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471A -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471A
KR20220143471A KR1020210050031A KR20210050031A KR20220143471A KR 20220143471 A KR20220143471 A KR 20220143471A KR 1020210050031 A KR1020210050031 A KR 1020210050031A KR 20210050031 A KR20210050031 A KR 20210050031A KR 20220143471 A KR20220143471 A KR 2022014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pacity
injection sleeve
supply pipe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235B1 (ko
Inventor
고병문
Original Assignee
고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문 filed Critical 고병문
Priority to KR102021005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07Methods or apparatus for cleaning or lubricat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22D17/2023Nozzles or shot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고,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할 때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210)을 포함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PORE FREE APPARATUS FOR DIECAST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슬리브 안에 있는 공기를 산소로 치환한 후 고압사출로 용융금속과 화합시키고, 응고해서 기공을 없애는 무공성 다이캐스팅에 관한 기술이다.
다이캐스팅법은 복잡하고 정밀한 형상의 공동(空洞, cavity)을 가진 금형에 용융금속(용탕)을 주입하여 고정도의 표면이 미려한 주물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하는 주조방식이다.
무공성(pore free) 다이캐스팅법은 미국의 ILZRO(International Lead Zine Research Organization Inc)와 일본경금속(주)가 1968년에 공동 개발된 공법으로서, 슬리브 안에 있는 공기를 가스로 치환한 후 고압사출로 용융금속과 화합시키묘, 응고해서 기공을 없애는 방식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가스는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산소이므로, 무공성(pore free) 다이캐스팅법은 PF법 또는 산소분위기 다이캐스팅법이라 불린다.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은 1968년에 개발된 공법이지만, 2010년 초중반부터 일본에서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선 아직 현장에 적용된 사례가 없다. 최근에는 국내의 일부 자동자부품을 양산하는 업체에서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실험을 하고 있다는 정도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사출 슬리브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사출물의 강성과 연신 등 기계적 또는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켰다. 그러나 종래에는 산소의 공급량을 정밀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거나, 공정과정에서 노즐의 막힘이 발생하여 일정한 품질의 사출물을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87989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고,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할 때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는,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관(211)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할 때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구성된 가스 공급관(210)을 포함하여, 상기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하고, 설정된 양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는, 상기 사출 슬리브에 형성된 노즐(140)을 통하여 가스와 에어를 공급하고,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에어를 공급하여 사출 슬리브와 연결된 캐비티 내의 잔류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관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사출 슬리브에 형성된 주탕구(120)가 폐쇄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주탕구가 개방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하고, 설정된 양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 공급관은 플런저의 이동에 의한 가스의 흐름변동 또는 대류의 열손실에 의한 가스누출을 고려하여 사출과정까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가스 공급관과 제2 가스 공급관으로 구분된 가스 공급관을 이용하여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적량의 가스주입을 제공하여 산화반응에 대한 과반응을 방지할 수 있고, 품질수준이 일정한 고품질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금형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공성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5의 가스 공급의 방법을 상세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의 무공성 다이캐스팅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10)은 금형 장치(100), 무공성 장치(200) 및 제어수단(300)을 포함한다.
금형 장치(100)는 금형에 용융금속을 이용하여 금형과 같은 형상으로 사출물을 제작하는 장치이고, 무공성 장치(200)는 금형 장치(100)에 가스나 에어를 공급하여 사출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제어수단(300)은 금형 장치(100)와 무공성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수단(300)은 금형 장치(100) 또는 무공성 장치(200)에 설치될 수 있고, 독립적인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수단(30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이용하여 금형 장치(100)와 무공성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어수단(300)은 금형 장치(100) 또는 무공성 장치(200)에 설치될 수 있고, 독립적인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수단(30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이용하여 금형 장치(100)와 무공성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어수단(300)이 무공성 장치(200)에 설치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금형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금형 장치(100)는 사출 슬리브(110), 주탕구(120), 플런저(130) 및 노즐(140)을 포함한다. 사출 슬리브(110)는 사출을 위한 통형의 부품이다. 사출 슬리브(110)는 일단의 상부에 용융금속의 주입을 위한 주탕구(120)가 형성되고, 일단은 주탕구(120)의 개폐를 위한 플런저(130)가 형성되며, 주탕구(1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노즐(140)이 형성된다. 사출 슬리브(110)의 타단은 공동을 포함하는 금형부(150)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무공성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무공성 장치(200)는 가스 공급관(210), 에어 공급관(220) 및 연결관(230)을 포함한다. 가스 공급관(210)의 일단은 가스공급 장치(4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관(230)과 연결된다. 가스는 산소가스이거나, 사출물의 기공을 없애기 위한 가스이며, 사출물의 품질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가스이다.
