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75A -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75A
KR20230006275A KR1020210087295A KR20210087295A KR20230006275A KR 20230006275 A KR20230006275 A KR 20230006275A KR 1020210087295 A KR1020210087295 A KR 1020210087295A KR 20210087295 A KR20210087295 A KR 20210087295A KR 20230006275 A KR20230006275 A KR 2023000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power
converters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순
박정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275A/ko
Priority to CN202280059808.XA priority patent/CN117897897A/zh
Priority to PCT/KR2022/009625 priority patent/WO202327767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power converting apparatus having multi-level structure}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컨버터를 이용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에 관한 발명이다.
태양광 발전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 방식으로 기존 화학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을 대체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컨버터에 배터리가 접속되는 독립형과 전력계통과 연계되는 연계형태가 있고, 일반적으로 독립형 발전은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 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전력계통 연계형 시스템은 상용 전원과 연결하여 부하계통선과 전력을 상호 교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태양광 셀 모듈은 일조량, 온도 등에 따라 최대전력점이 상이해진다. 태양광 셀을 최대 전력 점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모듈 단위로 최대전력점 추종(MPPT) 제어를 하는 모듈 레벨 파워 일렉트로닉스(Module-Level Power Electronics, MLPE)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단일 컨버터를 적용한 MLPE는 모듈 내 각 셀의 일조량, 온도 등이 상이할 경우 최적화된 최대전력점 추종 제어가 어렵다.
도 1과 같이,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은 모든 셀을 직렬 결선하여 MLPE에 입력하고, MLPE는 태양광 셀 모듈 전체에 대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 셀 스트링의 일조량이 상이하여 각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이 다를 경우에 개별 스트링에 대한 최대전력점 추종 제어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의 MLPE는 도 2와 같이, 태양광 셀 모듈, DC/DC 컨버터, 컨트롤러는 동일한 기준 전위(Electric potential)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컨트롤러가 태양광 셀 모듈 전압 및 DC/DC 컨버터 출력 전압을 검출함에 있어서, 저항 분배 회로만으로도 전압 검출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멀티레벨 구조의 MLPE에서는 상기와 같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단일 컨버터 적용 방식의 MLPE는 태양광 셀 모듈, DC/DC 컨버터, 컨트롤러, 보조전원이 모두 동일한 그라운드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태양광 셀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컨버터 및 컨트롤러 등에 보조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멀티레벨 구조의 MLPE에서는 상기와 같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컨버터를 이용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1 전압의 범위에 따라 제2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강압형 레귤레이터,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강압형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벅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 부스트 컨버터, 차지 펌프, 및 벅-부스트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2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3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절연형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플라이백 컨버터, LLC 컨버터, 및 포워드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을 제4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전압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4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압을 제5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4 전압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5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출력단 및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변환부에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상기 가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멀티레벨 구조를 갖는 MLPE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조전원회로를 구현하여 각 DC/DC 컨버터, 제어 회로, PLC 회로 등에 보조전원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보조전원회로의 설계 및 최적화가 용이하다.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보조전원회로를 적용하여 MLPE가 동작 가능한 입력 전압 범위가 확장된다. 이로 인해, 발전 가능한 조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례는 각 실시예 중 일부 구성과 다른 실시예 중 일부 구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형례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실시예를 포함하되 일부 구성이 생략되고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대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설명할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00)는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전원부(120)로 구성되고, 복수의 셀 스트링(130),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력변환장치를 구동하지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은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컨버터(110)의 각 컨버터는 적어도 하나의 상측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하측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셀 스트링(13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셀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스트링(130)은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태양광 셀 스트링일 수 있다. 태양광 셀 스트링은 태양광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PV, Photovoltaic)을 한다. 광전효과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빛이 특정 금속 물질에 부딪히면 전자 방출하는 것으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이용하여 pn 접합을 형성하고, 광전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한다. 