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32A -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32A
KR20220135032A KR1020210040498A KR20210040498A KR20220135032A KR 20220135032 A KR20220135032 A KR 20220135032A KR 1020210040498 A KR1020210040498 A KR 1020210040498A KR 20210040498 A KR20210040498 A KR 20210040498A KR 20220135032 A KR20220135032 A KR 2022013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coupled
body member
rotating member
nozz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순
송기태
Original Assignee
허인순
송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순, 송기태 filed Critical 허인순
Priority to KR102021004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032A/ko
Publication of KR2022013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32A/ko
Priority to KR1020240043752A priority patent/KR20240049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장치는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회전을 허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즐 장치{ Nozzle apparatus}
개시된 내용은 액체를 대상물에 분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와 같은 석탄플랜트의 옥외 저탄장에서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석탄을 운송하며, 석탄의 운송 경로, 컨베이어의 길이에 따라 다수의 컨베이어가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이웃하는 컨베이어는 상호 간에 높이 차를 두고 연결되어 상류 측의 컨베이어를 따라 운송되는 석탄이 하류 측의 컨베이어에 낙하되도록 하여 운송할 수 있다.
매우 작은 입도를 갖는 분진이 석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분진은 석탄의 운송 과정 중 대기 중으로 비산되고, 하류 측의 컨베이어에 낙하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더욱 극심하게 대기 중으로 비산된다. 분진은 인체의 호흡기 장애를 유발하고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력발전소에서는 분진을 제거하는 별도의 분진 제거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진 제거기로는 주로 여과식 집진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과식 집진장치는 다공성의 필터 망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일정 입도 이상이면서 건조 상태의 분진을 제거할 수는 있다. 그러나, 석탄 분진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망의 막힘이 발생되고, 이것은 소요 동력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 망을 수시로 청소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최근의 석탄화력발전소는 옥내 저탄장을 설치하여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석탄 분진을 1차적으로 줄이도록 하고, 옥내 저탄장 내부의 다수 곳에 스프레이를 설치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컨베이어 및 저탄장에서 발생되는 석탄 분진을 2차적으로 줄이도록 하였다. 다만, 종래의 분진 제거기는 단방향으로만 분진 방지 용수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양한 범위에 분진 방지 용수를 분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1144호(2020.03.13)
분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노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회전을 허용하는 체결 부재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는 몸체 부재, 회전 부재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체결 부재를 조작한 다음 회전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 장치들이 분진 제거기의 저장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노즐 장치 각각의 회전 부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노즐의 방향을 상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장치는 저탄장 내부의 다양한 영역으로 분진 방지 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석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노즐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노즐 장치에서 Ⅲ-Ⅲ'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노즐 장치에서 회전 부재가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노즐 장치 각각이 분진 제거기에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노즐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노즐 장치에서 Ⅲ-Ⅲ'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몸체 부재(110), 회전 부재(1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는 미도시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액체를 후술할 회전 부재(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몸체 부재(110)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부재(110)는 일례로 액체 공급부(111) 및 관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공급부(111)는 액체가 공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액체 공급부(111)의 형상은 일례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공급부(11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액체 공급부(111)는 미도시된 공급관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관절부(112)는 상기 액체 공급부(111)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구(sphere) 형상일 수 있다.
회전 부재(120)는 상기 몸체 부재(110)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액체가 분사될 수 있는 노즐(150)이 회전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120)는 상기 관절부(11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수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1)는 구형상의 관절부(112)를 감쌀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부재(130)는 상기 몸체 부재(110)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120)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회전을 허용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결 부재(130)는 몸체 부재(110)에서 관절부(112)를 감싼 상태에서, 회전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체결 부재(130)는 일례로 링 형상일 수 있다.
체결 부재(130)와 회전 부재(120)가 강하게 체결되는 경우, 회전 부재(120)의 회전된 위치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체결 부재(130)와 회전 부재(120)가 약하게 체결되는 경우, 회전 부재(120)가 몸체 부재(110)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회전 부재(120)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체결 부재(130)를 느슨하게 한 다음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12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체결 부재(130)를 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120)의 수용부(121)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부재(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부(122)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130)의 내주면에서 상기 관절부(112)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관절부(112)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는 인입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 부재(130)와 회전 부재(120)는 제2 나사부(132)와 제1 나사부(122)에 의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입부(131)는 몸체 부재(110)와 안정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액체가 체결 부재(130)와 몸체 부재(11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노즐 장치에서 회전 부재가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각도 측정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측정 유닛(140)은 상기 몸체 부재(110)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부재(110)에 대하여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된 각도가 측정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상기 각도 측정 유닛(140)은 일례로 결합 부재(141) 및 각도 표시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41)는 상기 몸체 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41)와 몸체 부재(110)의 결합 방법은 일례로, 결합 부재(141)의 중간 부분에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몸체 부재(11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결합 부재(141)와 몸체 부재(110)의 결합 방법이 상기와 같은 방법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각도 표시 부재(142)는 상기 결합 부재(141)에 결합된다. 회전 부재(120)의 회전된 각도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인 각도(숫자 또는 눈금)가 각도 표시 부재(142)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표시 부재(142)는 일례로 연장부(143) 및 각도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43)는 일단은 상기 결합 부재(14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부재(12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연장부(143)는 상기 몸체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장부(143)의 형상은 일례로 판 형상이면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각도부(144)는 상기 연장부(143)에서 상기 회전 부재(120)와 인접한 끝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120)가 회전되는 범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마다 각도가 새겨질 수 있다. 상기 각도부(144)의 형상은 일례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부(144)는 회전 부재(120)가 회전되는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도부(144)의 각도를 보고 회전 부재(120)의 회전된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부재(141)의 형상은 일례로 육면체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도 표시 부재(142)는 상기 결합 부재(1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도 표시 부재(142)와 결합 부재(141)의 결합 방법은 일례로 볼트에 의한 체결 방법 및 자력에 의한 체결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도 표시 부재(142)는 결합 부재(141)의 양측면 및 상하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20)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어떤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사용자는 회전 부재(120)의 회전된 각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몸체 부재(110), 회전 부재(1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120)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체결 부재(130)를 조작한 다음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 장치(100)들이 분진 제거기의 저탄장(1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노즐 장치(100) 각각의 회전 부재(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노즐(150)의 방향을 상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장치(100)는 저탄장(10) 내부의 다양한 영역으로 석탄의 분진 발생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분진 방지 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석탄(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노즐 장치
110: 몸체 부재
111: 액체 공급부
112: 관절부
120: 회전 부재
121: 수용부
122: 제1 나사부
130: 체결 부재
131: 인입부
132: 제2 나사부
140: 각도 측정 유닛
141: 결합 부재
142: 각도 표시 부재
143: 연장부
144: 각도부
150: 노즐

