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583A -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583A
KR20220136583A KR1020210042117A KR20210042117A KR20220136583A KR 20220136583 A KR20220136583 A KR 20220136583A KR 1020210042117 A KR1020210042117 A KR 1020210042117A KR 20210042117 A KR20210042117 A KR 20210042117A KR 20220136583 A KR20220136583 A KR 2022013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mage
impact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583A/ko
Priority to US17/452,314 priority patent/US11589012B2/en
Priority to CN202111413306.6A priority patent/CN115147951A/zh
Publication of KR2022013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은 복수 개의 도어; 영상 획득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 충격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충격에 대응하여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장치;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 오프 시에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Video record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video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충격 발생 시 주변의 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길 안내 기능(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영상 기록 기능(블랙박스 기능), 외부의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이 중 영상 기록 기능은, 주차 중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과, 주행 중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주차 중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차 보조 기능을 수행하고, 주행 중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사고의 원인 분석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이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차량일 때, 차량은 획득된 전방의 영상을 자율 주행을 위한 정보로 이용한다.
영상 기록 기능은 주정차 상태의 자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영상을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자 차량에 충격을 가한 타 차량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차량의 증가와 좁은 주차 공간으로 인하여 차량 간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타 차량의 도어 개폐 시 인접한 차량 간 도어의 충돌로 인해 자 차량의 도어에 손상을 입히는 일이 빈번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자 차량에 손상을 입힌 차량의 소유주가 자 차량의 소유주에게 손해 배상을 해주어야 하나, 손해 배상을 하지 않거나 연락처를 남기지 않은 상태에서 도주하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주정차 중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한 충격과 관련된 정보를 영상으로 기록하는 영상 기록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 기록 기능이 증가하고 또한 충격 감지에 대응하여 영상을 기록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의 용량도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측면은 가해진 충격 중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충격을 인식하고 인식한 충격에 대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다른 장치에 마련된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충격을 인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영상 획득부; 제1 충격 정보를 검출하는 제1센서;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충격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 충격 정보와 제2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의 충격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영상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제1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2충격 정보는,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 정보 및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부는, 제1센서에서 검출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1차로 판단하고,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로 판단되면 제2센서의 압력 정보 및 제3센서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2차로 판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부는,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도어; 영상 획득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 충격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충격에 대응하여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장치;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 오프 시에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부는 내장에 마련되되 복수 개의 도어와 인접하게 마련된 측면 에어백부를 포함하고, 제2센서는 복수개의 도어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도어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3센서는 복수 개의 도어 중 전방의 도어와 후방의 도어 사이에 마련되되 차체의 좌우에 각각 마련된 비필러의 내부에 마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1센서는, 차체의 본네트의 내부 또는 대시 보드의 내부에 마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는, 제1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1차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로 판단되면 제2센서의 압력 정보 및 제3센서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2차로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2, 3, 3의 카메라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인가된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주행 중 제2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압력 정보를 제1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1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이 오프되면 제2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압력 정보를 제2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2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동이 오프되면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2, 3센서와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테일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에 마련되고 테일 게이트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복수 개의 도어는 뒷좌석에 마련된 후방 도어를 포함하고, 후방 도어에 마련되고 후방 도어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5센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는,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 개의 도어; 영상 획득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3센서를 포함하고, 충격에 대응하여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장치;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시동이 오프되면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3센서와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이 오프되면 제1센서 및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는,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테일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에 마련되고 테일 게이트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복수 개의 도어는, 뒷좌석에 마련된 후방 도어를 포함하고, 후방 도어에 마련되고 후방 도어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5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인가된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주행 중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1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고,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이 오프되면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2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주정차된 상태에서 타 차량에 의한 도어의 손상 발생 시 주변 영상, 또는 손상 발생 위치의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기록 영상을 피해 발생에 의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장치에 마련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도어의 손상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기존 1개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 손상 발생 감지 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장애물에 의한 충격 감지를 위한 장치에 의한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와 테일 게이트의 개폐에 의한 충격과 타 차량에 의한 충격을 구별할 수 있어 충격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충격 오감지에 의한 영상의 잦은 저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의 영상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의 방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차 중 장애물에 의한 충격 감지를 위한 영상 기록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에어백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에어백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 인가 예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에어백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외장과 내장을 갖는 차체(Body, 110)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차체(110)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및 리어 패널(114)과,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실내의 공간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15)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도어에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윈도우 글래스는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렁크를 개폐하는 테일 게이트(116)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7)를 포함한다.
