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673A -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 Google Patents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673A
KR20220139673A KR1020210045915A KR20210045915A KR20220139673A KR 20220139673 A KR20220139673 A KR 20220139673A KR 1020210045915 A KR1020210045915 A KR 1020210045915A KR 20210045915 A KR20210045915 A KR 20210045915A KR 20220139673 A KR20220139673 A KR 2022013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wire member
bird
power supp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342B1 (ko
Inventor
양인숙
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하이쏠라에너지
양인숙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쏠라에너지, 양인숙, 박병호 filed Critical (주)하이쏠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21004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01M29/2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electrified rods, cord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의 크기, 종, 자세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조류와 접촉해 보다 높은 확률로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기충격에 의한 기피학습을 유도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Electric shock type birds repeller}
본 발명은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에게 전기충격을 가해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둘기, 참새, 까치는 물론이고 계절별로 찾아오는 철새 등의 조류는, 논, 밭, 과수원 등에서 자라고 있는 곡식이나 어린 새싹 등을 먹어 치우기 때문에 피해를 보는 농가도 많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조류의 배설물로 인하여 문화재 등이 부식되기도 하고, 조류들이 문화재에 날아와 앉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조류의 발톱에 의해 문화재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심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경우 비행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주로 높은 전신주, 신호등, 전선, 건물 옥상, 건물 난간 등의 구조물에 앉아 쉬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조류에 의해 구조물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훼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 등 막대한 재산상 손실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 신호등과 연결된 전기장치 등이 조류에 의해 훼손될 경우,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도로구조물 주변에 조류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조류 퇴치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 퇴치기는 조류 천적의 형형을 본 뜬 모형을 설치하는 모형 부착식, 특수음(초음파) 송출식, 반사판식, 전기충격식 등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전기충격식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578호(명칭:조류 퇴치용 절연전선시트,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조류 퇴치기 구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 부피를 가지며, 윗면에 다수개의 전도체 삽입홈을 평행으로 구비하고 상기 전도체 삽입홈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해 다수의 배수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전도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며,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서로 이웃하는 전도체에 각기 다른 전극이 흐르도록하고, 상기 전도체 삽입홈은 상기 스프링 형태의 전도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의 너비는 전도체 삽입홈의 내부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구부렸을 때 삽입되어 있는 전도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은 조류들이 전도체에 착지시 전압이 낮은 전기충격을 반복적으로 주어 조류들이 기피학습하여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는 특징이 있으나. 복수 개의 전도체(300)가 본체(200)에 의해 단일 평면상에 지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다리 사이 간격이 넓은 조류가 다른 극성의 전도체(300)를 회피하여 같은 극성의 전도체(300)를 양 발로 접속하였을 경우엔 전도체(300)에 가해지는 전류가 조류에게 통전될 수 없어, 전기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57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조류의 크기, 종, 자세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조류와 접촉해 보다 높은 확률로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기충격에 의한 기피학습을 유도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전부; 절연체로서 감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감전부로 전압을 가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에 의해 대전된 감전부에 조류가 접촉하면 전기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전부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와이어부재; 제1 와이어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와이어부재; 및 제1 와이어부재와 제2 와이어부재의 상부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3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제1 와이어부재, 제2 와이어부재 및 제3 와이어부재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제1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1 지지홀, 제2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2 지지홀 및 제3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3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전부는, 설치면의 상면을 일정 면적 커버하여 조류의 안착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전시트; 및 감전시트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에 의해 대전된 감전시트 및 제1 와이어부재에 조류가 접촉하면 전기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공급부는 감전시트 및 제1 와이어부재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전부를 구성하는 제1, 2, 3 와이어부재의 3차원적인 입체 배치 구성을 통하여 조류의 몸통이 감전부에 접점을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조류의 몸통을 접점수단으로 이용하게 되어, 조류와의 접점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류의 크기, 종, 자세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조류와 접촉해 보다 높은 확률로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기충격에 의한 기피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설치면을 감전시트가 넓은 면적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조류가 어떤 위치에 앉든지간에 조류와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감전부도 조류의 몸통에 접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조류의 몸통을 접점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조류와의 접점 발생 가능성을 높여 보다 높은 확률로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고,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감전시트가 설치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구조이기에, 넓은 면적의 설치면에 설치시 보다 유리하며, 설치 완료 후에도 도로구조물의 외관을 해칠 우려가 적고, 상대적으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비용도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류 퇴치기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류 퇴치기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지지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역행방지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체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지지홀을 통과한 와이어부재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류 퇴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류 퇴치기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류 퇴치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감전시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슬립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이하, 조류 퇴치기라 함)는 조류가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둥지를 틀 수 있을만한 전신주, 교통표지판, 신호등, 건물 옥상, 난간 등에 설치되어 조류가 앉게 되면 조류에게 전기충격을 가해 조류들이 기피학습되도록 함으로써 조류의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 퇴치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감전부(10), 지지부(20) 및 전원공급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감전부(10)는 조류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할 수 있도록 얇은 와이어 형태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를 조류가 발가락으로 움켜쥐거나, 조류 몸통이 접촉되면 조류는 전원공급부(30)에 의해 대전된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에 감전되어 순간적인 전기충격에 노출될 수 있다.