태양광 셀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웨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태양광을 잘 받을 수 있는 야지나 건물의 외벽, 옥상 등에 위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이때, 태양광 셀은 건물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BIPV(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광 셀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크기가 부하나 전력계통에서 이용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하나의 태양광 셀이 아닌 복수의 태양광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광 셀 스트링을 형성함으로써 이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 스트링은 전력을 생성하는 기본 단위일 수 있다. 기본 단위인 셀 스트링을 복수 개를 패널로 형성하여 태양광 발전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일조량, 기온 등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이한 전압-전류 특성을 가지며, 최대 전력 점(MPP) 또한 변동된다. (발전전력 = 전압 X 전류) 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 셀이 각 조건에서 전력이 최대가 되는 동작점인 최대 전력 점(MPP)에서 태양광 셀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최대전력점 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이라 하고, 최대전력점 추종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태양광 발전에 있어서 전류와 전압의 관계 및 전압과 전력과의 관계에서의 특성에 따라 최대 전력은 최대 전압이 아닌 최대 전압에서 약 80% 정도일 때의 전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대전력점은 태양광패널에서 생성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에 따라 계속 변하기 때문에, 최대전력 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점을 계속 찾아야 한다. 즉, 최대전압이 아닌 최대전력을 추종하기 위하여, 최대전력이 되도록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전력이 커지는 방향으로 전압을 감소시키고 전류를 증가시키거나, 전압을 증가시키고,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컨버터를 포함한다. 각 컨버터(110)는 대응하는 셀 스트링(130)과 연결되어 셀 스트링(130)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인가받고,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과 같이, 모든 셀 스트링을 직렬로 연결하고, 하나의 컨버터를 이용하여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셀 스트링간 일조량 등에 차이가 있는 경우, 최적의 최대전력점 추종이 어려운바, 효율적인 최대전력점 추정제어를 위하여, 셀 스트링 단위로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를 포함한다.
컨버터(110)는 DC-DC 컨버터이고, 제1 전압을 가지는 신호를 제2 전압을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류를 가지는 신호를 제2 전류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버터(110)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멀티레벨을 구성하기 위하여, 캐스코드(cascode)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캐스코드는 출력단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의미하며, 캐스코드 연결에 따라 컨버터의 출력단이 쌓여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멀티레벨은 각 컨버터의 출력신호가 하나의 신호로 합쳐져 출력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때, 상위 레벨의 컨버터 출력단의 (-)단자가 이웃하는 하위 레벨의 컨버터 출력단의 (+) 단자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최상위 레벨의 컨버터의 출력부터 최하위 레벨의 컨버터의 출력이 합쳐져 하나의 신호로 출력된다.
제어부는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거나,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은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각자 연결된 셀 스트링(130)의 전력이 최대전력이 되도록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셀 스트링 간 일조량이 상이한 경우, 셀 스트링 간 최대전력점이 달라지는바, 복수의 컨버터 각각은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여, 각 셀 스트링에서 최대전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셀 스트링 별 최적화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가 가능하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황에 따라 셀 스트링의 전압을 그대로 출력하는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130) 중 일부의 셀 스트링이 음영 등에 의해 다른 셀 스트링에 비해 낮은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 각 셀 스트링간 전압 차이를 줄여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셀 스트링의 전압을 출력으로 그대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보조전원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측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하측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측 스위치 및 하측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전력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스위치 및 하측 스위치는 서로 상보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각 스위치는 턴온을 유지하는 시간, 즉 상황에 따른 듀티비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듀티비는 일정 주기 내 온인 비율을 의미하며, 시비율이라고도 한다. 전력변환 동작시, 변환하고자 하는 전력에 따라 듀티비가 달라질 수 있고, 바이패스 동작시에는 상측 스위치의 듀티비를 100%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FET 또는 IGBT 등 반도체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각 스위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고, 각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구동전원이 필요하고, 보조전원부(120)는 컨버터(1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한다.
도 7과 같이, 보조전원을 생성하여 각 컨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각 컨버터의 기준 전위 대비 보조전원(V_aux. X)을 생성 및 공급하는 보조전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보조 전원회로는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셀 스트링, 컨버터, 컨트롤러, 및 보조전원이 모두 동일한 그라운드를 이용하는 도 3 및 도 4와 달리, 멀티레벨로 구성되는 경우, 각 레벨에 맞는 보조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절연형 컨버터를 이용하되, 절연형 컨버터의 1차측 회로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전압을 인가받고,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하고, 복수의 2차측 회로는 상기 절연형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셀 스트링의 전압 변동 폭이 넓어질 수록, 절연형 컨버터의 입력 전압 범위 또한 넓어지므로 설계 및 최적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보조전원회로가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 대응하지 못 할 경우, 태양광 셀에서 전력이 발생하더라도 보조전원회로가 동작하지 않아 MLPE가 동작하지 못할 수 있어,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보조전원회로 구성이 필요하다.
