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839B1 -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839B1
KR100271839B1 KR1019970057067A KR19970057067A KR100271839B1 KR 100271839 B1 KR100271839 B1 KR 100271839B1 KR 1019970057067 A KR1019970057067 A KR 1019970057067A KR 19970057067 A KR19970057067 A KR 19970057067A KR 100271839 B1 KR100271839 B1 KR 10027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movement
double
sheet
weigh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389A (ko
Inventor
토시히데 카토
유쿠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3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36Moistening and heating webs to facilitate mechanical deformation and drying deform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27Pressing using at least one press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77Pressing means for bringing facer sheet and corrugated webs into contact or keeping them in contact, e.g. rolls, belts
    • B31F1/2881Pressing means for bringing facer sheet and corrugated webs into contact or keeping them in contact, e.g. rolls, belts for bringing a second facer sheet into contact with an already single faced corrugated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시트부재와 이면시트부재를 가압해서 맞붙이는 맞붙임장치를 구비한 가압장치부착맞붙임시트재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맞붙임시트재를 균일하게, 또한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표면시트부재와 이면시트부재를 맞붙이는 맞붙임장치를 구비하여 맞붙임시트재(1)를 제조하는 맞붙임시트재제조시스템에 있어서, 맞붙임장치가, 시트부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재(12)와, 가열부재(1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맞붙임시트재(1)를 가열부재(12)에 억누르는 가압장치(50)를 구비하고, 가압장치(50)가 주행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가로방향으로 뻗도록 배설된 지지부재(4)와, 지지부재(4)에 탄성부재(3)를 개재해서 매달린 병렬로 구비된 복수의 웨이트블록(2)과, 지지부재(4)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본 발명은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가압해서 맞붙이는 맞붙임 장치를 구비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a struck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이동시키면서 맞붙이는 맞붙임 장치를 구비하고, 맞붙임 시트재를 제조하는 맞붙임 시트재 제조 장치(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수의 종이를 맞붙여서 골판지(즉, 양면 골판지 시트, 이하 골판지 또는 골판지 시트라 함)를 제조하는 양면 골판지 시트 제조 장치(이하, 골판지 기계라 함)가 있다.
이 골판지 기계는, 편면기(single facer, 양면기(double facer), 슬리터 스코어 컷오프 스택커(a slitter score cutoff stacker) 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 엔드(dry end)나, 적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골판지 기계에서는, 편면기(도시생략)에서 형성된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가 양면기에서 맞붙여져서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고, 이 양면 골판지 시트를 드라이 엔드에서 절단해서 분할판 형상의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고, 그후 상기 분할판 형상의 양면 골판지 시트가 적재부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제8도는 골판지 기계에 설치되는 양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8도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는 양면기 상류쪽(제8도에서 좌단부 왼쪽)의 편면기(도시생략)에서 형성되고, 또한 풀칠 장치(24)(agluing device)에 의해 풀칠된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원지 공급부(도시생략)로부터 반송되는 라이너(라이너원지)(23)를 맞붙여 양면 골판지 시트(또는 복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하는 것이며, 가열 파트(11)와 냉각 파트(2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양면기의 상류쪽에는 풀칠 기계(a gluing machine)(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풀칠 기계(32)의 풀칠 장치(24)에 의해, 편면 골판지 시트(22)의 골 꼭대기부에 풀칠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8도에서 참조부호(FL)는 바닥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양면기를 구성하는 가열 파트(11)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면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를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를 접착시켜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형성하는 것이며, 예열부(25), 열판(hot plate 또는 heating box)(12), 가압 벨트(15), 가압부(2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예열부(25)는 롤러에 감겨짐으로써 편면 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를 예열 및 조질(tempering)하는 것이다.
열판(12)은 가열 파트(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증기에 의해 적당히 가열된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 벨트(무단 가압 벨트)(15)는 가열 파트(11)의 상측에 배치되고, 편면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즉, 양면 골판지 시트(1)]를 반송하면서 가압하는 것이다.
가압부(26)는 제9도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가압 방식이며, 압축공기의 공급원인 송풍기(blower)(29), 압축 공기의 공급관(30), 에어 챔버(31) 등으로 구성되고, 송풍기(29)로부터 공급관(30)을 거쳐서 에어 챔버(31)의 내부로 보내오는 압축 공기(A)에 의해서 ,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가압 벨트(15)의 배면을 가압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맞붙임에 필요한 가압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양면기를 구성하는 냉각 파트(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각 파트(21)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파트(11)에 의해 제조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냉각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접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냉각에, 있어서의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찌그러짐이나 휨변형 등을 수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 냉각 파트(21)는 반송 벨트(27), 가압부(28) 등으로 구성되며, 양면 골판지 시트(1)가 냉각 파트(21)의 하측에 배치된 반송 벨트(27)와 냉각 파트(21)의 상측에 배치된 가압 벨트(15)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서 반송되면서, 가압부(28)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28)는 다수의 롤러를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가압 벨트(15)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즉, 편면기(도시생략)에서 형성된 편면 골판지 시트(22)는 풀칠 기계(32)의 풀칠 장치(24)에 의해 그 골꼭대기부에 풀칠되어, 예열부(25)에서 예열 및 조질된 라이너(23)와 함께, 증기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로 가열되어 있는 열판(12)과 가압벨트(15) 사이로 반입된다.
