으로 전진할 것이다. 액츄에이팅 요소(72) 아래에 그리고 바닥 방향(D2)으로, 스프링 요소는 운전자에 의한 액츄에이팅 요소(72)의 작동 및 해제 후 상단 방향(D1)으로 액츄에이팅 요소(72)를 푸시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틸러 헤드(2)는 또 다른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74)는 중앙부(6)의 전방측(26) 위에 배열된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74)는 돌출 섹션(75) 위에 배열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74)는 돌출 섹션(75)의 리세스(107)내에 배열된다. 돌출 섹션(75)은 전방향(D3)으로 향하고 돌출 섹션(75)의 상단 단이 상단-전방향(D1-D3)으로 향하며 돌출 섹션(75)의 바닥 단은 바닥-전방향(D2-D3)으로 향하도록 곡선이 된다. 액추에이팅 요소(74)는 돌출 섹션(75)의 바닥 단에 탑재되고 바닥-전방향(D2-D3)으로 향하고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74)는 푸시가능 또는 누름가능 버튼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74)일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74)는 산업용 트럭(4)의 경적을 제어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74)의 위치로 인해, 액츄에이팅 요소(74)는 틸러(86)의 피봇된 위치에 닿기 쉬우며, 따라서 산업용 트럭(4) 운전, 특히 순항 속도로 운전할 때 경고를 용이하게 한다. 액츄에이팅 요소(74) 아래에 그리고 상단-전방향으로, 스프링 요소는 운전자에 의한 액츄에이팅 요소(74)의 작동 및 해제 후 바닥-전방향으로 액츄에이팅 요소(74)를 푸시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E1)에 관하여,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중앙부(6)의 전방측(26)에 대칭적으로 탑재된다. 특히, 도 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중앙부(6)의 중간 섹션(32)에 탑재된다. 도 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6)의 전방측(26)의 부분과 좌측과 우측(12, 14)의 부분은 리세스(109)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16)는 리세스(109) 위에 탑재가능하며, 이에 의해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22)은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내에서 중앙부(6)의 전방측(26)의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배열된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가능한 전면(22)은 전방향(D3)으로 향하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표면부를 기술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24)과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25)은 후방향(D4)으로 향하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표면부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좌측과 우측 표면(24, 25)은 각각 중앙부(6)의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으로 위치된다.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우측 축(D5-D6)에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연장은 중앙부의 중간 섹션(32)의 연장보다 크다. 즉,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중앙부(6)의 중간 섹션(32)보다 중앙부(6)의 전방측(26)에서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으로 더 연장된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는 각각 중간 섹션(32)의 좌측과 우측 전방 에지(36, 38)보다 좌측과 우측 방향(D5, D6)으로 더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16)는 후방향(D4)으로 연장된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은 각각 후방향(D4)으로 중앙부(6)의 전방측(26)로부터 중앙부(6)의 좌측과 우측(12, 14)을 따라서 연장된다. 후방향(D4)으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연장은 틸러 헤드(2)의 후방측(20)에 의해 정의된 평면 전에 멈춘다.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은 각각 중앙부(6)의 좌측과 우측(12, 14) 위에 놓여진다.
도 2와 도 4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단 섹션(51)과 바닥 섹션(53)을 포함한다. 상단 섹션(51)은 바닥 섹션(53)보다 상단-방향(D1)으로 더 위치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일부이다. 도 9로부터 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16)는 피봇 축(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며, 여기서 피봇 축(40)은 좌-우 축(D5-D6)을 따라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형상 축 부분이 각각의 리세스(104, 106)에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104 및 106)는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연장된다. 각각의 리세스(104, 106)는 액츄에이팅 요소(16)와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전방향과 후방향(D3, D4)으로 각각 상단과 바닥 섹션(51, 5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운전자의 푸시 동작, 예를 들어 작동가능한 전면(22) 또는 작동가능한 후면(24, 25)에 대한 푸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단과 바닥 섹션(51, 53)은 둘 다 작동가능한 전면(22)과 2개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팅 요소(16)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로서 구성된다.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 및 해제 후, 액츄에이팅 요소(16)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푸시된다. 초기 위치에서, 틸러 헤드(2)의 작동가능한 전면(22)과 전방측(18)은 둘다 전방향(D3)으로 향한다. 각각 피봇 축(40)에 관하여 상단 방향과 바닥 방향(D1, D2)으로 배열되는 2개의 스프링 요소(60, 62) 중 적어도 하나는 액츄에이팅 요소(16)에 대해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프링 요소(60)는 상단 리세스(100)내에 수용되고, 바닥 스프링(62)은 바닥 리세스(102)내에 수용된다. 리세스는 중앙부(6)의 중간 섹션(32)의 전방측(26) 위에 형성된다. 리세스(100, 102)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리세스(109)내에 추가 리세스로 형성된다.