차량은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앞 좌석의 도어와의 경계에 마련되는 에이 필러(A pillar, 118a), 앞 좌석의 도어와 뒷좌석의 도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비필러(B pillar, 118b),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뒷 좌석의 도어와의 경계에 마련되는 씨 필러(C pillar, 118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30)는 카메라로,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30)는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130)는 주변 모니터링 장치(SVM: Surround View Monitor, 또는 AVM)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고, 사각 지대 감지 장치(BSD: Blind Spot Detection)의 카메라 또는 후방 감지 장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30)의 각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 즉 서로 다른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는 시야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차량의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의 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131), 차량의 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132), 차량의 좌측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133)와, 우측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4카메라(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31)는 차량의 전면의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고,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마련되되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프런트 패널의 번호판, 그릴, 엠블럼, 프런트 패널 또는 루프 패널의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32)는 차량의 후면의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테일 게이트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리어 패널의 번호판, 루프 패널, 리어 패널 또는 엠블럼에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카메라(131)는 전방 카메라로, 블랙박스에 마련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자율 주행을 위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장애물 검출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32)는 후방 카메라로 주차 보조용 카메라일 수 있다. 제3, 4카메라(133, 134)는 사각지대 감지용 카메라일 수 있다.
제3카메라(133)는 좌측 사이드 미러(117) 또는 좌측 펜더(Fender)에 마련될 수 있고 제4카메라(134)는 우측 사이드 미러(117) 또는 우측 펜더(Fender)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여부 및 충격에 대한 충격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검출부(140)는 프론트 패널(111)의 내부 또는 대시 보드의 내부에 마련된 제1센서(141)와, 차량의 좌우 도어에 각각 마련된 제2센서(142), 차량의 좌우 비필러에 각각 마련된 제3센서(143)를 더 포함하고, 테일 게이트(116)에 마련된 제4센서(144), 차량의 뒷 도어(후방 도어)에 각각 마련된 제5센서(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41)는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제1센서(141)는 차량의 전방에서 차량의 전면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142)와 제3센서(143)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142)는 차량의 측면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이고, 제3센서(143)는 차량의 측면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측면은, 차량의 도어일 수 있다.
제4센서(144)는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의 후면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제5센서(145)는 후방 도어(115c)에 마련되어 후방 도어(115c)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 121a, 121b)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122) 상에 배치되고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안내하는 클러스터(즉, 계기판, 123)와, 대시보드(122)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오디오 장치, 공기 조화기, 블루투스 장치 및 시트의 열선 등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124)과, 도어(151)의 상측에 마련되고 천장 내장을 형성하는 헤드 라이닝(125)과, 헤드 라이닝(125)에 마련되는 오버헤드 콘솔(126)과, 헤드 라이닝(125)에 마련되고 후방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룸 미러(127)를 포함한다.
