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514A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514A
KR20220134514A KR1020227016046A KR20227016046A KR20220134514A KR 20220134514 A KR20220134514 A KR 20220134514A KR 1020227016046 A KR1020227016046 A KR 1020227016046A KR 20227016046 A KR20227016046 A KR 20227016046A KR 20220134514 A KR20220134514 A KR 2022013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amber
cleaning
collection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버튼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구(1000)에 있어서, 수집 챔버(130) 및 상기 수집 챔버(130)에 연통된 클리닝 챔버(14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 챔버(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열 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 부재(200)에서 발생되는 그을음은 상기 수집 챔버(130)에 의해 수집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140)에 의해 클리닝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조리기구
본 출원은 2019년 10월 16일에 제출하고 발명의 명칭이 "조리기구"인 제201910986981.4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원용된다.
본 출원은 가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부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일부는 바베큐 기능을 구비하여 음식에 구운 풍미를 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기구는 바베큐 기능을 사용할 때 자주 대량의 그을음을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그을음은 일반적으로 직접 배포되며, 이는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상술한 내용을 선행기술로 간주하는 것은 대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주요한 목적으로서, 조리 과정에 배출되는 그을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제출하는 조리기구는,
수집 챔버 및 상기 수집 챔버에 연통된 클리닝 챔버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 챔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그을음은 상기 수집 챔버에 의해 수집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에 의해 클리닝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는 상기 수집 챔버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 챔버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열 부재의 하부를 마주한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저부에는 상기 수집 챔버 및 상기 클리닝 챔버에 연통된 유체 흐름 개구가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챔버 내에는 세척액을 담기 위한 클리닝 디스크가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챔버의 하우징 벽에 연기 가이드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드부는 상기 클리닝 디스크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드부와 상기 클리닝 디스크 사이에는 기체 통로가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클리닝 챔버와 연통된 배출 챔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는 상기 배출 챔버에 연통된 바람 배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에 의해 클리닝된 공기는 상기 배출 챔버를 통과한 후 상기 바람 배출구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챔버와 상기 배출 챔버 사이의 연통된 위치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챔버에는 배기 팬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름 수집 하우징과 클리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에는 상기 수집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 하우징 내에는 상기 클리닝 챔버가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은 상기 수집 챔버의 상부에 장착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장착 플랫폼에 장착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하우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과 저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저부 커버는 공동으로 에워싸 상기 클리닝 챔버를 형성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수집 챔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굽기 소자와 상기 굽기 소자에 연결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굽기 소자는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을 구비하고, 상기 굽기 소자는 상기 제1 조리면 또는 상기 제2 조리면을 선택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뒤집기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굽기 소자는 상기 수집 챔버와 연통된 기체 흐름 통로를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기체 흐름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수집 챔버 내에 진입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굽기 소자 내에 피복되게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가열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하우징에 서로 연통된 수집 챔버와 클리닝 챔버를 형성하고, 가열 부재를 수집 챔버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가열 부재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발생되는 그을음 연무가 수집 챔버 내에 수집될 수 있으며, 클리닝 챔버를 경유하여 클리닝 처리를 진행된 후 무연 기체로 형성되고서야 외부로 배출되므로, 그을음이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피면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그을음 기체를 대폭으로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진보성 노동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첨부된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명확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조리기구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목적의 실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정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을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노동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의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해당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모든 방향성 지시(예컨대, 상, 하, 좌, 우, 전, 후????)