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16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163A
KR20220135163A KR1020220026554A KR20220026554A KR20220135163A KR 20220135163 A KR20220135163 A KR 20220135163A KR 1020220026554 A KR1020220026554 A KR 1020220026554A KR 20220026554 A KR20220026554 A KR 20220026554A KR 20220135163 A KR20220135163 A KR 2022013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housing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마 엔도
히로유키 사도하라
타카히로 칸다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Abstract

(과제)
동축케이블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기 커넥터(1)는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되는 컨택트 핀(4)과, 컨택트 핀(4)을 내부에서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5)과, 하우징(5)을 덮는 통형상의 아우터 컨택트(6)와, 아우터 컨택트(6)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기 위한 압착 부재(8)를 포함한다.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는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압착 부재(8)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6)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축케이블과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케이블을 통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의 전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의 향상에 따라, 케이블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대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송신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통하여 고주파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어, 케이블의 신호 전송 특성,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케이블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니즈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니즈에 대해, 고주파 대역에서의 높은 신호 전송 특성을 가지는 동축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심선과, 심선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내측 절연체층과, 내측 절연체층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부 도체층(편조층)과, 외부 도체층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측 절연체층(시스)이 동심으로 배치된 동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과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택트 핀과, 컨택트 핀을 덮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하우징을 덮고 또한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아우터 컨택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축케이블(500)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되는 전기 커넥터의 아우터 컨택트(6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500)은 심선(내부 도체)(510)과, 심선(510)을 덮는 내측 절연체층(520)과, 내측 절연체층(520)을 덮는 외부 도체층(편조층)(530)과, 외부 도체층(530)을 덮는 외측 절연체층(540)을 갖추고 있다.
또 아우터 컨택트(600)는 통형상부(610)와, 제1 압착부(620)와, 제2 압착부(630)를 갖추고 있다. 제1 압착부(620)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의 외주면 상에 압착되는 부분이다. 한편, 제2 압착부(630)는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의 외주면 상에 압착되는 부분이다. 압착 펜치 등의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제1 압착부(620)를 압착하고, 또한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에 제2 압착부(630)를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600)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으로의 제1 압착부(620)의 압착 시에 동축케이블(500)에 대하여 강한 압력이 인가되어, 이 압력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이 찌부러져 변형되어버린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의 변형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신호 전송 특성,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신호 전송 특성이 악화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표 2017-53415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축케이블에 대한 아우터 컨택트의 압착시에 동축케이블에 인가되는 압력에 기인하는 동축케이블의 심선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이하의 (1)~(7)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심선과, 상기 심선을 덮는 내측 절연체층과, 상기 내측 절연체층을 덮는 외부 도체층과, 상기 외부 도체층을 덮는 외측 절연체층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심선에 접속되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을 내부에서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통형상의 아우터 컨택트와,
상기 아우터 컨택트를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하기 위한 압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기단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측 절연체층과 상기 외부 도체층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압착 부재를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상기 기단부 상에 위치하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아우터 컨택트가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어 있고,
상기 압착 부재와 상기 아우터 컨택트 사이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이 협지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아우터 컨택트가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3)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는 제1 압착부를 갖추고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4)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1 압착부는,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을 둘러싸도록 닫힌 한 쌍의 판형상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타방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타방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5)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절연체층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6)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측 절연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성의 링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7) 상기 절연성의 하우징은 통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절연성의 하우징 및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아우터 컨택트 내에 있어서 동심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아우터 컨택트의 기단부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층에 대해 압착 부재를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가 동축케이블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층에 대한 압착 부재의 압착시에 인가되는 압력이 동축케이블의 심선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결과, 동축케이블에 대한 압착 부재의 압착시의 압력에 기인하는 동축케이블의 심선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아우터 컨택트 및 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전기 커넥터가 접속된 동축케이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대측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가 탑재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동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컨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컨택트 핀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하우징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내로의 컨택트 핀의 압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아우터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아우터 컨택트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아우터 컨택트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아우터 컨택트 내에 하우징 및 링 부재를 수납한 상태의 아우터 컨택트, 하우징 및 링 부재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압착 부재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압착 부재에 의한, 동축케이블로의 아우터 컨택트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커넥터 어셈블리가 동축케이블에 부착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 및 동축케이블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케이스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커넥터 어셈블리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을 케이스 내에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로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전기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에 연결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우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 중에 나타내는 B-B선으로부터 선단측의 케이스를 생략한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저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에 부착된 동축케이블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참조하는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준비된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 요소의 치수(길이, 폭, 두께 등)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도면의 Z축의 정방향을 「선단측」 또는 「전측」이라고 하고, Z축의 부방향을 「기단측」 또는 「후측」이라고 하며, Y축의 정방향을 「상측」이라고 하고, Y축의 부방향을 「하측」이라고 하며, X축의 정방향을 「앞측」이라고 하고, X축의 부방향을 「안측」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 또 Z 방향을 「전기 커넥터의 삽입발출 방향」이라고 하고, Y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하며, X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
<제1 실시형태>
가장 먼저, 도 2~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전기 커넥터가 접속된 동축케이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대측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가 탑재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동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컨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컨택트 핀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하우징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내로의 컨택트 핀의 압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아우터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아우터 컨택트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아우터 컨택트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아우터 컨택트 내에 하우징 및 링 부재를 수납한 상태의 아우터 컨택트, 하우징 및 링 부재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압착 부재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압착 부재에 의한, 동축케이블로의 아우터 컨택트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커넥터 어셈블리가 동축케이블에 부착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 및 동축케이블의 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케이스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커넥터 어셈블리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을 케이스 내에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로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전기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에 연결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는 임의의 디바이스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100) 상에 탑재되는 상대측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200)에 대해 삽입되어, 상대측 커넥터(200)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4개의 동축케이블(500)의 일단부에 부착된 전기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200) 내에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전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200)를 통하여 4개의 동축케이블(500)과 회로 기판(10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제공된다.
