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256A - 수술용 샤프트 - Google Patents

수술용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256A
KR20220132256A KR1020210037293A KR20210037293A KR20220132256A KR 20220132256 A KR20220132256 A KR 20220132256A KR 1020210037293 A KR1020210037293 A KR 1020210037293A KR 20210037293 A KR20210037293 A KR 20210037293A KR 20220132256 A KR20220132256 A KR 2022013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rgical
diameter
swab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214B1 (ko
Inventor
이교윤
Original Assignee
아이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one mechanical instrument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cutting and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수용 샤프트는 복강경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샤프트로서, 막대형의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봉합작업 시 봉합사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조직 박리 작업에 사용되는 면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샤프트{A SURGICAL SHAFT}
본 발명은 수술용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경수술과 같은 최소침습수술과정에서 환자의 몸속으로 들어가 조직을 이동시키거나 봉합사를 매듭짖는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수술용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의사가, 흉강이나 복강 내의 폐, 간, 위 등의 주요 장기에 병이 생긴 환자를 수술 할 때 피부를 절개한다. 과거에는 의사가 환자의 피부를 수 센치미터에서 수십 센치미터 절개하고 문제가 있는 장기를 수술했다. 이를 개흉수술 또는 개복수술이라 부른다. 최근에는 약 1센치미터 정도 크기의 작은 구멍을 신체에 여러개 생성하여 수술하는 경우가 많다. 이 구멍들을 통해 내시경과 각종 의료기구를 몸 안에 집어넣어 장기의 일부를 제거하고 필요한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환자의 수술흉터를 최대한 줄이고 수술로 인한 상해를 줄여 회복시간을 짧아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복강경수술은 기존의 수술에 활용되는 장비들과는 다른 장비를 필요로 한다. 예로써, 트로카를 들 수 있는데, 이를 환자의 몸에 설치하고 이를 통해 복강경 수술 기구를 삽입할 수 있고, 수술용 절개 상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환자의 내부 장기를 볼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는 내시경, 특수한 집게, 가위, 봉합장비 등의 수술기구들이 복강경수술에서 활용된다. 이러한 장비들은 모두 샤프트형상을 가지며, 끝 부분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좁은 트로카를 통해 환자의 몸속으로 진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비 중 조직박리와 봉합사의 매듭을 짖는 장비도 수술기구들에 포함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20-0126872에는 수술용 봉합도구가 개시된다. 환자의 몸 외부로 연장되는 봉합사를 외부에서 매듭짖고 이 매듭을 환자의 몸속으로 진입시켜 봉합을 완료하는 장비이다.
본 발명은 여러 수술장비 중 조직박리와 봉합의 기능을 하나의 샤프트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회용으로 이뤄지는 수술도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술 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는 복강경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샤프트로서, 막대형의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봉합작업 시 봉합사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조직 박리 작업에 사용되는 면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의 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측면의 상기 누름부재의 끝부분에는 봉합사를 조작하기 위한 두갈래의 포크형상을 갖는 갈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갈퀴부의 끝부분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오목부의 파인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의 끝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에서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경이 작은 부분에 면재질의 섬유가 수회 말려져 있음으로써 상기 샤프트부보다 외경이 더 큰 상기 면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에는 단턱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복강경수술 시 트로카를 통해 환자의 몸 밖으로 수술용샤프트를 꺼낼 때 트로카의 모서리와 단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튜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재는 직경이 큰 열수축튜브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샤프트부, 상기 면봉부, 상기 경사부에 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의 바깥면에, 상기 샤프트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부터 상기 튜브부재의 두께만큼 더해진 직경까지 점차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 직경이 큰 부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 부위에 설치되며, 단면 외곽선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샤프트부 측에서는 가장 작고 면봉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부위 외곽을 덮도록 구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사 조작을 위한 누름부재와 조직박리를 위한 면봉부를 하나의 샤프트에 집약함으로써 복강경수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술도구를 준비하고 수술 도중 관리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술이 끝나면 버려지는 일회용 수술도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면봉부가 두터워 조직박리 시 시술자의 힘을 잘 전달할 수 있으며, 피 흡수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면봉부가 트로카를 통해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누름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누름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면봉부를 보인 정면도 및 일부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누름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누름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의 면봉부를 보인 정면도 및 일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10), 샤프트부(5), 면봉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5)는 길쭉한 원통형의 막대이다. 이 샤프트부(5)의 양단에 각각 누름부재(10)와 면봉부(7)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누름부재(10)는 복강경 수술 시 환자의 몸 밖에서 봉합사를 매듭짓고 이를 환자의 몸 속으로 밀어넣어주는 용도로 활용된다.
