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133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133A
KR20220130133A KR1020227025359A KR20227025359A KR20220130133A KR 20220130133 A KR20220130133 A KR 20220130133A KR 1020227025359 A KR1020227025359 A KR 1020227025359A KR 20227025359 A KR20227025359 A KR 20227025359A KR 20220130133 A KR20220130133 A KR 2022013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ibi
imag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오 타카하시
마코토 나리야
타다아키 유바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6Inter-integrated circuit (I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송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이 송신 장치는 인터럽트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디바이스가 실장된 보드 내에서의 통신에 이용되는 버스 IF(Interface)로서 예를 들면, I2C(Inter-Integrated Circuit)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 I2C의 고속화가 요구되어 있고, 차세대의 규격으로서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규정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I3C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2017/061330
그런데, I3C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송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이 송신 장치는 인터럽트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수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송신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이 수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터럽트 요구(DA/R)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제어 데이터 버스와,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는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송신 장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송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수신 장치에서는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터럽트 요구(DA/R)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송신 장치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Write로 마스터에 데이터 전송할 때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Read로 마스터에 데이터 전송할 때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MDB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MIPI에서 이용되는 패킷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MIPI에서 이용되는 전송 데이터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촬상부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화상 데이터의 인코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0의 mipiLINK 데이터 처리부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이미지 센서에서의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8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이미지 센서에서의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21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의 정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1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의 정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의 정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MIPI D-PHY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6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7은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9는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0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1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2는 MIPI D-PHY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3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4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5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6은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7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한 구체례로서 본 개시는 이하의 상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1000)은 카메라 디바이스를 탑재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감시 카메라(예를 들면, 홈 시큐리티 시스템)나 산업 기기(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한 고장 검지 기능 부착 기기), 로보틱스(예를 들면,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폰) 등에 적용 가능하다. 통신 시스템(1000)은 화상 데이터 버스(600) 및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 버스(600) 및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통신 시스템(1000) 내의 디바이스 사이 또는 디바이스 내에 실장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카메라 디바이스이고, 화상 데이터 버스(600) 및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카메라 디바이스 내에 실장되고, 이미지 센서(200) 및 프로세서(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또한 복수의 슬레이브(300, 400, 50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MIPI에 의해 규정된 C-PHY 또는 D-PHY(즉, 고속 차동 링크)의 화상 데이터 버스(600)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200)의 트랜스미터(200a)로부터 프로세서(100)의 리시버(100a)에 화상 데이터가 보내질 수 있다.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I3C의 통신 규격으로 동작하기 위해 구성 가능한 2개의 배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SDA)은 I3C의 통신 규격에 따라 이미지 센서(200)의 슬레이브(200b)로부터 프로세서(100)의 마스터(100b)에 화상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클록 라인(SCL)은 I3C의 통신 규격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동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클록 신호를 반송할 수 있다. I3C 버스를 통한 동작 모드는 카메라의 적용례를 위해 사용될 때 CCI 모드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제어 데이터 버스(700)는 마스터(100b)와, 4대의 슬레이브(200b, 300, 400, 500)가 2개의 배선(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을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는 통신 속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전송 방식이 규정되어 있고,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200b)는 그들의 전송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전송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그와 같은 복수의 전송 모드로서 통상의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SDR(Standard Data Rate) 모드와, SDR보다도 높은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HDR(High Data Rate)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HDR 모드에서는 DDR(Double Data Rate) 모드, TSP(Ternary Symbol Pure-Bus) 모드 및 TSL(Ternary Symbol Legacy-inclusive-Bus) 모드의 3개의 전송 모드가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I3C에서는 커먼 커맨드 코드(CCC: Common Command Code)를 이용하여 1대 또는 복수대에 대해 일제히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동적으로 할당되는 어드레스(DAA: Dynamic Address Assignment)를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SDR 모드는 본 개시의 「제1 전송 모드」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HDR 모드, DDR 모드, TSP 모드 및 TSL 모드는 본 개시의 「제2 전송 모드」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프로세서(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시버(100a) 및 마스터(100b)를 가지고 있다. 프로세서(100)는 본 개시의 「수신 장치」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마스터(100b)는 본 개시의 「전송 모드 제어부」 및 「데이터 수신부」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이미지 센서(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를 가지고 있다. 이미지 센서(200)는 본 개시의 「송신 장치」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트랜스미터(200a)는 본 개시의 「제2 통신부」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슬레이브(200b)는 본 개시의 「전송 모드 전환부」 및 「데이터 송신부」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은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200b)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라인(SDA)을 통하여 1비트씩 순차적으로 시리얼 데이터가 전송되고, 클록 라인(SCL)을 통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시리얼 클록이 전송된다.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 마스터(100b)는 슬레이브(200b, 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슬레이브(200b, 300, 400, 500) 각각을 어드레스로 지정하여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 슬레이브(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마스터(100b), 슬레이브(300, 400, 500) 각각을 어드레스로 지정하여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200b)는 SDR 모드와 HDR 모드로 전송 방식을 전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BI-SDR)
통신의 시작시에서의 전송 방식이 SDR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SDR 모드에서 I3C의 IBI(In-Band Interrupt; 인터럽트)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을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라고 칭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맷으로 IBI 요구를 발행하고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 없이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출력한다.