액츄에이팅 요소(16)의 회전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56 및 58)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각각의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56 및 58)는 각각 마이크로스위치(56 및 58)에 대해 후방향(D4)으로 푸시 힘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56, 58)는 각각 리세스(96과 98)에 수용된다. 리세스(96, 98)는 중앙부(6)의 중간 섹션(32)의 전방측(26) 위에 형성된다. 리세스(96, 98)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리세스(109)내에 추가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마이크로스위치 중 하나의 위의 액츄에이팅 요소(16)를 푸시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적어도 상기 푸시 작동을 표시하는 하나의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출력 신호는 산업용 트럭(4)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산업용 트럭(4)의 전자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단 마이크로스위치(56)로부터 신호는 바닥 마이크로스위치(58)로부터 신호와 다른 상이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팅 요소 회전은 적재물 운반 수단(94)의 하강 및 상승을 제어한다. 상단 마이크로스위치(56)는 바닥 마이크로스위치(58)보다 상단-방향(D1)으로 더 위쪽으로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과 후면(22, 24, 25)의 각각은 한 쌍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 및 48)를 포함한다.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 또는 후방측(20) 중 하나로부터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 및 48)에 대한 푸시 작동은 각각 상단 및 바닥 마이크로스위치(56, 58)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단 마이크로스위치(56)는 전면과 후면(22, 24, 25)의 각각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푸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바닥 마이크로스위치(58)는 전면과 후면(22, 24, 25)의 각각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푸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가능한 전면(22)은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단 섹션(51)에 위치된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a)를 포함한다. 작동가능한 전면(22)은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바닥 섹션(53)에 위치된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a)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은 각각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바닥 섹션(53)에서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b, 46c)를 포함한다. 좌측과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은 각각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단 섹션(51)에서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b, 48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 48)는 작동가능한 전면(22)과 비교해서 작동가능한 후면(24, 25) 위에 반대 순서로 배열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 48)는 리지(54)에 의해 분리되며, 리지(54)는 각각의 전면(22)과 후면(24)으로부터 돌출된다. 특히,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각각의 제 1 쌍(46a, 48a), 제 2 쌍(46b, 48b)과 제 3 쌍(46c, 48c) 사이에 각각의 리지(54a, 54b, 54c)가 배열된다. 리지(54)는, 특히 좌-우(D5-D6) 및 전방-후방(D3-D4)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수평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지(54)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피봇 축(40)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리지(54)는 운전자가 촉각을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54)는 각각 전방과 후방(D3, D4) 방향으로 각각의 애츄에이팅 작동가능한 표면(22, 24, 25)의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 리지(54) 대신에 노치(notch)가 제공될 수 있으며, 노치는 각각 후방와 전방향(D4, D3)으로 각각의 액츄에이팅 작동가능한 표면(22, 24, 25)에 오목하게 된다. 틸러 헤드(2)의 전방측 및 후방측(18, 20) 위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 48)의 위치를 인식하고 있는 훈련된 운전자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으로 리지(54)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틸러 헤드(2)를 보지 않고도 작동가능한 표면부의 어느 부분이 산업용 트럭(4)의 원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동작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의 각각은 하나의 제 1 마커(50)를 포함한다.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의 각각은 하나의 제 2 마커(5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마커(50, 52)는 리지 및/또는 노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팅 요소(16)내 및/또는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마커(50, 52)는 운전자가 촉각 및/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마커(50, 52)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각각의 부분을 푸시함으로써 동작된 기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및 제 2 마커(50, 52)는 적재물 운반 수단(94)의 상승과 하강 작동을 표시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 3에서 상방향 배향의 제 1 및 제 2 마커(50, 52)를 볼 수 있다. 각각의 마커(50, 52)는 작동 화살표와 조합으로 산업용 트럭(4)의 그림문자(pictogram)를 도시한다. 산업용 트럭(4)은 평평하게 놓여있는 'L'로서 묘사된다. 상방향 배향에서, 제 1 마커(50)의 작동 화살표는 상단 방향(D1)으로 향한다. 제 1 마커(50)는 산업용 트럭(4)의 상승 작동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 2 마커(52)의 작동 화살표는 바닥 방향(D2)으로 향한다. 제 2 마커(52)는 산업용 트럭(4)의 하강 작동을 표시한다. 도 4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위에 제 1 및 제 2 마커(50b, 52b)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c, 48c)은 각각 제 1 및 제 2 마커(50c, 52c)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가능한 표면부(46b, 46c, 48b, 48c)는 틸러 헤드(86)의 제 1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4)에 관하여 후방향(D4')으로 뒤에 그리고 더 멀리 서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틸러 헤드(2)의 후방측(20)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작동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도 2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6a, 48a) 위의 제 1 및 제 2 마커(50a, 52a)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마커(50a, 52a)는 하향 배향이며, 여기서 제 1 마커(50a)의 작동 화살표는 바닥 방향(D2)을 가리키고 제 2 마커(52a)의 작동 화살표는 상단 방향(D1)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산업용 트럭(4)의 그림문자가 거꾸로 도시된다.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a, 48a)은 제 2 상태에서 틸러(86)를 가지고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작동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4)보다 후방향(D4')으로 뒤에 그리고 더 멀리 서있고 바닥 방향(D2')으로 틸러 헤드(2) 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22) 위의 마커(50, 52)는 운전자로부터 볼 때 위쪽으로 배향된다.
작동가능한 전면(22)은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후방향(D4)으로 작동가능한 전면(22)의 가장 위와 가장 아래 에지에 관하여 가장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는 리지(54)와 일치한다. 상기 오목함은 예를 들어,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원하지 않은 작동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작동가능한 전면(22)은 좌-우 축(D5-D6)을 따라서 복록함이 형성된다. 전방향(D3)으로 작동가능한 전면(22)의 가장 좌측과 가장 우측 에지에 관하여 가장 돌출된 위치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중간부 및 평면(E1)과 일치한다. 상기 볼록함은 예를 들어,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원하지 않은 작동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각각은 각각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단을 형성하는 후방향 에지를 향해 작동가능한 전면(22)과 함께 각각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에지로부터의 방향으로 볼록함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은 각각 전방향(D3)과 우측 또는 좌측 방향(D6, D5)으로 평면(E1)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상기 오목함은 예를 들어,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원하지 않은 작동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운전자가 핸들부(8, 10)를 잡고 있을 때 후방측으로부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오목함은 도 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은 또한 본질적으로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방향(D3)으로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가장 위와 가장 아래 에지에 관하여 가장 오목한 위치는 각각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리지(54)와 일치한다.
도 3,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러 헤드(2)는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6, 78)를 포함한다. 좌측과 우측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각각 좌측과 우측 핸들부(8, 10)의 제 2 단(66, 67)과 중앙부(6)의 상단 섹션(70)의 좌측과 우측(12, 14) 사이에 배열된다. 특히,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각각 우측과 좌측 방향(D6, D5)으로 그리고 좌측과 우측 핸들부(8, 10)의 제 2 단(66, 67)의 우측과 좌측 표면부(66a, 67a) 바로 옆에 배열된다. 틸러 헤드(2)의 탑재된 상태에서, 각각 핸들부(8, 10)의 제 2 단(66, 67)과 액츄에이팅 요소(76, 78)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제 2 단(66, 67)을 접촉할 수 있으며, 제 2 단(66, 67)은 액츄에이팅 요소(76, 78)를 위해 지지대(support)와 선택적으로 베어링의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6)의 좌측(12)은 상단 섹션(70)내에 리세스(77)를 포함한다. 중앙부(6)의 우측(14)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단 섹션(70)내에 동일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대응하는 리세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2개의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특히 좌측-우측 축(D5-D6)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회전 축들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액츄에이팅 요소(76, 78)의 각각의 길이방향 축에 대응한다.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6, 78)의 각각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예를 들어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6, 78)의 원통형 부분으로터 돌출된 날개 부분 위를 푸시함으로써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2개의 돌출부는 각각의 액츄에이팅 요소(76, 78)의 대략 3분의 1의 측면이 다른 3분의 2의 측면으로부터 경계가 정해지도록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이에 의해, 손가락, 바람직하게 엄지 손가락에 의한 작동이 단순해진다. 운전자에 의한 작동 후, 액츄에이팅 요소(76, 78)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액츄에이팅(76, 78)의 초기 위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틸러 헤드(2)를 바라볼 때, 전방-후방 축(D3-D4)를 따라서 핸들부(8, 10)와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세히 기술될 수 있다. 전방향(D3)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는 바닥과 상단 섹션(68, 70)내의 전방 부분(6a)의 전방측(26)의 섹션은 평면(E3)을 정의한다. 핸들부(8, 10)의 제 1 단(64, 65)과 제 2 단(66, 67)의 중간부는 평면(E4)을 정의하고, 여기서 제 1 및 제 2 단(64, 65, 66, 67)의 중간부는 전방-후방(D3-D4) 및 상단-바닥(D1-D2)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내에 제 1 및 제 2 단(64, 65, 66, 67)의 기하학적 중심이다. 평면(E3)과 평면(E4) 둘 다는 도 12의 영상면(image plane)내로 그리고 밖으로 따라서 좌-우 방향(D5-D6)으로 연장된다. 완전한 액츄에이팅 요소(16)는 평면(E3)보다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22)은 평면(E4)보다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된다.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대부분은 평면(E4)보다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된다.