넓은 입력 범위에 대해 보조전원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조전원부(120)는 제1 전압변환부(121) 및 제2 전압변환부(122)로 구성되고, 제3 전압변환부(123), 또는 제4 전압변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의 출력단 및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각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으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컨버터(110)의 출력단으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구성으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으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스위칭소자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모두 연결되되 다이오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셀 스트링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즉, 일부의 셀 스트링에 일조량이 부족하더라도 충분히 발전이 이루어지는 다른 셀 스트링의 전압을 이용하여 모든 컨버터에 대한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던던시(Redundancy)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다이오드 없이 특정 셀 스트링의 전압을 입력받아 보조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셀 스트링 출력단의 전압을 변환하여 바로 컨버터 각각의 구동전원으로 바로 공급하지 않고,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122)가 입력받아 변환가능하도록 제1 전압변환부(121)가 셀 스트링 출력단 중 하나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9와 같이, 제1 전압변환부(121)인 pre-regulator에서 바로 각 컨버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제1 전압변환부(121)및 제2 전압변환부(122)를 거쳐 각 컨버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압변환부(122)는 복수의 컨버터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해야 하는바, multi-output regulator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 및 제2 전압변환부(122)의 2 단계 전압변환을 통해, 입력 전압의 범위가 넓어도 보조전원부(120)가 충분히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압변환부(121)를 이용하여 보조전원부(120)가 정상 동작 가능한 입력 전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를 이용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의 입력 전압 범위를 축소할 수 있고, 제2 전압변환부(122)에 과전압이 인가되거나,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전압 차단(UVLO, Under Voltage Lock Out)/전압 강하(BO, Brown Out)이 발생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상기 제1 전압의 범위에 따라 제2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보조전원부에 인가되는 전압인 제1 전압의 범위가 높은 경우, 제1 전압에 대한 강압이 필요하고, 제1 전압에 대한 강압으로 인해 출력되는 전압의 범위로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압의 범위가 낮은 경우, 제1 전압에 대한 승압이 필요하고, 제1 전압에 대한 승압으로 인해 출력되는 전압의 범위로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압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전압의 크기를 가지는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강압형 레귤레이터,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강압형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의 범위가 제2 전압변환부(122)가 전압을 변환하여 복수의 컨버터(11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운 전압 범위로, 제1 전압에 대한 강압 또는 승압이 필요한 경우, 그에 따른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의 범위가 강압 필요한 경우, 강압현 레귤레이터를 이용하고, 제1 전압의 범위가 승압 필요한 경우,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고, 제1 전압의 범위가 강압 또는 승압이 필요한 경우, 승강압형 레귤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의 범위가 일정한 경우, 그에 따라 강압형 레귤레이터,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강압형 레귤레이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제1 전압의 범위가 가변적인 경우, 강압형 레귤레이터,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강압형 레귤레이터 중 두 개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벅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 부스트 컨버터, 차지 펌프, 및 벅-부스트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에 대한 강압이 필요한 경우, 강압형 레귤레이터인 벅 컨버터 또는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에 대한 승압이 필요한 경우, 강압형 레귤레이터인 부스트 컨버터 또는 차지 펌프를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강압 또는 승압만 필요한 경우에는 비교적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낮은 재료비로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1 전압에 대한 승강압이 필요한 경우, 벅-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전압이 음전압으로 반전되지 않는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는 4개의 반도체 스위치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회로가 복잡하고, 재료비가 높다.