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자태(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각 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특정된 자태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도 상응하게 변화하게 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하고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연결", "고정" 등은 광범위하게 이해하여야 하고, 예를 들어, 달리 명시적으로한정하지 않는 한, "고정"은 고정 연결일 수 있고, 착탈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제2" 등의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그의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로써, "제1", "제2"가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나타난 "및/또는"의 의미는 세개의 병렬된 방안을 포함하며, "A 및/또는 B"를 예로 들면, A 방안, B 방안, 또는 A와 B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안을 포함한다. 또한,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적 방안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현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하여야 하며, 기술적 방안의 결합에 상호 모순이 존재하거나 실현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기술적 방안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으며, 본 출원에서 청구하는 보호 범위 내에도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시인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조리기구(1000)을 제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조리기구(1000)는 하우징(100) 및 가열 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에는 수집 챔버(130) 및 수집 챔버(130)에 연통된 클리닝 챔버(140)가 형성되고, 가열 부재(2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고 수집 챔버(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가열 부재(200)에서 발생되는 그을음은 수집 챔버(130)에 의해 수집되고, 클리닝 챔버(140)에 의해 클리닝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출원의 조리기구(1000)는 음식물에 대한 굽기, 튀기기 등의 조리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주요하게 가열 부재(200) 및 조리기구(1000)의 기타 각 부재에 대해 지지 및 보호를 제공하며, 그의 외형은 실제 수요에 따라 예컨대 육면체, 원기둥, 또는 합리하고 효과적인 기타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열 부재(200)는 그릴 또는 프라이팬 등으로 가열 장치를 통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형성된 부재일 수 있으며, 고온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챔버(130) 는 클리닝 챔버(140)의 상대적으로 상부 위치에 위치하며, 이로써,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그을음 연무는 기류에 대한 제어를 통해 수집 챔버(130)에 의해 수집되고, 이어서 상대적으로 하부의 클리닝 챔버(140)에 유입되어 클리닝 처리가 진행되어, 직접적으로 상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부재(200)는 수집 챔버(13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굽기 소자(210) 및 굽기 소자(210)에 연결되는 가열 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굽기 소자(210)는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을 구비하고, 굽기 소자(210)는 제1 조리면 또는 제2 조리면을 선택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하우징에 뒤집기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굽기 소자(210)는 프라이팬 또는 그릴 등일 수 있으며, 주요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는 매개체를 제공하며, 가열 장치는 가열 와이어 또는 가열 시트 등일 수 있으며, 가열 장치는 전원이 접속된 후 열량을 발생하여 굽기 소자(210)에 전달함으로써, 굽기 소자(210)가 고온을 발생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굽기 소자(210)의 대향되는 양측은 회전축을 통해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회전축을 회전시켜 굽기 소자(210)를 구동시켜 뒤집기를 진행하며, 예를 들어,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구울 경우, 프라이팬의 정면과 반면에 각각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을 설치할 수 있으며, 프라이팬은 두개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하우징(100)과 회전되게 연결되며, 이로써, 두개의 회전축으로 프라이팬을 지지하여, 프라이팬이 뒤집힌 후에도 여전히 균형을 유지시키며,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을 설치하고 뒤집으면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상황에 따라 조리면을 원활하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상기 굽기 소자(210) 내에 피복되게 형성되며, 이로써, 가열 장치와 굽기 소자(210)는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여, 가공 성형이 편리하고, 굽기 소자(210) 내부에 위치한 가열 장치는 열량을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에 균일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두개의 조리면의 조리 성능을 겸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굽기 소자(210)에는 수집 챔버(130)와 연통된 기체 흐름 통로(211)가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기체 흐름 통로(211)를 경유하여 수집 챔버(130) 내에 진입시킨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음식물 조리에서 그을음이 발생될 경우, 이는 기체 흐름 통로(211)를 통해 진입한 신선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수집 챔버(130) 내에 수집되며, 이어서 클리닝 챔버(140)를 흘러지나면서 클리닝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체 흐름 통로(211)를 설치함으로써, 수집 챔버(130)와 클리닝 챔버(140) 내의 기류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그을음 기체를 처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가열 부재(200)를 수집 챔버(130)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에 대해 가열 조리를 진행할 때 발생되는 그을음 연무는 수집 챔버(130) 내에 수집되고, 클리닝 챔버(140)를 흘러지나면서 클리닝 처리가 진행된 후 무연 기체로 형성되고서야 외부로 배출되므로, 그을음이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피면하여, 조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그을음 연무를 대폭으로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의 외표면에는 수집 챔버(130)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클리닝 챔버(140)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가열 부재(200)는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며 수집 챔버(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부재(200)와 수집 챔버(13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상하 설치를 나타내며, 이로써, 기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부의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그을음 연무는 하부의 수집 챔버(130)에 수집되고, 이어서 클리닝 챔버(140)로 클리닝 처리를 진행한 후 배출될 수 있어, 조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그을음 연무를 감소시킨다.
