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00A -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00A
KR20220135300A KR1020210040742A KR20210040742A KR20220135300A KR 20220135300 A KR20220135300 A KR 20220135300A KR 1020210040742 A KR1020210040742 A KR 1020210040742A KR 20210040742 A KR20210040742 A KR 20210040742A KR 20220135300 A KR20220135300 A KR 2022013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eading
raw material
fuel cel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778B1 (ko
Inventor
임열규
최영주
조완석
이상근
김서진
Original Assignee
세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현정밀(주) filed Critical 세현정밀(주)
Priority to KR102021004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2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whereby the material is transferred into the press chamber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a ram and the press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원소재가 적재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되는 하부베드(110)와; 상기 하부베드(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하강시에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원소재를 고정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된 상부베드(135)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하부성형코어(141)가 형성된 하부성형금형(140)과;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상부성형코어(151)가 형성된 상부성형금형(15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는 상기 하부성형금형(140)이 삽입되는 하부금형삽입공(121)과, 상기 하부금형삽입공(121)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하부비딩슬롯(12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에는 상기 상부성형금형(150)이 삽입되는 상부금형삽입공(131)과, 상기 상부금형삽입공(131)이 테두리영역에 상기 하부비딩슬롯(123)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상부비딩(133)이 구비되고, 상기 원소재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하며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영역이 상기 하부비딩슬롯(123)과 상기 상부비딩(133)에 의해 가압되며 비딩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원소재가 인장된 상태로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PRESS APPARATUS FOR FUEL CELL SEPERATOR}
본 발명은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연료전지분리판을 불량없이 성형할 수 있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소차량에는 연료전지분리판이 사용된다. 연료전지분리판에는 수소, 산소, 물 등의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유동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전지분리판은 유체유동로에 대응되는 코어형상이 형성된 프레스장치를 이용해 제조된다.
도 1은 종래 프레스장치(10)를 이용한 연료전지분리판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프레스장치(10)는 연료전지분리판(20)의 유체유동로에 대응되는 하부코어(11a)가 형성된 하부금형(11)과, 상부코어(13a)가 형성된 상부금형(13a)으로 형성된다. 하부금형(11)의 상면에 원재료(20)를 적재하고, 하부금형(11)이 하강하며 가압하여 하부코어(11a)와 상부코어(13a)가 서로 맞물려 원재료(20)에 유체유로(21)가 형성되며 연료전지분리판이 가공된다.
도 2는 종래 프레스장치(1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원재료(20)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프레스장치(10)를 통해 연료전지분리판이 성형될 때, 하부코어(11a)와 상부코어(13a)가 가압되며 맞물릴 때의 가압력에 의해 원재료의 외곽영역은 내측으로 인장되고, 내부 영역은 외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유체유로(21)의 외곽 연결로(23)의 모서리영역은 주름(a)이 발생되거나 찌그러지는 불량이 발생되었다.
등록특허 제10-2019612호 "연료전지분리판의 유로형성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유로의 성형시에 모서리영역에 주름이나 찌그러짐 발생 없이 연료전지분리판을 제조할 수 있는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는, 상면에 원소재가 적재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되는 하부베드(110)와; 상기 하부베드(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하강시에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원소재를 고정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된 상부베드(135)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하부성형코어(141)가 형성된 하부성형금형(140)과;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상부성형코어(151)가 형성된 상부성형금형(15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는 상기 하부성형금형(140)이 삽입되는 하부금형삽입공(121)과, 상기 하부금형삽입공(121)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하부비딩슬롯(12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에는 상기 상부성형금형(150)이 삽입되는 상부금형삽입공(131)과, 상기 상부금형삽입공(131)이 테두리영역에 상기 하부비딩슬롯(123)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상부비딩(133)이 구비되고, 상기 원소재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하며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영역이 상기 하부비딩슬롯(123)과 상기 상부비딩(133)에 의해 가압되며 비딩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원소재가 인장된 상태로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성형금형(140)과 상기 상부성형금형(150)은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으로 하강하여 상기 비딩홈(210)을 형성한 후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 및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비딩(133)은 하부를 향해 돌출된 반구, 원뿔, 함체형상, 원뿔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비딩슬롯(123)은 상기 상부비딩(133)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원재료에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유체유로가 성형될 때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이 내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어 유체유로의 모서리영역이 주름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을 구속하는 하부외곽고정금형과 상부외곽고정금형을 포함한다.
