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59A -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359A
KR20220134359A KR1020210039926A KR20210039926A KR20220134359A KR 20220134359 A KR20220134359 A KR 20220134359A KR 1020210039926 A KR1020210039926 A KR 1020210039926A KR 20210039926 A KR20210039926 A KR 20210039926A KR 20220134359 A KR20220134359 A KR 20220134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s
converter
voltage
pow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순
박정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359A/ko
Priority to US18/283,892 priority patent/US20240170961A1/en
Priority to EP22776176.4A priority patent/EP4318913A1/en
Priority to JP2023559034A priority patent/JP2024513786A/ja
Priority to CN202280031281.XA priority patent/CN117223209A/zh
Priority to PCT/KR2022/004274 priority patent/WO2022203476A1/ko
Publication of KR2022013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02J1/082Plural DC voltage, e.g. DC supply voltage with at least two different DC voltage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6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for load balancing, symmetrisation, or sha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7Plural converter units whose outputs are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ting apparatus having multi-level structure}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컨버터를 이용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에 관한 발명이다.
태양광 발전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 방식으로 기존 화학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을 대체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컨버터에 배터리가 접속되는 독립형과 전력계통과 연계되는 연계형태가 있고, 일반적으로 독립형 발전은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 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전력계통 연계형 시스템은 상용 전원과 연결하여 부하계통선과 전력을 상호 교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태양광 셀 모듈은 일조량, 온도 등에 따라 최대전력점이 상이해진다. 태양광 셀을 최대 전력 점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모듈 단위로 최대전력점 추종(MPPT) 제어를 하는 모듈 레벨 파워 일렉트로닉스(Module-Level Power Electronics, MLPE)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단일 컨버터를 적용한 MLPE는 모듈 내 각 셀의 일조량, 온도 등이 상이할 경우 최적화된 최대전력점 추종 제어가 어렵다.
도 1과 같이,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은 모든 셀을 직렬 결선하여 MLPE에 입력하고, MLPE는 태양광 셀 모듈 전체에 대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 셀 스트링의 일조량이 상이하여 각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이 다를 경우에 개별 스트링에 대한 최대전력점 추종 제어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의 MLPE는 도 2와 같이, 태양광 셀 모듈, DC/DC 컨버터, 컨트롤러는 동일한 기준 전위(Electric potential)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컨트롤러가 태양광 셀 모듈 전압 및 DC/DC 컨버터 출력 전압을 검출함에 있어서, 저항 분배 회로만으로도 전압 검출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멀티레벨 구조의 MLPE에서는 상기와 같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의 MLPE는 태양광 셀 모듈, DC/DC 컨버터, 컨트롤러, 보조전원이 모두 동일한 그라운드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태양광 셀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컨버터 및 컨트롤러 등에 보조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멀티레벨 구조의 MLPE에서는 상기와 같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컨버터를 이용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소자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플라이백 컨버터, 포워드 컨버터, 및 LLC 컨터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PSR(Primary Side Regul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1차측 회로와 동일 기준 전위를 가지는 2차측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상기 PSR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다이오드를 통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합된 제어부로 다수 컨버터를 제어하여 컨?z롤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컨버터 간에 연계된 제어가 가능하며, 통합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 추종 제어 외에 모니터링 및 통신 등 부가적인 기능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멀티레벨 구조 MLPE에서 상이한 기준 전위를 갖는 전압을 검출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소자 없이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저항 분배 회로만으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멀티레벨 구조를 갖는 MLPE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조전원회로를 구현하여 각 DC/DC 컨버터, 제어 회로, PLC 회로 등에 보조전원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전원회로에 단일 절연형 컨버터를 적용하여 다수의 보조전원생성이 가능하여, 재료비 절감에 유리하다. 아울러, 멀티레벨 구조를 갖는 MLPE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 DC/DC 컨버터의 개별 보조전원회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조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개별 보조전원회로를 승강압형으로 설계할 때, 강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케스케이드 구성함으로써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 대비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례는 각 실시예 중 일부 구성과 다른 실시예 중 일부 구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형례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실시예를 포함하되 일부 구성이 생략되고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대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설명할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0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1 내지 133),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컨버터(111 내지 113)는 복수의 셀 스트링(131 내지 133)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셀 스트링(131 내지 133)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셀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스트링(131 내지 133)은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태양광 셀 스트링일 수 있다. 태양광 셀 스트링은 태양광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PV, Photovoltaic)을 한다. 