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740A -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740A
KR20220143740A KR1020227032470A KR20227032470A KR20220143740A KR 20220143740 A KR20220143740 A KR 20220143740A KR 1020227032470 A KR1020227032470 A KR 1020227032470A KR 20227032470 A KR20227032470 A KR 20227032470A KR 20220143740 A KR20220143740 A KR 2022014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il
mass
less
water emul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타로우 소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4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본 발명은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자외선으로부터의 방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요구도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의 수요로부터, 산뜻한 사용감으로 연속 사용하기 쉬운, 수중유형 유화형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는, 자외선 방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되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펜산2-에틸헥실에스테르) 는 UVB 영역에서 극대 흡수 파장을 갖고, 유제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민감한 피부의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경우도 있어,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저감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078054호 (특허문헌 1) 에서는, 액상 자외선 흡수제로서,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배합량을 억제해도 높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안정적이고 사용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특정한 고형 자외선 흡수제, 특정한 에스테르유 및 굴절률이 특정한 범위인 자외선 산란제를 특정한 배합량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기재되고,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배합량이 3 질량% 이하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서는,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끈적거림이 발생되고, 또한 그 위로부터 화장 하지 (下地) 나 파운데이션을 도포했을 때의 화장이 잘 먹지 않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함유량이 낮아도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적고, 화장이 잘 먹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이 억제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액체상 유제,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및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및 그 액체상 유제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그 미립자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특정한 범위이고, 그 액체상 유제로서 사용되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특정한 값 이하임으로써, 높은 유화 안정성이 얻어짐과 함께, 자외선 방어능이 우수하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적으며, 화장이 잘 먹으며,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이 억제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함유량이 낮아도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적고, 화장이 잘 먹으며,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이 억제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이하,「유화 화장료」라고도 한다) 는,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이란,「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것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액체상」이란, 1 기압 하, 25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유동성을 갖는 상태를 말하고, 즉,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 있는 상태 (융점을 갖지 않는 비정성 물질에 있어서는 용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 있는 상태) 를 말한다. 또,「고체상」이란, 1 기압 하, 25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유동성을 갖지 않는 상태를 말하고, 즉, 융점 미만의 온도 조건 하에 있는 상태 (융점을 갖지 않는 비정성 물질에 있어서는 용융점 미만의 온도 조건 하에 있는 상태) 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비수용성」이란,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w/w%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함유량이 낮아도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적고, 화장이 잘 먹게 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은 그 표면이 소수화 처리되어 이루어지고, 또, 연속상인 수상을 증점시키는 증점제로서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미립자 금속 산화물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의 적용에 있어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유상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유상이 되는 유제로서, 고체상의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및 액체상 유제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고,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산란 또는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함유량이 낮아도 자외선 방어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는, 상기 유제와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도막에 의해서, 화장이 잘 먹게 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에서, 액체상 유제로서 사용되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은,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일으키게 하는 성분으로서, 피부의 번들거림은, 이들 성분과 피부로부터 분비된 피지에 포함되는 굴절률이 높은 기름이 상용함으로써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특정한 값 이하임으로써, 도포시의 끈적거림 및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억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성분 (A1) 로서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다.
성분 (A1) 로는,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분 (A1) 은, 바람직하게는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 있어서, 성분 (A1) 은 성분 (A2) 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1) 의 시판품으로는,「PARSOL 1789」(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DSM 사 제조) ;「UVINUL A PLUS」(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UVINUL T-150」(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UVINUL M40」(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TINOSORB S」(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이상, BASF 사 제조) ;「Mosacare A440」(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UFC CORPORATION 사 제조) ;「소프트셰이드 DH」(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아지노모토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A1) 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8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 5 질량% 이다.
<성분 (A2) : 액체상 유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성분 (A2) 로서 액체상 유제를 함유한다.
성분 (A2) 는, 전술한 바와 같이 1 기압 하, 25 ℃ 의 환경 하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제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상기 (A2) 성분으로서, 자외선 방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된다.
