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941B1 - 클린에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클린에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941B1
KR102195941B1 KR1020190058997A KR20190058997A KR102195941B1 KR 102195941 B1 KR102195941 B1 KR 102195941B1 KR 1020190058997 A KR1020190058997 A KR 1020190058997A KR 20190058997 A KR20190058997 A KR 20190058997A KR 102195941 B1 KR102195941 B1 KR 10219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filter
air supp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572A (ko
Inventor
이기수
이상아
이가영
이우창
Original Assignee
이기수
이상아
이가영
이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수, 이상아, 이가영, 이우창 filed Critical 이기수
Priority to KR102019005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9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금속,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 계통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여과하여 공급하는 클린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필터부를 통해 미세먼지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가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마스크 본체 상부를 개방시킴으로써 마스크 본체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대화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깨끗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에센셜 오일류를 편승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에센셜 오일류 특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린에어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lean air}
본 발명은 클린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이 요구되는 주방에서 일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입 가리개나 위생 마스크 또는 미세먼지, 매연, 유해가스 등이 많은 공간이나 야외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착용하는 마스크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금속,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 계통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여과하여 공급하며, 호흡 곤란 및 대화에 장애가 없는 클린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 등과 같은 지역에서 발원하는 미세먼지로서 주로 규소와, 철, 망간, 알루미늄 등이 토양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중국의 산업화로 근래에는 납, 카드뮴 등과 같은 중금속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화학물질이 다량 함유함에 따라 그 폐해와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황사에 포함된 대표적 중금속 농도는 일반 공기에 비해 2배 내지 15배 이상 높고, 납은 13배, 카드뮴은 14배, 크롬은 21배나 많은 것으며, 납 성분은 신경과 근육을 마비시키고, 카드뮴은 폐암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크롬은 신장질환과 기관지염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황사에 포함된 극미세 먼지는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욱 심각하여 코와 기관지 등 호흡기 방어막을 통과해 폐에 축적되거나 혈관은 물론 신장·간까지 직접 침투하고 폐포가 망가진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자(COPD)나 천식 환자에겐 치명적이다.
근래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0.1㎛ 이하의 극세 먼지는 실핏줄을 타고 직접 혈관내로 들어가 혈액을 뭉치게 해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24% 높아지고, 이중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확률 또한 76%씩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마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2997호에는 외피 사이에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항균필터인 헤파필터를 삽입한 것으로, 헤파필터는 미세한 먼지는 물론 세균까지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확대된 부분과 같이 헤파필터를 여러 번 접어서 표면적을 외피보다 1.5배 이상 넓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2겹의 외피 사이에 헤파필터가 내장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마스크가 2겹의 외피와 여러번 접힌 헤파필터로 이루어진 다겹 구조이므로 호흡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어렵고, 장기간 사용시에는 호흡으로 인한 습기가 차서 축축해지며, 이로 인해 코나 입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더욱 호흡하는 것이 힘들어 질 뿐만 아니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어려워 호흡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입을 막고 있어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대화가 어렵고, 보행 중이나 운동 중에는 숨공기가 마스크의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공기의 상승현상으로 인해 안경 착용자는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보행 또는 각종 행동에 상당한 장애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735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09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생이 요구되는 주방에서 일하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매연, 유해가스 등의 많은 공간에서 근무하는 경찰, 소방관, 주차관리자 등이 착용하는 마스크에 적용하여 위생 수준을 향상 및 미세먼지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호흡 곤란을 유발하지 않고, 대화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린에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사용자의 안면부 전방 측에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 안면부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도록 형성된 가림판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에 지지되는 턱지지대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 측에 결합된 착용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일 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공간부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본체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턱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필터부를 설치 및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구 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공간부와 배터리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내장하기 위한 내장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유동공간부를 독립된 복수의 단위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획벽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구획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일 측 구획벽에 형성된 개방구는 인접하는 타 측 구획벽의 개방구와 상하방향으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공간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에센셜 오일류를 흡수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승시킬 수 있도록 에센셜 오일류가 수용되고, 상기 구획벽의 하단에는 상기 단위공간부에 수용된 에션셜 오일류가 인접하는 단위공간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에센셜 오일류를 흡수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승시킬 수 있도록 에센셜 오일류가 수용되고, 상기 필터부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위생 및 청결이 요구되는 주방이나 미세먼지, 매연, 유해가스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공간이나 야외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마스크에 적용하여 위생 수준을 향상시키고, 미세먼지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가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하며, 마스크 본체 상부를 개방시킴으로써 마스크 본체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대화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깨끗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에센셜 오일류를 편승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에센셜 오일류 특유의 기능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착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의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부(200)와, 에어공급부(300)를 구비한다.
