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69A -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069A
KR20220144069A KR1020210050279A KR20210050279A KR20220144069A KR 20220144069 A KR20220144069 A KR 20220144069A KR 1020210050279 A KR1020210050279 A KR 1020210050279A KR 20210050279 A KR20210050279 A KR 20210050279A KR 20220144069 A KR20220144069 A KR 2022014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ller
roller
pressure
lower main
upp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258B1 (ko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to KR102021005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45Intermittent pressing, e.g. by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res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부재를 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메인롤러를 포함하는 접합부와,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와, 구동부와, 이송부를 포함하되, 가압부는 상부메인롤러와 선 접촉 가능한 가압롤러와, 가압롤러를 승강시키거나 가압롤러의 하방 압력을 조절 시키는 가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짐으로써, 곡면 또는 비구면 형태를 가지는 부재의 라미네이션 접합을 함에 있어, 접합이 필요한 부위만 압력을 받고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는 접합이 필요한 부위와 일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압력을 받지 않고 통과 가능하며, 일 부위만 압력을 받으면서도,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에는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라미네이션 접합을 위해 압력을 받는 부위가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게 라미네이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Open type la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판상의 부재를 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션 장치는 필름 또는 패널과 판상의 부재를 서로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라미네이션 장치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블록 기구로 가압하여 접합시키거나 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선접촉하는 두 개의 롤러인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 사이로 접합이 필요한 부재를 통과시켜 접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접합이 필요한 라미네이션 제품(P)에는 평판 형태의 부재뿐만 아니라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라미네이션 제품(P)도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곡면 제품의 라미네이션 접합을 위해 도 1a와 같이 상부롤러(3-1)의 양 측에 롤러 액추에이터(3-4)가 설치되어 상부롤러(3-1)를 가압시킴으로써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의 접촉압력이 조절되어 제품의 곡률이 조절된다.
하지만 도 1b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곡률이 형성되는 부재의 경우에는 도 1a의 장치로 라미네이션 접합이 가능하지만, 도 1c와 같이 일부분만 곡면이거나 또는 각 부위마다 곡률이 다른 경우에는 접합이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1a의 종래 장치에서는 일부분만 곡면이 형성되는 제품의 라미네이션 접합을 수행할 때에는 곡면이 형성될 부위에 가까운 쪽의 롤러 액추에이터(3-4)는 가압시키고, 반대쪽 롤러 액추에이터(3-4)는 일정정도 상승시킴으로써 국부 곡면 형성이 시도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상부롤러(3-1)가 경사가 형성될 수밖에 없어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조차도 고르게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제대로 된 곡면 접합이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일부분만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에도 접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부위까지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 사이를 통과해야 하므로, 설령 접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부위에 가까운 쪽의 롤러 액추에이터(3-4)를 상승시키더라도 틈이 형성되기에 한계가 있고, 상부롤러(3-1)의 탄성력에도 한계가 있으며, 제품의 형태가 일그러질 수 있고, 또한 접합이 이루어지는 쪽도, 앞서와 마찬가지 문제로 상부롤러(3-1)가 수평이 유지되지 못해 균일한 압력으로 접합이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23675호(공개일자: 2015. 09. 30)
이에 본 발명은 곡면 또는 비구면 형태를 가지는 부재의 라미네이션 접합을 함에 있어, 접합이 필요한 부위만 압력을 받고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는 접합이 필요한 부위와 일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압력을 받지 않고 통과 가능하며, 일 부위만 압력을 받으면서도,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에는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라미네이션 접합을 위해 압력을 받는 부위가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게 라미네이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 롤러 및 하부 롤러와 선 접촉 되게 설치되는 상부 롤러와, 상부 롤러를 승강시키도록 상부 롤러의 양 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접합부와, 상기 상부 롤러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하부 롤러 또는 상부 롤러의 측면 회전축에 설치되어 하부 롤러 또는 상부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접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접합이 이루어질 부재가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로 투입되도록 안내시키거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에서 배출되는 접합된 제품을 안내시키는 안내 롤러와, 안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부 롤러와 선접촉 가능한 가압롤러와, 가압롤러를 승강시키거나 가압롤러의 하방 압력을 조절 시키는 가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부 롤러에 대한 압력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롤러의 특정 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 롤러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는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롤러 