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036A -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036A
KR20220145036A KR1020210051629A KR20210051629A KR20220145036A KR 20220145036 A KR20220145036 A KR 20220145036A KR 1020210051629 A KR1020210051629 A KR 1020210051629A KR 20210051629 A KR20210051629 A KR 20210051629A KR 20220145036 A KR20220145036 A KR 2022014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ngitudinal direction
shape
fastening pa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889B1 (ko
Inventor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to KR102021005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8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연결소켓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한 모서리에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Assembly type coupling socket, canopy frame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 생산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관중석이나 처마, 건물과 건물 사이, 주차장 입구, 지하도입구, 급수대, 자전거 보관대, 차량 승강장 등에는 햇빛과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구조물을 설치한다.
종래의 '조립식 차양'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2431호(2020.04.13)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고정브래킷에 측방상부프레임과 측방하부프레임을 연결한 후 전방 및 후방프레임을 연결하고, 전방 및 후방프레임의 조립슬릿에 차양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클립바로 마감하면 되므로 차양의 구성이 간단한 조립식 차양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차양은 제시된 차양 시스템에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차양 시스템과 구조물에 두루 적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 생산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부는,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홈부와 인접한 일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1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상기 제2체결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타측 모서리에 상부로 연장되어 지붕판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붕판 삽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벽고정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측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의 상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된 제3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제2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단차부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3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빗물받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이 내측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면에 지붕판이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각 프로파일 형상의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제1홈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은 상기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보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은 상기 어느 하나의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둥 역할을 하며, 외면이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의 내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의 내측에 단면이 일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수단 조립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기둥 보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적어도 상면과 일측면이 평평한 파이프 형상으로, 지붕판 끝단이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가장자리에 하부로 내려간 제3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단차부의 하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4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4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마감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5체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5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5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들어간 두면 중 적어도 한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6체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체결홈부가 형성된 면과 인접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6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6단차부의 끝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제6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 연결바;를 더 포함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5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5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5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면이 시옷자 형태인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7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7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7단차부의 상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7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옷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체결부와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 벽고정대, 빗물받이,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기둥 보 겸용 프레임, 기둥 보 고정 프레임, 마감바, 일자형 연결바, 수직 연결바, 시옷자형 연결바는 모두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 생산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조립식 연결소켓, 벽고정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빗물받이 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벽고정대 만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차양 고정용 브라켓 만을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3에서 도시한 빗물받이 만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도 3에서 도시한 기둥 보 겸용 프레임 만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3에서 도시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 만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 내측에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도 3에서 도시한 기둥 보 고정 프레임 만을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기둥 보 겸용 프레임에 기둥 보 고정 프레임이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서 도시한 마감바 만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의 조립된 상태의 일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4에서 일자형 연결바 만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의 조립된 상태의 일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7에서 수직 연결바 만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의 조립된 상태의 일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도 30에서 시옷자형 연결바 만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의 조립된 상태의 일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33 및 도 34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중에서 방범창 프레임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중에서 울타리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은 사각 프로파일 형상이고,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제1체결부(1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부(110)와 마주하는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 외측에 제1체결홈부(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는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이다. 이러한 제1체결부(110)의 상면에는 제1체결라인(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라인(1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는 제1체결부(110)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이다.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가 형성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의 내측에는 마감캡 체결부(15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캡 체결부(150)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상으로, 사각 프로파일 형상인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마감캡 체결부(15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필요한 위치에 제1체결라인(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하여 차양 프레임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벽고정대(200)와 빗물받이(400)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 500a)과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을 포함한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벽고정대(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체결홈부(2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2체결홈부(210)의 단면은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체결홈부(210)의 상면에는 제2체결라인(2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2체결라인(2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2체결홈부(210)와 인접한 일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1단차부(2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1단차부(2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단차부(230)의 내측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단차부(230)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2체결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부(25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면의 제2체결홈부(2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타측 모서리에 상부로 연장되어 지붕판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붕판 삽입부(27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붕판 삽입부(270)는 지붕판의 끝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디귿자 또는 역디귿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되는 지붕판의 두께(예를 들어, 10mm, 16mm 또는 10mm 이하)에 따라 삽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지붕판 삽입부(27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지붕판 삽입부(270)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 삽입부(270)가 형성된 모서리의 내측에는 마감캡 체결부(29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캡 체결부(290)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상으로, 사각 프로파일 형상인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마감캡 체결부(29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고정대(20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필요한 위치에 제2체결라인(2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고정대(200)의 양측면 중 지붕판 삽입부(270)가 위치한 측의 측면(201)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고, 측면(201)에는 물결무늬와 같이 요철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측면(201)에 요철부(202)가 형성되면, 측면(201)이 벽면과 맞닿을 경우 벽면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미관상 보기가 좋은 효과가 있다.
