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285B1 -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 Google Patents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285B1
KR101103285B1 KR1020100062821A KR20100062821A KR101103285B1 KR 101103285 B1 KR101103285 B1 KR 101103285B1 KR 1020100062821 A KR1020100062821 A KR 1020100062821A KR 20100062821 A KR20100062821 A KR 20100062821A KR 101103285 B1 KR101103285 B1 KR 10110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light
magpie
str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03A (ko
Inventor
정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to KR102010006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2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의 경완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경완금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을 포함하는 까치집 방지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신주의 경완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경완금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을 포함하여, 경완금의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방지 유닛 및 인접하는 상기 방지유닛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공 사이에 끼워지도록 연결하는 절연성 스트링을 구비하는 까치집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신주의 경완금에 까치집을 지을 수 없게 되어, 까치가 까치집을 지을 때 물어오는 쇠붙이 등에 의해 발생 되었던 정전 상태를 방지할 수 있고, 전신주에 지어진 까치집을 제거하기 위해 발생되는 인력 손실 및 금전적인 지출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 전신주가 지저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Apparatus and units for magpie nesting prevention}
본 발명은 까치집 방지 유닛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까치를 비롯한 기타 조류가 전신주의 경완금에 둥지를 틀지 못하도록 하는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까치는 둥지를 틀기 위해서 적당한 장소를 물색한 후 물색한 장소의 안전여부를 사전에 미리 확인한 후 둥지를 트는 습성이 있다.
까치가 즐겨 둥지를 트는 장소로는 높은 나뭇가지나 전봇대 또는 송전탑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까치가 각종 변압기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나 송전탑의 완금에 둥지를 틀게 되면 정전사고를 유발하여 사회적 또는 경제적으로 많은 불편과 피해를 입게 된다.
환경부 집계에 따르면 전봇대의 까치집 때문에 발생하는 정전에 따른 생산차질과 수리비 등으로 한해 동안 전력시설에 끼치는 손해는 약 4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까치가 집중적으로 집을 짓는 3 ~ 5월까지 까치집을 제거하기 위해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는 그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지난 2005년 야생동식물보호법 제정과 함께 까치를 "유해 야생 동물"로 분류하여 포획할 수 있게 되면서 전통적으로 길조라 여겨졌던 까치를 마구 살상함으로써, 자연환경적 측면에서의 부작용까지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막대한 피해 및 문제점들 때문에 까치가 전봇대나 송전탑에 둥지를 틀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다.
종래에는 국내 실용 공개번호 제98-5663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까치 퇴치용 기구"는 까치모양의 모형에 연결고리를 결합하여 완금에 걸어두는 것으로 이는 까치는 죽은 까치를 싫어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까치 퇴치용 기구"는 강풍이 불거나 온도의 격차가 심한 날에는 연결고리가 완금에서 쉽게 이탈하여 지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두 쪽이 하나의 모양을 이루는 모형의 결합력이 떨어져 양쪽으로 분리되어 까치 퇴치용 기구로서의 효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98-6209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전사고방지용 조류퇴치기"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화학물질을 분사하는 제어장치 및 분사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감지센서가 까치나 조류를 감지하면 소정시간 동안 까치나 조류가 싫어하는 화학물질을 분사하여 까치나 조류를 퇴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전사고방지용 조류퇴치기는, 전원공급부와 감지센서, 제어장치 및 분사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낙엽이나 다른 이물질을 잘못 감지하여 오작동을 할 우려가 높으며, 정기적으로 화학물질을 점검하고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인력의 낭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전신주의 경완금에 견고히 체결 가능하며, 화학물질을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빈번하게 해당 부품 및 화학물질 등을 점검하고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신주의 경완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경완금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까치집 방지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톱니형상으로 구비되어 까치의 안착을 방지하는 방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경완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의 삽입공으로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연결부재,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는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신주의 경완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경완금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을 포함하여, 경완금의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방지 유닛 및 인접하는 상기 방지유닛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공 사이에 끼워지도록 연결하는 절연성 스트링을 구비하는 까치집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지유닛은 2개의 경완금의 각 단부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결합하도록 6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트링은, 경완금의 길이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링은 그 