틸러 헤드(2)의 후방측(20)에 더 먼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대적인 위치가 이들 작동가능한 후면(24, 25)에 닿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핸들부(8, 10)를 잡고 있을 때, 운전자는 심지어 상대적으로 짧은 엄지 손가락으로도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을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76, 78)를 작동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는, 특히 자신의 집게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22)을 쉽게 작동할 수 있다. 특히, 틸러 헤드(86)가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세팅함으로써 제 2 상태에 있고 위쪽으로 향함으로써 후방향(D4)으로 더 멀리 뒤에 작동가능한 전면(22)이 있을 때, 작동 손가락의 아래의 원하지 않는 과도한 구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2로부터 보이는 것은 핸들부(10)의 소위 "3차원 곡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8, 10)는 평면(E2)내에 구부러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핸들부(8, 10)는 또한 평면(E2)의 밖으로 곡률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핸들부(8, 10)는 틸러 헤드(2)의 바닥 섹션(68)으로부터 후방향(D4)을 향해 연장된다.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핸들부(8, 10)의 제 1 단(64, 65)에서 핸들부(8, 10)의 제 2 단(66, 67)까지 약 3분의 2에서, 평면(E1)내 핸들부(8, 10)의 곡률은 최대화된다. 이 지점부터 핸들부(8, 10)의 제 2 단(66, 67)까지, 핸들부(8, 10)는 전방향(D3)을 향해 연장된다. 장점으로서, 이와 같은 "3차원 곡률"을 가짐으로써, 핸들부(8, 10)의 인체공학, 그리고 틸러 헤드(2)의 인체공학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핸들링이 용이해질 수 있다.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부(8, 10)는 하나의 평면, 바람직하게 평면(E2)내에 단독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8, 10)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틸러 바(82)는 전방(D3)과 후방(D4) 방향으로 곡률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 6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틸러 바(82)는 틸러 바(82)의 제 2 단(88)으로부터 상단 방향(D1)을 향해 연장된다. 틸러 바(82)의 제 2 단(88)과 제 1 단(84) 사이의 약 3분의 1 뒤에, 틸러 바(82)는 전방향(D3)을 향해 구부러진다. 도 5와 도 7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84)에서, 틸러 바(82)는 후방향(D4)으로 약간 구부러진다. 이러한 구성은 운전자가 산업용 트럭(4)의 몸체(92)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서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산업용 트럭(4) 뒤 필요한 직립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또한 운전자가 운전자의 상부 몸체로부터 이격된 틸러 헤드(2)를 자유롭게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 틸러 바(82)는 똑바로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용 효율적인 틸러 바(8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러 헤드(2)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를 포함한다.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중앙부(6)의 빈 격실(108)내에 위치된 컴퓨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빈 격실(108)내에 케이블을 통해 다른 컴퓨팅 수단 및/또는 전원에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바닥 섹션(68)에서 그리고 틸러 헤드(2)의 후방측(20) 위에 배열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틸러 헤드(2)의 바닥 섹션(68)내 후방측(27)을 형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실질적으로 상기 평면(planar surface), 특히 평면(E2)내에 상기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틸러 헤드(2)의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으며, 특히 후방향(D4)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평명(E1)에 관하여 좌-우 축(D5-D6)을 따라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2개의 핸들부(10, 12)의 제 1 단(64, 65)의 중심에 관하여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37, 39)를 포함한다.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37, 39)는 중앙부(6)의 좌측과 우측(12, 14)을 향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연장을 끝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바닥 에지(34)를 포함한다. 바닥 에지(34)는 후방측(20)에서 틸러 헤드(2)의 바닥 에지를 형성하고 바닥 방향(D2)을 향해 상기 틸러 헤드(2)를 끝낸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바닥 에지(34)는 분리하여 형성되고 틸러 헤드(2)의 바닥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상단 에지(35)를 포함한다. 상단 에지(35)는 상단 방향(D1)을 향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끝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는 LED, O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4)는 실질적으로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단측(short side) 그리고 좌-우 축(D5-D6)을 따라서 장측(long side)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124)는 상단 방향(D1)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상단 단(top end) 위에 배열된다. 디스플레이(124)는 좌-우 축(D5-D6)을 따라서 중앙부(6)의 전체 폭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10a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터치스크린(126e)을 포함하고, 터치스크린(126e)은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하거나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는 터치스크린(126e)의 섹션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126e)은 좌-우 축(D5-D6)을 따라서 단측을 가지며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장측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터치스크린(126e)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바닥 단 위에 배열된다. 터치스크린(126e)은 좌-우 축(126e)을 따라서 중앙부(6)의 전체 폭을 따라서 연장된다. 디스플레이(124)를 갖는 터치스크린(126e)은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전체 높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분리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되면, 터치스크린(126e)과 디스플레이(124)는 리지(33)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리지(3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가 위치되는 평면(E2)의 밖으로 또는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유사하게, 터치스크린(126e)이 또한 디스플레이(124)를 형성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보다 낮은 부분은 리지에 의해 분리,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26e)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키패드(126f)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키패드(126f)는 도 10a에 도시된 터치스크린(126e)과 유사하게 연장된다. 키패드(126f)는 좌-우 축(D5-D6)과 상단-바닥 축(D1-D2)을 따라서 행과 열로 배열된 다중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은 숫자 및/또는 글자를 나타내는 기호(sign)를 포함한다. 도 10b에 따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키패드(126f)로 분리된다. 