제1 전압변환부(121)를 구성함에 있어서, 캐스케이드로 결선된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차지 펌프, 승강형 컨버터, 승압형 컨버터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레귤레이터를 2 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승강압이 가능한 보조전원회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강압형 레귤레이터를 케스케이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압형 및 강압형 레귤레이터의 배치 순서에 관계없이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2단 레귤레이터 구성에서는 승강압형이라 함은 제1 전압에 대한 승압 및 강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2단 이상의 레귤레이터는 강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압형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및 벅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형 레귤레이터는 차지펌프 및 부스트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단 레귤레이터로 리니어 레귤레이터, 차치 펌프, 승강형 컨버터, 승압형 컨버터, 승강형 컨버터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2단 레귤레이터로로 승강압형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강압형 레귤레이터와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조합할 수 있다. 강압형 레귤레이터와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조합하는 경우, 승갑압을 구현하기 위하여,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도 10과 같이, 보조전원부(120)의 입력전압인 제1 전압의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레귤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이 V1 내지 V2 범위인 경우, 제1 전압변환부(121)를 강압형 레귤레이터로 구현함으로써 제2 전압변환부(122)의 입력 전압 상한값을 제한하거나 과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원부(120)에 인가되는 전압이 10 내지 100V일 경우 이를 10 내지 12V로 또는 3.3V/5V로 변환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강압형 레귤레이터로 벅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이 V3 내지 V4 범위인 경우, 제1 전압변환부(121)를 승압형 레귤레이터로 구현함으로써 제2 전압변환부(122)의 입력 전압 하한값을 제한하거나 UVLO/BO가 발생이 발생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원부(120)에 인가되는 전압이 5 내지 20V일 경우 이를 12 내지 20V로 제한하거나 24V로 변환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승압형 레귤레이터로 부스트 컨버터, 차지 펌프가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압이 V3 내지 V2 범위인 경우, 제1 전압변환부(121)를 승강압형 레귤레이터로 구현함으로써 제2 전압변환부(122)의 입력 전압 범위를 축소/제한, 과전압 방지, UVLO/BO가 발생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원부(120)에 인가되는 전압이 5 내지 100V일 경우 이를 10 내지 15V로 제한하거나 12V로 제한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승강압형 레귤레이터로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승강압형 레귤레이터는 강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압형 레귤레이터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강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압형 레귤레이터를 조합시, 도 11과 같은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리니어 레귤레이터-차지 펌프 조합, 리니어 레귤레이터-부스트 컨버터 조합, 벅 컨터버-차지 펌프 조합, 벅 컨버터-부스트 컨버터 조합으로 제1 전압변환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1 내지 3 조합은 비반전형 벅-부스트 컨버터 대비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제2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14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제2 전압을 제2 전압변환부(122) 이외에 제2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전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2 전압을 복수의 컨버터(110)의 보조전원 이외에 다른 장치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출력되는 제2 전압은 제어부인 MCU, 센서, 컨트롤러, EEPROM, PLC 회로 등 다양한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3 전압변환부(123)는 상기 제2 전압을 제4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생성되는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장치(143)의 구동전원이 제2 전압과 상이한 경우, 전원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제3 전압변환부(123)는 해당 장치의 구동전원에 대응하도록 제2 전압을 제4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3 전압변환부(123)는 상기 제4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14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전압변환부(123)에서 출력되는 제2 전압은 제어부인 MCU, 센서, 컨트롤러, EEPROM, PLC 회로 등 다양한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3 전압변환부(123)는 post-regulator일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제2 전압변환부(122)에서 변환가능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전압을 출력하거나, 제2 전압을 바로 이용하는 장치(141)의 정격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전압변환부(122)에서 변환가능한 전압의 범위로 제2 전압을 출력하되, 해당 범위 내에서 전원을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141)의 정격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출력하는 제2 전압을 입력받아,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절연형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형 컨버터는 1차측 회로의 전압을 변환하여 2차측 회로로 전달한다.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1차측 회로의 전압에 따라 제2 2차측 회로에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측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하측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측 스위치 및 하측 스위치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2차측 회로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2차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측 스위치 및 하측 스위치에 각각 개별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상측 스위치를 100% 듀티비로 동작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 동작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중 출력 레귤레이터(multi-output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력을 통해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는,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상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출력 및 상기 각 