차량은 대시 보드(122)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마련된 차량용 단말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5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자율 주행 정보 표시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단말기(150)가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현된 경우, 차량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51a)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51a)는 스티어링 휠, 헤드 유닛, 센터페시아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으며 각종 기능이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41a)는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맵 표시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자율 주행 기능, DMB 기능,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51a)는 물리적인 버튼, 키, 스위치 및 레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차량용 단말기(AVN, 150)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51a)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1a)는 사용자 입력으로 기록된 영상의 재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의 표시부(152)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단말기(15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52)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에어백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60)는 대시 보드(122)에 마련되거나 또는 대시 보드(122)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전면 에어백부(161)와, 도어(115)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측면 에어백부(16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전면 에어백부(161)는 대시 보드(122)의 영역 중 운전석(121a)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제1전면 에어백부(161a)와, 대시보드(122)의 영역 중 조수석(121b)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는 제2전면 에어백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면 에어백부(161a)는 스티어링 휠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전면 에어백부(161a)와 제2전면 에어백부(162b)는 고정되어 마련된 고정형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 에어백부(162)는 운전석(121a) 측 도어(115a)와 운전석의 후방의 뒷좌석(121c) 측 도어(115c) 사이의 패널에 마련된 제1측면 에어백부(162a)와, 조수석(121b) 측 도어(115b)와 조수석의 후방의 뒷좌석(121d) 측 도어(115d) 사이의 패널에 마련된 제2측면 에어백부(16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 에어백부(162a)는 헤드 라이닝(125)의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헤드 라이닝(125)의 사이드 영역 중 운전석(121a) 측 도어(101a)의 상측 영역에서 운전석(121a)의 후방의 뒷좌석(121c) 측 도어의 상측 영역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 에어백부(162b)는 헤드 라이닝(125)의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헤드 라이닝(125)의 사이드 영역 중 조수석(121b) 측 도어(115b)의 상측 영역에서 조수석(121b)의 후방의 뒷좌석(121d) 측 도어(115d)의 상측 영역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측면 에어백부(162a)와 제2측면 에어백부(162b)는 커튼 에어백일 수 있다.
제1측면 에어백부(162a)와 제2측면 에어백부(162b)는 고정되어 마련된 고정형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 차륜에 구동력, 제동력 및 조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현가 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 발생 장치는 엔진, 연료 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기계적인 동력을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전달한다.
여기서 동력 전달 장치는, 변속기, 클러치, 종감속 장치 및 차동 기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1)은 영상 획득부(130), 검출부(140), 단말기(150), 에어백 장치(160)를 포함하고, 전원 장치(170) 및 영상 기록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 주변의 물체에 대한 형상 정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자 차량 외부의 환경,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및 그 주변의 자 차량의 전방, 후방, 좌우의 측방의 물체의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영상 기록 장치(180)에 전송한다.
검출부(140)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여부 및 충격에 대한 충격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한 충격에 대한 충격 정보를 영상 기록 장치(180) 및 에어백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이러한 검출부(140)는 가속도 센서, 압력센서, 터치 센서, 힘센서, 리미트 스위치, 근접 센서, 아두이노 충격센서, 요레이트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검출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부(140)는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방 및 우측면에 가해진 충격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40)는 본네트(112)의 내부 또는 대시 보드의 내부에 마련되어 차량의 전면에 가해진 충격을 검출하기 위한 제1센서(141)와,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마련되어 에어백부의 전개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142) 및 제3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41)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제1센서(141)는 차량의 주행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142)는 좌우 도어에 각각 마련되어 좌우 도어에 각각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한다. 제2센서(142)는 압력 센서로,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제3센서(143)는 좌우 비필러에 각각 마련되어 좌우 도어에 각각 인가된 충격을 검출한다. 제3센서는 가속도 센서로,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검출부(140)는 테일 게이트나 리어 패널에 인가된 충격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4센서(144)와, 후방 도어에 각각 마련되어 후방 도어에 각각 가해진 충격을 검출하는 제5센서(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센서(145)는 가속도 센서로,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단말기(150)는 입력부(151)와 표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150)는 표시부(152)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50)는 표시부(152)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51)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50)가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현된 경우,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입력부(151a)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말기의 입력부(151) 및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151a, 도 2 참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의 입력부(151)와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151a, 도 2 참조)의 기능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동일 기능에 대해 단말기의 입력부(15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입력부(151)는 기록된 영상의 재생 명령, 일시 정지 명령, 종료 명령, 영상 검색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1)는 영상 검색 및 영상 재생 시 영상이 저장된 시간, 장소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51, 151a)는 영상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51)는 사용자 전화번호 정보, 메일 주소 정보, 충격 알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및 등록한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입력부(151)는 주정차 중 영상 기록 모드의 기록 시점에 대한 기록 시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록 시점 정보는, 상시, 이벤트, 수동, 타임 랩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시는 영상 기록 모드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온 되었을 때 오프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벤트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고, 수동은 사용자 명령에 의해 기록 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기록 명령이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일정 시간 동안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며, 타입 랩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2일정 시간 동안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입력부(15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록 시점 정보를 영상 기록 장치(180)에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52)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영상 획득부(130)에 의해 획득되어 기록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52)는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정보, 차량에서 수행 중인 각종 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2)는 영상 기록 장치의 제1저장부(183)에 저장된 영상 표시 시에 어라운드 뷰 영상 또는 탑뷰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60)는 제1, 2, 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고, 제4, 5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 장치(170)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원 장치(170)는 엔진의 시동을 위해 시동부(173)와, 엔진의 시동을 위해 시동부(17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171)를 포함한다. 즉 차량(1)은 제1배터리(171)의 전력을 이용하여 시동부(173)를 동작시키며, 시동이 완료되면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여기서 시동부(173)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시동 온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동력 발생 장치의 엔진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시동부(173)는 엔진 시동을 위한 모터(즉 시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시동용 모터는 제1배터리(17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며, 구동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엔진에 전달함으로써 엔진이 시동되도록 한다. 이때 시동용 모터는 전동기로의 동작을 수행한다.