대안으로,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갖는 틸러 헤드(2)는 또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RFID-리더(126a)를 포함한다. RFID-리더(126a)는 빈 격실(108)내에 위치된 안테아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RFID-리더(126a)는 틸러 헤드(2)의 바닥 섹션(68)내 후방측(27)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표면은 틸러 헤드(2)내의 RFID-리더(126a)를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하고, 기호는 RFID-리더(126a)에 의해 판독되도록 RFID-칩이 어디에 놓여져야 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RFID-리더(126a)의 작동 영역은 틸러 헤드(2) 위의 RFID-리더(126a)의 위치 주변에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RFID-리더(126a)의 작동 영역은 또한 본질적으로 RFID-칩이 접촉하거나 기호에 의해 표시된 접촉 표면에 가까운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로킹 실린더(126b), 생체 스캐너(126c), 그리고 키보드(126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이들 디바이스(126b, 126c, 126d)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디바이스(126b, 126c, 126d)의 어떠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생체 스캐너(126c)는 지문 스캐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로킹 실린더(126b)는 대응하는 열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쇠의 전환(switching movement)에 의해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로킹 실린더(126b)만을 포함하며, 로킹 실린더(126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 위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키보드(126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의 바닥 단 위에 배열되고 좌-우 축(D5-D6)을 따라서 중앙부(6)의 전체 폭을 따라서 연장된다. 생체 스캐너(126c)와 로킹 실린더(126b)는 상단 방향(D1)으로 키보드(126d) 위에 배열된다. 생체 스캐너(126c)와 로킹 실린더(126b)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영역에 배열되며, 이 영역은 좌-우 축(D5-D6)을 따라서 중앙부(6)의 전체 폭을 따라서 연장된다. 생체 스캐너(126c)와 로킹 실린더(126b)는 바닥 방향(D2)으로 디스플레이(124) 아래에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틸러(8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와 함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로킹 실린더(128)를 포함하며, 로킹 실린더(128)는 로킹 실린더(128)의 열쇠구멍에 삽입된 열쇠(128a)에 의해 열릴 수 있다. 로킹 실린더(128)는 틸러 바(82)의 돌출부(130)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열쇠구멍은 틸러 바(82)의 상기 돌출부(130) 위에 배열된다. 돌출부(130)는 틸러 바(82)의 상단 섹션에 위치되고, 틸러 바(82)의 제 1 단(84)에 또는 근처에 위치된다. 돌출부(130)는 틸러 바(82)의 후방측(82a)로부터 연장되고, 여기서 후방측(82a)는 실질적으로 상단-바닥 및 좌-우 평면(E2)내에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틸러 바(82)의 부품에 의해 또는 추가적인 피스(piece)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틸러 바(82)의 후방측(82a)에 부착된다. 돌출부(130)는 현재 웨지-형상(wedge-shaped)이고, 상단 방향(D1)을 향해 테이퍼된다. 돌출부(130)는 상단-후방향(D1-D4)으로 향하는 평면(130a)을 포함한다. 로킹 실린더(128)의 상단은 평면(130a)과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어서, 로킹 실린더(128)는 또한 상단-후방향(D1-D4)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웨지-형상의 돌출부(130) 위에 로킹 실린더(128)를 탑재함으로써, 로킹 실린더(128)는 후방향(D4)으로 산업용 트럭(4) 뒤에 서있는 운전자의 얼굴을 향해 마주하며, 운전자는 돌출부(130)의 표면(130a)을 편안하게 마주할 수 있으므로 로킹 실린더(128)을 마주하고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로킹 실린더(128)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증대하며, 로킹 실린더의 장축을 허용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로킹 실린더(1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이다. 즉, 운전자는 열쇠(128a)를 로킹 실린더(128)의 열쇠구멍내로 삽입하고 열쇠(128a)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산업용 트럭(4) 또는 적어도 산업용 트럭(4)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으며,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틸러 헤드의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위한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 열쇠(128a)를 돌림으로써, 산업용 트럭(4) 또는 적어도 산업용 트럭(4)의 상기 활성화된 기능 또는 기능들이 꺼질 수 있다.
도 13으로 부터 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도시된 틸러 헤드(2)의 중앙부(6)의 일부는, 특히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함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중앙 몸체내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대신에, 로킹 실린더(128) 형태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틸러 바(82) 위에 배열된다. 이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위해 예약된 중앙부(6)의 개방 공간은 커버 요소(132)에 의해 닫힌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고객 요구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듈식 선택을 가능하게 하며, 잠재적으로 적응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커버 요소는 철판(steel plate) 또는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틸러 헤드(2)를 통하여 적어도 작동가능한 기능의 세트의 이용이 가능하기에 앞서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운전자는 방향(D4)으로 틸러 헤드(2) 뒤에 서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틸러(86)는 상방향 직립 상태이다. 운전자는 열쇠로 로킹 실린더(126b)를 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재적인 운전자의 그룹의 모든 사람은 로킹 실린더(126b)가 열릴 수 있는 열쇠를 소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열쇠로 로킹 실린더(126b)를 열음으로써,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산업용 트럭(4)을 움직이기 위한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다음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4)을 움직이기 위해 액츄에이팅 요소(76, 7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은 임의의 다른 도시된 수단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용 트럭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은 키보드(126c), 터치스크린(126e) 또는 키패드(126f) 위에 핀-코드를 입력, 생체 스캐너(126c)에 지문을 제공하거나 판독 거리에서 RFID-리더에 RFID-칩을 제공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있어서,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기 위해 조합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기 위해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위한 적절한 지문과 핀-코드를 요구할 수 있다.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는 모든 기능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열쇠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소정의 확인 수단은 단지 운전 기능과 같이 제한된 세트의 기능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산업용 트럭(4)의 추가 사용, 예를 들어, 다른 기능 및/또는 상이한 세트의 기능의 사용은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에 의해 아직 허용되지 않으므로, 틸러 헤드(2)의 임의의 버튼을 통하여 운전자에 의해 아직 작동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는 자신 및/또는 그의 권한을 더 확인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쇠로 로킹 실린더(126b)를 여는 것 외에, 특정 운전자는 생체 스캐너(126c)를 사용하여 자신을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지문 스캐너 위에 하나의 손가락을 갖다 댐으로써,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산업용 트럭(4)의 다른 기능 및/또는 상이한 기능 세트를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팅 요소(16)를 통해 작동된 산업용 트럭(4)의 적재물 운반 수단(94)을 하강 및/또는 상승시키는 것은 이와 같은 사용자 식별 후에만 허용될 수 있다. 게다가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디스플레이(124)을 통하여 확인 및 이용가능한 기능에 대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많은 가능한 상황에서 운전자에 의해 편안하게 작동할 수 있는 액츄에이팅 요소(16)를 갖는 틸러 헤드(2)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창고내 일상에서, 운전자는 틸러(86)가 제 1 상태이며 따라서 상방향인 경우 또는 틸러(86)가 제 2 상태이며 따라서 보행 위치인 경우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사용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때때로, 산업용 트럭(4)의 환경에서 공간이 제한되며, 공간 제약에 따라 운전자로 하여금 공간에 비례하여 상이한 방향으로 틸러(86) 옆에 서있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산업용 트럭(4) 뒤, 산업용 트럭(4) 좌측, 산업용 트럭(4) 우측 또는 심지어 적재물 운반 수단(94) 위에 서있도록 요구될 수 있다. 자신의 위치 및/또는 틸러(86)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는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가능한 전면(22)과 후면(24, 25)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틸러 헤드(2)의 설계는 닿기 쉽고 인체공학적 설계로 제공된 복수의 상이하게 배열된 작동가능한 표면(22, 24, 25)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용 트럭(4)의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틸러 헤드(2)의 전방측(16)와 후방측(20)으로부터 동일한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방향으로 틸러 헤드(2)의 상이한 측부 위에 제공되는 상이한 작동가능한 표면(22, 24, 25)은 단지 하나의 액츄에이팅 요소(16)에 의해 단순하고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틸러 헤드(2)는 여전히 운전자로 하여금 산업용 트럭(4)의 복잡한 작동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쉬운 구조와 단순화된 시나리오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비해, 보통 액츄에이팅 요소(16)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제어는, 예를 들어 적재물 운반 수단(94)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을 위해 2개의 액츄에이팅 요소의 각각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액츄에이팅 요소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액츄에이팅 요소와 보다 복잡한 시나리오를 요구한다.