동축케이블(500)은 심선(내부 도체층)(510)과, 심선(510)을 덮는 내측 절연체층(520)과, 내측 절연체층(520)을 덮는 외부 도체층(편조층)(530)과, 외부 도체층(530)을 덮는 외측 절연체층(540)이 동심으로 배치된 동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외부 도체층(530)은 구리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가는 소선을 그물눈으로 짜넣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도체층(530)을 구성하는 소선을 푸는 것에 의해, 외부 도체층(530)을 열어 내측 절연체층(520)을 노출시킬 수 있고, 또한 열린 소선을 스트레이트로 되돌림으로써, 외부 도체층(530)으로 내측 절연체층(520)을 다시 덮을 수도 있다. 외부 도체층(53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며, 짜넣은 소선의 층을 덮는 도전성 박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 중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동축케이블(500)의 타단부는 회로 기판(100)을 갖추는 디바이스와는 별개의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동축케이블(500)을 통하여 회로 기판(100)을 갖추는 디바이스와 별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전형적으로는 회로 기판(100)을 갖추는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며, 동축케이블(500)의 타단부가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는 카 내비게이션, 카 오디오, 차재 카메라, 차재 GPS, 차재 TV, 차재 라디오 등의 차재 디바이스이다.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연결시킴으로써, 4개의 동축케이블(500)을 통한 차재 디바이스와 ECU 사이의 고속 신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전기 커넥터(1)는 1개의 동축케이블(500)과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1핀 커넥터여도 되고, 복수의 동축케이블(500)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는 멀티 핀 커넥터여도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4개의 동축케이블(500)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는 4핀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을 제공한다.
도 2~도 5,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4개의 동축케이블(500)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4개의 커넥터 어셈블리(10)와, 4개의 커넥터 어셈블리(10)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2)와, 커버(2) 내에 있어서 4개의 커넥터 어셈블리(10)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부재(3)를 포함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동축케이블(500)의 단부에 부착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4개의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대표하여 1개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되는 컨택트 핀(4)과, 컨택트 핀(4)을 내부에서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5)과, 하우징(5)을 덮는 통형상의 아우터 컨택트(6)와,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링 부재(7)와, 아우터 컨택트(6)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기 위한 압착 부재(8)를 갖추고 있다.
컨택트 핀(4)은 동합금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되는 통형상 부재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핀(4)은 압착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을 내부에서 유지하는 유지부(41)와, 유지부(41)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통형상부(42)와, 통형상부(42)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도 2 참조)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43)를 갖추고 있다.
유지부(41)는 바닥판(411)과 바닥판(411)으로부터 상방(+Y 방향)을 향하여 연신되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을 바닥판(411) 상에 압압하는 한 쌍의 벽부(412)를 갖추고 있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한 쌍의 벽부(412)가 그 선단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지만, 컨택트 핀(4)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한 쌍의 벽부(412)는 바닥판(4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신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다. 컨택트 핀(4)의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으로의 접속은 이하와 같은 순서로 실행된다. 가장 먼저, 바닥판(411) 상에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이 재치된다. 이어서 압착 펜치 등의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바닥판(4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한 쌍의 벽부(412)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절곡시키고,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촉시켜,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을 바닥판(411) 상에 누르는 코킹 가공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순서에 의해, 유지부(41) 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이 강고하게 유지되고, 컨택트 핀(4)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된다.
통형상부(42)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을 받기 위한 부분이다. 통형상부(42)는 유지부(41)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42)는 통형상부(42)의 기단부 및 선단부의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통형상부(42)의 직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3개의 리브(421)와, 통형상부(42)로부터 외측(X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스프링부(422)와, 통형상부(42)의 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를 갖추고 있다.
3개의 리브(421)는 통형상부(42)의 기단부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리브(421)가 통형상부(42)의 선단부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421)는 컨택트 핀(4)을 하우징(5) 내에 압입했을 때, 하우징(5)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컨택트 핀(4)과 하우징(5)의 동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컨택트 핀(4)과 하우징(5)의 동축성을 확보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통형상부(42)의 기단부 및 선단부의 각각의 외주면 상에 3개의 리브(421)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통형상부(42)의 기단부 및 선단부의 각각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리브(42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상의 리브(421)가 통형상부(42)의 기단부 및 선단부의 각각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어도 3개의 리브(421)를 통형상부(42)의 기단부 및 선단부의 각각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컨택트 핀(4)과 하우징(5)의 동축성의 확보의 효과, 및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덜컹거림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부(422)는 컨택트 핀(4)을 하우징(5) 내에 압입했을 때, 하우징(5)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클릭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하우징(5)으로부터의 컨택트 핀(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각각은 높이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점증되는 테이퍼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각각은 내측을 향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 내에 컨택트 핀(4)을 압입하면, 한 쌍의 스프링부(422)는 자신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서서히 탄성변형된다. 그 후,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후술하는 하우징(5)의 걸어맞춤 구멍(55)(도 9 및 도 10 참조)에 도달하면, 외측으로 탄성복원되고, 하우징(5)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걸어맞춰진다.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하우징(5)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걸어맞춰질 때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탄성복원에 의해 클릭감이 제공된다. 또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하우징(5)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걸어맞춰지므로, 하우징(5)으로부터의 컨택트 핀(4)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는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는 통형상부(42)의 기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신되어,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하우징(5)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되면,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가 후술하는 하우징(5)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내측 테이퍼면(523)(도 10 참조)과 맞닿아, 하우징(5)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가이드부(43)는 통형상부(42) 내로의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가이드부(43)는 통형상부(42)의 선단면으로부터, 서로 이간된 상태에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3개의 판형상부(431)와, 3개의 판형상부(431)의 각각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부(432)를 갖추고 있다.
