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75A - 저반사재 - Google Patents

저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75A
KR20220144875A KR1020227034103A KR20227034103A KR20220144875A KR 20220144875 A KR20220144875 A KR 20220144875A KR 1020227034103 A KR1020227034103 A KR 1020227034103A KR 20227034103 A KR20227034103 A KR 20227034103A KR 20220144875 A KR20220144875 A KR 2022014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reflection
coating layer
spray coating
refle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나가하마
가즈히로 노자와
슈조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저반사재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저반사재는 바인더 수지,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재, 및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수지 입자를 적어도 함유하는, 두께 3∼100 ㎛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은 한쪽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m)가 80∼180 ㎛이며, 동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k)가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a)는 0.5∼15.0 ㎛이며, 동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z)는 3∼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저반사재
본 발명은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저감된 저반사재 등에 관한 것이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등의 각종 광학기기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을 제거하여, 헐레이션, 렌즈 플레어, 고스트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차광성이 높고 저광택의 차광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불필요한 빛을 커트하기 위한 차광판이나 차광링 등을 렌즈 사이에 개재시킨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이 각종 광학기기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일안 반사식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각종 광학기기의 셔터나 조리개부재 등에 있어서는, 외광에 의한 헐레이션이나 고스트 의 발생 등을 방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차광성이 있는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의 센싱기술의 눈부신 진보에 의해, 자동차, 열차, 기차, 전차, 선박, 화물선, 항공기, 우주기, 로켓, 수송기기, 탈것 등의 각종 이동체(이하, 「이동 비히클」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있어서는, 고도의 센싱기술의 도입이 검토되어 있다. 일례를 들면, 자차량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예를 들면 타차량, 보행자, 가드레일, 가옥 등)을 검출하기 위해, 촬상소자를 구비한 렌즈 유닛(카메라 모듈)이나 적외선 센서 등의 광학 센서를 차 실내에 설치한 자동차의 개발이 진전되어 있다.
종래, 각종 광학기기의 차광부재로서, 이 출원인은 필름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차광막을 갖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로서, 상기 차광막은 바인더 수지, 카본 블랙, 입자상의 윤활제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윤활제의 함유율이 각각 70 중량% 이상, 5∼15 중량%이며, 상기 윤활제는 밀도가 상기 미립자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12325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차광막 중에 70 중량%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2∼5 중량% 정도의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동시에, 밀도가 성긴 특정 윤활제 5∼15 중량%를 추가로 함유시킨 처방으로 하여, 양호한 차광성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처방에서는, 차광막 표면의 550 ㎚ 확산 반사율 및 905 ㎚ 확산 반사율(905 ㎚)이 모두 5% 이상으로 커서, 저반사재로서 사용하기에는 표면 반사율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60°경면 광택도가 1.8∼7.6% 정도인 광택 제거성을 실현하고 있지만, 보다 낮은 경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재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예를 들면 75도 경면 광택도나 85도 경면 광택도)에 대해서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에 의한 악영향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 때문에, 보다 고정밀도의 촬영이나 센싱 등을 행하는 데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디자인성의 관점 등으로부터, 고급감이 있는 저광택이며 딥 블랙의 디자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그것과의 조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25 이상으로, 흑색도의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저반사재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특히 저감된, 신규한 저반사재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저반사재를 사용한 고성능의 저반사부재, 특히 L*값이 낮고, 딥 블랙의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저반사부재, 광학기기용 저반사부재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반사층의 표면 형상이나 광학특성 등을 예의 검토한 결과, 바인더 수지 중에 착색재 및 수지 입자가 분산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종래에 없는 신규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신규한 표면 형상에 의해, 보다 낮은 표면 반사율 및 보다 낮은 표면 광택도가 초래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바인더 수지,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재, 및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수지 입자를 적어도 함유하는, 두께 3∼100 ㎛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은 한쪽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m)가 80∼180 ㎛이며, 동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k)가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사재.
〔2〕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0 ㎛이며,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z)가 3∼70 ㎛인 상기〔1〕에 기재된 저반사재.
〔3〕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a)가 0.8∼10.0 ㎛이며,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z)가 6∼60 ㎛인 상기〔1〕또는〔2〕에 기재된 저반사재.
