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09B1 -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809B1 KR102534809B1 KR1020220133742A KR20220133742A KR102534809B1 KR 102534809 B1 KR102534809 B1 KR 102534809B1 KR 1020220133742 A KR1020220133742 A KR 1020220133742A KR 20220133742 A KR20220133742 A KR 20220133742A KR 102534809 B1 KR102534809 B1 KR 102534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guard
- water
- support
- elastic par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ato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으로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재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주택가, 학교 인근 도로, 건설 현장에 자동차 주행이나 건설기계장비들의 사용으로 분진이나 재비산되는 미세먼지의 발생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여 심,뇌혈관 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유발 시키고 있는 현실이다.
도로 미세먼지에는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로 발생되는 크롬(Cr), 납(Pb), 카드뮴(Cd) 등의 중금속 미세입자와 타이어 마모로 발생되는 2.5㎛~10㎛이하의 초미세먼지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특히 인체에 유해하며 도로가 근처를 지나는 보행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진이나 공기중에 미세먼지들은 도로가에 모여 있지만 주행하는 차량의 공기 와류에 의해 확산되어 다시 공기 중으로 미세먼지들을 재확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나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로재비산먼지 및 비산먼지로부터 도로가를 보행하는 보행자나 공사 현장의 작업근로자를 보호하도록 보행자 통로 사이에 위치한 가드기둥을 이용하여 도로가나 공사 현장측에 물을 분사하여 비산먼지를 가라앉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은,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노즐은, 공사현장과 보행자 통로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가드기둥의 공사현장 측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저감하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드기둥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가드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가드파이프 및 급수관 연결봉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공사현장 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을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시간, 약품처리 여부 및 수압을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 관리자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중지하는 수동제어부; 상기 급수관 연결봉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관리하는 펌프관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에 소독이 필요한 경우 소독용 약품을 투입하는 저수조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비의 상태는,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태,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의 누수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드기둥은, 보행자 통로 측에 광고가 출력되는 광고판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드기둥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바닥면과의 사이에 지지기둥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기둥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기둥;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기둥;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제1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하는 제2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단기둥을 보호하는 바닥지지부; 및 상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₃'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은 상기 중앙기둥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기둥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는, 하단에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부는, 상기 중앙기둥이 위치한 하단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가드기둥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단기둥이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가드기둥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가 바닥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공기 정화장치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크는, 일측면에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장치와 공기이송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공기정화장치로부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크는, 착용되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걸이부, 사용자의 안면을 가려주는 안면부, 상기 공기이송호스와 연결되되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이동수단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정화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정화필터가 다수 개 내부에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저장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저장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면은 상단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저장부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단면과의 사이에 지지기둥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저장부의 상단면은,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필터저장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공기정화필터를 보호하도록 일정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기둥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기둥;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기둥;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제1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하는 제2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단기둥을 보호하는 바닥지지부; 및 상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₃'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은 상기 중앙기둥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기둥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는, 하단에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부는, 상기 중앙기둥이 위치한 하단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필터저장부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단기둥이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필터저장부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가 바닥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은 도로나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로재비산먼지 및 비산먼지로부터 도로가를 보행하는 보행자나 공사 현장의 작업근로자를 보호하도록 보행자 통로 사이에 위치한 가드기둥을 이용하여 도로가나 공사 현장측에 물을 분사하여 비산먼지를 가라앉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서버를 통해 분사노즐로 물이 분사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관리자가 자리를 비웠을 때도 비산먼지 저감을 효율적으로 시킬 수 있다.
또한, 가드기둥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기둥은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어 크기가 다른 충격 또는 진동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충격 또는 진동을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통해 흡수할 수 있다.
