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24A -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24A
KR20220135324A KR1020210040812A KR20210040812A KR20220135324A KR 20220135324 A KR20220135324 A KR 20220135324A KR 1020210040812 A KR1020210040812 A KR 1020210040812A KR 20210040812 A KR20210040812 A KR 20210040812A KR 20220135324 A KR20220135324 A KR 2022013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auto hold
hold
lever
rel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대식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324A/ko
Publication of KR2022013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오토 홀드 해제 시, 전자식 변속기(SBW, Shift By Wire) 레버를 운전자 측으로 작동하는 것만으로 오토 홀드를 해제하여,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경우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토 홀드 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고,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조건을 만족하면 오토 홀드 상태로 제어하며,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동작중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가 작동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여,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때 발생하는 울컥거림 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Auto hold release method using shift by wire lever}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auto hold) 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 홀드 해제 시, 전자식 변속기(SBW, Shift By Wire) 레버를 운전자 측으로 작동하는 것만으로 오토 홀드를 해제하여,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경우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신호대기 또는 교통 정체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이 정지했을 때 자동으로 브레이크 압력을 유지하여,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차량이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토 홀드(Auto Hold) 기능이 있다.
도 1은 기존 차량에서 오토 홀드 기능을 구현하는 예시이다.
차량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오토 홀드 스위치를 눌러 오토 홀드 기능을 설정하면(S11),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고 클러스터에 오토 홀드 표시등을 흰색으로 점등시켜 오토 홀드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S12).
이어, 차량 주행 중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을 정지시키면 즉, 차량 속도가 0km이고, 브레이크 페달이 온(on) 상태이면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표시등을 흰색에서 녹색으로 점등시켜 오토 홀드를 위한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S13, S14).
이어, 오토 홀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가속 페달을 밟으면(S15),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를 해제하고, 클러스터에 오토 홀드 표시등을 다시 녹색에서 흰색으로 점등시켜, 운전자가 오토 홀드가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S16).
오토 홀드 기능 설정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위해 가속 페달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가속 페달이 동작하는 상황으로 부드러운 가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울컥거림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한편, 차량에서 오호 홀드 기능을 구현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하이브리드 또는 연료전지 차량의 모터 또는 하이드롤릭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 정체 및 언덕길 등에서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어도 제동력을 유지시켜준다. 오토 홀드 동작 시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오토 홀드가 해제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오토 홀드 해제 시 평지 혹은 약 경사 조건에 한해서 크립 토크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토 홀드 해제중의 차량의 울컥거림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변속 레버의 변속단이 후진단(R단)일 때 차량 후방 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제한적으로 브레이크 오토 홀드 기능을 작동시켜 프리세이프(PRE-SAFE)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SBW 차량의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오조작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R단에서의 크립 주행(즉, 후방 크립 주행) 및 후방 크립 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오토 홀드 동작 시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오토 홀드가 해제되는 방식이므로(특허문헌 1, 특허문헌 3), 오토 홀드 해제 시 울컥거림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 는 오토 홀드 해제를 위해 별도의 크립 토크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오토 홀드 해제를 위한 별도의 부가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0668(2010.12.06. 등록)(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차량의 오토홀드 구현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45249(2017.06.01. 등록)(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제어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56836(2018.05.20. 공개)(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에서 가속 페달을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 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소하고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오토 홀드 해제 시, 전자식 변속기(SBW, Shift By Wire) 레버를 운전자 측으로 작동하는 것만으로 오토 홀드를 해제하여,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경우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은,
(a) 오토 홀드 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조건을 만족하면 오토 홀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동작중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가 작동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동작중 가속 페달이 조작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동작 중 전자식 변속기 레버가 운전자 측으로 조작되면 오토 홀드 해제로 인식하고,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 홀드 해제 시, 전자식 변속기(SBW, Shift By Wire) 레버를 운전자 측으로 가볍게 작동하는 것만으로 오토 홀드를 해제하여,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경우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이 적용되는 오토 홀드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 작동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자식 변속기 레버 작동 시 전자식 변속기 위치 신호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의 오토 홀드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오토 홀드 제어장치는 오토 홀드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오토 홀드 스위치(10),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가속 페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액셀페달 센서(30), 오토 홀드 기능을 설정하거나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오토 홀드 유닛(40), 변속 정보를 제공하거나 오토 홀드 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식 변속기 레버(50), 오토 홀드 기능 설정 및 오토 홀드 해제 상태를 표시해주는 클러스터(6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오토 홀드 스위치(10)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오토 홀드 유닛(40)에서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는 단계(S101 - S102), (b) 상기 오토 홀드 유닛(40)에서 오토 홀드 조건을 만족하면 오토 홀드 상태로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03 - S104), 및 (c) 상기 오토 홀드 유닛(40)에서 오토 홀드 동작 중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50)가 작동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단계(S106 - S10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40)은 오토 홀드 동작 중 가속 페달이 조작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한다(S105, S107).
상기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40)은 오토 홀드 동작중 전자식 변속기 레버(50)가 운전자 측으로 조작되면 오토 홀드 해제로 인식하고, 오토 홀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오토 홀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차량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오토 홀드 스위치(10)를 눌러 오토 홀드 기능을 설정하면(S101), 오토 홀드 유닛(40)은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고 클러스터(60)에 오토 홀드 표시등을 흰색으로 점등시켜 오토 홀드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S102).
이어, 차량 주행 중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을 정지시키면 즉, 차량 속도가 0km이고, 브레이크 페달이 온(on) 상태이면 오토 홀드 유닛(40)은 오토 홀드 표시등을 흰색에서 녹색으로 점등시켜 오토 홀드를 위한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S103 - S104).
이어, 오토 홀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가속 페달을 밟으면(S105), 오토 홀드 유닛(40)은 기존과 같이 오토 홀드를 해제하고, 클러스터(60)에 오토 홀드 표시등을 다시 녹색에서 흰색으로 점등시켜, 운전자가 오토 홀드가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S107).
이러한 오토 홀드 해제 방식은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서, 브레이크 작동 중에서 가속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해 오토 홀드가 해제되는 방식이므로, 브레이크 작동에서 가속 페달을 밟게 되면 오토 홀드가 해제됨과 동시에 울컥거림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오토 홀드를 해제할 수도 있으며, 울컥거림 현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오토 홀드를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오토 홀드 동작 중 운전자는 오토 홀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이 마련된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를 운전자 측으로 가볍게 조작한다. 여기서 전자식 변속기 레버가 운전자 측으로 조작되는 것만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 해제 요청을 발생하는 것은, 운전자의 과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오토 홀드 작동 시 운전자가 실수로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운전자의 반대 측 즉, 조수석 측으로 가볍게 조작하거나 운전자 측이 아닌 상방 또는 하방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실수이거나, 변속기 조작 상태이므로, 이때는 오토 홀드를 해제하지 않는다.
상기 오토 홀드 유닛(40)에서 오토 홀드 동작 중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50)가 운전자 측으로 작동하면(S106), 오토 홀드 유닛(40)에는 도 4와 같은 SBW 위치 신호가 전달된다. 여기서 SBW 레버를 조수석으로 움직이거나, 변속 조작을 위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4와는 다른 SBW 위치 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토 홀드 유닛(40)은 전자식 변속기 레버(50)의 조작 방향에 따른 SBW 위치 신호가 전부 상이하므로, 이를 통해 운전자의 오토 홀드 해제 요청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오토 홀드 유닛(40)은 오토 홀드 동작중 전자식 변속기 레버(50)가 운전자 측으로 조작되면 오토 홀드 해제로 인식하고, 오토 홀드를 해제하며, 클러스터(60)에 오토 홀드 표시등을 다시 녹색에서 흰색으로 점등시켜, 운전자가 오토 홀드가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S107).
SBW 레버를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이후 사용자가 가속 페달을 밟게 되면 울컥거림 현상 없이 자연스럽게 차량이 전진을 하여, 기존과 같이 가속 페달을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할 때 발생하는 운전자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오토 홀드 스위치 20: 브레이크 페달 센서
30: 액셀페달 센서 40: 오토 홀드 유닛
50: 전자식 변속기 레버 60: 클러스터