2 : 틸러 헤드
4 : 산업용 트럭
6 : 중앙부
6a : 중앙부의 전방 부분
6b : 중앙부의 후방 부분
7 : 커버 패널
8 : 좌측 핸들부
10 : 우측 핸들부
12 : 중앙부의 좌측
14 : 중앙부의 우측
16 :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
18 : 틸러 헤드의 전방측
20 : 틸러 헤드의 후방측
22 : 작동가능한 전면
24 :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25 :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26 : 중앙부의 전방측
27 : 중앙부의 후방측
28 : 틸러 헤드의 상단측
30 : 틸러 헤드의 바닥측
32 : 중앙부의 중간 섹션
33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리지
34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바닥 에지
35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상단 에지
36 : 중앙부의 좌측(전방) 에지
37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좌측 에지
38 : 중앙부의 우측(전방) 에지
39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우측 에지
40 : (수평 피봇) 축
42 : 좌측 핸들부의 좌측 단
44 : 우측 핸들부의 우측 단
46 :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46a : 작동가능한 전면 위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46b :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위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46c :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위의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
48 :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48a : 작동가능한 전면 위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48b :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위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48c :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위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
50 : 제 1 마커
50a : 표면부 46a의 제 1 마커
50b : 표면부 46b의 제 1 마커
50c : 표면부 46c의 제 1 마커
51 :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
52a : 표면부 48a의 제 2 마커
52b : 표면부 48b의 제 2 마커
52c : 표면부 48c의 제 2 마커
53 :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
54 : 리지
54a : (제 1) 표면부 쌍 46a, 48a의 리지
54b : (제 2) 표면부 쌍 46b, 48b의 리지
54c : (제 3) 표면부 쌍 46c, 48c의 리지
56 : (상단) 마이크로스위치
58 : (바닥) 마이크로스위치
60 : (상단) 스프링 요소
62 : (바닥) 스프링 요소
64 : (좌측) 핸들부의 제 1 단
65 : (우측) 핸들부의 제 1단
66 : (좌측) 핸들부의 제 2 단
66a : 좌측 핸들부의 제 2 단의 (우측) 표면부
67 : (우측) 핸들부의 제 2 단
67a : 우측 핸들부의 제 2 단의 (좌측) 표면부
68 : 중앙부의 바닥 섹션
70 : 중앙부의 상단 섹션
72 : 액츄에이팅 요소(비상 제동/자동-복구 기능)
74 : 액츄에이팅 요소(경적)
75 : 돌출 섹션
76 : (좌측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
78 : (우측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
82 : 틸러 바
82a : 틸러 바의 후방측
84 : 틸러 바의 제 1 단
86 : 틸러
88 : 틸러 바의 제 2 단
90 : 조인트
92 : 산업용 트럭의 몸체
94 : 적재물 운반 수단
96 : (상단 마이크로스위치 56)를 위한 (상단) 리세스
98 : (바닥 마이크로스위치 58)를 위한 (바닥) 리세스
100 : (상단 스프링 요소 60)를 위한 (상단) 리세스
102 : (바닥 스프링 요소 62)를 위한 (바닥) 리세스
104 : (액츄에이팅 요소 16의 우측 스냅 끼워맞춤 요소)를 위한 (우측) 리세스
106 : (액츄에이팅 요소 16의 좌측 스냅 끼워맞춤 요소)를 위한 (좌측) 리세스
107 : (액츄에이팅 요소 74)를 위한 리세스
108 : 중앙부의 빈 격실
109 : (액츄에이팅 요소 16)를 위한 리세스
110 : 좌측 핸들부의 고정부
112 : 우측 핸들부의 고정부
114 : 중앙부의 후방 부분의 고정부
115 : 중앙부의 전방 부분의 고정부
116 : 좌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
116a : 좌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의 전방 절반
116b : 좌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의 후방 절반
118 : 우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
118a : 우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의 전방 절반
118b : 우측 핸들부의 벌지 부분의 후방 절반
120 :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122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124 : 디스플레이
126a : RFID-리더
126b : 로킹 실린더
126c : 생체 스캐너
126d : 키보드
126e : 터치스크린
126f : 키패드
128 : 로킹 실린더
128a : 열쇠
130 : 돌출부
130a : 돌출부의 표면
132 : 커버 요소
D1 : 틸러 헤드의 상단 방향
D2 : 틸러 헤드의 바닥 방향
D3 : 틸러 헤드의 전방향
D4 : 틸러 헤드의 후방향
D5 : 틸러 헤드의 좌측 방향
D6 : 틸러 헤드의 우측 방향
D1' : 산업용 트럭의 상단 방향
D2' : 산업용 트럭의 바닥 방향
D3' : 산업용 트럭의 전방향
D4' : 산업용 트럭의 후방향
D5' : 산업용 트럭의 좌측 방향
D6' : 산업용 트럭의 우측 방향
E1 : 대칭 평면
E2 : 대칭 평면
E3 : 평면
E4 : 평면
P1 : 수평 피봇 축
P2 : 수직 피봇 축

Claims (83)

  1. 산업용 트럭(4)을 위한 틸러 헤드(tiller head;2)로서,
    - 중앙부(6),
    - 상기 중앙부(6)의 좌측(12)에 부착되는 좌측 핸들부(8)와 상기 좌측(12)과 마주하는 상기 중앙부(6)의 우측(14)에 부착되는 우측 핸들부(10), 및
    - 액츄에이팅 요소(16)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8, 10)와 상기 중앙부(6)는 상기 틸러 헤드(2)의 전방측(18)과 상기 전방측(18)과 마주하는 상기 틸러 헤드(2)의 후방측(20)을 정의하며,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18)과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후방측(20)은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좌측(12)과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우측(14)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작동가능한 전면(22)과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중앙부(6)의 전방측(26)에 탑재되는, 틸러 헤드(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상단측(28)과 상기 상단측(28)과 마주하는 바닥측(30)을 가지고, 상기 상단측(28)과 상기 바닥측(30)은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18)과 상기 후방측(20)을 가로지르고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우측(14)과 상기 좌측(12)을 가로지르는, 틸러 헤드(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중앙부(6)의 중간 섹션(32)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모노리식 구조를 갖는, 틸러 헤드(2).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rocking paddle switch actuating element;16)인, 틸러 헤드(2).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터치 감지면을 포함하는, 틸러 헤드(2).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중앙부(6)의 좌측 에지(36)와 우측 에지(38)를 넘어서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전방측(26)에서 연장되는, 틸러 헤드(2).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후방측(20)을 향해, 특히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좌측(12)과 상기 우측(14) 모두를 따라서 연장되는, 틸러 헤드(2).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핸들부(8, 10)와 상기 중앙부(6)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둘러지는, 틸러 헤드(2).