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605A -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605A
KR20220138605A KR1020210044469A KR20210044469A KR20220138605A KR 20220138605 A KR20220138605 A KR 20220138605A KR 1020210044469 A KR1020210044469 A KR 1020210044469A KR 20210044469 A KR20210044469 A KR 20210044469A KR 20220138605 A KR20220138605 A KR 2022013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mobile device
controlling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희
손창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605A/ko
Priority to US17/472,218 priority patent/US11725449B2/en
Priority to CN202111142852.0A priority patent/CN115162888A/zh
Priority to DE102021125775.1A priority patent/DE102021125775A1/de
Publication of KR2022013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안테나;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레인센서; 및 안테나에서 인식한 모바일장치의 위치 또는 레인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VEHICLE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어의 자동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승객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해 차량의 도어가 승객의 RF키, 스마트키 또는 스마트폰에 의해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도어개폐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도어개폐장치 또한 승객의 버튼 조작에 의해 작동됨으로 완벽하게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도어개폐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6710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승객이 소지한 모바일장치 또는 우천상태를 기반으로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승객의 차량 탑승 또는 하차시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안테나;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레인센서; 및 안테나에서 인식한 모바일장치의 위치 또는 레인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안테나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가 포함되고, 제어부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준비하는 도어개방 준비모드가 실행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에는 차량의 도어에서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2안테나가 더 포함되고, 제어부는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가 개방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시간 이후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는 차량 주변에 인접한 제3영역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 이후 제3영역 내에서 모바일장치의 인식이 해제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레인센서에서 우천상태를 감지시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시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도어를 록킹하는 도어록킹장치;를 더 포함하고, 안테나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가 포함되며, 제어부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도어록킹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레인센서에서 우천 상태가 감지될 경우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레인센서에는 우천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전극 및 전극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와 연결된 회로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레인센서는 전극에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이 감지된 이후 기설정된 제3시간 동안 물방울에 의한 접촉 감지가 유지될 경우 우천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레인센서에는 전극 및 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된 센서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센서하우징의 내부는 충진제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모바일장치는 차량의 RF 키,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인식한 모바일장치의 위치 또는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차량의 도어록킹장치를 해제하고, 도어개폐장치를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이후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도어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가 다시 실행되고, 도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될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모바일장치와 안테나가 무선통신하여 승객의 위치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킴에 따라 승객이 탑승하거나 하차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도어가 개방시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여 도어를 폐쇄시킴에 따라 차량의 내부로 빗방울이 들어오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의한 모바일장치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센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의한 모바일장치의 이탈을 감지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 및 경고발생부(7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에 의한 모바일장치(60)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센서(3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시스템은 승객의 차량의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때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승객의 차량 탑승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구제척으로 차량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모바일장치(6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인식하는 안테나(10);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20);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레인센서(30); 및 안테나(10)에서 인식한 모바일장치(60)의 위치 또는 레인센서(30)에서 감지된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안테나(10)는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배터리에 의해 항시 작동되며, 모바일장치(60)를 소지한 승객이 차량에 인접할 경우 모비일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승객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레인센서(30)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어 우천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빗방울의 진동을 감지는 감압센서에 의해 차량 외부에 우천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인센서(30)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차량 외부에 마련된 터치센서를 통해 우천 상황을 감지하거나, 별물로 마련되어 외부의 마련된 우천감지장치가 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20)는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으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폐쇄한 이후에 도어를 록킹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안테나(10)에서 감지한 모바일장치(60)의 위치에 따라 도어개폐장치(2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안테나(10)는 하나의 안테나(10)에서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여 변경된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10)가 마련되어 각각의 안테나가 영역을 구분하여 모바일장치(6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이 모바일장치(60)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 인접한 경우 안테나(10)가 모바일장치(60)와 무선 통신하여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어부(40)는 안테나(10)에서 인식한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20)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승객이 모바일장치(60)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서 벗어날 경우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폐쇄시키고 록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은 자동으로 도어가 개폐됨으로써 차량의 탑승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으며, 양손에 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시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편리하게 차량에 짐을 실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레인센서(30)에서 우천 상태를 감지시 차량의 도어개폐장치(20)의 개방을 제한하여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테나(10)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11)가 포함되고, 제어부(40)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도어개폐장치(20)의 작동을 준비하는 도어개방 준비모드가 실행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에 포함된 제1안테나(11)는 차량에서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와 무선 통신하여 모바일장치(60)가 제1영역 내부로 위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도어는 폐쇄되어 있으며, 제어부(40)는 제1안테나(11)에서 제1영역 내부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도어개폐장치(20)가 작동을 준비하는 도어개폐 준비모드가 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2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도어개폐 준비모드에서는 유압에 의해 도어개폐장치(20)가 작동시 예압을 가하거나, 전기모터에 의해 도어개폐장치(20)가 작동시 전기모터에 전력이 인가되어 모터의 작동이 준비될 수 있다.