사각 프로파일 형상의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내측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면에 지붕판(10)이 놓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고정대(200)와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조립된 상태로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된 상태의 확대도면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벽고정대(200)의 제2체결홈부(21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벽고정대(200)의 제2체결부(25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벽고정대(2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되고,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상면과 벽고정대(20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상면과 벽고정대(200)의 상면에 지붕판을 놓을 수 있으며,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하면과 벽고정대(20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미관상 보기좋다.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조립식 연결소켓(10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25)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벽고정대(200)의 제2체결홈부(21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2체결홈부(210)에 제2체결라인(2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5)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벽고정대(200)를 벽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의 벽고정대 안착부(251)와, 벽고정대 안착부(251)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지지대(253)를 포함한다. 벽고정대 안착부(251)와 지지대(253)에는 각각 제3체결라인(25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의 벽고정대 안착부(251)에 벽고정대(200)가 안착되도록 하고, 체결수단(27)을 체결하여 벽고정대(200)와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벽고정대(200)에는 제2체결라인(211)이 형성되어 있고,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의 벽고정대 안착부(251)에는 제3체결라인(255)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7)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벽고정대(200)의 경사진 측면(201)이 벽과 맞닿도록 하면, 도 3과 같이 상면이 지붕판이 놓이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은 벽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차양 고정용 브라켓(250)의 지지대(253)를 벽에 체결수단 등으로 고정시키는데, 지지대(253)에는 제3체결라인(255)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7)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지붕판(10)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상면과 벽고정대(200)의 상면에 놓이고, 지붕판(10)의 일단은 벽고정대(200)의 지붕판 삽입부(270) 내에 삽입된다.
빗물받이(4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받이(400)의 전, 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빗물받이(400)의 조립 완료후 개방된 전, 후면에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함으로써, 빗물받이(400)의 내측에 빗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빗물받이(400)의 일측면 상측에는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된 제3체결홈부(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3체결홈부(410)의 단면은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체결홈부(410)의 상면에는 제3체결라인(4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3체결라인(4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빗물받이(400)의 일측면 상에는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제2단차부(4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2단차부(4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2단차부(430)의 내측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단차부(430)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3체결부(45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체결부(45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2단차부(430)는 빗물받이(400)의 일측면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중간쯤 위치하는데 제2단차부(430)를 기준으로 제2단차부(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면(401)은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차부(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진 일측면(401)이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맞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단차부(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면(401)은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빗물받이(400)의 타측면(402, 403, 404)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받이(400)의 타측면(402, 403, 404)이 3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운데 위치한 단(403)에는 물결무늬와 같이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미관상 보기가 좋은 효과가 있다. 맨위에 위치한 단(404)에는 내측으로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성으로 연장된 연장부(405)가 형성되어 있다.