에어 공급관(220)의 일단은 에어공급 장치(5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관(230)과 연결된다. 연결관(230)의 일단은 가스 공급관(210)과 에어 공급관(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140)과 연결된다. 연결관(230)은 'Y'자형의 관일 수 있다. 가스와 에어는 무공성 장치(200)에서 금형 장치(100)로 흐른다. 즉 가스와 에어의 흐름방향은 동일하다.
제어수단(300)은 노즐(140)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와 에어의 공급시기를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수단(300)는 사출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가스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사출물의 제작이 완료되는 시기에 에어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10)은 에어를 이용하여 노즐(140)을 청소할 수 있고, 동시에 노즐(140)의 막힘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품질수준이 일정한 고품질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다.
가스 공급관(210)은 적량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고,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할 때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관(210)은 사출 슬리브(110)에 형성된 주탕구(120)가 폐쇄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고,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주탕구(120)가 개방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한다. 플런저(130) 후퇴시 금형부(150) 내부의 온도와 대류에 의해 칠벤트 또는 가스벤트로 산소와 같은 가스누출이 발생하므로, 이를 충진하기 위하여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다.
가스 공급관(210)은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관(211) 및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구분되어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한 개의 관으로 가스를 공급하면 유량과 압력을 함께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품이 증가되어 부품단가가 증가될 수 있으며, 압력유지를 위하여 불필요한 산소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가스 공급관(211)과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한 개의 관을 사용하면 고용량에서 저용량의 가스로 용량조절은 가능하나, 저용량으로 가스를 공급하면서 압력이 함께 감소되어 노즐(140)로 저용량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압력조절을 위하여 제1 가스 공급관(211)과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무공성 장치(200)는 가스와 에어 등 유체의 정밀한 공급과 노즐(140)의 막힘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240) 및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수단(240)은 유량조절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체크밸브 및 레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 가스 공급관(211)과 제2 가스공급관(212)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고, 에어 공급관(2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는 가스 공급관(210)과 에어 공급관(220)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고, 가스와 에어의 혼용 사용시 역압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레귤러는 가스 공급관(210)과 에어 공급관(22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급되는 가스나 에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측정수단(250)은 압력계와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계와 유량계는 가스 공급관(210)과 에어 공급관(22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급되는 가스나 에어의 압력 또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계와 유량계는 가스 공급관(210)과 에어 공급관(220)의 종단에 설치될 수 있고, 출력 측의 가스나 에어의 압력 또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계는 에어 공급관(220)의 종단에 설치되어 노즐(140)의 막힘유무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수단(300)은 측정수단(25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값 또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이용하여 조절수단(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측정값은 유체의 유량을 의미하는 유량값 또는 유체의 압력을 의미하는 압력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값은 측정값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값일 수 있고, 조절수단(240)의 제어를 위한 제어값일 수 있다.
무공성 장치(200)는 가스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60)는 가스공급장치(400)와 가스 공급관(210) 사이 또는 에어공급장치(500)와 에어 공급관(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무공성 장치(200)는 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수단(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공성 다이캐스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10)은 노즐(140)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와 용융금속을 반응시켜 사출물을 완성하며, 노즐(140)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와 에어의 공급시기를 제어한다.