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연장되는 축(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틸러 헤드(2).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과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와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2).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에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단 섹션(51)에 위치되고/되거나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는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바닥 섹션(53)에 위치되는, 틸러 헤드(2).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에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바닥 섹션(53)에 위치되고/되거나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24, 25)는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의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단 섹션(51)에 위치되는, 틸러 헤드(2).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는 제 1 마커(50)를 포함하고/하거나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는, 특히 상기 제 1 마커(50)와 다른 제 2 마커(52)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2).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46)와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48)는 리지(ridge;5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틸러 헤드(2).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은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a, 48a)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4, 25)은 4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b, 46c, 48b, 48c)을 포함하는, 틸러 헤드(2).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에서 상기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a, 48a)은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전방측(26)의 일부를 커버하는, 틸러 헤드(2).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4)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b, 48b)은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좌측(12)에 인접해 배열되고/되거나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25)에서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46c, 48c)은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우측(14)에 인접해 배열되는, 틸러 헤드(2).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특히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산업용 트럭(4)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들(56,58)을 포함하는, 틸러 헤드(2).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들(56, 58)은 상기 중앙부(6)와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 사이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들(56, 58)은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피봇 축(40)의 마주하는 측들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은, 특히 상기 작동가능한 부분들(46, 48)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푸시하는 푸시 작동인, 틸러 헤드(2).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작동 후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를 자신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26. 제 2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프링 요소(60, 62)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 위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피봇 축(40)의 각 측부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핸들부들(8, 10)은 상기 중앙부(6)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틸러 헤드(2).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핸들부들(8, 10)은 U-형상이고, 각각의 핸들부(8, 10)는 제 1 단(64, 65) 및 제 2 단(66, 67)을 포함하는, 틸러 헤드(2).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핸들부(8, 10)의 상기 제 1 단(64, 65)은 상기 중앙부(6)의 바닥 섹션(68)에 부착되는, 틸러 헤드(2).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핸들부(8, 10)의 상기 제 2 단(66, 67)은 상기 중앙부(6)의 상단 섹션(70)에 부착되는, 틸러 헤드(2).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72, 74, 76, 78)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2).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하나(72)는 상기 중앙부(6)의 상단 단부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하나(74)는 상기 상단 섹션(70) 및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전방측(26) 위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하나(72, 74)는 경적을 작동하고/하거나 비상 정지 및/또는 비상 제동 및/또는 복구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의 2개(76, 78)는 회전 액츄에이팅 요소인, 틸러 헤드(2).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들(76, 78)의 하나(76)는 상기 중앙부(6)와 상기 좌측 핸들부(9)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추가 액츄에이팅 요소들(76, 78)의 나머지 하나(78)는 상기 중앙부(6)와 상기 우측 핸들부(10) 사이, 특히 상기 중앙부(6)와 상기 좌측 핸들부(8)와 상기 우측 핸들부(10)의 각각의 상기 각각의 제 2 단(66, 67) 사이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하는, 틸러 헤드(2).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운전자의 권한의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산업용 트럭(4)의 기능, 특히 상기 틸러 헤드(2)에 의해 제어된 기능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산업용 트럭(4)의 전기 구동 모터 또는 적재물 운반 수단(94)과 같은 부품에 전원을 공급, 특히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운전자의 권한의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40. 제 37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열쇠, RFID 칩, PIN 코드, 및/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 특성을 통하여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특히 상기 중앙부(6)의 상기 바닥 섹션 및/또는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후방측 위에 배열되는, 틸러 헤드(2).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124)는 적어도 상기 산업용 트럭(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RFID-리더(126a), 로킹 실린더(126b), 지문 스캐너와 같은 생체 스캐너(126c), 키보드(126d), 터치스크린(126e)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PIN에 의해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된 키패드(126f)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2).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6)의 전방 부분(6a)의 상기 전방측(26)은 상기 바닥 섹션(68) 및/또는 상기 상단 섹션(70)내의 상기 전방 부분(6a)의 상기 전방측(26) 보다 상기 중간 섹션(32)에서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set back)되는, 틸러 헤드(2).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6)의 상기 전방 부분(6a)의 상기 전방측(26)은 상기 중간 섹션(32)내에 리세스(109)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가 상기 리세스(109)내에 탑재되어,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이 상기 바닥 섹션(68) 및/또는 상기 상단 섹션(70)내의 상기 전방 부분(6a)의 상기 전방측(26) 보다 상기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는, 틸러 헤드(2).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22)의 적어도 일부는 두 핸들부들(8, 10)의 상기 제 1 단들(64, 65)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단(66, 67)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 보다 상기 후방향(D4)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는, 틸러 헤드(2).