그리고,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는 적층된 상태로 함께 가압 벨트(15)와 열판(12)에 의해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서 반송된다. 이때, 편면 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는 가압부(26)에 의해 적당한 정도로 가압력이 가해지는 동시에, 열판(12)에 의해 가열되며, 이에 의해 맞붙여져서 양면 골판지 시트(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양면 골판지 시트(1)는 냉각 공정인 냉각 파트(21)로 반송되며, 가압 벨트(15)와 반송 벨트(27)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서 반송된다. 이때, 양면 골판지 시트(1)는 가압부(28)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의 가압력이 가해지고, 가열 파트(11)에 있어서 맞붙여진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접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냉각에 있어서의 찌그러짐이나 변형 등이 수정된다.
그런데, 양면기의 가열 파트(11)에서는, 열판(12)에 활주 접촉해서 이동하는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를 확실하게 맞붙이기 위해서, 편면 골판지 시트(22), 라이너(23)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시에, 최적의 가압력의 시트 횡폭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양면기의 가압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으로 복수조의 롤을 이동 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병설하고, 가압 벨트(15)를 거쳐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열판(12)에 억누르는 웨이트 롤 방식의 가압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 가압 장치에서는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로서 상술한 에어 가압식의 가압 장치에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조의 에어 챔버(31)를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병설하고, 가압 벨트(15)를 거쳐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열판(12)에 억누르는 것이며, 압축 공기(A)의 공급원인 송풍기(29), 압축 공기(A)의 공급관(30), 에어 챔버(31) 등으로 구성되고, 송풍기(29)로부터 공급관(30)을 거쳐서 에어 챔버(31)의 내부에 보내는 압축 공기(A)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가압 벨트(15)의 배면을 가압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맞붙임에 필요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 챔버(31)는,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최대 횡폭에 대응한 간격[즉,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최대 횡폭보다도 큰 간격]을 가진 양쪽의 측벽을 구비해서 구성되고, 이 측벽의 하단부는 가압 벨트(15)의 배면에 직접 활주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 챔버(31)내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A)에 의한 가압력을 직접 가압 벨트(15)의 배면에 작용시켜, 이에 의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가압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에어 챔버(31)내의 압력(P) 분포는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박스 내측 폭(Wc)인 횡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 챔버(31)의 양 측벽의 간격보다도 작은 치수의 횡폭의 양면 골판지 시트(1)가 반송되는 경우, 양면 골판지 시트(1)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양면 골판지 시트(1)의 양측부보다도 외측의 부분]에도 가압 벨트(15)를 거쳐서 공기압이 작용하고, 이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가압 벨트(15)의 측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변형되게 된다. 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압착력에 견디는 시트압은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측부에서는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양 측부를 눌러 찌부러뜨린 상태(늘어진 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제10(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챔버(31)의 측벽 하단부와, 압축 공기(A)에 의한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하측으로 구부러져 변형한 가압 벨트(15) 사이에 틈새(e)가 형성되고, 이 틈새(e)를 통해서 공기누설이 커지기 때문에, 고압이고 또한 횡폭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또, 공기누설에 의한 에너지의 손실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벨트(15)의 상측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플레이트(33)를 병설하고, 압축 스프링(34) 또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가압 벨트(15)를 거쳐서 양면 골판지 시트(1)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열판(12)에 억누르는 플레이트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1994-32859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34)의 스프링 힘을 플레이트(33)를 거쳐서 가압 벨트(15)의 배면에 작용시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가압하는 것이다. 즉, 가압 장치는, 열판(12)의 위쪽에 설치되고,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채널형상으로 형성된 비임(35)과, 이 비임(35)의 하면에, 4개의 링크(36)(제11도에서는 2개만 도시함)를 개재해서 요동가능하게 매달린 플레이트(33)와, 비임(35)과 플레이트(33) 사이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압 장치는, 4개의 링크(36)에 의해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34)의 스프링 힘에 의해 플레이트(33) 및 가압 벨트(15)를 거쳐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33)는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열판(12)의 횡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틈새없이 병설되어 있고, 플레이트(33)의 하면은 가압 벨트(15)의 상측면(배면)에 대하여 압축 스프링(34)에 의한 스프링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33)를 매다는 4개의 링크(36)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 각도 및 동기화로 스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레이트(33)가 경사를 바꾸는 일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하면이 활주 접촉하는 열판은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 치수,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속도, 활주 접촉하는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온도, 기타 여러 가지의 조건에 따라서 표면으로부터의 방열량이 변동되게 된다. 이 때문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진행방향으로 병설시킨 열판(12)에서는, 상류쪽과 하류쪽에 있어서 팽창 또는 수축 변형의 정도가 크게 상이한 경향이 발생하게 된다.