성분 (A2) 의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신남산에스테르 혼합물, 트리메톡시신남산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부틸옥틸,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호모멘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 옥토크릴렌 ;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 아디프산과 네오펜틸글리콜의 공중합체의 말단을 옥틸도데칸올 또는 시아노디페닐프로펜산으로 봉쇄한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는, 1 종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UVINUL MC80」(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BASF 사 제조) ;「PARSOL 340」(옥토크릴렌) (DSM 뉴트리션 재팬 주식회사 제조) ;「PARSOL EHS」(살리실산2-에틸헥실),「PARSOL HMS」(살리실산호모멘틸),「PARSOL SLX」(폴리실리콘-15 (INCI 명 : Polysilicone-15)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이상, DSM 사 제조) ;「Polycrylene」(폴리에스테르-8 (INCI 명 : Polyester-8) (아디프산과 네오펜틸글리콜의 공중합체의 말단을 옥틸도데칸올 또는 시아노디페닐프로펜산으로 봉쇄한 코폴리머) (Hallstar 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단,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은,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즉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은 함유 하지 않는 것이다.
성분 (A2) 는,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상기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다른 액체상 유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액체상 유제로는, 1 기압 하, 25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액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제를 들 수 있다.
다른 액체상 유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및 고급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체상 유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합성 에스테르유, 천연 유지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1 가 카르복실산과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1 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다가 카르복실산과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1 가 카르복실산과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R1-COO-R2 (1)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은, 수산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탄소수 1 이상 25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이상 24 이하의 방향족 함유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2 는,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R1 이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경우, R1 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다.
R1 이 방향족 함유 탄화수소기인 경우, R1 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R2 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이소옥탄산세틸(2-에틸헥산산세틸), 이소옥탄산스테아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부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데실,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2-헥실데실,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올레산에틸,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2-옥틸도데실,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라놀린,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 (리시놀레산메틸), 및 벤조산알킬 (알킬의 탄소수 12 ∼ 1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1 가 카르복실산과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도 들 수 있다.
R3-COO-(AO)n-R4 (2)
일반식 (2) 에 있어서, R3 은, 수산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탄소수 1 이상 25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며, R4 는 탄소수 6 이상 24 이하의 방향족 함유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AO 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이상 50 이하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R3 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7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의 알킬기이다.
R4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의 방향족 함유 탄화수소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벤질기이다.
AO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시기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옥시기이고, n 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미리스트산과 벤질알코올의 프로필렌옥사이드 3 몰 부가체의 에스테르 (크로다사 제조 : 크로다몰 STS), 2-에틸헥산산과 벤질알코올의 프로필렌옥사이드 3 몰 부가체의 에스테르 (크로다사 제조 : 크로다몰 SFX) 등을 들 수 있다.
1 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R5-(OCOR6)p (3)
일반식 (3) 에 있어서, R5 는 다가 알코올 잔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탄화수소기이며, R6 은 탄소수 1 이상 25 이하의 1 가 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p 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R5 는 에테르 결합을 가져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탄화수소기이다. 또, p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가 알코올이 갖는 하이드록시기와 동일한 수이다.
R6 은,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의 알킬기이다.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로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2-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릴산/카프르산)프로판디올, 디이소스테아르산프로판디올,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천연 유지를 들 수 있다.
천연 유지로는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참깨유, 미강유, 서플라워유, 다이즈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피마자유, 면실유, 밍크유 등의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복실산과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로는,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도 들 수 있다.
R7-(COOR8)q (4)
일반식 (4) 에 있어서, R7 은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다가 카르복실산 잔기이고, R8 은 탄소수 1 이상 25 이하의 1 가 알코올 잔기를 나타내며, q 는 2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또, q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이 갖는 카르복실기와 동일한 수이다.
R8 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트리멜리트산트리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에스테르유는,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1), 일반식 (3) 또는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이상 18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과 탄소수 2 이상 24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1 가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테트라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분기 사슬의 2 가 알코올의 디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의 1 가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및 벤조산알킬 (C12 ∼ 15) (예를 들어,「핀솔브 TN」(Innospec Active Chemicals LLC 제조))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트리멜리트산트리2-에틸헥실, 및 벤조산알킬 (C12 ∼ 1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상기 실리콘유는,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00 ㎟/s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이다.
상기 실리콘유의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ASTM D 445-46T 또는 JIS Z 8803 에 준하여, 우베로데 점도계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실리콘유의 시판품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KF-96A-6cs」(디메틸폴리실록산),「KF-96A-10cs」(디메틸폴리실록산),「KF-96A-20cs」(디메틸폴리실록산),「KF-96A-100cs」(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의 구체예로는, 유동 파라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시클로파라핀, 유동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스쿠알란, 프리스탄, α-올레핀 올리고머, 폴리부텐, 이소헥사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2-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분기 또는 불포화의 탄소수 12 이상 24 이하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기 또는 불포화의 탄소수 12 이상 24 이하의 고급 1 가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는,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성분 (A2) 는,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1), 일반식 (3) 또는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이상 18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과 탄소수 2 이상 24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1 가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테트라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 지방산과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분기 사슬의 2 가 알코올의 디에스테르,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분기 사슬의 1 가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벤조산알킬 (C12 ∼ 15),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00 ㎟/s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트리멜리트산트리2-에틸헥실, 벤조산알킬 (C12 ∼ 15),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00 ㎟/s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A2) 의 함유량은,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2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17 질량% 이다.
