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791A -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791A
KR20220136791A KR1020210042918A KR20210042918A KR20220136791A KR 20220136791 A KR20220136791 A KR 20220136791A KR 1020210042918 A KR1020210042918 A KR 1020210042918A KR 20210042918 A KR20210042918 A KR 20210042918A KR 20220136791 A KR20220136791 A KR 2022013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vestock
immunity
enhancing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식
Original Assignee
한국시그니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시그니처(주) filed Critical 한국시그니처(주)
Priority to KR102021004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791A/ko
Publication of KR2022013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Y2260/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항균 활성, 장내 유익균 활성 및 IgG 생성량 증가를 통해 면역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여,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 및 면역글로불린(IgG) 생성량 증가 활성으로 우수한 면역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 과정에서 동물의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가축 및 가금류의 폐사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으로 야기되는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가축 또는 가금류를 사육 시 거의 대부분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한다. 이러한 항생물질의 기능은 크게 나누어 성장 촉진, 질병의 예방, 사료 이용율의 개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축 사육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된 항생물질은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육류를 통한 인간의 항생제의 섭취 및 환경 오염 등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가축의 주요 전염성 질환인 광우병, 조류독감, 구제역, 살모넬라증 및 콕시듐 질환 등은 집단사육 및 밀집사육 등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생물질을 사료에 첨가제로서 사용하면 상기 질환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성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축산업계에서는 가축의 성장 촉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항생제가 남용되고 오용되는 등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동물에 축적된 항생제는 육류를 통해 인간이 항생제를 섭취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가의 항생제로 인해 축산 농가에 경제적인 부담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축산물의 안전성, 축산의 경제성 및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종래의 축산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축산방법의 하나로 천연 항균 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축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시대적 요청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제0343367호 기술에서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관련 기술로 축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제조사료에 항생제 대신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배합함으로써 다량의 항생제를 배합하였을 때와 같은 우수한 성장률과 면역력을 갖는 가축을 생산하면서도 가축과 그 육제품을 섭취한 인체에 해를 끼치는 항생제의 사용을 전부/일부를 배제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 육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에서, 옥수수, 대두박,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기초사료에, 36ppm의 게르마늄과 흑운모, 백운모,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 불투명광물을 함유하며, 5∼20 ㎛의 원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0.93%의 방사율과 4.31×102W/㎡·㎛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0.1%∼3.0% 첨가하여 구성되는 사료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297301호에서는 가축의 면역을 증진시키기 위해 유효성분으로 에셰리키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아시네토박터 파르부스(Acinetobacter parvus), 크리세오박테리움 인돌로제네스(Chryseobacterium indologenes) 및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이루어진 생균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가축의 면역을 증진시켜 가축의 폐사율을 줄여 육성률을 개선하고 질병 발생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로써, 유효성분으로 에셰리키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아시네토박터 파르부스(Acinetobacterparvus), 크리세오박테리움 인돌로제네스(Chryseobacterium indologenes) 및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이루어진 생균을 함유하는 가축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생균제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설사 발생을 감소시키며, 혈청 내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및 백혈구에 의한 식균 작용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내에서 다른 유해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섭취한 사료의 소화 흡수를 도와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한방 생약 등 식물 추출물은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의 전통 의약으로 인체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임상적으로 이미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이다. 