또, 사용하는 골판지 시트원지, 즉 중심지(core paper), 라이너의 재질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가압력을 적당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강성이 낮은 원지에 대해서 가압력을 높게 하면 중심지의 산모양 골꼭대기부가 찌부러뜨려지고, 한편 강성이 높은 원지에 대해서 가압력을 낮게 설정하면 맞붙임이 불확실하게 되기 때문에, 부가하는 가압력을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판(12)이 그 횡폭방향 중앙에서 오목변형(또는 볼록변형)되어 있는 경우, 그 횡폭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각 플레이트(33)의 폭이 넓고, 수평방향을 유지하면서 플레이트(33)가 승강함으로써, 플레이트(33)의 가압력은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중 한쪽 측면에만 가해지며,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Ws) 방향에서 가압력의 강약(가압력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전체면을 열판(12)에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고[특히, 열판(12)의 상부표면이 만곡 변형해 있는 경우에는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음], 그 결과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풀칠을 균일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가압 장치에서는 원지의 재질과, 그외 다른 조건에 의해서 가압력을 증감조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최적의 가압상태로 설정하는 일은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맞붙임 시트재를 균일하게 또한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이동시키면서 맞붙이는 맞붙임 장치를 구비하는 맞붙임 시트재를 제조하는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맞붙임 장치가, 상기 맞붙임 시트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접촉하면서 시트재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와, 이 가열 부재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맞붙임 시트재를 상기 가열 부재에 억누르는 가압 장치를 구비하고, 이 가압 장치가 이동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탄성 부재를 거쳐서 매달리고 병렬로 구비된 다수의 웨이트 블록과, 상기 지지 부재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 부재에 탄성 부재를 거쳐서 매달리고, 또한 병렬로 설치된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그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가열 부재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맞붙임 시트재에 작용시키고, 그 힘에 의해서 맞붙임 시트재가 가열 부재에 억눌려져서 가열된다. 이때,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매달린 지지 부재를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시킴으로써, 다수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맞붙임 시트재로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즉, 지지 부재를 상승시키면, 탄성부재에 의한 웨이트 블록에 대한 매다는 힘이 증가하고, 그만큼 웨이트 블록에 의한 맞붙임 시트재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감소하고, 그 반대로 지지 부재를 하강시키면, 탄성 부재에 의한 웨이트 블록에 대한 매다는 힘이 감소하여, 웨이트 블록에 의한 맞붙임 시트재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증가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웨이트 블록의 자중을 이용하면서 맞붙임 시트재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설치된 지지 부재를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서 승강시켜서, 다수의 웨이트 블록의 위치를 수직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 블록을 매다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증감조정해서, 웨이트 블록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증감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맞붙임 장치가, 상기 맞붙임 시트재로서의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는 양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트재의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이동시키면서 양면 골판지 시트를 제조하는 양면기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탄성 부재를 거쳐서 매달리고, 또한 병렬로 설치된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그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가열 부재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양면 골판지 시트에 작용시키고, 그 힘에 의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가 가열 부재에 억눌려서 가열된다. 이 경우,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매달린 지지 부재를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시켜서, 다수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양면 골판지 시트로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웨이트 블록에 의해 양면 골판지 시트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어, 강성이 보다 높은 고품질의 양면 골판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양면 골판지 시트를 제조할 때에, 그 가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골판지 시트 원지에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각 웨이트 블록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웨이트 블록이 모두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 부재와 각 웨이트 블록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의 인장력과, 각 웨이트 블록의 자중에 의한 수직방향으로의 작용력(가압력)의 균형에 의해서, 맞붙임 시트재로의 가압력이 설정된다. 특히, 가열장치가 열변형된 경우에 있어서도, 스프링의 신축기능에 의해 각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이 보다 균일하게 작용한다. 또,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된 다수의 웨이트 블록에 의해, 웨이트 블록이 이동 방향에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맞붙임 시트재가 가압되는 동시에, 가열 부재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한 웨이트 블록의 변형도 적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웨이트 블록의 하면이 거의 균일한 가압력으로 맞붙임 시트재를 가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장치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웨이트 블록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그 횡방향으로의 경사를 허용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안내 부재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웨이트 블록의 자중이 확실하게 맞붙임 시트재에 작용하게 된다. 또, 안내 부재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의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이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됨으로써,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이 맞붙임 시트재에 대해서 보다 균일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안내 부재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의 자중을 확실하게 가압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고, 또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기 때문에, 가열 부재가 변형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맞붙임 시트재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시스템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제2도의 C-C선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으로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으로 제2도의 화살표(B) 방향에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5(a)도는 승강 플레이트가 최하 위치에 있을 경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의 조정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5(b)도는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된 경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의 조정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5(c)도는 승강 플레이트가 최상 위치에 있을 경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의 조정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시스템에 있어서의 웨이트 블록에 의한 가압력과 스프링의 인장력(스프링 장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시스템의 승강 구동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종래의 골판지 기계에 설치된 양면기(double facer)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종래의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에 설치되며 에어 가압 방식인 가압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0(a)도는 종래의 에어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선도.