마스크 본체(100)는 프레임(110)과, 가림판(120)과, 턱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안면부 전방 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안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사용자의 안면부 측을 향하는 일 면에는 가림판(120)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부와, 프레임(110)으로부터 안면부를 향해 돌출된 장착돌기가 더 구비된다.
가림판(120)은 사용자 안면부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릴 수 있도록 하단 측이 프레임(110)의 삽입부 및 장착돌기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호흡 곤란 및 대화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안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림판은 외기가 사용자의 안면부와 가림판 사이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 측이 사용자의 안면부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사용자의 안면부 윤곽을 따라 안면부 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어공급부에서 가림판과 안면부 사이로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가림판 외부의 공기가 가림판과 안면부 사이로 진입되는 것이 일정 부분 차단된다.
턱지지부(130)는 사용자의 턱에 접촉되어 프레임(110) 및 가림판(120)을 사용자의 턱에 지지시킬 수 있게 된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중앙 측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안면부 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턱에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된다.
턱지지부(130)는 지지대(131)와, 접촉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31)는 일 단이 프레임(110)의 중앙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안면부 측을 향해 연장된다. 지지대(131)는 후술하는 분사노즐부(360)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접촉부(135)는 지지대(131)의 단부에 결합되고, 입 부분 바로 아래 측의 턱 부분에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접촉부(135A)와, 제1접촉부(13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목과 입 사이의 턱 부분에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된 제2접촉부(1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용부(200)는 마스크 본체(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100)의 일 측에 결합된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훅에 일 측이 걸어 결합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타 측은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어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된다. 착용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를 적용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300)는 하우징(301)과, 필터부(302)와, 송풍부(303)와, 배터리부(304)와, 공급관(350)과, 분사노즐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01)은 내부에 필터부(302)와 송풍부(303)와 배터리부(304) 및 컨트롤러(305)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하우징(301)은 공간부를 갖는 본체(301A)와, 덮개부(301B)로 구성되며, 덮개부(301B)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01)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도록 벨트착용클립(317)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공급관(350)이 연결되는 송풍구가 형성된다.
필터부(302)는 하우징(301)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착프레임(302A)에 장착되며, 송풍부(303)는 필터장착프레임(302A)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공급관(350)은 하우징(301)에 일 측이 연결되고 타 측은 착용부의 마스크 본체에 결합되어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본체에 공급한다.
