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144B1 - 비산먼지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비산먼지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144B1
KR102091144B1 KR1020180119070A KR20180119070A KR102091144B1 KR 102091144 B1 KR102091144 B1 KR 102091144B1 KR 1020180119070 A KR1020180119070 A KR 1020180119070A KR 20180119070 A KR20180119070 A KR 20180119070A KR 102091144 B1 KR102091144 B1 KR 10209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dus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순
Original Assignee
허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순 filed Critical 허인순
Priority to KR102018011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05B1/344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the interface being a cylinder having the same axis as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는, 석탄, 건축폐기물 등을 적재하는 야적장에 설치되며, 상기 야적장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급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며 야적장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급수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공기토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로와 급수관을 통해 기체 및 액체가 공급되고,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산먼지 방지 장치{FOGGING DUST PREVENTION DEVICE}
본 개시내용은 비산먼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그, 분진, 슬러지 등의 철강 부산물을 보관하는 야적장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방지하도록 하는 원격조작, 자동제어 기술의 비산먼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력발전소, 제철소와 같이 대량의 코크스, 즉 석탄을 원료로 사용되는 시설에서는 석탄을 대량으로 적재하여 야적하게 된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한곳에 모아 야적하고, 이 야적된 건설폐기물은 건설공사의 매립용 자재로 활용되고 있으므로 야적장에 대량으로 수집해놓아야 한다.
건설 폐기물은 건설 현장 및 토목 공사 등에서 배출되는 모래, 자갈, 쓰레기, 폐목재, 폐자재, 폐콘크리트, 철근, 비닐, 스티로폼, 종이류 등을 통칭하는 말로써, 이러한 건축 폐기물은 경제의 성장과 아울러 건설 경기의 활성화로 인해 배출량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석탄이 폐골재 등을 야적하는 야적장에서는 항상 분진이 발생하여 주변에 피해를 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분진 비산 방지설비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10-2015-0092012호 "야적장의 비산먼지 방지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야적장의 높이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물 분사 노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위치 변동이 용이하도록 분해 조립이 간편하며, 야적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촬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한국 특허출원 10-2015-0092012호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장치는 야적장의 높이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물 분사 노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제어실 화면 설정값 지정에 따라 마이콤에서 자동과 수동으로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노즐에 분진이 쌓이면 작동에 장애가 생기므로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노즐의 막힘 방지를 유도하고, 야적장의 SHED별로 설치된 온, 습도 및 분진센터에서 인식된 수치값 데이터를 제어실로 전송 받아 마이콤의 신호로 최적상태로 분사와 제어가 가능한 비산먼지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는, 석탄, 건축폐기물 등을 적재하는 야적장에 설치되며, 상기 야적장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급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며 야적장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급수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공기토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로와 급수관을 통해 기체 및 액체가 공급되고,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는 중공의 파이프가 다수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단 파이프와, 상단 파이프는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유닛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모니터링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촬영지점을 원격 조작하고 상기 급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의 일측에 구비되고 온도, 습도 및 분진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온도, 습도 및 분진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분사되는 물 분사량이 상기 데이터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분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영상 저장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관에 연결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급수관에 연결되며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유닛은, 전단에 토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급수로가 형성된 바디와, 급수로의 일단에 형성되는 내부관체와, 상기 내부관체의 토출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내부관체를 둘러싸는 노즐 캡 및 상기 노즐 캡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 캡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노즐 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로에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관체의 내주벽에는 와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베인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개의 다수의 통공을 통해 와류로 전환된 물이 토출되고, 토출된 물이 상기 회전날개에 충돌하여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은 방재약품을 분사하는 약품탱크와 연결되고, 물과 방재약품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제어부는 측정된 분진량에 따라 공기 토출로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토출시켜 분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야적장의 야적물 증가로 인한 높이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분사되는 분사유닛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주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분진 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야적장의 환경 조건에 따라 콘트롤러 제어를 통해 분진, 온도, 습도 측정값을 조합하여 마이콤 제어를 통하여 공기압와 물의 분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와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 베인이 나선 형상으로 개발된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적용한 무화용 노즐을 이용하여 광범위까지 안개분사가 가능하며, 노즐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공기 분사 구성을 구비하여 노즐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의 노즐부 확대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분사유닛의 확대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장치의 노즐부 확대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분사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장치는 석탄, 건축폐기물 등을 적재하는 야적장(W)에 설치되는 것으로,