3개의 판형상부(431)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하, 대표하여 1개의 판형상부(431)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판형상부(431)는 통형상부(42)의 선단면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판형상부(431)의 기단부는 통형상부(42)의 선단면에 일체화되어 있고, 판형상부(431)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또 판형상부(431)의 기단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은 통형상부(42)의 외주면 및 내주면과 연속되어 있다. 테이퍼부(432)는 판형상부(431)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432)의 내측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이 테이퍼부(432)의 내측면 및 판형상부(431)의 내측면 상을 슬라이드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의 통형상부(42)로의 삽입이 가이드된다. 또 3개의 판형상부(431)는 통형상부(42)의 선단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판형상부(431)의 수는 3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4개 이상의 판형상부(431)가 통형상부(42)의 선단면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같은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컨택트 핀(4)은 하우징(5) 내에 압입되어, 하우징(5)에 의해 유지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 하우징(5)은 수지 재료 등의 탄성을 가지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 부재이며, 컨택트 핀(4)을 내부에 있어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5)은 기단부(51)와, 기단부(51)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위치 결정부(52)와, 위치 결정부(52)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소외경부(53)와, 소외경부(53)의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부(54)와, 위치 결정부(52)와 소외경부(53)를 걸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과, 하우징(5)을 전기 커넥터(1)의 삽입발출 방향(Z 방향)으로 삽입통과하도록 형성된 삽입통과구멍(56)을 갖추고 있다. 또 기단부(51), 위치 결정부(52), 소외경부(53) 및 가이드부(54)는 모두 통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51)는 하우징(5)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통형상 부분이다. 기단부(51)는 자신의 외주면 상에 Z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된 4개의 리브(511)와, 자신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테이퍼면(512)을 가진다. 4개의 리브(511)는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4개의 리브(511)는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리브(511)는 하우징(5)을 아우터 컨택트(6) 내에 압입했을 때, 아우터 컨택트(6)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5)과 아우터 컨택트(6)의 동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아우터 컨택트(6) 내에서의 하우징(5)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우징(5)과 아우터 컨택트(6)의 동축성을 확보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4개의 리브(511)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리브(51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5개 이상의 리브(511)가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어도 3개의 리브(511)를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우징(5)과 아우터 컨택트(6)의 동축성의 확보의 효과, 및 아우터 컨택트(6) 내에서의 하우징(5)의 덜컹거림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테이퍼면(512)은 기단부(51)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512)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 기단부(51)의 내경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점증되고 있다.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시, 컨택트 핀(4)의 가이드부(43)의 테이퍼부(432)가 테이퍼면(512) 상을 슬라이드함으로써,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가이드된다.
위치 결정부(52)는 아우터 컨택트(6) 내에서의 하우징(5)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52)는 기단부(51)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통형상부이다. 위치 결정부(52)는 자신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선단 테이퍼면(521a)과 기단 테이퍼면(521b)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면(522)과, 자신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내측 테이퍼면(523)을 갖추고 있다.
선단 테이퍼면(521a)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감되도록 위치 결정부(52)의 선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기단 테이퍼면(521b)은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증되도록 위치 결정부(52)의 기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522)은 선단 테이퍼면(521a)과 기단 테이퍼면(521b) 사이에 위치하고, Z 방향으로 연신되는 평탄면이다. 위치 결정부(52) 상에 형성된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평탄면(522)에 의해, 후술하는 아우터 컨택트(6)의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도 12 참조)를 받기 위한 오목부가 규정된다. 하우징(5)을 아우터 컨택트(6) 내에 압입한 후, 아우터 컨택트(6)의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하우징(5)의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평탄면(522)과 걸어맞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아우터 컨택트(6) 내에서의 하우징(5)의 위치 결정을 실행함과 아울러, 아우터 컨택트(6) 내로부터의 하우징(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단 테이퍼면(521a) 및 기단 테이퍼면(521b)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52)의 외경은 기단부(51)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우터 컨택트(6) 내에 하우징(5)을 압입했을 때, 선단 테이퍼면(521a) 및 기단 테이퍼면(521b)의 꼭대기부가 아우터 컨택트(6)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내측 테이퍼면(523)은 위치 결정부(52)의 기단부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테이퍼면(523)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52)의 내경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점증되고 있다.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컨택트 핀(4)을 압입할 때, 컨택트 핀(4)의 가이드부(43)의 테이퍼부(432)가 내측 테이퍼면(523) 상을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가이드된다. 또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되면, 상기 서술한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가 내측 테이퍼면(523)에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규제되고,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소외경부(53)는 위치 결정부(52)의 선단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도록 형성된 통형상부이다. 소외경부(53)는 자신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직경확대부(531)를 갖추고 있다. 직경확대부(531)는 소외경부(53)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링형상 부분이다. 소외경부(53) 및 직경확대부(531)의 외경은 기단부(51), 위치 결정부(52) 및 가이드부(54)의 외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5)을 아우터 컨택트(6) 내에 압입했을 때, 소외경부(53) 및 직경확대부(531)는 아우터 컨택트(6)와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그 때문에 소외경부(53) 및 직경확대부(531)의 외주면과 아우터 컨택트(6)의 내주면 사이에 공기의 층이 존재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 및 아우터 컨택트(6) 내에 유지되는 컨택트 핀(4)의 신호 전송 특성은 컨택트 핀(4)의 직경, 및 하우징(5) 및 아우터 컨택트(6)의 외경 및 두께에 의존한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200)의 컨택트 핀(220) 및 아우터 컨택트(230)의 직경은 공업 규격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대측 커넥터(200)의 컨택트 핀(220)에 접속되는 컨택트 핀(4)의 직경, 및 상대측 커넥터(200)의 아우터 컨택트(230)에 접속되는 아우터 컨택트(6)의 외경 및 두께의 설계 자유도는 매우 적다. 한편, 공업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컨택트 핀(220)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컨택트 핀(4)의 직경에 대해, 하우징(5)의 두께가 지나치게 커서, 컨택트 핀(4)의 신호 전송 특성,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신호 전송 특성이 악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하우징(5)이 소외경부(53)를 갖추고 있어, 소외경부(53)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비교하여 얇다. 이와 같은 소외경부(53)를 하우징(5)에 설치함으로써, 컨택트 핀(4)의 신호 전송 특성,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부(54)는 소외경부(53)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된 통형상부이다. 가이드부(54)는 자신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외측 테이퍼면(541)과, 자신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내측 테이퍼면(542)을 갖추고 있다. 