Claims (3)

  1.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하여 오토 홀드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오토 홀드 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기능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조건을 만족하면 오토 홀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토 홀드 유닛에서 오토 홀드 동작중 전자식 변속기(SBW) 레버가 작동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동작 중 가속 페달이 조작되면,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c)단계의 오토 홀드 유닛은 오토 홀드 동작 중 전자식 변속기 레버가 운전자 측으로 조작되면 오토 홀드 해제로 인식하고, 오토 홀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KR1020210040812A 2021-03-30 2021-03-30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KR20220135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12A KR20220135324A (ko) 2021-03-30 2021-03-30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12A KR20220135324A (ko) 2021-03-30 2021-03-30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24A true KR20220135324A (ko) 2022-10-07

Family

ID=8359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812A KR20220135324A (ko) 2021-03-30 2021-03-30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32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668B1 (ko) 2008-07-08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차량의 오토홀드 구현 방법
KR101745249B1 (ko) 2016-03-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 제어 방법
KR20180056836A (ko) 2016-11-21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668B1 (ko) 2008-07-08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차량의 오토홀드 구현 방법
KR101745249B1 (ko) 2016-03-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 제어 방법
KR20180056836A (ko) 2016-11-21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094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8744701B2 (en) Method to control a motor vehicle power train
JP2006298064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US1100787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09835315B (zh) 一种汽车、驻车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902476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35957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 방법
CN112606762A (zh) 驾驶支援装置及驾驶支援方法
KR101601770B1 (ko)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KR20220135324A (ko) 전자식 변속기 레버를 이용한 오토 홀드 해제방법
JP7461982B2 (ja) 急加速抑制装置及び急加速抑制制御方法
JP3670037B2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6972955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13167181A (zh) 踏板的反作用力控制装置
CN114572006A (zh) 电子驻车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115107753B (zh) 车辆控制装置
KR100428111B1 (ko) 자동차의 급발진 오조작 방지 장치
JP453484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822813B1 (ko)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차량의 주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JP2007276625A (ja) 車両の停車保持制御解除装置
JP201712192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21095963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CN111873899A (zh) 汽车临时停车警示方法、车载设备、车辆及存储介质
JP2024070246A (ja) 支援式または自動式の走行機能を作動解除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