광전효과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빛이 특정 금속 물질에 부딪히면 전자 방출하는 것으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이용하여 pn 접합을 형성하고, 광전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한다. 태양광 셀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웨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태양광을 잘 받을 수 있는 야지나 건물의 외벽, 옥상 등에 위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이때, 태양광 셀은 건물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BIPV(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광 셀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크기가 부하나 전력계통에서 이용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하나의 태양광 셀이 아닌 복수의 태양광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광 셀 스트링을 형성함으로써 이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 스트링은 전력을 생성하는 기본 단위일 수 있다. 기본 단위인 셀 스트링을 복수 개를 패널로 형성하여 태양광 발전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일조량, 기온 등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이한 전압-전류 특성을 가지며, 최대 전력 점(MPP) 또한 변동된다. (발전전력 = 전압 X 전류) 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 셀이 각 조건에서 전력이 최대가 되는 동작점인 최대 전력 점(MPP)에서 태양광 셀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최대전력점 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이라 하고, 최대전력점 추종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태양광 발전에 있어서 전류와 전압의 관계 및 전압과 전력과의 관계에서의 특성에 따라 최대 전력은 최대 전압이 아닌 최대 전압에서 약 80% 정도일 때의 전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대전력점은 태양광패널에서 생성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에 따라 계속 변하기 때문에, 최대전력 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점을 계속 찾아야 한다. 즉, 최대전압이 아닌 최대전력을 추종하기 위하여, 최대전력이 되도록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전력이 커지는 방향으로 전압을 감소시키고 전류를 증가시키거나, 전압을 증가시키고,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컨버터는 복수의 셀 스트링(111 내지 113)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를 포함한다. 각 컨버터(111 내지 113)는 대응하는 셀 스트링(131 내지 133)과 연결되어 셀 스트링(131 내지 133)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인가받고,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과 같이, 모든 셀 스트링을 직렬로 연결하고, 하나의 컨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셀 스트링간 일조량 등에 차이가 있는 경우, 최적의 최대전력점 추종이 어려운바, 효율적인 최대전력점 추정제어를 위하여, 셀 스트링 단위로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를 포함한다.
컨버터(111 내지 113)는 DC-DC 컨버터이고, 제1 전압을 가지는 신호를 제2 전압을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류를 가지는 신호를 제2 전류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는 멀티레벨을 구성하기 위하여,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캐스코드는 출력단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의미하며, 캐스코드 연결에 따라 컨버터의 출력단이 쌓여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멀티레벨은 각 컨버터의 출력신호가 하나의 신호로 합쳐져 출력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위 레벨의 컨버터(111) 출력단의 (-)단자가 이웃하는 하위 레벨의 컨버터(112) 출력단의 (+) 단자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최상위 레벨의 컨버터(111)의 출력부터 최하위 레벨의 컨버터(113)의 출력이 합쳐져 하나의 신호로 출력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각각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하나의 제어부(120)가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한다.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각각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각자 연결된 셀 스트링(131 내지 133)의 전력이 최대전력이 되도록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셀 스트링 간 일조량이 상이한 경우, 셀 스트링 간 최대전력점이 달라지는바, 복수의 컨버터 각각은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여, 각 셀 스트링에서 최대전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셀 스트링 별 최적화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가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에 인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셀 스트링(131 내지 133)에서 출력되고 있는 셀 스트링 전압에 해당하는 컨버터의 입력신호와 컨버터에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신호를 이용하여야 하는바, 제어부(120)는 컨버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입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와 출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111 내지 113)를 구성하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과전류 보호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제어부(120)는 전력변환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위 제어기 또는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모니터링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별도의 통신라인 없이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가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기능별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및 모니터링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는 기능블록별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통합 IC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력변환장치(100)는 MLPE일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복수의 컨버터를 제어하여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가 가능하다. 도 8과 같이,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위한 정보들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MCU와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돌고 각 컨버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기능이 하나의 제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 상에 별도의 기능블록이나 모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각 컨버터를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각 컨버터마다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한바, 컨트롤러의 수가 많아져,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때도, 모니터링 내지 통신을 위해선 별도의 MCU도 필요하다. 도 9의 실시예에 비해,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120)에서 각 컨버터(111 내지 113)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의 출력신호에 따라 각 셀 스트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각 셀 스트링의 최대전력점 추종이 가능하도록 한다.