제10(b)도는 종래의 에어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압착력에 견디는 시트압을 나타내는 선도.
제10(c)도는 종래의 에어 가압 방식의 가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압 작용에 의해 가압 벨트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선도.
제11도는 종래의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에 설치되며 플레이트 가압식인 가압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2(a)도는 종래의 플레이트 가압식의 가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선도.
제12(b)도는 종래의 플레이트 가압식의 가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열판이 횡폭방향 중앙에서 오목하게 변형된 경우를 도시하는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면 골판지 시트 2 : 웨이트 블록
3 : 스프링 4 : 승강 플레이트
5 : 승강 구동 수단 5a : 에어 실린더
8a : 전방 벽 8b : 후방 벽
8c : 절결부 11 : 가열 파트
14 : 리프트 장치 21 : 냉각 파트
22 : 편면 골판지 시트 23 : 라이너
24 : 풀칠 장치 32 : 풀칠 기계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의 가압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이동시키면서 맞붙여서, 맞붙임 시트재를 제조하는 것이며, 편면기, 양면기, 슬리터 스코어 컷오프 스택커 등으로 이루어진 드라이 엔드와, 적재부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서는, 편면기에서 형성된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가 양면기에서 맞붙여져서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고, 이 양면 골판지 시트를 드라이 엔드에서 절단해서 분할판 형상의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여, 적재부에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예를 들면, 다수의 종이를 맞붙여서 골판지(양면 골판지 시트, 이하 골판지 또는 양면 골판지라 함)를 제조하는 것이며, 이하, 양면 골판지 시트 제조 장치(이하, 골판지 기계 또는 골판지기라 함)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골판지 기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재와 이면 시트재를 이동시키면서 가압해서 맞붙이는 맞붙임 장치인 양면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서는, 이 양면기의 가압장치가 특징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우선 이 양면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기술(제8도 참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골판지 기계의 양면기는 가열 파트(11)와 냉각 파트(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면기의 상류쪽의 편면기(도시생략)에서 형성되고, 또한 풀칠 장치(24)에 의해 풀칠된 편면 골판지 시트(이면 시트재)(22)와, 라이너 원지 공급부(도시생략)로부터 반송되는 라이너(표면 시트재)(23)를 맞붙이고, 맞붙임재로서의 양면 골판지 시트(또는, 복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양면기를 구성하는 가열 파트(11)는, 편면 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를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편면 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를 접착시켜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형성하는 것이며, 예열부(25)와, 가열 부재인 열판(heating box)(12)과, 가압 벨트(15)와, 후술하는 가압 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면 골판지 시트(22) 및 라이너(23)는 예열부(25)에서 롤러에 감겨지면서 예열 및 조질되고, 가열 파트(11)의 상측에 열판(가열 부재)(12)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가압 벨트(무단 가압 벨트)(15)에 의해서 반송되면서, 후술하는 가압장치(50)에 의해 가압되고, 가열 파트(11)의 하측에 배치된 열판(12)에 억눌려서 가열되어, 양면 골판지 시트(1)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열판(12)은 증기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로 가열된 다수의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구성하는 라이너(23)(맞붙임 시트재의 이면)에 접촉하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판(12)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파트(11)의 양 측부 아래쪽에 이동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된 메인 프레임(40)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은 도시생략의 지주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 양면기를 구성하는 냉각 파트(21)는 가열 파트(11)에 의해 제조된 양면골판지 시트(1)를 냉각시키고, 편면 골판지 시트(22)와 라이너(23)의 접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냉각에 있어서의 찌부러짐이나 휨변형 등을 수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 냉각 파트(21)는 반송 벨트(27), 가압 벨트(15), 가압부(28) 등으로 구성되고, 양면 골판지 시트(1)가 냉각 파트(21)의 하측에 배치된 반송 벨트(27)와 냉각 파트(21)의 상측에 배치된 가압 벨트(15)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서 반송되면서, 가압부(28)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28)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압 벨트(15)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특징이 되는 가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장치(50)는, 지지 부재인 승강 플레이트(4)와, 다수의 웨이트 블록(2)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4)와 각 웨이트 블록(2) 사이에 장착된 탄성 부재인 스프링(3)과, 승강 플레이트(4)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수단(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장치(50)는, 가열 부재인 열판(12)에 대향하도록 상측 위치에 설치되고, 이 열판(12)에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억눌러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압 장치(50)는 승강 플레이트(4)에 스프링(3)을 거쳐서 매달린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의 수직 방향으로의 자중을 가압력(가압력)으로서, 양면 골판지 시트(1)에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은 모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횡단면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웨이트 블록(2)의 이동 방향의 상류쪽(제2도 중에서 좌측)은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이동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웨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웨이트 블록(2)을 그 횡단면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것은, 열변형에 의한 변형을 적게 하는 동시에 세분화함으로써 반송되는 양면골판지 시트(1)의 양단부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웨이트 블록(2)은, 예를 들면 약 40mm 정도의 판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것은 이러한 판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종래기술(제9도 참조)에서 설명한 공기압식의 가압 장치(50)에 있어서,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를 맞붙여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최대 300mmAg 정도의 압력(가압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를 맞붙여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300mmAg 정도의 압력은 300kg/m2의 하중에 해당하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2)을 강제로 제조했을 경우, 이 웨이트 블록(2)을 열판(12)상에 전체적으로 위치시켰다고 하면 300mm/7.8(비중)≒38mm가 된다. 