시동용 모터는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발전기로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시동용 모터는 엔진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하고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1배터리(171) 및 제2배터리(172)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시동용 모터는 차량의 주행 중 발전기로 동작하여 생산된 전력을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용 모터는 알터네이터(Alternator)일 수 있다.
아울러 시동용 모터는 알터네이터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차량이 전기 차량인 경우, 차량은 차륜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171)와,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17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배터리(171)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제1배터리(171)에 충전된 전력은 엔진의 시동을 위한 전력, 시동 오프 후 복수 개의 전자 장치의 슬립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전력 및 암전류에 의한 전력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배터리(171)는 주행 중 에어백 장치(160), 검출부(140)를 포함한 각종 검출부, 단말기(150) 및 영상 기록 장치(18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장치(170)는 차량이 주차 및 정차 상태일 때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의해 방전될 수 있고, 차량이 주행 상태일 때 시동부(173)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제2배터리(172)를 더 포함한다.
제2배터리(172)는 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제2배터리(172)는 차량이 주차 및 정차 상태일 때 에어백 장치(160)에 마련된 검출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검출부는 제2, 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배터리(172)는 차량이 주차 및 정차 상태일 때, 제1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기록 장치(180)는 시동이 온된 후 자율 주행을 위한 전방 영상, 후방 영상, 및 좌우 측방 영상을 기록한다.
영상 기록 장치(18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주차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장치(180)는 제2배터리(172) 및 시동부(173)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때 시동부(173)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고, 차량이 정차 및 주차 상태일 때 제2배터리(172)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영상 기록 장치(180)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때 시동부(173)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영상 획득 및 저장을 수행하고, 차량이 정차 및 주차 상태일 때 제2배터리(172)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영상 획득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시동 온 상태일 때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제1배터리(171)의 전력을 영상 기록 장치(180)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영상 기록 장치(180)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때 시동부(173)로부터 전달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하이면 제2배터리(17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영상 획득 및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시동부(173)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면 시동부(173)에서 발생되는 전력이 영상 기록 장치(180)의 각 구성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시동부(173)에서 발생되는 전력이 영상 기록 장치(180)에 전달되도록 할 때, 시동부(173)에서 발생된 전력을 영상 기록 장치(18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 및 전류의 전력이 영상 기록 장치(180)의 각 구성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시동부(173)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2배터리(172)의 충전을 제어하고 또한 제2배터리(171)의 충전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영상 기록 장치(180)는 제1통신부(181), 제1제어부(182) 및 제1저장부(183)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81)는 차량 내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와 제1제어부(182)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통신부(181)는 검출부(140)와 제1제어부(182)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에어백 장치(160)와 제1제어부(182)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용 단말기(150)와 제1제어부(182)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통신부(181)는 서버나 사용자용 단말기(2)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통신부(181)는 제1제어부(182)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1저장부(183)에 저장된 영상 또는 영상 획득부(130)에 획득된 영상을 단말기(2)로 전송하고, 이벤트 정보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명, 이벤트 발생일자, 이벤트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명은 도어 충격, 테일 게이트 충격, 프론트 패널 충격 및 리어 패널 충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사용자용 단말기로, 단말기(2)는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81)는 외부 장치 및 내부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시동부(173)와 제1 통신부(181)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시동부(173)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제어부(182)는 캔 통신 또는 린(LIN) 통신을 통해 시동부(173)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 또는 시동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면 주차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종료하고 주행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수행한다. 제1제어부(182)는 주행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수행할 때 시동부(173)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제1제어부(182)는 주행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수행할 때, 제2배터리(172)에서 영상 기록 장치(18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시동부(173)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차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수행한다. 제1제어부(182)는 주차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수행할 때 제2배터리(172)의 전력이 영상 기록 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달되도록 전원 장치(170)를 제어한다.
