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00B1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Google Patents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00B1
KR102336100B1 KR1020200015848A KR20200015848A KR102336100B1 KR 102336100 B1 KR102336100 B1 KR 102336100B1 KR 1020200015848 A KR1020200015848 A KR 1020200015848A KR 20200015848 A KR20200015848 A KR 20200015848A KR 102336100 B1 KR102336100 B1 KR 10233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nstrument
treatment
tube
snar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811A (ko
Inventor
조훈상
윤여웅
황지영
Original Assignee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0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58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working modes of the main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1 처치구;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2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한 처치구는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절제하는 스네어이고, 상기 스네어의 말단에 결합된 제3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조작 모듈; 및 상기 조작 모듈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핸드피스 상에서 다른 2종 이상의 처치구를 수용할 수 있고, 각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MULTIPLE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본 발명은 내시경 등의 시술에 이용되는 의료용 토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대 3종의 처치구가 한 기구상에 병용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의료 목적으로 신체의 내부를 살펴보기 위한 의료 기구로서,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해서 몸의 기관 내부를 관찰하는 시술 기구이다. 내시경은 검사하는 부위에 따라 기관지경, 위경, 복강경, 대장내시경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 서구적인 생활 습관과 식생활 변화 등의 사회적인 변화가 진행되면서 대장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장내시경 검사 장비 및 수술이 발달되면서 이전에 비해 대장내시경 검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록 대장내시경 검사가 이전에 비해서는 쉬워졌다고 하나, 현재도 누구나 쉽게 시술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검사는 아니다.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검사를 하면서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암은 물론 식도암과 대장암까지 치료하는 기술로서, 내시경 끝에 달린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해 점막에 붙어 있는 암 덩어리 등의 종양을 절개한 뒤 얇게 박리하여 분리하는 수술 방법이다. 시술자는 내시경을 통해 확인된 병변조직이 절제가 필요한 병변인지 그렇지 않은 병변인지를 구별하여야 하며, 병변조직 절제술을 시행함에 있어 병변의 위치, 크기, 모양 및 개수 등 발견된 폴립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병변조직 절제술 시술시, 필요한 처치구로는 약액 주입용 니들, ESD 나이프, 스네어, 마커, 생검 기구, 지혈 클립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점막하 박리술은 병변 조직의 주변으로 진입하여,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워싱 등 다양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므르로, 고주파 나이프는 이와 같은 처치를 한 번의 삽입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처치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 본 출원인은 ESD 나이프와 니들의 처치구를 병용시킨 고주파 나이프를 개발 및 출원하여 등록(한국등록특허 제 1830085호, 이하 ‘선행특허’로 약칭함)받은 바 있다. 선행특허는 기어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2개의 처치구를 교대로 토출시키는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메커니즘의 특성상 어느 한 처치구의 조작 시 반드시 다른 처치구가 반대로 구동되어 각 처치구 별 구동 범위의 설계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구동 범위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료용 처치구 중 스네어는 60~64mm의 구동범 위가 필요하고, 나이프와 니들은 14~17mm의 구동 범위가 필요하다. 상기의 경우와 같이 처치구의 특성상 구동 범위가 현저히 상이한 2개 이상의 처치구를 병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처치구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 및 안전장치가 존재하도록 설계됨이 유리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구동 범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처치구의 병용이 가능하며, 최대 3개의 처치구가 하나의 핸드피스 상에 구비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의 조작 메커니즘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830085호
본 발명은 용종 등의 병변 조직 절제시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복수개의 처치구를 하나의 핸드피스 상에 구현할 수 있으며, 최대 3종의 처치구가 마련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한 번의 삽입만으로 처치구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 복수개의 처치구를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 모듈을 조작하여 복수개의 처치구 중 일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부주의한 조작으로 구동시키려는 처치구 이외의 다른 처치구가 의도치 않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손만으로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1 처치구;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2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한 처치구는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절제하는 스네어이고, 상기 스네어의 말단에 결합된 제3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조작 모듈; 및 상기 조작 모듈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처치구는, 