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561A - 씨앗차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씨앗차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561A
KR20220142561A KR1020210048202A KR20210048202A KR20220142561A KR 20220142561 A KR20220142561 A KR 20220142561A KR 1020210048202 A KR1020210048202 A KR 1020210048202A KR 20210048202 A KR20210048202 A KR 20210048202A KR 20220142561 A KR20220142561 A KR 20220142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seeds
mushroom
alcoho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영
Original Assignee
방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진영 filed Critical 방진영
Priority to KR102021004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561A/ko
Publication of KR2022014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씨앗차의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하는 단계,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씨앗차의 가공 방법{METHOD OF PROCESSING FOR SEED TEA}
본 발명은 씨앗차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가공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명의 근원인 씨앗은 대부분 껍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씨앗의 전체를 그대로 이용하려면 차(茶)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씨앗은 껍질로 인해 추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씨앗을 볶아서 물을 붓고 끓이는 방식으로 차를 추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여,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한 다음,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고,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여 씨앗차를 생산함으로써,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생산할 수 있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앗차의 가공 방법은,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하는 단계,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여,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한 다음,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고,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여 씨앗차를 생산함으로써,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앗차의 가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를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앗차의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앗차의 가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먼저,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씨앗은, 곡물, 과일, 채소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식물의 씨앗 중에서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씨앗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기 등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씨앗을 최단 시간 내에 세척하여, 상기 씨앗에 존재하는 수용성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한 씨앗의 수분 함량이 최저치에 이를 때까지 충분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한 씨앗에 첨가하는 술은, 양조주(발효주)와 증류주, 혼성주 등 사전에서 정의한 모든 종류의 술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200)에서, 향신료, 버섯, 과일, 채소, 나물, 허브, 식용꽃, 차(茶), 곡물, 약재 등을 분쇄한 분말이나 물, 술, 식초 등의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술과 함께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향미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씨앗차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한 씨앗의 종류에 따라, 첨가하는 술의 종류와 양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건조한 씨앗에 첨가한 술이 충분히 흡수될 때까지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밀폐 봉투나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밀폐 포장한 다음, 취반기나 찜기나 보온고 등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가열장치나 보온장치 등을 이용하여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혼합한 술이 증발하지 않고, 증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씨앗에 충분히 흡수됨으로써, 모든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씨앗의 추출 효율이 점차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씨앗의 종류와 술의 종류 및 혼합하는 양에 따라, 열처리하는 방법과 온도와 시간을 차등 적용하여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볶음기나 로스터 등으로 로스팅하여, 상기 열처리한 씨앗의 추출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한 씨앗의 종류와 수분 함량에 따라, 로스팅의 방법과 온도와 시간을 차등 적용하여, 상기 열처리한 씨앗이 로스팅 과정에서 내부 팽창으로 인해 표면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한 씨앗의 추출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열처리한 씨앗의 수분 함량이 최저치에 이를 때까지 로스팅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하는 단계(S5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진동체 등으로 체가름하여,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는 단계(S400)에서 발생한 부스러기와 탄화물 등의 찌꺼기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완성되는 