  47. 제 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18)으로부터 집게 손가락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하는 손은 상기 2개의 핸들부들(8, 10)의 하나를 잡고 있는, 틸러 헤드(2).
  48.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16)는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후방측(20)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하는 손은 상기 2개의 핸들부들(8, 10)의 하나를 잡고 있는, 틸러 헤드(2).
  49.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는 틸러 바(82)의 제 1 단(84)에 탑재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중앙부(6)는 상기 틸러 바(82)의 상기 제 1 단(84)에 탑재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2개의 핸들부들(8, 10)은 상기 틸러 바(82)의 상기 제 1 단(84)에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틸러 헤드(2).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중앙부(6)는 상기 틸러 바(82)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틸러 헤드(2).
  51. 제 49 항 또는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6)의 상기 바닥 섹션(68)은 상기 틸러 바(82)의 상기 제 1 단(84)에 부착되는, 틸러 헤드(2).
  52. 제 1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틸러 바(82)와 틸러 헤드(2)를 포함하고, 상기 틸러 헤드(2)는 상기 틸러 바(82)에 부착되는, 틸러(86).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바(82)는 수평 피봇 축(P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틸러 바(82)의 제 2 단(88)은 상기 산업용 트럭(4)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틸러(86).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바(82)의 상기 제 2 단(88)은 상기 산업용 트럭(4)에 상기 틸러(86)의 상기 회전가능한 탑재를 제공하는 조인트(90)의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틸러(86).
  55. 제 52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86)는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운전자의 권한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상기 틸러 바(82) 위에 배열되는, 틸러(86).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2)는 로킹 실린더(rocking cylinder;128)를 포함하는, 틸러(86).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실린더(128)의 열쇠구멍은 상기 상단-후방향(D1-D4)으로 향하는 상기 틸러 바(82)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틸러 바(82)의 돌출부(130) 위에 배열되는, 틸러(86).
  58. 산업용 트럭(4)으로서,
    상기 산업용 트럭(4)의 몸체(92)에 탑재된 제 52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틸러(86)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제어, 특히 상기 산업용 트럭(4)을 조종 및/또는 상승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1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틸러 헤드(2)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4).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트럭(4)은 포크형 구조를 갖는 적재물 운반 수단(94)을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4).
  60. 제 58 항 또는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트럭(4)은 인근 보행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산업용 트럭(4)은 탑승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4).
  61. 제 58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86)는, 특히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에서 조절가능하며, 상기 제 1 상태는 상방향 및/또는 직립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피봇 및/또는 보행 상태인, 산업용 트럭(4).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18)은 본질적으로 운전자와 멀리 향하는, 산업용 트럭(4).
  63. 제 61 항 또는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18)은 상방향으로 향하는, 산업용 트럭(4).
  64. 산업용 트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틸러 헤드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으로서, 상기 틸러 헤드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되는 좌측 핸들부와 상기 좌측과 마주하는 상기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되는 우측 핸들부, 그리고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와 상기 중앙부는 상기 틸러 헤드의 전방측과 상기 전방측에 마주하는 상기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하고,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전방측과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후방측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좌측과 상기 중앙부의 상기 우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중앙부의 전방측에 탑재되는, 산업용 트럭.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는 상단측 및 상기 상단측과 마주하는 바닥측을 가지며, 상기 상단측 및 상기 바닥측은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가로지르고 상기 중앙부의 상기 우측과 상기 좌측을 가로지르며,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중앙부의 중간 섹션에 배열되는, 산업용 트럭.
  66.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모노리식 구조를 갖는, 산업용 트럭.
  67.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틸러 헤드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락킹 패들 스위치 액츄에이팅 요소인, 산업용 트럭.
  68.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의 에지를 넘어서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전방측에서 연장되는, 산업용 트럭.
  69.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과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의 좌측 에지를 넘어서 그리고 상기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의 우측 에지를 넘어서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전방측에서 연장되는, 산업용 트럭.
  70.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트럭과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가능한 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산업용 트럭과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산업용 트럭과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의 상단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의 바닥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의 바닥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의 상단 섹션에 위치된 작동가능한 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
  73.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부는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의 좌측 에지를 넘어서 그리고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의 우측 에지를 넘어서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전방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은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은 제 1 작동가능한 후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업용 트럭 및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상기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또는 둘 다의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고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전면부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이 상기 좌측 작동가능한 후면, 상기 우측 작동가능한 후면, 또는 둘 다의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가능한 후면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제어된 트럭 기능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
  74.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후방측을 향해, 특히 상기 중앙부의 상기 좌측과 상기 우측을 둘 다를 따라서 연장되는, 산업용 트럭.
  7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과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와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를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단 섹션에 위치되고/되거나 상기 제 1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의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바닥 섹션에 위치되는, 산업용 트럭.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에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바닥 섹션에 위치되고/되거나 상기 제 2 작동가능한 표면부는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의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상단 섹션에 위치되는, 산업용 트럭.
  78.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은 2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후면은 4개의 작동가능한 표면부들을 포함하는, 산업용 트럭.
  79.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헤드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산업용 트럭의 상승 및/또는 하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산업용 트럭.
  80.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전방 부분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바닥 섹션, 상기 상단 섹션, 또는 둘 다에서 상기 전방 부분의 상기 전방측 보다 상기 중간 섹션에서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며; 그리고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전방 부분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중간 섹션내에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가 상기 리세스내에 탑재되어,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이 상기 바닥 섹션, 상기 상단 섹션, 또는 둘 다에서 상기 전방 부분의 상기 전방측 보다 상기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는, 산업용 트럭.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의 상기 작동가능한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두 핸들부들의 상기 제 1 단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단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보다 상기 후방향으로 추가로 세트 백되는, 산업용 트럭.
  82.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전방측으로부터 집게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동안에, 운전자의 손으로 상기 2개의 핸들부들 중 하나를 잡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동안에, 운전자의 손으로 상기 2개의 핸들부들 중 하나를 잡도록 구성되며,
    상기 틸러는 제 1 상방향 및/또는 직립 상태와 제 2 피봇 및/또는 보행 상태 사이에 조절가능하고,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전방측은 운전자와 멀리 향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틸러 헤드(2)의 상기 전방측은 상방향으로 향하는, 산업용 트럭.
