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92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6892A KR20220136892A KR1020220015744A KR20220015744A KR20220136892A KR 20220136892 A KR20220136892 A KR 20220136892A KR 1020220015744 A KR1020220015744 A KR 1020220015744A KR 20220015744 A KR20220015744 A KR 20220015744A KR 20220136892 A KR20220136892 A KR 202201368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using
- electric cable
- cover
-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넣고 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규 구조의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케이블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개구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타단측에 형성된 통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제 1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결합된 하우징 및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를 따른 제 1 선은, 제 2 개구를 따른 제 2 선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제 2 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해결 수단] 케이블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개구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타단측에 형성된 통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제 1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결합된 하우징 및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를 따른 제 1 선은, 제 2 개구를 따른 제 2 선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제 2 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커버와의 결합에 의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통상의 하우징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의 하우징의 양단의 개구를 개재하여 전기 케이블을 넣고 뺄 때에 하우징의 대략 L 자상의 내부 공간에서 전기 케이블을 대략 L 자상으로 절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서 전기 케이블을 절곡하면서 하우징에 대해서 전기 케이블을 넣고 빼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래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하나는, 하우징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넣고 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규 구조의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케이블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개구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타단측에 형성된 통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제 1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결합된 하우징 및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를 따른 제 1 선은, 제 2 개구를 따른 제 2 선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제 2 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넣고 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A-A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로부터 하우징을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B-B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이 하우징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도전성 부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A-A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로부터 하우징을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B-B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이 하우징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도전성 부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형태의 구성, 그리고 당해 구성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 및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이하의 기재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제 1」,「제 2」등의 서수는, 부품 또는 부위 등을 구별하기 위해서 편의상 부여되어 있고, 특정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개시의 각 도면에 있어서, X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전후 방향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커버 (130) 내에서 전기 케이블 (300) 이 연장되는 방향) 에 대응한다. 또,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 (두께 방향) 에 대응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전기 기기와의 사이의 전기 신호의 입출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는, 본 개시의「케이블 커넥터」의 일례로서의 플러그 커넥터 (100)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0) 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전기 케이블 (300) 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전기 기기의 케이싱의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은, 2 개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전기 케이블 (300) 은, 예를 들어, 제어 신호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의 제 1 전기 케이블과,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용도의 제 2 전기 케이블로 분류된다.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서로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전기 케이블 (300) 을 개재한 전기 기기에의 전기 신호의 입력, 또는 전기 케이블 (300) 을 개재한 전기 기기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출력을 실현한다. 도 1 에는,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2 에는,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양자가 분리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 상태 (도 1 참조) 와,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 상태 (도 2 참조) 는, 플러그 커넥터 (100) 에 장착되는 조작 레버 (120) 에 의해서 전환 가능하다.
조작 레버 (120) 는, 플러그 커넥터 (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우징 (110) 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대략 U 자의 띠 형상을 갖고, 하우징 (110) 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동 축부 (121) 둘레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 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 (120) 가 하우징 (110) 의 정면의 위치 (도 1 참조) 로 회동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유지되고, 조작 레버 (120) 가 하우징 (110) 의 상면의 위치 (도 2 참조) 로 회동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플러그 커넥터 (100) 측의 후술하는 단자부 (410) (도 3 등 참조) 가 삽입되는 단자공 (211 및 212) 이 형성되는 접속부 (210) 와, 플러그 커넥터 (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서로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하우징 (110) 에 걸림으로써 하우징 (110) 을 고정시키는 후크부 (220) 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공 (211 및 212) 은, 접속부 (210) 에 리셉터클 커넥터 (200) 측의 단자부 (도시 생략) 가 장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상기한 