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434B1 -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434B1
KR102218434B1 KR1020200099175A KR20200099175A KR102218434B1 KR 102218434 B1 KR102218434 B1 KR 102218434B1 KR 1020200099175 A KR1020200099175 A KR 1020200099175A KR 20200099175 A KR20200099175 A KR 20200099175A KR 102218434 B1 KR102218434 B1 KR 10221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al
fresh water
control valve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9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1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with means for regulating the jet relative to the horizontal angular position of the nozzle, e.g. for spraying non circular areas by changing the elevation of the nozzle or by varying the nozzle flow-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110)의 일측에 연통 형성된 청수 공급관(120), 패널(110)의 타측에 연통 형성된 공기 공급관(130), 다수의 분사관(140),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50),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10)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습도센서(160), 청수 공급관(12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전송기(171), 제1압력전송기(171)의 전단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1감압밸브(172), 공기 공급관(13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전송기(181), 제2압력전송기(181)의 전단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2감압밸브(182), 및 온습도센서(160)에 의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제1압력전송기(171)에 의해 측정된 청수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1감압밸브(172)를 통해 청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와, 제2압력전송기(181)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2감압밸브(182)를 통해 공기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를 포함하여, 석탄저장고(10)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150)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고, 자연발화를 예방할 수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MIST SPRAY DEVICE FOR COAL RESERVOIR IN COAL THERMAL-POWER STATION}
본 발명은 석탄저장고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여 절수하도록 하고, 과도한 분진발생에 따른 자연발화를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석탄은 석탄저장고에 저장된 상태에서 건조한 환경, 환기가 원활하지 않아 발생한 고온의 환경 또는 과도한 분진발생으로 인해 자연발화가 발생하거나 폭발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습도와 일정 수준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종래에는, 날씨나 온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석탄저장고 내부에 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미스트를 분사하여 물의 낭비가 발생하고 미스트의 분사가능반경 제한으로 인해 미스트가 닿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기도 한다.
한편,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262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석탄을 저장하는 석탄사일로 내부의 모니터링 과정에 있어서, 기존 지붕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모니터링하던 것과는 달리 추가적인 모니터링 장치(10)를 석탄사일로(20) 내부에 수용하여 적층구조로 적재되어있는 석탄사일로(20) 내부의 상세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구성되어서,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10)를 통하여 내부에 설정된 양의 미스트를 분사가능하게 하여 석탄사일로 내부의 폭발 또는 화재를 예방하고자 한다.
하지만, 모니터링 결과와 연동하는 미스트 분사를 보다 구체화하고 날씨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2620호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2020.07.1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7809호 (먼지 결합 장치 및 방법, 2019.06.17)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석탄저장고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여 절수하도록 하고, 과도한 분진발생에 따른 자연발화를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 전면부로부터 일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청수 공급관; 상기 패널의 타측 전면부로부터 타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공기 공급관; 상기 청수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청수 공급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전송기; 상기 제1압력전송기의 전단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1감압밸브; 상기 공기 공급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전송기; 상기 제2압력전송기의 전단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2감압밸브; 및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기 제1압력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청수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1감압밸브를 통해 청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와, 상기 제2압력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2감압밸브를 통해 공기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비례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석탄저장고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강우시 또는 습도가 높은 날씨에,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평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감소시키고, 맑거나 건조한 날씨에,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평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습도센서는 석탄저장고의 규모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이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측정되는 석탄저장고 공간을 향하도록 액츄에이터를 통해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수 공급관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로의 우회로 중간에는 청수를 필터링하는 청수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관의 입구측에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석탄저장고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된 분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석탄의 분진의 양에 따라,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석탄저장고 내부에서 석탄에 의해 생성된 분진을 