물론,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챔버(13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연무는 직접적으로 하우징(100) 내에 수집되어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실제 상황에 있어서,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유액이 동반되게 발생되므로, 이러한 유액은 고온에 노출된 후 쉽게 그을음을 다시 형성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이러한 유액은 가열 부재(200) 하부의 하우징 벽 상에 잔류하게 되어, 조리기구(1000)의 클리닝에도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유액과 연무를 수집하고 가이드하기에 편리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에는 가열 부재(200)의 하부를 마주한 가이드 경사면(150)이 형성되고, 해당 가이드 경사면(150)의 저부에는 수집 챔버(130)와 클리닝 챔버(140)에 연통된 유체 흐름 개구(151)가 설치된다. 가이드 경사면(150)을 설치함으로써, 한편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그을음은 가이드 경사면(150)과 유체 흐름 개구(151)를 따라 클리닝 챔버(140)에 진입되여 클리닝 처리되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하우징(100)의 하우징 벽에 잔류된 유액은 가이드 경사면(150)의 가이드를 통해 유체 흐름 개구(151)를 통과하여 클리닝 챔버(140)에 집중되어 집중적으로 처리되어, 잔류된 유액이 고온에 노출되어 2차로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하우징(100)에 잔류된 유액이 가이드되고 집중되어, 하우징(100)이 더욱 깨끗하게 유지되고 사용자에 의해 클리닝되기가 편리하게 된다.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닝 챔버(140) 내에는 세척액을 담기 위한 클리닝 디스크(3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클리닝 디스크(300)는 클리닝 챔버(140)의 저부에 설치되고, 클리닝 디스크(300)는 유체 흐름 개구(151)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체 흐름 개구(151)를 통해 유출되는 유액이 집중적으로 클리닝 디스크(300)에 수집될 수 있으며, 세척액은 물과 기름으로 이루어진 액체일 수 있고, 실제 상황에 있어서, 수집 챔버(130) 내의 그을음이 클리닝 챔버(140)에 진입한 후, 클리닝 디스크(300)에 진입할 수 있으며, 클리닝 디스크(300) 중의 세척액과 그을음 중의 물질이 유사 호환성 원칙을 통해 상호 용해되어, 그을음 중의 수용성 물질과 지용성 물질이 모두 세척액에 의해 용해됨으로써, 클리닝 디스크(300)에 의해 클리닝된 그을음이 다시 외부로 배출될 때 상대적으로 깨끗한 기체로 변하게 되어, 환경에 대해 오염을 초래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나아가, 클리닝 챔버(140) 중의 그을음 연무가 클리닝 디스크(300)를 경유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본 출원의 하우징(100)은 클리닝 챔버(140)의 하우징 벽에 연기 가이드부(160)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연기 가이드부(160)는 클리닝 디스크(300)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연기 가이드부(160)와 클리닝 디스크(300) 사이에는 기체 통로(161)가 형성된다. 이로써, 연기 가이드부(160)의 설치를 통해 기체 통로(161)의 공간을 압축시킴으로써, 그을음 연무가 클리닝 챔버(140)를 경유하여 배출되기 전에 클리닝 디스크(300)에 진입하여 용해 처리되도록 하여, 그을음이 클리닝 디스크(300)에 머무는 시간을 대폭으로 증가시켜, 그을음의 용해가 더욱 깨끗해지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에는 클리닝 챔버(140)와 연통된 배출 챔버(170)가 더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하우징 벽에는 배출 챔버(170)에 연통된 바람 배출구(171)가 개방되고, 클리닝 챔버(140)로 클리닝된 공기는 배출 챔버(170)를 통과한 후 바람 배출구(17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챔버(170)는 클리닝 챔버(140)의 측면에 위치되고, 바람 배출구(171)는 클리닝 챔버(140)를 멀리한 배출 챔버(170)의 일측에 연통되며, 이로써, 클리닝 챔버(140)와 배출 챔버(170)를 경유하여 흘러나오는 기류 경로는 "L"형 형상을 형성한다. 배출 챔버(170)의 설치를 통해, 가열 부재(200)로 조리 과정에 발생되는 그을음 연무로 하여금 먼저 하우징(100) 내에 진입하여 클리닝 처리가 진행된 후, 다시 바람 배출구(171)를 통해 깨끗한 기체로 배출하게 되어, 그을음 연무가 직접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피면하게 된다.