하부외곽고정금형과 상부외곽고정금형은 각각 하부비딩슬롯과 상부비딩이 맞물리게 형성되어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을 가압하여 더 이상 내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지 않게 위치를 구속한다.
이에 의해 연료전지분리판의 전체 유체유로가 정확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스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프레스장치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원재료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하부비딩슬롯과 상부비딩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로 연료전지분리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로 성형이 완료된 원재료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는 지면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되는 하부베드(110)와, 하부베드(1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외곽고정금형(120)과,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구비된 상부베드(135)와,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성형금형(140)과, 상부외곽고정금형(130)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성형금형(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과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구비되어 연료전지분리판을 형성하는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을 고정하여 하부성형금형(140)과 상부성형금형(150)의 가압에 의해 유체유로(220)를 형성할 때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이 인장되거나 압축되며 유체유로의 성형에 간섭을 가하지 않도록 원소재(200)를 구속한다. 이에 의해 원소재(200)에 형성된 내부 유체유로(220) 뿐만 아니라 연결로(221)의 모서리영역도 찌그러지거나 주름이 생기지 않고 정확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베드(110)는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되어 상면에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은 제조되는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게 하부베드(11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베드(110)의 상부에는 상부베드(135)의 하강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스토퍼(113)가 돌출형성된다. 하부베드(110)의 하부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15)에 의해 지면에 고정결합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은 하부베드(1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원소재(200)의 외곽 위치를 구속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은 원소재(20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내부에는 하부성형금형(140)이 삽입되는 하부금형삽입공(121)이 관통형성된다.
하부금형삽입공(121)은 하부금형(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형성되어 하부금형(11)이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게 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는 하부금형삽입공(121)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하부비딩슬롯(123)이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하부비딩슬롯(123)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드(135)가 하강되고 원소재(200)의 상부를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가압할 때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상부비딩(133)이 삽입된다.
하부비딩슬롯(123)은 상부비딩(133)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부비딩(133)과, 상부비딩(133)에 의해 가압된 원소재(200)가 수용될 수 있게 함몰형성된다.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은 하부베드(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상부에 적재된 원소재(200)를 가압하여 원소재(200)의 외곽을 가압하여 하부외곽고정금형(120)과 함께 원소재(200)의 위치를 구속한다.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은 상부베드(135)의 하부에 고정결합되어 상부베드(135)의 승강에 연동하여 함께 승강된다.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은 제조될 연료전지분리판의 형상에 맞게 상부베드(135)에 교체되어 결합된다.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내부에는 상부성형금형(150)이 삽입되는 상부금형삽입공(131)이 관통형성된다.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외과고정금형(130)의 상부금형삽입공(131)의 테두리영역에는 상부비딩(133)이 구비된다. 상부비딩(133)은 상부금형삽입공(131)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부비딩(1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될 때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을 하부비딩슬롯(123)을 향해 가압하여 원소재(200)의 위치를 구속한다.
상부비딩(133)은 단면이 반원형상인 벽의 형태로 연속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복수개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원소재(200)를 가압하는 단면적이 줄어들어 원소재(200)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져 원소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력이 더 커지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상부로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하면서 상부비딩(133)이 원소재(20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하부비딩슬롯(123) 주변의 원소재(200)의 판면은 하부비딩슬롯(123)에 의해 인장되며 비딩홈(210)이 형성되고, 하부비딩슬롯(123)과 상부비딩(133) 사이에서 위치가 구속된다.
이렇게 비딩홈(210)이 형성되며 원소재(200)가 미리 인장되어 위치가 구속되므로 이후 상부금형(13) 및 하부금형(11)에 의해 원소재(200)의 내부 판면에 유체유로(220)가 성형될 때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이 내부 판면으로 인장되지 않아 유체유로(220)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하부비딩슬롯(123)과 상부비딩(133)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비딩슬롯(123)은 단면적이 반원형태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및 삼각형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비딩(133)은 하부비딩슬롯(123)으로 원소재(200)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비딩(133a)은 단면이 사각형 형태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비딩(133b)는 단면이 삼각형인 원뿔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돌기 형태로 형성되 수 있다.