즉, 지지기둥을 통해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중 하나만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반면, 지지기둥을 통해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모두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하단기둥은 프레임부와 같이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견고한 소재로 형성된 만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구비함에 따라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한 충격흡수부에 의해 제2 흡입부에서 분진을 흡입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배출부에서 분진을 배출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프레임부의 내부에 별도의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아 하단에 가라앉은 분진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의 중앙에 위치한 완충패드는 상단지지대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지지대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의 하단에 위치한 삽입돌출부는 바닥면에 삽입되되 케이스부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케이스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지지기둥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지지기둥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10)은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110)을 제어하는 제어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서버(300)는 데이터전송부(310), 자동제어부(350), 수동제어부(330), 펌프관리부(370) 및 저수조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전송부(310)는 분사노즐(110), 가드파이프(130) 및 급수관 연결봉(150)을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제어부(350)는 분사노즐(110)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시간, 약품처리 여부 및 수압을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수동제어부(330)는 관리자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펌프관리부(370)는 급수관 연결봉(150)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관리할 수 있다.
저수조관리부(390)는 분사노즐(110), 가드파이프(130) 및 급수관 연결봉(150)에 소독이 필요한 경우 소독용 약품을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소독용 약품은 관리자에 의해 저수조관리부(390)에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분사노즐(110)은 공사현장과 보행자 통로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가드기둥(200)의 공사현장 측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저감하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가드기둥(200)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공사현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 개 위치할 수 있다.
분사노즐(110)은 가드기둥(200)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가드파이프(130) 및 급수관 연결봉(1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공사현장 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장비의 상태는 분사노즐(110), 가드파이프(130) 및 급수관 연결봉(150)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태, 분사노즐(110), 가드파이프(130) 및 급수관 연결봉(150)의 누수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기둥(200)은 보행자 통로 측에 광고가 출력되는 광고판(21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어 보행자 통로를 공사현장의 비산먼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광고를 출력하여 광고이익을 낼 수도 있다.
가드기둥(200)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바닥면과의 사이에 지지기둥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지지기둥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기둥(800)은 프레임부(810), 중앙기둥(820), 하단기둥(840), 제1 탄성부(830), 제2 탄성부(860), 바닥지지부(850) 및 기둥연결부(8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8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810)는 하단에 하단기둥(84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하단기둥(84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817, 819)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810)는 상단에 위치하는 가드기둥(200)의 무게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견디기 위한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817, 819)는 중앙기둥(820)이 위치한 하단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부(810)의 내측에 위치한 중앙기둥(820), 끼움부(817, 819), 하단기둥(840) 및 바닥지지부(850)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기둥(820)은 프레임부(810)의 내측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되되 프레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기둥(820)의 비어 있는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1 탄성부(8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앙기둥(82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기둥연결부(870)와 연결되는 부착부재(82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재(821)는 기둥연결부(870)의 하단과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본드 등의 소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둥연결부(870)가 형성된 소재를 고려하여 기둥연결부(870)가 중앙기둥(8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단기둥(840)은 중앙기둥(8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기둥(840)은 중앙기둥(82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부(810)의 위치 및 높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기둥(840)은 프레임부(810)와 같이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견고한 소재로 형성된 만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중앙기둥(8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하단기둥(840)의 상단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가드기둥(200)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단기둥(840)이 중앙기둥(820)의 내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하단기둥(840)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가드기둥(200)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프레임부(810)가 바닥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기둥(800)은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구비하고 있어 크기가 다른 충격 또는 진동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충격 또는 진동을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통해 흡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 중 하나만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반면,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 모두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바닥지지부(850)는 하단기둥(84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기둥(84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하단기둥(84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850)의 외측 직경은 하단기둥(8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어 바닥면으로부터 하단기둥(840)을 보호할 수 있다.
