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48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48A
KR20220145248A KR1020210144913A KR20210144913A KR20220145248A KR 20220145248 A KR20220145248 A KR 20220145248A KR 1020210144913 A KR1020210144913 A KR 1020210144913A KR 20210144913 A KR20210144913 A KR 20210144913A KR 20220145248 A KR20220145248 A KR 2022014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ed
driving gear
wind direction
gear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이명준
남유영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30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255921A/zh
Priority to JP2023564243A priority patent/JP2024514927A/ja
Priority to PCT/KR2022/005235 priority patent/WO2022225243A1/ko
Publication of KR2022014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유닛;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신호가 출력되는 조작모듈; 및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풍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풍향조절부재;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정방향의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주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 필터를 통과한 깨끗한 여과 공기를 다향한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해 회전되는 풍향조절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모듈을 조작하여 송풍팬 그리고 풍향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9675호 "공기 청정기"(특허문헌 1)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팬하우징, 팬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랙, 제2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유동 전환장치와 팬하우징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 공기 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팬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2 기어가 제2 랙에 대하여 맞물려 회전되는 것만 개시되어 있을 뿐, 제2 기어가 정지된 이후, 외부 힘에 의해 제2 랙이 제2 기어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기어를 재 회전시키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제2 기어의 회전이 정지된 이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누르게 되면, 제2 랙과 제2 기어 사이의 유격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팬하우징에 대해 흔들릴 수 있고, 이러한 유격에 의한 흔들림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49675 (2019.05.09.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된 이후에 사용자가 조작모듈을 조작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부의 흔들림이 최소화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유닛;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신호가 출력되는 조작모듈; 및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풍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풍향조절부재;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정방향의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기어는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 중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는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1 피동기어치와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2 피동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1 피동기어치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인 제1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더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풍향조절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상기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상태에 놓이거나, 상기 바디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이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풍향조절유닛이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개방상태로부터 바디를 향해 제1 거리만큼 하강하고, 이후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로 상승하며, 이후 다시 바디를 향해 재차 하강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승한 이후에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유닛이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하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작모듈을 누르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조작부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측면도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풍향조절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풍향조절유닛이 폐쇄상태일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된 후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구동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된 후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지지', '유입', '토출',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지지, 유입, 토출,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3의 z축 방향일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바디(100), 송풍기(200), 필터(300), 풍향조절유닛(400), 승하강유닛(500), 제어장치(600) 및 조작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송풍기(200) 및 필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송풍기(200), 필터(300), 풍향조절유닛(400) 및 승하강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에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동하기 위한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0)는 바디(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입구(110)는 바디(1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는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상부는 풍향조절유닛(4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송풍기(200)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 내부로 유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200)는 필터(300)에서 여과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200)는 복수 개의 필터(300)로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300)는 외부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00)는 공기 내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프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등의 주지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0)는 필터부재 및 필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필터는 인접한 필터에 대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유닛(400)은 필터(300)를 통과한 여과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풍향조절유닛(4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바디(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풍향조절유닛(400)은 풍향조절부재(410), 모터(420), 구동기어(430) 및 피동기어(440)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4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바디(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풍향조절부재(410)는 바디(10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바디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는 수평상태에 놓이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풍향조절부재(410)에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조작모듈(700)이 풍향조절부재(410)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420)는 풍향조절부재(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42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풍향조절부재(410)는 모터(420)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구동기어(430)는 모터(42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풍향조절부재(410)는 조작모듈(700)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의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풍향조절부재(410)는 조작모듈(70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30)는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4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430)는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431) 중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후술할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441, 442) 사이에 배치되도록 피동기어(440)와 맞물릴 수 있다.