성분 (A2) 가, 액체상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다른 액체상 유제로서,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 성분 (A2) 중의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A1) 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A2) 의 함유량의 질량비 [(A2)/(A1)] (이하,「함유 질량비 [(A2)/(A1)]」이라고도 한다) 은, 성분 (A1) 을 용해시키고, 성분 (C) 를 넣어,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그리고,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 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 7,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7 이다.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연속상인 수상을 증점시키고,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유상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시켜,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성분 (B) 로서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한다.
성분 (B) 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 (이하,「AMPS」라고도 한다)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AMPS 의 단독 중합체 및 그 염,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AMPS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AMPS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성분 (B) 의 구체예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AMPS/아크릴산) 공중합체, (AMPS/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AMPS/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AMPS/디메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AMPS/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공중합체, (AMPS/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AMPS/비닐포름아미드) 공중합체, (AMPS/메타크릴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 10 ∼ 30))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INCI 명 :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INCI 명 : 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아크릴산 Na/디메틸아크릴아미드) 크로스폴리머 (INCI 명 : Sodium Acrylate/Acryloyldimethyl taurate/Dimethylacrylamide Crosspolymer),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INCI 명 : Ammonium Acryloyldimethyl taurate/VP Copolymer),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Na) 코폴리머 (INCI 명 : Polyacrylate-13),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디메틸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산라우레스-4) 크로스폴리머 (INCI 명 : Polyacrylate Crosspolymer-6),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 크로스폴리머 (INCI 명 :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5) 크로스폴리머 (INCI 명 :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Stear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 를 함유하는 시판품으로는,「SEPIGEL 501」(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소르베이트 85, 미네랄 오일, 이소파라핀),「SEPIGEL 305」(폴리아크릴아미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또는 (C13, 14) 이소파라핀), 라우레스-7, 물),「SIMULGEL EG」((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이소헥사데칸, 폴리소르베이트 (80)),「SEPIMAX ZEN」((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디메틸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산라우레스-4) 크로스폴리머),「SEPINOV EMT 10」((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폴리소르베이트 60),「SIMULGEL NS」((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스쿠알란, 폴리소르베이트 60, 물),「SIMULGEL FL」((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이소헥사데칸, 폴리소르베이트 60, 물),「SEPIPLUS S」((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폴리이소부텐, PEG-7 트리메틸올프로판 야자유 알킬에테르, 물),「SEPIPLUS 400」((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Na) 코폴리머,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 물) (이상, SEPPIC 사 제조) ;「Aristoflex AVC」((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t-부탄올, 물),「Aristoflex HMB」((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 크로스폴리머, t-부탄올, 물),「Aristoflex HMS」((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5) 크로스폴리머) (이상, 클라리언트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분 (B) 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연속상인 수상을 증점시키고,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유상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시켜,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 ∼ 3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1.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 1.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 1 질량% 이다.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성분 (C) 로서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다.
성분 (C) 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티탄, 및 미립자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또, 이들 미립자 금속 산화물은 2 가 이상의 금속을 함유시킬 수 있고, 철, 지르코늄, 칼슘, 망간, 마그네슘, 이트륨 등의 금속 또는 그 산화물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상기 미립자 금속 산화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로는, 실리콘 처리 ;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 지방산 처리 ;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코올 등에 의한 불소 함유 화합물 처리 ; N-아실글루타민산 등에 의한 아미노산 처리 ; 레시틴 처리 ; 금속 비누 처리 ; 알킬인산에스테르 처리 ; N-아실아미노산 금속염 (라우로일아스파르트산나트륨) 과 염화아연과 알콕시티타늄알킬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티탄) 에 의한 ASI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표면 처리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이 중에서도,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및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실리콘 처리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 공중합체 등의 각종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 처리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가 바람직하고,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알콕시실란 처리에 사용하는 표면 처리제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알콕시실란이 바람직하고,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톡시카프릴릴실란) 이 보다 바람직하며,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산 처리에 사용하는 표면 처리제로는,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고급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지방산 처리에 사용하는 표면 처리제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14 이상 22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고급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6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고급 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그리고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알콕시실란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그리고 탄소수 14 이상 22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고급 지방산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전술한 표면 처리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또, 성분 (C) 의 금속 산화물로서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촉매 활성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전술한 소수화 처리에 사용하는 표면 처리제에 더하여, 실리카, 함수 실리카 ;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함수 산화물 등의 처리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C) 에 있어서의 소수화 처리의 처리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 후의 뻑뻑함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C)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C) 의 질량 및 후술하는 평균 1 차 입자경은, 표면 처리제를 함유시킨 질량 및 평균 1 차 입자경을 의미한다.