누름부재(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샤프트부(5)의 결합부(6)와 결합된다. 샤프트부(5)의 결합부(6)는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누름부재(10)의 일면의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누름부재(10)의 일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되고, 단부에는 갈퀴부(13)가 형성된다.
갈퀴부(13)는 누름부재(10)의 가장 바깥쪽 끝에 형성되며 봉합사와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부위이다. 갈퀴부(13)는 중앙에 ‘V’자의 홈부(15)가 형성되어 두갈래의 포크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시술자는 환자의 몸 밖까지 노출된, 시술부 봉합을 위한 봉합사를 갖고 매듭을 만든 후 이를 홈부(15)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부(5)를 잡고 환자의 몸 안으로 매듭을 밀어넣어 봉합을 완료한다. 갈퀴부(13)는 오목부(11) 측을 향해 꺾인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11)는 홈부(15)가 파인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누름부재(10)의 일면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1)의 바깥쪽 끝부분은 갈퀴부(13)의 홈부(15)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누름부재(10)에 오목부(11)가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볼 때 갈퀴부(13)가 더 잘 드러나게 된다. 복강경수술은 육안으로 수술도구를 볼 수 없으므로 수술부위 모니터링을 위한 내시경을 사용한다. 따라서, 갈퀴부(13)가 잘 드러날 필요가 있다. 또한 누름부재(10)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시술자가 누름부재(10)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샤프트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봉부(7)를 포함한다. 이 면봉부(7)는 누름부재(10)와 다르게 시술부위의 혈관조직 박리를 주 목적으로 하여 활용될 수 있다.
복강경수술 시 직접 수술대상이 되는 부위의 부근에 혈관조직, 지방조직등이 있어 수술도구가 수술부위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혈관조직, 지방조직 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가 수술대상부위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들을 밀어내고 긁어내기 위해 수술용 샤프트의 누름부재(10)가 설치된 끝의 반대쪽 끝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면봉없이 샤프트부(5)와 동일 재질로 조직 박리 등의 작업이 가능은 하겠지만, 표면이 매끄러워 필요한 마찰력을 얻지 못할 수도 있고 조직이 손상될 수 있는 안전상 우려도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면봉부(7)를 설치하는 것이다. 면봉부(7)가 수술 중 조직에서 유출되는 피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또한 유용하다.
면봉부(7)는 면재질의 섬유를 샤프트부(5)의 단부에 수회 말아 형성할 수 있다. 샤프트부(5)의 단부에 면봉부(7)가 형성되는 부위(7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위보다 직경(r)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더 많은 면봉을 감을 수 있고 피의 흡수양을 늘릴 수 있다.
면봉부(7)의 외경을 샤프트부(5)의 직경과 같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샤프트부(5)의 직경보다 더 크게 즉, 면봉부(7)를 더 두껍게 형성하면 더 많은 피를 흡수할 수 있고 조직 박리 등의 작업도 더 수월해질 수 있다. 그래서 면봉부(7)의 직경을 샤프트부(5)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샤프트가 트로카(2)를 통해 환자의 몸 밖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면봉부(7)와 샤프트부(5) 사이의 단턱이 트로카(2)의 내벽턱에 걸리게 되어, 시술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면봉부(7)의 외경을 샤프트부(5)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면봉부(7)와 샤프트부(5) 사이의 단턱을 최대한 없애는 것이 유리하다.