그리고, 분사노즐부(360)는 프레임(110)과 턱지지부(13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관(350)을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공급관(350)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된 공기가 상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된 유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여과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사구(361)가 형성된다. 분사노즐부(360)의 상부는 사용자의 안면부 코 주변을 향해 지향성을 갖도록 더욱 상하게는 사용자의 코 주변으로 여과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공급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에 일 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과, 필터부(320)와, 송풍부(330)와, 배터리부(340)와, 공급관(350)과, 분사노즐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공간부와 연통되는 유입구(313)와 배출구(315)가 형성된다. 본 실시 에에서 하우징(310)의 하부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하우징(310)의 상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유입구와 배출구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탈착결합부(317)가 구비된다. 탈착결합부(3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310)과의 사이에 벨트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 형태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집게 형태 또는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310)의 내부 일 측에는 격벽(311)에 의해 공간부와 구획되고, 송풍부(3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340)가 내장되는 내장공간부가 구비된다. 배터리부(340)로서, 통상의 건전지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건전지의 교체를 위해 내장공간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의 일 측에 하우징(310)에 탈착 가능한 배터리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부(340)를 충전 및 방전 가능한 이차전지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전원을 배터리부(340)에 입력하기 위한 충전단자부가 하우징(3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필터부(320)의 교체를 위해 공간부를 개폐하는 필터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320)는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공간부 전체를 점유하는 크기를 갖는 필터부(320)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다양한 형태의 필터부(32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터부(320)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매연, 유해가스,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헤파필터, 카본필터 등과 같은 고성능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터부 내에는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물질을 편승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의 에센셜 오일 또는 고체 형태의 천연항균제, 고체 형태의 디퓨저나 향초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송풍부(330)는 공간부 내의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간부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 측으로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풍부(330)는 구동모터를 감싸 지지하는 설치대를 통해 필터부(320) 상측의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정된다.
공급관(350)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 본체(100) 측으로 공급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며, 인체에 무해하고, 유연하며,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분사노즐부(360)는 프레임(110)과 턱지지부(13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관(350)을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공급관(350)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된 공기가 상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된 유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여과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사구(361)가 형성된다. 분사노즐부(360)의 상부는 사용자의 안면부 코 주변을 향해 지향성을 갖도록 더욱 상하게는 사용자의 코 주변으로 여과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에어공급부(30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호흡시 미세먼지 등 오염된 공기가 인체로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과된 공기가 안면부 주변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마스 본체 외부에서 마스크 본체(100)와 안면부 사이로 외부 공기가 들어 올 수 없어 항상 깨끗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마스크 본체(100)의 가림판(120)과 사용자의 안면부 사이가 개방되어 호흡이 원활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에 장애가 없으며, 안경 착용자 또한 안경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부(200)와, 에어공급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부(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에어공급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에 일 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과, 필터부(320)와, 송풍부(330)와, 배터리부(340)와, 공급관(350)과, 분사노즐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의 공간부에는 격벽(311)과, 복수의 구획벽(312)이 형성된다.
격벽은 하우징(310) 내의 공간부를 필터부(320)를 설치 및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구 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공간부와 배터리 및 상기 송풍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내장하기 위한 내장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하우징(3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구획벽(312)은 유동공간부를 독립된 복수의 단위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하로 연장되고,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필터부(320)는 구획벽(312)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구획벽(312)에는 각각 유입구를 통해 유동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3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구(312A)가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구획벽(312)들 중에서 일 측 구획벽(312)에 형성된 개방구(312A)는 인접하는 타 측 구획벽(312)의 개방구(312A)와 상하방향으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310) 내부의 유동공간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복수의 구획벽(312)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필터부(320)들을 거쳐 상하로 지그재그로 왕복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필터링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공간부에는 필터부(320)에 에센셜 오일류(400) 또는 항균제를 흡수시켜 필터부(320)를 통과하는 공기에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물질을 편승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에센셜 오일류(400) 또는 천연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수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벽(312)의 하단에는 단위공간부에 수용된 에션셜 오일류 또는 항균수가 인접하는 단위공간부로 자유롭게 유동 및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연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부(320)는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단 일부가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수에 침지되게 설치된다.
필터부(320)에 흡수되는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수는 필터부(320)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승하여 배출구 측으로 이동된다.