〔4〕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에 대해 합계로 1∼30 질량%이고, 상기 착색재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0.1∼35 질량%이며, 상기 수지 입자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50∼95 질량%인 상기〔1〕내지〔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5〕상기 수지 입자가 착색 수지 미립자를 함유하는 상기〔1〕내지〔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6〕상기 수지 입자가 3∼2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상기〔1〕내지〔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7〕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85도 경면 광택도(JIS-Z8741:1997)가 0.0% 이상 9.0% 미만인 상기〔1〕내지〔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8〕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550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이 0.0% 이상 3.0% 미만인 상기〔1〕내지〔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9〕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905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이 0.0% 이상 3.0% 미만인 상기〔1〕내지〔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10〕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0∼18인 상기〔1〕내지〔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11〕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0.5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상기〔1〕내지〔10〕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12〕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광투과성을 갖는 상기〔1〕내지〔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13〕기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상기〔1〕내지〔1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14〕기재 필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 및 다른쪽 주면 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1〕내지〔1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반사재.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저반사재 등을 실현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광학 센서류의 촬상 화상이나 검출 정밀도의 열화 내지는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딥 블랙의 외관을 갖는 저반사재 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탑재하는 각종 광학기기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특히 저감된, 신규한 저반사재 등을 제공할 수 있어, 촬상 화상이나 검출 정밀도를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저반사재 등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각도 측에서 보더라도 표면 광택도가 작은 광택 제거 가공품을 실현할 수 있어,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한 설계의 저반사재, 이 저반사재를 사용한 고성능의 저반사부재, 특히 L*값이 낮고, 딥 블랙의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저반사부재, 광학기기용 저반사부재 등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100」이라는 수치범위의 표기는, 그 상한값 「100」 및 하한값 「1」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다른 수치범위의 표기도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저반사재(100)는 기재(11), 이 기재(11)의 한쪽 주면(11a) 측에 설치된 두께 3∼100 ㎛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및 기재(11)의 다른쪽 주면(11b) 측에 설치된 점착층(31)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기재(11) 및 점착층(31)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구조(3층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 적층구조에 있어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바깥쪽의 최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점착층(31)은 안쪽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어,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및 점착층(31)은 바깥쪽 및 안쪽의 최표면에 각각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21a)에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층이나 보호층이나 방오층이나 항균층이나 반사 방지막이나 인쇄층 등의 임의의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21a)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처리나 방오 처리나 항균 처리나 반사 방지 처리 등의 임의의 표면 처리가 행하여져 있어도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 한쪽(다른쪽) 면 측에 설치되었다」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재(11)의 표면(예를 들면 주면(11a)나 주면(11b))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이나 점착층(31)이 직접 올려놓아진 태양뿐 아니라, 기재(11)의 주면(11a)과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사이나 기재(11)의 주면(11b)과 점착층(31) 사이에 도시하지 않는 임의의 층(예를 들면 프라이머층, 접착층 등)이 개재되어,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이나 점착층(31)이 기재(11)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태양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및 점착층(31)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및 점착층(31)만이 기재(11) 상에 직접 적층된 구조뿐 아니라, 3층구조의 층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층을 추가로 설치한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재(11)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및 점착층(31)을 지지 가능한 것인 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11)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합금, 수지 성형체, 수지 필름, 부직포 및 유리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이나 합금으로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는, 기재(11)로서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합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폴리이미드;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이미드;폴리스티렌;폴리카보네이트;(메타)아크릴계;나일론계;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카레보르넨류와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노르보르넨류의 수소화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체,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3-메틸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등의 시클로올레핀계;셀룰로오스계;폴리설폰계;폴리페닐렌설피드계;폴리에테르설폰계;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의 수지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메타크릴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한 다층 성형체(다색 성형체)나 적층 필름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11)로서는,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의 기재 필름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메타)아크릴계 필름, 및 이들을 임의로 조합한 적층 필름이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일축 또는 이축연신 필름, 특히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 용도에는,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고,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재(1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11) 상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성형체인 기재(11)에, 또는 필름 형상의 기재(11)인 기재 필름에, 막 형상 또는 층 형상의 기재(11)에,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표면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형상의 기재(11)인 기재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기재(11)의 두께는 0.5 ㎛ 이상, 250 ㎛ 미만이 기준이 된다. 강도나 강성 등의 관점에서는, 기재(11)의 두께는 36 ㎛ 이상, 250 ㎛ 미만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가적인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기재(11)의 두께는 1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1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7 ㎛ 이하이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이나 점착층(31)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기재(11) 표면에 앵커 처리나 코로나 처리, 대전 방지 등의 각종 공지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재(11)의 외관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발포된 합성 수지 필름이나, 각종 안료를 함유시킨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흑색, 회색, 자색, 청색, 갈색, 적색, 녹색 등의 암색계의 안료 또는 염료를 1종 이상 함유하는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학농도가 높은 막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안료나 염료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흑색계의 안료로서는, 흑색 수지 입자,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티탄 블랙,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흑색 수지 입자, 티탄 블랙,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11)가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비율은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안료 및 염료의 합계의 함유비율은 기재(11)의 총량에 대해 0.3∼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이다.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21a) 측(본 실시형태에서는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표면(21a))의 표면 거칠기는 RSm이 80∼180 ㎛이고, Rsk가 0.5 ㎛ 미만인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특수한 표면 형상은,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으로는 실현할 수 없었던 것이거나 또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으로, 이로써 보다 작은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실현되며, 또한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특히 저감된다.