성분 (C) 의 형상은, 예를 들어, 구상, 박편상, 판상, 봉상, 방추상, 침상, 부정 형상을 들 수 있는데, 임의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은,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고, 그리고, 범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은,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 1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8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50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30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20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10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9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5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5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4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에 의한 관찰 화상으로부터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TEM 에 의해서 관찰 배율 50,000 배의 조건에서 관찰하여, 관찰 화상 중의 300 개의 1 차 입자의 최대 단경을 측정하고, 그 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여기에서, 최대 단경이란, 성분 (C) 가 박편상 및 판상 이외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장경과 직교하는 단경 중, 최대 길이를 갖는 단경을 의미한다. 또, 성분 (C) 가 박편상 또는 판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관찰되는 관찰 화상 중의 300 개의 1 차 입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다.
성분 (C) 는, 성분 (C') 로서 소수화 처리 전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전술한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유를 사용한 표면 처리로는, 일본 특허공보 제318744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립자 산화아연 등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오르가노폴리실록산류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화합물 (단, 실란 화합물을 제외한다) 중 적어도 1 종을 사용하여 비기상 상태에서 피복한 후, 산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600 ∼ 950 ℃ 의 온도에서 소성함으로써, 산화규소로 미립자 금속 산화물의 표면을 피복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알킬알콕시실란을 사용한 표면 처리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690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립자 금속 산화물을 특정한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사용하여 피복 처리한 후에, 알킬알콕시실란을 수중에서 표면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소수화 처리에 사용하는 성분 (C') (소수화 처리 전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 의 평균 1 차 입자경의 바람직한 양태 및 측정 방법은, 성분 (C) 의 바람직한 양태 및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의 시판품으로는, FINEX 시리즈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MZ 시리즈, MZY 시리즈 (이상, 테이카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티탄의 시판품으로는, STR 시리즈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TTO-55 시리즈, TTO-51 시리즈 (이상, 이시하라 산업 주식회사 제조), MT 시리즈, MTY 시리즈 (이상, 테이카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방어 효과를 높이는 관점, 및 유화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27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 2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2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이하,「함유 질량비 [(C)/(A1 + A2)]」라고도 한다) 는,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화장을 잘 먹게 하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0.2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이고, 그리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30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 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0 ∼ 0.8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0 ∼ 0.80 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는,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외에, 화장료의 용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임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당해 임의 성분으로는,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 유제,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중화제, pH 조정제, 살균제, 항염증제, 방부제, 착색제, 킬레이트제, 미백제, 제한제, 곤충 기피제, 생리 활성 성분, 염류, 산화 방지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D) :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추가로 성분 (D) 로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 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650 미만), 1,2-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650 미만), 이소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3 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분 (D)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이상 12 이하의 다가 알코올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다가 알코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이들 알코올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여, 화장이 잘 먹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5 ∼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3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1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 1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1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여, 화장을 잘 먹게 하며,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5 ∼ 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3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1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7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5 질량% 이다.
<성분 (E) :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성분 (E) 로서, 추가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E) 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분 (E) 는,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이고,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EO 평균 부가 몰수 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EO 평균 부가 몰수 40),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EO 평균 부가 몰수 20),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EO 평균 부가 몰수 20), 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EO 평균 부가 몰수 20), 폴리옥시에틸렌 (EO 평균 부가 몰수 7)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EO 평균 부가 몰수 7) 트리메틸올프로판 야자유 알킬에테르,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E)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 ∼ 3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 질량% 이다.
<성분 (F) : 다른 수용성 고분자>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성분 (F) 로서, 증점 작용을 갖는 성분 (B) 이외의 다른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F) 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성분 (B) 이외의 합성 고분자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고분자의 예로는, 잔탄 검, 카라기난, 알긴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잔탄 검이 바람직하다.