나아가, 본 출원의 클리닝 챔버(140)와 배출 챔버(170) 사이의 연통되는 위치에는 필터(400)가 설치된다. 여기서, 필터(400)는 필터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필터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직물 여과법으로 그을음 연기에 대해 여과를 진행하거나, 또는 필터(400)에 활성탄을 설치하여 활성탄 흡착법으로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클리닝 챔버(140)를 통해 클리닝 처리를 진행된 연기는 배출되기 전에 필터(400)를 통해 다시 여과가 진행됨으로써, 그을음 연기가 더욱 전면적으로 여과되어, 배출 챔버(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가 더욱 깨끗해진다.
구체적으로, 필터(400)는 클리닝 챔버(140)와 배출 챔버(170) 사이의 연통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차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터(400)는 나사 연결, 스냅 연결의 방식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장기간 사용 후에는 필터(400)를 착탈하여 클리닝, 교체 등을 진행함으로써, 필터(400)의 여과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필터(400)가 클리닝 챔버(140)와 배출 챔버(170) 사이에 차단되게 설치됨으로써, 필터(400)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그을음 연기는 모두 필터(400)를 경유한 후 배출되게 되어, 여과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나아가, 하우징(100)에서의 기류의 흐름 속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배출 챔버(170)에는 배기 팬(5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배기 팬(500)은 배출 챔버(170)의 저부에 설치되고, 필터(40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배기 팬(500)은 장기간 사용된 후 착탈을 통해 클리닝, 교체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기 팬(500)의 양호한 기체 배출 효과를 확보한다. 또한, 배기 팬(500)의 설치는 한편으로 배기 팬(500)으로 수집 챔버(130)의 그을음 연기를 구동시켜 신속하게 클리닝 챔버(140)로 진입시켜 클리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클리닝된 기류를 구동시켜 신속하게 배출 챔버를 경유하여 바람 배출구(171)로 배출시킬 수도 있어, 그을음 연기의 수집, 클리닝, 배출의 효율을 모두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배기 팬(500)의 설치는 가열 부재(200) 근처의 기류의 흐름 속도도 강화시켜, 가열 부재(200)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의 열량 교환 속도를 가속시켜, 음식물 조리 가열의 효율도 강화시키게 된다.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름 수집 하우징(110)과 클리닝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가열 부재(200)는 기름 수집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기름 수집 하우징(110)에는 수집 챔버(130)가 형성되고, 클리닝 하우징(120) 내에는 클리닝 챔버(140)가 형성된다. 기름 수집 하우징(110)은 가열 부재(200)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유액과 연무에 대해 수집을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기름 수집 하우징(110)과 클리닝 하우징(12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수집 챔버(130)와 클리닝 챔버(140)에 대해 클리닝 및 관리가 편리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별도로 기름 수집 하우징(110)에 수집 챔버(130)를 함몰되게 형성하고, 클리닝 하우징(120) 내에 클리닝 챔버(140)를 형성한 후, 조립 성형의 가공 방식을 진행하여, 가공 제조 과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해지고,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름 수집 하우징(110)과 클리닝 하우징(120)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로써, 기름 수집 하우징(110)과 클리닝 하우징(120)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름 수집 하우징(110)은 수집 챔버(130)의 상부에 장착 플랫폼(111)을 구비하고, 가열 부재(200)는 장착 플랫폼(111)에 장착된다. 여기서, 장착 플랫폼(111)은 기름 수집 하우징(110)의 하우징 벽으로 굽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플랫폼(111)은 두개가 설치되고, 두개의 장착 플랫폼(111)은 기름 수집 하우징(110)의 대향되는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이로써, 가열 부재(200)의 양측의 장착부는 두개의 장착 플랫폼(111)에 적재되게 장착되어, 가열 부재(200)가 장착된 후 균형을 유지시키고 양호한 안정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가열 부재(200)의 열전도 효율이 더욱 양호하고 온도가 균일하게 되어, 조리된 음식물이 더욱 맛있게 된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닝 하우징(120)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를 포함하고, 기름 수집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2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는 공동으로 어워싸 상기 클리닝 챔버(14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로 어워싸여 형성된 클리닝 챔버(140)의 윤곽은 "L"형 형상을 나타내며, 이로써, 수집 챔버(130)가 클리닝 챔버(140)에 진입한 후 상대적으로 긴 유통 경로를 가지게 되어, 그을음 연기가 클리닝 챔버(14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그을음 연기가 클리닝 디스크(300)와 접촉되어 용해되는 확율을 증시시켜, 그을음 연기가 더욱 깨끗하게 용해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챔버(170)는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로 공동으로 에워싸여 형성되고, 배출 챔버(170)의 윤곽은 긴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를 착탈함으로써, 클리닝 챔버(140)와 배출 챔버(170)에 대해 클리닝 관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클리닝 과정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게 된다. 