빗물받이(400)의 개방된 전, 후면에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한 다음, 체결수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단 양측 모서리와 하단 양측 모서리의 내측에는 마감캡 체결부(49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캡 체결부(490)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빗물받이(400)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조립된 상태의 확대도면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빗물받이(400)의 제3체결홈부(41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빗물받이(400)의 제3체결부(45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벽고정대(2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된다.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조립식 연결소켓(10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3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빗물받이(400)의 제3체결홈부(41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3체결홈부(410)에 제3체결라인(4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3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하측을 지지하여 기둥 또는 보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501)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디귿자 또는 역디귿자 형상의 제1홈부(510)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홈부(510)가 각각 형성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501)에는 물결무늬와 같이 요철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되면 면(501)에 요철부(502)가 형성되면, 미관상 보기가 좋은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에는 다수의 제4체결라인(52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4체결라인(520)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네 개의 모서리 내측에는 마감캡 체결부(5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캡 체결부(530)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상으로, 사각 프로파일 형상인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마감캡 체결부(53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를 사용할 수 있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양측면과 하면을 잡아주도록 마련된 몸체부(351)와, 몸체부(351)의 양측 하단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날개부(353)을 포함한다. 몸체부(351)와 날개부(353)에는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제5체결라인(35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의 몸체부(351) 내측에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수단(40)을 체결하여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의 몸체부(351) 하면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3과 같이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하면 일부분만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의 몸체부(351) 하면에 맞닿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보 역할을 할 수 있다. 보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은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에 체결수단(45)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고정구(350)의 몸체부(351) 및 날개부(353) 하면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수단(45)이 체결된다.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 역할을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둥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기둥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의 일단은 지면으로부터 기립되고, 타단은 보 역할을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둥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을 보 역할을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과 지면에 각각 고정시키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을 사용할 수 있다.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내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551)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디귿자 또는 역디귿자 형상의 제2홈부(560)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내측에는 양측면(551)에 각각 형성된 제2홈부(560)의 상, 하측이 서로 이어지도록 보강판(553)이 형성되어 있어,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사각 프로파일 형상인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네 개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에는 다수의 제5체결라인(57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5체결라인(570)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네 개의 모서리 내측에는 마감캡 체결부(58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캡 체결부(580)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상으로, 사각 프로파일 형상인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개방된 양단을 막는 마감캡(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마감캡 체결부(58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한 쌍의 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 하면(555)의 내측에는 단면이 일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수단 조립부(590)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과 보 역할을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을 고정시키고, 기둥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과 지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8 및 도 19와 같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 내측 상, 하단에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이 위치한 상태에서,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의 제1홈부(510)와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제2홈부(560)에 체결수단(50)을 체결하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과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이 고정된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상부에 위치한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체결수단 조립부(590)에 체결수단(55)를 체결하면, 체결수단(55)이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의 하면을 관통하여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과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이 고정되고, 하부에 위치한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의 체결수단 조립부(590)에 체결수단(55)를 체결하면, 체결수단(55)이 지면을 관통하여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과 지면이 고정된다. 이로써, 기둥 역할을 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a)이 보 역할을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과 지면에 각각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 21에 도시하였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마감바(6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마감바(600)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면(601)과 일측면(603)이 평평한 파이프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바(600)는 상, 하면(601, 602), 일측면(603)이 평평하고, 타측면(604)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10) 끝단이 놓일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면과 접하는 가장자리에 하부로 내려간 제3단차부(6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3단차부(610)의 하측에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체결홈부(62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4체결홈부(620)의 단면은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3단차부(610)와 제4체결홈부(620)가 합해져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체결홈부(620)의 상면에는 제6체결라인(6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6체결라인(62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측면(603)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들어간 제4단차부(6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4단차부(6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4단차부(630)의 내측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차부(630)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4체결부(64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체결부(64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의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마감바(600)의 제4체결홈부(62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마감바(600)의 제4체결부(64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마감바(6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상면에 지붕판이 놓이게 되고, 지붕판의 끝단은 마감바(600)의 제3단차부(610) 내에 놓이게 된다. 이로써, 지붕판의 상면과 마감바(600)의 상면(601)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미관상 보기좋다.