또한,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식물에서 추출한 항생제 대체 물질로 사포닌, 허브, 향신료 추출물 등이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결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생약 특성상 보관상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으며, 쓴 맛이나 아린 맛 등으로 기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면서 추가적으로 면역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가축의 면역력 및 항균의 상승활성을 나타내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KR 10-1803069 B1 KR 10-139684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 및 IgG 생성량 증가 활성을 통해 면역 기능이 향상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점토광물은 견운모, 규조토, 맥반석,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루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실러스(Bacillus) 속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를 통해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IgG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포함하는 점토광물(clay mineral)은 토양 중의 점토 부분을 이루며, 주로 2차적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입경이 0.002mm이하의 극히 미세한 광물 입자로 된 토상 광물의 총칭으로써 토양이나 풍화작용을 받은 암석에서 산출되며, 화산대가 발달한 지대의 화산재 등의 퇴적물이나 퇴적암에서 산출된다. 점토광물은 내부에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적이 넓으며, 다량의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포함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은 규조토, 맥반석,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포함할 수 있는 점토광물 중, 규조토(diatomaceous earth)는 규산(SiO2)가 주 성분이며, 이외에 Al2O3과 Fe2O3이 소량 첨가되어 있다. 규조토는 단세포 식물인 규조류의 유해가 호수나 바다에 가라앉아 형성된 퇴적물로서, 퇴적되는 과정에서 유기물질, 모래 및 산화철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규조류의 종류와 퇴적 당시의 상황에 따라 산지별로 성분의 차이가 있다. 주로,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띄고 가벼우며, 손가락으로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고 미세한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다. 규조토는 거의 비정질(non-crystal)이지만, 1,000 내지 1,600℃로 가열하면 1,000 내지 1,600℃로 가열하면 Cristallite 또는 tridymite가 된다.
맥반석(barley stone)은 명반석이라고도 하며, 화학성분은 KAl3(SO4)2(OH)6으로, SiO2 및 Al2O3가 대부분이며 Fe, Mg, Ca, Na, K, Mn, Ge 등의 미량 광물질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육각 판상 또는 인상의 결정으로 나타나는데, 대개는 괴상 또는 입상이다. 굳기 3.5 내지 4, 비중 2.6 내지 2.9이다. 결정형의 것은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쪼개짐 면에 진주광택이 난다. 괴상의 것은 광택이 없다. 백색, 회색이며 때로는 홍색, 황색,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염산에 녹지 않고, 수산화칼륨이나 더운 황산에 녹는다. 열수변질작용을 받은 화산암 지대에서 산출된다. 맥반석의 함유되어 있는 미량 광물질은 가축 체내에서 유리되어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는 화학성분은 (AI, Mg)2Si4O10(OH)2 ·4H2O로 점토 광물의 일종이다. 괴상, 토상을 이룬다. 굳기 1∼1.5, 비중 2∼2.5, 굴절률 1.48∼1.6이다. 수분을 흡수하여 원래 부피의 7 내지 10배로 팽윤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온 교환성이 높다. 함수량 150 %에서 점착력이 생기고 약 500 %의 함수량에서 점착력을 잃으며, 내부 마찰저항이 작은 점 등 특수한 성질을 가진 점토이다. 백색, 회색, 담홍색인 것이 많고, 때로 청색, 녹색을 띠며 광택이 없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광물이나 암석의 변질로 인하여 생기며 점토가 함유된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석영, 장석,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의 주성분, 주물형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사료 입자 상호간 점결력을 증가시켜 사료 형성에 도움이 되며, 가축의 장 내 수분을 흡수하여 자체 부피의 몇 배 되는 양으로 불어 가축의 위장관 내 영양소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킴으로 효소에 의한 소화시간을 개선시켜 영양소 소화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세피올라이트(Sepiolite)는 해포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Mg4Si6O15(OH)2·6H2O이며, 굳기 2∼2.5, 비중 2이다. 섬유상의 결정도 있으나 보통은 토상의 미세한 결정의 집합체로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다. 백색, 회색, 녹색, 황색을 띠며 건조한 덩어리로 된 것은 물에 뜰 만큼 가볍다. 미국에서는 염호의 바닥에 다량으로 존재한다. 탐사보링용 이수나, 구워서 건조제로 사용한다.