외측 테이퍼면(541)은 가이드부(54)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증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테이퍼면(541)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가이드부(54)의 외경은 기단부(51)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우터 컨택트(6) 내에 하우징(5)을 압입했을 때, 외측 테이퍼면(541)의 꼭대기부가 아우터 컨택트(6)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내측 테이퍼면(542)은 가이드부(54)의 내주면 상에 있어서,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삽입통과구멍(56)의 직경이 점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의 각각은 동축선 상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52)와 소외경부(53)를 걸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은 하우징(5)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도록 폭 방향(X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컨택트 핀(4)을 압입하면,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하우징(5)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컨택트 핀(4)의 하우징(5)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하우징(5)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을 설명한다. 도 11A는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의 개시 단계에 있어서의 컨택트 핀(4) 및 하우징(5)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의 도중 단계에 있어서의 컨택트 핀(4) 및 하우징(5)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의 완료 단계에 있어서의 컨택트 핀(4) 및 하우징(5)의 X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이 컨택트 핀(4)의 유지부(41) 내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단측으로부터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컨택트 핀(4)이 삽입된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핀(4)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압입됨에 따라,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핀(4)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더욱 압입되면,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하우징(5)의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에 도달하고, 외측으로 탄성복원된다.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가 외측으로 탄성복원되면,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기단부가 하우징(5)의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각각 걸어맞춰진다.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기단부가 하우징(5)의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각각 걸어맞춰지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된다.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외측으로의 탄성변형에 의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기단부가 하우징(5)의 한 쌍의 걸어맞춤 구멍(55)과 걸어맞춰지므로, 하우징(5) 내로부터의 컨택트 핀(4)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423)가 하우징(5)의 위치 결정부(52)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내측 테이퍼면(523)과 맞닿아, 하우징(5)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5) 내에서의 컨택트 핀(4)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아우터 컨택트(6)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통형상 부재이며, 하우징(5)을 덮는 외부 도체층으로서 기능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컨택트(6)는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위치하는 기단부(61)와, 기단부(61)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하우징 수납부(62)와, 하우징 수납부(62)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선단부(63)를 갖추고 있다. 기단부(61), 하우징 수납부(62) 및 선단부(63)는 모두 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61)는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부착되는 통형상 부분이다. 기단부(6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대하여 압착 부재(8)가 압착된다.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대하여 압착 부재(8)가 압착되면, 기단부(61)의 외주면과 압착 부재(8)의 내주면 사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이 협지되고, 아우터 컨택트(6)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다. 기단부(61)는 통형상의 본체부(611)와,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4개의 맞물림 리브(612)와, 본체부(611)와 하우징 수납부(62)를 접속하는 테이퍼부(613)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611)는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부착되는 통형상 부분이다. 또 본체부(611)는 내부에 있어서 링 부재(7)를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4개의 맞물림 리브(612)의 각각은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 본체부(611)의 원주 방향으로 연신되는 볼록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맞물림 리브(612)의 각각은 본체부(611)의 외주면의 상측(+Y 방향) 부분을 제외하고, 본체부(6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맞물림 리브(612)는 후술하는 압착 부재(8)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814)(도 17 참조)와 맞물려, 본체부(611)의 외주면과 압착 부재(8)의 내주면 사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에 대한 아우터 컨택트(6)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켜, 동축케이블(500)로부터의 아우터 컨택트(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퍼부(613)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내경 및 외경이 점증되도록 경사져, 기단부(61)의 본체부(611)와 하우징 수납부(62)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맞물림 리브(612)의 수는 4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1개의 맞물림 리브(612)가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압착 부재(8)의 대응하는 맞물림 오목부(814)와 맞물리면, 본체부(611)의 외주면과 압착 부재(8)의 내주면 사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 수납부(62)는 기단부(61)의 테이퍼부(613)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통형상 부분이다. 하우징 수납부(62)는 그 내부에 있어서 하우징(5)을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 수납부(62)는 통형상의 본체부(621)와,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4개의 걸어맞춤부(622)와, 하우징 수납부(62) 내에 있어서 하우징(5)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와, 하우징 수납부(62)의 선단부에 형성된 4개의 스프링부(624)와, 4개의 스프링부(624)의 선단부 상에 형성되어, 상대측 커넥터(200)의 아우터 컨택트(230)와 접촉하는 접촉부(625)와, 하우징 수납부(62)와 선단부(63)를 접속하는 테이퍼부(626)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621)는 하우징(5)을 덮는 통형상 부분이다. 본체부(621)의 외경 및 내경은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외경 및 내경보다 작다. 4개의 걸어맞춤부(622)는 본체부(6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테이퍼 부분이다. 4개의 걸어맞춤부(622)는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걸어맞춤부(622)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대표하여 1개의 걸어맞춤부(62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걸어맞춤부(622)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증되는 테이퍼형상의 선단면과, 본체부(621)의 연신 방향(Z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탄한 기단면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622)는 후술하는 커버(2)의 걸어맞춤부(212)와 걸어맞춰져(도 19 및 도 20 참조), 커버(2)로부터의 아우터 컨택트(6)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아우터 컨택트(6)의 외주면 상에 커버(2)의 걸어맞춤부(212)와 걸어맞춰져, 커버(2)로부터의 아우터 컨택트(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4개의 걸어맞춤부(6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본체부(6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4개의 걸어맞춤부(622)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체부(6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걸어맞춤부(622)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5개 이상의 걸어맞춤부(622)가 본체부(6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어도 3개의 걸어맞춤부(622)를 본체부(6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2)로부터의 아우터 컨택트(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부터 아우터 컨택트(6)의 외주면 상에 링형상의 걸어맞춤 부재를 부착하고, 이 걸어맞춤 부재와 커버(2)의 걸어맞춤에 의해, 아우터 컨택트(6)의 커버(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4개의 걸어맞춤부(622)가 본체부(621)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1)의 부품점수 및 조립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는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우징(5)의 위치 결정부(52)와 걸어맞춰져, 하우징 수납부(62) 내에 있어서 하우징(5)을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의 각각은 본체부(621)의 외주면의 일부를 오려내는 것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 부분이다.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의 각각의 일방의 단부는 본체부(621)의 외주면과 일체화된 고정단이며, 타방의 단부는 자유단이다. 하우징(5)이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1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를 내측으로 절곡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해,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의 타방의 단부가 하우징(5)의 위치 결정부(52)의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평탄면(522)과 걸어맞춰져(도 15 참조),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11) 내에 있어서 하우징(5)을 고정시킬 수 있다.
