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47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47A
KR20220145247A KR1020210144901A KR20210144901A KR20220145247A KR 20220145247 A KR20220145247 A KR 20220145247A KR 1020210144901 A KR1020210144901 A KR 1020210144901A KR 20210144901 A KR20210144901 A KR 20210144901A KR 20220145247 A KR20220145247 A KR 2022014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blower
illuminance value
tilting member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준
강태경
이경수
박영춘
남유영
김승기
배준형
김기수
김재홍
강성실
김재훈
장동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30Artificial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바디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에 배치되고,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 및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기가 일반동작상태 및 취침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주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 및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필터를 통과한 깨끗한 여과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여 토출시키는 풍향방향전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청기는 조도값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도센서에 의해 공기청정기는 조도값이 낮을 경우, 송풍팬의 송풍력이 저하되는 취침상태로 동작되고, 조도값이 높을 경우, 송풍팬의 송풍력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어되는 정상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9675호 "공기 청정기"(특허문헌 1)는 팬, 팬을 수용하고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팬하우징 및 팬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 토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랙을 포함하는 유동 전환장치가 포함된 공기 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팬하우징에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가 구비되고, 조도값에 따라 팬의 송풍력이 제어될 경우, 팬하우징의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측정된 조도값에 오차가 발생하여 송풍력이 올바르게 제어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공기청정기의 주변이 밝지만, 기울어진 팬하우징에 의해 조도값이 낮게 측정될 경우, 공기청정기가 취침상태로 운전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49675 (2019. 05. 09.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틸팅부재의 기울기값과 틸팅부재에 배치된 조도센서의 조도값에 기초하여 송풍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틸팅부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조도값보다 낮을 경우, 틸팅부재를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조도값이 재 측정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바디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에 배치되고,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 및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기가 일반동작상태 및 취침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반동작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취침상태에서, 상기 일반동작상태보다 낮은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취침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틸팅부재가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취침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틸팅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미만으로 유지될 때,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틸팅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틸팅 제어하고 상기 송풍기를 상기 일반동작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취침상태에서,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2 조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조도값보다 큰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상기 송풍기를 상기 일반동작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조도에 기초하여 송풍력이 변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조도값보다 작을 경우, 틸팅부재를 수평상태로 전환하여 조도값을 재 측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송풍기가 취침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청정기가 전체순환모드 상태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가 후방배출모드 상태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청정기가 후방배출모드 상태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공기청정기가 취침모드 상태인 모습을 나타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다른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지지', '유입', '토출',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지지, 유입, 토출,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3의 z축 방향일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부터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바디(100), 송풍기(200), 필터(300), 틸팅부재(400), 승하강유닛(500), 조도센서(600) 및 제어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송풍기(200) 및 필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송풍기(200), 필터(300), 틸팅부재(400), 및 승하강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에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0)는 바디(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입구(110)는 바디(1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는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200)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200)는 필터(300)에서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200)는 복수 개의 필터(300)로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300)는 외부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00)는 공기 내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프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등의 주지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0)는 필터부재 및 필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필터는 인접한 필터에 대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틸팅부재(400)는 필터(300)를 통과한 여과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400)은 승하강유닛(5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틸팅부재(400)는 바디(10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틸팅상태에 놓이거나, 바디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는 수평상태에 놓이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400)와 바디(100) 사이에는 여과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인 토출공간(S1, S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공간(S1, S2)은 서로 대향하도록 개방된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토출영역(S1)은 틸팅부재(400)의 일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제2 토출영역(S2)은 틸팅부재(400)의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틸팅부재(4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대하여 수평한 수평상태에 놓일 경우,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40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틸팅상태에 놓일 경우,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 중 어느 하나의 크기는 커지고 다른 하나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제1 토출영역(S1)과 제2 토출영역(S2)은 하나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토출영역(S1)은 승하강유닛(500)보다 후방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토출영역(S2)은 승하강유닛(500)보다 전방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승하강유닛(500)은 틸팅부재(400)을 바디(1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유닛(500)은 바디(1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유닛(500)은 틸팅부재(400)가 바디(100)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이 형성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유닛(500)은 틸팅부재(400)가 바디에 접촉되어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강할 수 있다. 승하강유닛(500)은 바디(100)에 대하여 승하강하기 위하여 랙과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유닛(500)은 제어장치(600)에 의해 제어되어 승하강할 수 있다.
조도센서(600)는 소정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센서(600)는 틸팅부재(400)에 배치되어 틸팅부재(40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센서(600)는 틸팅부재(4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송풍기(200), 틸팅부재(400), 및 승하강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바디(100)에 대한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 및 조도센서(600)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송풍기(200)가 일반동작상태 및 취침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송풍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동작상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송풍기(200)의 구동이 조작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상태로 명명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일반동작상태에서는 제어장치(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20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취침상태는 제어장치(700)가 일반동작상태보다 낮은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송풍기(200)를 제어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취침상태에서, 일반동작상태에서의 송풍기(200)가 제공할 수 있는 송풍력의 평균값보다 낮은 송풍력을 제공하거나, 정지되도록 송풍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동작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200)가 구동되다가도 취침상태로 변환되면 제어장치(700)는 일반동작상태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더 낮은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송풍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송풍기(200)의 송풍력의 변화는 송풍기(200)의 회전속도(구동속도)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기(200)의 송풍력이 커지면 송풍기(200)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송풍기(200)의 송풍력이 작아지면, 송풍기(200)의 회전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조도센서(600)로부터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송풍기(200)를 취침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고,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송풍기(200)는 취침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도값은 일 예로, 2lux일 수 있고, 제1 설정시간은 3분일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경우,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기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고,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틸팅부재(400)는 수평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틸팅부재(400)가 틸팅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제어장치(700)는 송풍기(200)를 취침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설정시간은 일 예로 15초일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가 취침상태에서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2 조도값보다 크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송풍기(200)를 일반동작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도값은 일 예로 5lux일 수 있고, 제3 설정시간은 5분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전환되기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상태로 전환되기 전 상태'는 수평상태로 전환되기 전의 틸팅부재(400)의 기울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가 틸팅상태(또는 소정의 기울기값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틸팅상태(또는 소정의 기울기값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제어방법은 제1 조도 판단 단계(S100), 기울기 판단 단계(S200), 수평제어 단계(S300), 제2 조도 판단 단계(S400), 취침 단계(S500), 제3 조도 판단 단계(S600), 일반 동작 단계(S700), 복귀 제어 단계(S800) 및 제4 조도 판단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조도 판단 단계(S1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제1 조도값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동안 유지된다고 판단하면, 기울기 판단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기울기 판단 단계(S2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과 미리 입력된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 틸팅부재(400)가 틸팅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가 틸팅부재(400)의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작다고 판단할 경우, 취침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고,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수평제어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수평제어 단계(S3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되도록 틸팅부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에 의해,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전환이 완료되면, 제2 조도 판단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조도 판단 단계(S400)에서는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제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판단하면, 취침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취침 단계(S5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송풍기(200)를 취침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에 의해 송풍기(200)가 취침상태로 전환이 완료되면, 제3 조도 판단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조도 판단 단계(S6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2 조도값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감지된 조도값이 제2 조도값보다 큰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제2 조도값보다 크고, 이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된다고 판단하면, 일반 동작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일반 동작 단계(S7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송풍기(200)를 일반 동작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복귀 제어 단계(S800)는 제어장치(700)가 제2 조도 판단 단계(S400)에서 감지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이 상태가 제2 설정시간 미만으로 유지된다고 판단하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제어 단계(S8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수평상태로 전환된 틸팅부재(400)를 수평제어 단계(S300)가 수행되기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4 조도 판단 단계(S900)는 복귀 제어 단계(S80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4 조도 판단 단계(S900)에서는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변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소정의 변환값 이상으로 변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조도 판단 단계(S90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가 감지된 조도값이 소정의 변환값 미만으로 변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송풍기(200)의 일반 동작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반 동작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장치(700)는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송풍기(200)를 일반동작상태 또는 취침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밤이나 공기청정기(1)의 주변이 어두울 경우, 송풍기(200)가 제어장치(700)에 의해 일반동작상태일 때보다 송풍력이 낮은 취침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400)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조도센서(600)에서 감지된 조도값이 공기청정기(1)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실제 조도보다 더 작게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도센서(600)는 틸팅부재(400)에 설치되므로 틸팅부재(400)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센서(600)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 틸팅부재(400)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센서(600)에서 감지되는 조도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어장치(700)는 틸팅부재(400)를 수평상태로 전환하여, 틸팅부재(400)가 수평상태일 때 조도센서(600)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송풍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청정기 100: 바디
110: 유입구 200: 송풍기
300: 필터 400: 틸팅부재
500: 승하강유닛 600: 조도센서
700: 제어장치 S1: 제1 토출영역
S2: 제2 토출영역