일라이트(illite)는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며, 백운모에 가까운 것도 있으나 비교적 SiO2, MgO, H2O가 많고, K2O는 적다. 수백운모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이다. 굳기 1 내지 2, 비중 2.6 내지 2.9이다. 쪼개짐은 [001]로 완전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 광택이 있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 또는 응회암질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비석이라고도 불리며,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 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로 사용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결정격자점인 사면체자리(T-site)를 중심으로 TO4(T는 Si 또는 Al)가 반복단위로 구성된 3차원적 골격구조를 이루어 골격 내부에 물질이동이 가능한 동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유해한 균체, 독소, gas 및 잉여수분을 흡착하고 배설하여 연변(軟便)과 하리(Diarrhoe)를 방지하며 미량 공물 공급원이 될 수 있으며, 소화율 개선과 정장작용 개선 효과도 있다고 한다.
흑운모(biotite)는 많은 화성암, 변성암에서 산출되며, 퇴적암에도 드물지 않다. 흑운모는 게르마늄 함유량이 36ppm에 이르며, 황토와 맥반석 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아 면역력 강화, 인터페론 생성, 바이러스 감염, 체내 중금속 배출 등 생체 보호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나 가축에 해로운 가스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고, 돈사, 우사 등 가축을 기르는 곳의 암모니아 가스 흡착제로 이용 가능하다.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는 질석이라고도 하며, 화강암 속의 흑운모가 분해된 것으로, 금운모나 흑운모의 변질산물인 함수 운모이며 흡습수, 층간수, 결정수 형태의 3가지 수분을 모두 함유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색은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진주광택이 나고 양이온교환능력이 크다. 상토로 사용되는 버미큘라이트는 800℃ 내지 1,000℃ 정도의 고온에서 약 1분 동안 가열하여 15 내지 20배 팽창된 것을 사용하며 형태적 변화를 통해 높은 통기성과 공기-수분 친화력을 갖는다. 또한, 동물의 분비물 흡수, 흡착 능력이 뛰어나 돈분, 계분, 우분의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기재된 점토광물은 사료의 효율 및 가축의 성장을 높이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제한하지 않으나 일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1:1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그 중량비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점토광물은 정제수에 넣고 초음파 처리하여 내부 기공 내 불순물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루코노스톡(Leuconostoc) 속, 웨이셀라(Weissella) 속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발효에 의해 생장하는 세균 중 발효 결과, 유산을 주된 산물로 생산하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페디오코쿠스(Pediococcus) 속, 웨이셀라(Weissella)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등 다양한 균종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재한 유산균 중에서 본원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웨이셀라(Weissella) 속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kimchii),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 서브시피.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ubsp. curvat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서브시피.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sibsp. sake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아르젠티눔(Leuconostoc argentinum), 류코노스톡 카르노숨((Leuconostoc carnosum), 류코노스톡 젤리둠(Leuconostoc gellid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인해(Leuconostoc inhae), 류코노스톡 가시코 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웨이셀라(Weissella) 속은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웨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 유산균으로 포함하는 경우, 장내 유익균 활성 및 IgG 생성량 증가활성을 통해 가축의 면역력 증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웨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를 각각 1:1: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개보리뺑이 추출물, 가솔송 추출물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보리뺑이(Lapsana apogonoides (Maxim.) J.H.Park & K. Bremer)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장뚝갈 또는 보리뺑풀 이라고도 한다. 논밭 근처에서 자라며, 높이 4 내지 20cm이다. 전체에 털이 많이 나나 점차 없어지고 연한 줄기는 뭉쳐나며 가지를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 사방으로 퍼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은 긴 타원형으로 민들레잎 같다. 줄기에 달린 잎은 1 내지 3개가 서로 떨어지고 밑쪽 잎은 뿌리에 달린 잎과 비슷하다. 