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91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91A
KR20220136891A KR1020220015743A KR20220015743A KR20220136891A KR 20220136891 A KR20220136891 A KR 20220136891A KR 1020220015743 A KR1020220015743 A KR 1020220015743A KR 20220015743 A KR20220015743 A KR 20220015743A KR 20220136891 A KR20220136891 A KR 2022013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
cable
housing
plate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다양한 직경의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 구조의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개시에 관련된 케이블 커넥터는, 단부에 있어서 편조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의 편조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을 갖는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고,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편조와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해서 편조를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편조를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도전성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개시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케이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전기 케이블의 외형을 따른 원호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된 치수의 덮개 부재를, 전기 케이블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유지와, 하우징을 개재한 전기 케이블의 그라운드에의 접속이 실현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206517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덮개 부재가 고정된 치수이기 때문에, 직경이 상이한 다른 전기 케이블에 유용할 수 없다. 요컨대, 직경이 상이한 다른 전기 케이블을 사용한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할 경우, 당해 다른 전기 케이블의 외형을 따른 치수의 새로운 덮개 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효율적은 아니다.
그래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하나는, 다양한 직경의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 구조의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케이블 커넥터는, 단부에 있어서 편조 (編租) 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의 편조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을 갖는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고,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편조와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해서 편조를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편조를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도전성 부재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관련된 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다양한 직경의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A-A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로부터 하우징을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B-B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이 하우징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도전성 부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형태의 구성, 그리고 당해 구성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 및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이하의 기재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제 1」,「제 2」등의 서수는, 부품 또는 부위 등을 구별하기 위해서 편의상 부여되어 있고, 특정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개시의 각 도면에 있어서, X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전후 방향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커버 (130) 내에서 전기 케이블 (300) 이 연장되는 방향) 에 대응한다. 또,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 (두께 방향) 에 대응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전기 기기와의 사이의 전기 신호의 입출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는, 본 개시의「케이블 커넥터」의 일례로서의 플러그 커넥터 (100)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0) 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전기 케이블 (300) 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전기 기기의 케이싱의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은, 2 개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전기 케이블 (300) 은, 예를 들어, 제어 신호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의 제 1 전기 케이블과,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용도의 제 2 전기 케이블로 분류된다.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서로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전기 케이블 (300) 을 개재한 전기 기기에의 전기 신호의 입력, 또는 전기 케이블 (300) 을 개재한 전기 기기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출력을 실현한다. 도 1 에는,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2 에는,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양자가 분리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 상태 (도 1 참조) 와,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 상태 (도 2 참조) 는, 플러그 커넥터 (100) 에 장착되는 조작 레버 (120) 에 의해서 전환 가능하다.
조작 레버 (120) 는, 플러그 커넥터 (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우징 (110) 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대략 U 자의 띠 형상을 갖고, 하우징 (110) 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동 축부 (121) 둘레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 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 (120) 가 하우징 (110) 의 정면의 위치 (도 1 참조) 로 회동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유지되고, 조작 레버 (120) 가 하우징 (110) 의 상면의 위치 (도 2 참조) 로 회동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플러그 커넥터 (100) 측의 후술하는 단자부 (410) (도 3 등 참조) 가 삽입되는 단자공 (211 및 212) 이 형성되는 접속부 (210) 와,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하우징 (110) 에 걸림으로써 하우징 (110) 을 고정시키는 후크부 (220) 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공 (211 및 212) 은, 접속부 (210) 에 리셉터클 커넥터 (200) 측의 단자부 (도시 생략) 가 장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상기한 조작 레버 (120) 외에, 커버 (130) 와, 시일 부재 (140) 와, 캡 부재 (150) 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 도 6 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이들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A-A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5 