상기 스네어의 포획을 보조하기 위한 마킹 또는 프리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 나이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 내에서 상기 제3 처치구와 결합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3 처치구의 진퇴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나이프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조작하는 고정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가 상기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루멘은,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구비된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1 구동범위, 상기 제2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2 구동범위 일 때, 상기 제1 구동범위가 상기 제2 구동범위 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동범위 상에 상기 제2 구동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손잡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워싱이나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니들;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체내의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스네어; 상기 스네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네어에 인가된 고주파로 병변 조직을 마킹 또는 프리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 나이프; 상기 스네어 또는 상기 니들을 조작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튜브 내에서 상기 커팅 나이프와 결합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팅 나이프의 진퇴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나이프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시술자는 용종 발견시 용종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점막하박리술(ESD) 또는 점막하절제술(EMR)을 수행하게 되는데, 점막하박리술은 ESD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하며, 점막하절제술은 고주파 스네어가 주로 이용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토출 기구는 복수개의 처치구, 최대 3종의 처치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처치구는 각각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확보하여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료용 토출 기구의 사용시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모듈의 조작을 통해 복수개의 처치구 중 일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작 모듈의 고정핀에 의해 조작하고자 하는 처치구 이외의 처치구들은 비구동 상태가 되므로, 조작하고자 하는 처치구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각 처치구를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핀은 처치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여 처치구를 제어하며, 의료용 토출 기구 내부에 위치한 고정핀은 의료용 토출 기구 외부에 구비된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시키고자 하는 처치구의 위치에 따라 고정핀이 이동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은 조작 손잡이 근처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하려는 처치구에 따라 고정핀을 이동시킨 뒤 처치구를 조작하므로 물리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처치구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손잡이를 한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조작 손잡이의 길이 조절만으로 구동 범위가 현저히 상이한 처치구(예를 들어, 스네어(구동 범위 60~64mm) 또는 니들(구동 범위 14~17mm))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에 서로 다른 3종의 처치구로서, 제1 처치구가 스네어, 제2 처치구가 니들, 제3 처치구가 커팅 나이프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조작되는 모습과 조작 모듈의 위치에 따른 손잡이부 및 처치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올라갔을 때 제1 처치구 또는 제3 처치구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내려갔을 때 제2 처치구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용 토출 기구(1)는 2개 또는 3개의 처치구를 병용할 수 있고, 의료용 토출 기구(1)는 본체(90),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제3 처치구(11), 나이프 고리(40), 손잡이부(50), 제1 실린더(60), 제2 실린더(61), 구동부전원 연결부(70), 튜브(80) 및 조작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9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카테터 본체(90)를 의미한다. 본체(90)는 후단부에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부(50)가 구성된다. 본체(90)는 근위부(proximal)에 고주파 인가를 위한 전원 연결부(70)가 형성된다. 본체(90)의 전단에는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8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는 튜브(80)내에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제3 처치구(11)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처치구(10)는 손잡이부(50)와 함께 진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와 제3 처치구(11)의 용어는 내시경, 절개 등의 의료 시술시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로, 처치구는 스네어, 니들, 커팅 나이프, 마커, 내시경, 생검 기구, 지혈 클립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한 처치구는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절제하는 스네어이고, 나머지 처치구는 니들, 나이프, 마커, 내시경, 생검 기구, 지혈 클립으로 구성된 군에서 서로 다르게 선택된 처치구일 수 있다. 제3 처치구(11)는 스네어인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한 처치구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1 처치구(10)가 스네어, 제2 처치구(30)가 니들, 제3 처치구(11)가 커팅 나이프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1 처치구(10)인 스네어는 고주파 전력을 인가받으며, 튜브(80)로부터 토출되어 올가미를 형성하고,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튜브(80)로 인입됨에 따라 병변조직을 제거하는 처치구이다. 