4개의 스프링부(624)의 각각은 본체부(621)의 외주면의 일부를 오려내는 것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 부분이다. 또 4개의 스프링부(624)는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스프링부(624)는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스프링부(624)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대표하여 1개의 스프링부(624)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스프링부(624)는 본체부(621)와 일체화되고, 고정단으로서 기능하는 일방의 단부와, 자유단으로서 기능하는 타방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또 스프링부(624)의 타방의 단부는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접촉부(625)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촉부(625)는 4개의 스프링부(624)의 각각의 타방의 단부(자유단)의 외주면 상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4개의 접촉부(625)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와 접촉한다. 또 이 때, 4개의 스프링부(624)가 하방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태양에서는, 4개의 스프링부(624)는 모두 고정단이 기단측에 위치하고, 자유단이 선단측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스프링부(624)의 방향이 서로 어긋나도록, 4개의 스프링부(624)가 본체부(621)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고정단이 기단측에 위치하고, 자유단이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스프링부(624)와, 자유단이 기단측에 위치하고, 고정단이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스프링부(624)가 본체부(6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번갈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본체부(621)의 4개의 스프링부(624)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와, 아우터 컨택트(6)와의 접촉 영역이 증가되어,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와 접촉하는 접촉부(625)의 위치가 전기 커넥터(1)의 삽입발출 방향(Z 방향)에 있어서 분산되므로,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도 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4개의 스프링부(624)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스프링부(624)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5개 이상의 스프링부(624)가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어도 3개의 스프링부(624)를 본체부(621)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테이퍼부(626)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내경 및 외경이 점증되도록 경사지고,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와 선단부(63)를 접속하고 있다. 테이퍼부(626)는 아우터 컨택트(6)를 커버(2) 내에 압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또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연결시킬 때,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가 테이퍼부(626) 상을 슬라이드하므로, 테이퍼부(626)는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연결시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선단부(63)는 하우징 수납부(62)의 테이퍼부(626)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통형상 부분이다. 선단부(63)의 외경 및 내경은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의 외경 및 내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연결시켰을 때, 선단부(63)는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보다 상대측 커넥터(200)의 컨택트 핀(220)에 접근한다. 그 때문에 선단부(63)와 대향하는 개소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200)의 컨택트 핀(220)과, 그라운드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아우터 컨택트(6)와의 이간 거리가 작게 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었을 때의 신호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 링 부재(7)는 경질의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링형상 부재이다. 링 부재(7)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 내에 수납된다. 링 부재(7)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대하여 압착 부재(8)가 압착될 때,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여, 아우터 컨택트(6)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링 부재(7)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대한 압착 부재(8)의 압착시의 아우터 컨택트(6)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링 부재(7)는 자신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4개의 돌출편(71)을 갖추고 있다. 4개의 돌출편(71)은 링 부재(7)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돌출편(71)의 각각은 링 부재(7)의 외주면과 일체화된 고정단인 선단부와, 링 부재(7)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기단부를 가지는 판형상 부재이다. 링 부재(7)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내에 수납했을 때, 4개의 돌출편(71)의 기단부가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내주면과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내에 있어서 링 부재(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링 부재(7)의 외주면 상에 4개의 돌출편(71)이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링 부재(7)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편(7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돌출편(71)이 링 부재(7)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적어도 3개의 돌출편(71)을 링 부재(7)의 외주면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내에 있어서 링 부재(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동축케이블(500)에 아우터 컨택트(6)를 부착했을 때,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이 링 부재(7)의 내측에서 유지된다(도 18 참조). 그 때문에 링 부재(7)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동축케이블(500)에 아우터 컨택트(6)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아우터 컨택트(6) 내에 하우징(5) 및 링 부재(7)를 수납한 상태의 아우터 컨택트(6), 하우징(5) 및 링 부재(7)의 YZ 평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5) 및 링 부재(7)는 아우터 컨택트(6)와 동심이 되도록 아우터 컨택트(6) 내에 수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5)은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링 부재(7)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이 때, 하우징(5)의 기단부(5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4개의 리브(511)가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아우터 컨택트(6)와 하우징(5)의 동축성이 확보되고, 또한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 내에서의 하우징(5)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 아우터 컨택트(6)와 하우징(5)의 동축성을 확보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고정부(623)가 하우징(5)의 위치 결정부(52)의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평탄면(522)과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11) 내에 있어서 하우징(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링 부재(7)의 4개의 돌출편(71)의 기단부가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내에 있어서 링 부재(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압착 부재(8)는 아우터 컨택트(6)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압착 부재(8)는 아우터 컨택트(6)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압착 부재(8)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둘러싸도록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되는 제1 압착부(81)와,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을 둘러싸도록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82)와, 제1 압착부(81)와 제2 압착부(82)를 접속하는 접속부(83)를 가지고 있다.
제1 압착부(81)는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된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와, 판형상부(811a)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판형상부(811b)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813)와,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4개의 맞물림 오목부(814)(도 17 참조)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는 코킹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둘러싸도록 닫히는 부분이다.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를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둘러싸도록 코킹하고, 제1 압착부(81)를 통형상으로 했을 때, 판형상부(811a)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판형상부(811b)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813)가 걸어맞춰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812)는 판형상부(811a)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폭이 점증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걸어맞춤 볼록부(813)는 걸어맞춤 오목부(812)의 형상에 대응하여, 판형상부(811b)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폭이 점감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를 열도록 하는 외력이 제1 압착부(81)에 인가되었다고 해도,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걸어맞춤 볼록부(813)의 걸어맞춤에 의해,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걸어맞춤 볼록부(813)의 걸어맞춤에 의해,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열림을 방지함으로써, 동축케이블(500)에 대한 아우터 컨택트(6)의 부착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812) 및 걸어맞춤 볼록부(813)의 형태는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면, 도시하는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811a)의 양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812)가 형성되어 있고, 판형상부(811b)의 내측의 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812)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813)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813)가 각각 걸어맞춰짐으로써,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열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맞물림 오목부(814)의 각각은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내주면 상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신되도록 형성된 오목부이다.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둘러싸도록 닫았을 때, 복수의 맞물림 오목부(814)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4개의 맞물림 리브(612)와 각각 맞물려, 아우터 컨택트(6)와 압착 부재(8) 사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한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814)의 수는 4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1개의 맞물림 오목부(814)가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컨택트(6)의 대응하는 맞물림 리브(612)와 맞물리면, 아우터 컨택트(6)와 압착 부재(8) 사이에서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제2 압착부(82)는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된 한 쌍의 판형상부(821a, 821b)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판형상부(821a, 821b)는 코킹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을 둘러싸도록 닫히는 부분이다. 제1 압착부(81)의 바닥부와 제2 압착부(82)의 바닥부는 접속부(8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순서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다. 가장 먼저, 동축케이블(500)에 대하여 스트립 가공을 시행하여, 동축케이블(500)의 단부의 심선(510) 및 외부 도체층(530)을 각각 필요한 길이만큼 노출시킨다. 이어서 스트립 가공에 의해 노출된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을 컨택트 핀(4)의 유지부(41)의 바닥판(411) 상에 재치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컨택트 핀(4)이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한 쌍의 벽부(412)는 바닥판(4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압착 펜치 등의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바닥판(4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한 쌍의 벽부(412)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접촉시키고,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을 바닥판(411) 상에 눌러, 컨택트 핀(4)을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 압착한다.
