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314A -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314A
KR20220130314A KR1020210034993A KR20210034993A KR20220130314A KR 20220130314 A KR20220130314 A KR 20220130314A KR 1020210034993 A KR1020210034993 A KR 1020210034993A KR 20210034993 A KR20210034993 A KR 20210034993A KR 20220130314 A KR20220130314 A KR 2022013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extract
basil
honeysuck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073B1 (ko
Inventor
김호연
남광우
남상인
Original Assignee
인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코스(주) filed Critical 인코스(주)
Priority to KR102021003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39Bryophyta [mo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복합으로 혼합하고, 이를 용매추출 및 분리 분획 그리고 동결건조 정제 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을 정교화한 항균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동초, 팔각향의 중량 %는 전체 원물 중량 대비 20 ~ 40이고, 이끼 및 바질은 1 ~ 20이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양성 및 음성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곰팡이 류에 대해서 광범위한 폭 넓은 항균 스펙트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Natural plant extract preservative system for cosmetics comprised of Honeysuckle, Anise, Lichen and Basi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 복합 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 본 발명은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혼합 복합하고, 이를 용매추출 및 분획 그리고 동결건조 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을 정교화하여 항균용 기능이 뛰어나도록 추출한 항균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인동초, 팔각향의 중량 %는 전체 원물 중량 대비 20 ~ 40 비율이고, 이끼 및 바질은 10 ~ 20 비율이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양성 및 음성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류에 대해서 우수한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 효과를 나타낸다.
사회 경제 및 문화적 생활 수준의 발전에 따라, 개인적 관리의 하나로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화장품 및 관련 산업규모가 증대되면서 화장료 및 개인관리 상품의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즉, 소득이 증가하고, 청결이 중시되며, 외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서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비누, 치약, 및 세정제등의 각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류는 자주 개봉되며, 사용빈도가 높아서 오염이 쉽게 되는 특징을 가지며 방부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제품류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는 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원료로 구성된 방부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합성방부제는 방부능력이 비록 우수하다 할지라도 피부에 미치는 부작용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점이 문제로 대두되어 온다. 특히 최근 천연물 또는 유기농 기반의 성분으로만 구성된 화장품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이에 어울리는 방부제에 대한 요구도 또한 증대되어 오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인체에 직접 사용하고, 포장을 개봉한 후에 비교적 장기간 사용하게 되며, 제품의 특성상 변질이 쉽게 나타날 수 있기에 방부 처리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화학물질을 합성하여 항균 기능이 나타나도록 하고, 이들의 합성방부제를 일정 함량 화장품에 첨가함으로써, 화장품의 변질, 부패를 방지하였다. 이러한 합성 방부제는 화장품에 대해 방부 효과가 탁월하기는 하지만, 화학물질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화학제품이므로 화장품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당연히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화장품의 주요 고객층의 요구나 사회 경향과는 배치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천연물 기반의 항균 조성물로 다종의 제품군이 개발되고 추시 판매되어 오고 있으나 이들 천연활성 원료 물질들은 대부분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화장료 제형상의 적용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손쉽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나한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과 목련 추출물인 마그놀롤(magnolol), 자몽추출물인 DF-100 등 극히 일부만이 제한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 중에서 가장 제품개발에 앞선 DF-100의 항균력은 DF-100에 포함된 유기산 및 합성보존료인 벤제토늄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에 기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 다른 천연항균제 등은 경제성이 낮거나 좁은 항균스펙트럼 또는 물성에 의한 상용범위의 제약등의 문제가 있어, 이들보다 더 진보되고 화장료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천연항균제가 지속 필요로 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의 합성방부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동시에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내며 화장료 제형상에서의 안정성 혼용성 친화성등 성능과 application에서 장점을 보유한 천연방부제에 대해서 깊이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황금, 청호, 라벤더, 로즈마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구비한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 방법을 명시하고, 그 특성으로서 부작용 및 독성이 적은 천연 추출물에서 유도되는 천연 추출물 항균제 조성물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또 하기 문헌 2에는 카프리릴글라이콜, 1.2 헥산다이올, 아니스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에 대해서 폭넓은 항균 스펙트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그 특성으로 규정해 두고 있다.