컨버터(111 내지 113)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스위칭소자는 MOSFET 등의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컨버터(111 내지 113) 내의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PWM(pulse-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PWM 신호는 한 주기동안의 펄스폭이 조절되는 신호로, 펄스폭이 클수록 스위칭 소자가 턴온을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즉, 시비율(듀티비)이 커지고, 컨버터(111 내지 113)에서 출력으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가 커진다. 반대로, 펄스폭이 작아지면 시비율이 작아져 컨버터(111 내지 113)에서 출력으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대전력점 추종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제어부(120)는 PWM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버터에 대한 제어신호는 동기화되어 인가되거나,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인가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120)가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를 제어하므로, 각 컨버터 간에 연계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컨버터는 도 10과 같이, 동기 방식 또는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동기 방식은 도 10과 같이, 동일한 시점에 동시에 각 컨버터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이고, 인터리빙 방식은 각 컨버터마다 위상차를 가지고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이다. 인터리빙 방식 적용 시, 제어부인 MCU의 ADC 또는 연산이 한 시점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보다 낮은 성능의 MCU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컨버터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가 3개인 경우, 360 도를 3으로 나누어 각 컨버터에 대한 제어신호는 120 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도 7과 같이, 복수의 셀 스트링(131 내지 133),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도 7의 태양광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131 내지 133)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는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각각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 각각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하나의 제어부이다.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상기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는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되며, 제어부(120)는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가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111 내지 113)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합 IC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300)는 복수의 컨버터(110), 전압 검출부(14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중 제1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컨버터(110)에 있어서, 셀 스트링 출력 전압 및 컨버터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었다 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에 각각 연결되며,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복수의 컨버터(110)에서 출력되는 최상위 레벨부터 최하위 레벨까지의 신호들이 합쳐져 하나의 신호로 출력된다.
전압 검출부(140)는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의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전압 검출부(140)는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단 및 출력단마다 형성되어 각 위치에서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140)는 각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 즉 각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저항에 따른 전압 분배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전압을 검출한다.
제어부(120)는 전압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전압 검출부(140)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전압 분배를 통해 검출되는바, 그라운드가 기준 전위인 최하위 레벨에서 전압이 아닌 그 이상의 레벨에서는 기준전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전압 검출이 어렵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각 전압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고, 각 레벨에서의 관계를 이용하여 각 레벨에서의 전압을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최하위 레벨의 컨버터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상기 최하위 레벨의 컨버터의 전압으로 산출한다. 최하위 레벨의 기준전위는 그라운드로 전압 검출부(140)의 기준전위와 같기 때문에, 최하위 레벨의 컨버터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최상위 레벨의 컨버터의 출력단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전체 출력전압으로 산출할 수 있다. 최상위 레벨의 컨버터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의 전압은 전체 출력전압과 같은바, 전체 출력전압을 별도로 검출하지 않고, 최상위 레벨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최하위 레벨이 아닌 다른 레벨에서의 검출된 전압은 이웃하는 하위 레벨에서 측정된 전압과의 차를 이용하여 해당 레벨에서의 전압을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도 14와 같이, 각 레벨에서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레벨 순서대로 입력단에서 측정된 셀 스트링 전압(Cell String voltage)이 V_F1, V_F2, 및 V_F3이고, 출력단에서 측정된 출력 전압(Output voltage)이 V_B1, V_B2, 및 V_B3 일 때, 셀 스트링 전압 1은 V_F1 - V_F2로 산출할 수 있고, 셀 스트링 전압 2은 V_F2 - V_F3로 산출할 수 있고, 셀 스트링 전압 3은 그대로 V_F3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 1은 V_B1 - V_B2로 산출할 수 있고, 출력 전압 2는 V_B2 - V_B3으로 산출할 수 있고, 출력 전압 3은 V_B3 그대로 산출할 수 있고, 전체 출력 전압(Total Output voltage)은 V_B1에 해당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140)는 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가 아닌 이웃하는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의 사이에서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압 검출부(140)는 각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이웃하는 하위 레벨의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저항 및 상기 두 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걸리는 전압의 기준전위를 상기 제어부의 기준전위와 동일한 기준전위로 변환하는 기준전위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전압을 측정함에 있어서, 그라운드가 아닌 이웃하는 하위 레벨을 기준 준위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캐스코드로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전력변환장치인 MLPE는 셀 스트링 및 이에 대응되는 컨버터로 구성된 각 레벨은 상이한 기준 전위를 가진다. 