영상 기록 장치는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사이에서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시동부와 제2배터리 사이에서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기록 장치의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주차 중 영상 기록 모드 시 제2배터리(172)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에 대응하는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을 비교하며 제2배터리(172)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 이하이면 주차 중 영상 기록 모드를 종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제2배터리(172)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 이하이면 제1배터리(17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영상 획득부(130)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한 영상 압축, 영상 복구, 영상 증진, 영상 확대, 영상 축소, 영상 회전, 영상 분할, 물체 인식, 영상 정합, 영상 수정, 전처리, 경량화 및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가 보기 편한 탑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탑뷰 영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5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합성되는 영상은, 촬영 시야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동일한 시점에 획득된 영상들일 수 있다.
또한 탑뷰 영상은 자 차량의 심볼 영상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영역에 물체의 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이 매칭된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물체의 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은, 물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물체의 심볼 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물체의 심볼 영상 주변에 물체의 부가 정보를 지시하는 태그 영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물체의 속도 정보, 위치 정보, 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입력부(151)를 통해 탑뷰 영상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제1저장부(183)에 저장된 영상 중 입력부(151)에 입력된 시간 정보를 갖는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 방향 영상 및 우측 방향 영상을 획득하고, 입력된 시간 정보를 갖는 물체의 정보와 주행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각 방향의 영상, 물체의 정보 및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탑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탑뷰 영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5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입력부(151)를 통해 시간 정보 및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시간 정보를 가지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용 단말기(2)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입력부(151)에 수신된 기록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기록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영상 기록 제어 시, 영상 획득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기록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시점이 이벤트이면,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영상 획득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82)는 주차 상태에서 영상 기록 중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기록 중인 영상 중 충격 발생 시점에 기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의 상태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이면 에어백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82)는 에어백 장치(160)에 마련된 제2, 3 센서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82)는 차량의 상태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이면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센서 및 복수 개의 제3 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정보는 압력 정보와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위치를 시야로 하는 카메라를 판단하고 판단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좌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142)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압력 정보는, 제2기준 압력 정보일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좌측 도어에 마련된 제3센서(143)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우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142)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우측 도어에 마련된 제3센서(143)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가속도 정보는, 제2기준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테일 게이트에 제4센서(144)가 마련된 경우,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제4센서(14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 게이트(116)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좌우측 후방 도어에 제5센서(145)가 각각 마련된 경우,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우측 후방 도어에 마련된 제5센서(145)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좌측 후방 도어에 마련된 제5센서(145)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도어에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 여부를 판단할 때, 제1제어부(182)는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 여부를 판단할 때, 제1제어부(182)는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기준 가속도이라고 판단되면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제1센서, 제3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충격 발생으로 판단 시, 충격 정보를 검출한 센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중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제1센서에 의해 충격 정보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차량의 전면으로 인식하고 차량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1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좌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에 의해 충격 정보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차량의 좌측면이라고 인식하고, 차량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의 제3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우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에 의해 충격 정보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차량의 우측면이라고 인식하고 차량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의 제4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좌측면은 차량의 좌측에 마련된 도어일 수 있고, 차량의 우측면은 차량의 우측에 마련된 도어일 수 있다.