컨버터에 포함되는 하측 스위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레귤레이터로 다중 출력 가능한 절연형 컨버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중 출력 가능한 절연형 컨버터를 사용하면, 컨버터에 포함된 하측 스위치 및 상측 스위치 에 각각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2차 회로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별도의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결합하여 보조전원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플라이백 컨버터, LLC 컨버터, 및 포워드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절연형 컨버터로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 포워드(forward) 컨버터, 및 LLC 컨터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PSR(Primary Side Regul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로 전압이 인가되는 셀 스트링(130)과 동일 기준 전위를 가지는 2차측 회로의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상기 PSR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회로부 출력이 변압기를 통해 1차 측으로 반영(reflected)된 전압을 참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절연형 변압기는 제1 2차 회로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3차 권선(tertiary winding)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절연형 변압기는 1차 회로부와 동일한 전위를 기준으로 하는 2차 회로부 출력 전압만 참조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회로부가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하는 2차 회로부 출력 전압을 참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상기 제3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14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제3 전압을 복수의 컨버터(110)뿐만 아니라 제2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14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전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3 전압을 복수의 컨버터(110)의 보조전원 이외에 다른 장치(142)들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인 MCU, 센서, 컨트롤러, EEPROM, PLC 회로 등 다양한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4 전압변환부(124)는 상기 제3 전압을 제5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에서 생성되는 제3 전압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장치(144)의 구동전원이 제2 전압과 상이한 경우, 전원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제4 전압변환부(124)는 해당 장치의 구동전원에 대응하도록 제3 전압을 제5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4 전압변환부(124)는 상기 제5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14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4 전압변환부(124)에서 출력되는 제2 전압은 제어부인 MCU, 센서, 컨트롤러, EEPROM, PLC 회로 등 다양한 장치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3 전압변환부(123)는 post-regulator일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제어부 또는 서버 내지 사용자로부터 가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가능 신호(enable signal)는 연산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신호로, 제2 전압변환부(122)의 동작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전압변환부(121)가 출력하는 제2 전압 또는 제3 전압변환부(123)가 출력하는 제4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전압변환부(122)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구동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가 먼저 동작한 이후, 복수의 컨버터(110)에 보조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등 제2 전압변환부(122)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제2 전압변환부(122)에 가능 신호를 입력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제2 전압변환부(122)가 동작하는바,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지연 후 가능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를 사용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의 출력 생성 시점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전력변환장치의 초기 동작시 안전화되기 전에 과전압 내지 과전류 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을 시킨 이후에 가능 신호를 제2 전압변환부(122)로 인가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MLPE에 적용되는 보조전원회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1 전압변환부(121) 및 제2 전압변환부(122)를 이용하여 보조전원부(120)를 구현함으로써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보조전원회로의 설계 및 최적화가 용이하다.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보조전원회로를 적용하여 MLPE가 동작 가능한 입력 전압 범위가 확장되며, 이로 인해, 발전 가능한 조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0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 복수의 컨버터(110), 보조 전원부(120), 및 제어부(125)로 구성된다. 도 12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이하 대응되는 설명은 중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00)의 복수의 컨버터(110)는 복수의 셀 스트링(130)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컨버터(110)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보조전원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보조전원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의 출력단 및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130)의 각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121)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122)를 포함한다.
제어부(125)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125)는 모니터링한 정보를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할 수 있다.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각자 연결된 셀 스트링(130)의 전력이 최대전력이 되도록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한다. 복수의 셀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이 일정 면적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셀 스트링 간 일조량이 상이한 경우, 셀 스트링 간 최대전력점이 달라지는바, 복수의 컨버터 각각은 셀 스트링 별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여, 각 셀 스트링에서 최대전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셀 스트링 별 최적화된 최대전력점 추종제어가 가능하다.