아울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121)과 저부 커버(122)를 통해, 별도의 가공 및 조립으로 클리닝 하우징(120)을 형성함으로써, 가공 과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리기구(1000)는 가열 부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는 가열 부재(200) 및 배기 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실제의 응용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가열 부재(200)를 제어하여 음식물 조리를 시작할 때, 배기 팬(500)을 제어하여 동기적으로 운행시킬 수도 있으며, 이로써, 음식물 조리에서 발생되는 그을음을 추출한 후 클리닝을 진행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 기류에는 그을음 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부로 배출된 기류를 신선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확보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발명 구상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한 균등한 구조 변환, 또는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기타의 관련된 기술분야에 운용되는 것은 모두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면부호 명칭 도면부호 명칭
1000 조리기구 100 하우징
110 기름 수집 하우징 111 장착 플랫폼
120 클리닝 하우징 121 상부 하우징
122 저부 커버 130 수집 챔버
140 클리닝 챔버 150 가이드 경사면
151 유체 흐름 개구 160 연기 가이드부
161 기체 통로 170 배출 챔버
171 바람 배출구 200 가열 부재
300 클리닝 디스크 400 필터
500 배기 팬 210 굽기 소자
211 기체 흐름 통로

Claims (12)

  1. 조리기구에 있어서,
    수집 챔버 및 상기 수집 챔버에 연통된 클리닝 챔버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 챔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그을음은 상기 수집 챔버에 의해 수집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에 의해 클리닝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는 상기 수집 챔버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열 부재의 하부를 마주한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저부에는 상기 수집 챔버 및 상기 클리닝 챔버에 연통된 유체 흐름 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챔버 내에는 세척액을 담기 위한 클리닝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클리닝 디스크는 클리닝 챔버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클리닝 디스크는 상기 유체 흐름 개구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챔버의 하우징 벽에 연기 가이드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드부는 상기 클리닝 디스크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드부와 상기 클리닝 디스크 사이에는 기체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클리닝 챔버와 연통된 배출 챔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는 상기 배출 챔버에 연통된 바람 배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클리닝 챔버에 의해 클리닝된 공기는 상기 배출 챔버를 통과한 후 상기 바람 배출구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챔버는 클리닝 챔버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바람 배출구는 클리닝 챔버를 멀리한 배출 챔버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챔버와 상기 배출 챔버 사이의 연통된 위치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챔버에는 배기 팬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기 팬은 배출 챔버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름 수집 하우징과 클리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에는 상기 수집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 하우징 내에는 상기 클리닝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은 상기 수집 챔버의 상부에 장착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장착 플랫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하우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과 저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 수집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저부 