흡진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흡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수 공급관으로 상온 이하의 냉수를 공급하여 석탄저장고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석탄화력발전소의 중앙통제실 서버를 통해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를 원격제어하여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탄저장고에 저장된 석탄의 양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석탄의 양 또는 상기 중앙통제실 서버를 통해 입력된 석탄의 양에 따라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탄저장고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여 절수하도록 하고, 과도한 분진발생에 따른 자연발화를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고, 분사노즐이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분사가능반경을 확장할 수 있고, 흡진기를 통해 분진의 양을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춰 분진의 외부 유출이나 분진의 발화로 인한 폭발가능성을 낮추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110), 패널(110)의 일측 전면부로부터 일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청수 공급관(120), 패널(110)의 타측 전면부로부터 타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공기 공급관(130), 청수 공급관(120)과 공기 공급관(130)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관(140), 분사관(1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50),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10)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습도센서(160), 청수 공급관(12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전송기(171), 제1압력전송기(171)의 전단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1감압밸브(172), 공기 공급관(13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전송기(181), 제2압력전송기(181)의 전단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2감압밸브(182), 및 온습도센서(160)에 의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제1압력전송기(171)에 의해 측정된 청수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1감압밸브(172)를 통해 청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와, 제2압력전송기(181)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2감압밸브(182)를 통해 공기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를 포함하여, 석탄저장고(10)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150)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고, 자연발화를 예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패널(110)은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데,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청수 사용에 따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패널(110)은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에 장착됨에 따라 방폭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청수 공급관(120)은 패널(110)의 일측 전면부로부터 일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되어 일정 압력의 청수를 분사관(140)으로 공급한다.
한편, 청수 공급관(120)의 입구측으로부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로의 감압을 위한 우회로 중간에는 청수를 필터링하는 청수필터(water filter)(121)가 형성되어서, 청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침전물로 인해 청수 공급관(120)의 유로가 좁아지거나 분사노즐(15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청수에 포함된 다른 화합물이 미스트와 분사되어 석탄과 화학반응하여 변질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우회로 중간, 청수필터(121)와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122)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청수 공급관(120)으로 상온 이하의 냉수를 공급하여 분사노즐(150)을 통해 연무형태의 냉각수를 분사하여 석탄저장고(10) 내부공간을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춰 내부공간의 과도한 발열로 인한 발화가능성을 낮추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공기 공급관(130)은 패널(110)의 타측 전면부로부터 타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되어 일정 압력의 공기를 분사관(140)으로 공급한다.
한편, 공기 공급관(130)의 입구측에 공기 공급관(130)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헤파필터 수준의 공기필터(131)가 형성되어서, 공기 공급관(130) 내부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분사관(140)은 다수로 구성되어 청수 공급관(120)과 공기 공급관(130)과 단일로 연통되어 청수와 공기를 혼합하여 분사노즐(150)로 공급한다.
다음, 분사노즐(150)은 분사관(1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미스트를 석탄저장고(10)의 석탄으로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한다.
다음, 온습도센서(160)는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변하는 환경적 변화, 즉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한다.
한편, 온습도센서(160)는 석탄저장고(10)의 규모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분사노즐(150)은 온습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상이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측정되는 석탄저장고(10)의 해당 공간을 향하도록 액츄에이터(151)를 통해 분사각도를 조절하여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측정되는 공간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청수의 공급압력 또는 공기의 공급압력이 낮아 분사노즐(150)에 의한 분사가능한 반경이 줄어드는 경우에도, 액츄에이터(151)를 통해 미스트 분사각도를 변경하여 분사가능한 반경을 확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석탄저장고(10)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된 분진센서(161)를 더 포함하고, 분진센서(161)에 의해 측정된 석탄의 분진의 양에 따라,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분진의 양을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춰 분진의 외부 유출이나 분진의 발화로 인한 폭발가능성을 낮추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석탄저장고(10) 내부에서 석탄에 의해 생성된 분진을 흡진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흡진기(162)를 더 포함하여서, 미스트 분사량 조절에 의해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출 수 없는 경우에는 흡진기(162)를 통해 배기하여 외부 저장소에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다음, 제1압력전송기(pressure transmitter)(171)는 청수 공급관(12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로 전송한다.
다음, 제1감압밸브(reducing valve)(172)는 제1압력전송기(171)의 전단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감압한다.
다음, 제2압력전송기(181)는 공기 공급관(130)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로 전송한다.