이어서 기단측으로부터, 아우터 컨택트(6) 내에 하우징(5)을 압입하고, 하우징(5)을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 내에 수납한다. 이어서 아우터 컨택트(6)의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를 내측으로 절곡하고, 한 쌍의 하우징 고정부(623)를 하우징(5)의 위치 결정부(52)의 선단 테이퍼면(521a), 기단 테이퍼면(521b) 및 평탄면(522)과 걸어맞추어,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 내에 있어서 하우징(5)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기단측으로부터, 아우터 컨택트(6) 내에 링 부재(7)를 압입하고, 링 부재(7)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 내에 수납한다.
이어서 동축케이블(500)의 노출되어 있는 외부 도체층(편조층)(530)의 소선을 푸는 것에 의해, 외부 도체층(530)을 외측으로 열어, 내측 절연체층(520)을 필요한 길이만큼 노출시킨다. 이어서 동축케이블(500)의 노출되어 있는 내측 절연체층(520)이 링 부재(7)에 의해 덮이도록, 기단측으로부터 동축케이블(500) 및 컨택트 핀(4)을 링 부재(7) 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기단측으로부터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에 컨택트 핀(4)을 압입한다. 하우징(5)의 삽입통과구멍(56) 내로의 컨택트 핀(4)의 압입은 컨택트 핀(4)의 한 쌍의 스프링부(422)의 탄성복원에 의해 클릭감이 제공되면 종료된다. 이어서 동축케이블(500)의 외측으로 열려 있는 외부 도체층(530)의 소선을 스트레이트로 되돌리고, 외부 도체층(530)으로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의 외주면을 덮는다.
이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절한 지그를 사용하여,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의 한 쌍의 판형상부(811a, 811b)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을 둘러싸도록 닫고(도 17 중의 점선에 의해 나타낸 화살표 참조), 제1 압착부(81)의 걸어맞춤 오목부(812)와 걸어맞춤 볼록부(813)를 걸어맞춘다. 이 작업에 의해,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가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된다. 이어서 적절한 지그를 사용하여, 압착 부재(8)의 제2 압착부(82)의 한 쌍의 판형상부(821a, 821b)를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을 둘러싸도록 닫는다(도 17 중의 점선에 의해 나타낸 화살표 참조). 이 작업에 의해, 압착 부재(8)의 제2 압착부(82)가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에 압착된다.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가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되고, 또한 압착 부재(8)의 제2 압착부(82)가 동축케이블(500)의 외측 절연체층(540)에 압착되면, 아우터 컨택트(6)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되고,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동축케이블(500)로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순서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순서는 커넥터 어셈블리(10)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기 위한 순서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순서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10)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 가능하다.
도 18은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동축케이블(500)의 YZ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는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링 부재(7)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와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를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할 때의 압력은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에 의해 받아들여져,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동축케이블(500)에 대한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의 압착시의 압력에 기인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링 부재(7)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대해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가 압착될 때,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축케이블(500)에 대한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의 압착시의 압력에 기인하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 어셈블리(10)가 4개의 동축케이블(500)에 각각 부착되고, 커버(2)에 의해 유지된다. 도 5로 되돌아가, 커버(2)는 수지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4개의 동축 케이블(500)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는 상자형상의 기단부(21)와, 기단부(21)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통형상부(22)와, 기단부(21) 및 통형상부(22)를 전기 커넥터(1)의 삽입발출 방향(Z 방향)으로 삽입통과시키는 4개의 삽입통과구멍(23)과, 기단부(21)의 상면 상에 형성된 아치부(24)와, 통형상부(22)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기단측으로 연신되는 레버부(25)를 갖추고 있다.
기단부(21)는 양측면의 각각에 고정 부재(3)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211)과, 아우터 컨택트(6)의 걸어맞춤부(622)와 걸어맞추기 위한 한 쌍의 걸어맞춤부(212)를 갖추고 있다. 삽입구멍(211)은 기단부(21)의 양측면의 각각을 폭 방향(X 방향)으로 관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구멍(211)의 형상은 고정 부재(3)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어, 고정 부재(3)를 삽입구멍(211)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부(212)의 각각은 기단부가 기단부(21)와 일체화되어 있고, 선단면이 Z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판형상부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500)을 커버(2)의 4개의 삽입통과구멍(23) 내에 압입하면, 각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622) 중 외측의 1개의 기단면이 걸어맞춤부(212)의 선단면과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500)의 커버(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기단부(2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멍(211)에 한 쌍의 고정 부재(3)를 삽입함으로써, 커버(2) 내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500)이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부재(3)의 각각은 서로 이간되어 커버(2)의 내측으로 연신되는 상측 연신부(31a), 중앙 연신부(31b) 및 하측 연신부(31c)와, 중앙 연신부(31b)보다 선단측(+Z 방향측)에 형성되어, 커버(2)의 내측으로 연신되는 걸어맞춤 돌기(32)를 가지고 있다. 커버(2)의 기단부(2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211) 내에 고정 부재(3)가 삽입되면, 걸어맞춤 돌기(32)가 커버(2)의 기단부(21)의 내측면과 걸어맞춰져, 커버(2)에 대하여 고정 부재(3)가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3)의 상측 연신부(31a)와 중앙 연신부(31b) 사이, 및 중앙 연신부(31b)와 하측 연신부(31c) 사이에서, 각각,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가 유지된다. 또한 상측 연신부(31a)와 중앙 연신부(31b)의 선단면(+Z 방향의 단면)에, 상측 연신부(31a)와 중앙 연신부(31b)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는 아우터 컨택트(6)의 걸어맞춤부(622)의 기단면이 걸어맞춰진다. 마찬가지로, 중앙 연신부(31b)와 하측 연신부(31c)의 선단면(+Z 방향의 단면)에, 중앙 연신부(31b)와 하측 연신부(31c)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는 아우터 컨택트(6)의 걸어맞춤부(622)의 기단면이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2)로부터의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4개의 동축케이블(500)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으로 되돌아가, 통형상부(22)는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한 전기 커넥터(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에 삽입하면, 상대측 커넥터(200)의 4개의 아우터 컨택트(230)가 통형상부(22)에 형성된 4개의 삽입통과구멍(23)의 내주면 상을 각각 슬라이드하여, 전기 커넥터(1)의 4개의 아우터 컨택트(6)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의 끼워맞춤을 가이드한다.