또한 하기 문헌 3에는 유자씨를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발효시켜 유자씨 발효 추출물을 얻는 단계, 유자씨로부터 유자씨 추출물을 얻는 단계, 황금으로부터 황금 추출물을 얻는 단계, 팔각회향으로부터 팔각회향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유자씨 발효 추출물 1 내지 60 중량%, 유자씨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황금 추출물 1 내지 80 중량% 및 팔각회향 추출물 1 내지 60 중량%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7-0038626 2017년 4월 7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142631 2019년 12월 27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2005호(2015.06.22 등록)
Egyptian Pharmaceutical Journal 2019, 18:68-73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Vol 10, Issue 1, 2017, 34-43 AIP Conference Proceedings 1678, 050014 (2015) FEMS Microbiology Letters, Volume 353, Issue 1, April 2014, Pages 57-62 J. Microbiol Biotechnol (2017), 27(3), 429-438 J Agric Food Chem 2003 21;51(11):3197-207)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조금씩 피부에 사용하는 조성물로 길게는 3년 이상의 shelf life가 요구되어진다. 하지만 화장료 조성물은 50% 이상이 정제수로 구성되어 있고, 정제수 성분은 미생물
균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water activity를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에 정제수 기반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생물 균의 생성과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 기능 물질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우레아, 벤질알콜, 클로로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Kathon), DMDM Hydantoin, Iodopropynyl butylcarbamate (IPBC), Chloroxylenol (PCMX)등 다종의 항균 기능을 나타내는 물질들이 개발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어왔고 또한 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조성물은 대표적인 화학 물질로서 화학 합성을 통해 만들어지며, 그 항균 기전에 있어 클로로 할로겐 물질을 부산물로 야기시키고, 또는 피부 막 위에서 Diffusion & penetration 기작을 통해서 쉽게 피부내로 침투 전달되어 혈관 이동을 통한 인체 부작용을 초래한다. 더 나아가 이들 성분은 피부에 도포시 자극을 유발하는 특성도 있어 자극을 통한 피부 염증 발생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 합성 항균 물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만 이루어진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류에 항균 스펙트럼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긴 shelf life를 견고히 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등 부작용이 없어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식물 추출물로만 구성되어 천연 화장료 또는 유기농 화장료 조성물 제작에도 적합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박테리아에 항균 기능이 우수한 소재, 효모에 항균 기능이 우수한 소재 그리고 진균류에 기능이 우수한 소재를 폭넓게 사전 추적 조사하고, 이들의 최적의 혼합 조합을 통해 피부에 안전하고, 미생물 균에는 항균기능이 우수한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자극이 낮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 식물 추출물에서 유도되는 천연 항균 기능 물질을 고 농축으로 정제한 항균 복합물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로는 인동초 (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Flower), 팔각향 (Illicium Verum (Anise) Fruit), 이끼 (Usnea Barbata (lichen)) 및 바질 (Ocimum Basilicum (Basil) Flower/leaf)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그 외 이 들의 식물에서 유래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각 추출물의 비율은 원물 전체에 대해 인동초는 20 ~ 40, 팔각향은 20 ~ 40, 이끼는 10 ~ 20, 바질은 10 ~ 20 의 중량 % 비율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5 ~ 40 중량%의 원물을 50℃에서 70%의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유효 성분의 분획도를 극대화하고자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분획하고, 또한 독성을 최소화하고자 그 분획물을 농축 및 동결건조함으로서 유효성은 극대화하고 자극도는 최소화한 식물 복합 추출물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외로도 세제류 및 의약류에도 적용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적용되어지는 함량은 0.5 ~ 5.0 중량% 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세럼, 파운데이션, 삼푸, 컨디셔너, 바디클렌저 및 그 외 피부용 화장료 군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천연 항균용 조성물은 다음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 인동초(Honeysuckle), 팔각향(Anise), 이끼 (lichen) 및 바질 (Basil) 원물을 건조 분쇄하고 혼합하는 단계:
b)상기 a)의 혼합물을 50 ℃에서 70%의 에탄올로 추출하고,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는 단계:
c)상기 b)의 분획물을 농축하고 -104℃에서 24시간 이상 동결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항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천연 복합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류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그 활성도 또한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복합 항균 조성물은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어떠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 사용에 있어 안전한 물질로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복합 항균 조성물은 화장료 및 세제류등 정제수 기반의 조성물에서 방부 목적의 베이스 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면 1은 식물 복합 항균 조성물 실시예 2-2의 슈도모나스 대장균(E. coli) 및 캔디다균 (Candida albicans) 미생물에서의 방부력 시험 결과이다. 시료를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실시 예 2-2 는 3개 시료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도면 2는 식물 복합 항균 조성물의 스킨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력 시험 결과이다. 