아울러, 제1제어부(182)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차량에 마련된 모든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영상의 정보를 미리 등록된 단말기(2) 또는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획득된 영상의 정보를 전송할 때 시간 정보,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미리 등록된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로, 차량 소유주인 사용자용 단말기일 수 있고, 사용자의 지인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서버는 차량 제조사의 텔레매틱스 서버, 차량 서비스 센터의 서버, 클라우드 서버 및 웹하드 서버일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제1센서(14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격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측면 충격으로 1차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제3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충격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제1센서(14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격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측면 충격으로 판단되면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충격이 발생한 측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측면에 마련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충격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82)는 각 도어에 마련된 개폐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방으로 판단되었을 때,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 가해진 충격이 도어 폐쇄에 의한 충격인지, 다른 차량에 의한 충격인지를 판단하고 도어 폐쇄에 의한 충격으로 판단되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충격 정보를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이 도어의 폐쇄에 의한 충격이라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130)를 비활성화시켜 영상이 기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이 도어의 폐쇄에 의한 충격이라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기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2)는 차량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영상 처리된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이벤트 영상에 대한 이벤트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제1, 2, 3, 4, 5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2, 3, 4 카메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제1제어부(182)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저장부(183)는 기준 압력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기준 가속도 정보는 제2기준 가속도 정보일 수 있고, 기준 압력 정보는 제2기준 압력 정보일 수 있다.
제1 저장부(183)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저장부(183)는 제1제어부(182)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에어백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에어백 장치(160)는 제2통신부(163), 제2 제어부(164) 및 제2저장부(165)를 포함하고, 검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장치(180)의 제1통신부(181), 제1제어부(182) 및 제1저장부(183)와의 구별을 위해, 에어백 장치(160)의 통신부, 제어부 및 저장부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
제2통신부(163)는 차량 내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와 제2제어부(164)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통신부(163)는 검출부(140)와 제2제어부(164)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영상 기록 장치(180)와 제2제어부(164)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통신부(163)의 구성은, 제1통신부(181)의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제어부(164)는 주행 중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에어백 장치의 내구 구성부에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제2 제어부(164)는 주행 전원 장치의 제1배터리(171) 또는 시동부(17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배터리(172)의 전력을 제2, 3 센서 및 제2통신부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영상 기록 장치(180)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163)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의 주행 중 에어백부의 전개 제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제1기준 정보로 설정한다. 아울러, 차량의 주정차 중 충격 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는 제2기준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 정보는 제1기준 압력 정보와 제1기준 가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기준 정보는 제2기준 압력 정보와 제2기준 가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4)는 주행 중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와 제1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와 제1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며,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164)는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이거나, 또는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161)와 측면 에어백부(162)의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4)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 3 센서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제2기준 정보로 설정하고,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와 제2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2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영상 기록 장치에 제1트리거 신호를 전송하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와 제2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2기준 가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며,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2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영상 기록 장치에 제2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저장부(165)는 제2센서에 대응하는 제1기준 압력 정보와, 제2센서에 대응하는 제2기준 압력 정보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165)는 제3센서에 대응하는 제1기준 가속도 정보와, 제3센서에 대응하는 제2기준 가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기준 가속도 정보는 에어백부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대략 96G일 수 있고, 제2기준 가속도 정보는 도어 충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대략 0.5G 일 수 있다.
제1기준 가속도 정보는 차량에 인가된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부가 전개되도록 하기 위한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제2기준 가속도 정보는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으나 에어백부가 전개되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제2저장부(165)는 제2제어부(164)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저장부(165)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영상 기록 장치와 에어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면 시동부를 통해 에어백 장치와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차량은 주행 중 영상 획득부를 활성화시켜 영상을 획득하고 저장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차량은 주행 중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영상의 밝기, 선명도 및 색상 등을 튜닝하고 노이즈를 제거한 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은 주행 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격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으로 판단되면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주행 중 제2센서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제1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제3센서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제1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한다.
차량은 주행 중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와 제1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와 제1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며,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이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한다.
차량은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이상이거나, 또는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차량은 주행 중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이 제1기준 압력 미만이고,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가 제1기준 가속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유지를 제어한다. 즉 차량은 전면 에어백부 및 측면 에어백부의 비전개를 제어한다.