반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등의 변성 다당류를 들 수 있다.
성분 (B) 이외의 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보머 (가교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의 성분 (B) 이외의 아크릴계 폴리머 ;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티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카르보머의 시판품으로는,「카르보폴 910」,「카르보폴 934」,「카르보폴 940」,「카르보폴 941」,「카르보폴 980」,「카르보폴 981」(이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는,「카르보폴 1382」,「카르보폴 ETD2020」,「PEMULEN TR-1」,「PEMULEN TR-2」(이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F) 의 함유량은,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사용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 1 질량% 이다.
(수성 매체)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수성 매체로서 성분 (D) 이외에 적어도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 (D) 및 물 이외의 수성 매체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포화 1 가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D) 이외의 수성 매체의 함유량은, 수중유형의 유화 화장료가 될 수 있는 범위이면 되고,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40 ∼ 9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8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 75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 7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샴푸, 린스,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 ; 세안료, 클렌징 화장료, 자외선 차단 화장료, 팩, 마사지 화장료 등의 피부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용도로서, 자외선 차단 화장료 (화장수, 크림, 유액, 미용액 등), 선탠, 화장 하지 화장료, 파운데이션 등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형상, 다층상 등에 적응이 가능하고, 추가로 시트제, 스프레이제, 무스제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성분 (C) 및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임의 성분을 배합하고, 호모 믹서 등에 의해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으로는, 그 중에서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여, 자외선 방어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도포시의 끈적거림을 억제하여, 화장을 잘 먹게 하며,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성분 (A1), 성분 (A2) 및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유용성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는 유상 성분에 성분 (C) 를 분산시킨 분산물과, 성분 (B), 수성 매체 및 필요하게 따라서 전술한 수용성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는 수상 성분의 조제물을 혼합 및 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하기의 공정 I ∼ 공정 III 을 포함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I : 성분 (A1), 성분 (A2), 및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유용성의 임의 성분에 성분 (C) 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성분 (C) 를 분산시킨 분산물 (i) 을 얻는 공정
공정 II : 성분 (B), 수성 매체, 및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수용성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는 수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제물 (ii) 를 얻는 공정
공정 III : 공정 II 에서 얻어진 조제물 (ii) 에 공정 I 에서 얻어진 분산물 (i)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유화시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얻는 공정
공정 I 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C) 의 분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하기의 공정 I-1 및 공정 I-2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I-1 : 성분 (A1), 성분 (A2), 및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유용성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는 유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제물 (i') 를 얻는 공정
공정 I-2 : 공정 I-1 에서 얻어진 조제물 (i') 에 성분 (C) 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성분 (C) 를 분산시킨 분산물 (i) 을 얻는 공정
공정 I-1 에 있어서의 유상 성분의 혼합, 및 공정 II 에 있어서의 수상 성분의 혼합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90 ℃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II 에 있어서, 얻어지는 조제물 (ii) 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35 ℃ 이하의 온도 범위로 냉각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정 III 에 있어서, 공정 II 에서 얻어진 조제물 (ii) 를 교반하면서, 공정 I 에서 얻어진 분산물 (i) 을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90 ℃ 이하로 유지하여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실시양태를 개시한다.
<1>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30 이상 1.5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 추가로 성분 (D) 로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상기 <2> 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4>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5>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0.7 질량% 이하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6>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0.3 질량% 이하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7>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40 이상 1.3 이하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8>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및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9>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그리고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0>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이 1 ㎚ 이상 800 ㎚ 이하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1>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2>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3>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7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4>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인,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5>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2 질량% 이하인,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6> 성분 (B) 가,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7> 성분 (A2) 가,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8> 성분 (A1) 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9>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상기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0>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C) : 평균 1 차 입자경이 1 ㎚ 이상 800 ㎚ 이하의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D) : 다가 알코올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30 이상 1.5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1>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C) : 평균 1 차 입자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인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D) : 다가 알코올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40 이상 1.3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고,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2>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C) : 평균 1 차 입자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인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40 이상 1.3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고,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및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3>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C) : 평균 1 차 입자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인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성분 (D) : 다가 알코올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40 이상 1.3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이고,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하이드로겐디메티콘)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및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4>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0.7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5>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0.3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6>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7>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7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8>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9>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2 질량% 이하인, 상기 <20>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0> 성분 (B) 가,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20>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1> 성분 (A2) 가,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20> ∼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2> 성분 (A1) 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상기 <20> ∼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 (C) 및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
성분 (C) 및 성분 (C') 의 평균 1 차 입자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가 박편상 및 판상 이외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미리 조제한 측정 시료의 분산액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상품명「JEM1400Plus」,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 의 시료대에 재치하여, 풍건시킨 후, TEM 에 의해서 관찰 배율 50,000 배의 조건에서 관찰한 화상 중의 300 개의 1 차 입자의 최대 단경을 측정하고, 그 수 평균치를 각각의 평균 1 차 입자경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최대 단경이란, 장경과 직교하는 단경 중, 최대 길이를 갖는 단경을 의미한다.