스네어는 충분한 올가미의 직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튜브(8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조작범위가 큰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스네어는 손잡이부(5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으로 약 60~64mm의 진퇴 거리가 조작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제2 처치구(30)인 니들은 워싱이나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처치구이다. 니들은 튜브(80)로부터 너무 많이 노출되면 의도치 않게 병변 조직에 깊이 침습되거나 불필요한 상처를 야기할 수 있어 첨예한 단부만 노출될 수 있도록 작은 조작범위를 갖는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니들은 손잡이부(5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으로 약 14~17mm의 진퇴 거리가 조작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제3 처치구(11)인 커팅 나이프는 고주파 전력이 인가받아 스네어가 미끄러운 용종을 포획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용종의 포획면을 마킹 또는 프리 커팅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나이프, ESD 나이프는 선단으로부터 약 1.5~4cm 정도 길이로 노출된다. 돌출된 용종의 절제시 고주파 나이프는 최소한의 작용면적이 요구됨에 따라 비교적 긴 길이로 노출된다. 반면, 마킹이나 프리 커팅을 수행할 경우 전술한 1.5~4cm의 노출 길이는 의도치 않게 주변 조직을 절제할 수 있다. 내시경과 함께 시술되는 고주파 나이프는 내시경의 각도상 1.5~4cm의 긴 길이가 노출됨에도 팁의 단부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직의 마킹이나 프리 커팅시 도트식으로 조직을 꾹꾹 누르는 식으로 시술을 수행하며, 그 때 마킹 또는 커팅 나이프는 조직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마킹이 가능한 1.5cm 이하의 길이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로, 제3 처치구(11)는 튜브(80)의 선단에 약 1.5cm 이하로 노출된다. 이에따라, 제3 처치구(11)는 용종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프리커팅을 수행함에 적합하다.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는 손잡이부(50)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에서 어느 한 처치구가 고정핀(105)에 의해 락킹(locking)되어 다른 처치구만 진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하는 독립적인 조작 구간이란,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50)의 슬라이딩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독립적인 조작 구간은 2개의 처치구 중 구동 범위가 크게 요구되는 처치구에 연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큰 구동 범위가 요구되는 제1 처치구(10)가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고, 제2 처치구(30)는 제1 처치구(10)의 구동 범위 이내에서 독립적인 구동 범위를 갖는다.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는 메커니즘의 구현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는 다른 처치구를 고정하는 조작 모듈(100) 구성을 포함하며, 조작 모듈(100)의 고정핀(105)의 위치에 따른 제1 처치구(10) 내지 제3 처치구(11)의 구동을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나이프 고리(40)는 튜브(80)의 선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나이프 고리(40)는 제1 처치구(10)와 제3 처치구(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이프 고리(40)는 튜브(80)의 내경과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3 처치구(11)에 결합함으로써 제3 처치구(11)의 진퇴시 상하 또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 고리(40)는 스네어의 와이어 및 커팅 나이프의 경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조작 모듈(100)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는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또는 제3 처치구(11)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으로, ESD 나이프와 니들을 병용시킨 다양한 토출 기구가 제안되었는데, 종래의 선행문헌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처치구를 각각 조작하도록 복수개의 조작수단(손잡이)을 구성하였다. 즉, ESD 나이프를 진퇴 조작하는 제1 손잡이와, 니들을 진퇴 조작하는 제2 손잡이를 병렬적으로 구성하여 복수개 처치구의 독립적인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내시경을 보면서 한 손만으로 토출 기구를 조작하는 의료 시술자 입장에서, 처치구 마다 조작하는 손잡이가 별도로 구성된 것은 정밀한 시술 작업을 더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는 손잡이부(50)가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또는 제3 처치구(11)를 모두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처치구를 조작하는 조작 환경과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50)는 1번의 슬라이딩 구동만으로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제3 처치구(11)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손잡이부(50)는 고정 손잡이(501)와 조작 손잡이(50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 손잡이 및 조작 손잡이로 손잡이의 용어를 분류하였으나, 고정 손잡이(501)와 조작 손잡이(503)는 모두 한 손으로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다.
고정 손잡이(50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수용하며, 조작 손잡이(503)는 사용자의 엄지를 제외한 다른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 손잡이(501)는 조작 손잡이(503)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손잡이(501)는 본체(9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부(50)의 구성 중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조작 손잡이(503)는 고정 손잡이(50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또는 제3 처치구(1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 손잡이(503)는 복수개의 처치구에 따라 구동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며, 사용자는 조작 손잡이(503)를 조작하여 처치구를 토출시켜 시술할 수 있다.