따라서, 웨이트 블록(2)을 약 40mm의 판 두께로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병렬로[즉,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상호의 설치간격을 좁혀서, 스프링(인장스프링)(3)을 개재해서 승강 플레이트(4)에 매달려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 블록(2)은 양면 골판지 시트(1)를 반송하는 가압 벨트(15)의 배면에 활주 접촉하면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3)은 각 웨이트 블록(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류쪽과 하류쪽의 2개소에 간격을 두고서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3)은 코일 스프링이며, 각 웨이트 블록(2)을 잡아당기는 방향의 힘(인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웨이트 블록(2)의 수직하향의 자중과 스프링(3)의 수직상향의 인장력과의 균형에 의해 양면 골판지 시트(1)로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4)는 이동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류쪽과 하류쪽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용 플레이트부(4a, 4b)로 구성되고,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배치된 “U”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의 단면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배치된 “U”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4)는 핀(6)을 개재해서 후술하는 승강 구동 수단(5)에 자유회전하게 장착되어 있다. 핀(6)은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을 따라서 좌우 2개소에 장착되고, 승강 구동 수단(5)은 홈형 형상으로 형성된 홈형 횡비임(7)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4)는 승강 구동 수단(5)에 의해서 승강된다. 또한, 이때, 승강 플레이트(4)의 양 측부를 구성하는 연결 플레이트부(4d)가 후술하는 홈형 횡비임(7)에 고정된 측벽(9a, 9b)의 내측면을 따라서 활주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 구동 수단(5)은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을 매단 승강 플레이트(4)를 승강시키는 것이며, 웨이트 블록(2)을 끌어올리는 스프링(3)의 인장력은 에어 실린더(5a)에 부가하는 압축 공기압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구동 수단(5)은 승강 플레이트(4)에 장착된 핀(6)에 연결된 로드(20)를 가진 단동식의 에어 실린더(5a)와, 이 에어 실린더(5a)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압축 공기원)(16)와, 이들 에어 실린더(5a)와 콤프레서(16)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7), 레귤레이터(18), 전자 밸브(19)로 구성 되어 있다.
그리고, 콤프레서(16)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배관(17) 등을 거쳐서 에어 실린더(5a)의 로드 수축측의 실린더[즉, 승강 플레이트(4)를 상승시키는 쪽의 실린더]에 공급함으로써 , 에어 실린더(5a)내의 로드(20)를 구동해서, 승강 플레이트(4)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콤프레서(16)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의 압력은 레귤레이터(18)에 의해 조정되며, 이러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전자 밸브(19)에 의해서 제어되게 된다.
또한, 에어 실린더(5a)는 수동으로 또는 제어 장치를 사용해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구동 수단(5)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2)의 높이위치를 조정하여, 양면 골판지 시트(1)로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은,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서, 적절한 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연약한 시트재의 경우에는 양면 골판지 시트(1)를 눌러찌부러뜨려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낮은 가압력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는 한편, 강성이 높은 시트재의 경우에는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를 확실하게 맞붙이기 위해서 높은 가압력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승강 구동 수단(5)은 홈형 횡비임(7)에 고정되어 있으며, 홈형 횡비임(7)의 횡폭방향을 따라서 2개의 에어 실린더(5a)가 간격을 두고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 실린더(5a)가 장착되어 있는 홈형 횡비임(7)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형 횡비임(7)에는 이동 방향의 전후에 그 단면이 L자형인 전방 벽(안내 부재)(8a)과 후방 벽(안내 부재)(8b)이 장착되어 있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벽(8b)의 하단부에는 빗살형상의 다수의 절결부(8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8c)에 단면이 폭 방향으로 축소된 웨이트 블록(2)의 후단부(2b)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3(a)도 및 제3(b)도에서는, 후방 벽(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8c)에 단면이 폭 방향으로 축소된 웨이트 블록(2)의 전단부(2a)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8c)에 의해 웨이트 블록(2)의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절결부(8c)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양면 골판지 시트(1)에 걸리는 가압력을 조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도록 절결부(8c)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가압면인 열판(12)이 열 등에 의해 변형되어 있을 경우에, 웨이트 블록(2)이 경사하도록 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결부(8c)는 웨이트 블록(2)의 횡방향으로의 경사를 허용하나, 골판지 시트(1)의 횡폭방향에 대한 횡으로의 흔들림은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홈형 횡비임(7), 전방 벽(8a) 및 후방 벽(8b)의 양측부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9a, 9b)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형횡비임(7), 측벽(9a, 9b), 전방 벽(8a), 후방 벽(8b)에 의해서 가압 박스(10)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9a, 9b)은 가압 박스(10)의 횡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2)의 횡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박스(10)를 구성하는 측벽(9a, 9b)에는 가열 파트(1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된 가동 프레임(43)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가동 프레임(43)은 프레임(13)의 상부에 고정된 리프트 장치(14)에 와이어(60)에 의해 매달려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43)을 리프트 장치(14)에 의해 승강 구동시킴으로써, 가압 박스(10)를 상하 이동시켜, 가압 박스(10)내에 장착되어 있는 웨이트 블록(2)을 열판(12)에 대해서 격리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가동 프레임(43)의 외측면 프레임(13)의 내측면에 활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 장치(14)는 이동 방향을 따라서 다수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장치에 있어서 하기와 같이 가압력의 조정을 행하면서 맞붙임 시트재를 제조한다.