조작 레버 (120) 외에, 커버 (130) 와, 시일 부재 (140) 와, 캡 부재 (150) 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 도 6 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이들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A-A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5 는, 도 4 로부터 하우징 (110) 을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B-B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는, 조작 레버 (120) 가 장착된 하우징 (110) 과, 시일 부재 (140) 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는 커버 (130) 와, 커버 (130) 의 배면측에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캡 부재 (150) 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되는 단자 (411) 및 케이스 (412) 로 이루어지는 단자부 (410) 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간이화를 위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단부에 있어서 편조 (320) 가 노출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배선 (310) 에 접속된 단자부 (410) 의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가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하우징 (110) 및 커버 (130) 의 내측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상의 내부 공간이 구성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이 삽입되는 제 1 개구 (113) 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 (113) 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 (410) 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 (114) 가 타단측에 형성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상의 외형을 갖는 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는, 제 1 개구 (113) 를 따른 평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개구 (114) 도, 제 2 개구 (114) 를 따른 평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 (113) 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 (300) (도 4 도 참조할 것) 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 (110) 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를 따른 제 1 선 (P1) 은, 제 2 개구 (114) 를 따른 제 2 선 (P2) 및 제 1 선 (P1) 과 제 2 선 (P2) 의 교점을 통과하여 제 2 선 (P2)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선 (P3) 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로써,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의 양방을 통과하여 하우징 (110) 내를 전기 케이블 (300) 이 직선상으로 근접하여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선 (P1) 은, 제 2 선 (P2) 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서의 Z 방향을 따라서 제 2 선 (P2)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 (P2) 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으로서의 X 방향을 따라서 제 3 선 (P3)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요컨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직선상으로 경사져 있다. 또, 제 1 개구 (113) 와 제 2 개구 (114) 는, 제 1 방향으로서의 Z 방향의 시선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 (110) 은, 금속 또는 금속 도금된 수지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기준 전위점으로서의 그라운드 (또는 어스)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의 노출된 편조 (320) 를 지지함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내면이 도전성인 케이블 지지부 (111) 를 포함하고 있다. 이 케이블 지지부 (111) 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노출된 편조 (320) 의 외주의 일부를 내면에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단면 대략 원호상의 부분 (111A) 을 포함하고 있고,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서 지지된 편조 (320) 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판상 부재 (예를 들어, 판상의 금속 부재)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편조 (320) 의 접촉에 따라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하우징 (110) 에 대해서 편조 (320) 를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편조 (320) 를 케이블 지지부 (111) (나아가서는 그라운드) 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케이블 지지부 (111) 를 향하여 개방된 크기가 대략 동일한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선대칭인 M 자 형상으로 판상의 금속 부재가 굴곡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할 것).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는, 판부 (161) 와, 당해 판부 (161) 에 면하는 판부 (162) 와, 당해 판부 (162) 에 면하는 판부 (163) 와, 당해 판부 (163) 에 면하는 판부 (164) 와, 판부 (161) 와 판부 (162)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5) 와, 판부 (162) 와 판부 (163)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6) 와, 판부 (163) 와 판부 (164) 를 접속하는 굴곡부 (167) 와, 판부 (161) 의 굴곡부 (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8) 와, 판부 (164) 의 굴곡부 (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9) 를 갖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판부 (161) 와 판부 (162) 와 굴곡부 (165) 에 의해서 구성되는 역 U 자상의 부분이, 전기 케이블 (300) 의 편조 (320) 를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의 간격은, 편조 (320) 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써, 편조 (320)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유지된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블 지지부 (111) 는, 2 개의 전기 케이블 (300) 의 각각의 편조 (320) 를 이격시킴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벽부 (112) 를 포함한다. 이로써,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판부 (164) 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편조 (320) 가 끼워짐으로써 발생되는 탄성 변형에 따라서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에 탄성 지지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판부 (161) 와 판부 (162) 사이에 편조 (320) 가 상기와 같이 사이에 끼워졌을 때, 판부 (164) 의 굴곡부 (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69) 는,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에 걸린다. 이로써, 탄성 도전성 부재 (160) 가 하우징 (110) 에 대해서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전기 케이블 (300) 의 유지 및 그라운드에의 접속이 유지된다.
또,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10) 의 배면측에 커버 (130) 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130) 는, 하우징 (110) 의 제 1 개구 (113) (도 5 참조) 를 덮도록, 시일 부재 (140) 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어 있다. 나사 (500) 는, 커버 (130) 및 시일 부재 (140) 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공 (131 및 141) (도 3 참조) 을 관통하고, 하우징 (110) 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 (도 6 참조) 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한다.