도 6은 5의 가스 공급의 방법을 상세한 도시한 흐름도로서, 무공성 장치(200)는 사출 슬리브(110)에 형성된 주탕구(120)가 폐쇄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고,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주탕구(120)가 개방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며, 사출과정까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사출과정에서 플런저(130)의 이동 등 플런저(130)의 후퇴했을 때 가스의 흐름변동이 발생할 수 있고, 대류의 열손실에 의해 가스누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출물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출과정까지 저용량 가스를 보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하는 과정까지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사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출물의 품질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무공성 다이캐스팅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로서, 금형 장치(100)와 무공성 장치(200)는 제어수단(300)에 의해 제어되고, 동작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금형 장치(100)에서 주탕구(120)가 폐쇄되는 시기에 무공성 장치(200)는, 제1 가스 공급관(210)을 개방한다. 이후에 무공성 장치(200)는 설정된 분위기 시간에 도달하면 제1 가스 공급관(211)을 폐쇄하고 제2 가스 공급관(212)을 개방한다. 분위기 시간은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가 가스 분위기로 채워지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금형 장치(100)는 제2 가스 공급관(212)이 개방되는 시기에 용융금속을 사출 슬리브(110)에 주입하기 위하여 주탕구(120)를 개방한다.
캐비티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는 다이캐스팅의 기포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무공성 장치(200)는 제1 가스 공급관(211)을 개방하기 이전에 에어 공급관(200)을 통하여 내부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캐비티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금형 장치(100)는 용융금속의 급탕 및 사출을 시작하고, 주탕구(120)를 폐쇄한다. 무공성 장치(200)는 주탕구(120)가 폐쇄되는 시기에 제2 가스 공급관을 폐쇄하여 산소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금형 장치(100)는 사출이 완료되면 성형, 형개 및 취출 공정을 수행한다. 금형 장치(100)는 취출 공정이 완료되면 이형제를 스프레이하고, 주탕구(120)를 개방하며, 윤활제를 도포한다. 무공성 장치(200)는 윤활제 도포가 완료되면 에어 공급관(220)을 개방항 노즐(140)의 청소 및 노즐(140)에 대한 막힘유무의 판별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하여 노즐(140)을 청소할 수 있고, 동시에 노즐(140)의 막힘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품질수준이 일정한 고품질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가스 공급관(211)과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구분된 가스 공급관(210)을 이용하여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적량의 가스주입을 제공하여 산화반응에 대한 과반응을 방지할 수 있고, 품질수준이 일정한 고품질의 사출물을 제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무공성 장치200)는 사출 슬리브110)에 형성된 노즐140)을 통하여 가스와 에어를 공급하고,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에어를 공급하여 사출 슬리브110)와 연결된 캐비티 내의 잔류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무공성 장치200)는,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110)가 밀폐된 상태에 에어를 공급하여 캐비티 내의 잔존가스 또는 유해물을 칠벤트 또는 가스벤트로 강제 배출 시킬 수 있다.
