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51A -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51A
KR20220144651A KR1020210051240A KR20210051240A KR20220144651A KR 20220144651 A KR20220144651 A KR 20220144651A KR 1020210051240 A KR1020210051240 A KR 1020210051240A KR 20210051240 A KR20210051240 A KR 20210051240A KR 20220144651 A KR20220144651 A KR 20220144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brasive
reinforcing cover
conveying pipe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형 filed Critical 김규형
Priority to KR102021005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651A/ko
Publication of KR2022014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재 이송관의 곡관부에 보강커버가 결합되어 있어 원래의 이송관이 천공되더라도 일정 기간을 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연마장치에서 피가공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 곡관의 외표면에 보강커버가 고정되어 있으되;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과 보강커버 사이에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ipe For Abrasive Material}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마재 이송관의 곡관부에 보강커버가 결합되어 있어 원래의 이송관이 천공되더라도 일정 기간을 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마재는 피가공물의 겉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로서 금강석 등으로 되어 있으며 연마장치에 투입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 내의 연마재는 한번 사용된 다음에 재사용을 위하여 순환 공급된다. 연마재를 수거하기 위하여 순환배관, 여과수단 및 싸이클론이 사용된다. 재사용을 위한 연마재의 순환과정에서 배관의 내벽이 연마재에 의해 마모된다. 특히 연마재의 이송방향이 변경되는 엘보우(Elbow Pipe)와 같은 곡관의 내벽은 더 빠르게 마모가 진행된다. 이렇게 마모가 심한 배관은 파손되기 전에 교체되어야 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배관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연마장치를 가동할 수 없으며, 배관의 교체가 잦을수록 연마장치를 가동하는 시간, 즉 작업시간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이는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로 직결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배관의 교체주기를 연장하기 위해 배관을 보강하는 이중관이 제안되었다. 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70564호가 있다. 이에 의하면 외측관과 외측관에 삽입된 내측관을 포함하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관 엘보우에 있어서, 내측관은 양단의 외주면에 이웃하는 관과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마모성을 갖는 강재로 이루어지고, 외측관은 용접가능한 강재로 이루어지고 프레스에 의해서 대칭되도록 성형되어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대칭면에서 용접된 한 쌍의 보강커버로 이루어진 이중관 엘보우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보강커버를 대칭되도록 성형하여 금형제작비를 절감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보강커버를 성형하여 제작하고, 성형된 보강커버를 엘보우의 전체를 감싸 용접하는 등의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작공정이 복잡하였다.
또한, 내측관이 천공된 후에도 외측관의 내벽에 직접적으로 콘크리트가 충돌되어 마모시키기 때문에 엘보우를 교체하는 주기가 여전히 짧으며, 이 교체주기를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7056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20-04795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관의 마모가 심한 부분에 보강커버를 결합함으로써 배관의 교체주기를 대폭 신장시켜줄 수 있는 배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관이 천공된 다음에도 사고 없이 일정 기간 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배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연마장치에서 피가공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 곡관의 외표면에 보강커버가 고정되어 있으되;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과 보강커버 사이에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에 부착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충전공간에는 복수개의 띠형 판재가 종횡으로 결합되어 그레이팅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셀(131, cell)을 제공하는 격판체(13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의 설치구조는 배관과 보강커버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이송되는 연마재가 그 공간에 먼저 채워지고, 다음으로 이송되는 연마재는 공간에 채워진 연마재에 충돌하도록 한다. 그래서 연마재가 보강커버의 내벽을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보강커버가 서서히 마모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배관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배관의 교체주기가 연장되면 배관을 교체하기 위해 연마장치의 운행을 중단하는 단위시간당 횟수를 줄일 수 있어 가공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마재 이송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마재 이송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마재 이송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마재 이송관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송관의 설치구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마재 이송관의 조립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동시에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특정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1)는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과 연마재를 회수하는 싸이클론(3), 연마작업이 수행되는 챔버(5), 사용후 떨어지는 연마재를 수거하는 수거부(7)를 포함한다. 수거된 연마재는 이송관(9)을 통해 연마장치의 상부에 있는 연마재 분사부로 재공급된다.
이송관(9)은 연마재에 의해 마모되는데, 특히 엘보우(Elbow Pipe)와 같은 곡관 부위에서 연마재의 이송방향이 급속하게 변경되는 부분에서 더 빠르게 마모된다. 그래서 이송관(9)은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각각의 곡관(120)이 결합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곡관(12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커버(100)가 곡관(120)의 외표면, 즉 볼록면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커버(100)는 곡관(120)의 외표면에 용접에 의해 밀착되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강커버(100)가 마모가 심한 곡관(120)의 일부분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보강커버(10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커버(100)를 여러겹 덧대어 결합할 수도 있고, 보강커버(100)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커버(100)는 곡관의 볼록면(121) 사이에 충전공간(110)이 마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곡관(120)이 연마재(G)에 의해 천공되면 연마재(G)가 곡관(120)과 보강커버(100)의 충전공간(110)에 쌓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커버(100)의 충전공간(110)에 쌓인 연마재(G’)는 곡관(120)을 통해 이송되는 다른 연마재(G)와 충돌함으로써, 보강커버(100)의 내벽면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커버(100)는 커버본체(101)와, 커버본체(101)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종판(111)과 한쌍의 횡판(1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보강커버(100)는 내부에 충전공간(110)을 제공한다.
횡판(112)은 일측이 곡관(120)의 원주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다각으로 형성되어 평면상 “
Figure pat00001
”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하, 보강커버(100)의 작용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재(G)는 화살표(F)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질량이 큰 연마재(G)의 일부는 원심력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곡관(120)의 내벽면(122)에 충돌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재(G)가 곡관(120)의 내벽면(122)에 계속 충돌되면 곡관(120)의 내벽면은 어느 시점에서 천공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천공으로 생긴 구멍(122)을 통해 연마재(G)가 보강커버(100)의 충전공간(110)에 채워진다.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연마재(G)는 충전공간(110)에 채워진 연마재(G’)와 충돌하게 된다. 충전공간(110)에 채워진 연마재(G’)가 그 충격을 흡수하므로 보강커버(100)의 내벽면(102)으로는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보강커버(100)가 마치 완충을 위한 챔버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마재(G)가 곡관(120)과 보강커버(100) 사이의 충전공간(110)에 채워져 연마재(G)와 충돌하여도 그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곡관(120)이 천공되더라고 그 상태로 일정 기간은 더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곡관(120)을 교체하는 주기를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강커버(100)는 곡관(120)과 같은 소재일 수도 있으며 다른 소재일 수 있다. 곡관(120)과 보강커버(100)는 주물 등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조립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보강커버(100)는 기존 설치되어 있는 이송관의 곡관(120)에 보강 차원에서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커버(120)의 내벽면(102)에는 그레이팅과 유사한 형태로 격판체(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격판체(130)는 복수개의 띠형 판재가 종횡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복수 개의 셀(131, cell)을 제공한다. 연마재(G)는 이 셀(131)에 각각 충전될 수 있다. 이 격판체(130)는 보강커버(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후 충전공간(10)에 삽입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위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는 다양하게 조합 실시될 수 있으며 모든 조합은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개시하고 있는 기술내용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연마장치 3 : 싸이클론
5 : 챔버 7 : 수거부
9 : 이송관
100 : 보강커버
110 : 충전공간 111 : 종판
112 : 횡판 112‘ : 조립마감판
120 : 곡관 122 : 구멍
130 : 격판체 131 : 셀(cell)
G, G’ : 연마재