차량은 시동 오프(191)에 의해 주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배터리에 충전된 저력을 검출부 및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192)한다. 이때 차량은 제2배터리의 전력을 제2, 3 센서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3 센서는 영상 기록 장치와 전기적, 기계적 및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주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에어백 장치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제2배터리의 전력을 에어백 장치의 제2, 3 센서와 제2제어부 및 제2통신부에 공급할 수 있다.
주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은, 주행 속도가 0인 상태, 전자식 주차 버튼의 온 상태, 변속 레버의 위치가 주차 단(P)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주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주차 상태일 때 제2센서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제2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제3센서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제2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한다.
차량은 주차 상태일 때,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획득(193)하고 획득한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194)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검출부의 검출 정보는 차량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충격 정보일 수 있다.
차량의 측면에 인가된 충격은, 차량의 도어에 인가된 충격일 수 있다.
차량은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제1센서(14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격 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제1센서(14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이 인가된 방향 정보와 충격의 크기 정보를 확인하고, 충격이 인가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이 인가된 방향이 차량의 측면이라고 판단되면 충격의 크기 정보와 기준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 인가된 충격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에 인가된 충격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로 판단한다.
차량은 제1센서(141)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정보 중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충격이 인가된 측면이 우측면인지, 좌측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차량은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되면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2, 3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2차로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좌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되면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좌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142)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압력 정보는, 제2기준 압력 정보일 수 있다.
차량은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좌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좌측면은 운전석 도어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좌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되면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좌측 도어에 마련된 제3센서(143)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제2 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좌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되면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우측 도어에 마련된 제2센서(142)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확인한 압력 정보와 기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우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우측면은 조수석 도어일 수 있다.
차량은 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되면 검출부(140)의 센서들 중 우측 도어에 마련된 제3센서(143)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가속도 정보는, 제2기준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즉 차량은 확인한 가속도 정보와 기준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제2 기준 가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측면에 인가된 충격이 도어에 개폐에 의한 충격인지를 판단(195)한다.
이때 차량은 각 도어에 마련된 개폐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도어 개방에 의한 검출 정보로 판단하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충격 이벤트에서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차량은 각 도어에 마련된 개폐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폐쇄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도어 폐쇄에 의한 검출 정보로 판단하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충격 이벤트에서 예외 처리할 수 있다.
차량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충격 이벤트에서 예외 처리할 때, 영상 획득부를 비활성할 수 있다.
차량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충격 이벤트에서 예외 처리할 때,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개폐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 인가된 충격이 도어의 개방이나 폐쇄에 의한 충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장애물에 의한 충격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좌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좌측의 사이드미러에 마련된 제3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저장(196)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우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우측의 사이드미러에 마련된 제4카메라(134)의 동작을 제어하며, 우측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저장(196)할 수 있다.
차량은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영상의 정보를 미리 등록된 단말기(2) 또는 서버에 전송(197)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획득된 영상의 정보를 전송할 때 시간 정보,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미리 등록된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로, 차량 소유주인 사용자용 단말기일 수 있고, 사용자의 지인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아울러,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충격이 인가되면 복수 개의 카메라를 모두 활성화시켜 복수 개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이벤트 영상을 사용자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타 차량 또는 다른 사람이 자 차량을 손상시키고 도주하는 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1: 차량 2: 사용자용 단말기
130: 영상 획득부 140: 검출부
150: 차량용 단말기 160: 에어백 장치
170: 전원장치 180: 영상 기록 장치

Claims (21)

  1. 영상 획득부;
    제1 충격 정보를 검출하는 제1센서;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충격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충격 정보와 상기 제2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의 충격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영상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충격 정보는, 상기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2센서에서 검출된 압력 정보 및 상기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3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서 검출된 충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1차로 판단하고, 상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로 판단되면 상기 제2센서의 압력 정보 및 제3센서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2차로 판단하는 영상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영상 기록 장치.