에센셜 오일은 자연에서 성장하거나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방향성 식물의 잎, 줄기, 껍질, 꽃잎, 뿌리 등에서 추출한 방향유로서 식물에서 추출한 호르몬 성분으로 식물의 생명력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인체 사용 가능 정유는 약 70종이 있으며 단일 오일로 쓰일 수도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최소량의 사용으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2종류 내지 3종류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에센셜 오일은 체내에 자극을 주며 몸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자극촉진작용, 피로를 풀고 심신을 이완 시키는 진정작용, 엔돌핀을 많이 나오게 하여 기분을 좋게 하는 최음 작용, 체내의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는 작용으로 신체의 밸런스를 조절하며, 백혈구의 수를 증가시켜 체내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등 매우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에센셜 오일은 그레이프 프릇(Garapefruit), 네롤리(Nenolri), 니아울리(Niaouli), 라벤더(Lavender), 라임(Lime), 레몬(Lemon), 레몬 그래스(Lemongrass), 레몬밤(멜리사) Melissa officinalis, 로즈(Rose), 로즈마리(Rosemary), 로즈우드(Rosewood), 마조람(Majoram), 만다린 (Citrus madurensis), 머틀-은매화-소귀나무(Myrtle), 미르-몰약(Myrrh), 바질(Basil), 버베나, 버취-자작나무(Birch), 베르가 못-(Bergamot), 베이-월계수(Bay), 벤조인-안식향(Benzoin), 사이프러스(Cypress), 샌달우드(Sandaiwood), 시나몬(Cinnamon),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렌지 스윗(Orange sweet), 유칼립투스(Eucalypus),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Jasmine), 제라늄 (Geranium), 쥬니퍼베리(Juniper derry), 진저-생강(Ginger), 카모마일 로만(Roman chamonile), 카모마일 저먼(German chamonile), 캠퍼(Camphor), 클라리 세이지(Llary sage), 타임(Thyme), 탠저린(Tangerine), 티트리(Tea tree), 팔마로사(Paimarosa), 패?Z리(Patchouli), 페티 그레인(Petitgrain), 페퍼민트(Peppermint), 프랑킨센스(Frankincense), 펜넬(Fennel), 히솝(Hyssop)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부(200)와, 에어공급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마스크 본체(100)와, 착용부(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에어공급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에 일 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과, 필터부(320)와, 송풍부(330)와, 배터리부(340)와, 공급관(350)과, 분사노즐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의 공간부에는 필터부(320)에 에센셜 오일류(400)를 흡수 및 상기 필터부(320)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승시킬 수 있도록 에센셜 오일류(400) 또는 항균수가 수용된다.
그리고, 필터부(320)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부(320)는 제1필터부재(321)와 제2필터부재(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필터부재(321)는 원통 또는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필터본체(321A)와, 필터본체(321A)의 상단에 결합되고 필터본체(321A)의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3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필터부재(322)는 원통 또는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필터부재(321)의 필터본체(321A)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 필터본체(322A)와, 필터본체(322A)의 상단에 결합되고 필터본체(322A)의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3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필터부(320)는 2개의 필터부재(321, 322)를 적용하였으나, 3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제1필터부재(321)는 하우징(310)에 구비된 제1턱부(317)에 플랜지부(321B)가 안착 및 하단 일부가 하우징(310)의 바닥과 인접하여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된 에센셜 오일류(400) 또는 항균수에 침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2필터부재(322)는 제1필터부재(321)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턱부(317)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제2턱부(318)에 플랜지부(322B)가 안착 및 하단 일부가 하우징(310)의 바닥과 인접하여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된 에센셜 오일류(400) 또는 항균수에 침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복수의 필터부재(321, 322)를 통과시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다중으로 제거하며, 이와 동시에 필터부재(321, 322)에 흡수된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수 입자를 공기에 함유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수로 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에어 공급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마스크 본체
110 : 프레임
120 : 가림판
130 : 턱지지부
200 : 착용부
300 : 에어공급부

Claims (5)