야적장(W)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급수관(160)과, 상기 급수관(16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0)와, 급수관(10)에 연결되며 야적장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주(20)와, 지주(20)의 상단에 형성되며, 급수관(10)과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30)과, 분사유닛(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사노즐(50)과, 분사유닛(30)의 일측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60)와,카메라(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모니터링 장치(70)와, 모니터링장치(70)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촬영지점을 원격 조작하고 상기 급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급수장치(10)는 급수관(160)에 연결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70)와, 급수관(160)에 연결되며 물탱크(170)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20)는 중공의 파이프(140)가 다수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부의 파이프와, 그 상부의 파이프는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주(20)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면에 미리 콘크리트로 된 받침대(21)를 매설할 수도 있다. 받침대(21)에는 지주(20)의 하단을 꽂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체결수단의 일 예로는, 하단 파이프(22)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221)와, 상단 파이프(23)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23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단 파이프(22)와 상단 파이프(23)를 각각의 수나사(221)와 암나사(231)를 결합시킴으로써 체결될 수 있고, 아울러 나사 결합을 풀어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추가적으로 다수의 파이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체결수단의 다른 예로는, 하단 파이프(22)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끼움돌출부(223), 상단 파이프(23)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3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단 파이프(22)의 끼움돌출부(223)를 상단 파이프(23)의 끼움홈(233)에 억지로 끼워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연결하게 된다.
물론 다수의 파이프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지주(20)를 다단의 파이프로 연결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어 야적장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지주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야적물의 압력으로 인해 지주가 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파손되는 경우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해진다.
한편, 분사유닛(30)은, 전단에 토출공(31)이 형성되고 내부에 급수로(36)가 형성된 바디(32)와, 급수로(36)의 일단에 형성되는 내부관체(33)가 형성된다.
내부관체(33)의 내주벽에는 와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베인(130)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관체(33)를 통과하는 도중에 물이 가이드베인(130)을 따라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내부관체(33)의 토출측에는 회전날개(35)가 형성된다. 즉, 내부관체(33)의 토출측에 형성된 마개(34)의 중앙에 회전날개(35)의 축(351)이 결합되고, 마개(34)에는 다수의 통공(34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다수의 통공(341)을 통해 와류로 전환된 물이 토출될 수 있으며, 토출된 물이 회전날개(35)에 충돌하여 미세하게 분산되며 회전날개(35)가 회전되면서 분산된 물 입자를 회오리 형태로 분사시키게 된다.
한편, 카메라(60)는 지주(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간 촬영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야간에도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기능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60)는 회전수단(61)이 구비되어 좌우로 각도를 설정할 수 있어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상하로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수단(61)은 카메라(60)를 회전시키는 모터(62)와, 모터(62)에 연결된 주동기어(63)와, 주동기어(63)와 치차 결합되며 카메라(60)에 연결된 종동기어(64)로 구성된다.
한편, 모니터링장치(70)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영상 저장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로 구성된다.
지주(20)의 일측에는 센서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15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분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작업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기준 설정값(온도 섭씨 45도 이상, 습도 30%RH이하, PM10이상(시간))시 중앙제어부(80)의 통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 및 분진의 양을 감지하여 중앙제어부(80)에 온도,습도,분진량의 데이터를 보내게 되고, 이를 전송받은 중앙제어부(80)는 데이터 값에 연동하여 급수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물, 공기, 약품 등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중앙제어부(80)는 상기 급수장치(1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물탱크(170)의 물을 분사유닛(30)에 공급하게 되며, 고압의 에어를 병행하여 분사유닛(30)에 공급함으로써 강한 분사력으로 수분이 물안개와 같은 입자상태로 분사됨과 동시에 회오리를 일으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50)은 상기 내부관체(33)를 둘러싸는 노즐 캡(Nozzle Cap)(51) 및 상기 노즐 캡(5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 캡(51)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노즐 팁(Nozzle tip)(5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내부관체(33)의 일단에는 공기토출로(110)와 급수로(36)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50)의 전면에서 볼 때, 노즐 팁(52)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노즐 캡(51)의 형상은 정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분사노즐(50)을 구성하는 자재는 내구성과 부식을 고려해 산화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체(SUS304)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 외부에는 고압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해주는 콤프레셔(120)가 개시되고, 상기 급수관(160)의 일단에는 콤프레셔(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90)와, 에어 클리너(90)와 연결되고 지주(20)를 통해 콤프레셔(120)로 연장되는 공기토출로(110)가 구비되며, 분사노즐(50)에 분진이 쌓이게 되면 장치 작동에 장애가 생기므로 중앙제어부(80)에서는 분사노즐(5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면제어 설정값(비운전시 설정치 = 1회 2~3초간/Min)으로 작동시켜 공기 토출로(11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토출시켜 분진을 제거한다.