제1 실린더(60)는 본체(90) 내에 구비되며, 손잡이부(50) 및 제2 처치구(30)를 연결하는 연장된 영역을 지칭하며, 제1 실린더(60)는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 구동시 함께 구동되어 제2 처치구(3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제2 처치구(30)는 손잡이부(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은 아니나, 손잡이부(50)의 조작으로 제1 실린더(60)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제1 실린더(60)는 제2 처치구(3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장 연결되며, 조작 모듈(100)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부가 비어있다. 이는 조작 모듈(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이는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제2 실린더(61)는 본체(90) 내에 구비되며, 손잡이부(50)와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를 연결하는 연장된 영역을 지칭한다. 제2 실린더(61)는 제1 실린더(60)와 유사한 원리로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 구동시 함께 구동되어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는 손잡이부(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은 아니나, 손잡이부(50)의 조작으로 제2 실린더(61)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제1 처치구(10)와 제3 처치구(11)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부(70)에는 제1 처치구(10)의 타단이 고정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주목한다. 종래의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는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 잭이 시술자가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와 근접한 영역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는, 시술 현장에서 의료 종사자가 전원 잭을 고주파 나이프에 연결했을 때, 전원 케이블이 손잡이의 작동 반경에 방해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종래와 같이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잭이 결합되는 전원 연결부가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원 케이블이 섬세한 고주파 나이프의 조작에 방해가 되거나, 무게중심을 일그러뜨려 시술을 어렵게 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부(70)는 상기의 사항을 고려하여 손잡이부(50)와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원 연결부(7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조작상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도록 한다.
튜브(80)는 본체(90)의 선단에서 시작되어 체내로 삽입되는 영역을 정의한다. 제1 처치구(10) 내지 제3 처치구(11)가 관입될 수 있다.
조작 모듈(100)은 고정축(101), 고정핀 버튼(103) 및 고정핀(1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조작 모듈(100)의 고정핀(105)은 제1 처치구(10) 내지 제3 처치구(11) 중 일부를 고정시켜 락킹함으로써 락킹되지 않은 처치구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핀(105)은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을 조작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고정핀(105)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작 모듈(1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작 모듈(100) 중 직접적으로 처치구를 제어하는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축(101)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고정핀(105)은 본체(90) 내부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조작 대신 본체(90)의 외부에 구비된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고정핀(105)이 이동하여 해당 위치의 처치구 중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에 서로 다른 3종의 처치구로서, 제1 처치구(10)가 스네어, 제2 처치구(30)가 니들, 제3 처치구(11)가 커팅 나이프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2a는 튜브(80) 내에 제1 처치구(10) 내지 제3 처치구(11)가 인입되어 있는 정면 모습이다. 튜브(80)는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와 제2 처치구(30)는 각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튜브(80)는 상하로 구분된 제1 루멘(801) 및 제2 루멘(803)을 형성한다. 튜브(80) 내부의 위에 구비된 제1 루멘(801)에는 제2 처치구(30)가 구비되며, 아래에 구비된 제1 루멘(801)에는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가 구비된다. 도 2a와 같이 튜브(80)의 내부에 복수의 처치구가 구분되어 구비됨으로써, 특정 처치구는 다른 처치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특히, 제3 처치구(11)가 제2 루멘(803)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제3 처치구(11)는 제2 루멘(803)의 내벽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지만, 나이프 고리(40)와 제1 처치구(10)를 통해 제2 루멘(803) 내부에서 구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처치구(11)는 나이프 고리(40)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며, 제1 처치구(10)의 말단에 결합한다. 스네어인 제1 처치구(10)는 제2 루멘(803) 내부에서 스네어를 구성하는 탄성있는 두 개의 와이어가 제2 루멘(803)의 가로 길이 범위로 수축되어 긴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제1 처치구(10)는 가로 방향으로는 와이어의 탄력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처치구(11)는 제2 루멘(803)의 세로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된 나이프 고리(40)와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처치구(11)는 나이프 고리(40)를 통해 제2 루멘(803) 내부에서의 상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고, 제1 처치구(10)의 와이어를 통해 제2 루멘(803) 내부에서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b는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가 튜브(80) 외부로 토출된 모습이며, 도 2c는 제1 처치구(10)는 튜브(80) 내부에 위치하고 제3 처치구(11)만 튜브(80)로 토출된 모습이다.