기둥연결부(870)의 상단은 프레임부(810)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₃'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은 중앙기둥(820)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둥연결부(870)는 프레임부(810)에 고정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중앙기둥(820)이 프레임부(810)의 내측에 위치한 자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901)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충격흡수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격흡수부(900)는 상단지지대(910), 완충패드(930), 하단지지대(950), 고정기둥(970) 및 케이스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지지대(910)는 프레임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상단지지대(910)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후술하는 고정기둥(970)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단지지대(910)의 상단은 프레임부와 맞닿아 고정되도록 부착 소재(91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패드(930)는 상단지지대(910)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단지지대(910)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지지대(910)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패드(930)는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950)는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완충패드(9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대(950)는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950)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952)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951, 955)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앙프레임(95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프레임(952)은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953)이 형성되어 있어 완충패드(93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951, 955)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한 고정기둥(97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한 고정기둥(9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951, 955)은 하단지지대(95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되 하단지지대(950)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기둥(97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둥(970)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완충패드(930) 및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단지지대(91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기둥(970)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단지지대(910)의 하단에 형성된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기둥(97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단지지대(910)의 내측홈에 고정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이나 방법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기둥(970)의 상단에 본드 등의 부착 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기둥(970)의 직경이 상단지지대(910)의 내측홈에 억지 끼움 고정 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부(990)는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기둥(9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90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99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둥끼움부(992)는 각각 'ㄱ'및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케이스부(990)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부(990)의 상단 내측은 고정기둥(970)의 중앙부가 케이스부(990)에 끼움 고정되도록 기둥끼움부(992)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둥끼움부(992)의 상단은 하단지지대(950)에 밀착되어 있어 케이스부(990)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991, 99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991, 993)는 상단지지대(910)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고정기둥(970)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프레임(951, 955)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케이스부(990)의 상단에 위치한 돌출부(991, 99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외측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지지대(950) 및 지지프레임(951, 955)이 진동하더라도 둥글게 형성된 돌출부(991, 993)에 의해 제자리로 부드럽게 돌아올 수 있어 하단지지대(9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바닥면(901)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9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995)는 바닥면(901)에 삽입되되 케이스부(990)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부(990)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991, 993)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997)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케이스부(990)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공기정화장치(30)는 사용자의 안면에 사용되는 마스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700)는 일측면에 연결부(750)가 구비되어 있고, 연결부는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부(600)와 공기이송호스(65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공기정화부(600)로부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마스크(700)로 공급할 수 있다.
마스크(700)는 착용되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걸이부(710), 안면을 가려주는 안면부(730), 공기이송호스(650)와 연결되되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750) 및 연결부(750)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정화부(600)는 마스크(700)를 착용한 착용자의 이동수단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정화부(600)에 내장되어 있는 공기정화필터는 제1 필터(610) 및 제2 필터(6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를 빨아들여 미세한 먼지(또는 세균류)를 걸러내고, 깨끗해진 공기만 기기 밖으로 방출하는 집진(集塵)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공기정화부(600)에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가 다수 개 내부에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저장부(500)가 구비되도록 형성된 자전거 등의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마스크(7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필터저장부(5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면은 상단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로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저장부(500)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단면과의 사이에 지지기둥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공기정화장치의 일부 구성인 지지기둥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기둥(800)은 프레임부(810), 중앙기둥(820), 하단기둥(840), 제1 탄성부(830), 제2 탄성부(860), 바닥지지부(850) 및 기둥연결부(8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8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810)는 하단에 하단기둥(84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하단기둥(84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817, 819)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810)는 상단에 위치하는 필터저장부(500)의 상단면의 무게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견디기 위한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817, 819)는 중앙기둥(820)이 위치한 하단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부(810)의 내측에 위치한 중앙기둥(820), 끼움부(817, 819), 하단기둥(840) 및 바닥지지부(850)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기둥(820)은 프레임부(810)의 내측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되되 프레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기둥(820)의 비어 있는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1 탄성부(8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앙기둥(82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기둥연결부(870)와 연결되는 부착부재(82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재(821)는 기둥연결부(870)의 하단과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본드 등의 소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둥연결부(870)가 형성된 소재를 고려하여 기둥연결부(870)가 중앙기둥(8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단기둥(840)은 중앙기둥(8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기둥(840)은 중앙기둥(82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부(810)의 위치 및 높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기둥(840)은 프레임부(810)와 같이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견고한 소재로 형성된 만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중앙기둥(8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하단기둥(840)의 상단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830)는 필터저장부(500)의 상단면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단기둥(840)이 중앙기둥(820)의 내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하단기둥(840)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860)는 필터저장부(500)의 상단면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프레임부(810)가 바닥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기둥(800)은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구비하고 있어 크기가 다른 충격 또는 진동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충격 또는 진동을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를 통해 흡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 중 하나만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반면,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 제1 탄성부(830) 및 제2 탄성부(860) 모두 수축 구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바닥지지부(850)는 하단기둥(84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기둥(84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하단기둥(84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850)의 외측 직경은 하단기둥(8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어 바닥면으로부터 하단기둥(840)을 보호할 수 있다.