씨앗차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6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첨가하는 술은, 양조주(발효주)와 증류주, 혼성주 등 사전에서 정의한 모든 종류의 술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600)에서, 다시 한번 향신료, 버섯, 과일, 채소, 나물, 허브, 식용꽃, 차(茶), 곡물, 약재 등을 분쇄한 분말이나 물, 술, 식초 등의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술과 함께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향미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씨앗차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체가름한 씨앗의 종류에 따라, 다시 첨가하는 술의 종류와 양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첨가한 술이 충분히 흡수될 때까지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S7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밀폐 봉투나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다시 밀폐 포장한 다음, 취반기나 찜기나 보온고 등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가열장치나 보온장치 등을 이용하여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다시 혼합한 술이 증발하지 않고, 증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씨앗에 충분히 흡수됨으로써, 모든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씨앗의 추출 효율이 한층 더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씨앗의 종류와 술의 종류 및 혼합하는 양에 따라, 열처리하는 방법과 온도와 시간을 차등 적용하여 다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S8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볶음기나 로스터 등으로 다시 로스팅하여,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의 추출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의 종류와 수분 함량에 따라, 다시 로스팅하는 방법과 온도와 시간을 차등 적용하여,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이 다시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내부 팽창으로 인해 표면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의 추출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의 수분 함량이 최저치에 이를 때까지 다시 로스팅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S9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진동체 등으로 체가름하여,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S800)에서 발생한 부스러기와 탄화물 등의 찌꺼기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완성되는 씨앗차의 투명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600)와,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S700)와,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S800) 및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S900)를, 씨앗의 종류에 따라 횟수를 차등 적용하여,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S900) 이후에, 상기 다시 체가름한 씨앗을 원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차 추출용 티백에 일정량씩 포장함으로써, 기존의 침출차와 같이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여,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한 다음,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고,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여 씨앗차를 생산함으로써,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단시간 내에 내용물이 우러나는 침출차로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술을 혼합한 씨앗을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한 씨앗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한 씨앗을 체가름하는 단계;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씨앗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씨앗은, 곡물, 과일, 채소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식물의 씨앗 중에서 식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술은, 양조주(발효주)와 증류주, 혼성주 등 사전에서 정의한 모든 종류의 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한 씨앗에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향신료(겨자, 계피, 레몬, 몰약, 바닐라, 봉출, 사프란, 숨마끄, 생강, 아니스, 아위, 올스파이슨, 울금, 월계수, 육두구, 정향, 초과, 초피, 카다멈, 카피르라임, 캐러웨이, 커리, 쿠민, 큐베브, 타마린드, 팔각, 필발, 호로파, 산초, 회향, 후추 등)와 버섯(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양송이버섯, 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갓버섯, 외꽃버섯, 밤버섯, 잣버섯, 뽕나무버섯, 개암버섯, 애기버섯, 부채버섯, 주름버섯, 덕다리버섯, 노랑망태버섯, 곰보버섯 등), 과일(사과, 배, 비파, 모과와 같은 인과류(仁果類)와 유자, 자몽, 오렌지, 감, 감귤과 같은 준인과류(準仁果類), 자두, 복숭아, 체리, 살구, 대추야자와 같은 핵과류(核果類), 딸기, 포도, 앵두, 구스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레드워틀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같은 장과류(漿果類), 은행, 파스타치오, 잣, 아몬드, 개암, 호두, 밤, 너트, 코코넛과 같은 견과류(堅果類) 등), 채소(상추, 시금치, 마늘,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은 경엽채류(莖葉菜類)와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 마, 연근, 감자, 생강과 같은 근채류(根菜類), 오이, 호박, 참외, 고추, 토마토, 옥수수, 피망, 파프리카, 가지, 완두콩, 강낭콩과 같은 과채류(果菜類) 및 고수, 바질, 깻잎과 같은 향채소 등), 나물(냉이, 씀바귀, 달래, 달맞이꽃, 망초, 명아주, 민들레, 비름(비듬나물), 색비름, 비짜루, 방울비짜루, 천문동, 왕고들빼기, 종지나물, 취나물, 옻순, 두릅, 도라지, 죽순, 쇠비름, 쑥, 유채, 합대나물, 가죽나물, 돌나물, 퉁퉁마디, 무청(시래기), 우거지, 콩잎, 고구마 줄기, 토란대, 마늘쫑, 호박잎, 고사리, 콩나물, 숙주나물, 미나리 등), 허브(라벤더, 레몬밤, 로즈메리, 마조람, 민트,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베르가모트, 