표면 거칠기(RSm)는 표면요철의 길이방향(가로방향)의 파라미터로, 기준 길이에 있어서 거칠기 곡선 요소의 길이(Xs)의 평균을 나타낸다. 이것은 즉, 표면요철의 평균 파장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면요철의 길이방향은 표면 거칠기(RSm)의 측정 시에 확정되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면내 일방향을 의미하고 있어,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직사각 형상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인 경우는 세로방향이나 면내의 가로방향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Sm)는 80∼180 ㎛로,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Sm)가 약 20∼70 ㎛인 것에 비해,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Sm)는 바람직하게는 90∼1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60 ㎛이다. 표면 거칠기(RSm)가 클수록,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아지고, 또한,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작아지는 경향에 있으며, 그 한편으로, 도막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한편으로, 표면 거칠기(Rsk)는 표면요철의 높이방향(깊이방향)의 파라미터로, 기준 길이에 있어서 거칠기 곡선의 왜도(skewness)를 나타낸다. 이것은 즉, 평균선을 중심으로 하였을 때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sk)는 0.5 ㎛ 미만으로,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sk)가 양의 값(약 3∼7 ㎛)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작은 값이거나 음의 값으로 되어 있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sk)는 0.5 ㎛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7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표면 거칠기(Rsk)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아지고, 또한,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작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표면 거칠기(Rsk 및 RSm)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표면 형상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표면요철의 길이방향의 평균 파장이 비교적 크고 또한 높이방향에 있어서 오목부보다도 볼록부가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한 표면 형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고,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특히 작은 저반사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상기 표면 거칠기(Rsk 및 RSm)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표면 형상은, 내부 확산성 및 외부 확산성을 종래기술에 비해 충분히 크게 유지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는 대응 곤란하였던 광각도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해서도 내부 확산성 및 외부 확산성이 유효하게 기능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a)(산술 평균 거칠기)는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작게 하고, 또한,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 0.5∼15.0 ㎛가 바람직하고, 0.6∼14.0 ㎛가 보다 바람직하며, 0.7∼12.0 ㎛가 더욱 바람직하고, 0.8∼10.0 ㎛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거칠기(Ra)는 당업계에서 주지와 같이, 표면요철의 높이방향의 파라미터로, 기준 길이에 있어서 거칠기 곡선의 높이 Zx의 절대값의 평균을 나타낸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a)는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a)와 같은 정도여도 되지만, 전술한 표면 거칠기(Rsk 및 RSm)를 갖는 특수한 표면 형상을 얻는 데는,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a)보다도 비교적 큰 값이 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z)(최대 높이)는,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작게 하고, 또한,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 3∼70 ㎛가 바람직하고, 4∼67 ㎛가 보다 바람직하며, 5∼65 ㎛가 더욱 바람직하고, 6∼60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z)는 당업계에서 주지와 같이, 표면요철의 높이방향의 파라미터로, 기준 길이에 있어서 거칠기 곡선의 볼록부 높이(Zp)와 오목부 깊이(Zv)의 최대값의 합을 나타낸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거칠기(Rz)는,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z)와 같은 정도여도 되지만, 전술한 표면 거칠기(Rsk 및 RSm)를 갖는 특수한 표면 형상을 얻는 데는, 종래기술의 저반사 필름이나 차광 필름의 표면 거칠기(Rz)보다도 비교적 큰 값이 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전술한 표면 거칠기(RSm, Rsk, Ra 및 Rz)는 JIS 규격(JIS B 0601-2001, 및 JIS B 0651-20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 및 산출되는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기하학 특성 사양(GPS)-표면성상:윤곽 곡선 방식-용어,정의 및 표면성상 파라미터,JIS B 0601:2001」을 토대로, 예를 들면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 1500SD2-3DF:도쿄 세이미츠사) 등의 3차원 표면 조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또한, 표면 거칠기(RSm) 등은 필요에 따라 부속의 해석 소프트웨어나 범용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측정 조건은 아래와 같다.