감전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는 전원공급부(30)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대전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 예컨대, 동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제1 와이어부재(11), 제2 와이어부재(12) 및 제3 와이어부재(13)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가 -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고, 제3 와이어부재(13)가 + 극을 띄도록 전압을 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원공급부(30)는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가 +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고, 제3 와이어부재(13)가 - 극을 띄도록 전압을 가할 수 있다.
즉, 조류가 적어도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 중 어느 하나와 제3 와이어부재(13)에 동시에 접점이 발생하게 되면 조류에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제1, 2 와이어부재(11,12)의 단부에 음극코드(C1)를 매개로 연결되고, 제3 와이어부재(13)의 단부에 양극코드(C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30)는 외부로 노출된 태양전지셀(31)을 이용해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에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로 감전부(10)에 전압을 가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부(30)는 별도 기전력의 공급 없이도,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충방전할 수 있는 회생회로를 갖출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부(30)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주, 야간을 감지하여, 야간에는 조류 퇴치기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감전부(10)를 대전시킬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되거나, 공지된 사항을 따를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감전부(10)는 지지부(20)에 지지되어 설치면(S)에서부터 상부로 일정 높이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면(S)이라 함은 전신주, 교통표지판, 신호등 등의 조류 퇴치기가 설치될 부분의 면을 의미한다.
지지부(20)는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가 서로 단락되지 아니하고, 감전부(10) 자체가 설치면(S)에 직간접적으로 접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감전부(10)가 설치면(S)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감전부(10)의 좌우 양 단을 지지한다.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는 서로 평행하게,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바, 지지부(20)는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좌우 양 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는 어떠한 장애물 없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가 설치면(S)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선에서, 조류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각각의 와이어부재(11,12,13) 사이로 우수가 고이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조류가 감전부(10) 자체에 앉지 않고 감전부(10) 주변에 앉게 되더라도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 공간에서 감전부(10)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에 조류가 충분히 접촉될 수 있을만한 환경이 갖춰지게 된다.
만일,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같이 전도체(300)의 하부 일부분이 본체(200)에 가려지게 될 경우, 그만큼 조류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접촉 민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본체(200) 자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들, 고인 우수가 쉽게 배수되지 못하여 부식에 취약한 구조일 수밖에 없다.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는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감전부(10)의 하부를 구성하고, 제3 와이어부재(1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의 상부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감전부(10)의 상부를 구성한다.