도면 3은 식물 복합 항균 조성물의 로션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력 시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담당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유효성분이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조성물에서 특정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천연 복합 항균제"는 일반적으로 천연 물질로부터 추출한 2개 이상의 물질을 배합한 것으로, 이러한 배합물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더욱 광범위한 폭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방부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천연 방부제는 방부 기능과 항균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방부제는 항균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독성이나 자극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체사용에 있어 안전하여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스펙트럼이란, 항생물질이나 합성항균제 등의 항균성 물질이 어떤 미생물에 유효한가를 나타내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항균력은 한천을 함유한 배지의 평판 상에서 그 미생물이 생육할 수 없는 항균성 물질의 최저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값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화장품류는 스킨, 토너, 로션, 크림, 에센스, 클렌징류, 팩, 파우더, 바디케어 제품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꼭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꼭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을 복합으로 포함하는 추출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방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복합 항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동초(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Flower,忍冬)는 한반도 각처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흔한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길이 5m이다. "겨우살이덩굴", "금은등"(金銀藤), "금은화"(金銀花), "인동"(忍冬), "인동초"(忍冬草) 등으로도 불리운다.
가을 또는 겨울까지 잎이 붙어 있으며,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기고, 소지는 적갈색, 털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털이 나 있다. 어린잎은 양 면에 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지고, 뒷면에 약간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하고,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붙고, 가지 끝에 밀생한다. 포는 잎 모양, 타원형, 난형, 길이 1~2 cm 이다. 꽃 받침통은 털이 없고, 갈래는 난형, 끝에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4cm, 입술 모양으로 겉에는 털이 있고, 안쪽에는 누운 털이 있으며, 그 중 1개는 길게 갈라져 뒤로 말린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근 모양이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꽃과 잎은 약용으로 이용된다.
인동초 꽃은 꽃송이가 피기 직전에 따서 그늘에 말리고 잎과 줄기는 가을철에 베어서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두고 약용으로 사용한다. 인동(忍冬)은 꽃과 줄기를 모두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금은화는 성질이 차갑고 맛은 달고 약간 쓰면서도 맵다.
유효성분으로는 로니세린, 루테오린, 에피게닌, 타닌 등의 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어서 항염증,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 억제 작용이 있으므로 유행성 감기나 악성 유행성 감기, 호흡기 질병, 매독에 효과가 좋고 고열로 의식 불명이나 수족마비가 일어났을 때 조구등, 석고 등을 가하여 쓴다. 인후통,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두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결막염 및 부스럼,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고열, 화농성 감염증 등을 치료한다.
또한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삭이며 균을 죽이는 살균 작용이 있다. 갖가지 옹종·악창·옴·이질·열병·연주창 같은 데에 효과가 있다. 대장염·,위궤양,·방광염·인두염·,편도선염·,결막염 등 여러 가지 염증질병에도 효과가 크다. 그래서 인동초는 강한 항균작용과 해독, 열을 내리는 작용 및 염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정리된다 (Food Control Vol 31, Issue 1, 2013, 129-135, J Agric Food Chem 2008 56(24)).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팔각향(Illicium Verum (Anise) Fruit)은 중국과 한국에서 팔각회향으로도 불리우며 향신료의 일종이다. 영어로는 Star Anise라고 부르며 한자 명칭이나 영어 명칭이나 모두 열매가 여덟 꼴 별 모양처럼 자라는 것에서 이름을 땄다. 팔각향의 과실은 양 (陽)을 따뜻하게 하고, 한 (寒)을 풀어주며, 기 (氣)의 순환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어 중한 (中寒)으로 인한 구역 (嘔逆)과 한산 (寒疝)으로 인한 복통, 신 (腎)이 허(虛)해서 일어나는 허리 통증, 마르거나 습한 것으로 인한 각기 (脚氣)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상기 팔각회향은 세균인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과 진균인 흑국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고, 식물 추출물과 조합할 경우에 방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gyptian Pharmaceutical Journal 2019, 18:68-73.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Vol 10, Issue 1, 2017, 34-43). 또한 중국에서는 관절염에 좋다고 전해져 내려오면서 관절염 환자들에게 차로 끓여주는 민간요법이 있으며, 현대에는 그 유명한 타미플루의 원재료로도 쓰인다. 2009년 당시 돼지 독감이 유행했을 때 타미플루의 수요가 갑자기 폭증하여 팔각향의 공급에 제약이 있었던 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끼(Usnea Barbata (lichen))는 지의류라고도 하며, 보통 녹조류, 혹은 청록색 세균과 공생하는 복합 유기체다. 지의류의 구조, 생리, 그리고 생화학 기능은 격리 집단인 균류와 조류와는 많이 다르다. 지의류는 북극의 툰드라, 사막, 바닷가에 있는 돌, 유독한 화산암 더미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자라며, 또한 열대우림이나 온대 지방의 나뭇잎 혹은 가지, 벽이나 묘비 같은 바위에 기착하여 자라기도 한다.