Claims (7)

  1.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바디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에 배치되고,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 및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기가 일반동작상태 및 취침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반동작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가 구동되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취침상태에서, 상기 일반동작상태보다 낮은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취침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의 기울기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틸팅부재가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취침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틸팅부재가 틸팅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조도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조도값보다 작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미만으로 유지될 때,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틸팅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틸팅 제어하고 상기 송풍기를 상기 일반동작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취침상태에서, 상기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제2 조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조도값보다 큰 상태가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상기 송풍기를 상기 일반동작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144901A 2021-04-21 2021-10-27 공기청정기 KR20220145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2018 2021-04-21
KR1020210052018 2021-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47A true KR20220145247A (ko) 2022-10-28

Family

ID=8383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01A KR20220145247A (ko) 2021-04-21 2021-10-27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2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675A (ko) 2019-04-30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675A (ko) 2019-04-30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428B1 (en) Work station having an air flow controller
KR101948003B1 (ko) 공기청정 환기 장치
JP4312144B2 (ja) 空気清浄機
JP2009085558A (ja) 空気清浄機
KR102563496B1 (ko) 인체 감지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1465808A (zh)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
JP3769994B2 (ja) 空気清浄器
KR20190081511A (ko) 승강식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JP6727869B2 (ja) 調湿装置
KR20220145247A (ko) 공기청정기
JP6567322B2 (ja) 空気調和機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1038122A (ja) 空気清浄機
JP5003162B2 (ja) 空気調和機
KR200329577Y1 (ko)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JPH01254225A (ja) 空気清浄装置並びに当該装置に用いる空気汚れ判定装置及び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装置
KR102203710B1 (ko) 공기 청정기
KR20220144711A (ko) 공기청정기
JP2001041518A (ja) 空気清浄機
JP2000107537A (ja) 空気清浄装置
KR100652801B1 (ko) 공기청정기의 정음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2024543A (zh) 空氣清淨裝置
KR20120073924A (ko) 적응적 공기 청정기 제어 방법
KR102336630B1 (ko) 공기청정가습기의 제어방법
KR20220145248A (ko)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