Claims (4)

  1. 연마장치에서 피가공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 곡관의 외표면에 보강커버가 고정되어 있으되;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과 보강커버 사이에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커버과 곡관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곡관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커버본체(101)와, 상기 커버본체(101)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종판(111)과, 한 쌍의 횡판(1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공간에는 복수개의 띠형 판재가 종횡으로 결합되어 그레이팅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셀(131, cell)을 제공하는 격판체(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KR1020210051240A 2021-04-20 2021-04-20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KR20220144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40A KR20220144651A (ko) 2021-04-20 2021-04-20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40A KR20220144651A (ko) 2021-04-20 2021-04-20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51A true KR20220144651A (ko) 2022-10-27

Family

ID=8381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240A KR20220144651A (ko) 2021-04-20 2021-04-20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6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64Y1 (ko) 2004-09-24 2004-12-14 유영주 이중관 엘보우
KR200479501Y1 (ko) 2015-02-23 2016-02-02 김대린 콘크리트 펌프카용 엘보 천공 패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64Y1 (ko) 2004-09-24 2004-12-14 유영주 이중관 엘보우
KR200479501Y1 (ko) 2015-02-23 2016-02-02 김대린 콘크리트 펌프카용 엘보 천공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56135U (zh) 能快速更换磨损部位的组合式立式磨辊
CN100395031C (zh) 磨机端盖空心轴保护件及其格子型磨机端盖
US20190240670A1 (en) Method for making a shell plate
KR20220144651A (ko) 연마재 이송관의 설치구조
US20200298248A1 (en) Refurbished lifter bar
CN205128079U (zh) 组合式立式磨辊的磨辊体
KR100688330B1 (ko) 이송 파이프
CN101566257A (zh) 耐磨输送管、混凝土输送机械及制造耐磨输送管的方法
CN105214783A (zh) 一种组合立式耐磨辊
CN213914114U (zh) 用于半自磨机的橡胶金属复合衬板
JP4331730B2 (ja) ベンド管
CN213700145U (zh) 一种高强度耐磨型球磨机衬板
CN210025918U (zh) 一种新型管材用聚丙烯增韧材料生产设备
CN107745909A (zh) 一种用于溜槽的可拆卸斗式料磨料衬板
RU95557U1 (ru) Футеровка барабанной мельницы
CN105214782B (zh) 一种能快速组装和拆卸的组合式立式耐磨辊
IT201800009340A1 (it) Corazza di rivestimento per una carcassa di mulino a martelli
CN205056138U (zh) 能快速组装和拆卸的组合式立式耐磨辊
CN205056140U (zh) 组合立式耐磨辊
CN213415149U (zh) 一种新型矿山洗砂溜槽
CN213504861U (zh) 一种输灰管道弯管薄弱处的加固装置
CN206126158U (zh) 带式输送机滚筒
CN210762642U (zh) 一种板链提升机用料斗
CN214003178U (zh) 重型鳞板输送机用防冲击装置
CN210522671U (zh) 一种球磨机的入口料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