안테나(10)에는 차량의 도어에서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는 제2안테나(12)가 더 포함되고, 제어부(40)는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도어가 개방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테나(12)는 차량의 도어 측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이 차량의 도어 측으로 인접한 경우 차량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은 제1영역에 포함되며,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시 도어개폐 준비모드가 실행되고,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시 도어개폐장치(20)가 즉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이 모바일장치(60)를 소지한 상태로 제2영역에서 인식되면 도어가 즉시 열리며 승객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4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시간 이후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기설정된 제1시간 이후 도어가 닫히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도어를 폐쇄하도록 도어 개폐장치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에 의한 모바일장치(60)의 이탈을 감지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안테나(10)는 차량 주변에 인접한 제3영역을 감지하고, 제어부(4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 이후 제3영역 내에서 모바일장치(60)의 인식이 해제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모바일장치(60)가 제3영역의 외부로 이동되어 제3영역에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40)는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작동시켜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3영역을 제1영역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3역은 제1영역 보다 크게 설정되거나 제1영역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의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레인센서(30)에서 우천상태를 감지시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레인센서(30)에서 우천이 감지될 경우 도어가 즉시 폐쇄되도록 제어부(40)는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날씨가 우천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즉시 차량의 도어를 폐쇄시켜 차량의 인테리어가 젖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40)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시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이후 외부의 장애물에 의해 도어의 개방상태가 유지될 경우 경고발생부(70)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고발생부(70)는 차량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경고 신호를 음성 또는 메세지로 발생시키며, 승객이 외부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차량의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차량의 도어를 록킹하는 도어록킹장치(50);를 더 포함하고, 안테나(10)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11)가 포함되며, 제어부(40)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도어록킹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록킹장치(50)는 도어개폐장치(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별물로 장착될 수 있다.
도어록킹장치(50)는 제1안테나(11)에서 제1영역 내부에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장치(60)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이 차량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모바일장치(60)가 제2영역 내부에서 감지될 경우 도어가 바로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레인센서(30)에서 우천이 감지될 경우 도어개폐장치(20)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60)가 제1영역 및 제2영역에서 감지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작동되도록 제어부(40)에서 제어하나 레인센서(30)에서 우천 상태가 감지될 경우 도어개폐장지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부(40)는 도어개폐장치(20)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천상태에서 승객이 도어를 개방시키고 신속하게 폐쇄하여 차량의 인테리어가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센서(30)에는 우천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전극(31) 및 전극(31)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40)와 연결된 회로기판(32)이 포함될 수 있다.
레인센서(30)에 포함된 전극(31)은 우천시 떨어지는 빗방울의 충격에 따라 진동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회로기판(32)은 변화되는 정전용량의 신호를 기반으로 우천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우천 감지는 Electrode Capacitance (Cp) 측정에 기초하며, 빗방울기 떨어질시 Electrode는 coupling effect를 이용해 추가 Capacitance(Cf)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등가 capacitance(Cp+ Cf)는 기준Cp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우천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센서(30)는 차량의 도어캐치(A-A) 또는 도어프레임(A'-A')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 이외의 차량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레인센서(30)는 전극(31)에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이 감지된 이후 기설정된 제3시간 동안 물방울에 의한 접촉 감지가 유지될 경우 우천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레인센서(30)의 전극(31)은 기설정된 제3시간 동안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제3시간 이상으로 감지시 회로기판(32)은 우천상태를 판단하고 제어부(40)는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거나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도록 도어개폐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우천 상황시 레인센서(30)에 빗방울로 인해 입력되는 역치가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기설정된 제3시간 이상 입력시 레인센서(30)는 우천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레인센서(30)에는 전극(31) 및 회로기판(32)이 내부에 배치된 센서하우징(33)이 더 포함되고, 센서하우징(33)의 내부는 충진제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3)의 내부에는 전극(31) 및 회로기판(32)이 내부에 배치되어 전극(31) 및 회로기판(3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센서하우징(33)의 내부에는 충진제가 충진되어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시 전극(31) 및 회로기판(32)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장치(60)는 차량의 RF 키,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안테나(10)는 승객의 개인정보를 인식하는 개인식별장치 또는 승객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식별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장치(60)는 차량의 RF 키,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차량의 RF 키,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 폰이 안테나(10)와 무선 통신하여 승객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장치(6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10);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30); 및 인식한 모바일장치(60)의 위치 또는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10)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는 단계(S11)가 포함되고,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될 경우 차량의 도어록킹장치(50)를 해제하고, 도어개폐장치(20)를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S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S21)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30)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에는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S21) 이후 모바일장치(60)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도어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를 인식하는 단계(S12)가 포함되고,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60)가 인식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S23)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3)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30)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4)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3) 이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4) 이후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S40)가 다시 실행되고, 도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될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안테나 11 : 제1안테나
12 : 제2안테나 20 : 도어개폐장치
30 : 레인센서 31 : 전극
32 : 회로기판 33 : 센서하우징
40 : 제어부 50 : 도어록킹장치
60 : 모바일장치 70 : 경고발생부

Claims (20)

  1. 차량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안테나;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레인센서; 및