 측정 길이:4.0 ㎜
 컷오프 파장:0.8 ㎜
 측정속도:0.6 ㎜/s
 촉침:선단 반경 2 ㎛, 꼭지각 60°원뿔형의 단결정 다이아몬드제
전술한 특수한 표면 형상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바인더 수지와 차광재와 수지 입자와 분산매를 적어도 포함하는 도공액을 스프레이 코트법으로 제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스프레이 도공에 있어서는, 도공액의 미소한 액적이 기재(11)의 주면(11a) 상에 잇달아 부착되고, 이와 동시 진행으로 분산매의 일부가 휘발 내지는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분산매가 충분히 휘발 내지는 제거됨으로써, 도공액의 미소한 액적으로부터 분산매가 제거된 미소한 도포 입자(고형 입자)가 순차 겹쳐 쌓임으로써,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이 막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소한 도포 입자가 겹쳐 쌓이도록 하여 막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표면 형상(특정 표면 거칠기(Rsk 및 RSm))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이 비로소 얻어진다. 표면요철의 길이방향의 평균 파장이 비교적 크고 또한 높이방향에 있어서 오목부보다도 볼록부가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표면 형상은, 종래기술의 바코터법으로는 얻을 수 없다. 또한, 스프레이 코트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곡면, 경사면, 홈, 돌기 등의 평면 이외의 표면이더라도,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형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표면을 임의의 장소에 형성할 수 있다.
아래에 실례를 들어, 추가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신규한 표면 형상이 초래하는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두께 25 ㎛의 기재 필름 상에, 1∼30 질량%의 바인더 수지와, 0.1∼3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25 ㎚인 착색재와, 50∼9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4 ㎛인 수지 입자와,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0.1∼10 질량%의 경화제 및 0.001∼1 질량%의 레벨링제와, 필요량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코트법에 의해 막 형성하여 신규한 표면 형상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설치한 것(예1∼4)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비교로서, 20∼30 질량%의 바인더 수지와, 20∼4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25 ㎚인 착색재와, 30∼4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9.5 ㎛인 부정형 실리카 입자와,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0.1∼10 질량%의 경화제 및 0.001∼1 질량%의 레벨링제와, 필요량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사용하여 바코트법에 의해 막 형성하여 종래기술의 범주에 있는 표면 형상을 재현한 것(예 5∼예 7), 및, 20∼30 질량%의 바인더 수지와, 20∼4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25 ㎚인 착색재와, 30∼45 질량%의 평균 입자경(D50)이 4 ㎛인 수지 입자와,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0.1∼10 질량%의 경화제 및 0.001∼1 질량%의 레벨링제와, 필요량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사용하여 바코트법에 의해 막 형성하여 종래기술의 범주에 있는 표면 형상을 재현한 것(예 8)을 예로 든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1∼예 8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당업계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있는 표면 거칠기(Ra)(0.5∼15.0 ㎛) 및 표면 거칠기(Rz)(3∼70 ㎛)를 충족시키는, 광학농도(OD)가 0.5 이상인 도막이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표면 거칠기(RSm)가 80∼180 ㎛ 및 표면 거칠기(Rsk)가 0.5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예 1∼예 4는, 이러한 특정 표면 형상을 갖지 않는 예 5∼예 8에 비해, 표면 반사율이나 표면 광택도에 있어서 확실히 윗도는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러한 특정 표면 형상을 갖는 예 1∼예 4에서는, 광각도 측의 85°표면 광택도가 특히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특필해야 할 점이다. 한편, 이러한 특정 표면 형상을 갖지 않는 예 5∼예 8에 있어서는, 표면 반사율이나 표면 광택도가 종래기술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표면 반사율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550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은 3.0% 미만이 바람직하고, 2.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1.8%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 550 ㎚ 확산 반사율의 하한 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따라서 0.0% 이상이면 된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905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은 3.0% 미만이 바람직하고, 2.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1.8%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 905 ㎚ 확산 반사율의 하한 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따라서 0.0% 이상이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550 ㎚ 확산 반사율이나 905 ㎚ 확산 반사율은, 분광광도계(예를 들면 SolidSpec-3700(시마즈 제작소사 제조))를 사용하여, 각각의 파장의 빛을 입사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확산 반사율(%)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550 ㎚ 확산 반사율이나 905 ㎚ 확산 반사율은, 표면 거칠기(RSm)나 표면 거칠기(Rsk)를 증감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표면 거칠기(RSm)가 클수록, 또한, 표면 거칠기(Rsk)의 마이너스의 값이 작을수록, 550 ㎚ 확산 반사율이나 905 ㎚ 확산 반사율이 작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표면 광택도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각도 영역의 경면 광택을 작게 하여, 보다 높은 광택 제거성 및 낮은 광택성 등을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85도 경면 광택도(JIS-Z8741:1997)는 0.0% 이상 10.0% 미만이 바람직하고, 0.0% 이상 9.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0.0% 이상 8.0%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0.0% 이상 6.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동일하게,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75도 경면 광택도(JIS-Z8741:1997)는 0.0% 이상 5.0% 미만이 바람직하고, 0.0% 이상 4.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0.0% 이상 4.0%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0.0% 이상 3.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하게,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60도 경면 광택도(JIS-Z8741:1997)는 0.0% 이상 1.0% 미만이 바람직하고, 0.0% 이상 0.