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메인롤러의 저면에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메인롤러와 선 접촉되어 하부 메인롤러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하부 메인롤러를 지지하는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은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두 개 중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투입되는 측에 설치되는 투입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고, 상기 두 개 중 나머지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배출되는 측에 설치되는 배출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일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무가공 섹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가공 섹터 프레임은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측면의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면서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부재중에서 가공이 필요 없는 부위가 상기 무가공 섹터 프레임을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는 접합이 필요한 부위만 압력을 받고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는 접합이 필요한 부위와 일체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압력을 받지 않고 통과 가능하며, 일 부위만 압력을 받으면서도,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에는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라미네이션 접합을 위해 압력을 받는 부위가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게 라미네이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라미네이션 장치의 정면도,
도 1b 및 도 1c는 라미네이션 제품의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를 통과한 제품의 예시도,
도 3a는 도 2a의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도,
도 4a는 도 3a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프레임(20)과, 접합부(30)와, 가압부(40)와, 구동부(50)와, 이송부(6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바닥에 설치되는 강성 구조물이다. 베이스(10)는 나머지 구성들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튼튼하게 제작되는 지지대에 해당된다. 후술하게 될 구동부(5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베이스(10) 상부에 설치되는 강성 구조물로서, 후술하게 될 접합부(30)와 가압부(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접합부(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메인롤러(32) 및 하부메인롤러(32)와 선 접촉 되게 설치되는 상부메인롤러(31)와, 상부메인롤러(31)를 승강시키도록 상부메인롤러(31)의 양 측에 설치되는 메인롤러 액추에이터(34)로 이루어진다. 접합이 이루어질 부재들은 바로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합된 상태로 압력을 받음으로써 라미네이션이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롤러 액추에이터(34)의 압력 조절로 접합되는 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들이 압력을 받으며 라미네이션 제품(P)의 테두리까지 유인되어 배출될 수도 있다.
가압부(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메인롤러(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가압부(40)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부(50)는 하부메인롤러(32) 또는 상부메인롤러(31)의 측면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부메인롤러(32) 또는 상부메인롤러(31)를 회전 구동시킨다. 도 2a에서는 메인프레임(21)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부(50)의 설치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도 2a 및 도 3a에서는 구동부(50)가 하부메인롤러(32)의 축에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메인롤러(31)의 축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도 3a와 같이 구동부(50)가 하부메인롤러(32)에 연결되는 경우 상부메인롤러(31)는 별도의 동력이 연결되지 않더라도 하부메인롤러(32)와 접촉이 이루어지면 피동적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송부(6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접합이 이루어질 부재가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 사이로 투입되도록 안내시키거나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 사이에서 배출되는 접합된 제품을 안내시키는 안내 롤러(61)와, 안내 롤러(61)를 지지하는 롤러지지 프레임(6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에서 가압부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메인롤러(31)와 선 접촉 가능한 가압롤러(41)와, 가압롤러(41)를 승강시키거나 가압롤러(41)의 하방 압력을 조절 시키는 가압 액추에이터(42)로 이루어져, 상부메인롤러(31)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부메인롤러(31)에 대한 압력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압롤러(41)는 상부메인롤러(31)의 특정 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롤러(4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메인롤러(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롤러(41)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가압 액추에이터(42)는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롤러(41) 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가압롤러(41)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제1 내지 제3가압롤러(41a,41b,41c)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a에 도시된 가압롤러(41)의 개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가압롤러(41)는 필요에 따라 두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네 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가압롤러(41a,41b,41c)는 모두 개별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가압롤러(41a,41b,41c)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3가압 액추에이터(42a,42b,42c)가 설치된다. 