다음, 제2감압밸브(182)는 제2압력전송기(181)의 전단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감압한다.
다음, 제1압력비례제어밸브(Electro-Pneumatic regulator)(191)는 온습도센서(160)에 의한 석탄저장고(10)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비례제어방식으로, 제1압력전송기(171)에 의해 측정된 청수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1감압밸브(172)를 통해 대용량의 감압밸브 압력, 예컨대 청수의 공급압력을 1BAR 내지 3BAR 범위내에서 조절하고,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는 제2압력전송기(181)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제2감압밸브(182)를 통해 대용량의 감압밸브 압력, 예컨대 공기의 공급압력을 1BAR 내지 4BAR 범위내에서 조절한다.
여기서,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는 전자식 압력비례제어밸브로 이루어져 4mA 내지 20mA 범위의 전류를 제어하고 0V 내지 10V 범위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분사노즐(150)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은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한 제1감압밸브(172) 및 제2감압밸브(182)의 압력제어를 통해 청수와 공기의 공급압력을 조절하여 미스트 공급을 조절하도록 하는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해 청수와 공기의 공급비율을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석탄저장고(10)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150)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여 절수하도록 하고, 과도한 분진발생에 따른 자연발화를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강우시, 장마철 또는 습도가 높은 날씨, 즉 온습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석탄저장고(10) 내부의 습도가 평일 또는 평상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해 청수 및 공기의 공급압력을 줄여서 미스트 분사량을 감소시키고, 맑거나 건조한 날씨, 즉 온습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평일 또는 평상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해 청수 및 공기의 공급압력을 늘여서 미스트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온습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고온인 경우는 저온인 경우에 비해,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에 의해 청수 및 공기의 공급압력을 늘여서 미스트 분사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이, 석탄화력발전을 위해 석탄의 연소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면서 석탄저장고(10) 내부를 자연발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준으로 습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적 환경요인에 따라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전술한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는 단일 유닛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각 유닛이 다수로 석탄저장고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석탄화력발전소의 중앙통제실 서버(미도시)를 통해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2)를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원격제어하여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석탄저장고(10)에 저장된 석탄의 양을 감지하는 로드셀(163)을 더 포함하고, 로드셀(163)에 의해 감지된 석탄의 양 또는 중앙통제실 서버를 통해 입력된 석탄의 양에 따라 제1압력비례제어밸브(191) 및 제2압력비례제어밸브(191)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의 구성에 의해서, 석탄저장고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서, 무분별한 미스트분사를 방지하여 절수하도록 하고, 과도한 분진발생에 따른 자연발화를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고, 분사노즐이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분사가능반경을 확장할 수 있고, 흡진기를 통해 분진의 양을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춰 분진의 외부 유출이나 분진의 발화로 인한 폭발가능성을 낮추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패널 120 : 청수 공급관
121 : 청수필터 130 : 공기 공급관
131 : 공기필터 140 : 분사관
150 : 분사노즐 151 : 액츄에이터
160 : 온습도센서 161 : 분진센서
162 : 흡진기 163 : 로드셀
171 : 제1압력전송기 172 : 제1감압밸브
181 : 제2압력전송기 182 : 제2감압밸브
191 :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192 : 제2압력비례제어밸브
10 : 석탄저장고

Claims (10)

  1.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 전면부로부터 일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청수 공급관;
    상기 패널의 타측 전면부로부터 타측 후면부로 연통 형성된 공기 공급관;
    상기 청수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석탄화력발전소의 석탄저장고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청수 공급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전송기;
    상기 제1압력전송기의 전단에 형성되어 청수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1감압밸브;
    상기 공기 공급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전송기;
    상기 제2압력전송기의 전단에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압력을 감압하는 제2감압밸브; 및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기 제1압력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청수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1감압밸브를 통해 청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비례제어밸브와, 상기 제2압력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공급압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2감압밸브를 통해 공기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비례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석탄저장고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고,