아치부(24)는 기단부(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아치형상 부분이다. 레버부(25)는 통형상부(22)의 상면의 선단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 돌기(251)와, 위치 결정 돌기(251)의 상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 연신되는 레버부(252)와, 레버부(252)의 상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53)를 갖추고 있다. 위치 결정 돌기(251)는 기단부(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위치 결정 돌기(251)를 상대측 커넥터(200)의 커버(21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240)(도 2 참조) 내에 삽입통과시키도록,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에 삽입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한 전기 커넥터(1)의 위치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레버부(252)는 위치 결정 돌기(251)의 기단면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연신되고, 또한 아치부(24)의 아치 부분을 삽입통과하여, 아치부(24)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버부(252)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기단부(21) 및 통형상부(22)의 상면과 대향하고 있다. 레버부(252)의 일방의 단부는 위치 결정 돌기(251)와 일체화된 고정단이며, 레버부(252)의 타방의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253)는 레버부(25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었을 때, 걸어맞춤 오목부(253)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커버(210)의 개구(240)와 걸어맞춰지고,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로크한다.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한 전기 커넥터(1)의 로크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는 전기 커넥터(1)의 상대측 커넥터(200)로의 연결 개시 단계에서의 레버부(25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B는 전기 커넥터(1)의 상대측 커넥터(200)로의 연결 도중 단계에서의 레버부(25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C는 전기 커넥터(1)의 상대측 커넥터(200)로의 연결 완료 단계에서의 레버부(25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위치 결정 돌기(251)를 상대측 커넥터(200)의 커버(210)의 개구(240) 내에 삽입시키도록,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1)가 삽입된다.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전기 커넥터(1)가 삽입되면,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레버부(252)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커버(210)의 개구(240)의 상면에 접촉하고, 하방으로 탄성변형된다. 그 후,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상대측 커넥터(200)로의 연결이 완료되면,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레버부(252)가 상방으로 탄성복원하고,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걸어맞춤 오목부(253)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커버(210)의 개구(240)의 상면이 걸어맞춰진다. 이 결과, 전기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로크된다. 한편,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분리할 때는,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레버부(252)를 하방으로 탄성변형시켜,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한 전기 커넥터(1)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 후,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잡아당김으로써,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커버(2)의 레버부(252)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기단부(21) 및 통형상부(22)의 상면과 대향하고 있고, 또한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2)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커버(2)의 구성 재료의 수축에 의해, 레버부(252)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처져,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전기 커넥터(1)의 로크가 느슨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성형 후의 구성 재료의 수축에 의한 성형품의 변형은 성형 무너짐이라고 부르고 있다. 본 발명의 커버(2)는 성형 무너짐에 의한 레버부(252)의 하방으로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순서에 따라 얻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2)의 성형시에 있어서, 레버부(252)는 레버부(252)의 상방에 위치하는 아치부(24)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커버(2)의 성형이 종료되고, 커버(2)의 구성 재료가 충분히 냉각 및 고화하여, 성형 무너짐의 가능성이 충분히 작아진 후, 레버부(252)와 아치부(24)의 연결부가 커트되어, 레버부(252)가 아치부(24)로부터 이간된다. 이와 같은 순서에 따라 커버(2)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성형 무너짐에 의한 레버부(252)의 하방으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전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200)에 연결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200)의 YZ 평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이 전기 커넥터(1)의 컨택트 핀(4)의 통형상부(42) 내에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1)의 컨택트 핀(4)이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컨택트 핀(2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전기 커넥터(1)의 아우터 컨택트(6)의 선단부(63) 및 하우징 수납부(62)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 내에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1)의 아우터 컨택트(6)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아우터 컨택트(6)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 커넥터(1)의 아우터 컨택트(6)의 전위가 상대측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아우터 컨택트(230)의 전위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가 동축케이블(500)의 내측 절연체층(520)과 외부 도체층(530)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를 아우터 컨택트(6)의 기단부(61)의 본체부(611) 상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외부 도체층(530)에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컨택트(6)가 동축케이블(500)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아우터 컨택트(6)를 동축케이블(500)에 부착하기 위한 압착시의 압력은 아우터 컨택트(6)에 의해 받아들여져,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에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동축케이블(500)에 대한 압착 부재(8)의 제1 압착부(81)의 압착시의 압력에 기인하는 동축케이블(500)의 심선(5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500)의 신호 전송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참고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육면도를 도 24~도 29에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우측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도 30~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 중에 나타내는 B-B선으로부터 선단측의 케이스를 생략한 전기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부착되는 동축케이블의 수가 상이한 점,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커버(2) 내에서의 유지 방법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1개의 동축케이블(500)과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플러그형의 1핀 커넥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축케이블(500)의 단부에 부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 내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을 고정함과 아울러, 커버(2) 내로부터의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고정 부재(3)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한 쌍의 고정 부재(3)를 사용하는 대신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2)의 한 쌍의 걸어맞춤부(212)의 구성이 변경되어 있다.
도 31은 커버(2)의 한 쌍의 걸어맞춤부(212)의 선단부를 나타내기 위해, 도 30 중에 나타내는 B-B선으로부터 선단측(+Z 방향측)의 커버(2)를 생략한 전기 커넥터(1) 및 동축케이블(5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의 한 쌍의 걸어맞춤부(212)의 각각의 선단부에, 커버(2)의 내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받이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213)의 선단면은 전기 커넥터(1)의 삽입발출 방향(Z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탄면이다. 또한 한 쌍의 받이부(213)에 의해,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개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14)는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이다.