잎 길이 4 내지 10cm, 나비 1 내지 2cm이며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3 내지 6월에 노란색 꽃이 피는데, 처음에는 엉성한 산방상(揀房狀)이지만 가지가 자라서 밑으로 처지며 꽃대는 1.5 내지 5cm이다. 총포는 원뿔형으로 바깥조각은 짧고 털이 나며, 안조각은 5개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작은꽃은 6 내지 9개이고 화관은 길이 5 내지 6mm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3 내지 4.5mm이며 긴 타원형이고 갈색이다. 한국(제주, 전남, 전북), 일본, 중국 중부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가솔송(Phyllodoce coerulea (L.) Bab.)은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높은 산의 꼭대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10 내지 25 cm이고, 밑동이 옆으로 누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4 내지 10 mm로서 빽빽이 나며 끝이 약간 둥근 줄 모양이다. 표면에 털이 없고 1개의 홈이 있으며 뒷면 가운데에 흰색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7월에 단지 모양 자홍색 꽃이 핀다. 꽃은 길이 7 내지 8mm로 가지 끝에 2 내지 6개씩 곧추 달리고 아래쪽을 향하며, 작은꽃자루는 2 내지 2.5cm로서 액을 분비하는 선모와 잔털이 있다. 수술에는 털이 나지 않고, 꽃받침잎은 줄 모양 또는 바소꼴이며 길이 4mm 정도로 선모가 있다. 열매는 길이 4 mm 정도의 삭과이며 9월에 익는다. 한국(함남, 함북),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솔송(for. albida)이라 한다.
상기 허브베니트(Geum urbanum)는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 내지 6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가늘지만 억세고 거의 곧게 자란다. 잎의 모양은 매우 여러 가지이며 짙은 녹색으로 다소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생겼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길고 홈이 파진 잎자루를 가지며 3 내지 5장의 깃꼴 모양 작은잎을 가진 복엽(겹잎)이다. 줄기의 위쪽으로 갈수록 길고 좁은 작은잎이 3장 있으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둥글고 넓은 작은잎이 3장 있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며 기부에 턱잎이 2장 있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가지 끝에 홀로 핀다. 화관(꽃부리)은 둥글고 퍼진 노란색의 꽃잎 5장으로 이루어지며 꽃받침은 10개로 갈라져 있다. 열매에는 갈고리가 있어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 붙어 퍼진다. 상기 허브베니트는 정유, 글루코시드, 타닌, 수지 등의 성분이 있어서 강장작용, 수렴작용, 소독작용 등을 한다. 잎은 채소처럼 수프 또는 스튜를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고 차로 만들어 먹으면 목의 통증을 가라앉히거나 열을 식히는 효과가 있으며, 뿌리로 술을 담궈서 먹으면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상기 점토광물 및 복합 유산균 이외에 개보리뺑이 추출물, 가솔송 추출물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합 유산균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로 유산균 만을 포함한 경우에 비해 보다 우수한, 장내 유익균 활성 증가 및 IgG 생성량 증가활성을 통해 가축의 면역력 증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점토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합 유산균 1 내지 10 중량부, 개보리뺑이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가솔송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우, 각 구성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를 통해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장내 유익균은 사람 또는 동물의 장내에서 서식하는 유익균 및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장내 유익균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페디오코쿠스(Pediococcus) 속, 웨이셀라(Weissella)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비피도박테리움 플란타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테로이데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페디오코쿠스 속 균주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페디오코쿠스 할로필루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웨이셀라 속 균주는 웨이셀라 시바리아, 웨이셀라 코레엔시스, 웨이셀라 파라메센테로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속 균주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의하면, 상기 장내 유익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내 유익균을 활성시킴으로써 장내 유익균에 대한 높은 생육 활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IgG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은 항원의 자극에 의하여 면역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당단백질 분자로써 주로 혈액 내에서 특정한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역글로불린(Ig)은 항체(antibody)라고도 하며 B 림프구로부터 생산되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을 침전이나 응집반응으로 항원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면역글로불린(Ig)은 면역계의 다른 요소들과 상호 작용을 통해 다양한 면역기능을 유도하기도 한다.