기둥연결부(870)의 상단은 프레임부(810)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₃'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은 중앙기둥(820)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둥연결부(870)는 프레임부(810)에 고정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중앙기둥(820)이 프레임부(810)의 내측에 위치한 자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901)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충격흡수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격흡수부(900)는 상단지지대(910), 완충패드(930), 하단지지대(950), 고정기둥(970) 및 케이스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지지대(910)는 프레임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상단지지대(910)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후술하는 고정기둥(970)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단지지대(910)의 상단은 프레임부와 맞닿아 고정되도록 부착 소재(91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패드(930)는 상단지지대(910)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단지지대(910)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지지대(910)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패드(930)는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950)는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완충패드(9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대(950)는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950)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952)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951, 955)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앙프레임(95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프레임(952)은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953)이 형성되어 있어 완충패드(93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951, 955)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한 고정기둥(97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952)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한 고정기둥(9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951, 955)은 하단지지대(95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되 하단지지대(950)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기둥(97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둥(970)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완충패드(930) 및 하단지지대(950)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단지지대(91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기둥(970)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단지지대(910)의 하단에 형성된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기둥(97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단지지대(910)의 내측홈에 고정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이나 방법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기둥(970)의 상단에 본드 등의 부착 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기둥(970)의 직경이 상단지지대(910)의 내측홈에 억지 끼움 고정 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부(990)는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기둥(9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951, 955)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90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99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둥끼움부(992)는 각각 'ㄱ' 및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고정기둥(970)이 케이스부(990)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부(990)의 상단 내측은 고정기둥(970)의 중앙부가 케이스부(990)에 끼움 고정되도록 기둥끼움부(992)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둥끼움부(992)의 상단은 하단지지대(950)에 밀착되어 있어 케이스부(990)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991, 99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991, 993)는 상단지지대(910)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고정기둥(970)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프레임(951, 955)은 하단지지대(95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케이스부(990)의 상단에 위치한 돌출부(991, 99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외측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지지대(950) 및 지지프레임(951, 955)이 진동하더라도 둥글게 형성된 돌출부(991, 993)에 의해 제자리로 부드럽게 돌아올 수 있어 하단지지대(9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부(990)는 바닥면(901)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9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995)는 바닥면(901)에 삽입되되 케이스부(990)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부(990)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991, 993)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997)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케이스부(990)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Claims (3)
-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공사현장과 보행자 통로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가드기둥의 공사현장 측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저감하도록 물을 분사하고,
상기 가드기둥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 개 위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가드기둥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가드파이프 및 급수관 연결봉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공사현장 측으로 분사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을 포함한 장비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시간, 약품처리 여부 및 수압을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