따라서 라미네이션이 필요한 부위에만 그 지점에 해당되는 가압롤러(41)와 가압 액추에이터(42)가 하강하여 상부메인롤러(31)를 압박함으로써 국부 지점 만의 라미네이션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첫째로는 종래에는 제품 전체가 아니라 국부적으로 곡면 구간이 형성된 부위에 라미네이션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3-1)의 어느 한쪽을 가압시키고 나머지 한쪽은 약간 상승시킴으로써 상부롤러(3-1)의 수평이 유지되지 못해, 압력이 필요한 부위에서조차 균일하게 압력이 가해지지 못하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각 부위에 따라 압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전체에 걸쳐 부위별로 곡률이 다르더라도 거기에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 수단으로서 가압롤러(41)가 선택됨으로써, 상부메인롤러(31)의 중심에만 하방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고정된 부재로 상부메인롤러(31)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롤러 형태의 기구로 가압시키기 때문이다. 이로써 상부메인롤러(31)에 필요한 만큼 얼마든지 압력을 가하더라도 압력을 가하는 부재와 상부메인롤러(31)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부메인롤러가(31) 정지될 수 있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라미네이션 접합이 행해지는 제품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일측 부위와 제품의 타측 부위가 서로 다른 곡률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일측 부위(P1)와 제품의 타측 부위(P2)가 서로 단차가 형성되어 전체가 동시에 라미네이션 접합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도 2b에 도시된 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제품에 대해 라미네이션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제품의 일측 또는 타측 부위(P1,P2)에 대해 우선적으로 라미네이션이 수행되어야 하고 나머지 부위에 대해서는 가공이 이루어지면 안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라미네이션 접합 장치의 경우에는 제품의 일측과 타측 부위(P1,P2)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지 않고서는 어느 한 측만 접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극히 힘들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접합부(30)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21)과, 메인프레임(21)의 측면에 설치되는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이때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은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 측면의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면서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를 지지함으로써,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 사이를 통과하는 라미네이션 제품(P)의 전체 부위 중에서 가공이 필요 없는 부위가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을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이 설치된 쪽에는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의 단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어떤 라미네이션 제품(P)에서 라미네이션 접 합이 이루어지지 않아야 될 부위는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장치 프레임(20)과 라미네이션 제품(P)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제품(P)에 대해 라미네이션 접합이 수행될 경우 제품의 일측 부위가 먼저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를 통과할 때 제품의 타측 부위(P2)는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가공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제품의 타측 부위(P2)가 상부메인롤러(31)와 하부메인롤러(32)를 통과할 때에는 제품의 일측 부위(P1)가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어, 제품의 타측 부위(P2)에만 라미네이션 접합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가공 섹터 프레임(22)으로 인해 상부 및 하부메인롤러(31,32)는 측면이 개방됨에도 불구하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측면도 프레임(20)에 연결되어 튼튼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가압롤러(4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메인롤러(31)에 접촉되어 압력을 가할 때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압롤러(41)의 압력은 상부 메인롤러를 통해 하부 메인롤러로 전달된다.
하부 메인롤러의 저면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메인롤러를 지지하는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설치된다. 하부 메인롤러는 가압롤러로부터 압력이 전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부 메인롤러가 상부로부터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다 보면 미세하게라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FA 방향으로 비껴나거나 내려앉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 중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투입되는 측에 설치되는 투입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고, 두 개의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 중 나머지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배출되는 측에 설치되는 배출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도 4b를 기준으로 볼 때 제품이 투입되는 방향과 배출되는 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둘 다 하부 메인롤러와 접촉되어 회전된다면, 하부 메인롤러는 비록 상부로부터 압력을 전달 받더라도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수개로 분할된 가압롤러(41a,41b,41c) 각각 또한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메인롤러(31)의 정면 상부에 접촉하는 전방 가압 롤러와 상부메인롤러의 배면 상부에 선접촉하는 후방 가압 롤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P : 라미네이션 제품 P1 : 제품의 일측 부위
P2 : 제품의 타측 부위 PD : 제품의 진행 방향
1,10 : 베이스 2,20 : 프레임
3,30 : 접합부 3-1 : 상부롤러
3-2 : 하부롤러 3-3,33 : 동력전달기구
3-4 : 롤러 액추에이터 21 : 메인프레임
22 : 무가공 섹터 프레임 31 : 상부 메인롤러
32 : 하부 메인롤러 34 : 메인롤러 액추에이터
35 :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 40,400 : 가압부
41 : 가압롤러 41a : 제1가압롤러
41b : 제2가압롤러 41c : 제3가압롤러
42,420 : 가압 액추에이터 42a : 제1가압 액추에이터
42b : 제2가압 액추에이터 42c : 제3가압 액추에이터