는, 도 4 로부터 하우징 (110) 을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B-B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조작 레버 (120) 가 장착된 하우징 (110) 과, 시일 부재 (140) 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는 커버 (130) 와, 커버 (130) 의 배면측에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캡 부재 (150) 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되는 단자 (411) 및 케이스 (412) 로 이루어지는 단자부 (410) 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간이화를 위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단부에 있어서 편조 (320) 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 (310) 에 접속된 단자부 (410) 의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가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하우징 (110) 및 커버 (130) 의 내측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상의 내부 공간이 구성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이 삽입되는 제 1 개구 (113) 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 (113) 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 (410) 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 (114) 가 타단측에 형성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상의 외형을 갖는 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는, 제 1 개구 (113) 를 따른 평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개구 (114) 도, 제 2 개구 (114) 를 따른 평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 (113) 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 (300) (도 4 도 참조할 것) 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 (110) 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를 따른 제 1 선 (P1) 은, 제 2 개구 (114) 를 따른 제 2 선 (P2) 및 제 1 선 (P1) 과 제 2 선 (P2) 의 교점을 통과하여 제 2 선 (P2)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선 (P3) 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로써,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의 양방을 통과하여 하우징 (110) 내를 전기 케이블 (300) 이 직선상으로 근접하여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선 (P1) 은, 제 2 선 (P2) 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서의 Z 방향을 따라서 제 2 선 (P2)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 (P2) 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으로서의 X 방향을 따라서 제 3 선 (P3)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요컨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직선상으로 경사져 있다. 또, 제 1 개구 (113) 와 제 2 개구 (114) 는, 제 1 방향으로서의 Z 방향의 시선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 (110) 은, 금속 또는 금속 도금된 수지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기준 전위점으로서의 그라운드 (또는 어스)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의 노출된 편조 (320) 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인 케이블 지지부 (111) 를 포함하고 있다. 이 케이블 지지부 (111) 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노출된 편조 (320) 의 외주의 일부를 내면에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단면 대략 원호상의 부분 (111A) 을 포함하고 있고,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서 지지된 편조 (320) 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판상 부재 (예를 들어, 판상의 금속 부재)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편조 (320) 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하우징 (110) 에 대해서 편조 (320) 를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편조 (320) 를 케이블 지지부 (111) (나아가서는 그라운드) 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케이블 지지부 (111) 를 향하여 개방된 크기가 대략 동일한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선대칭인 M 자 형상으로 판상의 금속 부재가 굴곡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할 것).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판부 (161) 와, 당해 판부 (161) 에 면하는 판부 (162) 와, 당해 판부 (162) 에 면하는 판부 (163) 와, 당해 판부 (163) 에 면하는 판부 (164) 와, 판부 (161) 와 판부 (162)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5) 와, 판부 (162) 와 판부 (163)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6) 와, 판부 (163) 와 판부 (164)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7) 와, 판부 (161) 의 굴곡부 (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8) 와, 판부 (164) 의 굴곡부 (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9) 를 갖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판부 (161) 와 판부 (162) 와 굴곡부 (165) 에 의해서 구성되는 역 U 자상의 부분이, 전기 케이블 (300) 의 편조 (320) 를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의 간격은, 편조 (320) 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써, 편조 (320)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유지된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부 (111) 는, 2 개의 전기 케이블 (300) 의 각각의 편조 (320) 를 이격시킴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벽부 (112) 를 포함한다. 이로써,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판부 (164)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편조 (320) 가 끼워짐으로써 발생되는 탄성 변형에 따라서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에 탄성 지지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편조 (320) 가 상기와 같이 사이에 끼워졌을 때, 판부 (164) 의 굴곡부 (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9) 는,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에 걸린다. 이로써, 탄성 도전성 부재 (160) 가 하우징 (110) 에 대해서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전기 케이블 (300) 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이 유지된다.
또,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10) 의 배면측에 커버 (130) 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130) 는, 하우징 (110) 의 제 1 개구 (113) (도 5 참조) 를 덮도록, 시일 부재 (140) 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어 있다. 나사 (500) 는, 커버 (130) 및 시일 부재 (140) 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공 (131 및 141) (도 3 참조) 을 관통하고, 하우징 (110) 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 (도 6 참조) 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한다.