우선,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5a)의 로드(20)를 상승시키도록 승강 구동 수단(5)을 구동시킴으로써, 승강 플레이트(4)를 최상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동시에, 리프트 장치(14)에 의해서 가압 박스(10)를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웨이트 블록(2)의 자중에 의한 수직 아래쪽으로의 힘까지 스프링(3)의 인장력을 발휘시키도록 하여 웨이트 블록(2)을 들어올린다.
이에 의하면, 웨이트 블록(2)[가압 벨트(15)]과 열판(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e)가 형성됨으로써, 이 틈새(e)에 편면 골판지 시트 및 라이너(즉, 양면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열판(12)의 상면의 청소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반송하고, 그후 양면 골판지 시트(1)의 맞붙임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가압력(시트압 압력)으로 설정한다.
이 가압력의 설정은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한다.
먼저, 양면 골판지 시트(1)의 강성이 높은 경우는 리프트 장치(14)를 작동시켜서 가압 박스(10)를 소정의 높이 위치에 설정하고,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5a)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감소시킨다(또는 0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승강 플레이트(4)를 최하 위치까지 하강시켜, 스프링(3)의 인장력을 작게 하고(또는, 0으로 한다), 가압 벨트(15)의 배면에 웨이트 블록(2)의 전체 자중을 작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의 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 및 스프링(3)의 인장력(Ts)(스프링 장력)은 제6(a)도에 나타낸 영역으로 도시한 값으로 되어 있으며, 양면 골판지 시트(1)에 걸리는 하중(L)[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은 웨이트 블록(2)의 전체 자중과 동등하게 된다. 또한, 제6도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a)의 영역으로부터 (c)의 영역의 방향으로 갈수록] 지지 부재인 승강 플레이트(4)의 높이 (H)는 높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강성이 높은 양면 골판지 시트(1)에는 가압 벨트(15) 및 웨이트 블록(2)의 전체 중량이 작용하게 되어, 강성이 높은 양면 골판지 시트라도 확실하게 가압되고, 편면 골판지 시트와 라이너가 확실하게 맞붙여진다.
한편, 양면 골판지 시트(1)의 강성이 낮은 경우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5a)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승강 플레이트(4)를 상승시켜, 스프링(3)의 인장력(Ts)을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2)에 대해서 수직 위쪽으로 들어올림힘이 서서히 크게 되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2)에 의한 양면 골판지 시트(1)에의 가압력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 및 스프링(3)의 인장력[스프링 장력)(Ts)]은, 제6(b)도에 나타낸 영역으로 도시한 값으로 되어 있으며, 양면 골판지 시트(1)에 걸리는 하중(L)(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은 웨이트 블록(2)의 자중으로부터 스프링(3)의 인장력(Ts)을 뺀 크기의 값으로 된다.