하부성형금형(140)은 하부베드(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하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하부금형삽입공(121)으로 삽입된다. 상부성형금형(150)은 상부베드(135)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하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상부금형삽입공(131)으로 삽입된다.
하부성형금형(140)에는 하부성형금형구동부(143)가 결합되고, 상부성형금형(150)에는 상부성형금형구동부(153)가 결합된다. 하부성형금형구동부(143)와 상부성형금형구동부(153)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성형금형(140)과 상부성형금형(15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원소재(200)에 유체유로(220)를 형성할 수 있는 하부성형코어(141) 및 상부성형코어(151)가 구비된다. 하부성형코어(141)와 상부성형코어(15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성형코어(141)와 상부성형코어(151)는 원소재(200)에 유체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하부외곽고정금형(120)과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하부비딩슬롯(123)과 상부비딩(133)은 원소재(200)에서 연료전지분리판의 성형이 완료된 후 절개되는 테두리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하부비딩슬롯(123)과 상부비딩(133)은 연료전지분리판의 성형에 간섭을 주지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를 이용한 연료전지분리판 제조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100)가 준비된다. 하부베드(110)에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되고, 상부베드(135)에는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형성된다.
하부베드(110)의 하부에는 하부성형금형(140)이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베드(135)의 상부에는 상부성형금형(150)이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성형금형(140)과 상부성형금형(150)은 초기위치에서 하부외곽고정금형(120)과 상부외곽고정금형(130)과 이격되게 위치되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경우에 따라 하부성형금형(140)은 상부금형삽입공(1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고, 하부성형금형(140)은 하부금형삽입공(1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상면에 원소재(200)를 적재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드구동부(137)를 동작시켜 상부베드(135)를 하강시켜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원소재(200)의 상면에 위치되게 한다.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되며 상부비딩(133)이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을 하부비딩슬롯(123)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의해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이 압입되며 인장되어 비딩홈(210)이 형성되며 하부비딩슬롯(123)과 상부비딩(133) 사이에 원소재(200)의 위치가 구속된다.
원소재(200)의 위치가 구속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성형금형(140)이 상승되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의 하부금형삽입공(121)으로 삽입되어 원소재(200)의 하부를 가압하고, 상부성형금형(150)이 하강되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상부금형삽입공(131)으로 삽입되어 원소재(200)의 상부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원소재(200)의 표면에는 유체유로(220)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비딩(133)과 하부비딩슬롯(123) 사이에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이 압입되어 구속되어 있으므로 더이상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이 내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지 않아 상부성형코어(151)와 하부성형코어(141)의 형상에 대응되게 유체유로(220)가 정확히 성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분리판 제조 프레스장치(10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원소재(200)의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소재(200)의 내부에는 유체유로(220)가 성형되고, 원소재(200)의 테두리영역에는 비딩홈(210)이 함몰형성된다.
이 때, 유체유로(220)의 테두리영역의 연결로(221)의 모서리영역은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지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정확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원재료에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유체유로가 성형될 때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이 내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어 유체유로의 모서리영역이 주름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을 구속하는 하부외곽고정금형과 상부외곽고정금형을 포함한다.
하부외곽고정금형과 상부외곽고정금형은 각각 하부비딩슬롯과 상부비딩이 맞물리게 형성되어 원재료의 테두리영역을 가압하여 더 이상 내측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되지 않게 위치를 구속한다.