  5. 복수 개의 도어;
    영상 획득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
    충격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상기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에 대응하여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장치;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시동 오프 시에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는, 내장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도어와 인접하게 마련된 측면 에어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도어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센서는, 상기 복수 개의 도어 중 전방의 도어와 후방의 도어 사이에 마련되되 차체의 좌우에 각각 마련된 비필러의 내부에 마련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차체의 본네트의 내부 또는 대시 보드의 내부에 마련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1차로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1차로 판단되면 상기 제2센서의 압력 정보 및 제3센서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2차로 판단하는 차량.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2, 3, 3의 카메라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인가된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는, 주행 중 상기 제2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압력 정보를 제1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1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제2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압력 정보를 제2기준 압력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2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는 차량.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2, 3센서와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차량.
  13. 제 5항에 있어서,
    테일 게이트;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는, 뒷좌석에 마련된 후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후방 도어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5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차량.
  16.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 개의 도어;
    영상 획득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에 대응하여 에어백부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장치;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에어백 장치에 마련된 제3센서와 영상 기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2, 3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차량.
  18. 제 16항에 있어서,
    테일 게이트;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는, 뒷좌석에 마련된 후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후방 도어에 인가된 충격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5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 및 우측의 영상을 제4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충격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이 인가된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획득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는, 주행 중 상기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1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제3센서에 대응하는 기준 가속도 정보를 제2기준 가속도 정보로 설정하는 차량.
KR1020210042117A 2021-03-31 2021-03-31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20220136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17A KR20220136583A (ko) 2021-03-31 2021-03-31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US17/452,314 US11589012B2 (en) 2021-03-31 2021-10-26 Image record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202111413306.6A CN115147951A (zh) 2021-03-31 2021-11-25 图像记录装置和具有该装置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17A KR20220136583A (ko) 2021-03-31 2021-03-31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583A true KR20220136583A (ko) 2022-10-11

Family

ID=8340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17A KR20220136583A (ko) 2021-03-31 2021-03-31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9012B2 (ko)
KR (1) KR20220136583A (ko)
CN (1) CN115147951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3672A1 (en) * 2008-05-01 2009-11-05 Evgeni Koudritski Vehicl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JP2012245954A (ja) * 2011-05-31 2012-12-13 Denso Corp 衝突検知装置および乗員保護システム
JP5796751B2 (ja) * 2013-01-10 2015-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情報記録装置
JP2018065482A (ja) * 2016-10-20 2018-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DE102018208831A1 (de) * 2018-06-05 2019-12-05 Robert Bosch Gmbh Detektion eines Aufprallereignisses
KR20200071218A (ko) 2018-12-11 2020-06-19 신경섭 거리를 감지하는 문콕 방지 전동 도어
KR102164334B1 (ko) 2019-02-13 2020-10-12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US11541882B2 (en) * 2019-09-24 2023-01-03 Volvo Car Corporation Low-impact collision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47951A (zh) 2022-10-04
US20220321838A1 (en) 2022-10-06
US11589012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56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river situational awareness in a transportation vehicle
JP6857920B2 (ja) 車両及び携帯情報端末
CN107867296B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和控制该车辆的方法
CN109933063B (zh) 设置于车辆的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的控制方法
EP31338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US10431086B2 (e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35027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CN106560836B (zh) 在车辆中提供防物品遗失服务的设备、方法和移动终端
KR102392017B1 (ko)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02674A1 (en) Integrated vehicle traffic camera
CN108482367B (zh) 一种基于智能后视镜辅助驾驶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00194885A1 (en) Motorcy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803686B2 (en) Vehicle and vehicle system
US10358115B2 (en) Vehicle, vehicle security system and vehicle security method
CN112061024A (zh) 车辆外部扬声器系统
WO2022198907A1 (zh) 车辆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及车辆
KR101707823B1 (ko)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KR20220136583A (ko) 영상 기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CN107979724A (zh) 具有多焦点相机的车辆
US20230168091A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5311510B2 (ja) 車載用監視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監視方法
CN116279506A (zh) 车辆行驶监控方法、装置、车载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00033435A (ko) 차량용 제어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313325B2 (en) Vehicle,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system
US11050981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