자유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공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트링 고정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링을 되감을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와인더를 더 구비하는 까치집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까치집 방지 유닛 및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전신주의 경완금에 까치집을 지을 수 없게 되어, 까치가 까치집을 지을 때 물어오는 쇠붙이 등에 의해 발생되었던 정전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전신주의 경완금에 지어진 까치집을 제거하기 위해 발생되는 인력 손실 및 금전적인 지출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 깨끗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자연적인 까치 번식 환경을 유도함으로써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까치의 개체 수 조절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까치집 방지 유닛을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까치집 방지 유닛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까치집 방지 유닛이 구비되는 까치집 방지 장치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까치집 방지 장치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까치집 방지 유닛의 관통공에 체결되는 스트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까치집 방지 유닛은, 고정브라켓(10)과, 연결부재(20)와, 체결부재(30) 및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전신주(60)의 경완금(62)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0)은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기가 용이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0)과 상기 경완금(62)의 접지면적을 넓힘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이 상기 경완금(62)에서 벌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12)은 "ㄷ"자 형상의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12)의 삽입공(14)으로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16)이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내구성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0)의 하부에는 관통홀(1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18)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재(30)를 회전시켜 상승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체결부재(30)가 상기 경완금(62)과 접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30)와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체결수단(16)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0)을 상기 경완금(62)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로는 볼트 및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도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부재(30) 역시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상부에는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2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20)를 상기 고정브라켓(10)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는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와 볼트나 피스 등과 같은 체결도구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부에는 톱니 형상의 방지구(22)가 구비되며, 상기 방지구(22)는 까치의 안착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상기 연결부재(20)에 구비되어 진다.
상기 방지구(22)는 톱니 형상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뽀족하게 돌출되거나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의 측부에는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42)이 형성된 결합부재(40)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재(4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42)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관통공(42) 대신에 복수개의 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42)과 고리(미도시) 중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 상기 결합부재(40)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42)으로는 투명의 절연성 스트링(50)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 상기 연결부재(20), 상기 체결부재(30) 및 상기 결합부재(40)를 포함하는 까치집 방지 유닛(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까치집 방지 유닛(1)은 투명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지 유닛(1)을 투명 재질로 만드는 목적은, 까치는 색을 구분하므로 상기 방지 유닛(1)이 투명이 아닌 색을 가지게 되면, 까치는 색을 가지는 상기 방지 유닛(1)을 피해 집을 짓거나 둥지를 트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방지 유닛(1)을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질로 만드는 것은, 상기 방지 유닛(1)이 전신주(60)의 경완금(62)에서 탈착되어 전신주에 설치되는 전선과 접지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전 등의 우발적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지 유닛(1)을 투명의 절연재질로 형성함으로 인하여, 까치가 상기 방지 유닛(1)을 인지하지 못하여 상기 방지 유닛(1)이 설치된 전신주(60)의 경완금(62)에 집을 짓더라도 완성시킬 수 없게 하고, 상기 방지 유닛(1)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가 풀리면서 발생될 지 모르는 상기 방지 유닛(1)이 전선과 접지하면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지 유닛(1)을 투명의 절연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투명 재질이 아닌 색을 가지는 아크릴 재질 및 나무 등의 목재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까치집 방지 장치는, 고정브라켓(10)과, 연결부재(20)와, 체결부재(30) 및 결합부재(40)를 포함하며, 경완금의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방지 유닛(1)과 상기 방지 유닛(1)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재(40)의 관통공(42) 사이에 끼워져 연결하는 투명의 절연성 스트링(50)을 포함한다.