상기 급수로(36)에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관(16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160)은 방재약품을 분사하는 약품탱크(190)와 연결되고, 물과 방재약품은 상기 분사노즐(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공기와 유체(약품, 물) 등은 상기 분사노즐(50)을 통해 45도 각도로 분사하게 되며, 공기 유량의 경우 공기압 7bar 기준으로 분당 73L(73L/min)로 분사된다.
위와 같이 공기 토출로(110)와 급수관(160)을 분사유닛(30)에 연결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와 물을 혼합시키고, 내부관체(33)의 내주벽에 위치한 나선형의 가이드베인(130)을 통해 내부관체(33)를 통과하는 도중에 물이 가이드베인(130)을 따라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마개(34)의 중앙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341)을 통해 와류로 전환된 물이 토출될 수 있으며, 토출된 물이 회전날개(35)에 충돌하여 미세하게 분산되며 회전날개(35)가 회전되면서 분산된 물 입자를 회오리 형태로 노즐 팁(52)을 통해 분산 시킴으로써 무화식으로 광범위하게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야적장의 야적물 증가로 인한 높이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분사되는 분사유닛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주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분진 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야적장의 환경 조건에 따라 콘트롤러 제어를 통해 분진, 온도, 습도 측정값을 조합하여 마이콤 제어를 통하여 공기압와 물의 분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와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 베인이 나선 형상으로 개발된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적용한 무화용 노즐을 이용하여 광범위까지 안개분사가 가능하며, 노즐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공기 분사 구성을 구비하여 노즐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비산먼지 방지 장치 10 : 급수장치
20 : 지주 21 : 받침대
22 : 하단 파이프 23 : 상단 파이프
221 : 수나사 231 : 암나사
30 : 분사유닛 223 : 끼움돌출부
233 : 끼움홈 31 : 토출공
32 : 바디 33 : 내부관체
34 : 마개 35 : 회전날개
351: 축 36 : 급수로
341: 통공 50 : 분사노즐
51 : 노즐 캡 52 : 노즐 팁
60 : 카메라 61 : 회전수단
62 : 모터 63 : 주동기어
64 : 종동기어 70 : 모니터링 장치
80 : 중앙제어부 90 : 에어클리너
110 : 공기토출로 120 : 콤프레셔
130 : 가이드베인 140 : 파이프
150 : 센서부 160 : 급수관
170 : 물탱크 180 : 펌프
190 : 약품탱크

Claims (12)

  1. 석탄 또는 건축폐기물을 적재하는 야적장에 설치되는 비산먼지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야적장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급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며 야적장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급수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공기토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로와 급수관을 통해 기체 및 액체가 공급되고, 상기 분사유닛 내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며,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관에 연결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급수관에 연결되며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내부관체를 둘러싸는 노즐 캡 및 상기 노즐 캡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노즐 캡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노즐 팁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은 방재약품을 분사하는 약품탱크와 연결되고, 물과 방재약품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며,
    분사노즐을 통해 45도 각도로 분사하게 되며, 공기 유량의 경우 공기압 7bar 기준으로 분당 73L(73L/min)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중공의 파이프가 다수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단 파이프와, 상단 파이프는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유닛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모니터링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링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촬영지점을 원격 조작하고 상기 급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일측에 구비되고 온도, 습도 및 분진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온도, 습도 및 분진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분사되는 물 분사량이 상기 데이터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분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영상 저장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전단에 토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급수로가 형성된 바디와, 급수로의 일단에 형성되는 내부관체와, 상기 내부관체의 토출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로에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내부관체의 내주벽에는 와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베인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다수의 통공을 통해 와류로 전환된 물이 토출되고, 토출된 물이 상기 회전날개에 충돌하여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11. 삭제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측정된 분진량에 따라 공기 토출로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토출시켜 분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장치.