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0.0% 이상 0.3%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0.0% 이상 0.2%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저각도 영역에서 광각도 영역까지 폭넓은 저광택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또한, 저광택, 저반사성, 광흡수성 등의 균형의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경면 광택도는 20°경면 광택도, 45°경면 광택도, 60°경면 광택도, 75°경면 광택도, 및 85°경면 광택도의 합계가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면 광택도는 JIS-Z8741:1997에 준거하여, 디지털 변각 광택계(Gloss Meter VG7000:닛폰 덴쇼쿠사)를 사용하여, 각각 규정의 입사 수광각(20°, 45°, 60°, 75°, 85°)에 있어서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광택도(경면 광택도)(%)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은,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딥 블랙의 외관을 요구하는 관점에서, 또한, 저광택, 저반사성, 광흡수성 등의 균형의 관점에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표면(21a) 측의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은 0∼18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은 JIS Z 8720:2012에 준거하여,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하고, 분광 측색계(예를 들면 ZE6000(닛폰 덴쇼쿠사 제조))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차광성은,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높은 차광성을 구비하는 관점에서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0.5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농도(OD)는 ISO 5-2에 준거하여, 광학농도계(X-Rite361T:엑스라이트사) 및 오르토 필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광투과성(투광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광투과성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채용함으로써, 조광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나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점등 시 빛을,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투과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조도로 목적하는 문자, 도형, 모양 등을 표시 가능해지기 때문에, 표시체, 표시 패널, 또는 조명 패널 등의 저반사부재로서 적용가치가 증대한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광투과성은,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높은 광투과성을 구비하는 관점에서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2.0 미만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7 미만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미만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미만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는, 특정 표면 형상을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구비함으로써,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저반사재로서 기능하고,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광각도 측의 경면 광택도가 특히 저감된 신규한 저반사재로서 기능하여, 예를 들면 L*값이 낮고, 딥 블랙의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저반사부재나 광학기기용 저반사부재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저반사재(100)를 저반사부재는 그대로 또는 이 저반사부재와 차광부재를 조합시켜서, 저반사 차광부재 또는 광학기기용 저반사 차광부재 등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학 센서류의 촬상 화상이나 검출 정밀도의 열화 내지는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도공액을 스프레이 코트함으로써 얻어지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스프레이 코트층)은, 바인더 수지, 이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재, 및 이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수지 입자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색재로서 카본 블랙이나 아닐린 블랙 등의 흑색의 안료 입자가 사용되고 있고, 수지 입자로서 흑색의 착색 유기 수지 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아래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중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총량)은 막 형성에 필요한 정도로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을 고려하여,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총량)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2∼2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3∼20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5∼15 질량%이다. 또한, 착색재나 수지 입자가 바인더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바인더 수지 성분도, 여기에서 말하는 함유비율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의 합계량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착색재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안료나 염료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착색재의 종류, 입자 사이즈, 사용량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차광성이나 광투과성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착색재로서는, 차광성, 광투과성, 색조 등의 조정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흑색의 무기안료, 흑색의 유기안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착색재로서는 무기안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다. 카본 블랙으로서는, 오일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채널 블랙, 가스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케첸 블랙 등, 각종 공지의 제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착색재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본 블랙의 역사는 길어, 예를 들면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 미쿠니 색소 주식회사, 레지노 컬러 공업주식회사, Cabot사, DEGUSSA사 등으로부터, 각종 그레이드의 카본 블랙 단체 및 카본 블랙 분산액이 시판되고 있어, 요구 성능이나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착색재의 입자 사이즈는 사용하는 착색재의 종류나, 목적으로 하는 차광성이나 광투과성, 저광택성 등의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착색재가 카본 블랙인 경우, 평균 입자경(D50)은 0.0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5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D50)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제작소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부피 기준의 메디안 직경(D50)을 의미한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중 착색재의 함유량(총량)은, 목적으로 하는 차광성이나 광투과성, 저광택성 등의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을 고려하여,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착색재의 함유량(총량)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0.1∼35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1∼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3∼20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5∼15 질량%이다. 또한, 수지 입자로서 착색된 수지 입자를 사용한 경우의 착색재의 함유량은, 전술한 착색재의 질량과 수지 입자에 포함되는 착색재의 질량의 합계(조성물 중 착색재 총량)로 한다.