상기 면역글로불린(Ig)은 아미노산과 당 사슬이 결합된 당단백질 구조로 2개의 가벼운 단백질 사슬과 2개의 무거운 단백질 사슬이 이황화결합을 통하여 결합된 전형적인 Y자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무거운 단백질 사슬과 가벼운 단백질 사슬의 N-말단은 각 면역글로불린마다 아미노산 구성이 다른 가변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의 부분은 면역글로불린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구성이 일정한 불변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면역글로불린의 무거운 사슬에 있는 불변부위의 몇 가지 유형의 다른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그 형태에 따라 다섯가지의 동종형(iso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다섯가지 동종형으로 IgG, IgM, IgA, IgD, IgE 등이 있으며, 상기 다섯개의 면역글로불린은 면역계에서 독특한 역할을 한다. 그 중, 면역기능 증진 기능으로 주로 측정되는 면역글로불린은 IgG, IgM, IgA이다.
상기 IgG는 혈액 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 4개의 아집단 IgG1, IgG2, IgG3 및 IgG4으로 나눠지며, 상기 IgG는 체내에 들어온 미생물에 대해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나타내며 독소나 바이러스의 중화, 침강, 응집반응 등에 관여한다. 상기 IgM은 항원과 결합하는 B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여 수용체로 작용하고, 항체 형성 초기에 만들어지며, 보체결합성이 있으며 응집 반응성이 높다. 상기 IgA은 혈청중의 면역글로불린의 약 20%를 차지하고, 타액, 상기도 분비액 등 점액에 존재하여 점막의 감염방어에 관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증가는 면역기능 증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면역글로불린(IgG)의 생성량 증가 활성으로 인해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은 상기 장내 유익균 증가 및 면역글로불린 IgG 생성량 증가뿐 아니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 조성물에 의해 병원성 세균의 감염 예방 또는 질병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우수한 면역력 증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되거나 시판되는 임의의 배합사료에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을 추가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축 배합사료는 급여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그 조성 및 제조방법을 달리하므로, 본 발명에서 그 조성 및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가축은 돼지, 닭, 오리, 메추라기, 거위, 꿩, 칠면조, 소, 젖소, 말, 당나귀, 양, 염소, 개, 고양이, 토끼, 각종 양식 어류 및 새우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가축의 사육 목적에 따라 적정 체중이 되는 통상적인 기간 동안 급여 킬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의하면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활성,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 및 IgG 생성량 증가 활성을 통해 면역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RA264.7 세포 내 독성 평가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HUVEC 세포 내 독성 평가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요 조성물 섭취에 따른 혈청 내 IgG 분석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1. 점토광물 분말(CM)의 제조
일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각각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 이며, 평균 직경의 표준 편차가 1 내지 3 ㎛가 되도록 분쇄한 뒤, 정제수에 혼합하여 내부 기공 내 불순물 제거한 후 건조하여 점토광물 분말(CM)로 제조하였다.
2. 유산균의 제조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첨가하기 위한 복합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L1),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2) 및 웨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L3)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균주를 각각 유산균 배양 배지인 MRS에 37℃에서 12시간 증균배양하여 사용하였다.
3. 천연추출물의 제조
개보리뺑이 추출물의 제조
개보리뺑이를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뒤 추출 용매인 증류수를 1:15(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2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하고, 농축 여과하여 개보리뺑이 추출물(LE)을 제조하였다.
기타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개보리뺑이 추출물(LE)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솔송 추출물(PE)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GE)을 제조하였다.
4.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점토광물 분말(CM)과 유산균(L1 내지 3)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1 내지 M5)을 제조하였다.