여기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사이에 끼워지는 시일 부재 (140) 는, 제 1 개구 (113) (도 5 참조) 의 가장자리를 따른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140) 는, 예를 들어 고무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 시일 부재 (140) 는, 제 1 개구의 가장자리에 면하도록 시일 부재 (140) 의 표면으로부터 세워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의 벽으로서의 제 1 리브 (142) 와, 관통공 (141) 의 주위에 형성되는 원통상의 벽으로서의 제 2 리브 (143) 를 갖는다. 또한, 제 1 리브 (142) 는, 시일 부재 (140) 의 하우징 (110) 측의 표면뿐만 아니라, 커버 (130) 측의 이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130) 는, 그 배면측에, 하우징 (110) 내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케이블 (300) 을 관통시키는 통상 부분 (132) 을 갖고 있다. 그리고, 통상 부분 (132) 에는, 환상의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통상의 캡 부재 (150) 가 결합된다. 이로써, 통상 부분 (132) 을 관통하여 커버 (130) 의 밖으로 노출된 전기 케이블 (300) 이, 개스킷 (151), 클램프 (152), 및 캡 부재 (150) 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하, 도 7 및 도 8 을 주로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캡 부재 (150), 개스킷 (151), 클램프 (152), 커버 (130), 및 시일 부재 (140) 내에 전기 케이블 (300) 이 통과되고, 그 후, 당해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의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에 삽입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을 관통하여 제 2 개구 (114) 로부터 노출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의 내부 배선 (310) 에 단자부 (410) 가 접속된다. 또한, 도 7 에서는, 간이화를 위해서, 시일 부재 (140)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했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하우징 (110) 내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관계에서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의 단자부 (410) 의 설치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하우징 (110) 내에 삽입하는 공정, 및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장착된 단자부 (410) 의 전체를 하우징 (110) 내에 수용하기 위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되돌리는 공정을, 전기 케이블 (300) 의 외주면이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의 내면과 스치는 것을 억제하면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의 되돌림이 완료되면, 단자부 (410) 의 전체가 하우징 (110) 내에 수용된다. 그 결과,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 (300) 의 편조 (320) 가 하우징 (110) 의 밖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실시형태에서는, 이 편조 (320) 를 케이블 지지부 (111) 에 대해서 유지함과 함께 케이블 지지부 (111) 의 벽부 (112) 를 개재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도록,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가 실시된다. 또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에 수반하는 탄성 변형에 대해서는, 도 6 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설치가 완료되면, 전기 케이블 (300) 이 미리 통과된 시일 부재 (140) 및 커버 (130) 가, 나사 (50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결합되고, 그 후, 커버 (130) 와 캡 부재 (150) 가 개스킷 (151) 및 클램프 (152) 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가 제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는,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를 구비한다.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 (410) 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110) 은, 전기 케이블 (300) 이 삽입되는 제 1 개구 (113) 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개구 (113) 로부터 삽입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접속된 단자부 (410) 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 (114) 가 타단측에 형성된 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130) 는, 하우징 (110) 의 제 1 개구 (113) 를 덮도록 하우징 (110) 에 결합된다. 결합된 하우징 (110) 및 커버 (130)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한다. 제 1 개구 (113) 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 (300) 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우징 (110) 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를 따른 제 1 선 (P1) 은, 제 2 개구 (114) 를 따른 제 2 선 (P2) 과 직교하는 제 1 방향 (Z 방향) 을 따라서 제 2 선 (P2)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선과 평행하는 제 2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 (300) 의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에 있어서 하우징 (110) 에 대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넣고 뺄 때에,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의 양방을 통하여 하우징 (110) 내에서 전기 케이블 (300) 을 대략 직선상으로 관통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하우징 (110) 내에서 전기 케이블 (300) 을 절곡하면서 하우징 (110) 에 대해서 전기 케이블 (300) 을 넣고 뺄 필요가 있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와 제 2 개구 (114) 는, Z 방향의 시선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조된 