Claims (9)

  1.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회전을 허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체 공급부; 및
    상기 액체 공급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구형상인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관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노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내주면에서 상기 관절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관절부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된 각도가 측정될 수 있게 하는 각도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노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도 측정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고, 일부분에 각도가 형성되는 각도 표시 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 부재는;
    일단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인접한 끝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는 범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마다 각도가 새겨진 각도부를 포함하는 노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부의 형상은 원호 형상인 노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형상은 육면체인 노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장치.
KR1020210040498A 2021-03-29 2021-03-29 노즐 장치 KR20220135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98A KR20220135032A (ko) 2021-03-29 2021-03-29 노즐 장치
KR1020240043752A KR20240049242A (ko) 2021-03-29 2024-03-29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98A KR20220135032A (ko) 2021-03-29 2021-03-29 노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3752A Division KR20240049242A (ko) 2021-03-29 2024-03-29 노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32A true KR20220135032A (ko) 2022-10-06

Family

ID=83597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98A KR20220135032A (ko) 2021-03-29 2021-03-29 노즐 장치
KR1020240043752A KR20240049242A (ko) 2021-03-29 2024-03-29 노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3752A KR20240049242A (ko) 2021-03-29 2024-03-29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350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44B1 (ko) 2018-10-05 2020-03-23 허인순 비산먼지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44B1 (ko) 2018-10-05 2020-03-23 허인순 비산먼지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242A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876B1 (ko) 콘테이너세척장치및시스템
CN105067773B (zh) 一种无组织粉尘抑尘剂抑尘率测试评价装置及方法
US20100075579A1 (en) Device for comminuting dry ice granules, and dry ice dispensing arrangement having such a device
US5316218A (en) Rotating nozzle
ES2602586T3 (es) Método y aparato de aplicación de recubrimiento
KR20220135032A (ko) 노즐 장치
KR102151480B1 (ko) 석탄 이송체계에서의 컨베이어 룸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CN203294735U (zh) 单流体与双流体综合除尘设备结构
JP6138510B2 (ja) 防塵装置
KR20220002388U (ko)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CN103008136A (zh) 一种用于空气净化的雾化器
BRPI0920047B1 (pt) dispositivo para distribuir um fluido de uma maneira controlada, e, processos para distribuir um fluido em um espaço de uma maneira controlada, para fabricar um dispositivo, e de tratamento de gás residual
KR20090105233A (ko) 컨베이어벨트의 세척장치
JP5307375B2 (ja) 炭化物貯留装置及びその方法
CN211687109U (zh) 一种带式输送机回程皮带清扫装置
KR20110026179A (ko) 드라이아이스 분사장치
CN210385622U (zh) 一种水处理用干粉药剂连续投加装置
CN205361713U (zh) 园林用伸缩喷头装置
ES2600508T5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mantener húmeda una masa de moldeo a transformar en la fabricación de moldes o machos
CN205073892U (zh) 一种石灰石粉落料防堵抑尘装置及石灰石粉调浆装置
US20130255494A1 (en) Nozzle for spraying liquid and a mixer comprising the nozzle
EP0465454A1 (en) Method and spray head for atomizing a concentrated liquid product
CN206475066U (zh) 抛头及设有该抛头的砖坯抛光机
JP2573584B2 (ja) スプレ−ノズルアセンブリ
CN202844861U (zh) 用于锅炉烟道的喷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