KR1020180119070A 2018-10-05 2018-10-05 비산먼지 방지 장치 KR10209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70A KR102091144B1 (ko) 2018-10-05 2018-10-05 비산먼지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70A KR102091144B1 (ko) 2018-10-05 2018-10-05 비산먼지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44B1 true KR102091144B1 (ko) 2020-03-23

Family

ID=6999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70A KR102091144B1 (ko) 2018-10-05 2018-10-05 비산먼지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480B1 (ko) 2020-05-19 2020-09-03 이은석 석탄 이송체계에서의 컨베이어 룸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CN111871970A (zh) * 2020-07-16 2020-11-03 芜湖市宇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模具清洗装置
KR102218434B1 (ko) * 2020-08-07 2021-02-22 주식회사 스타인더스트리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KR20220135032A (ko)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 장치
KR20220002388U (ko)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KR102534809B1 (ko) * 2022-10-18 2023-05-18 장영택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92Y1 (ko) * 2003-11-19 2004-02-11 안한옥 미립자의 향 분사를 위한 공압식 향 분사밸브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20150092012A (ko) 2014-02-04 2015-08-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 기계
KR20150103767A (ko) * 2014-02-20 2015-09-14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석탄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비산 분진 제거장치
KR101649571B1 (ko) * 2015-06-29 2016-08-19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엔터프라이즈 야적장의 비산먼지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92Y1 (ko) * 2003-11-19 2004-02-11 안한옥 미립자의 향 분사를 위한 공압식 향 분사밸브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20150092012A (ko) 2014-02-04 2015-08-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 기계
KR20150103767A (ko) * 2014-02-20 2015-09-14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석탄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비산 분진 제거장치
KR101649571B1 (ko) * 2015-06-29 2016-08-19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엔터프라이즈 야적장의 비산먼지 방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480B1 (ko) 2020-05-19 2020-09-03 이은석 석탄 이송체계에서의 컨베이어 룸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CN111871970A (zh) * 2020-07-16 2020-11-03 芜湖市宇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模具清洗装置
KR102218434B1 (ko) * 2020-08-07 2021-02-22 주식회사 스타인더스트리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KR20220135032A (ko)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 장치
KR20220002388U (ko)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KR20240049242A (ko) 2021-03-29 2024-04-16 허인순 노즐 장치
KR102534809B1 (ko) * 2022-10-18 2023-05-18 장영택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144B1 (ko) 비산먼지 방지 장치
KR101649571B1 (ko) 야적장의 비산먼지 방지장치
CN105067773B (zh) 一种无组织粉尘抑尘剂抑尘率测试评价装置及方法
CN204865366U (zh) 水雾远程喷射抑尘设备
KR102505559B1 (ko) 먼지 결합 장치 및 방법
WO1991012433A1 (de) Einspritzeinrichtung zur on-line nassreinigung von verdichtern
KR101884134B1 (ko)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KR20180127691A (ko)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CN107029920A (zh) 喷淋装置
CN105477960A (zh) 一种复合乳化式高效湿式除尘器
CN207103335U (zh) 一种防堵塞的吸尘管道
JP2007117951A (ja) 噴霧装置
CN210207633U (zh) 一种滚筒筛的自动清理装置
CN208193945U (zh) 自动灭火除尘器
CN207260976U (zh) 潜孔旋转振击空气钻井粉尘控制器
CN217961863U (zh) 一种用于建筑工地扬尘的自动喷雾装置
CN206722780U (zh) 煤层钻孔除尘装置及钻机
CN210730089U (zh) 一种可拆卸上料筛分喷射组合机组
CN105921226A (zh) 湿式球磨机、用于湿式球磨机的入料装置及其入料方法
JP2020063606A (ja) 装置
CN206547720U (zh) 拖车式喷雾机
CN100427866C (zh) 立窑自动化水冷却系统
CN109079995A (zh) 一种多级回收水泥粉尘的水泥罐系统及改装方法
CN213746836U (zh) 一种锅炉给煤系统防断煤装置
CN205045268U (zh) 一种自控雪崩式高柱粉料仓高效清卸料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