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74A -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74A
KR20220144874A KR1020227033954A KR20227033954A KR20220144874A KR 20220144874 A KR20220144874 A KR 20220144874A KR 1020227033954 A KR1020227033954 A KR 1020227033954A KR 20227033954 A KR20227033954 A KR 20227033954A KR 20220144874 A KR20220144874 A KR 2022014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load
generator
electric pow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사이토
히데카즈 야마시타
준 사사하라
고이치로 야노
요스케 기타우치
미즈히코 다나카
마사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28Regulating systems responsive to plant or ambient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r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02C3/055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the compressor being of the positive-displacemen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1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lant
    • F02C3/16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lant the combustion chambers being formed at least partly in the turbine rotor or in an other rotating part of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46Emergency fuel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0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D2270/05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affect the output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4Spool rotatio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제어 장치는,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로서,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부하값 취득부와,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발전기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지령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4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20-066463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 문헌 1에는, 전력 계통 사고에 의한 발전소 내 단독 운전의 발생 시에, 소(所) 내 부하량에 따른 발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발전소 내의 터빈의 운전 제한 내에 부하량을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8-259366호 공보
공장 등의 소(所) 내로의 전력 공급과 외부 전력 계통으로의 수전·송전을 행하는 소 내 발전 설비소에서는, 외부 전력 계통의 차단에 의해 소 내의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가 변동하여, 해당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시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 주파수를 안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 후에 발전기에 걸리는 소 내 부하에 근거하여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정이 행해져도, 차단되는 외부 전력 계통의 부하가 소 내 부하에 비해 큰 경우, 관성에 의해 주파수가 크게 변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로서,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부하값 취득부와,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발전기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지령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은,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발전기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프로그램은,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의 컴퓨터로 하여금,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발전기가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을 실행하게 한다.
상기 태양 중 적어도 1개의 태양에 의하면,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시스템(1)은, 소 내 전력 계통(10)과, 외부 전력 계통(20)과,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전력 계통이란, 발전기가 출력한 전력을 수전 설비에 공급하기 위한 발전과, 송전·수전을 통합한 시스템을 말한다.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력 계통(20)에 걸리는 부하가 차단된 경우, 소 내 전력 계통(10)에 걸리는 부하와 바이어스를 연산한 값에 따른 연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소 내 전력 계통(10)이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부하란, 설비 등이 소비하는 전력을 말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에 걸리는 부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되는 것에 의해 변동하는 부하를 상실 부하라고도 한다.
소 내 전력 계통(10)은, 발전기(500)를 구비하는 공장 설비소에 있어서 발전하여, 소 내 설비(600)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 외부 전력 계통(20)으로부터 수전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은, 소 내 전력 계통(10)으로부터 전력을 받아들이고 또, 소 내 전력 계통(10)으로의 전력을 공급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은 전선 등에 의해 소 내 전력 계통(10)과 접속한다.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와 바이어스를 연산한 값에 근거하여 발전기(500)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소 내 전력 계통의 구성)
이하, 소 내 전력 계통(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소 내 전력 계통(10)은, 가스 터빈(30)과, 발전기(500)와, 소 내 설비(600)를 구비한다.
가스 터빈(30)은, IGV(Inlet Guide Vane)(31)와, 압축기(32)와, 연소기(33)와, 터빈(34)과, 로터(35)와, 연료 밸브(36)를 구비한다.
IGV(31)는, 압축기(32)의 입구 측에 마련되고, 압축기(32)에 유입하는 공기 유량을 조정한다.
압축기(32)는, 유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연소기(33)는, 압축기(32)에 의해 압축된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고온의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연료의 예로서는, 경유와, 등유와, 천연 가스와, 수소와, 고로(高爐)의 부생(byproduct) 가스와, 석탄 가스화 가스를 들 수 있다.
터빈(34)은, 연소 가스에 의해 로터(35)를 회전하여 발전기(500)를 구동한다.
로터(35)는, 터빈(34)과 발전기(500)를 접속하여, 터빈(34)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터빈(34)이 생성한 동력을 발전기(500)에 전하여 구동시킨다.
연료 밸브(36)는,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유량을 조정한다.
연소기(33)는, 연료 밸브(36)를 통하여 공급된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연료 밸브(36)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아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이다.
발전기(500)는, 가스 터빈(30)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발전기(500)는, 소 내 설비(600A)와 소 내 설비(600B), 및 가스 터빈(30)과, 외부 전력 계통(20)을 접속한다.