피동기어(440)는 구동기어(430)에 맞물려 구동기어(4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동기어(440)는 구동기어(43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기어(430)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피동기어(440)의 회전에 의해 풍향조절부재(4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피동기어(440)는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441, 4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는 임의의 구동기어치(431)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1 피동기어치(441)와 임의의 구동기어치(431)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2 피동기어치(4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임의의 구동기어치 중 임의의 구동기어치는, 제1 피동기어치(441)와 제2 피동기어치(442)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치로 정의될 수 있다. 피동기어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치는 구동기어(430)가 회전에 의해 달라지므로 임의의 구동기어치는 구동기어(430)의 회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피동기어(440)는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제1 피동기어치(441)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되고,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제2 피동기어치(442)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1)에는 바디(100)와 풍향조절유닛(400) 사이에 여과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인 토출공간(S1, S2)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풍향조절부재(410)가 바디(100)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면, 토출공간(S1, S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공간(S1, S2)은 서로 대향하도록 개방된 제1 토출영역(S1) 및 제2 토출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토출영역(S1)은 풍향조절유닛(400)의 일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제2 토출영역(S2)은 풍향조절유닛(400)의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풍향조절유닛(400)이 회전되어 제1 토출영역(S1)은 커지고, 제2 토출영역(S2)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풍향조절유닛(400)이 회전되어 제1 토출영역(S1)은 작아지고, 제2 토출영역(S2)은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토출영역(S1)은 공기청정기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승하강유닛(500)의 일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토출영역(S2)은 승하강유닛(500)의 타측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토출영역(S1)과 제2 토출영역(S2)은 하나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토출영역(S1)은 하나의 토출구에서의 일측에 해당하고, 제2 토출영역(S2)은 이러한 하나의 토출구에서의 타측에 해당할 수 있다.
승하강유닛(500)은 풍향조절유닛(400)을 바디(1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다. 승하강유닛(500)은 바디(10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풍향조절부재(410)를 상승시키거나, 바디(10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410)를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유닛(500)에, 의해 풍향조절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하여 바디(100)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상태에 놓이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를 향해 하강함으로써 바디(100)에 밀착하여 바디(10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승하강유닛(500)은 바디(1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유닛(500)은 바디(100)에 대하여 승하강하기 위해 랙과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600)는 조작모듈(700)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200), 풍향조절유닛(400) 및 승하강유닛(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모듈(700)은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부는 버튼,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모듈(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제어장치(600)에 전달하고, 제어장치(600)는 조작모듈(700)에서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모듈(700)에 제공되는 입력부 예를 들어, 송풍기의 송풍력을 조작하기 위한 풍속입력부, 승하강유닛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입력부, 풍향조절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모듈(700)은 풍향조절부재(410)에 배치되되 상측에서 보았을 때, 풍향조절부재(410)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모듈(700)은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하강하고,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동작들은 송풍기(200), 필터(300), 풍향조절유닛(400), 승하강유닛(500) 등과 같은 공기청정기(1)의 구성요소들이 제어장치(6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모터(420)는 회전되다가 정지될 때, 구동기어(430)가 정지된 후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되도록, 모터(420)는 정지되었다가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다시 구동될 수 있다. 구동기어(430)는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제2 피동기어치(442)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터(420)는 구동기어(4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작하다가 정지할 경우,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구동기어(430)가 미리 정해진 각도인 제1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정지되기 직전의 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앞서 정의된 임의의 구동기어치(431)는 제2 피동기어치(44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를 조작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4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조작모듈(700)을 누르더라도 풍향조절유닛(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터(420)는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구동기어(430)가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제2 피동기어치(411)에 더 밀착되도록 모터(4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풍향조절유닛(400)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모터(420)는 풍향조절부재(410)가 토출공간(S1, S2)을 완전히 폐쇄하기 전에 풍향조절부재(410)가 폐쇄상태와 나란한 배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의 배향)되도록 풍향조절부재(41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풍향조절부재(410)가 폐쇄상태와 나란하게 배향되기 위하여, 풍향조절부재(410)는 바디(100)를 향해 하강하는 동안 회전되거나, 바디(100)를 향해 하강하기 전에 미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풍향조절부재(410)가 바디(100)를 향해 하강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풍향조절부재(410)와 바디(10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410)는 바디(100)를 향해 하강한 후 미리 설정된 소정의 거리만큼 상승하였다가 바디(100)를 향해 다시 하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풍향조절부재(410)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하강한 거리를 제1 거리라고 할 때, 풍향조절부재(410)가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한 거리를 제2 거리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유닛(400)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모터(420)는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제2 각도 또는 이러한 제2 각도보다 작게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정의된 임의의 구동기어(430)는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에도 풍향조절유닛(400)이 폐쇄상태에 놓일 때 제2 피동기어치(442)에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풍향조절부재(410)는 제2 토출영역(S2)이 제1 토출영역(S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풍향조절부재(410)는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하는 풍향조절유닛(400)은, 바디(100)에 접촉되어 회전되어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배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한편, 피동기어(440)는 풍향조절부재(410)에 맞물려 회전되므로, 피동기어(440)는 풍향조절부재(410)가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배향되도록 회전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피동기어(440)가 회전되는 방향은 제2 피동기어치(442)와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더 밀착되는 방향이 된다.