  1. 사용자의 안면부 전방 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안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가리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안면부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의 안면부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가림판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에 지지되는 턱지지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 측에 결합된 착용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일 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공간부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된 공기를 상기 마스크 본체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턱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의 안면부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에센셜 오일 또는 항균물질을 편승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고체상의 에센셜 오일류 또는 천연항균제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에어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8997A 2019-05-20 2019-05-20 클린에어 공급장치 KR10219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7A KR102195941B1 (ko) 2019-05-20 2019-05-20 클린에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7A KR102195941B1 (ko) 2019-05-20 2019-05-20 클린에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2A KR20200133572A (ko) 2020-11-30
KR102195941B1 true KR102195941B1 (ko) 2020-12-28

Family

ID=7364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97A KR102195941B1 (ko) 2019-05-20 2019-05-20 클린에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22B1 (ko) 2021-09-30 2024-04-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KR102620332B1 (ko) * 2021-10-07 2024-01-02 최윤섭 밴드형 코 호흡장치
KR20230103060A (ko) 2021-12-31 2023-07-07 (주)비아이매트릭스 데이터셋을 로딩하기 위한 방법
KR102544651B1 (ko) * 2022-07-14 2023-06-20 씨아이앤티 주식회사 일체형 감압밸브를 구비한 충전식 산소 호흡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78B1 (ko) * 2005-06-17 2006-12-01 한국전력공사 고성능 삼중수소 제거용 전면식 방호호흡기
KR200453810Y1 (ko) 2008-07-11 2011-05-27 김원철 다기능 마스크장치
KR200472036Y1 (ko) 2012-05-02 2014-04-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습식 삼중수소 정화통
KR101460942B1 (ko) * 2014-04-29 2014-11-13 임미영 마스크
KR101674834B1 (ko) * 2015-11-27 2016-11-09 손동훈 습도조절기능을 갖는 멀티 건강마스크
KR101944498B1 (ko) *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81B1 (ko) 2016-08-09 2018-06-08 김성진 스마트 호흡기 보호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78B1 (ko) * 2005-06-17 2006-12-01 한국전력공사 고성능 삼중수소 제거용 전면식 방호호흡기
KR200453810Y1 (ko) 2008-07-11 2011-05-27 김원철 다기능 마스크장치
KR200472036Y1 (ko) 2012-05-02 2014-04-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습식 삼중수소 정화통
KR101460942B1 (ko) * 2014-04-29 2014-11-13 임미영 마스크
KR101674834B1 (ko) * 2015-11-27 2016-11-09 손동훈 습도조절기능을 갖는 멀티 건강마스크
KR101944498B1 (ko) *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2A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941B1 (ko) 클린에어 공급장치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US10245345B2 (en) Atomization separating and silenc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98674B1 (ko) 데미스터 필터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
US20050258554A1 (en) Humidifier with improved UV disinfection
US20170165445A1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CN201436035U (zh) 空气滤毒杀菌机
CN101098716A (zh) 与芳香结合提供空气净化的系统和方法
CN105031779A (zh) 用于引导蜂房空气的方法和设备、以及用作吸入器的用途
CN205390410U (zh) 一种防雾霾口罩
US20190255367A1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DE10226160B4 (de) Luftbefeuchter für ein Beatmungsgerät
CN201558351U (zh) 一种茶香机
CN206737543U (zh) 一种除烟负离子帐篷
JP2005131546A (ja) 超微粒子拡散装置
DE112009005008B4 (de) Inhalation von colostrum oder einem anderen antiallergikum mittels luftwäscher
JP2006212370A (ja) 呼吸用空気濾過器
KR19980065775U (ko)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TWM614198U (zh) 管狀過濾器及用於過濾受污染的環境空氣之系統
CN206715066U (zh) 空气净化单元和装置
CN206656198U (zh) 带净化香薰功能的灭蚊灯
US20210379316A1 (en) Respiratory filter and condensate management apparatus
BE1002513A6 (nl)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en bevochtigen van lucht.
KR102041979B1 (ko)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CN107715335A (zh) 空气净化单元、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