또한, 천연추출물(LE, PE 및 GE)을 더 포함하는 M6 내지 M13의 경우, 점토광물 분말(CM)과 천연추출물(LE, PE 및 GE)을 정제수에 함께 넣고 가열하여 점토광물 분말(CM)에 천연추출물이 흡착되도록 하였다. 이후, 점토광물 분말(CM)을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유산균(L1 내지 L3)을 표 2와 같은 중량부로 혼합하여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6 내지 M13)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CM 100 100 100 100 100
L1 - 6 - - 2
L2 - - 6 - 2
L3 - - - 6 2
LE - - - - -
PE - - - - -
GE - - - - -
(단위 : 중량부)
M6 M7 M8 M9 M10 M11 M12 M13
CM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L1 2 2 2 2 2 2 2 2
L2 2 2 2 2 2 2 2 2
L3 2 2 2 2 2 2 2 2
LE 10 - - 1 5 10 15 20
PE - 10 - 1 5 10 15 20
GE - - 10 1 5 10 15 2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세포독성 검사]
1-1. 세포 배양
RAW264.7 세포는 10% 소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HUVEC 세포는 EGMTM-2 SingleQuotsTM Kit가 첨가된 EGMTM-2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3일 주기로 계대 배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2. 세포 생존율 측정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는 시험을 진행하였다. 96 well plate에 RAW264.7 세포, HUVEC 세포를 1.5Х105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을 하기 전에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였고,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각각 1, 10,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10 ㎕의 EZ-Cytox 용액을 첨가하여 세포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45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도 1과 같다.
하기 도 1을 참조하면, 본원발명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M1 내지 M5의 RA264.7 세포 및 HUVEC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본원발명의 조성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항균성 증가 활성]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1 내지 M5)의 항균성 증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Clear zone : mm
Gram positive Gram negative Yeast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Saccharomyces cerevisiae
M1 2 1 1 2 2
M2 5 4 2 5 4
M3 6 3 3 6 3
M4 5 4 3 5 3
M5 13 18 6 12 13
대조군(Amp./Mic.
(1 μg/disc))
24 30 12 45 29
(단위 : mm)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M1 내지 M5 중에서 유산균 L1 내지 L3을 각각 포함하는 M2 내지 M4의 경우, 유산균을 포함하지 않는 M1에 비해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유산균 L1 내지 L3을 모두 포함하는 M5의 경우 M2 내지 M4에 비해 보다 향상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장내 유익균 생성량 증가 활성]
본 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장내 유익균의 생육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장내 유익균 생성량 증가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5회 반복하여 실시하였고, 실험 결과는 정제수로 처리한 대조군에 대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1 내지 M5를 각각 처리한 실험군의 O.D. 값에 대한 비로 나타내었다.
3-1. 장내 세균 배양
장내 유익균의 지표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BR2(Bifidobacterium breve BR2, KCTC 11858BP),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2010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KCTC 3594))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균주들은 Reinforced Clostridial Media(RCM, Difco, USA) 배지에서 37℃ BBL GasPak(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SA)에 넣은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3-2. 생육 활성 실험(아가 분산법, Agar diffusion method)
EG 한천배지를 멸균한 후 50 ℃로 식히고 3 종의 균주가 각각 2~3% 포함되도록 군주를 접종한 플레이트 3개를 만든 후, 상온에서 배지를 굳혔다. 직경 6 mm 디스크 페이퍼(Whatman paper No.41)에 본원발명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M1 내지 M5를 각각 0.1 ㎎ 적하한 후, 이를 굳힌 배지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였다. 상기 배지를 혐기적 조건으로 37℃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생육 활성환의 크기를 관찰하여, 생육 활성환의 직경에 따라 하기 표 4의 평가 기준으로 나타내었으며, 생육 활성 효능이 가장 높은 경우 ++로 표시하여 하기 표 5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육 활성환 직경(mm) 표시
No effect No
10 미만 -
10 이상 15 미만 +
15 이상 20 미만 ++
20 이상 25 미만 +++
M1 M2 M3 M4 M5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No + + - ++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 - - - ++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No - - + ++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점토광물 분말(CM)만을 포함하는 M1의 경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의 경우에만 생육 활성환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산균 L1 내지 L3을 각각 포함하는 M2 내지 M4의 경우 생육 활성 환이 모두 형성되었으나, M2 및 M3의 경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M4의 경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에만 10mm 이상 15mm 미만의 생육 활성환의 넓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L1 내지 L3을 모두 포함하는 M5의 경우 모든 균주에 있어서 15mm 이상 20mm 미만의 생육 활성환을 나타내어, 특히 M5의 경우 장내 유익균 활성증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이 높은 생육 활성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면역글로불린(IgG) 생성량 증가 활성]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1 내지 M5)의 면역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균 몸무게 6.96kg인 3주령 삼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이유자돈 120두를 대상으로 대조군, 실험군 1 내지 5 각각 이유자돈 20두씩 임의 배치하였으며 이때, 이유자돈에 급여된 사료료는 대조군의 경우 무항생제 이유자돈용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 1 내지 5의 경우 이유자돈용 사료의 5 중량%를 본원발명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1 내지 M5)를 포함하는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사료는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무제한 자유 급여하였다.