완성품으로서의 플러그 커넥터 (100) 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로부터 침입한 이물질이 제 2 개구 (114) 를 개재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200) 측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평면상의 제 1 개구 (113) 및 제 2 개구 (114) 에 의해서, 하우징 (110) 에 대한 전기 케이블 (300) 의 넣고 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100) 는,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사이에 끼워지는 프레임상의 시일 부재 (140) 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일 부재 (140) 에 의해서, 하우징 (110) 및 커버 (130) 내를 봉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 (140) 는, 제 1 개구 (113) 의 가장자리에 면하도록 시일 부재 (140) 의 표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제 1 리브 (142) 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리브 (142) 에 의해서, 시일 부재 (140) 의 강도를 높임과 함께, 시일 부재 (140) 의 방수 성능 또는 방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는, 시일 부재 (140) 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 (500) 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 (110) 과 커버 (130) 를 나사 (500) 에 의해서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 (140) 는, 당해 시일 부재 (140) 에 형성되는 나사 (500) 가 관통하는 관통공 (141) 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 2 리브 (143) 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리브 (143) 에 의해서, 시일 부재 (140) 의 강도를 추가로 높임과 함께, 시일 부재 (140) 의 방수 성능 또는 방진 성능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2 개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은, 전기 케이블 (300) 이 1 개만 형성된 구성에도, 전기 케이블 (300) 이 3 개 이상 형성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크기가 대략 동일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대칭인 M 자 형상을 갖는 탄성 도전성 부재 (160) 를 사용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횡 S 자상, 또는 일방의 자유단에 추가로 복수 회의 되접어 꺾기가 형성된,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의 탄성 도전성 부재를 사용한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의 다른 예로는,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변형예와 같은 Y 방향으로 비대칭인 탄성 도전성 부재에 의해서 2 개의 전기 케이블을 유지할 경우, 2 개의 탄성 도전성 부재를 Y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도 9 를 참조하여,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의 탄성 도전성 부재의 일례를 변형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는, 형상이 상이한 2 개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Y 방향으로 2 개 연결된 형상으로서의 Y 방향으로 비대칭인 M 자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도전성 부재 (1160) 는, 판부 (1161) 와, 당해 판부 (1161) 에 면하는 판부 (1162) 와, 당해 판부 (1162) 에 면하는 판부 (1163) 와, 당해 판부 (1163) 에 면하는 판부 (1164) 와, 판부 (1161) 와 판부 (1162) 를 접속하는 굴곡부 (1165) 와, 판부 (1162) 와 판부 (1163) 을 접속하는 굴곡부 (1166) 와, 판부 (1163) 와 판부 (1164) 를 접속하는 굴곡부 (1167) 와, 판부 (1161) 의 굴곡부 (1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168) 와, 판부 (1164) 의 굴곡부 (1167)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 (1169) 를 갖도록 굴곡된 판상의 금속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부 (1162) 는, 판부 (1161) 와 대략 대향하도록 굴곡부 (165) 에 접속되는 판부 (1162A) 와, 판부 (1162A) 의 굴곡부 (165) 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굴곡부 (1166) 를 향하여 판부 (1161) 로부터 멀어지도록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판부 (1162B) 를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판부 (1161) 와 판부 (1162) 와 굴곡부 (165) 에 의해서 구성되는 일방측의 역 U 자상의 부분이, 전기 케이블 (300) 을 수용하는 (또한 케이블 지지부 (111) 로 누르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성하고, 판부 (1163) 와 판부 (1164) 와 굴곡부 (1167) 에 의해서 구성되는 타방측의 역 U 자상의 부분 (특히 판부 (1164)) 이, 하우징 (110) 의 벽부 (112) (도 6 참조) 에 탄성 지지되는 피탄성 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후크부 (1168 및 1169) 의 역할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탄성 도전성 부재 (160) 의 후크부 (168 및 160) 의 역할과 동일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 (300) 이 삽입되는 제 1 개구 (113) 가 평면상으로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제 1 개구가 곡면상으로 형성된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만이 잘려진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상면의 커버측의 단부는, Y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전기 케이블을 넣고 뺄 때에 전기 케이블과 간섭하는 부분에 있어서 하우징의 정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잘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따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단면에서 보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의 양방을 통과하여 하우징 내를 전기 케이블이 대략 직선상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플러그 커넥터 (케이블 커넥터)
110 : 하우징