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조립식 연결소켓(10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6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마감바(600)의 제4체결홈부(62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4체결홈부(620)에 제6체결라인(62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6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을 도 24에 도시하였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마감바(600)와 일자형 연결바(7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마감바(600)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자형 연결바(700)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701)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5체결홈부(7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5체결홈부(710)의 단면은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체결홈부(710)의 상면에는 제7체결라인(7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7체결라인(7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양측면(703)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5단차부(730)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5단차부(7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5단차부(730)의 내측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차부(730)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5체결부(7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체결부(74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의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마감바(600)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일자형 연결바(700)의 조립과정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일자형 연결바(700)의 제5체결홈부(71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일자형 연결바(700)의 제5체결부(74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일자형 연결바(7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상면과 일자형 연결바(700)의 상면에 지붕판(10)이 놓이게 된다.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조립식 연결소켓(10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7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일자형 연결바(700)의 제5체결홈부(71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5체결홈부(710)에 제7체결라인(7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7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을 도 27에 도시하였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일자형 연결바(700)와 수직 연결바(8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일자형 연결바(700)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 연결바(800)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파이프 형상이다.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들어간 두면 중 적어도 한면에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6체결홈부(8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으로 들어간 두면 모두 각각 제6체결홈부(8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6체결홈부(810)의 단면은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체결홈부(810)에는 제8체결라인(8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8체결라인(8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6체결홈부(810)가 형성된 면과 인접하는 면에서, 제6체결홈부(810)와 맞닿는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6단차부(8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6단차부(8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6단차부(830)의 내측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단차부(830)의 끝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제6체결부(8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체결부(85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의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일자형 연결바(700)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수직 연결바(800)의 조립과정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 연결바(800)의 제6체결홈부(81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수직 연결바(800)의 제6체결부(85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수직 연결바(8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되고,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외측으로 위치하는 면과 수직 연결바(800)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미관상 보기좋다.
체결수단(8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수직 연결바(800)의 제6체결홈부(81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6체결홈부(810)에 제8체결라인(8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8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은 도 27과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을 도 30에 도시하였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은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수직 연결바(800)와 시옷자형 연결바(900)를 포함한다.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수직 연결바(800)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시옷자형 연결바(900)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시옷자 형태인 파이프 형상이다. 즉, 가운데 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가운데 축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내측에 상,하를 서로 이어주는 보강판(909)이 형성되어 있어,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판(909)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절곡된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체결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7체결홈부(9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10)의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임에 따라 제7체결홈부(910)의 단면은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체결홈부(910)에는 제9체결라인(9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9체결라인(911)은 직결피스 등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보강판(909)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면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들어간 제7단차부(930)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가 제7단차부(93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홈부(130)가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임에 따라 제1체결홈부(13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7단차부(930)의 내측은 아래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7단차부(930)의 상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7체결부(9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7체결부(950)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홈부(130) 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의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수직 연결바(800)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조립과정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는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내측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제7체결홈부(910)에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가 안착되도록 하고,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제7체결부(950) 끝부분이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홈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연결소켓(100) 측면과 시옷자형 연결바(900) 측면 사이에는 유격없이 조립되고,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외측으로 위치하는 면과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미관상 보기좋다.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수단(90)을 체결하여 조립식 연결소켓(100)의 제1체결부(110)와 시옷자형 연결바(900)의 제7체결홈부(910)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체결부(110)에 제1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7체결홈부(910)에 제9체결라인(911)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90)의 위치를 쉽게 잡아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은 도 30과 같이 전체적으로 오각형 형상을 이룬다.
도 33 및 도 34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 중에서 방범창 프레임의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방범창 프레임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마감바(600)를 포함한다. 각 부품들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방범창 프레임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연결소켓(100)과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과 마감바(600)와 일자형 연결바(700)를 포함한다. 각 부품들의 조립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구조물 중에서 울타리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울타리 프레임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방범창 프레임과 구조가 동일하며, 양측에 지지대(1000)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연결소켓(100),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체결부(110)와 제1체결홈부(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100)을 이용하여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과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조립식 연결소켓(100), 벽고정대(200), 빗물받이(400),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300), 기둥 보 겸용 프레임(500), 기둥 보 고정 프레임(550), 마감바(600), 일자형 연결바(700), 수직 연결바(800), 시옷자형 연결바(900)는 모두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 생산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립식 연결소켓 110 : 제1체결부
130 : 제1체결홈부 200 : 벽고정대
210 : 제2체결홈부 230 : 제1단차부
250 : 제2체결부 270 : 지붕판 삽입부
300 :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400 : 빗물받이
410 : 제3체결홈부 430 : 제2단차부
450 : 제3체결부 500 : 기둥 보 겸용 프레임
510 : 제1홈부 550 : 기둥 보 고정 프레임
560 : 제2홈부 600 : 마감바
610 : 제3단차부 620 : 제4체결홈부
630 : 제4단차부 640 : 제4체결부
700 : 일자형 연결바 710 : 제5체결홈부
730 : 제5단차부 740 : 제5체결부
800 : 수직 연결바 810 : 제6체결홈부
830 : 제6단차부 850 : 제6체결부
900 : 시옷자형 연결바 910 : 제7체결홈부
930 : 제7단차부 950 : 제7체결부

Claims (12)

  1.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부는,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소켓.