수지 입자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고무계 등의 수지 입자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 입자의 외관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지 입자는 무색이어도 되지만,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흑색, 회색, 자색, 청색, 갈색, 적색, 녹색 등으로 착색된 수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재의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도 광학농도나 색채도가 높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부여하기 위해, 수지 입자는 비교적 조대한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D50)은 하한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또한, 도공 시에 있어서 수지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거나, 또는, 가령 수지 입자가 응집된 경우라도 응집물의 입자경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을 정도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생산성이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중 수지 입자의 함유량(총량)은 차광성이나 저광택성 등의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을 고려하여,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수지 입자의 함유량(총량)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50∼9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55∼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60∼85 질량%이다. 또한, 수지 입자로서 착색된 수지 입자를 사용한 경우의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입자에 포함되는 착색재를 포함하는 수지 입자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색조를 컨트롤하기 위해, 전술한 착색재 이외의, 공지의 색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색재로서는, 디아릴메탄계;트리아릴메탄계;티아졸계;메로시아닌, 피라졸론메틴 등의 메틴계;인도아닐린,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크산텐계;옥사진계;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메틸렌계;티아진계;아진계;아크리딘계;벤젠아조계;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스피로피란계;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플루오란계;나프토퀴논계;안트라퀴논계;퀴노프탈론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흑색계, 청색계, 녹색계, 황색계, 적색계의 공지의 색재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색재를 사용하는 경우, 색재의 함유량(총량)은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을 고려하여,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0.1∼1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0.5∼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1∼3 질량%이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표면 광택도나 색조를 조정하기 위해, 공지의 매트제(광택 제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올린, 소성 카올린, 소성 클레이, 미소성 클레이, 실리카(예를 들면 천연 실리카, 용융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중공 실리카, 습식 실리카, 합성 실리카, 아에로질 등), 알루미늄 화합물(예를 들면 베마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하이드로탈사이트, 붕산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등), 마그네슘 화합물(예를 들면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 칼슘 화합물(예를 들면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황산칼슘, 아황산칼슘, 붕산칼슘 등), 몰리브덴 화합물(예를 들면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아연 등), 탈크(예를 들면 천연 탈크, 소성 탈크 등), 마이카(운모),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붕산나트륨, 질화붕소, 응집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탄소,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주석산아연 등의 주석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트제를 사용하는 경우, 매트제의 함유량(총량)은 요구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을 고려하여, 보다 우수한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를 갖는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0.1∼1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0.5∼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1∼3 질량%이다.
또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은 당업계에서 공지의 각종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윤활제, 도전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수지 경화제, 경화제, 경화 촉진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윤활제로서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윤활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윤활제;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의 에스테르계 윤활제;알코올계 윤활제;금속비누, 활석,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제;실리콘계 수지 입자;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 왁스,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기계 윤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의 증감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함유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일반적으로는 각각 0.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높은 광학농도, 경량화 및 박막화의 균형의 관점에서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상한 측은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프레이 코트법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미소한 도료 입자가 겹쳐 쌓이도록 하여 막 형성하는 도막 형성 원리를 채용하고 있는 도공방법(즉, 미소한 액적을 스프레이하는 도공방법)의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어, 에어 스프레이법, 에어리스 스프레이법, 초음파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정전 분무법), 잉크젯법, 정전 잉크젯법 등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 가능한 분산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물;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계 용제;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재(11)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기재(11) 표면에 앵커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의 각종 공지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재(11) 상에 접착층 등의 중간층을 사전에 설치해두고, 이 중간층 상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막한 후에, 필요에 따라 전리방사선 처리, 열처리 및/또는 가압 처리 등 하여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형성해도 된다.