측정 시료가 박편상 또는 판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 및 관찰 배율의 조건에서 관찰한 화상 중의 300 개의 1 차 입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수 평균치를 각각의 평균 1 차 입자경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 시료의 분산액은, 측정 시료 5 g 에 용매로서 에탄올 95 g 을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하여 조제하였다.
조제예 1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1 의 조제)
성분 (C') 로서 미립자 산화아연 (대략 구상, 평균 1 차 입자경 25 ㎚) 88 질량부와, 표면 처리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동점도 20 ㎟/s,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12 질량부를 톨루엔 중에 투입하여 잘 교반한 후, 톨루엔을 감압 하에 가열하여 제거하였다. 얻어진 분체를 애터마이저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이어서 고온 가열로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800 ℃ 에서 2 시간 소성 처리를 행하고, 성분 (C) 로서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1 을 얻었다.
조제예 2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2 의 조제)
성분 (C') 로서 미립자 산화아연 (대략 구상, 평균 1 차 입자경 35 ㎚) 93 질량부와, 표면 처리제로서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KF-99P」) 7 질량부와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제조하고, 잘 교반 및 분쇄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가열 증류 제거하고, 공기 중 150 ℃ 에서 4 시간 가열 처리를 행하여, 성분 (C) 로서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2 를 얻었다.
조제예 3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3 의 조제)
성분 (C') 로서 미립자 산화아연 (대략 구상, 평균 1 차 입자경 35 ㎚) 93 질량부와, 표면 처리제로서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7 질량부와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제조하고, 비드 밀 (신마루 엔터프라이제스사 제조 다이노밀) 을 사용하여 분쇄 및 해쇄를 행하였다. 이어서, 톨루엔을 감압 하에 가열 증류 제거한 후, 송풍 기류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150 ℃ 에서 4 시간 가열 처리하고, 성분 (C) 로서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3 을 얻었다.
조제예 4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C4 의 조제)
성분 (C') 로서 미립자 산화티탄 (대략 구상, 평균 1 차 입자경이 10 ㎚) 88 질량부와, 표면 처리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동점도 20 ㎟/s,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12 질량부를 톨루엔 중에 투입하여 잘 교반한 후, 톨루엔을 감압 하에 가열하여 제거하였다. 얻어진 분체를 애터마이저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이어서 고온 가열로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800 ℃ 에서 2 시간 소성 처리를 행하고, 성분 (C) 로서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C4 를 얻었다.
실시예 1 ∼ 26, 비교예 1 ∼ 6, 참고예 1
표 1 ∼ 표 4 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서,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각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표 1 ∼ 표 4 에 나타내는 성분 1 ∼ 21, 46 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80 ℃ 로 가열하고, 용해시켜, 조제물 (i') 를 얻었다 (공정 I-1). 이어서, 얻어진 조제물 (i') 를 80 ℃ 로 유지하면서, 표 1 ∼ 표 4 에 나타내는 성분 27 ∼ 33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산시켜, 분산물 (i) 을 얻었다 (공정 I-2).
별도로, 표 1 ∼ 표 4 에 나타내는 성분 22 ∼ 26, 34 ∼ 45, 49, 50 을 40 ℃ 로 가열하고, 용해시켜, 25 ℃ 까지 자연 냉각시킨 후, 성분 47, 48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제물 (ii) 를 얻었다 (공정 II).
얻어진 조제물 (ii) 를 교반하면서, 80 ℃ 로 유지한 분산물 (i) 을 첨가하여,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유화시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공정 III).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사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1) 자외선 방어능, (2) 유화 안정성, 및 (3) 사용감 (도포시의 끈적거림의 없음, 도포 직후의 화장이 잘 먹음, 및 도포 후 3 시간 경과 후의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없음) 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2, 3 에 대해서는, 조제 직후에 불균일하고,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된 상태였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만을 평가하고, 자외선 방어능 및 사용감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 표 4 에 나타낸다.