    상기 청수 공급관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로의 우회로 중간에는 청수를 필터링하는 청수필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강우시 또는 습도가 높은 날씨에,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평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감소시키고,
    맑거나 건조한 날씨에,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평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센서는 석탄저장고의 규모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이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측정되는 석탄저장고 공간을 향하도록 액츄에이터를 통해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의 입구측에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필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석탄저장고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된 분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석탄의 분진의 양에 따라,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석탄저장고 내부에서 석탄에 의해 생성된 분진을 흡진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흡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 공급관으로 상온 이하의 냉수를 공급하여 석탄저장고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석탄화력발전소의 중앙통제실 서버를 통해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를 원격제어하여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석탄저장고에 저장된 석탄의 양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석탄의 양 또는 상기 중앙통제실 서버를 통해 입력된 석탄의 양에 따라 상기 제1압력비례제어밸브 및 상기 제2압력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KR1020200099175A 2020-08-07 2020-08-07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KR10221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5A KR102218434B1 (ko) 2020-08-07 2020-08-07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5A KR102218434B1 (ko) 2020-08-07 2020-08-07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434B1 true KR102218434B1 (ko) 2021-02-22

Family

ID=7468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75A KR102218434B1 (ko) 2020-08-07 2020-08-07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4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69B1 (ko) * 2018-08-09 2019-03-27 (주)샤론테크 비산먼지 제거 장치
KR20190067809A (ko) 2016-10-06 2019-06-17 스테판 위드함 먼지 결합 장치 및 방법
KR102091144B1 (ko) * 2018-10-05 2020-03-23 허인순 비산먼지 방지 장치
KR102114822B1 (ko) * 2020-02-11 2020-05-25 이은석 분진 저감용 미립자 분무장치 및 상기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132620B1 (ko) 2020-01-03 2020-07-10 이정우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809A (ko) 2016-10-06 2019-06-17 스테판 위드함 먼지 결합 장치 및 방법
KR101962769B1 (ko) * 2018-08-09 2019-03-27 (주)샤론테크 비산먼지 제거 장치
KR102091144B1 (ko) * 2018-10-05 2020-03-23 허인순 비산먼지 방지 장치
KR102132620B1 (ko) 2020-01-03 2020-07-10 이정우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114822B1 (ko) * 2020-02-11 2020-05-25 이은석 분진 저감용 미립자 분무장치 및 상기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6719B (zh) 炉况优化监控装置及应用该装置优化的方法
CA24694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ystem integrity in gas conditioning applications
US6079483A (en) Temperature/humidity controller for use in an air conditioner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emperature/humidity control programs used therefor
JP2008307531A (ja) 塗装ブース用空調システム
CN102748827A (zh) 室压控制系统
KR102218434B1 (ko) 석탄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용 미스트 분사장치
JP4971585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210401338U (zh) 高压燃气管道泄漏点燃形成喷射火试验装置
CN104043488B (zh) 测试装置
CN105449157A (zh) 烘干装置、涂敷膜形成装置以及烘干方法
KR102163178B1 (ko) 옥내 저탄장의 비산 먼지 저감 및 화재 예방 시스템
CN104630403A (zh) 一种顶燃式热风炉的烧炉控制方法及烧炉控制系统
CN208501023U (zh) 一种智能控制炉顶降温装置
CN203007286U (zh) 一种高炉炉顶打水降温装置
GB2459986A (en) System for conditioning exterior air for use in a spray booth
CN1038147C (zh) 一种高炉氧煤喷吹氧气的气体供应及控制装置
CN209783776U (zh) 一种工业气体温度智能监测布控系统
CN206503628U (zh) 一种尿素喷射的控制系统
SU1328649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работы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сушилки
CN211313442U (zh) 一种现浇混凝土件喷淋养护装置
CN209679858U (zh) 脱硫塔
KR102209896B1 (ko) 벽면녹화 공조시스템
CN220567266U (zh) 一种垃圾焚烧炉排炉差压测点定时防堵吹扫装置
CN209108515U (zh) 一种生产车间的烟感喷淋消防系统
CN210601071U (zh) 温控阀、间歇式煤气排水器伴热系统及焦炉煤气排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