점착층(31)은 전술한 기재(11)의 주면(11b) 측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는 피착품과 점착 접합하는 층이다. 이와 같이 점착층(31) 측을 피착품에 점착 접합함으로써, 피착품에 저반사율이며 또한 저광택의 표면을 부여할 수 있다. 점착층(31)을 구성하는 소재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피착품의 표면소재(수지 성형체, 이 수지 성형체를 사용한 다층 적층체, 부직포, 및 표피재 등, 금속, 합금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올레핀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층(3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량화 및 박막화의 균형의 관점에서는,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며, 상한 측은 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저반사재(100) 전체의 광학농도(OD)는 차광부재로서의 높은 차광성을 구비하는 관점에서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또한, 광학농도(OD)의 상한값은 말할 것까지도 없으나 6.0이다. 이러한 저반사재(100)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농도(OD)가 높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채용함으로써, 및/또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기재(11)(차광성 기재)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학농도(OD)가 높은 다른 차광층 또는 차광 필름과 저반사재(100)를 조합시킴으로써, 높은 차광성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광투과성을 구비시키는 관점에서는, 저반사재(100) 전체의 광학농도(OD)는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또한, 광학농도(OD)의 하한값은 말할 것까지도 없으나 0이다. 이러한 저반사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농도(OD)가 낮은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채용하거나, 예를 들면 광투과성이 높은 기재(11)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1) 상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설치한 적층구조의 저반사재(100)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기재(11)나 점착층(31)을 생략한 태양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기재(11)를 박리시켜서,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구조의 저반사재 등으로서 실시 가능하다. 또한 동일하게, 점착층(31)을 설치하지 않고, 기재(11) 상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설치한 2층 적층구조의 저반사재 등으로서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1) 상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1층만 설치한 태양을 나타내었으나, 기재(11)의 한쪽 주면(11a) 측 및 다른쪽 주면(11b) 측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각각 설치한 태양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형상의 기재(11)의 주면(11a)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적용하는 대상물은, 전술한 기재(11)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렌즈 받침대 마운트, 배럴 등의 각종 광학기기의 표면(예를 들면, 개구단면, 외주면, 내주면 등)이나, 차광판, 차광링, 셔터, 조리개부재 등의 차광부재의 표면(예를 들면 표면, 이면, 외주단면, 내주단면 등)에,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21)을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이들 표면이 금속 또는 합금 또는 수지 성형체 또는 다색 성형체 또는 유리 등인 것을 불문하고, 표면 반사율 및 표면 광택도가 작은 표면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L*값이 낮고, 딥 블랙의 디자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반사율 및 저광택도의 표면이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면 정밀기계 분야, 반도체 분야, 광학기기 분야 등에 있어서, 또는 차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에 있어서, 고성능의 저반사재로서 넓고 또한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특히, 고성능 일안 반사식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정보단말, 프로젝터 등의 각종 광학기기의 저반사 차광부재(예를 들면 차광판이나 차광링 등)나 저반사 차광성 슬라이딩부재(예를 들면 셔터나 조리개부재 등)로서, 특히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100 ···저반사재
 11 ···기재
 11a ···면(주면)
 11b ···면(주면)
 21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
 21a ···표면
 31 ···점착층

Claims (14)

  1. 바인더 수지,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재, 및 상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수지 입자를 적어도 함유하는, 두께 3∼100 ㎛의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은 한쪽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m)이 80∼180 ㎛이며, 동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sk)가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사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a)가 0.5∼15.0 ㎛이며,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z)가 3∼70 ㎛인
    저반사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a)가 0.8∼10.0 ㎛이며,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표면 거칠기(Rz)가 6∼60 ㎛인
    저반사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에 대해 합계로 1∼30 질량%이고,
    상기 착색재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0.1∼35 질량%이며,
    상기 수지 입자의 함유비율이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총량에 대해 합계로 50∼95 질량%인
    저반사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입자가 착색 수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저반사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입자가 3∼2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저반사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85도 경면 광택도(JIS-Z8741:1997)가 0.0% 이상 9.0% 미만인
    저반사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550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이 0.0% 이상 3.0% 미만인
    저반사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905 ㎚ 확산 반사율(정반사를 포함)이 0.0% 이상 3.0% 미만인
    저반사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의 상기 표면 측의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0∼18인
    저반사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0.5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저반사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광투과성을 갖는
    저반사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저반사재.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저반사 스프레이 코트층이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 및 다른쪽 주면 측에 각각 설치된
    저반사재.