이끼는 지구상 여러 곳에 퍼져있는 강인한 장수 식물이지만, 외부 환경 변화에 약해, 과학자들이 오존층의 손상 정도나 금속의 오염도를 산정하기 위해 지의류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물감, 향수, 민간 약품을 제조할 때에도 이용된다.
또한 이끼는 종에 따라 조금씩 성분이 다른 지의성분을 만들며 이 중 송라의 지의성분인 우스닌산(Ursnic acid)은 강한 항암 성분이 있다고 한다. 이런 지의 성분들은 일상에 쓰는 제품에도 의외로 많이 사용되는데, 진두발 지의와 나무이끼 지의의 지의성분은 향수나 방향제 등을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지의 종의 지의성분은 소독 및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AIP Conference Proceedings 1678, 050014 (2015), FEMS Microbiology Letters, Volume 353, Issue 1, April 2014, Pages 57-62). 그 외에도 여러 유용한 성분들을 만들어 내는 종들이 있으며 아직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질은 (Ocimum Basilicum (Basil) Flower/leaf)은 꿀풀목 꿀풀과 속한 한해살이풀이다. 키는 20~60cm 정도이며 잎은 연한 녹색의 타원형으로 길이 1.5~5cm, 너비 1~3cm 정도이다. 향이 강하게 나므로 향신료 또는 방향제로 쓰인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이다.
바질의 효능은 여러 증상에 효과를 낸다. 바질 속의 진정제 성분이 근력 저하, 소화불량, 몸의 통증을 예방한다. 바질은 육체 피로로 인한 염증과 피로, 우울감을 개선한다. 또한 불안을 낮추는 데도 좋다. 바질로 마사지를 하면 생리통이 경감된다. 다양한 바디 오일과 함께 바질로 마사지를 하면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는 향기가 나온다.
또한 바질의 유제놀(Eugenol) 성분은 천연 모기 퇴치제로, 바질 내 항균 성분이 벌레 물린 곳을 소독해준다. 항균 기능이 우수하고, 여드름균인 C.Acnes 등에 특히 강하여 여드름 치료제로도 이용되며, 항박테리아, 항암, 항산화 및 항염 등의 기능도 나타낸다 (J. Microbiol Biotechnol (2017), 27(3), 429-438, J Agric Food Chem 2003 21;51(11):3197-207).
그 외 바질은 천연즙, 연고 제형에서 상처를 치유할 수 있고, 바질의 성분을 파괴하지 않는 방식의 차나 음료로 섭취하게 되면 면역 체계가 개선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Comparative Clinical Pathology 2018 28(5)).
본 발명에서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의 식물 복합 항균 조성물은 각 원물 추출물에 대한 분리 정제 추출 및 농축 그리고 동결 건조 프로세스를 통해 추출된 개개의 추출물에 대하여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개개의 항균 기능을 확인하고,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비율을 재조합하여 넓은 범위의 우수한 항균 스펙트럼을 보유할 수 있도록 추출 기법을 정교화하고 개별추출 비율을 최적화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 그 추출법 및 시험 평가 법을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 예 1> 개별 추출물의 제조
(1) 개별추출물 1 - 인동초 (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Flower) 추출물 제조
인동초 꽃 원물을 마쇄기로 세절하고 70% 에탄올 (w/v)을 5배로 첨가한 후 50 ℃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이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Open colum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이 분획물을 46℃ 수조 상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 용매를 제거하고, 이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04℃에서 24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용매 성분을 완전히 배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농축물은 멸균한 DMSO용액을 용매로 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였고,이를 각 균주별 항균 활성을 측정하는데 활용하였다.