도 4 내지 도 8에는 이렇게 단턱으로 인한 걸림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해결책이 도시되어 있다.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5)와 면봉부(7) 형성부위의 경계부에 경사면(7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경사부재(7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경사부재(7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5)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좁은 쪽 직경이 샤프트부(5)의 직경과 거의 같고 넓은 쪽 직경이 면봉부(7) 직경과 같도록 바깥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5) 뿐만 아니라 면봉부(7)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사부재(73)가 면봉부(7)의 외곽을 잡아주므로 면봉부(7)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9)를 샤프트부(5), 경사면(71), 면봉부(7)에 걸쳐 감싸줄 수도 있다. 튜브부재(9)로서 열수축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직경이 넓은 튜브부재(9)로 샤프트부(5) 및 면봉부(7) 주위를 감싸고 열을 가하면 튜브부재(9)가 수축되면서 샤프트부(5) 및 면봉부(7)에 밀착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9)의 단부에 경사부(91)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9)는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되 샤프트부(5)의 바깥면에 확장부(55)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튜브부재(9)는 표면이 미끄러운 합성수지 재료로서 이루어지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카(2)의 내벽 모서리(8)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빠져나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5)에 확장부(55)를 형성하는데, 이 확장부(55)의 직경이 확장되는 폭(w)을 튜브부재(9)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면 매끄러운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부(55)를 경사면(7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튜브부재(9)의 단부를 확장부(55)의 측면에 일치시켜야 한다.
한편, 샤프트부(5)는 탄소섬유강화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나 유리섬유강화수지(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CFRP의 강성이 GFRP보다 높으므로, 원활한 조작을 위해 강성이 높은 CFRP를 재료로 선택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CFRP는 전도성을 갖는다. 복강경 수술에는 본 발명의 수술용 샤프트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기기들이 동시에 사용되는데 이 기기들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전기소작기와 같은 기기들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샤프트부(5)가 전도성을 갖는다면 누전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기전도성이 없는 우레탄소재로 샤프트부(5) 외면을 코팅하면 전기 사고의 위험이 없고 강성도 높은 수술용 샤프트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경사면(71)을 샤프트부(5) 몰딩 시부터 형성하지 않고 일반적인 밋밋한 샤프트부(5)를 제조한 후 경사가 필요한 부위 즉 경사면(71) 또는 확장부(55)에 우레탄소재를 더 두껍게 코팅함으로써 이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샤프트부(5)의 외면 코팅은 액상 우레탄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71), 확장부(55)에 더 많은 우레탄소재를 분사하는 것이다.
시술자는 복강경 수술도중에 여러 샤프트형 도구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도구가 많다보니 이들의 정리 및 준비와 같은 관리에 부담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구들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여러 샤프트형 도구들을 구비하여 한번만 사용하고 버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샤프트는 봉합사 조작도구인 누름부재(10)와 조직박리용 도구인 면봉부(7)가 하나의 샤프트에 설치되므로 관리의 부담을 줄이고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수술도구 두 개를 준비하여야 할 것을 하나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수술에서 누름부재(10)와 면봉부(7)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이들이 동시에 활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술용 샤프트와 같이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도구에 집약하는 것이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5 : 샤프트부 7 : 면봉부
9 : 튜브부재 10 : 누름부재
11 : 오목부 13 : 갈퀴부
55 : 확장부 71 : 경사면
73 : 경사부재 91 : 경사부

Claims (7)

  1. 복강경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샤프트로서,
    막대형의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봉합작업 시 봉합사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설치되며, 복강경수술의 조직 박리 작업에 사용되는 면봉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샤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측면의 상기 누름부재의 끝부분에는 봉합사를 조작하기 위한 두갈래의 포크형상을 갖는 갈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갈퀴부의 끝부분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오목부의 파인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술용 샤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끝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에서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경이 작은 부분에 면재질의 섬유가 수회 말려져 있음으로써 상기 샤프트부보다 외경이 더 큰 상기 면봉부가 형성되는 수술용 샤프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에는 단턱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복강경수술 시 트로카를 통해 환자의 몸 밖으로 수술용샤프트를 꺼낼 때 트로카의 모서리와 단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샤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튜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재는 직경이 큰 열수축튜브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샤프트부, 상기 면봉부, 상기 경사부에 밀착된 것인 수술용 샤프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바깥면에, 상기 샤프트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부터 상기 튜브부재의 두께만큼 더해진 직경까지 점차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 직경이 큰 부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수술용 샤프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 부위에 설치되며, 단면 외곽선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샤프트부 측에서는 가장 작고 면봉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면봉부의 경계부위 외곽을 덮도록 구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샤프트.