  4.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홈부와 인접한 일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1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상기 사각 프로파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상기 제2체결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타측 모서리에 상부로 연장되어 지붕판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붕판 삽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벽고정대;를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내측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의 상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된 제3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제2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단차부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3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빗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이 내측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면에 지붕판이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각 프로파일 형상의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제1홈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은 상기 판재 지지용 사각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보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은 상기 어느 하나의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둥 역할을 하며,
    외면이 상기 기둥 보 겸용 프레임의 내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면의 내측에 단면이 일측으로 절개된 형태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수단 조립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기둥 보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
  8.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적어도 상면과 일측면이 평평한 파이프 형상으로, 지붕판 끝단이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가장자리에 하부로 내려간 제3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단차부의 하측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4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4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마감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5체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5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5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10.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1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각 프로파일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되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제1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연결소켓;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들어간 두면 중 적어도 한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6체결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체결홈부가 형성된 면과 인접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6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6단차부의 끝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역기역자, 니은자, 역니은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제6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사각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5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하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5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단차부의 하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인 제5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12. 제10항에 있어서,
    단면이 시옷자 형태인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1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7체결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의 상측에 내측으로 들어간 제7단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7단차부의 상측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이 상기 제1체결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인 제7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옷자형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구조물.
KR1020210051629A 2021-04-21 2021-04-21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59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29A KR102594889B1 (ko) 2021-04-21 2021-04-21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29A KR102594889B1 (ko) 2021-04-21 2021-04-21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36A true KR20220145036A (ko) 2022-10-28
KR102594889B1 KR102594889B1 (ko) 2023-10-30

Family

ID=8383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29A KR102594889B1 (ko) 2021-04-21 2021-04-21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8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24U (ja) * 1996-04-09 1996-10-18 株式会社アッド 建材断熱パネルの中仕切り壁とそのくり抜きドア
JPH1018430A (ja) * 1996-07-09 1998-01-20 Showa Alum Corp 組立建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24B2 (ja) * 1992-08-26 2000-04-10 株式会社富永製作所 貯留タンクへの混油判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24U (ja) * 1996-04-09 1996-10-18 株式会社アッド 建材断熱パネルの中仕切り壁とそのくり抜きドア
JPH1018430A (ja) * 1996-07-09 1998-01-20 Showa Alum Corp 組立建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889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6312B1 (en) Picket attachment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KR100967858B1 (ko) 조립식 기둥
JP2006249677A (ja) 屋外構造物
JP5690644B2 (ja) 簡易建物
KR20200053252A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20220145036A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102431B1 (ko) 조립식 차양
KR101429100B1 (ko) 지붕용 보드 결합 구조체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GB2358416A (en) Metal section
KR101651112B1 (ko) 차양용 몰딩
KR101819716B1 (ko) 조립식 차양
JP5354785B2 (ja) 簡易建物
KR101269488B1 (ko)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JP2559894Y2 (ja) 組立建物
KR102620147B1 (ko) 압출바를 이용하는 개선된 형태의 조립식 기둥
JP3009391U (ja) 囲い体
KR200390378Y1 (ko) 펜스
KR102584370B1 (ko) 조립식 스크린 하우스 지붕 고정구조
EP0828042A1 (fr) Système de construction modulaire de bâtiments préfabriqués, et bâtiment préfabriqué obtenu
JP3772296B2 (ja) バルコニー
JP3939897B2 (ja) 外壁化粧部材の施工方法
JP3223342B2 (ja) 採光フェンス
JP2538954Y2 (ja) 採光目隠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