KR1020227034103A 2020-03-06 2021-02-09 저반사재 KR20220144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8589A JP7442345B2 (ja) 2020-03-06 2020-03-06 低反射材
JPJP-P-2020-038589 2020-03-06
PCT/JP2021/004697 WO2021176966A1 (ja) 2020-03-06 2021-02-09 低反射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75A true KR20220144875A (ko) 2022-10-27

Family

ID=7761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103A KR20220144875A (ko) 2020-03-06 2021-02-09 저반사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42345B2 (ko)
KR (1) KR20220144875A (ko)
CN (1) CN114930201A (ko)
TW (1) TW202146942A (ko)
WO (1) WO2021176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238B (en) * 2017-10-09 2020-01-08 Surrey Nanosystems Ltd Paint with low light reflectivity
JP2023049690A (ja) * 2021-09-29 2023-04-10 ソマール株式会社 塗料用水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KR102567450B1 (ko) * 2021-10-18 2023-08-16 티에스엠카본 주식회사 차광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255A (ja) 2009-12-10 2011-06-23 Kimoto & Co Ltd 光学機器用遮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811B2 (ja) * 1997-03-27 2005-11-24 ソマール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288732A (ja) * 2008-06-02 2009-12-10 Asahi Kasei Corp 防眩フィルム
JP5493623B2 (ja) * 2009-09-15 2014-05-14 株式会社ニコン 光学系部品
JP5655387B2 (ja) * 2010-06-15 2015-01-21 株式会社ニコン 光学部品
JP5948763B2 (ja) * 2011-08-29 2016-07-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018068A (ja) * 2014-07-08 2016-02-01 旭硝子株式会社 防眩膜付き基材および物品
KR102195942B1 (ko) * 2016-09-16 2020-12-29 소마 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장치용 차광 부재
JP7119417B2 (ja) * 2018-02-22 2022-08-17 Agc株式会社 透光性構造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255A (ja) 2009-12-10 2011-06-23 Kimoto & Co Ltd 光学機器用遮光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6966A1 (ja) 2021-09-10
TW202146942A (zh) 2021-12-16
CN114930201A (zh) 2022-08-19
JP2021140060A (ja) 2021-09-16
JP7442345B2 (ja)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4875A (ko) 저반사재
KR20220144872A (ko) 저반사 차광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저반사 차광층 및 저반사 차광층 적층체
TWI828872B (zh) 低反射膜,及使用此之光學感測套組,以及低反射成形體
CN1202429C (zh) 色移薄膜色素
US6963447B2 (en) Light diffusing agent, light diffusing sheet, and nonglare sheet
JP5939257B2 (ja) 近赤外遮蔽フィルムおよび近赤外遮蔽体
JP6330743B2 (ja) 積層塗膜及び塗装物
WO2013065679A1 (ja) 光学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反射体
TW201602642A (zh) 光學機器用遮光材及其製造方法
CN104969093A (zh) 防反射膜及其制造方法
JP4962768B2 (ja) 光拡散シート
TW201901193A (zh) 層積遮光薄膜,以及使用其的光學機器用遮光環,透鏡單元及攝影機模組
TW202348443A (zh) 光學機器用遮光薄膜及光學機器用層積遮光薄膜、以及使用其的光學機器用遮光環、光學機器用光圈構件、光學機器用快門構件、透鏡單元及攝影機模組
JP2012126037A (ja) 熱線遮断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WO2017146150A1 (ja) 積層塗膜及び塗装物
JP6787336B2 (ja) 光学反射フィルムおよび光学反射体
TW201841042A (zh) 層積遮光薄膜、以及使用其的光學機器用遮光環、透鏡單元及攝影機模組
CN107076889A (zh) 反射膜
EP3578613A2 (en) Article including film, optical apparatus, co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rticle
JP2008299136A (ja) Ndフィルター
WO2016158550A1 (ja) 表示部材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9240003A1 (ja) 光学特性制御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2252107A (ja) 赤外遮蔽フィルム、赤外遮蔽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赤外遮蔽体
WO2016104295A1 (ja) 赤外遮蔽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赤外遮蔽体
WO2013099877A1 (ja) 赤外遮蔽フィルム、赤外遮蔽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赤外遮蔽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