소 내 설비(600)는, 소 내 전력 계통(10)이 존재하는 공장 설비소에 있어서, 발전기(500)가 출력한 전력의 공급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 설비이다.
소 내 전력 계통(10)에 있어서 전력을 출력하는 설비는 발전기(500)이다. 소 내 전력 계통(10)에 있어서, 전력을 소비하는 설비는 소 내 설비(600A)와, 소 내 설비(600B)이다. 소 내 설비(600A)의 부하를 부하 L1이라고 한다. 소 내 설비(600B)의 부하를 부하 L2이라고 한다.
(외부 전력 계통)
외부 전력 계통(20)은, 소 내 전력 계통(10)의 발전기(500)가 출력한 전력의 공급을 받아 부하 L3의 전력을 소비하는 설비와, 소 내 전력 계통(10)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계통이다.
(제어 장치의 구성)
이하, 제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제어 장치(100)는, 회전수 취득부(110)와, 판정부(120)와, 부하값 취득부(130)와, 연산부(140)와, 지령부(150)를 구비한다.
회전수 취득부(110)는, 가스 터빈(30)이 구비하는 터빈(34)의 회전수를 취득한다.
판정부(12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120)는, 소 내 전력 계통(10)과 외부 전력 계통(20) 사이에 마련된 차단기(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차단기로부터 차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판정부(120)는, 차단기로부터 차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고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부하값 취득부(130)는, 판정부(120)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부하값을 취득한다. 부하값이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이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값과, 소 내 전력 계통(10)의 부하의 값을 가산한 값이 된다. 즉,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은, 부하 L1과 부하 L2와 부하 L3을 가산한 값이다.
한편,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은, 소 내 전력 계통(10)의 부하의 값이 된다. 즉,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은, 부하 L1과 L2를 가산한 값이 된다. 이하에 있어서, 부하 L1과 부하 L2를 가산한 값을 소 내 부하라고 칭한다.
부하값 취득부(130)는, 소 내 설비(600A)와 소 내 설비(600B)를 접속하여, 부하 L1의 값과 부하 L2의 값을 받아들인다. 그 후, 부하값 취득부(130)는, 부하 L1의 값과 부하 L2의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 부하값을 취득한다. 즉, 부하값의 값은 소 내 부하와 같은 값이 된다.
연산부(140)는, 부하값 취득부(130)가 취득한 부하값과 미리 설정된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조정값이란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을 말한다. 바이어스의 예로서는 음의 실수를 들 수 있다. 즉, 연산부(140)에 의해 소 내 부하의 값보다 낮은 값인 조정값이 산출된다.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의 값이 나타내는 전력보다 낮다. 연산부(140)에 의한 부하값과 바이어스의 연산의 예로서는,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가산하여 얻어지는 값과,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승산한 값을 들 수 있다.
지령부(15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하여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상기 일정 범위의 예로서는, 49.5Hz 이상 또한 50.5Hz 이하를 들 수 있다.
이하, 지령부(15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령부(15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회전수 취득부(110)가 취득한 터빈(34)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지령부(150)는, 회전수 취득부(110)가 취득한 터빈(34)의 회전수가 일정 범위를 넘는 경우, 연료의 양을 줄이는 취지의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연료 밸브(36)가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터빈(34)의 회전수는 낮아진다. 즉, 지령부(150)는 터빈(34)의 회전수가 일정 범위를 넘은 경우, 회전수를 일정 범위로 할 수 있다.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는, 터빈(34)의 회전수에 의해 변동한다. 그 때문에, 지령부(150)의 동작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일정 범위로 할 수 있다.
지령부(150)는, 회전수 취득부(110)가 취득한 터빈(34)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연료의 양을 늘리는 취지의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연료 밸브(36)가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은 많아진다. 그 때문에, 터빈(34)의 회전수는 높아진다. 즉, 지령부(150)는, 터빈(34)의 회전수가 일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회전수를 일정 범위로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지령부(150)의 동작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일정 범위로 할 수 있다.
또, 지령부(15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하여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이하에 있어서, 지령부(150)가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경우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판정부(12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 후, 부하값 취득부(130)는 부하값을 취득한다. 연산부(140)는, 부하값 취득부(130)가 취득한 부하값과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지령부(150)는, 발전기(500)가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하여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와 부하 L3의 값을 가산한 값에 상당한다. 한편,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연료 밸브(36)는, 지령부(150)로부터 제 1 신호를 연료 지령값으로서 받아들여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에 상당하게 된다.