4주동안의 실험을 진행한 이후, 본원발명 조성물의 면역력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분석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에서 5두씩 총 30두를 대상으로 시린지를 이용해 채혈하여 EDTA 튜브에 넣어 즉시 4℃에 보관하고, 항원 항체 반응을 위한 혈청분리는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 분리 즉시 -70℃에 냉동하였다.
면역력 증강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혈에서 분리한 혈청을 이용한 IgG분석을 ELISA를 통해 실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험군 1
(M1)
실험군 2
(M2)
실험군 3
(M3)
실험군 4
(M4)
실험군 5
(M5)
IgG(mg/dl) 226 230 242 239 243 278
(단위 : mg/dl)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IgG 함량 분석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중 M1 급여군의 경우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유산균 L1 내지 L3을 각각 포함하는 실험군 2 내지 4의 경우 소폭의 IgG 증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산균 L1 내지 L3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군 5의 경우 보다 우수한 IgG 증가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본원발명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이유자돈의 면역력 증가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항균활성, 장내 유익균/면역글로불린 증가 활성]
5-1. 세포 독성 평가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6 내지 M13)의 장내 유익균 및 면역글로불린 증가 활성을 평가하기 전, 천연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평가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를 참조하면, RA264.7 세포 및 HUVEC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본원발명의 본원발명의 천연추출물 개보리뺑이 추출물(LE), 가솔송 추출물(PE)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GE)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5-2. 항균활성, 장내 유익균 및 면역글로불린 증가 활성
본원발명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6 내지 M13)의 장내 유익균 및 면역글로불린 증가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 및 3의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실험결과의 비교를 위해 M5의 값을 3으로 하여 M6 내지 M13의 실험결과 값을 하기 표 7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항균 활성 3 4 4 5 7 8 9 9 8
장내 유익균 활성 3 3 4 4 7 8 9 8 8
IgG 증가 활성 3 4 4 3 6 7 8 9 8
(단위 : 지수)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M5에 비해, 개보리뺑이 추출물(LE), 가솔송 추출물(PE)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GE)를 각각 포함하는 M6 내지 M8의 경우, 항균활성, 장내 유익균 및 면역글로불린(IgG) 증가 활성이 소폭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천연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M9 내지 M13의 경우 M5 내지 M8에 비해 보다 우수한 실험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M10 내지 M12의 경우 그 활성이 보다 우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장내 유익균 및 면역글로불린 생성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항균 활성 또한 나타내어, 면역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6 :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의 기호성 시험]
본 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5 내지 M13)의 기호성 평가를 위해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평균 몸무게 6.96kg인 이유자돈 90마리를 대상으로, 2주 동안 시중에 판매중인 돈용 사료에 본원발명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포함하지 않는 사료(대조군)을 동시에 같은량 급여하여 기호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 첨가제 종류마다 이유자돈 10 마리를 배치하였으며, 매일 아침 9시 30분에 사료 소진률을 측정하여 2주간의 사료 소진률을 평균으로 나타냄으로써 기호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첨가군 69.81 75.74 76.59 76.38 79.13 82.24 85.55 83.13 79.31
무첨가군
(대조군)
67.88 66.24 65.48 65.72 63.11 62.84 60.68 61.44 62.91
(단위 : %)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첨가군의 경우 무첨가군에 비해 모두 높은 정도의 사료 소진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점토광물 및 유산균만을 포함하는 M5와 비교하여 천연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M6 내지 M8의 경우, 보다 높은 정도의 사료 소진률을 나타내어 사료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보리뺑이 추출물(LE), 가솔송 추출물(PE) 및 허브베니트 추출물(GE)을 모두 포함하는 M9 내지 M13의 경우 약 78% 이상의 사료 소진률을 나타내어, 천연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사료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M10 내지 M12의 경우 약 80% 이상의 사료 소진률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M9 내지 