풍향조절유닛(400)이 폐쇄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앞서 정의된 임의의 구동기어치(431)가 제2 피동기어치(442)에 밀착하게 되므로, 개방상태가 되기 전에 미리 구동기어치(431)가 제2 피동기어치(44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유닛(400)이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전환된 직후에 사용자가 조작모듈(700)을 누르더라도 풍향조절유닛(400)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풍향조절유닛(400)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풍향조절부재(410)가 바디(100)으로 하강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승하였을 때, 모터(420)는 구동기어(4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있어서 풍향조절부재(410)가 최초에 바디(100)를 향해 하강할 때에는 폐쇄상태와 나란하게 배향되어 하강하다가, 상승한 이후에 다시 바디(100)를 향해 재차 하강할 때에는 폐쇄상태에 대하여 기울어져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풍향조절부재(410)가 두번째 하강할 때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구동기어(430)는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의 풍향조절부재(410)의 하강 횟수와 무관하게, 일 예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기 위하여 개방상태로부터 하강을 시작할 때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기 위하여 개방상태로부터 최초의 하강을 시작하기 전에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어(430)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풍향조절부재(410)의 하강 전의 예비동작으로서, 풍향조절유닛(400)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전환 과정에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청정기 100: 바디
110: 유입구 200: 송풍기
300: 필터 400: 풍향조절유닛
410: 풍향조절부재 420: 모터
430: 구동기어 431: 구동기어치
440: 피동기어 441: 제1 피동기어치
442: 제2 피동기어치 500: 승하강유닛
600: 제어장치 700: 조작모듈
S1: 제1 토출영역 S2: 제2 토출영역

Claims (8)

  1.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유닛;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신호가 출력되는 조작모듈; 및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풍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풍향조절부재;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정방향의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조작모듈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기어는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기어치 중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복수 개의 피동기어치는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1 피동기어치와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제2 피동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1 피동기어치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와 밀착됨으로써 회전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인 제1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정지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더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공기청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풍향조절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상기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상태에 놓이거나, 상기 바디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이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풍향조절유닛이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유닛은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개방상태로부터 바디를 향해 제1 거리만큼 하강하고, 이후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로 상승하며, 이후 다시 바디를 향해 재차 하강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승한 이후에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유닛이 상기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하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임의의 구동기어치가 상기 제2 피동기어치에 밀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144913A 2021-04-21 2021-10-27 공기청정기 KR20220145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30043.7A CN117255921A (zh) 2021-04-21 2022-04-12 空气净化器
JP2023564243A JP2024514927A (ja) 2021-04-21 2022-04-12 空気清浄機
PCT/KR2022/005235 WO2022225243A1 (ko) 2021-04-21 2022-04-12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19 2021-04-21
KR20210052019 2021-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48A true KR20220145248A (ko) 2022-10-28

Family

ID=8383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13A KR20220145248A (ko) 2021-04-21 2021-10-27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2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675A (ko) 2019-04-30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675A (ko) 2019-04-30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910B (zh) 空气净化器
KR100933634B1 (ko) 공기청정기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CN105849469B (zh) 空气净化器
KR101168738B1 (ko) 공기청정기
JP5864344B2 (ja) 空気清浄装置
KR102401667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7041224B2 (ja) 空気清浄機
KR101035010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20060023457A (ko) 공기청정기
KR20220145248A (ko) 공기청정기
KR20120033590A (ko) 필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US20240219061A1 (en) Air purifier
JP2024514927A (ja) 空気清浄機
KR20050110233A (ko) 공기청정기
KR20200004167A (ko) 풍향 조절형 팝업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117255921A (zh) 空气净化器
JP6567322B2 (ja) 空気調和機
KR20220144711A (ko) 공기청정기
JP6998506B2 (ja) 空気調和機
JP2001038122A (ja) 空気清浄機
KR100518422B1 (ko) 공기청정기
CN211316403U (zh) 一种空气净化器
KR20220145247A (ko) 공기청정기
KR100464515B1 (ko) 공기 정화기 및 그 운전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