도 3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의 종축은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를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의 횡축은 시각을 나타낸다. 도 3의 시각 C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시각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시각 C로부터 낮아진다. 시각 C의 전에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소 내 부하와 부하 L3의 값을 가산한 값이다. 한편, 시각 C에 있어서 부하 L3이 차단되면 상실 부하가 발생하여,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낮아진다. 즉, 시각 C의 후에 있어서,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소 내 부하의 값이 된다.
도 4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연료 밸브(36)는 연료 지령값에 의해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의 종축은 연료 밸브(36)에 의해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낸다. 도 4의 그래프의 횡축은 시각을 나타낸다. 도 4의 그래프의 실선은 제어 시스템(1)의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낸다. 도 4의 그래프의 점선은 제어 시스템(1) 이외의 시스템(이하, 다른 시스템이라고 칭한다)에 의해 연료의 양을 조정한 경우, 다른 시스템의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낸다. 다른 시스템은, 조정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1)과 달리, 부하값에 근거하여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다른 시스템과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설명의 연료의 양의 조정 이외에 관련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C에 있어서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상실 부하의 분량만큼 낮아진다. 그 때문에, 부하값 취득부(130)는 소 내 부하의 값을 부하값으로서 취득한다. 연산부(140)는 취득한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지령부(150)는 조정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는 연료 지령값으로서 받아들여,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줄인다.
다른 시스템의 연료 밸브도, 시각 C에 있어서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줄인다. 그러나, 조정값이 아니라 부하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다른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1)보다 많은 연료의 양을 시각 C 이후에 연소기에 공급한다. 제어 시스템(1)은 조정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연소기(33)에 공급하기 때문에, 부하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다른 시스템보다, 바이어스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적은 연료를 연소기(33)에 공급하게 된다.
시각 C 이후, 제어 시스템(1)의 지령부(15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조정값으로부터 부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경시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신호인 제 2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신호를 연료 지령값으로서 받아들인 연료 밸브(36)는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즉, 바이어스에 상당하는 연료의 분량이 서서히 제로가 된다.
마찬가지로, 시각 C 이후, 다른 시스템의 지령부도,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연료 밸브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신호를 받아들인 연료 밸브는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시각 C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의 연료 밸브(36)와, 다른 시스템의 연료 밸브가 공급하는 연료의 양은 상위하다. 그러나, 시각 C 이후에 있어서의 소 내 부하는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1)의 연료 밸브(36), 다른 시스템의 연료 밸브가 공급하는 연료의 양은 동일하게 된다.
도 5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의 종축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의 횡축은 시각을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의 실선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의 점선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을 나타낸다.
시각 C 이전에 있어서,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의 값에 부하 L3의 값을 가산한 값에 상당한다. 한편, 시각 C에 있어서 상실 부하의 분량의 부하가 차단되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조정값에 상당하게 된다.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지령부(150)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에 상당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시각 C 이후에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에 상당한다. 즉,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시각 C 이후에 출력하는 전력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시각 C 이후에 출력하는 전력보다 바이어스에 상당하는 만큼 많다.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은 동일하게 된다.
도 6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의 종축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의 횡축은 시각을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의 실선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의 점선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시각 C 이전에 있어서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는, 지령부(150)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일정 범위로 유지된다. 시각 C의 직후,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는 일시적으로 커진다.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C로부터 상실 부하만큼 낮아지지만,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낮아진다. 그 때문에, 시각 C의 직후,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에 잉여분이 발생하고, 해당 잉여분에 의한 관성 등에 의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는 일시적으로 커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의 경과까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보다 낮다. 이것에 의해,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의 경과까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보다 적다. 그 때문에, 시각 C로부터 일정 시간의 경과까지,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은, 다른 시스템의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보다 작다. 즉,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가 차단된 경우, 제어 시스템(1)은 다른 시스템에 비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도 7은, 제어 시스템(1)의 제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어 시스템(1)이 통상 운전의 경우, 제어 시스템(1)은 터빈(34)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연료 지령을 발령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조정한다.
한편,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시스템(1)은, 소 내 부하와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연료 지령을 발령한다.