43,430 : 가압롤러 프레임 44 : 가압부 수동 조작 패널
50 :구동부 60 : 이송부
61 : 안내 롤러 62 : 롤러지지 프레임
351 : 투입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 352 : 배출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

Claims (5)

  1.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부메인롤러 및 하부메인롤러와 선 접촉 되게 설치되는 상부메인롤러와, 상부메인롤러를 승강시키도록 상부메인롤러의 양 측에 설치되는 메인롤러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접합부와;
    상기 상부메인롤러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하부메인롤러 또는 상부메인롤러의 측면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부메인롤러 또는 상부메인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접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접합이 이루어질 부재가 상기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 사이로 투입되도록 안내시키거나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 사이에서 배출되는 접합된 제품을 안내시키는 안내 롤러와, 안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부메인롤러와 선 접촉 가능한 가압롤러와, 가압롤러를 승강시키거나 가압롤러의 하방 압력을 조절 시키는 가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메인롤러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부메인롤러에 대한 압력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상부메인롤러의 특정 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상부메인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 롤러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는 복수개로 분할된 가압롤러 마다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메인롤러의 저면에는 하부 메인롤러와 선접촉되어 하부 메인롤러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하부 메인롤러를 지지하는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은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두 개 중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투입되는 측에 설치되는 투입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이고, 상기 두 개 중 나머지 하나는 라미네이션 제품이 배출되는 측에 설치되는 배출측 하부 메인롤러 지지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합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무가공 섹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가공 섹터 프레임은 상기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 측면의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면서 상기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메인롤러와 하부메인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부재중에서 가공이 필요 없는 부위가 상기 무가공 섹터 프레임을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KR1020210050279A 2021-04-19 2021-04-19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KR10251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79A KR102519258B1 (ko) 2021-04-19 2021-04-19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79A KR102519258B1 (ko) 2021-04-19 2021-04-19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69A true KR20220144069A (ko) 2022-10-26
KR102519258B1 KR102519258B1 (ko) 2023-04-10

Family

ID=8378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79A KR102519258B1 (ko) 2021-04-19 2021-04-19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52A (ko) * 2012-09-17 2014-03-26 주식회사 씨엘디 라미네이팅 장치
KR20140113382A (ko) * 2013-03-15 2014-09-24 가부시키가이샤 호타니 C휨 교정기
KR20150129523A (ko) * 2014-05-12 2015-11-20 (주)후세메닉스 기판 라미네이팅 시스템
KR20190098083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장치
KR102223675B1 (ko) 2014-03-17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52A (ko) * 2012-09-17 2014-03-26 주식회사 씨엘디 라미네이팅 장치
KR20140113382A (ko) * 2013-03-15 2014-09-24 가부시키가이샤 호타니 C휨 교정기
KR102223675B1 (ko) 2014-03-17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KR20150129523A (ko) * 2014-05-12 2015-11-20 (주)후세메닉스 기판 라미네이팅 시스템
KR20190098083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258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1458B2 (ja) 合わせガラスの予備接着装置
US7784700B2 (en) De-bowing personalized cards
US20070013122A1 (en) Sunction device and method of conveying laminated sheet
JP6225020B2 (ja) ラミネータ
JP4372734B2 (ja) 加工ユニットの固定システム
KR20220144069A (ko)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JP2012140298A (ja) 合わせガラスの予備接着装置
JP2002167242A (ja) 積層ガラスの予備接着装置
JP2020078820A (ja) ロール成形方法及びロール成形装置
KR101833883B1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100271839B1 (ko)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KR101609712B1 (ko) 흡착지그
WO2012098679A1 (ja) ワーク貼り合わせ装置及びプレス硬化装置
JP2017213609A (ja) シート材加工装置
KR102288512B1 (ko) 디스플레이용 필름 이송 장치
JP6341741B2 (ja) 冊子搬送装置
KR102271920B1 (ko) 김 연결장치
KR102416236B1 (ko) 패널 고정용 다단 척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JP3712101B2 (ja) 感光材料の搬送装置
JP2007160533A (ja) ラミネート装置および方法
JP5370054B2 (ja) 合わせガラスの予備接着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200036312A (ko)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에지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방법 및 장치
JPH0911226A (ja) 基板分割装置
JPH11174228A (ja) 偏光板の貼付装置
JP2015171935A (ja) 用紙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