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79B1 -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79B1
KR102041979B1 KR1020190096280A KR20190096280A KR102041979B1 KR 102041979 B1 KR102041979 B1 KR 102041979B1 KR 1020190096280 A KR1020190096280 A KR 1020190096280A KR 20190096280 A KR20190096280 A KR 20190096280A KR 102041979 B1 KR102041979 B1 KR 10204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grill
discharge hol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9009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6Desks with inlet and evacuation of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송풍부가 본체에서 음이온을 송풍시 구획통과커버에 의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구획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송풍부의 송풍 성능 및 공기의 정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는 가구에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어 음이온을 방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가 음이온을 송풍시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구획 가능하게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획통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AIR CLEANING DEVIC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부가 본체에서 음이온을 송풍시 구획통과커버에 의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구획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송풍부의 송풍 성능 및 공기의 정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anion)은 음(-)전기를 띄는 미립자로서, 공기 중에서 매우 활동적이면서도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과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효과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음이온을 마시면 신체 내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활력을 증진시키며,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공부나 업무 및 게임, 통신 등의 여가생활을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에서 보내고 있지만, 실내 공기가 환기되지 않아 책상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어 두통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집중력이 떨어져 학습능률이나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개인용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면서 컴퓨터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도 하고, 기타 전기기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유해 전자파 등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집중력이 저하, 피로누적 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립적인 공기 정화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별도로 구매하여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있으나, 부피가 커서 책상 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9495호(2014.10.10. 공개, 명칭: 탁상용 다기능 공기 정화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송풍부가 본체에서 음이온을 송풍시 구획통과커버에 의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구획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송풍부의 송풍 성능 및 공기의 정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는 가구에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고, 음이온이 방출되는 방출홀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방출홀부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가 음이온을 송풍시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구획 가능하게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획통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통과커버는 그릴부가 돌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그릴부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그릴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마감캡 및 상기 송풍부의 작동시 상기 그릴부를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과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으로 분획시키는 영역분획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분획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방출홀부와 일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토출홀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송풍부에 안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유입홀부 및 상기 송풍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홀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토출홀부에서 상기 그릴부로 통과되는 공기와 상기 그릴부에서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 방지되도록 상기 그릴부를 구획하는 혼합방지구획부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방지구획부는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와, 상기 제1구획부재의 둘레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부를 구획하는 제2구획부재 및 상기 제1구획부재와 상기 제2구획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그릴부의 내측을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과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마감캡에 구비되는 제3구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부와 상기 제1구획부재의 사이에는 프리필터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그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제1구획부재에는 헤파필터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초미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은 착탈부에 의해 상기 그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그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마감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는 송풍부가 본체에서 음이온을 송풍시 구획통과커버에 의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구획되도록 통과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송풍부의 흡입력과 토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토출되는 음이온으로 정화되는 공기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서 구획통과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서 구획통과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서 구획통과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에서 구획통과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송풍부(200) 및 구획통과커버(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가구에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고, 음이온이 방출되는 방출홀부(131)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송풍부(20) 및 구획통과커버(3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120) 및 음이온발생부(120)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송풍부(200)를 안착 가능하게 지지하고, 음이온이 발생되는 부위에 방출홀부(131)가 형성되는 지지부재(130) 및 하우징(110)의 개방 부위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음이온발생부(120)와 송풍부(200)를 동시에 작동 가능하게 조작하는 조작레버(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풍부(200)는 본체(100)의 지지부재(130)에 안착되어 방출홀부(131)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송풍한다. 이러한 송풍부(200)는 작동시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로 유입시키고, 본체(100)로 유입된 공기가 음이온으로 정화되도록 공기를 방출홀부(131) 측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구획통과커버(300)는 송풍부(200)가 음이온을 송풍시 본체(100)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1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구획 가능하게 통과되도록 본체(10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몸체부(310), 마감캡(320) 및 영역분획부(3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310)는 그릴부(311)가 'U'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310)는 본체(100)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고, 마감캡(320) 및 영역분획부(3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몸체부(310)는 노출되는 부위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그릴부(311)는 마감캡(320)이 안착 결합시 몸체부(310)의 가장자리와 마갑캡(320)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몸체부(310)가 함몰된 부위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구에 매립된 본체(100)의 조작레버(14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마감캡(320)에 걸려 상해를 입거나 옷 등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마감캡(320)은 그릴부(311)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릴부(311)로 공기가 통과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마감캡(320)은 송풍부(200)의 작동시 본체(100)로 유입되는 공기와 본체(1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그릴부(311)를 통해서만 통과되도록 유도하여 송풍부(200)의 흡입력과 토출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마감캡(320)은 분리결합부(340)에 의해 그릴부(3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결합부(340)는 그릴부(3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41) 및 걸림홈부(341)에 걸리도록 마감캡(32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3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역분획부(330)는 송풍부(200)의 작동시 그릴부(311)를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과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으로 분획시킨다. 즉, 영역분획부(330)는 외부의 공기가 그릴부(311)로 유입시 음이온으로 정화 가능하게 본체(100)로 이동되는 경로와 본체(100)에서 음이온으로 정화된 공기가 그릴부(3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역분획부(330)는 몸체부(310)에서 방출홀부(131)와 일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토출홀부(331)와, 몸체부(310)에서 송풍부(200)에 안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유입홀부(332)와, 송풍부(20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몸체부(310)에 돌출 형성되어 유입홀부(332)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홀부(331)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33) 및 토출홀부(331)에서 그릴부(311)로 통과되는 공기와 그릴부(311)에서 유입홀부(332)로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 방지되도록 그릴부(311)를 구획하는 혼합방지구획부(334)를 포함한다.
이때, 혼합방지구획부(334)는 몸체부(310)에 돌출 형성되어 유입홀부(332)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334a)와, 제1구획부재(334a)의 둘레면에 연장 형성되어 토출홀부(331)를 구획하는 제2구획부재(334b) 및 제1구획부재(334a)와 제2구획부재(334b)에 안착되어 그릴부(311)의 내측을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과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마감캡(320)에 구비되는 제3구획부재(334c)를 포함한다.
즉, 송풍부(200)의 송풍력으로 외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시키면 오염된 공기는 유입홀부(332)와 연통되는 그릴부(311)로 유입된 후에 마감캡(320)과 제2구획부재(334b)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유입홀부(332)로 이동되고, 본체(100)에서 음이온으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홀부(331)로 토출시키면 정화된 공기는 그릴부(311)의 내측에서 토출홀부(331)와 연통되는 그릴부(311)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혼합방지구획부(334)에 의해 그릴부(311)의 내측 공간이 양분되기 때문에 토출홀부(331)에서 그릴부(311)로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와 그릴부(311)에서 유입홀부(332)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는 이동 경로가 서로 겹치지 않아 음이온으로 정화된 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311)와 제1구획부재(334a)의 사이에는 프리필터부재(350)가 구비되어 그릴부(311)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고, 제1구획부재(334a)에는 헤파필터부재(360)가 수용되어 유입홀부(332)로 유입되는 공기의 초미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그릴부(311)에서 본체(100)로 유입시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이중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본체(100)에서 음이온으로 정화되는 공기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하우징
120: 음이온발생부 130: 지지부재
131: 발생홀부 140: 조작레버
200: 송풍부 300: 구획통과커버
310: 몸체부 311: 그릴부
320: 마감캡 330: 영역분획부
331: 토출홀부 332: 유입홀부
333: 가이드부재 334: 혼합방지구획부
340: 분리결합부 341: 걸림홈부
342: 걸림후크부 350: 프리필터부재
360: 헤파필터부재