즉, 최하위 레벨이 가장 낮은 기준 전위를 가지고, 상위 레벨로 갈수록 높은 기준 전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최하위 레벨의 기준 전위는 그라운드가 될 수 있다. 제어부인 컨트롤러는 자신의 기준 전위 보다 높은 전위차만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이러한 멀티레벨 구조에서 컨트롤러의 기준 전위는 최하위 레벨의 기준 전위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멀티구조 및 컨트롤러 배치에서 컨트롤러는 자신의 기준 전위와의 전위차(potential difference)로만 전압 검출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준 전위를 갖는 최하위 레벨의 셀 스트링 전압 및 컨버터 출력 전압은 저항 분배 회로만으로 전압 검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외의 상위 레벨은 각각 상이한 기준 전위를 가지므로, 각 기준 전위에서 저항 분배된 전압을 컨트롤러와 동일한 기준 전위로 변환시켜주는 별도의 회로 등 기준전위 변환부가 필요하다.
이때, 제어부(120)인 컨트롤러에서의 기준 전위와 최하위 레벨을 제외한 다른 레벨에서의 기준전위가 상이한바, 이를 동일한 기준전위로 변환하는 기준전위 변환부를 포함한다. 기준전위 변환부는 그라운드와 이웃하는 하위 레벨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기준전위를 제어부(120) 기준전위와 같게 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소자 내지 회로를 이용하여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의 기준전위를 제어부(120)의 기준전위 맞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압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의 출력신호에 따라 각 셀 스트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에 대한 제어신호는 동기화되어 인가되거나,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컨버터에 포함되는 스위칭소자에 대한 PWM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도 12와 같이, 복수의 셀 스트링(130), 복수의 컨버터(110), 전압 검출부(14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도 12의 태양광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130)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전압 검출부(14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의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제어부(120)는 전압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전압 검출부(140)는 각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되, 제어부(120)는 이웃하는 하위 레벨의 컨버터에서 검출되는 전압과의 차를 이용하여 각 컨버터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전압 검출부(140)는, 각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이웃하는 하위 레벨의 컨버터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저항 및 상기 두 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걸리는 전압의 기준전위를 상기 제어부의 기준전위와 동일한 기준전위로 변환하는 기준전위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 전원부(150)를 포함하고, 제어부 또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중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컨버터 등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전원을 생성하는 보조전원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었다 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에 각각 연결되며,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복수의 컨버터(110)에서 출력되는 최상위 레벨부터 최하위 레벨까지의 신호들이 합쳐져 하나의 신호로 출력된다.
보조 전원부(150)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셀 스트링, 컨버터, 컨트롤러, 및 보조전원이 모두 동일한 그라운드를 이용하는 도 3 및 도 4와 달리, 멀티레벨로 구성되는 경우, 보조 전원부(150)는 각 레벨에 맞는 보조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보조 전원부(150)는 절연형 컨버터를 포함한다. 절연형 컨버터의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고,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고, 복수의 2차측 회로는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1차측 회로에는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도 18과 같이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모두 연결되되 다이오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셀 스트링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즉, 일부의 셀 스트링에 일조량이 부족하더라도 충분히 발전이 이루어지는 다른 셀 스트링의 전압을 이용하여 모든 컨버터에 대한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던던시(Redundancy)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다이오드 없이 특정 셀 스트링의 전압을 입력받아 보조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절연형 컨버터는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 포워드(forward) 컨버터, 및 LLC 컨터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형 컨버터는 PSR(Primary Side Regul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1차측 회로와 동일 기준 전위를 가지는 2차측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상기 PSR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회로부 출력이 변압기를 통해 1차 측으로 반영(reflected)된 전압을 참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절연형 컨버터는 2차 회로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3차 권선(tertiary winding)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절연형 컨버터는 1차 회로부와 동일한 전위를 기준으로 하는 2차 회로부 출력 전압만 참조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회로부가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하는 2차 회로부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제어할 수 있다.