상기 방지 유닛(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방지 유닛(1)은 2개의 경안금(62)의 각 단부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결합하도록 6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방지 유닛(1)의 결합부재(40)에 구비된 관통공(42)에는 상기 경안금(6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스트링(50)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스트링(50)은 투명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링(50)으로는 일반적인 투명의 낚시줄과 투명의 합금소재 줄이 주로 사용되는데, 투명의 낚시줄과 합금소재 줄을 사용하는 목적으로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잘 끊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스트링(50)은 설치된 환경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5년마다 한번씩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링(50)은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데, 상기 리와인더(54)는 상기 스트링(50)을 인출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상기 스트링(50)을 되감을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리와인더(54)에서는 한 줄의 스트링(50)이 인출되는데,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상기 스트링(50)은 상기 경완금(62)에 설치된 각 방지 유닛(1)의 관통공(42)에 끼워져 상기 방지 유닛(1)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리와인더(54)의 일측에는 체결고리(56)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고리(56)은 상기 리와인더(54)를 상기 방지 유닛(1)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와인더(54)가 상기 체결고리(56)에 의해 상기 방지 유닛(1)에 체결되면,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스트링(50)이 상기 경완금(62)에 설치된 다른 쪽의 방지 유닛(1) 관통공(42)에 끼워져 상기 방지 유닛(1)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상기 스트링(50)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방지 유닛(1)의 결합부재(40)에 구비된 관통공(4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고리(52)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방지 유닛(1)이 전신주(60)의 2개의 경완금(6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경완금에 설치된 3개의 상기 방지 유닛(1) 사이를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상기 스트링(50)이 연결한다.
상기 방지 유닛(1) 사이를 1개의 스트링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1개의 리와인더(54)를 구비하여,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2줄의 스트링(50)을 상기 각 방지 유닛(1)의 관통공(42)과 연결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각 방지 유닛(1) 사이를 상기 스트링(50)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각 방지 유닛(1) 사이를 몇 개의 스트링(50)으로 연결하느냐에 따라서 상기 리와인더(5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리와인더(54)는 체결고리(56)에 의해 상기 경완금(62)의 중앙부에 배치된 방지 유닛(1)에 체결되며, 상기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한 줄의 스트링(50)의 자유단부에 구비된 상기 걸림고리(52)가 상기 경완금(62)에 양 단부에 배치된 상기 방지 유닛(1)의 관통공(42)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경완금(62)의 양 단부 및 중앙부에 배치된 상기 방지 유닛(1)의 사이를 상기 스티링(50)이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경완금(62)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경완금(62)의 양 단부 및 중앙부에 배치된 상기 방지 유닛(1)의 사이를 상기 스티링(50)이 연결하게 되면서, 상기 방지 유닛(1)과 상기 스티링(50)에 의해서 상기 경완금(62)에는 까치가 둥지를 틀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60)에는 2개의 경완금(6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경완금(62)에는 3개의 방지 유닛(1)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각 방지 유닛(1)의 사이에는 상기 각 방지 유닛(1) 사이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스트링(50)의 수만큼 상기 리와인더(5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리와인더(54)에서 인출되는 스트링(50)은 상기 방지 유닛(1)의 관통공(42)과 연결된다.
상기 경완금(62)의 양 단부에 체결된 상기 방지 유닛(1)과 상기 경완금(62)의 중앙부에 체결된 상기 방지 유닛(1)을 연결하는 상기 스트링(50)은 상기 경완금(62)의 길이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신주(60)에 구비된 2개의 경완금(62)에 결합되는 6개의 방지 유닛(1)을 연결하는 상기 스트링(50)을 상기 경완금(62)의 길이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상기 전신주(60)와 상기 경완금(62)의 구조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하게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완금(62)에 체결되는 상기 방지 유닛(1)과, 상기 방지 유닛(1)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스트링(50)에 의해서 까치가 상기 경완금(62)에 둥지를 틀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방지 유닛 10 : 고정브라켓
12 : 체결부 14 : 삽입공
16 : 삽입공 18 : 관통홀
20 : 연결부재 22 : 방지구
30 : 체결부재 40 : 결합부재
42 : 관통공 50 : 스트링
52 : 걸림고리 54 : 리와인더
56 : 체결고리 60 : 전신주
62 : 경완금 100 : 방지 장치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신주의 경완금(62)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20),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경완금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 및 블록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공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마련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여, 경완금의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방지 유닛(1); 및
    인접하는 상기 방지유닛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재(40)의 관통공 사이에 끼워지도록 연결하는 절연성 스트링(50)을 구비하되,
    상기 스트링(50)의 자유단부에는 경완금의 일측부에 결합된 결합부재(40)의 관통공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고리(52)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링(50)의 고정단부에는 상기 스트링을 되감을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와인더(54)가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54)에는 경완금의 타측부에 결합된 결합부재(40)의 관통공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고리(5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지 유닛(1)은, 2개의 경안금의 각 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결합하도록 6개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링(50)은, 경안금의 길이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부에 톱니형상으로 구비되어 까치의 안착을 방지하는 방지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1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경완금에서 벌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삽입공로 체결수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1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연결부재,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13.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치집 방지장치.
