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381A - 그물형 전기울타리 - Google Patents

그물형 전기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381A
KR20160014381A KR1020140096531A KR20140096531A KR20160014381A KR 20160014381 A KR20160014381 A KR 20160014381A KR 1020140096531 A KR1020140096531 A KR 1020140096531A KR 20140096531 A KR20140096531 A KR 20140096531A KR 20160014381 A KR20160014381 A KR 2016001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mesh
electric wire
electric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정
Original Assignee
조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정 filed Critical 조규정
Priority to KR102014009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381A/ko
Publication of KR2016001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01K3/005Electrified fencing for pas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 위해 침입하는 육식성 맹수나 야생동물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전기충격과 전기충격에 의한 학습효과를 이용해 재침입을 방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그물형 전기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수평 위사(21)와 수직 경사(22)를 성글게 제직하여 격자 형태의 그물망(20)을 형성하되, 상기 수직 경사(22)는 수평 위사(21)에 결속되는 복수의 경사 가닥(22a,22b,2c,22d)으로 구성하여서 된 그물망(20);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통과하고 이웃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연이어 통과하는 형태로 그물망(20)에 고정하는 전기선(25); 상기 그물망(20)의 수평 위사(21)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31)를 구비하는 설치 지주대(30); 상기 그물망(20)에 고정된 전기선(25)에 고압전류를 공급해주도록 한 컨버터(C)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대형 야생동물의 퇴치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달이나 황소개구리 또는 삵이나 족제비 등과 같은 소형 유해동물의 침입이 우려되는 육상 양어장(근해연안의 가두리 양식장을 포함)이나 닭이나 오리를 방사하여 사육하는 축산농가의 방사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여 유해동물의 퇴치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물형 전기울타리{netting type electricity fence}
본 발명은 그물형 전기울타리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축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 위해 침입하는 육식성 맹수나 야생동물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전기충격에 따른 학습효과를 주입시켜 재차 침입을 방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그물형 전기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에는 목책이나 철책, 그물망 등을 이용해 가축 또는 농작물을 육식성 맹수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왔으나 반복적인 침입행위를 통해 침입을 위한 지능을 갖추게 된 야생동물은 목책이나 철책, 그물망 등과 같은 보호수단을 쉽게 무력화시키고 있다.
그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기선을 이용하여 울타리를 제조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전기울타리는 울타리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에게 전기선과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도주하게 함으로써 야생동물이 보호구역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제10-0442059호『전기울타리』(등록; 2004. 07. 19)
[문헌 2] 대한민국 특허 제10-0783465호『전기울타리』(등록; 2007. 12. 03)
종래의 전기울타리는 설치용 지주대에 전기선을 직접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전기선을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자재의 소요에 따른 시공비용이 비쌌으며, 또한 전기선의 고정·배치가 자유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기선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탄력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고 다소 작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울타리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그물망을 이용하여 전기선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선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양한 형태로 고정·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울타리의 시공에 따른 비용의 소요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장소에 탄력적으로 시공하여 대형 야생동물과 소형 야생동물에 대한 퇴치가 가능하게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그물형 전기울타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평 위사와 수직 경사를 성글게 제직하여 격자 형태의 그물망을 형성하되, 상기 수직 경사는 수평 위사에 결속되는 복수의 경사 가닥으로 구성하여서 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을 구성하는 수직 경사의 경사 가닥 사이를 통과하고 이웃하는 수직 경사의 경사 가닥 사이를 연이어 통과하는 형태로 그물망에 고정하는 전기선; 상기 그물망의 수평 위사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하는 설치 지주대; 상기 그물망에 고정된 복수의 전기선에 고압전류를 공급해주도록 한 컨버터 등으로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그물형 전기울타리는 격자형 그물망에 감전을 유도할 수 있는 전기선을 배치하여 완성한 것으로, 그물망이 상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수지(resin) 원사로 제조되고 전기선 또한 무피복 전선과 다수의 수지 원사를 꼬아서 만든 고정줄의 조합(꼬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야생동물의 충돌 충격은 물론이고 