그리고,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5a)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승강 플레이트(4)를 더욱 상승시켜서, 스프링(3)의 인장력(Ts)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서, 스프링(3)의 인장력(Ts)이 웨이트 블록(2)의 자중보다도 크게 되고, 이윽고 웨이트 블록(2)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을 0으로 하고, 양면 골판지 시트(1)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가압 벨트(15)의 중량만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 및 스프링(3)의 인장력[스프링 장력(Ts)]은, 제6(c)도에 나타낸 영역으로 도시한 값으로 되어 있으며, 양면 골판지 시트(1)에 걸리는 하중(L)[웨이트 블록(2)에 의한 가압력(Pw)]은 0으로 된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5a)에 공급되는 공기압을 증감시킴으로써, 웨이트 블록(2)에 의한 시트 가압력(Pw)을 웨이트 블록(2)의 전체 중량에서부터 0까지의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시키는 가능하며, 가장 최적의 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맞붙임 시트재 제조용 가압 장치는, 이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다수의 웨이트 블록(2)에 있어서, 항상 수직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자중의 힘을 사용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을 구비한 승강 플레이트(4)를 승강 구동 수단(5)에 의해서 승강시켜서,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의 위치를 수직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웨이트 블록(2)을 매다는 스프링(3)의 탄성력을 증감조정해서, 웨이트 블록(2)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증감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다수의 웨이트 블록(2)에 의해 양면 골판지 시트(1)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어, 강성이 보다 높은 고품질의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할 때에, 그 가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골판지 시트원지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특히, 양면 골판지 시트(1)의 횡폭 양단부가 눌려찌부러지지 않고, 또 평면성이 좋은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의 하면이 거의 균일한 가압력으로 맞붙임 시트재를 가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에 부가하여, 시트 전체면에 걸쳐서 균일한 맞붙임 힘을 가진, 즉 강성이 보다 높은 고품질의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가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조 속도의 고속화, 즉 생산성의 대폭적인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웨이트 블록(2)의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안내 부재인 전방 벽(8a)및 후방 벽(8b)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2)의 자중을 확실하게 가압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기 때문에, 열판(12)이 변형했을 경우라도 양면 골판지 시트(1)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각각의 웨이트 블록(2)은 장치의 횡폭방향에 있어서 다수로 잘게 분할해 있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 자체의 열변형도 작아진다.
또, 양면 골판지 시트(1)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가지게 하여, 예를 들면 열판(12)의 1매간격으로 가압 장치(50)를 설치하면, 양면 골판지 시트(1)내에 잔류하는 수분의 빠짐(증발) 기능이 향상되어, 시트의 휨, 찌부러짐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압 장치(50)는,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을 스프링(3)을 개재해서 승강 플레이트(4)에 매달리게 하고, 또한 승강 플레이트(4)를 핀(6)을 개재해서 승강 구동 수단(5)에 요동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 블록(2)의 전후가 자유롭게 요동승강할 수 있고, 가압 벨트(15)를 개재해서 아래쪽의 열판(12)의 변형에 대응해서 양면 골판지 시트(1)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맞붙임 시트재 제조용 가압 장치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것과 승강 구동 수단이 상이하다.
즉, 변형예에서는 에어 실린더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압에 의해서 제어하는 승강 구동 수단 대신에, 모터 실린더에 의해서 제어하는 승강 구동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모터 실린더(5b)를 구동시킴으로써 신축하는 로드(20)를 개재해서, 승강 플레이트(4)를 소정의 높이 위치로 이동설정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승강 구동 수단에서는, 양면 골판지 시트(1)의 맞붙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높이 위치의 검지방법으로서 인코더 기타 여러 가지의 수단을 설치하여, 제어장치를 개재해서 자동제어할 수도 있다.
또, 골판지 시트의 이동 이송 수단으로서 종래와 같이 골판지 상부 표면에 무단 가압 벨트를 병용할 수도 있으며, 피드 롤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가압 벨트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며 , 이 경우 사용부품류의 내구성이 증대하고, 또한 보수점검 및 수리에 관한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서는, 승강 구동 수단(5)의 에어 실린더(5a)를 단동식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의 양측 챔버의 압축 공기를 부가하고, 압력 균형에 의해서 피스톤 위치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승강 플레이트(4)의 승강 구동 수단(5) 및 가압 박스(10)의 리프트 장치(14)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여러 가지의 구성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의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웨이트 블록(2)을 탄성 부재인 스프링(코일 스프링)(3)에 의해 매달도록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다른 종류의 스프링이나 고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웨이트 블록의 자중을 이용하여 맞붙임 시트재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고, 웨이트 블록을 매다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증감조정하여 웨이트 블록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증감 조정할 수 있으며, 안내 부재에 의해서 웨이트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됨으로써 웨이트 블록 자중을 확실하게 가압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 및 횡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어 가열 부재가 변형했을 경우라도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맞붙임 시트재를 제조하기 위한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a struck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system)에 있어서, 전방 시트재와 후방 시트재가 상기 시스템을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에 이들 시트재를 함께 맞붙이기 위한 맞붙임 장치(a sticking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맞붙임 장치는 상기 맞붙인 시트재의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시켜서 시트재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부재와, 상기 맞붙임 시트재를 상기 가열 부재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가열 부재에 대향 위치된 가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장치가 이동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지지 부재와; 각기 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현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웨이트 블록(a plurality of weight blocks)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각 웨이트 블록에 연결된 제 1 단부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된 대향 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다수의 웨이트 블록과; 상기 지지 부재를 수직 이동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대향 