도 2는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200b)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슬레이브(200b)는 SDR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하여 통신의 시작을 선언한다.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은 함께 H레벨이 되고, 슬레이브(200b)는 클록 라인(SCL)이 H레벨인 상태에서 데이터 라인(SDA)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한다. 또한 슬레이브(200b)는 이벤트 발생을 검지했을 때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상 데이터(210A)의 취득을 이벤트 발생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상 데이터(210A)에서 사람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나 후술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210A)에 의거하여 각 화상 데이터(210A)에 포함되는 소정의 대상의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에 그 검출을 이벤트 발생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촬상부(210)의 촬상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머(내부 카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타이머(내부 카운터)의 출력에 의거하는 화상 데이터(210A)의 취득을 이벤트 발생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소정의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센서로부터의 신호 출력을 이벤트 발생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스타트 컨디션(S) 출력 후, 프레임의 선두에 I3C의 기능을 이용한 IBI 요구(DA/R)를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송신한다. 슬레이브(200b)는 이어서, ACK(Acknowledge)/NACK를 이용한 수신 성공 확인을 행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100b)는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반송한다. 따라서,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로부터 ACK가 반송된 것에 의해 IBI 요구의 수신에 성공한 것을 확인한다. 그 후, 슬레이브(200b)는 헤더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예를 들면, MDB(Mandatory Data Byte)(HD0)나 옵션 데이터(HD1)를 송신한다. MDB(HD0) 및 옵션 데이터(HD1)는 헤더 데이터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슬레이브(200b)는 또한 SDR 모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SDR 데이터(DT1, …, Dtn) 등을 송신한다.
이때 SDR 데이터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예를 들어 후술하는 촬상부(210))에서 얻어진 RAW 데이터(화상 데이터), 또는 LINK층에서 데이터 처리함에 의해 얻어진 페이로드 데이터(Payload Data)이다. 페이로드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서의 1라인분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된다. 옵션 데이터(HD1)에는 예를 들면, SDR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DataType이나 DataBy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슬레이브(200b)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종료시킬 때에 IBI-SDR을 종료하는 것을 지시하는 커맨드(Te)를 송신한다.
도 3은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의 정의의 한 예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MDB(HD0)에서 [7]은 I3C standard specification에 의해 Reserved로 되어 있고, [6:2]도 Reserved로 되어 있고, [1:0]에는 transfer data의 type이 규정된다. 옵션 데이터(HD1)[7:0]에는 transfer data bytes의 number가 규정된다.
(IBI-DDR(1))
다음으로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송 방식을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하는 경우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Write로 마스터(100b)에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을 리드 커맨드를 이용하지 않는 IBI-D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라고 칭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맷으로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출력한다.
도 4는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Write로 마스터(100b)에 데이터 전송할 때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슬레이브(200b)는 SDR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하여 통신의 시작을 선언한다.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은 함께 H레벨이 되고, 슬레이브(200b)는 클록 라인(SCL)이 H레벨인 상태에서 데이터 라인(SDA)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한다. 또한 슬레이브(200b)는 상술한 이벤트 발생을 검지했을 때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스타트 컨디션(S) 출력 후, 프레임의 선두에 I3C의 기능을 이용한 IBI 요구를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송신한다. 슬레이브(200b)는 이어서, ACK를 이용한 수신 성공 확인을 행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100b)는 IBI 요구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 완료 통지로서 ACK(예를 들면, 1비트의 0)를 반송한다. 따라서,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로부터 ACK가 반송된 것에 의해 IBI 요구의 수신에 성공한 것을 확인한다. 그 후, 슬레이브(200b)는 헤더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예를 들면, MDB(HD0)나 옵션 데이터(HD1)를 송신한다. MDB(HD0) 및 옵션 데이터(HD1)는 헤더 데이터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옵션 데이터(HD1)에는 예를 들면, HDR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DataType이나 DataBy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슬레이브(200b)는 헤더 데이터를 IBI 요구와, 후술하는 전환 커맨드의 송신 사이의 기간에 송신한다. MDB(HD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HDR 모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를 포함한다. 