이에 의해 연료전지분리판의 전체 유체유로가 정확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110 : 하부베드
113 : 스토퍼 115 : 지지레그
120 : 하부외곽고정금형 121 : 하부금형삽입공
123 : 하부비딩슬롯 130 : 상부외곽고정금형
131 : 상부금형삽입공 133 : 상부비딩
135 : 상부베드 137 : 상부베드구동부
140 : 하부성형금형 141 : 하부성형코어
143 : 하부성형금형구동부 150 : 상부성형금형
151 : 상부성형코어 153 : 상부성형금형구동부
200 : 원소재 210 : 비딩홈
220 : 유체유로
221 : 연결로

Claims (3)

  1.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원소재가 적재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되는 하부베드(110)와;
    상기 하부베드(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하강시에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원소재를 고정하는 하부외곽고정금형(120)이 결합된 상부베드(135)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하부성형코어(141)가 형성된 하부성형금형(140)과;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료전지분리판에 대응되는 상부성형코어(151)가 형성된 상부성형금형(15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는 상기 하부성형금형(140)이 삽입되는 하부금형삽입공(121)과, 상기 하부금형삽입공(121)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하부비딩슬롯(12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에는 상기 상부성형금형(150)이 삽입되는 상부금형삽입공(131)과, 상기 상부금형삽입공(131)이 테두리영역에 상기 하부비딩슬롯(123)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상부비딩(133)이 구비되고,
    상기 원소재가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하강하며 상기 원소재의 테두리영역이 상기 하부비딩슬롯(123)과 상기 상부비딩(133)에 의해 가압되며 비딩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원소재가 인장된 상태로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금형(140)과 상기 상부성형금형(150)은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이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으로 하강하여 상기 비딩홈(210)을 형성한 후 상기 상부외곽고정금형(130) 및 상기 하부외곽고정금형(120) 내부로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비딩(133)은 하부를 향해 돌출된 반구, 원뿔, 함체형상, 원뿔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비딩슬롯(123)은 상기 상부비딩(133)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KR1020210040742A 2021-03-29 2021-03-29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KR10253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42A KR102535778B1 (ko) 2021-03-29 2021-03-29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42A KR102535778B1 (ko) 2021-03-29 2021-03-29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00A true KR20220135300A (ko) 2022-10-07
KR102535778B1 KR102535778B1 (ko) 2023-05-30

Family

ID=8359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42A KR102535778B1 (ko) 2021-03-29 2021-03-29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4443A (ja) * 2004-10-18 2006-04-27 Nissan Motor Co Ltd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セパレータ製造装置
KR101261285B1 (ko) * 2012-11-23 2013-05-07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 방법
KR101321125B1 (ko) * 2012-05-08 2013-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채널을 가진 대면적 초박막 금속분리판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612B1 (ko) 2018-12-12 2019-09-10 (주)제이 앤 엘 테크 연료전지분리판의 유로형성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4443A (ja) * 2004-10-18 2006-04-27 Nissan Motor Co Ltd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セパレータ製造装置
KR101321125B1 (ko) * 2012-05-08 2013-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채널을 가진 대면적 초박막 금속분리판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1285B1 (ko) * 2012-11-23 2013-05-07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 방법
KR102019612B1 (ko) 2018-12-12 2019-09-10 (주)제이 앤 엘 테크 연료전지분리판의 유로형성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778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7083B1 (ja) パウチ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それを含む二次電池の製造設備
KR20220135300A (ko) 연료전지분리판 제조용 프레스장치
KR20110037164A (ko) 드로잉 금형장치
KR20090008994U (ko) 용기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CN113891839B (zh) 罩部件、罩部件的制造方法以及用于罩部件的制造的二次加工用模具
CN1039289C (zh) 用于在薄钢板上形成被管状凸缘所环绕的圆形开口的设备
KR102598801B1 (ko) 워크 서포터
JP2008183670A (ja) 孔開け装置
CN206854482U (zh) 一种自动底框、盖框专用液压设备
JPH08215790A (ja) 中子成形用型の上型押出構造
JP2009291830A (ja) 粉末成形装置
KR102393480B1 (ko) 스크랩 배출장치
JP3160256B2 (ja) キャリアテープ製造装置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KR101627721B1 (ko) 연료전지 스택 분리판의 테스트 기기를 위한 분리판 분리 장치
KR102029199B1 (ko) 드로잉 금형장치
KR102263972B1 (ko)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
JPH0357524A (ja) 抜型装置
CN215496355U (zh) 一种变压器骨架插针拆除装置
KR101982613B1 (ko) 필터의 주름 제조장치
JPS62282731A (ja) 絞り成形型装置
KR20180115380A (ko) 초고강도강 스틸 휠디스크 볼트홀 가공장치
KR20170085302A (ko) 일체형 부품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2006212681A (ja) 乾式冷間等方圧加圧装置及び処理体の排出方法
KR970004747Y1 (ko) 지관보관용 금속링의 성형장치
JPS63144013A (ja) シ−ルリング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