이때,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 사이의 직선거리를 제1 직선거리(w1)라 할 때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3 와이어부재(13) 및 제2 와이어부재(12)와 제3 와이어부재(13) 사이의 직선거리인 제2 직선거리(w2)는 제1 직선거리(w1)와 동일한 수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부재(11)는 가상의 정삼각형 좌측 꼭지점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부재(12)는 가상의 정삼각형 우측 꼭지점에 위치하고, 제3 와이어부재(13)는 가상의 정삼각형 상부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여 감전부(10)의 3차원적인 입체 배치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감전부(10)의 입체적인 배치 구성에 의해 조류가 감전부(10)에 앉게 되면 적어도 두 부분에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 중 어느 하나에만 양 발가락을 움켜 쥐어 앉더라도, 조류의 몸통이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 중간 상부에 위치한 제3 와이어부재(13)에 접촉될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다리가 길고 간격이 넓은 조류의 경우 양 발가락이 각각 제1 와이어부재(11)와 제2 와이어부재(12)를 움켜 쥐어 앉더라도, 조류 몸통 아랫배 부분에 제3 와이어부재(13)가 접촉될 수 있어, 조류의 다양한 자세에서도 적어도 두 부분에서는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할 수 있어 조류가 감전부(10)에 앉게 되면 항시 감전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조류의 몸통을 접점수단으로 이용하게 되어, 조류와의 접점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술한 종래기술의 경우엔, 접점수단이 본체(200)에 매설된 전도체(300)의 일부분과 이에 접촉하는 조류의 양 발가락으로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접점 면적이 제한적이어서 접촉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이에, 전기충격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20)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부재(11)가 통과하는 제1 지지홀(21a), 제2 와이어부재(12)가 통과하는 제2 지지홀(21b) 및 제3 와이어부재(13)가 통과하는 제3 지지홀(21c)이 관통 형성되며 접근방지돌기(21d)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21) 및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설치면(S)에 지지되는 지지판(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체(2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방지돌기(21d)는 본체(21)의 중앙 최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근방지돌기(21d)는 조류가 지지부(20)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3 지지홀(21a,21b,21c)은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3차원적인 입체 배치 구성을 고려하여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와 동일한 배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홀(21a)과 제2 지지홀(21b) 사이의 직선거리를 제1 직선거리라 할 때 제1 지지홀(21a)과 제3 지지홀(21c) 및 제2 지지홀(21b)과 제3 지지홀(21c) 사이의 직선거리인 제2 직선거리는 제1 직선거리와 동일한 수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22)은 지지부(20)의 하부를 구성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21) 주변으로 복수 개의 체결구멍(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멍(22a)으로 앵커(미도시)가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앵커는 설치면(S)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지지부(20)를 설치면(S)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2, 3 지지홀(21a,21b,21c) 내주면에는 대각선 방향을 향해 역행방지편(21e)이 돌출 형성되어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 각각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역행방지편(21e)은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가 제1, 2, 3 지지홀(21a,21b,21c) 내에서 일방향 통과는 가능하도록 하되, 역방향 통과는 제한함으로써 조류 퇴치기의 설치 과정에서 지지부(20)에 감전부(10)를 연결할 때 각각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를 제1, 2, 3 지지홀(21a,21b,21c)의 일방향으로 통과시켜 지지부(20)에 감전부(10)를 연결 설치 가능하게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의 감전부(10)로 조류가 안착되면 상기 역행방지편(21e)에 의해 각각의 제1, 2, 3 지지홀(21a,21b,21c) 내부에서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양 단이 지지부(20)에서 위치고정되므로 불측의 사유로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항시 긴장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
만일, 유지보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가 하방으로 늘어지게 되면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역행방지편(21e)이 각각의 제1, 2, 3 지지홀(21a,21b,21c) 내에서 각각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역방향 이동을 억제하여 각각의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의 직진성을 유지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류 퇴치기는 전술한 실시예 대비, 감전부와 지지부의 구성에서 일부 변경이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감전부(10)는 설치면(S)의 상면을 일정 면적 커버하여 조류의 안착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전시트(40) 및 감전시트(40)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와이어부재(11)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감전시트(40)는 설치면(S)의 상면을 일정 면적 커버하여 조류의 안착을 유도하는 부재로, 전체가 전도성 재질, 예컨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전도성 고무 시트, 실리콘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전시트(40)는 설치면(S)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넓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면(S)의 면적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제1 와이어부재(11)는 전도성 재질로서, 감전시트(40)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한다.
제1 와이어부재(11)는 감전시트(40)의 상부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마련되며 조류가 감전시트(40)에 앉게 되면 자연적으로 조류의 몸통은 감전부(10)에 접촉될 수 있다.
조류가 감전시트(40)에 앉은 상태에서 조류의 몸통이 제1 와이어부재(11)에 접촉되면 전원공급부(30)에 의해 대전된 감전시트(40)와 제1 와이어부재(11)에 의해 감전되어 순간적인 전기충격이 조류에 가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감전부(10)의 감전시트(40)와 제1 와이어부재(11)로 전압을 가하는 구성으로써, 감전시트(40) 및 제1 와이어부재(11)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한다.