주탕구(120)에 사출물 급탕시 플런저 오일의 발화에 의해 그을림이 발생할 수 있고, 사출과정에서 비정상적인 사출물의 유동성 또는 사출속도에 대한 출렁거림이 발생할 수 있다. 그을림 또는 비정상적인 사출과정은 노즐막힘의 원인이 되고, 상기 원인에 의해 산소를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고, 공정의 사이클 타임이 증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나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될 수 있다. 이형제를 스프레이한 후에 가스나 습기가 잔존할 수 있고, 잔존가스를 제거하지 못하면 제품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를 공급하여 내부의 잔존가스를 제거할 수 있고, 노즐(14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으며, 노즐(140)의 막힘유무를 확인하여 제품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이캐스팅법은 진공 다이캐스팅법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다이캐스팅법은 금형 내부의 캐비티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에어와 주탕중 발생하는 가스를 강제로 배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진공 다이캐스팅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금형 상부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가스공급장치(400)와 공기주입장치(500)를 설치할 수 있고, 공기주입장치(500)를 이용하여 캐비티 내를 진공조건으로 만들 수 있으며, 진공을 확보한 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진공 다이캐스팅법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공기주입장치(500)는 진공 다이캐스팅법에서 진공상태를 만드는 것이므로, 진공 다이캐스팅법은 진공상태를 만드는 과정에서 내부의 잔류가스를 제거하기 어렵고, 이는 산소와 같은 가스를 주입할 때 플런저(130)의 폐쇄 또는 내부 폐쇄압에 의해 산소투입에 대한 배압이 걸려 정량의 산소주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은 캐비티 내의 잔존가스를 쉽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140)의 청소와 막힘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스공급장치(400)와 공기주입장치(500)는 금형부(150)의 상부에서 주입하는 것보다 사출 슬리브(110)에 형성된 노즐(140)에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진공 다이캐스팅법이 아닌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을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진공 다이캐스팅법은 외부에서 에어를 금형 내부에 직접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를 사용하여 벤츄리 효과에 의해 캐비티 내의 가스를 흡입 배출(역류해서 빨아올리는 방식으로 배출)하는 것이므로, 캐비티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어렵다. 또한 진공 다이캐스팅법은 캐비티 내의 가스를 흡입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드는 것이므로, 이때 플런저(130)가 폐쇄될 때 산소를 투입하는 경우 산소투입에 대한 배압이 걸려 정량의 산소주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진공 다이캐스팅법은 플런저(130)가 후퇴했을 때 주탕구(120)의 주변환경이 열악하고, 사출 슬리브(110) 내에 외부공기의 접촉에 의한 유동과 흡입이 발생하여 완전하게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130)가 후퇴되었을 때 그을음이나 지저분한 물질이 존재하여 주탕구(120)의 주변환경이 매우 열악할 수 있고, 진공 다이캐스팅법으로는 주탕구(120)의 주변에 형성된 지저분한 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은 사출 슬리브 ?? 게이트 ?? 캐비티 - 오버플로우(칠벤트/가스벤트) 순으로 유동의 흐름을 갖기 때문에 가스와 에어 주입의 흐름이 한 쪽 순방향으로 이루어져 최적의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은 에어 주입을 통하여 주탕구(120)의 주변에 형성된 지저분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공성 다이캐스팅법은 구조가 간단하고, 주변환경에 따른 제약이 없으며, 슬리브 가스투입구도 지그화하면 또 다른 어느 장비에서도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10: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 100: 금형 장치
110: 사출 슬리브 120: 주탕구
130: 플런저 140: 노즐
150: 금형부 200: 무공성 장치
210: 가스 공급관 211: 제1 가스 공급관
212: 제2 가스 공급관 220: 에어 공급관
230: 연결관 240: 조절수단
250: 측정수단 260: 필터
270: 역화방지수단 300: 제어수단
400: 가스공급 장치 500: 에어공급 장치

Claims (4)

  1. 사출 슬리브(110)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전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관(211)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용융금속을 주입할 때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 공급관(212)으로 구성된 가스 공급관(210)을 포함하여,