관리자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중지하는 수동제어부;
상기 급수관 연결봉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관리하는 펌프관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에 소독이 필요한 경우 소독용 약품을 투입하는 저수조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의 상태는,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태, 상기 분사노즐, 상기 가드파이프 및 상기 급수관 연결봉의 누수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기둥은,
보행자 통로 측에 광고가 출력되는 광고판이 구비되어 있는,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기둥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되 바닥면과의 사이에 지지기둥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기둥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기둥;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기둥;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제1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하는 제2 탄성부;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기둥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단기둥을 보호하는 바닥지지부; 및
상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₃'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은 상기 중앙기둥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기둥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하단에 상기 하단기둥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기둥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중앙기둥이 위치한 하단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탄성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가드기둥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단기둥이 상기 중앙기둥의 내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가드기둥의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가 바닥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축 구동하는,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3742A KR102534809B1 (ko) | 2022-10-18 | 2022-10-18 |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3742A KR102534809B1 (ko) | 2022-10-18 | 2022-10-18 |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4809B1 true KR102534809B1 (ko) | 2023-05-18 |
Family
ID=8654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3742A KR102534809B1 (ko) | 2022-10-18 | 2022-10-18 |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480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281B1 (ko) * | 2012-08-24 | 2012-12-13 | 지케이주식회사 | 자체 세정 기능을 갖는 난간대 |
KR102077942B1 (ko) * | 2018-10-12 | 2020-02-14 | 김원철 | 산업재해 예방 및 비산 먼지 방지용 이동식 살수대 |
KR102090469B1 (ko) | 2019-10-31 | 2020-03-18 |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영상 인식 기반의 물 분사 장치 및 방법 |
KR102091144B1 (ko) * | 2018-10-05 | 2020-03-23 | 허인순 | 비산먼지 방지 장치 |
KR102198167B1 (ko) * | 2020-02-10 | 2021-01-04 | 김용근 | 지상 구조물 주변 환경 관리 시스템 |
KR20220000685A (ko) * | 2020-06-26 | 2022-01-04 | 김성우 | 공사현장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
-
2022
- 2022-10-18 KR KR1020220133742A patent/KR1025348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281B1 (ko) * | 2012-08-24 | 2012-12-13 | 지케이주식회사 | 자체 세정 기능을 갖는 난간대 |
KR102091144B1 (ko) * | 2018-10-05 | 2020-03-23 | 허인순 | 비산먼지 방지 장치 |
KR102077942B1 (ko) * | 2018-10-12 | 2020-02-14 | 김원철 | 산업재해 예방 및 비산 먼지 방지용 이동식 살수대 |
KR102090469B1 (ko) | 2019-10-31 | 2020-03-18 |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영상 인식 기반의 물 분사 장치 및 방법 |
KR102198167B1 (ko) * | 2020-02-10 | 2021-01-04 | 김용근 | 지상 구조물 주변 환경 관리 시스템 |
KR20220000685A (ko) * | 2020-06-26 | 2022-01-04 | 김성우 | 공사현장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0813B1 (ko) | 실내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 |
KR102534809B1 (ko) | 도로재 비산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물 분사 시스템 | |
BRPI0520322A2 (pt) | sistema de gramado sintético que possui estrutura de captura de enchimento | |
KR102195941B1 (ko) | 클린에어 공급장치 | |
CA2935139A1 (en) |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enclosed space | |
KR20130142260A (ko) |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 |
KR101816833B1 (ko) | 살수와 먼지 흡입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 및 운전석 양압 형성 구조를 가지는 집진차량 및 이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 |
DE102009007996A1 (de) | Baumaschine zum Streuen von Streugut auf Böden | |
KR20130091883A (ko) | 소독액 분무장치 | |
KR101649932B1 (ko) | 동물 차단용 가드레일 겸용 펜스 | |
JPS58500559A (ja) | 乗り物からのはね掛けおよび飛沫を減らす装置 | |
ES2065594T3 (es) | Casette recambiable. | |
KR101481422B1 (ko) |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노즐 | |
CN207393091U (zh) | 一种卷筒式可拆卸防蚊纱窗 | |
JP3297722B2 (ja) | 砂場清掃装置 | |
US20030222000A1 (en) | Cleaning system for animal litter and bedding | |
AU2005232272A1 (en) | A Shaker Grid | |
CN218590053U (zh) | 一种新型自吸式抑尘车罐体 | |
JP3193797U (ja) | 路面除染小型清掃車 | |
CN213881252U (zh) | 一种便于移动的玉露香梨灌溉装置 | |
IT1310887B1 (it) | Apparecchio di pulizia ad aspirazione | |
KR20220109594A (ko) | 먼지 막는 펜스 | |
CN220230315U (zh) | 一种基坑爆破降尘防飞石装置 | |
CN219445445U (zh) | 一种不易侧翻的混凝土振动台 | |
CN213030105U (zh) | 一种防摔的铝制香水喷雾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