    안테나에서 인식한 모바일장치의 위치 또는 레인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가 포함되고,
    제어부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준비하는 도어개방 준비모드가 실행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에는 차량의 도어에서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2안테나가 더 포함되고,
    제어부는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가 개방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시간 이후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안테나는 차량 주변에 인접한 제3영역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시간 이후 제3영역 내에서 모바일장치의 인식이 해제될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레인센서에서 우천상태를 감지시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시 도어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를 록킹하는 도어록킹장치;를 더 포함하고,
    안테나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제1안테나가 포함되며,
    제어부는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도어록킹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레인센서에서 우천 상태가 감지될 경우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레인센서에는 우천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전극 및 전극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와 연결된 회로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레인센서는 전극에서 물방울에 의한 접촉이 감지된 이후 기설정된 제3시간 동안 물방울에 의한 접촉 감지가 유지될 경우 우천 상태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레인센서에는 전극 및 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된 센서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센서하우징의 내부는 충진제에 의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장치는 차량의 RF 키,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14. 청구항 1의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인식한 모바일장치의 위치 또는 차량외부의 우천 상태를 기반으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전방위로 인접한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1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될 경우 차량의 도어록킹장치를 해제하고, 도어개폐장치를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도어개폐 준비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이후 모바일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도어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를 인식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2영역에서 모바일장치가 인식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차량 외부의 우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차량 외부의 우천상태가 감지되면,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폐장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는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단계가 다시 실행되고,
    도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될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KR1020210044469A 2021-04-06 2021-04-06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8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69A KR20220138605A (ko) 2021-04-06 2021-04-06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472,218 US11725449B2 (en) 2021-04-06 2021-09-10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weather state detected by rain sensor
CN202111142852.0A CN115162888A (zh) 2021-04-06 2021-09-28 车辆的车门开闭控制系统及方法
DE102021125775.1A DE102021125775A1 (de) 2021-04-06 2021-10-05 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ssen von fahrzeugtü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69A KR20220138605A (ko) 2021-04-06 2021-04-06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05A true KR20220138605A (ko) 2022-10-13

Family

ID=832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469A KR20220138605A (ko) 2021-04-06 2021-04-06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25449B2 (ko)
KR (1) KR20220138605A (ko)
CN (1) CN115162888A (ko)
DE (1) DE102021125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810B2 (en) * 2021-10-29 2023-08-29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Power tailgate cargo load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104A (ko) 2015-12-07 2017-06-1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490B2 (ja) * 2005-05-19 2010-07-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乗降口の雨よけ装置
KR101570370B1 (ko) * 2008-10-28 2015-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761070B2 (en) * 2012-05-22 2017-09-12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s-free opening of a door
US9002584B2 (en) 2013-03-19 201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in onset detection glazing auto-close
DE102014204911B4 (de) 2014-03-17 2018-02-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Schließelements für ein Fahrzeug
DE102014204914A1 (de) 2014-03-17 2015-09-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Schließelements für ein Fahrzeug
JP6585907B2 (ja) * 2015-03-17 2019-10-02 ローム株式会社 静電スイッチ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ドア開閉装置、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
CN108368708B (zh) * 2015-06-04 2020-03-13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车辆用通信系统以及车载设备
US9797181B2 (en) 2015-08-26 2017-10-24 Tesla, Inc. Vehicle front door power opening system
JP6946605B2 (ja) * 2018-12-27 2021-10-0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US20200300027A1 (en) 2019-03-21 2020-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ed door control system and convenience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104A (ko) 2015-12-07 2017-06-1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5449B2 (en) 2023-08-15
CN115162888A (zh) 2022-10-11
DE102021125775A1 (de) 2022-10-06
US20220316257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48799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US201302496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or a tailgate of a vehicle
US20150247352A1 (en) System for speech activated movement of a vehicle backdoor
US20150073666A1 (en) Adjusting apparatus for moving a vehicle part that can be moved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US20140303852A1 (en) Automatic door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KR101844666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US20180155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locking Vehicle Engine Cover
KR20220138605A (ko)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789A (ko)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WO2018233300A1 (zh) 语音识别方法和语音识别装置
KR101562124B1 (ko) 동작 방향성 인식에 따른 테일게이트 구동 프로세스
KR101679191B1 (ko) 차량용 도어 열림제어방법
KR101947040B1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511B1 (ko)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867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시트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126021B1 (ko)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41217A (zh) 一种用于车辆的门锁控制方法和控制系统及车辆
KR101427758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892B1 (ko) 차량의 터미널 천이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4575701A (zh) 一种车门启闭的控制方法、系统、车辆及存储介质
KR20150108718A (ko) 테일게이트의 제어장치
KR10246371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1606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043295A1 (en) Voice-Activated Actuation of Automotive Features
JP200920058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使用制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