  83. 중앙부, 좌측 핸들부, 우측 핸들부, 그리고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하는 틸러 헤드로서,
    상기 좌측 핸들부는 상기 중앙부의 좌측에 부착되고,
    상기 우측 핸들부는 상기 좌측과 마주하는 상기 중앙부의 우측에 부착되며,
    상기 핸들부들과 상기 중앙부는 상기 틸러 헤드의 전방측 및 상기 전방측과 마주하는 상기 틸러 헤드의 후방측을 정의하고,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전방측과 상기 틸러 헤드의 상기 후방측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좌측과 상기 중앙부의 상기 우측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작동가능한 전면과 작동가능한 후면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는 상기 중앙부의 전방측에 탑재되는, 틸러 헤드.
KR1020220048786A 2021-04-21 2022-04-20 틸러 헤드 KR20220145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21/088760 2021-04-21
PCT/CN2021/088760 WO2022222072A1 (en) 2021-04-21 2021-04-21 Tiller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89A true KR20220145289A (ko) 2022-10-28

Family

ID=8134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86A KR20220145289A (ko) 2021-04-21 2022-04-20 틸러 헤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40402A1 (ko)
EP (1) EP4079676A1 (ko)
KR (1) KR20220145289A (ko)
CN (1) CN115215257A (ko)
AU (1) AU2022202357B2 (ko)
CA (1) CA3156668A1 (ko)
MX (1) MX2022004248A (ko)
WO (1) WO2022222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642451U (zh) * 2021-06-25 2022-01-25 浙江中力机械股份有限公司 手柄头及具有其的搬运车
USD1017946S1 (en) * 2021-10-22 2024-03-1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Tiller head for electric pallet jack
EP4230570A1 (de) * 2022-02-16 2023-08-23 STILL S.p.A. Deichselkopf für ein flurförderzeu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6392B (en) * 1997-06-18 2001-05-09 Sunrise Medical Ltd Personal mobility vehicle
DE50302559D1 (de) * 2003-02-08 2006-05-04 Jungheinrich Ag Deichsel für einen Handgabelhubwagen
DE10352695B4 (de) * 2003-11-12 2019-07-18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Deichsel für kraftgetriebenes Flurförderzeug
DE102004005762A1 (de) * 2004-02-05 2005-09-01 Rema Lipprandt Gmbh & Co. Kg Deichselkopf für einen Flurförderer, Flurförder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lurförderers
DE102004042226A1 (de) * 2004-09-01 2006-03-02 Jungheinrich Ag Deichsel für einen Mitgeh- und Mitfahrstapler
DE202005003076U1 (de) * 2005-02-25 2006-08-24 Rema Lipprandt Gmbh & Co. Kg Deichselkopf
US7641020B2 (en) * 2005-04-18 2010-01-05 Jungheinrich Aktiengessellschaft Hand rail for a walkie/rider truck
EP1867549B1 (en) * 2006-06-16 2013-07-24 Atlet AB Tiller head for use in a power operated industrial truck
DE102010019225A1 (de) * 2010-05-04 2011-11-10 Still Sas Deichsel eines deichselgeführten Flurförderzeugs
US9278839B2 (en) * 2011-03-18 2016-03-08 The Raymond Corporation Mast and integral display mount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US9205882B1 (en) * 2011-11-17 2015-12-08 Nacco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Hand grip for industrial vehicles
DE202013003571U1 (de) * 2013-04-16 2014-07-18 Gebrüder Frei GmbH & Co. Deichselkopf
CN204324833U (zh) * 2014-12-09 2015-05-13 林德(中国)叉车有限公司 一种舵柄结构
CN205133061U (zh) * 2015-10-29 2016-04-06 宁波世嘉嘉辰机械有限公司 电动搬运车手柄
CN109132954A (zh) * 2018-09-11 2019-01-04 徐州帝意电子有限公司 一种电动托盘车的操纵机构
CN209010086U (zh) * 2018-11-07 2019-06-21 泰州市中利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直升机用牵引车
CN209957309U (zh) * 2019-01-29 2020-01-17 上海环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搬运车控制显示装置
US10730728B1 (en) * 2019-04-17 2020-08-04 Zhejiang E-P Equipment Co., Ltd. Removable plug-in modules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US10836620B2 (en) * 2019-04-17 2020-11-17 Zhejiang E-P Equipment Co., Ltd. Removable plug-in modules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CN211283612U (zh) * 2019-11-21 2020-08-18 宁波力达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电动搬运车的磁力手柄
CN211847031U (zh) * 2020-02-26 2020-11-03 长兴强盛机械有限公司 一种全电动搬运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0402A1 (en) 2022-10-27
AU2022202357B2 (en) 2023-09-28
AU2022202357A1 (en) 2022-11-10
CA3156668A1 (en) 2022-10-21
EP4079676A1 (en) 2022-10-26
WO2022222072A1 (en) 2022-10-27
MX2022004248A (es) 2022-10-24
CN115215257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289A (ko) 틸러 헤드
US6948398B2 (en) Joystick with enabling sensors
US9248742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CN109872638B (zh) 电子设备
US8751095B2 (en) Multi-direction vehicle control sensing
KR101621369B1 (ko) 제스처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스처 인식 방법
TWI726204B (zh) 載具、載具解鎖系統及其操作方法
CN106364544A (zh) 带有一体化键盘组件的方向盘
WO2014045857A1 (ja) 移動体
JP2000322193A (ja) z軸スイッチを持つ、ジンバル取り付け型ジョイスティック
CN108170264A (zh) 车辆用户输入控制系统和方法
CN102099235A (zh) 利用肌骨骼信息的操作支援装置和操作支援方法
CN109074116A (zh) 用于工业车辆的控制箱和操作者界面
CN111886391A (zh) 门把手模块
WO2004071842A1 (ja) 力入力操作装置、移動体、搬送車及び歩行用補助車
JP2022500309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を伴うスクータ
JP5239213B2 (ja) 操舵装置
CN108367428A (zh) 用于自移动平台的控制系统
CN102227701A (zh) 具有六个运动轴线的鼠标
US7990367B2 (en) On-vehicle manipulating system
JP2009023412A (ja) 操舵装置
JPH0588888U (ja) ロボット教示装置
JP2002331881A (ja) 車載文字入力装置
EP4310631A1 (en) Systems having a display unit and interchangeable bezel trim pieces for securing thereto
EP2083348A1 (en) Touch screen switch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