여기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사이에 끼워지는 시일 부재 (140) 는, 제 1 개구 (113) (도 5 참조) 의 가장자리를 따른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140) 는, 예를 들어 고무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 시일 부재 (140) 는, 제 1 개구의 가장자리에 면하도록 시일 부재 (140) 의 표면으로부터 세워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의 벽으로서의 제 1 리브 (142) 와, 관통공 (141) 의 주위에 형성되는 원통상의 벽으로서의 제 2 리브 (143) 를 갖는다. 또한, 제 1 리브 (142) 는, 시일 부재 (140) 의 하우징 (110) 측의 표면뿐만 아니라, 커버 (130) 측의 이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130) 는, 그 배면측에, 하우징 (110) 내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케이블 (300) 을 관통시키는 통상 부분 (132) 을 갖고 있다. 그리고, 통상 부분 (132) 에는, 환상의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통상의 캡 부재 (150) 가 결합된다. 이로써, 통상 부분 (132) 을 관통하여 커버 (130) 의 밖으로 노출된 전기 케이블 (300) 이, 개스킷 (151), 클램프 (152), 및 캡 부재 (150) 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하, 도 7 및 도 8 을 주로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캡 부재 (150), 개스킷 (151), 클램프 (152), 커버 (130), 및 시일 부재 (140) 내에 전기 케이블 (300) 이 통과되고, 그 후, 당해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의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에 삽입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을 관통하여 제 2 개구 (114) 로부터 노출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의 내부 배선 (310) 에 단자부 (410) 가 접속된다. 또한, 도 7 에서는, 간이화를 위해서, 시일 부재 (140)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했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관계에서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의 단자부 (410) 의 설치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하우징 (110) 내에 삽입하는 공정, 및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장착된 단자부 (410) 의 전체를 하우징 (110) 내에 수용하기 위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되돌리는 공정을, 전기 케이블 (300) 의 외주면이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의 내면과 스치는 것을 억제하면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되돌림이 완료되면, 단자부 (410) 의 전체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된다. 그 결과,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 (300) 의 편조 (320) 가 하우징 (110) 의 밖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서는, 이 편조 (320) 를 케이블 지지부 (111) 에 대해서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벽부 (112) 를 개재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도록,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가 실시된다. 또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에 수반하는 탄성 변형에 대해서는, 도 6 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가 완료되면, 전기 케이블 (300) 이 미리 통과된 시일 부재 (140) 및 커버 (130) 가,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고, 그 후, 커버 (130) 와 캡 부재 (150) 가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가 제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는, 하우징 (110) 과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를 구비한다. 하우징 (110) 은, 단부에 있어서 편조 (320) 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 (300) 의 편조 (320) 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의 케이블 지지부 (111) 를 포함한다. 또,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 (310) 에 접속되는 단자부 (410) 를 수용한다.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편조 (320) 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하우징 (110) 에 대해서 편조 (320) 를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편조 (320) 를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기 케이블 (300) 이 소직경화 또는 대 직경화된 경우여도, 탄성 변형되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에 의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판상 부재가 역 U 자 형상으로 굴곡됨으로써 구성된 케이블 수용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제 1 판부로서의 판부 (161) 와, 당해 판부 (161) 에 면하는 제 2 판부로서의 판부 (162) 와, 판부 (161) 와 판부 (162)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5) 를 갖는 케이블 수용부를 포함하고, 편조 (320)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판상 부재를 역 U 자상으로 굴곡하는 것만으로, 전기 케이블 (300) 을 용이하게 수용 및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편조 (320) 가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발생되는 탄성 변형에 따라서 하우징 (110) 내에 탄성 지지되어 접촉하는 피탄성 지지부로서의 판부 (164) 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 변형에 의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이용한 판부 (164) 의 하우징 (110) 내에의 탄성 지지에 의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의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하우징 (110) 내에 걸리는 후크부 (169) 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와 하우징 (110) 이 후크부 (169) 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전기 케이블 (300) 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역 U 자상의 케이블 수용부가 연속된 M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 도전성 부재 (160) 가 선대칭인 M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를 대칭축에 대해서 반전시켜도 반전 전의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와 동등해진다. 그 결과,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취급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부 (111) 는, 편조 (320) 의 외주의 일부만을 내면에서 지지하는 단면 대략 원호상의 부분 (111A) 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지지부 (111) 에 의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를 위한 편조 (320) 의 노출을 유지하면서 편조 (320) 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은, 2 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10) 은, 2 개의 전기 케이블 (300) 의 각각의 편조 (320) 를 이격시킴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벽부 (112)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부 (112) 를 이용하여, 2 개의 전기 케이블의 그라운드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2 개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은, 전기 케이블 (300) 이 1 개만 형성된 구성에도, 전기 케이블 (300) 이 3 개 이상 형성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크기가 대략 동일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대칭인 M 자 형상을 갖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를 사용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횡 S 자상, 또는 일방의 자유단에 추가로 복수 회의 되접어 꺾기가 