M13)을 포함하여 제조된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을 기존의 사료에 포함함으로써, 사료의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면역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점토광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규조토, 맥반석,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루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실러스(Bacillus) 속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를 통해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gG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력 증진을 나타내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사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210042918A 2021-04-01 2021-04-01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2022013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18A KR20220136791A (ko) 2021-04-01 2021-04-01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18A KR20220136791A (ko) 2021-04-01 2021-04-01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91A true KR20220136791A (ko) 2022-10-11

Family

ID=8359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18A KR20220136791A (ko) 2021-04-01 2021-04-01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7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42B1 (ko) 2012-01-18 2014-05-19 (주)비타바이오 오미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101803069B1 (ko) 2017-03-20 2017-11-29 한재갑 가축의 면역력 증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42B1 (ko) 2012-01-18 2014-05-19 (주)비타바이오 오미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101803069B1 (ko) 2017-03-20 2017-11-29 한재갑 가축의 면역력 증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3064B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US20110117068A1 (en) Probiotic microorganisms for the reduction of manure odor
AU4947000A (en) A bacterial strain, processed plant extracts and probiotic compositions for human and veterinary use
CN107259164A (zh) 一种宠物猫专用食粮及其制备方法
Gupta et al.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Carica papaya
KR101731992B1 (ko) 면역 활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유산균을 배양하는 방법
KR102095967B1 (ko) 축산동물과 산물의 면역관리와 영양관리를 위한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발효 이온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568602B (zh) 一种提高肉鸡生长性能和机体免疫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88555B1 (ko) 생약 및 적색셰일의 혼합건조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Sharma et al. Allergenicity of airborne cyanobacteria Phormidium fragile and Nostoc muscorum
CN102232364A (zh) 天然沸石制备水产养殖环保中草药缓释剂底质材料的方法
KR101087269B1 (ko)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Yakovleva et al. A method for production of phytomineralsorb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it, effect on the living systems and the qua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products
KR20220136791A (ko) 가축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CN106071114A (zh) 一种替代抗生素的混合型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Srivastava et al. Effect of amla (Phyllanthus emblica) fruit powder supplemented feed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an Indian major carp, Labeo rohita (Ham.) fingerlings
CN114177232A (zh) 一种茶叶多酚提取物的提取方法、提取的茶叶多酚提取物及其应用
KR20220160135A (ko)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용 사료 조성물
CN103750069B (zh) 一种预防和治疗鱼类细菌和病毒性疾病的饲料添加剂
KR101012672B1 (ko) 황련, 금은화 및 상엽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생효과를 갖는 사료첨가제와 그의 제조방법
KR20220125075A (ko) 곰팡이 및 곰팡이 생성물 억제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606667B1 (ko) 새우의 면역활성 및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KR20140093450A (ko) 분사암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CN103652332A (zh) 一种绿色环保高钙高蛋白鹿用精饲料
KR20060011031A (ko) 악취제거 및 고영양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