2차 회로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별도의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결합하여 보조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2차측 회로는 도 19와 같이,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는 상측 FET 및 하측 FET를 포함할 수 있고, 상측 FET 및 하측 FET 각각에 보조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회로부는 각 컨버터에 대응되는 2차 회로부 외에 별도 용도의 2차 회로부를 추가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구동전원 등 전원이 필요한 다양한 모듈에 보조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 이후,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도 17과 같이, 복수의 셀 스트링(130),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 전원부(150)로 구성된다. 도 17의 태양광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130)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보조 전원부(150)는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보조 전원부(150)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다이오드를 통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 전원부(150)를 포함하고, 제어부 또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중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컨버터 등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전원을 생성하는 보조전원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었다 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복수의 컨버터(110) 및 상기 각 셀 스트링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보조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보조전원부의 구성에 따르면 단일 절연형 컨버터로 다수의 보조전원 생성이 가능하여, 재료비 절감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나, 개별 2차 회로부의 출력 전압 제어가 어려우며, 보조전원회로 중 일부분 고장으로 전체 보조전원회로가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어,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각 컨버터에 공급되는 보조전원을 개별 생성 및 공급한다.
보조전원을 개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하여, 보조 전원부(150)는 단일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케스케이드로 결선된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컨버터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개별 보조 전원부(150)는 단일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차지 펌프, 승강형 컨버터, 승압형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레귤레이터는 리니어(linear) 레귤레이터, 차지 펌프(charge pump), 승강형(벅-부스트) 컨버터, 승압형(Boost) 컨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조전원부를 단일 레귤레이터로 구현하면 도 20과 같이, 회로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셀 스트링 전압은 태양괄 셀의 조건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므로 스트링 전압의 변동 범위와 보조전원의 목표 전압(V_aux)의 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도 21과 같이, 보조전원의 목표 전압(V_aux)이 최저 셀 스트링 전압보다 낮은 경우, 강압이 필요한바, 이때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또는 벅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보조전원의 목표 전압(V_aux)이 최고 셀 스트링 전압보다 높은 경우, 승압이 필요한바, 이때는 차지 펌프 또는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강압 또는 승압만 필요한 경우에는 비교적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낮은 재료비로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조전원의 목표 전압(V_aux)이 최고 셀 스트링 전압보다 낮고, 최저 셀 스트링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승강압이 필요하고, 이때는 출력 전압이 음전압으로 반전되지 않는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해야 한다.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는 4개의 반도체 스위치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회로가 복잡하고, 재료비가 높다.
보조 전원부(150)는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일 수 있고, 이때, 상기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출력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레귤레이터로 도 22와 같이, 다중 출력 가능한 절연형 컨버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중 출력 가능한 절연형 컨버터를 사용하면, 컨버터에 포함된 하측 스위치인 Low-side FET 및 상측 스위치인 High-side FET에 각각 FET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컨버터에 단일 보조전원을 공급할 경우에는 High-side FET 구동전원을 bootstrap회로를 통해 공급해야 한다. Bootstrap회로는 출력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Low-side FET를 도통시켜 커패시터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High-side FET를 연속적으로 도통시킬 수 없다. 통상적으로 셀 스트링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해 High-side FET를 지속적으로 도통시키는 동작이 MLPE 동작상 빈번하게 발생한다. 절연형 컨버터를 사용하여 Low-side FET 및 High-side FET의 구동전원을 각각 공급하면 bootstrap 회로 없이 High-side FET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bootstrap 회로의 단점을 극복하고, High-side FET를 연속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보조전원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캐스케이드로 결선된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차지 펌프, 승강형 컨버터, 승압형 컨버터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레귤레이터를 2 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승강압이 가능한 보조전원회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강압형 레귤레이터를 케스케이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압형 및 강압형 레귤레이터의 배치 순서에 관계없이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2단 레귤레이터 구성에서는 승강압형이라 함은 셀-스트링 전압 대비 보조전원 전압(V_aux) 이 승압 및 강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는 도 23과 같이, 강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압형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및 강압형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형 레귤레이터는 차지펌프 및 승압형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단 레귤레이터로 리니어 레귤레이터, 차치 펌프, 승강형 컨버터, 승압형 컨버터, 승강형 컨버터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2단 레귤레이터로로 승강압형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강압형 레귤레이터와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조합할 수 있다. 