예컨대, 전원공급부(30)는 감전시트(40)가 -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고 제1 와이어부재(11)가 + 전압을 띄도록 전압을 가할 수 있다. 반대로, 전원공급부(30)는 감전시트(40)가 +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고 제1 와이어부재(11)가 - 전압을 띄도록 전압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조류가 감전시트(40)와 제1 와이어부재(11)에 동시에 접점이 발생하게 되면 조류에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감전시트(40)에 음극코드(C1)를 매개로 연결되고, 제1 와이어부재(11)의 단부에 양극코드(C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전원공급부(30)와 그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0)는 제1 와이어부재(11)를 감전시트(40)로부터 상부로 이격 지지하되 감전시트(40)와 제1 와이어부재(11)가 서로 단락되지 아니하도록 그 자체가 절연체로 구성된다.
감전부(10)의 제1 와이어부재(11)는 좌우 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바, 지지부(20)는 제1 와이어부재(11)의 양 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에서 제1 와이어부재(11)는 어떠한 장애물 없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감전시트(40)에 앉은 조류의 몸통과 접촉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지지부(2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나, 제1 와이어부재(11)만을 지지한다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지지부(20)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부재(11)가 통과하는 제1 지지홀(21a)이 관통 형성되며 접근방지돌기(21d)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21) 및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형성되어 감전시트(40)에 지지되는 지지판(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지지홀(21a)에는 전술한 역행방지편(21e)과 동일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방지돌기(21d)는 본체(21)의 중앙 최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근방지돌기(21d)는 조류가 지지부(20)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22)은 지지부(20)의 하부를 구성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21) 주변으로 복수 개의 체결구멍(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멍(22a)으로 앵커가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앵커는 감전시트(40)를 관통해 설치면(S)에 체결되어 지지부(20)를 감전시트(40)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앵커를 생략하고 지지판(22)과 감전시트(40)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지지부(20)를 감전시트(40) 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설치면(S)의 면적에 따라, 하나의 감전시트(40) 상부로 한 쌍의 지지부(20) 세트를 병렬로 연속 설치한 뒤, 각각의 지지부(20) 세트에 각각 제1 와이어부재(11)를 연결 설치하고 각각의 제1 와이어부재(11) 단부를 결선하여 전원공급부(3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조류 퇴치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감전시트(40)의 어느 부위에 앉게 되더라도 조류의 몸통이 감전시트(40)의 상부로 이격 배치된 제1 와이어부재(11)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두 부분에서는 조류와의 접촉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설치면(S)을 감전시트(40)가 넓은 면적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조류가 어떤 위치에 앉든지간에 조류와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감전부(10)도 조류의 몸통에 접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조류의 몸통을 접점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조류와의 접점 발생 가능성을 높여 보다 높은 확률로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고, 전술한 종래기술과 실시예 대비, - 극성을 가지는 전도체 또는 와이어부재를 대폭 생략 가능한 구조가 되어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넓은 면적의 설치면(S)에 설치시 보다 유리하며, 설치 완료 후에도 도로구조물의 외관을 해칠 우려가 적다. 또한, 상대적으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비용도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조류 퇴치기의 초기 설치시에 설치면(S)의 면적에 따라 감전시트(40)를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감전시트(40)에는 절취선(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선(41)은 감전시트(40)를 완전히 절개하지 않을 정도의 얕은 칼집 형태로 예시되며, 이에, 별도 공구 없이도 절취선(41)을 기준으로 감전시트(40)를 적정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절취선(41)은 감전시트(40)에 격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제1 와이어부재(11)에만 앉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와이어부재(1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슬립부재(50)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슬립부재(50)는 제1 와이어부재(1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원통 형태의 내륜(52), 상기 내륜(52)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 형태의 외륜(51) 및 외륜(51)이 구름 가능하도록 내륜(52)과 외륜(51)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 형태의 슬립붕(5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조류가 외륜(51)을 발가락으로 움켜 쥐면 외륜(51)이 슬립붕(53)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름하게 되어 조류가 쉽게 중심을 잡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류는 자연스럽게 제1 와이어부재(11) 하부의 감전시트(40)에 앉게 되고, 동시에 감전시트(40)와 제1 와이어부재(11)에 동시에 접촉이 유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슬립부재(5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2, 3 와이어부재(11,12,1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감전부