(2) 개별추출물 2 - 팔각향 (Illicium Verum (Anise) Fruit) 추출물 제조
팔각향 과일 원물을 마쇄기로 세절하고 70% 에탄올 (w/v)을 5배로 첨가한 후 50 ℃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이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Open colum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이 분획물을 46℃ 수조 상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 용매를 제거하고, 이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04℃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용매 성분을 완전히 배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농축물은 멸균한 DMSO용액을 용매로 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였고, 이를 각 균주별 항균 활성을 측정하는데 활용하였다.
(3) 개별추출물 3 - 이끼 (Usnea Barbata (lichen)) 추출물 제조
이끼 (지의류) 원물을 마쇄기로 세절하고 70% 에탄올 (w/v)을 5배로 첨가한 후 50 ℃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이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Open colum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이 분획물을 46℃ 수조 상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 용매를 제거하고, 이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04℃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용매 성분을 완전히 배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농축물은 멸균한 DMSO용액을 용매로 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였고, 이를 각 균주별 항균 활성을 측정하는데 활용하였다.
(4) 개별추출물 4 - 바질 (Ocimum Basilicum (Basil) Flower/leaf)추출물 제조
바질의 꽃과 잎으로 구성된 원물을 마쇄기로 세절하고 70% 에탄올 (w/v)을 5배로 첨가한 후 50 ℃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이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Open colum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이 분획물을 46℃ 수조 상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이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04℃에서 24시간 동결건조하여 용매 성분을 완전히 배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농축물은 멸균한 DMSO용액을 용매로 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였고 각 균주별 항균 활성을 측정하는데 활용하였다.
<실시 예 2>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개별 추출물에서 적용한 세절된 원물에 대하여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을 하기 표 1의 다양한 중량 비율로 혼합 후 70% 에탄올 (w/v)을 5배로 첨가한 후 50 ℃에서 4시간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이후, 0.45㎛ 필터로 여과한 후 Open colum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이 분획물을 46℃ 수조 상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이후 -104℃ 의 동결 건조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용매 성분을 완전히 배출하였다. 이후 1.3 부틸렌글라이콜 및 글리세린을 용매로서 이용하여 제품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원물의 중량 비율에 따른 복합 농축 추출물 실시예 2-1 ~ 2-3 및 비교 예 2-1을 얻었으며, 멸균한 DMSO용액을 용매로 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각 균주별 항균 활성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표 1,중량비]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바질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4 4  1  1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3 3 2  2 
복합추출물 실시예 2-3 2 2  3  3 
복합추출물 비교예 2-1 1  1  4  4 
<실시 예 3> 항균 활성 평가 법 및 추출물에 대한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복합 항균용 조성물 대한 균주별 항균 활성 측정은 추출, 분리, 정제 및 농축 그리고 동결 건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검증을 위한 시약으로서 배지는 NA(Nutrient agar), TSA(Tryptic soy agar), PDA (Potato Dextrose Agar) 및 YM(Yeast broth)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배지는 Difco-BBL사(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대장균(E. coli) 과 Streptococcus aureus 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TSA였고,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는 NA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YM을 그리고 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는 PDA 배지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세부 시험 법으로는 한천 평판(Agar plate)을 이용하였다. 배지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판의 물기를 제거하고 실험 전 37℃에서 2~3시간 정도 인큐베이터(incubator)에 둔다. 균주의 적당한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10-1, 10-2, 10-3 정도로 나누어 희석한 후, 본 실험 전에 배양하여 평판에 적당한 농도로 자라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상층 배지(0.7% agar)를 제조하여 희석된 균주를 재빨리 첨가하여 충분히 섞어주었다. 그리고 균주가 포함된 상층 배지를 하층 배지 위에 골고루 퍼지게 부어주었으며, 예비 배양을 위해 2~3시간 동안 전 배양을 하여 상층 배지를 굳혔다.
다양한 농도로 희석된 개별의 추출물 시료를 전 배양된 평판에 스폿으로 떨어뜨린다. 스폿으로 활성을 보이는 시료를 선별하여 한천 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을 실시하여 재확인하였다.