기타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버팀력이 강하기 때문에 전기울타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제조된 그물망을 이용하므로 그물망 자체만으로도 소형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선을 그물망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전기울타리의 시공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로 전기선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써, 본 발명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대형 야생동물의 퇴치에는 물론이고 수달이나 황소개구리, 삵, 족제비 등과 같은 소형 유해동물의 침입이 우려되는 육상 양어장이나 근해연안의 가두리 양식장 또는 닭이나 오리를 방사하여 사육하는 농가의 방사장 등과 같은 장소에도 용이하게 시공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을타리에 접근한 야생동물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여 학습효과로 인해 전기울타리가 설치된 지역을 기피하게 하여 가축이나 농작물, 양식 어류 등을 각종 야생동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 또는 "+" 중에서 선택된 임의 극성의 고전압 직류를 전기선에 교호(交互)로 인가함으로써 "-" 극성의 고전압 직류가 인가된 전기선과 "+" 극성의 고전압 직류가 인가된 전기선을 모두 접촉하여야만 감전에 의한 전기충격이 가해져 사람은 약간의 주의만으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울타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울타리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을 발췌한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에 전류가 인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이한 참고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울타리(10)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복수열의 수평 위사(21)와 수직 경사(22)를 성글게 제직하여 격자 형태를 취하도록 한 그물망(20)과, 그물망(20)에 고정되는 전기선(25)과, 그물망(20)의 설치를 위한 설치 지주대(30)로 구성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20)에 고정된 전기선(25)은 고전압 직류를 공급해주는 컨버터(C)에 연계시켜 컨버터(C)에서 출력된 고전압 직류가 전기선(25)에 인가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수평 위사(21)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다수의 고밀도 합성수지 원사를 조합하여서 된 복수 열로 구성하고, 상,하의 수평 위사(21)는 상호 결속되는 복수의 경사 가닥(22a,22b,2c,22d)으로 연결하여 복수 열의 수평 위사(21)와 수직 경사(22)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격자 형태가 구현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수직 경사(22)를 구성하는 경사 가닥(22a,22b,2c,22d) 또한 인장강도가 우수한 고밀도 합성수지에 의해 구현됨은 당연하다.
상기 전기선(25)은 그물망(20)을 구성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부분을 이웃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연이어 통과시키는 형태로 그물망(20)에 고정한다.(도 3 참조)
상기 설치 지주대(30)는 꽂아서 세우거나 기타 수단을 이용해 지면에 설치하여 그물망(20)을 펼쳐 고정해주기 위한 것으로, 설치 지주대(30)에는 그물망(20)의 수평 위사(21)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홀더(31)를 마련하여 구성한다.
상기 컨버터(C)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기를 변환하여 그물망(20)에 고정된 각각의 전기선(25)에 임의선택한 "+" 또는 "-" 극성의 고전압 직류를 공급해주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25)은 인장강도가 우수한 고밀도 합성수지 원사를 꼬아서 만든 고정줄(26,27)에 무피복 전선(26a,27a)을 합사하고, 무피복 전선(26a,27a)이 합사된 고정줄(26,27)을 조합(꼬임)하여 구성함으로써 전기선(25)이 상당한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접근 대상체와 무피복 전선(26a,27a)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면에 입설하여 고정한 복수의 설치 지주대(30)에 마련된 홀더(31)에 그물망(20)의 수평 위사(21)를 고정시켜 그물망(20)을 소망하는 형태로 둘러쳐서 그물망(20) 내부의 영역이 보호구역이 되게끔 시공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물망(20)에 복수 열로 고정·배치되는 전기선(25)에 컨버터(C)가 고전압 직류를 인가함으로써 그물망(20) 자체적으로 소형 야생동물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선(25)에 접촉하는 야생동물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고 충격에 의한 학습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야생동물도 퇴치(접근제한)이 가능하고 재진입을 불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망(20)의 하단부(20a)를 바깥 방향으로 접어서 그물망 하단부(20a)에 설치된 전기선(25)에 "-"의 고전압 직류를 인가하고 장막을 이루는 그물망(20)에 설치된 전기선(25)에 하단부(20a) 전기선(25)과 반대 극성의 "-" 또는 "+"의 고전압 직류를 교호(交互)로 인가하여 바닥(그물망의 하단부)을 밟은 상태에서 그물망(20) 상단의 전기선(25)에 접촉하면 고전압 직류에 감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도 5 및 도 6 [B] 참조) 그물망(20)에 층층이 고정·배치된 각각의 전기선(25)에 "-" 또는 "+"의 고전압 직류를 교호(交互)로 인가하여 "-" 고전압 직류가 인가된 전기선(25)과 "+"의 고전압 직류가 인가된 전기선(25)을 동시에 접촉하면 고전압 전류에 감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6 [A] 참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그물형 전기울타리(10)를 노지(露地)에 설치할 경우 전기울타리(10)의 하단부 지면에 방초용 매트(차광 매트)를 설치하여 지면의 방해요소(잡초, 잡목 등)로부터 동작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양어장(근해연안의 가드리 양식장 포함) 등과 같이 지면에 "-" 전기를 인가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전기울타리(10)를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닥에 도전성 재료인 금속 철망을 설치하여 그 철망에 "-"의 고전압 직류를 인가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전기울타리 20: 그물망
21: 수평 위사 22: 수직 경사
22a,22b,22c,22d: 경사 가닥 25: 전기선
30: 설치 지주대 31: 홀더
C : 컨버터