KR1020210037293A 2021-03-23 2021-03-23 수술용 샤프트 KR10258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93A KR102586214B1 (ko) 2021-03-23 2021-03-23 수술용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93A KR102586214B1 (ko) 2021-03-23 2021-03-23 수술용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56A true KR20220132256A (ko) 2022-09-30
KR102586214B1 KR102586214B1 (ko) 2023-10-12

Family

ID=8345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293A KR102586214B1 (ko) 2021-03-23 2021-03-23 수술용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03A1 (ko) * 2022-10-28 2024-05-02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의 제거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742A (ja) * 2003-06-27 2005-01-2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 Inc 止血用傷洗浄スワブおよび傷の治療に用いるためのスワブ
JP2007523663A (ja) * 2003-04-01 2007-08-23 コパン イノヴェ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
KR20140110050A (ko) * 2012-01-06 2014-09-16 지완 스티븐 싱 복강경 기구를 위한 삽입부 및 삽입 시스템
JP2017015610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クラレ 鼻腔又は咽喉からの粘液採取具
KR20200001767U (ko) * 2019-01-30 2020-08-07 이경로 실 삽입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663A (ja) * 2003-04-01 2007-08-23 コパン イノヴェ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
JP2005013742A (ja) * 2003-06-27 2005-01-2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 Inc 止血用傷洗浄スワブおよび傷の治療に用いるためのスワブ
KR20140110050A (ko) * 2012-01-06 2014-09-16 지완 스티븐 싱 복강경 기구를 위한 삽입부 및 삽입 시스템
JP2017015610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クラレ 鼻腔又は咽喉からの粘液採取具
KR20200001767U (ko) * 2019-01-30 2020-08-07 이경로 실 삽입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03A1 (ko) * 2022-10-28 2024-05-02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의 제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214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41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able, rotatable, microendoscope with tool for cutting, coagulating, desiccating and fulgurating tissue
EP0920280B1 (en) Fingertip-mounte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s
JP4690426B2 (ja) 組織剥離チップ及びこれを備える剥離装置
US20110028959A1 (en)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2012516716A (ja) 外科用ダイセクタ
WO1999017661A1 (en) Subcutaneous endoscopic dissector
EP2274040A1 (en) Articulating cannula access device
US20130331855A1 (en) Tissue res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20220132256A (ko) 수술용 샤프트
JP4709801B2 (ja) 外科手術用腔確保具及び外科手術用腔確保システム
JP4002649B2 (ja) 外科手術用腔確保具
US11864752B2 (en) Endoscopic stitching device for supporting suture needles in various orientations
US20140276774A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150101957A (ko) 오버튜브 및 그 사용법
JP4659758B2 (ja) 生体組織採取装置
JP2599947Y2 (ja) 医療用剥離吸引嘴管
JPH0584255A (ja) マイクロ波手術器
Stamenkovic et al. Right robotic-assisted thoracoscopic lower lobectomy
KR102212719B1 (ko) 내시경용 처치장치
CN215018125U (zh) 一种圈套器和切开刀
WO2007067556A2 (en) Endoscopic combination grasping and cutting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of generally concurrently cutting and capturing suture remnants
JP5357856B2 (ja) 生体組織採取装置および生体組織採取システム
JP2021159547A (ja) 多自由度剥離子
JP3689145B2 (ja) 血管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