상기 한천 확산법은 희석된 균주를 한천 평판에 200 ㎕씩 도말한다. 멸균한 8 mm의 디스크를 핀셋을 이용하여 올려놓는다. 그 후, 디스크에 준비한 4종의 구성물인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의 시료를 농도별로 20 ㎕ 씩 로딩하여 시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화장료 보존제 시험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박테리아 3종, 효모 1종 그리고 곰팡이 1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균주는 다음과 같다. 박테리아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CCARM0237),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ACC14021),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3881) 3종을, 효모로는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KCTC7270), 곰팡이로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KACC40280)를 사용하였다.
각 세균은 1×106 CFU/mL 을 얻어 접종하였다. 추출물은 여러 가지 농도별로 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켜 멸균한 페이퍼 디스크(직경 8 mm)에 10 ㎕씩 점적하였다. DMSO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 평판 배지에 치상하여 28 ~ 37℃로 유지하여 1, 2, 3일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도(clear zone)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실시 예 4 - 개별 식물 추출물에 대한 활성도 효능 평가 및 그 특성 분석>
한천 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개별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균 효과 및 그 특성을 시험한 결과는 표 2와 다음과 같다.
 [표 2] Escherichia coli/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슈도모나스균 Strept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Candida albicans/캔디다균 Aspergillus niger/애스퍼질러스균
개별추출물 1-1_인동초 + + +  +++  ++ 
개별추출물 1-2_팔각향 ++++ ++ + + + 
개별추출물 1-3_이끼 + +  +  +  + 
개별추출물 1-4_바질 ++ ++  ++  ++  ++ 
※ 표 1에서 항균활성 판정기준
① (-) : 효과 없음
② (+) : 투명대의 크기가 3 mm 이하
③ (++) : 투명대의 크기가 4 내지 10 mm
④ (+++) : 투명대의 크기가 10 내지 20 mm
⑸ (++++) : 투명대의 크기가 20 mm 이상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식물 추출물로 제조된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4가지 추출물 모두 5종의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 균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동초 추출물은 효모 및 곰팡이 균에 대한 항균활성도가 높았고, 반면 팔각향 추출물은 박테리아 균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끼 추출물 및 바질 추출물도 5종 균 모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종합하여, 각 개별 추출물에 대해 각 항균 특성을 비교하면, 인동초는 박테리아에, 팔각향은 효모 및 곰팡이균에, 그리고 이끼 및 바질은 모든 균에 일정한 수준의 항균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시 예 5 - 복합 추출물에 대한 활성도 효능 평가 및 그 특성 분석>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나타낸 식물 복합 추출물에 대한 항균 활성도 평가도 또한 상기의 식물 개별 추출물에서 실시한 활성 평가 방법과 동일한 시험 방법에 준해 각 식물의 복합 비율에 따른 항균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대한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Escherichia coli/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슈도모나스균 Strept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Candida albicans/캔디다균 Aspergillus niger/애스퍼질러스균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 ++ ++  ++  ++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 +++ +++ +++ +++ 
복합추출물 실시예 2-3 ++ ++  ++  + +
복합추출물 비교예 2-1 + +  +  +  ++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동초 및 팔각향을 주요 비율로 구성한 식물 복합추출물 실시예 2-1과 2-2는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 균 모두에 대해서 각 개개의 개별 식물 추출물의 항균 활성도를 넘어서 더 우수한 항균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이끼 및 바질을 주요 비율로 구성한 복합 추출물 비교예 2-1 에서는 5종 균에 대한 활성도는 나타내나, 그 활성도 수준은 인동초 및 팔각향을 주요 성분으로 구성하고 있는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및 2-2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예 6> 복합 추출물의 미생물 최소 억제 농도 측정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상기 실시 예 3에서 적시한 항균 시험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각 미생물 균에 적합한 멸균한 액체 배지를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00 ㎕씩 넣고, 시료 희석액과 균을 접종한 후 황색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균 및 대장균은 온도 37℃의 배양기에서 24 시간, 캔디다 효모 및 애스퍼질러스 균은 온도 30℃의 배양기에서 48 시간 배양 후, ELISA reader (Perkin Elmer 1420)를 이용하여 600 ㎚에서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균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은 시료의 가장 낮은 농도를 균에 대한 항균 물질의 최소 성장 억제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결정하였다.