제어부(125)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컨버터(110)에 인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복수의 컨버터(110)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셀 스트링(130)에서 출력되고 있는 셀 스트링 전압에 해당하는 컨버터의 입력신호와 컨버터에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신호를 이용하여야 하는바, 제어부(125)는 컨버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입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와 출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110)를 구성하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과전류 보호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제어부(125)는 전력변환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상기 모니터링한 정보를 상위 제어기 또는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5)는 전력선통신(PLC)를 통해 모니터링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별도의 통신라인 없이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전압변환부(121)는 제어부(125)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125)는 제2 전압변환부(122)에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출력하고, 제2 전압변환부(122)는 상기 가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제1 전압변환부(121)가 출력하는 제2 전압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5)는 제2 전압변환부(122)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구동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25)가 먼저 동작한 이후, 복수의 컨버터(110)에 보조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등 제2 전압변환부(122)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제2 전압변환부(122)에 가능 신호를 입력하여 제2 전압변환부(122)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제2 전압변환부(122)가 동작하는바,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제1 전압변환부(121)는 벅 컨버터일 수 있고, 다이오드를 통해 각 셀 스트링(130) 및 복수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플라이백 컨버터일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의 출력을 제2 전압변환부(122)에 입력하여 다수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전압변환부(122)의 과전압을 방지하고, 제2 전압변환부(122)에 대한 입력 전압 범위를 축소할 수 있다. 제1 전압변환부(121)의 출력은 제2 전압변환부(122)의 입력 외에도 제어부(125)인 MCU, 센서, 컨트롤러, EEPROM, PLC 회로 등과 같은 제어 회로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는 제어부(125)에서 인가되는 가능 신호를 참조하여 출력 전압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전압변환부(122)의 출력은 멀티레벨로 구성된 DC/DC 컨버터, 제어 회로 등을 동작 시키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200)은 복수의 셀 스트링(130), 복수의 컨버터(110), 및 보조 전원부(120)로 구성된다. 도 14의 태양광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2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200)의 복수의 셀 스트링(130)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컨버터(110)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13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는 멀티레벨을 구성한다.
보조전원부(120)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보조전원부(120)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121)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121)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110)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1 전압의 범위에 따라 제2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는 전력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강압형 레귤레이터, 승압형 레귤레이터, 및 승강압형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벅 컨버터, 리니어 레귤레이터, 부스트 컨버터, 차지 펌프, 및 벅-부스트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2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 출력단들이 스위칭소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3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전력변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절연형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력변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플라이백 컨버터, LLC 컨버터, 및 포워드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을 제4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전압변환부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4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압을 제5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4 전압변환부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5 전압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
  15.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각 컨버터에 포함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컨버터의 출력단 및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각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압변환부에 가능 신호(enable signal)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전압변환부는 상기 가능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전력변환장치.
  16. 각각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 및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복수의 셀 스트링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의 제1 전압을 제2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압변환부; 및
    상기 제1 전압변환부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을 제3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컨버터 각각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버터는 멀티레벨을 구성하는 태양광 모듈.
KR1020210087295A 2021-07-02 2021-07-02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KR20230006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95A KR20230006275A (ko) 2021-07-02 2021-07-02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N202280059808.XA CN117897897A (zh) 2021-07-02 2022-07-04 具有多级结构的功率转换装置
PCT/KR2022/009625 WO2023277672A1 (ko) 2021-07-02 2022-07-04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95A KR20230006275A (ko) 2021-07-02 2021-07-02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75A true KR20230006275A (ko) 2023-01-10

Family

ID=8469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95A KR20230006275A (ko) 2021-07-02 2021-07-02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06275A (ko)
CN (1) CN117897897A (ko)
WO (1) WO20232776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127A (ja) * 1996-06-06 1997-12-16 Fuji Elelctrochem Co Ltd 並列運転用多出力型電源装置及びその過負荷保護方法
JPH10304662A (ja) * 1997-04-25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884386B2 (ja) * 2003-01-07 2007-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JP3856462B1 (ja) * 2006-03-24 2006-12-13 株式会社パワーシステム キャパシタ蓄電電源用放電装置
EP2725678A4 (en) * 2011-07-28 2014-09-10 Panasonic Corp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97897A (zh) 2024-04-16
WO2023277672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7134C (en) Systems for highly efficient solar power
US847222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verter, and inverter
US20120042588A1 (en)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CN102447427A (zh) 光伏发电系统
TW201228203A (en) DC power conversion module, control method thereof, junction box and power harvesting system
WO2020133056A1 (en) Central and distributed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20210121588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차동 전력변환기
EP4318911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multi-level structure
EP4318912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KR20230006275A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EP2421134A1 (en) Current-fed quadratic buck converter
EP4318913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EP4318910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multi-level structure
KR20230005700A (ko)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는 전력변환장치
CN106505945B (zh) 用于操作光伏系统的方法
KR20230050184A (ko) 전력변환장치
KR20230053447A (ko) 전력변환장치
KR20230072637A (ko) 전력변환장치
KR20220134357A (ko) Dc-dc 컨버터,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Nirmala et al. Investigations of DC-DC converter topologies for pv fed telecom applications
Uno et al. Operation analysis of photovoltaic modules with partially connected DC-DC conve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