제1 처치구(10)는 올가미를 형성하여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 및 절제할 수 있는 스네어이다. 스네어는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스네어의 와이어는 튜브(80) 내에 관입된 때에 튜브(80)의 내경 범위만큼 확장이 제한되어 수축되나, 스네어가 병변 조직을 포획하기 위해 튜브(80) 밖으로 토출된 경우에는 튜브(80) 외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며 원형의 올가미를 형성한다.
도 2b 및 도 2c를 참고하면, 제1 처치구(10)의 선단부는 나이프 고리(4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나이프 고리(40)는 제1 처치구(10)와 제3 처치구(11)가 결합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양 처치구를 연결할 수 있다.
나이프 고리(40)는 중앙부가 관통되고 외면이 각진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나이프 고리(40)는 육각 너트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처치구(10)는 나이프 고리(4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네어 와이어의 선단부는 나이프 고리(40)의 중앙부를 관통한 후 일부가 꺾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의 선단부는 꺾인 형태로서, 와이어의 선단부는 튜브(80) 외부로 토출되어도 원형의 올가미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중단부 및 후단부처럼 원형으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나이프 고리(40)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튜브(80) 내경의 중심점과 동일선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제3 처치구(11)는 나이프 고리(40)의 외면 중 일면에 부착되어 결합 연결될 수 있다. 나이프 고리(40)는 외면 중 두 개의 면이 대칭하고, 대칭하는 두 면 사이의 거리가 제2 루멘(803)의 세로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처치구(11)는 나이프 고리(40)의 대칭하는 두 면과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튜브(80)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진퇴 구동할 수 있다.
커팅 나이프는 스네어의 선단에 마련되며, 병변 조직에 직접 접촉하여 조직에 절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마킹을 생성하거나, 조직을 절제하는 절개와 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커팅 나이프는 선단의 라운딩 된 영역으로 부드러운 고주파 절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니들은 병변 조직의 점막하에 침습하여 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한 액체를 병변 조직에 주입함으로써 조직을 팽윤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조작되는 모습과 조작 모듈(100)의 위치에 따른 손잡이부(50) 및 처치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90) 내부는 2개의 루멘으로 구분되며, 상부인 제1 루멘(801)에는 제2 처치구(30)가 구비되고, 하부인 제2 루멘(803)에는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가 구비된다.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핀(105)의 위치에 따라 일부 처치구가 락킹되어 처치구들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고정핀(105) 및 고정축(101)은 튜브(90) 내부에서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축(101)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105)은 원기둥 또는 각기둥의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고정핀(105)의 양 말단의 가로 길이(지름)은 기둥 부분의 가로 길이(지름)보다 길어 工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05)의 형상적 특징 ‹š문에 고정핀(105)의 상하 이동시 말단이 고정축(101)에 걸려 고정핀(105)의 이동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고정핀(105)은 고정핀 버튼(103)을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본체(9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핀(105)을 직접 조작하는 대신 본체(90)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핀 버튼(103)을 조작함으로써 고정핀(105)을 조작할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의 말단 일면과 닿아 고정핀(105)을 밀거나 누름으로써 고정핀(105)을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을 조작할 때에는 고정핀(105)과 동일한 수직 선상에 위치하고, 조작 손잡이(503)의 선단에서 조작 손잡이(503)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도 3a는 고정핀(105) 및 고정핀 버튼(103)이 올라갔을 때의 모습이며, 도 3b는 고정핀(105)이 올라갔을 때 조작 손잡이(503)에 의해 구동되는 모습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고정핀 버튼(103)을 위로 올리는 경우,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2 실린더(61)에 결합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고징핀(105)의 하단면과 닿고, 고징핀(105)의 하단면을 고정축(101)까지 위로 밀어 올린다. 고정핀 버튼(103)이 제2 실린더(61)에 삽입되어 본체(90) 내부는 제1 처치구(1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결된다. 반면, 고정핀(105)의 위쪽, 즉 제1 실린더(60)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일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도 3b는 고정핀(105)이 위쪽으로 이동된 모습으로서, 고정핀(105)은 제1 실린더(60)의 일부에 삽입되어 제1 실린더(60) 및 제2 처치구(30)의 구동 제어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상단부는 상승되어 본체(90)를 벗어나므로 제1 실린더(60)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제1 실린더(60)의 일부가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력을 가하는 조작 손잡이(503)로부터 제1 실린더(60)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1 실린더(60)와 연결된 제2 처치구(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반면, 제2 실린더(61)는 빈 부분에 고정핀 버튼(103)이 결합되고, 구동을 제어하는 고정핀(105)도 없으므로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시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도 3c는 고정핀(105) 및 고정핀 버튼(103)이 내려갔을 때의 모습이며, 도 3d는 고정핀(105)이 내려갔을 때 조작 손잡이(503)에 의해 구동되는 모습이다. 