보리지, 세이보리, 세이지, 스위트바질, 안젤리카, 오레가노, 캐모마일, 코리안더, 콘플라워, 타라곤, 타임, 포트마리골드, 펜넬, 히솝, 시나몬, 로즈, 재스민, 하이비스커스, 레몬그래스, 로즈힙 등), 식용꽃(매화, 국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살구꽃, 복숭아꽃, 베고니아, 팬지, 장미, 진달래, 유채꽃, 제라늄, 당아욱, 냉이꽃, 머위꽃, 메리골드, 메밀꽃, 금목서, 은목서, 찔레꽃, 카모마일, 한련화, 히비스커스, 히솝, 연꽃, 물망초, 제비꽃 등), 차(결명자차, 구기자차, 귤차, 대추차, 들깨차, 매실차, 모과차, 밤차, 보리차, 산사차, 살구차, 연자차, 오디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은행차, 포도차, 현미차, 호두차, 회향차 등의 열매차류와 감잎차, 국화차, 녹차, 두충차, 비파차, 삼백초차, 솔잎차, 쑥차, 오가차, 으름차, 인동차, 진달래차, 초피차 등의 잎차류 및 당귀차, 도라지차, 둥굴레차, 마차, 맥문동차, 생강차, 인삼차, 칡차 등의 뿌리차류 그리고, 감초차, 계피차, 느릅차, 두릅차 등의 껍질차류와 다시마차, 민들레차, 석곡차, 영지차, 음양곽차, 표고버섯차, 화살차 등 식물 전체를 원료로 한 차류 및 국화차, 벚꽃차 등의 꽃잎차류와 커피, 카카오 등), 곡물(쌀, 보리, 밀, 호밀, 메밀, 옥수수, 수수, 귀리, 조, 피, 율무, 기장, 콩, 팥, 깨, 녹두, 땅콩, 아몬드, 개암, 잣, 커피콩, 카카오콩, 병아리콩, 렌틸콩, 카카오닙스, 아마란스, 퀴노아 및 다양한 종류의 씨드 등 알곡 상태로 이루어진 곡물) 및 약재(계피, 삼백피, 후박, 두충, 오가피, 황백, 목단피, 지골피, 백선피, 진피 등의 나무껍질류와 구등, 석곡, 단향, 쇄양, 등심초, 육종용, 목통, 죽녀, 소목, 침향 등의 등나무류 및 강황, 패모, 현호색, 강활, 향부자, 옥죽, 고량강, 현삼릉, 우절, 대황, 황련, 지모, 모근, 황정, 창출, 반하, 산약, 천궁, 백급, 생강, 천남성, 백출, 석창포, 천마, 백합, 승마, 택사, 아출 등의 뿌리류 그리고, 담죽엽, 비파엽, 애엽, 측백엽, 상엽, 자소엽 등의 뿌리줄기류와 계관화, 금은화, 선복화, 관동화, 밀몽화, 신이, 괴화, 번홍화, 원화, 국화, 하고초, 정향, 홍화, 포황 등의 잎사귀류와 곽향, 형개, 음양곽, 마황, 박하, 인진호 등의 꽃잎류 및 노회, 유향, 송향, 몰식자, 오배자, 신국, 몰약, 안식향, 아위, 아다 등의 열매류 그리고, 귀판, 웅담, 석결명, 녹용, 해구신, 섬수, 망충, 호골, 아교, 모려, 사향, 영양각, 반모, 서각, 용연향, 백강잠, 별갑, 우황 등의 종자류와 갈근, 고삼, 파극천, 괄루근, 시호, 현삼, 길경, 단삼, 홍아대극, 당귀, 우슬, 황기, 울금, 원지, 인삼, 자근, 목향, 자원, 적작, 백미, 전호, 지유, 백작, 지황, 진교, 산두근, 방풍, 천문동, 서양삼, 백부, 초오두, 속단, 백지, 하수오, 오약, 삼칠, 홍삼, 당삼, 세신, 황금, 맥문동, 광방이, 용담 등의 전초류 및 가자, 백질려, 대복피, 괄루, 복분자, 대추, 괴각, 사군자, 마두령, 구기자, 사상자, 만형자, 귤피, 산사자, 맥아, 목과, 산수유, 오미자, 백두구, 산치자, 오수유, 팔각회향, 석련자, 용안육, 필발, 시제, 우방자, 호초, 여정자, 익지인, 화초, 연교, 자소자, 회향, 오매, 창이자, 충위자, 천련자 등 수지류 및 기타류 그리고, 가채자, 마전자, 피마자, 겨자, 목별자, 빈랑자, 검실, 백과, 산조인, 견우자, 백편두, 송자인, 결명자, 보골지, 아마인, 담두시, 축사, 육두구, 대풍자, 파두, 의이인, 도인, 토사자, 차전자, 동과자, 행인, 천금자, 마자인, 호로파, 호마자 등의 동물류와 노감석, 주사, 용골, 대자석, 활석, 우여량, 망초, 석고, 적석지, 명반 등의 광물류 및 뇌환, 복령, 동충하초, 저령, 해인초 등) 등을 분쇄한 분말이나 물, 술, 식초 등의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술과 함께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가름한 씨앗에 다시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다시 술을 혼합한 씨앗을 다시 밀폐 포장하여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다시 열처리한 씨앗을 다시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를,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시 로스팅한 씨앗을 다시 체가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시 체가름한 씨앗을 원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차 추출용 티백에 일정량씩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차의 가공 방법.
KR1020210048202A 2021-04-14 2021-04-14 씨앗차의 가공 방법 KR20220142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02A KR20220142561A (ko) 2021-04-14 2021-04-14 씨앗차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02A KR20220142561A (ko) 2021-04-14 2021-04-14 씨앗차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561A true KR20220142561A (ko) 2022-10-24

Family

ID=8380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02A KR20220142561A (ko) 2021-04-14 2021-04-14 씨앗차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79B1 (ko) * 2023-11-07 2024-03-08 주식회사 바이오셀 근 기능 개선 및 소화 흡수력을 개선한 단백질 보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79B1 (ko) * 2023-11-07 2024-03-08 주식회사 바이오셀 근 기능 개선 및 소화 흡수력을 개선한 단백질 보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172B1 (ko) 기능성 청국장 분말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2903A (ko) 잼 제조 방법
KR20200086596A (ko) 현미의 가공 방법
KR20200051229A (ko) 커피 생두의 가공 방법
CN103932294A (zh) 一种松露花生酱及其制备方法
KR20180093622A (ko) 커피 추출 방법
KR20220142561A (ko) 씨앗차의 가공 방법
KR20170100362A (ko) 잼 제조 방법
KR20200144923A (ko) 커피 가공 방법
KR20220134736A (ko) 곡물차의 가공 방법
KR20210055115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210121729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220144994A (ko) 고추씨차의 가공 방법
KR20190021998A (ko) 미강의 가공 방법
KR20210025441A (ko) 커피 가공 방법
CN104381528A (zh) 一种桂花养颜美容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4026615A (zh) 一种茶香烤兔肉及其制备方法
KR20230064711A (ko) 메주 제조 방법
CN104397265A (zh) 一种甘草祛痰止咳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584004A (zh) 一种美味酱豌豆及其制备方法
KR20200120851A (ko) 곡물 가공 방법
KR20230075017A (ko) 커피콩의 가공 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30042610A (ko) 왕겨차 제조 방법
KR101978940B1 (ko) 풋고추 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4344A (ko) 왕겨차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