기단측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커버(2)의 삽입통과구멍(23) 내에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이 삽입되면, 커버(2)의 개구(214) 내에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가 압입된다. 또한 아우터 컨택트(6)의 하우징 수납부(62)의 본체부(62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신되는 4개의 걸어맞춤부(622)의 기단면이 한 쌍의 받이부(213)의 기단면과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2) 내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을 고정함과 아울러, 커버(2) 내로부터의 커넥터 어셈블리(10)가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참고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육면도를 도 32~도 37에 나타낸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저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전기 커넥터(1)에 부착된 동축케이블(500)의 우측면도이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것과 치환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임의의 구성의 것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 및 기술에 있어서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사고방식 및 범위로부터 유의하게 일탈하는 일 없이, 기술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변경을 실행 가능할 것이며, 변경된 구성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도 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또 도면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의 구성 요소의 수나 종류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 및 의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가 추가 혹은 조합되거나, 또는 임의의 구성 요소가 삭제된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1…전기 커넥터, 2…커버, 21…기단부, 211…삽입구멍, 212…걸어맞춤부, 213…받이부, 214…개구, 22…통형상부, 23…삽입통과구멍, 24…아치부, 25…레버부, 251…위치 결정 돌기, 252…레버부, 253…걸어맞춤 오목부, 3…고정 부재, 31a…상측 연신부, 31b…중앙 연신부, 31c…하측 연신부, 32…걸어맞춤 돌기, 4…컨택트 핀, 41…유지부, 411…바닥판, 412…벽부, 42…통형상부, 421…리브, 422…스프링부, 423…위치 결정 돌기, 43…가이드부, 431…판형상부, 432…테이퍼부, 5…하우징, 51…기단부, 511…리브, 512…테이퍼면, 52…위치 결정부, 521a…선단 테이퍼면, 521b…기단 테이퍼면, 522…평탄면, 523…내측 테이퍼면, 53…소외경부, 531…직경확대부, 54…가이드부, 541…외측 테이퍼면, 542…내측 테이퍼면, 55…걸어맞춤 구멍, 56…삽입통과구멍, 6…아우터 컨택트, 61…기단부, 611…본체부, 612…맞물림 리브, 613…테이퍼부, 62…하우징 수납부, 621…본체부, 622…걸어맞춤부, 623…하우징 고정부, 624…스프링부, 625…접촉부, 626…테이퍼부, 63…선단부, 7…링 부재, 71…돌출편, 8…압착 부재, 81…제1 압착부, 811a…판형상부, 811b…판형상부, 812…걸어맞춤 오목부, 813…걸어맞춤 볼록부, 814…맞물림 오목부, 82…제2 압착부, 821a…판형상부, 821b…판형상부, 83…접속부, 10…커넥터 어셈블리, 100…회로 기판, 200…상대측 커넥터, 210…커버, 220…컨택트 핀, 230…아우터 컨택트, 240…개구, 500…동축케이블, 510…심선, 520…내측 절연체층, 530…외부 도체층, 540…외측 절연체층, 600…아우터 컨택트, 610…통형상부, 620…제1 압착부, 630…제2 압착부.

Claims (7)

  1. 심선과, 상기 심선을 덮는 내측 절연체층과, 상기 내측 절연체층을 덮는 외부 도체층과, 상기 외부 도체층을 덮는 외측 절연체층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심선에 접속되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을 내부에서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통형상의 아우터 컨택트와,
    상기 아우터 컨택트를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하기 위한 압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기단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측 절연체층과 상기 외부 도체층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압착 부재를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상기 기단부 상에 위치하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아우터 컨택트가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어 있고,
    상기 압착 부재와 상기 아우터 컨택트 사이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이 협지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아우터 컨택트가 상기 동축케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는 제1 압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1 압착부는,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을 둘러싸도록 닫힌 한 쌍의 판형상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타방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의 타방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판형상부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절연체층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층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컨택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내측 절연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성의 링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의 하우징은 통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절연성의 하우징 및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아우터 컨택트 내에 있어서 동심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20026554A 2021-03-29 2022-03-02 전기 커넥터 KR20220135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6182 2021-03-29
JP2021056182A JP2022153116A (ja) 2021-03-29 2021-03-29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63A true KR20220135163A (ko) 2022-10-06

Family

ID=8068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554A KR20220135163A (ko) 2021-03-29 2022-03-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09151B2 (ko)
EP (1) EP4068521A1 (ko)
JP (1) JP2022153116A (ko)
KR (1) KR20220135163A (ko)
CN (1) CN1151332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154A (ja) 2014-11-12 2017-11-16 ティーイー・コネクティビティ・コーポレイションTE Connectivity Corporation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801508L (no) * 1979-10-09 1981-04-10 Automation Ind Inc Koaksial-kontaktenhet.
JP2005108510A (ja) 2003-09-29 2005-04-21 Clarion Co Ltd 多極型高周波同軸コネクタ
US8366483B2 (en) * 2011-02-04 2013-02-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US9991650B2 (en) * 2016-01-22 2018-06-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9787017B1 (en) * 2016-03-17 2017-10-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piece cavity inse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154A (ja) 2014-11-12 2017-11-16 ティーイー・コネクティビティ・コーポレイションTE Connectivity Corporation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33293A (zh) 2022-09-30
EP4068521A1 (en) 2022-10-05
JP2022153116A (ja) 2022-10-12
US20220311151A1 (en) 2022-09-29
US11909151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8786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able and a manufactured electrical coaxial cable
US10594056B2 (en) Terminal fitting
US10594057B2 (en) Terminal fitting for coaxial connector
JP4148345B2 (ja) 直角型同軸電気コネクタ
US10741973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693589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136924B2 (ja) 同軸電気コネクタ
KR101673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9438000B2 (en) Shield connector for a shield cable
US1064441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29307B2 (ja) 一体品の誘電性カバーを有する回路基板用コネクタ
TW200529521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N113258322B (zh) 同轴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0108719A (ja) コネクタ
KR102416333B1 (ko)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JP5229924B2 (ja) コネクタ
CN109831928B (zh) 同轴连接器组件
KR20220135163A (ko) 전기 커넥터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20150028690A (ko)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CN110679043B (zh) L型同轴连接器和带同轴线缆的l型同轴连接器
CN110635257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KR20220133774A (ko) 전기 커넥터
JP2023077166A (ja) シールド端子および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