20: 지지부
30: 전원공급부
40: 감전시트

Claims (5)

  1.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전부;
    절연체로서 감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감전부로 전압을 가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에 의해 대전된 감전부에 조류가 접촉하면 전기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와이어부재;
    제1 와이어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와이어부재; 및
    제1 와이어부재와 제2 와이어부재의 상부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3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제1 와이어부재, 제2 와이어부재 및 제3 와이어부재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제1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1 지지홀, 제2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2 지지홀 및 제3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제3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는,
    설치면의 상면을 일정 면적 커버하여 조류의 안착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전시트; 및
    감전시트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조류와의 접촉을 유도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에 의해 대전된 감전시트 및 제1 와이어부재에 조류가 접촉하면 전기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감전시트 및 제1 와이어부재가 서로 다른 극성을 띄도록 전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KR1020210045915A 2021-04-08 2021-04-08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KR10258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15A KR102589342B1 (ko) 2021-04-08 2021-04-08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15A KR102589342B1 (ko) 2021-04-08 2021-04-08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73A true KR20220139673A (ko) 2022-10-17
KR102589342B1 KR102589342B1 (ko) 2023-10-16

Family

ID=8380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915A KR102589342B1 (ko) 2021-04-08 2021-04-08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4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138A (ja) * 2002-04-26 2003-11-05 Shinwa Kogyo Kk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04248640A (ja) * 2003-02-17 2004-09-09 Takashi Okuma 害獣、害鳥撃退装置
JP2005168371A (ja) * 2003-12-10 2005-06-30 Antekku:Kk 鳥類の飛来防止装置
JP3125254U (ja) * 2006-06-30 2006-09-14 修 植田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10046091A (ja) * 2009-11-17 2010-03-04 Fujinaga:Kk 防鳥具取付装置
KR101041578B1 (ko) 2010-08-25 2011-06-15 황상모 조류퇴치용 절연전선시트
KR20130114056A (ko) * 2013-09-17 2013-10-16 홍호명 조류 퇴치 장치
JP2015100300A (ja) * 2013-11-23 2015-06-04 株式会社シビルテック 鳥除け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138A (ja) * 2002-04-26 2003-11-05 Shinwa Kogyo Kk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04248640A (ja) * 2003-02-17 2004-09-09 Takashi Okuma 害獣、害鳥撃退装置
JP2005168371A (ja) * 2003-12-10 2005-06-30 Antekku:Kk 鳥類の飛来防止装置
JP3125254U (ja) * 2006-06-30 2006-09-14 修 植田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10046091A (ja) * 2009-11-17 2010-03-04 Fujinaga:Kk 防鳥具取付装置
KR101041578B1 (ko) 2010-08-25 2011-06-15 황상모 조류퇴치용 절연전선시트
KR20130114056A (ko) * 2013-09-17 2013-10-16 홍호명 조류 퇴치 장치
JP2015100300A (ja) * 2013-11-23 2015-06-04 株式会社シビルテック 鳥除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342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6854A (en) Pest repelling apparatus and methods
US6006698A (en) Electrical device for repelling birds
US7249436B2 (en) Electric shock bird and animal deterrent
AU625079B2 (en) Bird repelling system with improved mounting fixture
US20050132635A1 (en) Electric deterrent device
US20080217597A1 (en) pest deterrent fence
WO2015097722A1 (en) Device to kill insects such as mosquitoes, flies and sandflies
US201100237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ring earth-bound animals and/or birds
CN107251882A (zh) 基于太阳能的多功能杀虫装置
US10080359B2 (en) Fowl management system
US20230225262A1 (en) Anti-pest device for fruit trees and the like
KR20220139673A (ko) 전기충격식 조류 퇴치기
KR100793438B1 (ko) 전신주의 조류퇴치장치
US6264172B1 (en) Electric fence
KR20150004415U (ko) 수달 사육사 목책울타리 시공방법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US20220140509A1 (en) Bipolar electrical connector with double mechanical clamping on conductive tape
KR20160014381A (ko) 그물형 전기울타리
JP2018143175A (ja) 電気柵用導電具
Tena et al. Failures in outdoor insulation caused by bird excrement
US20130058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ring birds and small animals
JP2006166887A (ja) 送電線用の害鳥忌避用具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JP2001245546A (ja) 獣類用柵
JP4317648B2 (ja) 鳥類飛来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