(1) 자외선 방어능
표 1 ∼ 표 4 에 나타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정방형의 PMMA 판 (HelioScreen 사 제조「HD6」) 상에 1.3 ㎎/㎠ 의 도포량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5 분간 자연 건조시켜, 측정용 시료로 하였다. 제조된 각 시료에 대해서, SPF 애널라이저 (Optometices 사) 를 사용하여 일정한 거리 (10 ㎜) 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그 때의 투과 자외선을 그 SPF 애널라이저로 파장 290 ∼ 400 ㎚ 의 범위에서 각 시료의 10 개 지점에 있어서 검출하고, 평균화된 스펙트럼을 얻어, SPF 치를 산출하였다.
각 SPF 치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서 성분 (A1) 을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배합으로부터 성분 (A1) 을 정제수로 치환한 것) 에 대한 자외선 방어능 향상률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자외선 방어능 향상률 (%) =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SPF 치)/(참고예 1 의 SPF 치)] × 100
[자외선 방어능 향상률의 평가 기준]
5 : 250 % 이상
4 : 200 % 이상 250 % 미만
3 : 150 % 이상 200 % 미만
2 : 100 이상 150 % 미만
1 : 100 % 미만
(2) 유화 안정성
표 1 ∼ 표 4 에 나타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조제 직후의 유화 상태를 현미경에 의한 관찰, 및 육안에 의한 외관 관찰을 행하고, 하기 판정 기준에 의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판정 기준]
5 : 성분 (C) 가 내상 (유상) 으로 들어가고, 유화 입자경이 10 ∼ 50 ㎛ 인 범위에서 입자경 분포가 매우 좁으며, 유화 입자의 합일도 없고 대략 구형의 깨끗한 유화 입자가 형성되어 있다. 육안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도 윤기가 나고 깨끗한 외관이다.
4 : 성분 (C) 가 내상 (유상) 으로 들어가고, 유화 입자경이 10 ∼ 100 ㎛ 인 범위에서 입자경 분포가 좁으며, 유화 입자의 합일도 없고 대략 구형의 깨끗한 유화 입자가 형성되어 있다. 육안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도 거칠음이 없는 깨끗한 외관이다.
3 : 성분 (C) 가 내상 (유상) 으로 들어가고, 유화 입자가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조제 후 다음날 이후에는 유화 입자의 합일이 일어난다.
2 : 성분 (C) 가 내상 (유상) 으로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유화 입자가 불균일하고, 조제 직후에 유화 입자의 합일이 일어난다. 육안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도 외관이 약간 거칠게 보인다.
1 : 성분 (C) 가 외상 (수상) 으로 새어나가거나, 또는 유화 입자가 형성되지 않으며,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되고, 육안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도 외관이 불균일하게 보인다.
(3) 사용감 (도포시의 끈적거림의 없음, 도포 직후의 화장이 잘 먹음, 및 도포 후 3 시간 경과 후의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없음)
표 1 ∼ 표 4 에 나타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대해서, 화장품 평가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한 사용 테스트를 행하였다. 전문 패널리스트 각자가 각 화장료를 사용하여,「도포시의 끈적거림의 없음」,「도포 직후의 화장이 잘 먹음」, 및「도포 후 3 시간 경과 후의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없음」을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5 단계에서 평가하여 평점을 내고, 그 화장료에 대해서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의 평점의 합계로부터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각 평가의 평균치를 각각 표 1 ∼ 표 4 에 나타낸다.
상기 평균치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그 평균치가 4.0 초과이면 매우 양호, 그 평균치가 4.0 이하 3.0 초과이면 양호, 그 평균치가 3.0 이하 2.0 초과이면 약간 불량, 그 평균치가 2.0 이하이면 불량이다.
또한,「도포 직후의 화장이 잘 먹음」에 대해서는, 각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후, 추가로 그 위로부터 파운데이션을 도포했을 때의 화장이 잘 먹었는지를 평가하고,「도포 후 3 시간 경과 후의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없음」에 대해서는, 각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후, 추가로 그 위로부터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3 시간 경과 후의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의 없음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5 : 양호
4 : 약간 양호
3 : 보통
2 : 약간 불량
1 : 불량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 ∼ 표 4 에 있어서 사용한 성분의 상세함을 아래에 나타낸다.