Claims (2)

  1. 복수의 수평 위사(21)와 수직 경사(22)를 성글게 제직하여 격자 형태의 그물망(20)을 형성하되, 상기 수직 경사(22)는 수평 위사(21)에 결속되는 복수의 경사 가닥(22a,22b,2c,22d)으로 구성하여서 된 그물망(20);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통과하고 이웃하는 수직 경사(22)의 경사 가닥(22a,22b,2c,22d) 사이를 연이어 통과하는 형태로 그물망(20)에 고정되는 전기선(25);
    상기 그물망(20)의 수평 위사(21)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31)를 구비하는 설치 지주대(30);
    상기 그물망(20)에 고정된 복수의 전기선(25)에 고전압 직류를 공급해주도록 한 컨버터(C)로 구성되는 그물형 전기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20)의 수직 경사(22)에 의해 고정되는 전기선(25)은 수평 위사(21)에 의해 구획되는 층간에 등간격 또는 임의간격을 이루게 고정되는 복수의 전기선(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버터(C)는 각각의 전기선(25)에 임의선택한 "+" 또는 "-" 극성의 고전압 직류를 공급해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형 전기울타리.
KR1020140096531A 2014-07-29 2014-07-29 그물형 전기울타리 KR2016001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31A KR20160014381A (ko) 2014-07-29 2014-07-29 그물형 전기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31A KR20160014381A (ko) 2014-07-29 2014-07-29 그물형 전기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81A true KR20160014381A (ko) 2016-02-11

Family

ID=5535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531A KR20160014381A (ko) 2014-07-29 2014-07-29 그물형 전기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3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77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KR20180116488A (ko) 2017-04-14 2018-10-25 나대석 야생동물 진입 차단용 발판
CN111466301A (zh) * 2020-04-14 2020-07-31 陈书斌 一种畜牧养殖用分隔栏
KR20210109391A (ko) 2020-02-27 2021-09-06 한국솔라파워(주) 전기 울타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77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KR20180116488A (ko) 2017-04-14 2018-10-25 나대석 야생동물 진입 차단용 발판
KR20210109391A (ko) 2020-02-27 2021-09-06 한국솔라파워(주) 전기 울타리
CN111466301A (zh) * 2020-04-14 2020-07-31 陈书斌 一种畜牧养殖用分隔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035B2 (en) Pest control
KR20160014381A (ko) 그물형 전기울타리
US6925748B2 (en) Flexible apparatus cover providing electrical shock upon contact
AU2015238795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US6817138B1 (en) Flexible apparatus cover providing electrical shock upon contact
JP2009011280A (ja) 獣類侵入防止柵
KR20180057560A (ko) 야생 동물 침입 방지 네트
JP2003219788A (ja) 防獣システムと、防獣用ネット並びに防獣用ネット係止環
KR20080004921U (ko) 꿀벌 안전망
JP4138847B1 (ja) 猿対策用の防獣ネットの構造
JP6604010B2 (ja) 指定管理鳥獣の方向誘導装置
AU2009217471A1 (en) A fabric
JP2002000163A (ja) 通電可能な防獣用通電性ネット
Michaud et al. Use of predator exclosures to protect piping plover nests in Alberta and Saskatchewan
JP2006211956A (ja) 防獣ネットシステム
Tena et al. Failures in outdoor insulation caused by bird excrement
CZ32800U1 (cs) Zařízení pro odpuzování vyder
JP4803540B2 (ja) 電気柵
KR101103285B1 (ko)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KR20090013249A (ko) 조류 퇴치 방법 및 그 퇴치구조
CZ35556U1 (cs) Elektrický ohradník pro zamezení migrace volně žijících zvířat
AU2013251236B2 (en) A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 predatory animal not to attack a pre-determined species
RU15608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сенажных ям от птиц
JP3660996B2 (ja) 電気柵
Thatcher et al. Peregrine Fal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