(제어 시스템의 동작)
이하,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가 차단된 경우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가 차단된 경우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가 차단된다. 그 후, 판정부(120)는 차단기로부터 차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여,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1).
부하값 취득부(130)는 소 내 설비(600A)와 소 내 설비(600B)로부터 부하값을 취득한다(스텝 S2). 즉, 부하값 취득부(13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을 취득하는 것에 의해 부하값을 취득한다.
연산부(140)는, 스텝 S2에서 부하값 취득부(130)가 취득한 부하값과, 미리 설정된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스텝 S3).
지령부(150)는, 스텝 S3에서 산출된 조정값에 근거하여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출력한다(스텝 S4).
스텝 S4의 신호를 받아들인 연료 밸브(36)는,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스텝 S5). 즉, 연료 밸브(36)는 스텝 S4에서 출력된 신호를 연료 지령값으로서 받아들여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줄인다.
스텝 S5에 있어서 연소기(33)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이 적었기 때문에,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낮아진다(스텝 S6). 스텝 S6에 의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은 소 내 부하로부터 바이어스를 감산한 값에 상당하게 된다.
지령부(15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소 내 부하에 상당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7). 이것에 의해, 스텝 S6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부하값에 상당하게 된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30)에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 장치(100)의 지령부(150)는, 발전기(500)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대해서 출력하는 것에 의해, 연소기(33)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변형예)
지령부(150)는 제 1 신호를 출력한 후, 발전기(500)가 부하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도록 복수 회의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해도 좋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발전기(500)가 담당하는 단독 운전 계통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령부(150)는 시각 C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송신한 후, 3회의 신호를, 시각 T1과 시각 T2와 시각 T3에 출력하여 발전기(500)가 담당하는 단독 운전 계통의 주파수는 단계적으로 조정해도 좋다.
(작용·효과)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30)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30)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100)로서,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부하값 취득부(130)와,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140)와, 발전기(500)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지령부(150)를 구비한다.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지령부(150)는 제 1 신호를 출력한 후,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조정값으로부터 부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경시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신호인 제 2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전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줄일 수가 있다.
또, 제어 장치(100)의 부하값 취득부(13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이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해 감소한 발전기(500)의 부하의 값과, 바이어스가 비례하도록 바이어스를 산출한다. 제어 시스템(1)은, 산출된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조정값을 연산하여, 발전기(500)가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 1 신호를 연료 밸브(36)에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제어 장치(100)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제어 장치(100)의 구성에 더해, 바이어스 산출부(16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해 감소한 발전기(500)의 부하의 값(이하, 감소값이라고 칭한다)과 바이어스가 비례하도록, 바이어스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제어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는다)가 기억하고 있는 부하 L1과 부하 L2와 부하 L3을 가산한 값으로부터, 부하값을 감산하는 것에 의해, 감소값을 구한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값은 부하 L3과 같은 값이다. 그 후,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구해진 감소값에, 미리 설정된 계수를 승산하는 것에 의해, 바이어스를 산출한다. 상기 계수의 예로서는, 1 이상의 실수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바이어스 산출부(160)가 산출한 바이어스는, 감소값과 비례하게 된다.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승산 이외의 연산에 의해 바이어스를 산출해도 좋다.
(제어 시스템의 동작)
이하,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 스텝 S2까지, 및, 스텝 S3에서 스텝 S9까지에 있어서의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스텝 S1에서 스텝 S2까지, 및, 스텝 S3에서 스텝 S9까지에 있어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스텝 S2에서 특정된 부하값과,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부하 L1과 부하 L2와 부하 L3을 가산한 값에 근거하여 감소값을 구한다. 또, 바이어스 산출부(160)는, 구해진 감소값에 미리 설정된 계수를 승산하는 것에 의해 바이어스를 산출한다(스텝 S21).