*1 : DSM 사 제조「PARSOL 1789」
*2 : BASF 사 제조「UVINUL A PLUS」
*3 : BASF 사 제조「UVINUL T-150」
*4 : BASF 사 제조「UVINUL M40」
*5 : UFC CORPORATION 사 제조「Mosacare A440」
*6 : BASF 사 제조「TINOSORB S」
*7 :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KF-96A-6cs」
*8 : BASF 사 제조「UVINUL MC80」
*9 : SEPPIC 사 제조「SEPIGEL 305」(폴리아크릴아미드, 유효분 40 질량%)
*10 : SEPPIC 사 제조「SIMULGEL EG」((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 Na) 코폴리머, 유효분 37.5 질량%)
*11 : SEPPIC 사 제조「SEPINOV EMT 10」((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코폴리머, 유효분 89.3 질량%),
*12 : 클라리언트사 제조「Aristoflex AVC」((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유효분 100 질량%)
*13 :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조「PEMULEN TR-1」
*14 : 조제예 1 에서 얻어진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1
*15 : 조제예 2 에서 얻어진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2
*16 : 조제예 3 에서 얻어진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C3
*17 : 조제예 4 에서 얻어진 디메티콘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C4
*18 :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STR-100W-LP」(평균 1 차 입자경 10 ㎚)
*19 :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STR-100W-OTS」(평균 1 차 입자경 10 ㎚)
*20 : 테이카 주식회사 제조「미립자 산화티탄 MT-N1」(평균 1 차 입자경 7 ㎚)
*21 : 다우·토레이 주식회사 제조「DOWSIL AMS-C30 COSMETIC WAX」(알킬 변성 (C30) 실리콘)
표 1 ∼ 표 4 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비교예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와 비교해서, 우수한 자외선 방어능을 갖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적고, 화장이 잘 먹고,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의 성분 (A1), 성분 (A2), 성분 (B), 및 성분 (C) 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성분 (A1) : 25 ℃ 에서 고체상인 비수용성 유기 자외선 흡수제
    성분 (A2) : 액체상 유제
    성분 (B) :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성분 (C) :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금속 산화물
    성분 (A1) 및 성분 (A2)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질량비 [(C)/(A1 + A2)] 가 0.25 이상 1.8 이하이고,
    성분 (A2) 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총량 중, 2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 (D) 로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이, 미립자 산화아연 및 미립자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및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소수화 처리가,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그리고 지방산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2) 가,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1) 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중합체, 그리고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용도에 사용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1020227032470A 2020-03-26 2021-03-25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20220143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6750 2020-03-26
JP2020056750 2020-03-26
PCT/JP2021/012666 WO2021193854A1 (ja) 2020-03-26 2021-03-25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740A true KR20220143740A (ko) 2022-10-25

Family

ID=7789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470A KR20220143740A (ko) 2020-03-26 2021-03-25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155417A (ko)
KR (1) KR20220143740A (ko)
CN (1) CN115397520A (ko)
TW (1) TW202202124A (ko)
WO (1) WO20211938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4687B (zh) * 2011-11-30 2016-08-24 花王株式会社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6037899B2 (ja) * 2013-03-08 2016-12-07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815310B2 (ja) * 2016-12-07 2021-01-20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紫外線防御化粧料
JP6757713B2 (ja) * 2016-12-28 2020-09-2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7043803B2 (ja) * 2017-11-20 2022-03-30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7520A (zh) 2022-11-25
JP2021155417A (ja) 2021-10-07
TW202202124A (zh) 2022-01-16
WO2021193854A1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977B1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6815310B2 (ja) 水中油型紫外線防御化粧料
JP7043803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10603024A (zh) 水包油型皮肤化妆料
JP2017197434A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220143740A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7410704B2 (ja) 日焼け止め用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8168134A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21161048A (ja) 水中油型組成物
JP2023098402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220133972A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7493978B2 (ja) 水中油型組成物
JP3558247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7309456B2 (ja) 水中油型乳化紫外線防御化粧料
KR20230110253A (ko)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TW202245731A (zh) 水中油型乳化化妝料
JP202113862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21080251A (ja) 皮膚外用剤
JP2022176168A (ja) 皮膚外用剤
JP2023145234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2309830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4116839A1 (ja) 単一相uvケア化粧料
WO2020138429A1 (ja) 皮膚外用剤
JP2020105175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