형성된,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의 탄성 도전성 부재를 사용한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의 다른 예로는,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변형예와 같은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탄성 도전성 부재에 의해서 2 개의 전기 케이블을 유지할 경우, 2 개의 탄성 도전성 부재를 Y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도 9 를 참조하여,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의 탄성 도전성 부재의 일례를 변형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는, 형상이 상이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는, 판부 (1161) 와, 당해 판부 (1161) 에 면하는 판부 (1162) 와, 당해 판부 (1162) 에 면하는 판부 (1163) 와, 당해 판부 (1163) 에 면하는 판부 (1164) 와, 판부 (1161) 와 판부 (1162) 를 접속하는 굴곡부 (1165) 와, 판부 (1162) 와 판부 (1163) 을 접속하는 굴곡부 (1166) 와, 판부 (1163) 와 판부 (1164) 를 접속하는 굴곡부 (1167) 와, 판부 (1161) 의 굴곡부 (1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168) 와, 판부 (1164) 의 굴곡부 (1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169) 를 갖도록 굴곡된 판상의 금속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부 (1162) 는, 판부 (1161) 와 대략 대향하도록 굴곡부 (165) 에 접속되는 판부 (1162A) 와, 판부 (1162A) 의 굴곡부 (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굴곡부 (1166) 를 향하여 판부 (1161) 로부터 멀어지도록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판부 (1162B) 를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판부 (1161) 와 판부 (1162) 와 굴곡부 (165) 에 의해서 구성되는 일방측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전기 케이블 (300) 을 수용하는 (또한 케이블 지지부 (111) 로 누르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성하고, 판부 (1163) 와 판부 (1164) 와 굴곡부 (1167) 에 의해서 구성되는 타방측의 역 U 자상의 부분 (특히 판부 (1164)) 이,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도 6 참조) 에 탄성 지지되는 피탄성 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후크부 (1168 및 1169) 의 역할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후크부 (168 및 160) 의 역할과 동일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삽입되는 제 1 개구 (113) 가 평면상으로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제 1 개구가 곡면상으로 형성된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만이 잘려진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상면의 커버측의 단부는, Y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전기 케이블을 넣고 뺄 때에 전기 케이블과 간섭하는 부분에 있어서 하우징의 정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잘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단면에서 보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의 양방을 통과하여 하우징 내를 전기 케이블이 대략 직선상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플러그 커넥터 (케이블 커넥터)
110 : 하우징
111 : 케이블 지지부
111A : 단면 대략 원호상의 부분
112 : 벽부
160 : 탄성 도전성 부재
161 : 판부 (제 1 판부, 케이블 수용부)
162 : 판부 (제 2 판부, 케이블 수용부)
164 : 판부 (피탄성 지지부)
165 : 굴곡부 (케이블 수용부)
169 : 후크부 (걸림부)
300 : 전기 케이블
310 : 내부 배선
410 : 단자부

Claims (7)

  1. 단부에 있어서 편조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의 상기 편조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의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편조와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편조를 유지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편조를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도전성 부재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판상 부재가 역 U 자 형상으로 굴곡됨으로써 구성된 케이블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제 1 판부와 당해 제 1 판부에 면하는 제 2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와 상기 제 2 판부를 접속하는 굴곡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편조는, 상기 제 1 판부와 상기 제 2 판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유지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 1 판부와 상기 제 2 판부 사이에 상기 편조가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발생되는 탄성 변형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 내에 탄성 지지되어 접촉하는 피탄성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도전성 부재는, 상기 케이블 지지부에 걸리는 후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상기 편조의 외주의 일부만을 상기 내면에서 지지하는 단면 대략 원호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은, 2 개의 전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상기 2 개의 전기 케이블의 각각의 상기 편조를 이격시킴과 함께 상기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220015743A 2021-04-01 2022-02-07 케이블 커넥터 KR20220136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2556 2021-04-01
JP2021062556A JP2022157986A (ja) 2021-04-01 2021-04-01 ケーブル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91A true KR20220136891A (ko) 2022-10-11

Family

ID=8356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743A KR20220136891A (ko) 2021-04-01 2022-02-07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57986A (ko)
KR (1) KR20220136891A (ko)
CN (1) CN115207682A (ko)
TW (1) TW2022409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6517A (ja) 2017-05-31 2018-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6517A (ja) 2017-05-31 2018-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07682A (zh) 2022-10-18
TW202240991A (zh) 2022-10-16
JP2022157986A (ja)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015B2 (en) Connector holding clamp and connector retaining structure
US8585421B2 (en) Connector
EP3220488B1 (en) Waterproof connector
JP2014038793A (ja) コネクタ
JP2012238422A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10446976B2 (en) Shield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US20160268736A1 (en) Connector
JP2019185858A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81404A (ja) 電気コネクタ
JP2020035680A (ja) インナー付きグロメット
CN107819251B (zh) 连接器
JP5343998B2 (ja) シールド
KR20220136892A (ko) 케이블 커넥터
US20090186491A1 (en) Series unit
WO2015186497A1 (ja) コネクタ
KR20220136891A (ko) 케이블 커넥터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JP2005190720A (ja) 自己調芯型コネクタ
JP353913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6447635B2 (ja) カセット及び検査ユニット
JP6747137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接続されるケーブルコネクタの接地構造
TW201926813A (zh) 連接器組合件
JPH1186926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202406338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