    상기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하고, 설정된 양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슬리브에 형성된 노즐(140)을 통하여 가스와 에어를 공급하고,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에어를 공급하여 사출 슬리브와 연결된 캐비티 내의 잔류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3. 가스 공급관을 통하여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 슬리브에 형성된 주탕구(120)가 폐쇄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주탕구가 개방된 상태에 사출 슬리브의 내부로 고용량 가스보다 용량이 낮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고용량 가스와 저용량 가스의 압력조절이 가능하고, 설정된 양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의 동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관은 플런저의 이동에 의한 가스의 흐름변동 또는 대류의 열손실에 의한 가스누출을 고려하여 사출과정까지 저용량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10050031A 2021-04-16 2021-04-16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10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31A KR102510235B1 (ko) 2021-04-16 2021-04-16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31A KR102510235B1 (ko) 2021-04-16 2021-04-16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71A true KR20220143471A (ko) 2022-10-25
KR102510235B1 KR102510235B1 (ko) 2023-03-14

Family

ID=8380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031A KR102510235B1 (ko) 2021-04-16 2021-04-16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97A (ja) * 1994-09-19 1996-04-09 Nippondenso Co Ltd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H1029050A (ja) * 1996-07-16 1998-02-03 Toshiba Mach Co Ltd 酸素雰囲気ダイカスト法および酸素雰囲気ダイカスト装置
KR100187989B1 (ko) 1995-12-09 1999-06-01 이상주 스퀴즈 병용 산소분위기 다이캐스팅에 의한 주조방법
KR20000011674A (ko) * 1998-07-14 2000-02-25 마쯔이 카즈오 다이캐스팅방법및다이캐스팅제품
KR20020086890A (ko) * 2000-01-12 2002-11-20 니폰게이긴조쿠가부시키가이샤 다이캐스트 방법 및 다이캐스트 기계
KR20050013651A (ko) * 2002-07-03 2005-02-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이 캐스팅용 금형
KR20140111534A (ko) * 2013-03-11 2014-09-19 주식회사 세명테크 다이캐스팅 장치용 사출 슬리브 에어벤트 장치 및 방법
KR20200132216A (ko) * 2019-05-16 2020-1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이캐스팅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97A (ja) * 1994-09-19 1996-04-09 Nippondenso Co Ltd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KR100187989B1 (ko) 1995-12-09 1999-06-01 이상주 스퀴즈 병용 산소분위기 다이캐스팅에 의한 주조방법
JPH1029050A (ja) * 1996-07-16 1998-02-03 Toshiba Mach Co Ltd 酸素雰囲気ダイカスト法および酸素雰囲気ダイカスト装置
KR20000011674A (ko) * 1998-07-14 2000-02-25 마쯔이 카즈오 다이캐스팅방법및다이캐스팅제품
KR20020086890A (ko) * 2000-01-12 2002-11-20 니폰게이긴조쿠가부시키가이샤 다이캐스트 방법 및 다이캐스트 기계
KR20050013651A (ko) * 2002-07-03 2005-02-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다이 캐스팅용 금형
KR20140111534A (ko) * 2013-03-11 2014-09-19 주식회사 세명테크 다이캐스팅 장치용 사출 슬리브 에어벤트 장치 및 방법
KR20200132216A (ko) * 2019-05-16 2020-1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이캐스팅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235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420B2 (en) Porous insert for nozzle of an injection molding system
EA008468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азливки и отливка, полученная в процессе вакуум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WO2018110024A1 (ja) 鋳造装置用の射出装置及び鋳造方法
JP5550613B2 (ja) Pfダイカスト装置用減圧・酸素充填装置
KR100740539B1 (ko) 진공사출금형의 가스배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482072B1 (ko) 다이캐스팅 장치용 사출 슬리브 에어벤트 장치 및 방법
KR20220143471A (ko)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143470A (ko) 무공성 다이캐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4074B1 (ko) 진공가압 저압주조장치 및 공법
JP2007185845A (ja) 可塑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6226772A (ja) 中空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US537982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s at gas exhaust line in casting machine and method therefor
JP2010083124A (ja) 微細発泡成形品の射出成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773561B1 (ko) 사출금형장치
JP2008246503A (ja) 鋳造方法及びダイカストマシン
KR20100117260A (ko) 다이캐스팅용 고진공 주조장치
TWI519363B (zh) 熱室壓鑄機的動作方法
JP3691783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吸引給湯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た吸引給湯装置
JPH0919741A (ja) 中子造型装置
JPH0810937A (ja) 非鉄金属溶湯の定量注湯装置
JP2001047209A (ja) ダイカスト鋳造機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H0238067B2 (ja) Shinkudaikasutochuzohohooyobisonosochi
JPH0811281B2 (ja) 真空ダイカスト装置
JP2000343194A (ja) ダイカスト鋳造機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KR20190033470A (ko) 다이캐스트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