도 24와 같이, 리니어 레귤레이터-차지 펌프 조합, 리니어 레귤레이터-부스트 컨버터 조합, 벅 컨터버-차지 펌프 조합, 벅 컨버터-부스트 컨버터 조합으로 보조전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1 내지 3 조합은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 대비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셀 스트링(130),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 전원부(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130)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어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보조 전원부(150)는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각 셀 스트링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보조전원부는 단일 레귤레이터 및 케스케이드로 결선된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500: 전력변환장치
110, 111 내지 113: 컨버터
120: 제어부
130, 131 내지 133: 셀 스트링
140: 전압 검출부
150: 보조전원부

Claims (14)

  1.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다이오드인 전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플라이백 컨버터, 포워드 컨버터, 및 LLC 컨터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PSR(Primary Side Regulation)을 수행하는 전력변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1차측 회로와 동일 기준 전위를 가지는 2차측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상기 PSR을 수행하는 전력변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는 전력변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
  11.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
    상기 각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는 1차측 회로;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는 절연형 컨버터; 및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2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태양광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다이오드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태양광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는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3 2차측 회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KR1020210039926A 2021-03-26 2021-03-26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KR20220134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26A KR20220134359A (ko) 2021-03-26 2021-03-26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US18/283,892 US20240170961A1 (en) 2021-03-26 2022-03-25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EP22776176.4A EP4318913A1 (en) 2021-03-26 2022-03-25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JP2023559034A JP2024513786A (ja) 2021-03-26 2022-03-25 マルチレベル構造を有する電力変換装置
CN202280031281.XA CN117223209A (zh) 2021-03-26 2022-03-25 具有多级结构的电力转换装置
PCT/KR2022/004274 WO2022203476A1 (ko) 2021-03-26 2022-03-25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26A KR20220134359A (ko) 2021-03-26 2021-03-26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359A true KR20220134359A (ko) 2022-10-05

Family

ID=833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26A KR20220134359A (ko) 2021-03-26 2021-03-26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70961A1 (ko)
EP (1) EP4318913A1 (ko)
JP (1) JP2024513786A (ko)
KR (1) KR20220134359A (ko)
CN (1) CN117223209A (ko)
WO (1) WO20222034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4386B2 (ja) * 2003-01-07 2007-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JP4415722B2 (ja) * 2004-03-25 2010-02-17 Tdk株式会社 電圧変換装置
JP3856462B1 (ja) * 2006-03-24 2006-12-13 株式会社パワーシステム キャパシタ蓄電電源用放電装置
JP2008245458A (ja) * 2007-03-28 2008-10-09 Densei Lambda Kk 電源装置および電源システム
WO2013014879A1 (ja) * 2011-07-28 2013-01-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電力線通信方法、及び電力線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23209A (zh) 2023-12-12
WO2022203476A1 (ko) 2022-09-29
US20240170961A1 (en) 2024-05-23
EP4318913A1 (en) 2024-02-07
JP2024513786A (ja)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608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er bypass
US7009859B2 (en) Dual input DC-DC power converter integrating high/low voltage sources
US8648497B2 (en) Photovoltaic power plant with distributed DC-to-DC power converters
US20120042588A1 (en)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US12009690B2 (en) Power converter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EP4318911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multi-level structure
KR20070033395A (ko) 스트링기준 태양광발전용 전력제어장치
US20120101645A1 (en) Power control method using orthogonal-perturb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converter
EP4318912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US20240170961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EP4318910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Khwan-on et al. The control of a multi-input boost converter for renewable energy system applications
KR20230005700A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KR20230006275A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Saeed et al. A bidirectional DC-DC bipolar converter for power transmission network
KR20230050184A (ko) 전력변환장치
KR20230053447A (ko) 전력변환장치
Lu et al. Analysis of a shunt maximum power point tracker for PV-battery system
KR20230072637A (ko) 전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