113 : 제 1 개구
114 : 제 2 개구
130 : 커버
140 : 시일 부재
141 : 관통공
142 : 제 1 리브
143 : 제 2 리브
300 : 전기 케이블
410 : 단자부
500 : 나사
P1 : 제 1 선
P2 : 제 2 선
P3 : 제 3 선
110 : 하우징
113 : 제 1 개구
114 : 제 2 개구
130 : 커버
140 : 시일 부재
141 : 관통공
142 : 제 1 리브
143 : 제 2 리브
300 : 전기 케이블
410 : 단자부
500 : 나사
P1 : 제 1 선
P2 : 제 2 선
P3 : 제 3 선
Claims (7)
- 전기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개구가 일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접속된 상기 단자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가 타단측에 형성된 통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개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결합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L 자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전기 케이블을 따른 상기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를 따른 제 1 선은, 상기 제 2 개구를 따른 제 2 선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2 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 2 선과 평행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케이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방향의 시선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개구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제 1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른 프레임상의 시일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의 가장자리에 면하도록 상기 시일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제 1 리브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는, 상기 시일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당해 시일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 2 리브를 추가로 갖는,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62557A JP2022157987A (ja) | 2021-04-01 | 2021-04-01 | ケーブルコネクタ |
JPJP-P-2021-062557 | 2021-04-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892A true KR20220136892A (ko) | 2022-10-11 |
Family
ID=8328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5744A KR20220136892A (ko) | 2021-04-01 | 2022-02-07 | 케이블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2022157987A (ko) |
KR (1) | KR20220136892A (ko) |
CN (1) | CN115207696A (ko) |
DE (1) | DE102022203085A1 (ko) |
TW (1) | TW20224098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058179A (ja) * | 2022-10-14 | 2024-04-25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6517A (ja) | 2017-05-31 | 2018-12-2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
-
2021
- 2021-04-01 JP JP2021062557A patent/JP2022157987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1-07 TW TW111100723A patent/TW202240983A/zh unknown
- 2022-02-07 KR KR1020220015744A patent/KR20220136892A/ko unknown
- 2022-02-25 CN CN202210180613.2A patent/CN115207696A/zh active Pending
- 2022-03-29 DE DE102022203085.0A patent/DE102022203085A1/de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6517A (ja) | 2017-05-31 | 2018-12-2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157987A (ja) | 2022-10-14 |
DE102022203085A1 (de) | 2022-10-06 |
CN115207696A (zh) | 2022-10-18 |
TW202240983A (zh) | 2022-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99800B2 (ja) | 防水構造 | |
US7749015B2 (en) | Connector holding clamp and connector retaining structure | |
EP3220488B1 (en) | Waterproof connector | |
EP2701245A2 (en) | Connector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 |
JP2013519207A (ja) | ヘッダコネクタ組立体 | |
US11646522B2 (en)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US10897105B2 (en) | Connector with an annular shaped megnetic core | |
JP2019185858A (ja) |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10446976B2 (en) | Shield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 |
CN107819251B (zh) | 连接器 | |
KR20220136892A (ko) | 케이블 커넥터 | |
US7347730B2 (en) | Grommet | |
KR20220136891A (ko) | 케이블 커넥터 | |
US20090186491A1 (en) | Series unit | |
WO2016129356A1 (ja) | 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シェル | |
WO2015186497A1 (ja) | コネクタ | |
CN102017324A (zh) | 弹性构件和具有该弹性构件的屏蔽连接器组件 | |
JP3539130B2 (ja) | 同軸ケーブル接続器 | |
JP2016024862A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取付方法 | |
JP2018010720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14194890A (ja) | プロテクタ付きシールドコネクタ | |
CN213008546U (zh) | 过线结构及具有该过线结构的平衡车 | |
JP2024063390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 |
CN117712743A (zh) | 设备连接器 | |
JP2024063389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