스텝 S3에 있어서 연산부(140)가 조정값을 산출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바이어스는, 스텝 S21에서 산출된 바이어스이다.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값에 근거하여 산출된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또, 제어 시스템(1)은 발전기(500)가 산출하는 전력이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연료 밸브(36)에 제 1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의 값에 따라,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가 있어, 보다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작용·효과)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차단에 의해 감소한 발전기(500)의 부하의 값과 바이어스가 비례하도록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바이어스 산출부(160)를 구비하고, 연산부(140)는, 부하값과 산출된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값에 근거하여 산출된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또,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산출하는 전력이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연료 밸브(36)에 제 1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의 값에 따라,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가 있어, 보다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와, 가스 터빈(30) 중 적어도 1개에 따른 운전 조건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산출해도 좋다. 운전 조건의 예로서는, 대기 온도와, 발전기(500)의 온도와, 가스 터빈(30)의 온도와, 연료 발열량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의 온도와, 가스 터빈의 주변의 대기 온도와, 연료의 발열량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1 보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운전 조건에 적합한 조정값에 근거하여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가 있어,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32)의 서지나 연소기(33)의 연소 안정성 등의 가스 터빈(30)의 제약 조건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산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이 구비하는 압축기 서지와, 연료의 안정성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2 보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가스 터빈(30)의 제약 조건에 적합한 조정값에 근거하여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가 있어,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 있다.
(컴퓨터 구성)
도 12는,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컴퓨터(1100)는, 프로세서(1110), 메인 메모리(1120), 스토리지(1130), 인터페이스(1140)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어 시스템(1)은, 컴퓨터(110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스토리지(1130)에 기억되어 있다. 프로세서(1110)는, 프로그램을 스토리지(1130)로부터 읽어내어 메인 메모리(1120)에 전개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프로세서(1110)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메인 메모리(1120)에 확보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1100)로 하여금 발휘하게 하는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스토리지(1130)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 또는 다른 장치에 실장된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해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컴퓨터(1100)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또는 상기 구성에 대신하여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의 커스텀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하여도 좋다. PLD의 예로서는, PAL(Programmable Array Logic), GAL(Generic Array Logic),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1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130)의 예로서는,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컴퓨터(1100)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여도 좋고, 인터페이스(1140)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여도 좋다. 또,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1100)에 전송되는 경우, 전송을 받은 컴퓨터(1100)가 해당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1120)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토리지(1130)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기억 매체이다.
또, 해당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스토리지(1130)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되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부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30)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30)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100)로서,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부하값 취득부(130)와,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140)와, 발전기(500)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지령부(150)를 구비한다.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2)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지령부(150)는, 제 1 신호를 출력한 후,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이 조정값으로부터 부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경시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신호인 제 2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전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줄일 수가 있다.
(3) 또, 제어 장치(100)의 부하값 취득부(130)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해도 좋다.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4) 본 개시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차단에 의해 감소한 발전기(500)의 부하의 값과 바이어스가 비례하도록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바이어스 산출부(160)를 구비하고, 연산부(140)는, 부하값과 산출된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조정값을 산출해도 좋다.
제어 장치(100)는,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값에 근거하여 산출된 바이어스에 근거하여 조정값을 산출한다. 또, 제어 장치(100)는 발전기(500)가 산출하는 전력이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연료 밸브(36)에 제 1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력 계통(20)의 부하의 차단에 의한 감소의 값에 따라,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가 있어, 보다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5)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의 온도와, 가스 터빈의 주변의 대기 온도와, 연료의 발열량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1 보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의 온도나 대기 온도 등의 운전 조건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할 수가 있어, 보다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6) 제어 장치(100)는, 가스 터빈이 구비하는 압축기 서지와, 연료의 안정성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2 보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 서지 등의 가스 터빈의 제약 조건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보정할 수가 있어, 보다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7)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은, 가스 터빈(30)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30)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발전기(500)로 하여금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을 가진다.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제어 방법의 유저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제어 방법의 유저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8) 본 개시에 따른 프로그램은, 가스 터빈(30)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가스 터빈(30)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100)의 컴퓨터로 하여금,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발전기(500)가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을 실행하게 한다.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프로그램의 유저는,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을 조정값에 상당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의 직후에 있어서의,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잉여분은 적어진다. 그 때문에, 프로그램의 유저는, 발전기(500)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500)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는,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력의 주파수를 안정화할 수가 있다.