도 3c 및 도 3d는 전술한 도 3a 및 도 3b와는 반대되는 조작으로서 동일한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핀 버튼(103)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 고정핀 버튼(103)의 상단부는 고정핀(105)의 상단면을 고정축(101)까지 내리고, 제1 실린더(60)에 결합한다. 고정핀 버튼(103)의 삽입으로, 본체(90) 내부는 제2 처치구(3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결되나, 고정핀(105)의 아래쪽, 즉 제2 실린더(61)는 일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도 3d는 고정핀(105)이 아래쪽으로 이동된 모습으로서, 고정핀(105)은 제2 실린더(61)의 일부에 삽입되어 제2 실린더(61) 및 제1 처치구(10)의 구동 제어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하강하여 본체(90)를 벗어나므로 제2 실린더(61)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제2 실린더(61)의 일부가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처치구(10)는 구동되지 않고, 제2 처치구(30)는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시 제1 실린더(60)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올라갔을 때 제1 처치구(10) 또는 제3 처치구(11)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는 제1 및 제2 루멘(801,803)에 구분되어 구비된다.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100) 즉, 고정핀(105)이 올라간 상태이므로 제1 실린더(60) 및 제2 처치구(30)는 락킹되고, 고정핀 버튼(103)은 제2 실린더(61)와 결합된다. 고정핀(105) 조작 후, 도 4의 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부(50), 보다 바람직하게 조작 손잡이(503)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50)의 고정 손잡이(501)를 엄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조작 손잡이(503)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압력을 가하여 제3 처치구(11)를 진퇴시켜 튜브(80) 밖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제3 처치구(11)는 제3 처치구(11) 독립적인 조작 구간인 D2 범위에서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제2 처치구(30)는 고정핀(105)에 락킹되므로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503)를 본체(90)의 선단 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제2 처치구(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도 4의 하단을 참조하면, 제3 처치구(11)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인 D2를 지나 조작 손잡이(503)를 더욱 앞으로 전진시키면 제1 처치구(10)가 튜브(80)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503)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제1 처치구(10)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범위는 D1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처치구(10)가 스네어, 제3 처치구(11)가 커팅 나이프로 구성되었으므로, 스네어의 구동범위인 D1(60~64mm)이 커팅 나이프의 구동범위인 D2(14~17mm)보다 크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내려갔을 때 제2 처치구(30)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구조이고, 도 5는 조작 모듈(100) 즉, 고정핀(105)이 아래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제2 루멘(803)에 구비된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가 락킹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도 5의 상단과 같이 고정핀(105)을 아래로 내리고, 도 5의 하단과 같이 손잡이부(50)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501)를 엄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조작 손잡이(503)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압력을 가하면, 제2 처치구(30)를 진퇴시켜 튜브(80) 밖으로 토출되나, 락킹된 제1 처치구(10) 및 제3 처치구(11)는 구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처치구(30)는 니들로 구성되었으므로, 구동범위는 14~17mm 범위이고 이는 제3 처치구(11)의 구동범위인 D2와 유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의료용 토출 기구
10: 제1 처치구
11: 제3 처치구
30: 제2 처치구
40 : 나이프 고리
50: 손잡이부
501: 고정 손잡이
503: 조작 손잡이
60: 제1 실린더
61: 제2 실린더
70: 전원 연결부
80: 튜브
801: 제1 루멘
803: 제2 루멘
90: 본체
100: 조작 모듈
101: 고정축
103: 고정핀 버튼
105: 고정핀

Claims (9)

  1.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1 처치구;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2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한 처치구는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절제하는 스네어이고, 상기 스네어의 말단에 결합된 제3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조작 모듈;
    상기 조작 모듈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스네어의 말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네어와 상기 제3 처치구를 연결시키는 나이프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 고리는,
    상기 스네어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중심부가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의 내면과 일면이 접하여 상기 제3 처치구가 상기 튜브 내에서 진퇴할 때, 상기 제3 처치구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치구는,
    상기 스네어의 포획을 보조하기 위한 마킹 또는 프리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 나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조작하는 고정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가 상기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은,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구비된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1 구동범위, 상기 제2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2 구동범위 일 때,