KR1020100062821A 2010-06-30 2010-06-30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KR10110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821A KR101103285B1 (ko) 2010-06-30 2010-06-30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821A KR101103285B1 (ko) 2010-06-30 2010-06-30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03A KR20120002103A (ko) 2012-01-05
KR101103285B1 true KR101103285B1 (ko) 2012-01-11

Family

ID=4561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821A KR101103285B1 (ko) 2010-06-30 2010-06-30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962B1 (ko) 2011-10-19 2013-10-04 김기정 조류 퇴치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665A (ja) * 1997-09-10 1999-03-23 Kyoei Fuensu Kogyo Kk 鳥害防止器具
JP2001178350A (ja) 1999-12-28 2001-07-03 Okagami Kogyo Kk 鳥害防止手段及びその着脱方法
JP2003310137A (ja) 2002-04-26 2003-11-05 Shinano Kenshi Co Ltd 鳥害防止装置
KR20040011007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경사벨트컨베이어의 낙석처리장치
KR200411007Y1 (ko) * 2005-12-26 2006-03-09 박중식 조류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665A (ja) * 1997-09-10 1999-03-23 Kyoei Fuensu Kogyo Kk 鳥害防止器具
JP2001178350A (ja) 1999-12-28 2001-07-03 Okagami Kogyo Kk 鳥害防止手段及びその着脱方法
JP2003310137A (ja) 2002-04-26 2003-11-05 Shinano Kenshi Co Ltd 鳥害防止装置
KR20040011007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경사벨트컨베이어의 낙석처리장치
KR200411007Y1 (ko) * 2005-12-26 2006-03-09 박중식 조류퇴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962B1 (ko) 2011-10-19 2013-10-04 김기정 조류 퇴치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03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2544A1 (en) Bird control system
KR101103285B1 (ko) 까치집 방지 유닛 및 장치
KR101040134B1 (ko) 새 둥지 방지 유닛
KR200470590Y1 (ko)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JP2010284093A (ja) 鳥害防止装置
JP4534040B2 (ja) 営巣防止装置
KR100793438B1 (ko) 전신주의 조류퇴치장치
KR20160014381A (ko) 그물형 전기울타리
JP2018035582A (ja) 鳥獣保護取付装具
JP4138847B1 (ja) 猿対策用の防獣ネットの構造
KR101311533B1 (ko) 가시나무형 조류 퇴치기
JP2003219788A (ja) 防獣システムと、防獣用ネット並びに防獣用ネット係止環
US20050217187A1 (en) Bird control arrangement
KR100554620B1 (ko) 안전낚시바늘
KR101389474B1 (ko) 조류 착지 방지 장치
KR200396046Y1 (ko) 안전낚시바늘
KR100585617B1 (ko) 조류의 인공둥지 구조
KR20000063651A (ko) 조류퇴치기
KR102256905B1 (ko) 전주용 조류둥지 방지 장치
JP2006211956A (ja) 防獣ネットシステム
KR200413179Y1 (ko) 부직포가 설치된 전기 울타리
KR200169885Y1 (ko) 전신주용 조류집 유도장치
KR20090013249A (ko) 조류 퇴치 방법 및 그 퇴치구조
KR100908906B1 (ko) 배전선로 전주의 점퍼선 보호장치.
KR200210898Y1 (ko) 조류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