Claims (6)

  1. 가구에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고, 음이온이 방출되는 방출홀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방출홀부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가 음이온을 송풍시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구획 가능하게 통과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획통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통과커버는 그릴부가 돌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그릴부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그릴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마감캡 및 상기 송풍부의 작동시 상기 그릴부를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과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으로 분획시키는 영역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분획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방출홀부와 일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토출홀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송풍부에 안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유입홀부와, 상기 송풍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홀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토출홀부에서 상기 그릴부로 통과되는 공기와 상기 그릴부에서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 방지되도록 상기 그릴부를 구획하는 혼합방지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방지구획부는,
    상기 몸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상기 제1구획부재의 둘레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부를 구획하는 제2구획부재; 및
    상기 제1구획부재와 상기 제2구획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그릴부의 내측을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과 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마감캡에 구비되는 제3구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와 상기 제1구획부재의 사이에는 프리필터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그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제1구획부재에는 헤파필터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유입홀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초미세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분리결합부에 의해 상기 그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그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마감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KR1020190096280A 2019-08-07 2019-08-07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KR10204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80A KR102041979B1 (ko) 2019-08-07 2019-08-07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80A KR102041979B1 (ko) 2019-08-07 2019-08-07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79B1 true KR102041979B1 (ko) 2019-11-07

Family

ID=685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80A KR102041979B1 (ko) 2019-08-07 2019-08-07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20180004979A (ko) * 2016-07-05 2018-01-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20180004979A (ko) * 2016-07-05 2018-01-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730B (zh) 空气净化器
CN109420389B (zh) 空气净化器
KR101606890B1 (ko) 디퓨저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팬모터 장치
JP2008012059A (ja) 空気清浄機
JP6486497B2 (ja) 空気清浄機
KR102041979B1 (ko) 가구용 공기 정화장치
US10190786B2 (en) Humidifying air cleaner
KR20160026347A (ko) 공기 청정기
KR20110059225A (ko) 공기 정화기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KR20110097104A (ko) 휴대용 집진장치
JP6139709B2 (ja) 空気調和機
KR10057531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200466747Y1 (ko) 진공청소기
KR20200001745U (ko) 대시보드형 공기청정기
KR100654345B1 (ko) 공기청정기
KR100593077B1 (ko) 공기청정기
KR102629979B1 (ko) 공기 청정기
KR100587116B1 (ko) 공기청정기
KR20190036043A (ko) 분사형 습식노즐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512621B1 (ko) 공기청정기
KR102220089B1 (ko)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0575308B1 (ko) 공기청정기
KR100575315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77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