1  제어 시스템
10  소 내 전력 계통
20  외부 전력 계통
30  가스 터빈
100  제어 장치
110  회전수 취득부
120  판정부
130  부하값 취득부
140  연산부
150  지령부
160  바이어스 산출부
31  IGV
32  압축기
33  연소기
34  터빈
35  로터
36  연료 밸브
500  발전기
600  소 내 설비
1100 컴퓨터
1110 프로세서
1120 메인 메모리
1130 스토리지
1140 인터페이스

Claims (8)

  1.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상기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부하값 취득부와,
    상기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부하의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발전기로 하여금 상기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지령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이 상기 조정값으로부터 상기 부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경시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신호인 제 2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에 의해 감소한 상기 발전기의 부하의 값과 상기 바이어스가 비례하도록 상기 바이어스를 산출하는 바이어스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부하값과 산출된 상기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상기 조정값을 산출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터빈의 온도와, 상기 가스 터빈의 주변의 대기 온도와, 상기 연료의 발열량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1 보정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터빈이 구비하는 압축기 서지와, 상기 연료의 안정성 중, 적어도 1개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바이어스를 보정하는 제 2 보정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하값 취득부는,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외부 전력 계통의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제어 장치.
  7.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상기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발전기로 하여금 상기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
    을 가지는 제어 방법.
  8. 가스 터빈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 범위가 되도록, 상기 가스 터빈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해당 차단 후의 해당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의 값인 부하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부하값과 바이어스를 연산하여, 해당 부하값과는 다른 값인 조정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발전기가 상기 조정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 1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스텝
    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227033954A 2020-04-02 2021-03-29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44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6463A JP7422592B2 (ja) 2020-04-02 2020-04-02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20-066463 2020-04-02
PCT/JP2021/013276 WO2021200818A1 (ja) 2020-04-02 2021-03-29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74A true KR20220144874A (ko) 2022-10-27

Family

ID=7792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954A KR20220144874A (ko) 2020-04-02 2021-03-29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8225B2 (ko)
JP (1) JP7422592B2 (ko)
KR (1) KR20220144874A (ko)
CN (1) CN115349048A (ko)
DE (1) DE112021002164T5 (ko)
WO (1) WO20212008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366A (ja) 2007-04-06 2008-10-23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装置およびプラント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1997B2 (ja) 2001-02-15 2010-04-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速度制御装置
JP2004060615A (ja) * 2002-07-31 2004-02-26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設備の制御装置およびガスタービン設備の運転制御方法
JP4256688B2 (ja) 2003-02-12 2009-04-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速度制御装置
JP2007177626A (ja) 2005-12-27 2007-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負荷制御装置
JP5868671B2 (ja) * 2011-11-28 2016-02-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弁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及び弁制御方法
CN103227842B (zh) 2012-01-31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sip服务器地址的方法和装置
US10436124B2 (en) * 2017-02-06 2019-10-08 Nicolas Demougeot Signal processing for auto-tuning a gas turbine engine
JP6935327B2 (ja) * 2017-12-28 2021-09-15 三菱パワー株式会社 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66463A (ja) 2018-10-26 2020-04-30 独立行政法人国立文化財機構 木簡保存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366A (ja) 2007-04-06 2008-10-23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装置およびプラント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22592B2 (ja) 2024-01-26
DE112021002164T5 (de) 2023-01-19
JP2021161993A (ja) 2021-10-11
US11828225B2 (en) 2023-11-28
US20230014316A1 (en) 2023-01-19
CN115349048A (zh) 2022-11-15
WO2021200818A1 (ja)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1820B2 (ja) ガスタービン出力学習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US10208678B2 (en) Gas turbine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4119908B2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KR101805331B1 (ko)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JP4745767B2 (ja) 燃料流量制御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並びに燃料流量制御方法
JP5868671B2 (ja) 弁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及び弁制御方法
KR101819844B1 (ko) 가스 터빈의 제어 장치,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제어 방법
JP2007077867A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KR101913975B1 (ko) 제어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및 동력 제어 장치, 가스 터빈 및 동력 제어 방법
Centeno et al. Review of gas turbine models for power system stability studies
WO2014073059A1 (ja)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JP5781312B2 (ja) ガスタービンの信頼性評価試験方法
KR20220144874A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10221777B2 (en) Gas turbine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3887777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のガバナフリー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CN112615575A (zh) 用于对电网频率瞬态事件进行快速负荷支持的方法和系统
US11378019B2 (en) Gas turbine control apparatus and gas turbine control method
DiCampli et al. Grid stability: Gas turbines for primary reserve
KR101770534B1 (ko)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922538B2 (ja) ガスタービンの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の制御方法
JP5889386B2 (ja) ガスタービンの信頼性評価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1684150B (zh) 燃气轮机的控制装置、燃气轮机及燃气轮机的控制方法
JPH0734906A (ja) ガスタ−ビン制御装置
JP2014114794A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