    상기 제1 구동범위가 상기 제2 구동범위 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동범위 상에 상기 제2 구동범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손잡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9.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워싱이나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니들;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체내의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스네어;
    상기 스네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네어에 인가된 고주파로 병변 조직을 마킹 또는 프리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 나이프;
    상기 스네어 또는 상기 니들을 조작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튜브 내에서 상기 커팅 나이프와 결합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팅 나이프의 진퇴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나이프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KR1020200015848A 2019-07-10 2020-02-10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102336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312 2019-07-10
KR20190083312 2019-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11A KR20210007811A (ko) 2021-01-20
KR102336100B1 true KR102336100B1 (ko) 2021-12-08

Family

ID=7430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848A KR102336100B1 (ko) 2019-07-10 2020-02-10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509A1 (ko) * 2021-08-27 2023-03-0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직 제거 장치
KR102624729B1 (ko) * 2021-08-27 2024-01-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직 제거 장치
KR102624728B1 (ko) * 2021-08-27 2024-01-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직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8550A1 (en) 2005-04-11 2014-09-25 Erbe Elektromedizin Gmbh Method for selectively elevating and separating tissue layers and surg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764386B1 (ko) * 2017-03-29 2017-08-03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US20180028217A1 (en) 2015-02-02 2018-02-01 Tandem Technologies Ltd. Probe for tissue treatment with a tandem sna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85B1 (ko) 2017-08-21 2018-02-21 유펙스메드(주)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KR102038589B1 (ko) * 2017-11-15 2019-10-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88550A1 (en) 2005-04-11 2014-09-25 Erbe Elektromedizin Gmbh Method for selectively elevating and separating tissue layers and surg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80028217A1 (en) 2015-02-02 2018-02-01 Tandem Technologies Ltd. Probe for tissue treatment with a tandem snare
KR101764386B1 (ko) * 2017-03-29 2017-08-03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11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232B1 (en) Flexible electrosurgical electrode with manipulator
US201702241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able, rotatable, microendoscope with tool for cutting, coagulating, desiccating and fulgurating tissue
US7588557B2 (en) Medical instrument for fluid injection and related method
US7632266B2 (en) Endoscop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3299792B2 (ja) 電気外科装置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CA2667560C (en) Biopsy collection device
EP3785654B1 (en)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KR101830085B1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JPWO2007063904A1 (ja) 細長医療部材
JP2000037348A (ja) 処置用内視鏡
JP2018535738A (ja) 内視鏡治療用の偏向チャネルを有する内視鏡キャップ
KR20200049258A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병변조직 제거용 의료용 스네어
KR101491846B1 (ko)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의 시술기구
US10548626B2 (en) Endoscopic tissue manipulation tool
KR102614596B1 (ko) 복수개 처치구 병용을 위한 멀티 루멘 구조의 의료용 토출 기구
KR20190020601A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CN112040894A (zh) 医疗设备
KR20210115644A (ko)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102161618B1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102121215B1 (ko) 내시경용 처치장치
JP2017527398A (ja) 選択的に回転するハンドルを有する外科用器具
WO2006051593A1 (ja) 生体組織採取装置
KR102212719B1 (ko) 내시경용 처치장치
US20220175412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flexible end eff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