 [표 4] Escherichia coli/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슈도모나스균 Strept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Candida albicans/캔디다균 Aspergillus niger/애스퍼질러스균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1.4% 1.4% 1.4% 1.8% 1.8%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1.2% 1.2% 1.2% 1.2% 1.2%
복합추출물 실시예 2-3 1.9% 1.9% 1.9% 2.0% 2.0%
복합추출물 비교예 2-1 2.5% 2.5% 2.7% 2.7% 2.3%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합추출물 실시 예 2-1 및 2-2는 2 중량 % 이내에서 5종 균 모두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반면 복합물 비교예 2-1 은 실시예 2-1 및 2-2에 비해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고, 최소 억제 농도는 2 중량 % 이상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적용하는 데 있어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예 7> 세포 독성 시험 평가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피부 자극성 유무는 화장료 업계에서 시행하고 있는 MTT ( tetrazolium sal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cell in-vitro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우선 MTT 시험은 MTT 물질이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물에 녹지 않는 formazan 물질로 전환되는 특성을 이용한 분광학적인 시험법으로 HDF(Human Dermal Fibroblast,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를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DPBS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이용하였고, 대조군 대비 세포 독성도를 측정하였으며, 2% 이내에서는 세포독성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 적정 농도
0.1% 0.5% 1.0% 2.0% 4.0%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99% 98% 95% 93% 82%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99% 97% 95% 93% 83%
복합추출물 실시예 2-3 99% 97% 95% 93% 83%
<실시 예 8> 피부 첩포 시험을 통한 자극성 유무 평가
실제 사람 피부에서의 1차 자극성 평가는 Fin-chamber 패치를 이용하여 Human patch test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0 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에 2% 용액의 시료 및 Blank 용액을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 시간 동안 첩포한 다음,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2 시간 경과한 후,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하기의 기준표 표 6에 따라 판정하였다.
 [표 6] 점수 증상 및 판단 기준
- 0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5 약한 홍반
+ 1 명확한 홍반
++ 2 심한 홍반
+++ 3 심한홍반, 수포, 부종
피부 자극 지수 : [∑(점수×자극의 수)]/ 전체 시험자수× 총 자극 평가 횟수
 [표 7] 피 검자수 (명) 피부 자극 지수
대조군 10 0.0
복합추출물 실시예 2-1 (2% 농도) 10 0.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2% 농도) 10 0.0
복합추출물 실시예 2-3(2% 농도) 10 0.0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추출물 실시 예 2-1 및 2-2 그리고 2-3은 2% 농도에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 예 9>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력(Challenge Test) 평가
궁극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력 정도를 평가하고자 표 8에서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제작하고 여기에 복합추출물 실시예 2-2를 방부제로서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성능을 challenge tes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표 8] 비교 예_스킨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스킨) 비교 예_로션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Distilled water q.s q.s q.s q.s
Na2 EDTA 0.02 0.02 0.02 0.02
Sodium Hyaluronate 0.05 0.05 0.05 0.05
Glycerin 5 5 5 5
Carbomer 5 5 5 5
Tween 60 1 1 1 1
Glyceryl stearate - - 0.5 0.5
PEG-150 stearate - - 1.5 1.5
Cetearyl alcohol - - 1.0 1.0
Cetylethylhexanoate - - 10.0 10.0
Dimethicone - - 2.0 2.0
Fragrance 0.1 0.1 0.1 0.1
항균 복합물 실시예 2 - 1.5 1.5
페녹시에탄올 0.7 0.7
Caprylylglycol 0.5 0.5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80 중량 % 이상으로 다량 함유하여 미생물 균이 생존하기 좋은 환경인 water activity 가 높은 제형인 스킨을 우선하여 실시하였고, 두 번째로 water activity 도 높고 유화제 및 오일도 함유하여 또한 미생물 생존 환경이 우수한 로션을 선정하여 이에 맞는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실시 예 3 에서의 항균 활성도 시험을 활용하여 방부력을 확인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9] 경과일에 따른 균수 변화
최초 접종균수 1일차 7일차 14일 차 28일 차
E-Coli (EC) 비교 예_스킨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스킨 1.0x106 1.0x103 < 20 < 20 < 20
비교 예_로션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1.0x106 1.0x103 < 40 < 20 < 20
Pseudomonas Aeruginosa (PA) 비교 예_스킨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실시예 2-2 스킨 1.0x106 1.0x103 < 20 < 20 < 20
비교 예_로션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1.0x106 1.0x103 < 20 < 20 < 20
Streptococcus aureus (SA) 비교 예_스킨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스킨 1.0x106 1.0x103 < 20 < 20 < 20
비교 예_로션 1.0x106 < 20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1.0x106 1.0x103 < 20 < 20 < 20
Candida albicans (CA) 비교 예_스킨 1.0x106 1.0x102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스킨 1.0x106 1.0x103 < 20 < 20 < 20
비교 예_로션 1.0x106 1.0x102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1.0x106 1.0x103 < 20 < 20 < 20
Aspergillus niger (AN) 비교 예_스킨 1.0x106 1.0x102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스킨 1.0x106 1.0x103 < 20 < 20 < 20
비교 예_로션 1.0x106 1.0x102 < 20 < 20 < 20