커버는 공동으로 에워싸 상기 클리닝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클리닝 챔버의 윤곽은 "L"형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배출 챔버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저부 커버로 공동으로 에워싸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상기 수집 챔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굽기 소자와 상기 굽기 소자에 연결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굽기 소자는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조리면과 제2 조리면을 구비하고, 상기 굽기 소자는 상기 제1 조리면 또는 상기 제2 조리면을 선택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뒤집기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굽기 소자는 상기 수집 챔버와 연통된 기체 흐름 통로를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기체 흐름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수집 챔버 내에 진입시키고,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굽기 소자 내에 피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KR1020227016046A 2019-10-16 2020-09-01 조리기구 KR20220134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86981.4A CN112656241B (zh) 2019-10-16 2019-10-16 烹饪器具
CN201910986981.4 2019-10-16
PCT/CN2020/112873 WO2021073297A1 (zh) 2019-10-16 2020-09-01 烹饪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514A true KR20220134514A (ko) 2022-10-05

Family

ID=7540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046A KR20220134514A (ko) 2019-10-16 2020-09-01 조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35577A4 (ko)
KR (1) KR20220134514A (ko)
CN (1) CN112656241B (ko)
WO (1) WO20210732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242Y2 (ko) * 1985-03-15 1991-07-02
US4827903A (en) * 1985-10-31 1989-05-09 Kim Byung N Barbecue cooker with smoke and collection system
TW347853U (en) * 1997-11-24 1998-12-11 Meng-Yu Li Improvement for smokeless roast apparatus
JP3587177B2 (ja) * 2001-04-19 2004-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0491336B1 (ko) * 2002-07-23 2005-05-24 (주)아이에스디지털 내부열 차단구조에 의한 연기제거 육류 자동구이기
US9612022B2 (en) * 2011-03-29 2017-04-04 Fancy Food Service Equipment Co., Ltd. Teppanyaki assembly
KR101824060B1 (ko) * 2016-07-04 2018-01-31 조종연 연기 및 냄새없는 그릴
CN206959002U (zh) * 2017-05-05 2018-02-02 广东长盈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油烟过滤功能的烤箱
CN109751640B (zh) * 2017-11-02 2023-11-14 广东印星科技有限公司 一种油烟内循环过滤的油烟机
CN208491831U (zh) * 2018-02-08 2019-02-15 家合盛康(广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纯物理净化系统无油烟烧烤机
CN208709593U (zh) * 2018-04-19 2019-04-09 中山市威雅电器燃具有限公司 一种智能电烤箱
CN108497942B (zh) * 2018-04-23 2023-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烤箱及油烟异味净化装置控制方法
CN208909888U (zh) * 2018-06-21 2019-05-31 河源市宇成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节能高效的高温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5577A4 (en) 2022-11-30
EP4035577A1 (en) 2022-08-03
WO2021073297A1 (zh) 2021-04-22
CN112656241A (zh) 2021-04-16
CN112656241B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CN210276928U (zh) 一种多功能烤箱
US4884554A (en) Spit roaster
CN110786749A (zh) 一种多功能烤具
CN110710892A (zh) 一种多功能烘烤箱
KR20220134514A (ko) 조리기구
CN216114261U (zh) 烹饪炉
CN213909855U (zh) 烘烤容器以及烘烤装置
CN113898999A (zh) 烹饪炉
CN208925976U (zh) 具有集油装置的铁板烧炉具
KR200465936Y1 (ko)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CN218355780U (zh) 一种烹饪设备
KR101708435B1 (ko) 유증기 여과장치 부착형 렌지 겸용 구이기
CN218528521U (zh) 烹饪器具
CN220308960U (zh) 一种多功能煎烤装置
CN219661516U (zh) 煎烤机
CN219629439U (zh) 空气炸锅
CN216534995U (zh) 无烟烤盘
CN220988546U (zh) 一种带烟熏功能的空气炸锅
CN219331400U (zh) 一种带有除烟功能的火山石烧烤炉
CN213909854U (zh) 一种烘烤装置
CN211748986U (zh) 一种多功能烘烤箱
CN110934516B (zh) 烤盘结构和烤箱设备
CN114668308A (zh) 烹饪设备及其功能性模块化熏烤装置
CN114668310A (zh) 烹饪设备及其可移除式模块化熏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