단부의 장착 높이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발생되고 각 블록에 가해진 탄성력이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맞붙임 시트재에 가해진 가압력이 선택될 수 있게 하는 승강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붙임 장치가 상기 맞붙임 시트재인 양면 골판지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양면기(a double facer)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각 웨이트 블록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웨이트 블록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각 웨이트 블록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과 수평 방향으로의 경사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 부재(a guiding member)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각 웨이트 블록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웨이트 블록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각 웨이트 블록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과 수평 방향으로의 경사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각 웨이트 블록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과 수평 방향으로의 경사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 구동 수단에 고정된 비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부재는 이동 방향에서 상기 비임의 대향 측면에 고정된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벽은 상기 웨이트 블록을 둘러싸기 위한 절결부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 구동 수단에 고정된 비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부재는 이동 방향에서 상기 비임의 대향 측면에 고정된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벽은 상기 웨이트 블록을 둘러싸기 위한 절결부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 구동 수단에 고정된 비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부재는 이동 방향에서 상기 비임의 대향 측면에 고정된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벽은 상기 웨이트 블록을 둘러싸기 위한 절결부를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KR1019970057067A 1996-10-31 1997-10-31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KR100271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290577 1996-10-31
JP29057796A JP3524698B2 (ja) 1996-10-31 1996-10-31 加圧装置付き貼合シート材製造システム
JP96-290577 1996-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89A KR19980033389A (ko) 1998-07-25
KR100271839B1 true KR100271839B1 (ko) 2000-11-15

Family

ID=1775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067A KR100271839B1 (ko) 1996-10-31 1997-10-31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10230A (ko)
EP (1) EP0839642B1 (ko)
JP (1) JP3524698B2 (ko)
KR (1) KR100271839B1 (ko)
AU (1) AU735235B2 (ko)
DE (1) DE697194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409B2 (en) * 2001-02-14 2003-06-17 Lexmark International, Inc. Segmented compliant platen for film sealing on ink jet cartridges
ES2324610T3 (es) * 2003-06-27 2009-08-11 Fosber S.P.A. Dispositivo para unir hojas de carton para formar carton ondulado.
TWM293843U (en) * 2005-12-12 2006-07-11 Guang-Shiung Wu Improved pasting machine for double-sided composite corrugated paper
TW200936469A (en) * 2008-02-26 2009-09-01 Tzu-Che Lin Pushing device
CN101590693B (zh) * 2009-06-12 2012-06-20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失禁裤、训练裤腰围热压焊接设备
CN103407622A (zh) * 2013-06-27 2013-11-27 蚌埠申徽彩色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纸板成型碾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8734A (en) * 1966-02-07 1969-09-23 S & S Corrugated Paper Mac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rrugated board
DE1957270B1 (de) * 1969-11-14 1971-04-22 Eickhoff Geb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ellpappe mit doppelseitig glatter Deckbahn
US5456783A (en) * 1993-05-06 1995-10-10 Interfic Develop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heating uniformity for setting adhesive in corrugated paperboard manufacturing
US5526739A (en) * 1993-09-22 1996-06-18 Corrugated Gear & Services Inc. Apparatus for applying variable pressure to a surface
US5466329A (en) * 1994-06-03 1995-11-14 Marquip, Inc. Adjustable ballast system for the holddown belt in a double f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0230A (en) 1999-06-08
JPH10128882A (ja) 1998-05-19
AU2365397A (en) 1998-05-07
EP0839642B1 (en) 2003-03-05
AU735235B2 (en) 2001-07-05
DE69719446D1 (de) 2003-04-10
DE69719446T2 (de) 2003-10-02
EP0839642A1 (en) 1998-05-06
JP3524698B2 (ja) 2004-05-10
KR19980033389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5406B2 (ja) 波板紙の製造工程で糊付けの均一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装置
US8307870B2 (en) Heat plate unit and double facer for fabricating double-faced corrugated fiberboard
US5466329A (en) Adjustable ballast system for the holddown belt in a double facer
US5993587A (en) Double facer with threading means
KR100271839B1 (ko) 가압 장치를 구비한 맞붙임 시트재 제조 시스템
US375383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double faced corrugated paperboard
JPH08109590A (ja) ダブルフェ−サ−での調整式バラスト・システムの制御
WO19980476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rugated paperboard
EP1491326B1 (en) Device for joining sheets of cardboard to form corrugated cardboard
CN102917865A (zh) 用于在连续运行式压力机内生产材料板的方法和连续运行式压力机
JP6143645B2 (ja) 両面段ボールシート反り防止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両面段ボールシート製造装置
US5902502A (en) Corrugated paper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JPH1067005A (ja) 連続的に作業するプレス
KR0167790B1 (ko) 적층 유리판의 가압 조립체용 장치
JPH11300859A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ダブルフェーサ
JP4813715B2 (ja) 少なくとも2枚のプラスチックストリップからなる積層構造体を区分毎にラミネートするための装置
KR102519258B1 (ko) 오픈형 라미네이션 장치
US6189445B1 (en) Heating device for an installation producing corrugated cardboard
JPH10305499A (ja) ダブルフェーサ
WO1999024249A1 (en) Corrugated paper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heat transfer to an advancing corrugated paperboard sheet
JPH04284201A (ja) 板状物の加熱装置
JP2002307581A (ja) ダブルフェーサの加圧装置
WO2009128697A1 (en) Means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corrugated board production
JPH04107031U (ja) ダブルフエ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