복합추출물 실시예 2-2 로션 1.0x106 1.0x103 < 20 < 20 < 20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water activity가 높은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스킨 및 로션 모두 1일차 경과 시 접종된 미생물 균 수가 유의적으로 반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일 차 경과시 모든 시료에서 미생물 균은 제거되고, 2주차에서는 미생물 균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기반의 복합 식물 항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는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 등 모두에 대해서 광범위하고 폭넓은 우수한 항균 스펙트럼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을 복합으로 추출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화장품, 세제류, 식품 및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항균 목적의 베이스 기능 물질로서 화학 합성 방부제를 대체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Claims (6)

  1. 인동초 (Honeysuckle), 팔각향 (Anise), 이끼 (Lichen) 및 바질 (Basil) 기반의 식물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활성이 우수한 식물 복합 항균용 조성물
  2. 상기 제 1항에 있어,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각 추출물은 20 ~ 40 : 20 ~ 40 : 10 ~ 20 : 10 ~ 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3. 상기 제 1항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각 분쇄물을 복합으로 5 ~ 40 중량% 범위에서 추출 용매에 넣어서 50 ~ 70℃에서 4시간 이상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상기 제 1항에 있어 복합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되며, 농축되고, 동결 건조 공정을 통해 유효 성분은 높이고 휘발 성분은 제거하며, 글리세린 및 1.3 부틸렌글라이콜로 용매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상기 제 1항에 있어 항균 조성물은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되고, 그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5 ~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상기 청구 항 제 1항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제조 방법으로서,a)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원물을 건조 분쇄하고 일정 비율로 복합하는 단계;b)상기 a)의 혼합물은 70% 에탄올로 가열 추출되고,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 분획하는 단계 ;c)상기 b)의 분획물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최종 복합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
KR1020210034993A 2021-03-18 2021-03-18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93A KR102619073B1 (ko) 2021-03-18 2021-03-18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93A KR102619073B1 (ko) 2021-03-18 2021-03-18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14A true KR20220130314A (ko) 2022-09-27
KR102619073B1 KR102619073B1 (ko) 2023-12-28

Family

ID=8345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93A KR102619073B1 (ko) 2021-03-18 2021-03-18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707A (ko)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동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216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산초, 백두옹, 이끼, 팔각회향, 에키나시아 및 프로폴리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5B1 (ko) 2014-01-29 2015-06-26 인코스(주)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8626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루바마네이처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42631A (ko) 2018-06-18 2019-12-27 스킨큐어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KR20200042908A (ko) * 2017-07-31 2020-04-24 분루 공차이 세정 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707A (ko)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동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216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산초, 백두옹, 이끼, 팔각회향, 에키나시아 및 프로폴리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5B1 (ko) 2014-01-29 2015-06-26 인코스(주)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8626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루바마네이처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2908A (ko) * 2017-07-31 2020-04-24 분루 공차이 세정 제품
KR20190142631A (ko) 2018-06-18 2019-12-27 스킨큐어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IP Conference Proceedings 1678, 050014 (2015)
Egyptian Pharmaceutical Journal 2019, 18:68-73
FEMS Microbiology Letters, Volume 353, Issue 1, April 2014, Pages 57-62
J Agric Food Chem 2003 21;51(11):3197-207)
J. Microbiol Biotechnol (2017), 27(3), 429-438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Vol 10, Issue 1, 2017, 34-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073B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50505B1 (ko) 무화과 효소 및 아연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비건 남성 청결제
KR100583747B1 (ko) 생약추출물과 향료를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4687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688B1 (ko) 치자꽃 추출물, 펠라고니움 그라베올렌스 추출물,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노화방지용 항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94662C (zh) 含有印楝活性成分的润肤霜及制备方法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448555B1 (ko)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2906B1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634B1 (ko)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9394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