또한 옵션 데이터(HD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옵션 데이터(HD1)를 후술하는 HDR 커맨드(HDR WCMD)의 일부[14:8], 또는 후술하는 HDR 데이터(HDR WDt)의 1워드째의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마스터(100b)는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슬레이브(2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리스타트 컨디션(Sr)을 출력하여 통신의 재개를 선언한다.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로부터 리스타트 컨디션(Sr)을 수신하면,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을 통지하는 브로드캐스트 커맨드(I3C Reserved byte(7E/W))를 송신하고 이어서, ACK를 송신한다. 그 후, 슬레이브(200b)는 전송 방식을 HDR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환 커맨드(CCC(ENTHDR))를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송신하고 1비트 패리티(T)를 송신한다. 이때의 전환 커맨드(CCC(ENTHDR))가 슬레이브(200b)로부터 마스터(100b)에의, HDR-DDR에서의 라이트 커맨드에 상당한다. 상기 1비트 패리티(T)는 마스터(100b)에서 CCC(ENTHDR)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슬레이브(200b)는 상기 전환 커맨드(CCC(ENTHDR))를 마스터(100b)에 송신함에 의해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를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환한다. 슬레이브(200b)는 전송 방식이 HDR 모드로 전환된 후, HDR 모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HDR 커맨드(HDR WCMD), HDR 데이터(HDR WDt), HDR CRC(Cyclic Redundancy Check) 워드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HDR 데이터(HDR WDt)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예를 들어 후술하는 촬상부(210))에서 얻어진 RAW 데이터(화상 데이터), 또는 LINK층(예를 들어 후술하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서 데이터 처리함에 의해 얻어진 페이로드 데이터이다. 페이로드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서의 1라인분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CRC 워드는 순회 용장(冗長) 검사를 행하기 위한 에러 보정용 데이터이다. 마스터(100b)는 예를 들면, 이 CRC 워드의 Preamble을 감시함으로써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DR 데이터를 송신하는데에 필요한 클록 라인(SCL)상에 공급되는 시리얼 클록의 수가 헤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100b)는 헤더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리얼 클록의 수를 검출함으로써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100b)는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면, 리드 커맨드를 이용하지 않는 IBI-DDR을 종료하는 것을 지시하는 종료 커맨드(Exit)를 송신한다. 슬레이브(200b)는 종료 커맨드(Exit)를 수신함에 의해 HDR 모드를 종료하고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를 HDR 모드로부터 SDR 모드로 되돌린다.
(IBI-DDR(2))
다음으로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송 방식을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하는 경우의 다른 예에 관해 설명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Read로 마스터(100b)에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을 리드 커맨드를 이용한 IBI-D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라고 칭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맷으로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출력한다.
도 5는 SDR 모드에서의 IBI에 이어서, HDR-DDR Read로 마스터(100b)에 데이터 전송할 때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슬레이브(200b)는 SDR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하여 통신의 시작을 선언한다.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클록 라인(SCL) 및 데이터 라인(SDA)은 함께 H레벨이 되고, 슬레이브(200b)는 클록 라인(SCL)이 H레벨인 상태에서 데이터 라인(SDA)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한다. 또한 슬레이브(200b)는 상술한 이벤트 발생을 검지했을 때에 스타트 컨디션(S)을 출력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스타트 컨디션(S) 출력 후, 프레임의 선두에 I3C의 기능을 이용한 IBI 요구를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송신한다. 슬레이브(200b)는 이어서, ACK를 이용한 수신 성공 확인을 행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100b)는 IBI 요구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 완료 통지로서 ACK(예를 들면, 1비트의 0)를 반송한다. 따라서,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로부터 ACK가 반송된 것에 의해 IBI 요구의 수신에 성공한 것을 확인한다. 그 후, 슬레이브(200b)는 헤더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예를 들면, MDB(HD0)나 옵션 데이터(HD1)를 송신한다. MDB(HD0) 및 옵션 데이터(HD1)는 헤더 데이터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슬레이브(200b)는 헤더 데이터를 IBI 요구와, 후술하는 전환 커맨드의 송신 사이의 기간에 송신한다. MDB(HD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HDR 모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를 포함한다. 또한 옵션 데이터(HD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옵션 데이터(HD1)를 후술하는 HDR 커맨드(HDR WCMD)의 일부[14:8], 또는 후술하는 HDR 데이터(HDR WDt)의 1워드째의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마스터(100b)는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슬레이브(2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리스타트 컨디션(Sr)을 출력하여 통신의 재개를 선언한다. 마스터(100b)는 또한 슬레이브(200b, 300, 400, 500)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일제히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을 통지하는 브로드캐스트 커맨드(I3C Reserved byte(7E/W))를 송신하고 이어서, ACK를 송신한다. 그 후, 마스터(100b)는 전송 방식을 HDR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환 커맨드(CCC(ENTHDR))를 마스터(100b) 및 슬레이브(300, 400, 500)에 송신하고 1비트 패리티(T)를 송신한다. 이때의 전환 커맨드(CCC(ENTHDR))가 마스터(100b)로부터 슬레이브(200b)에의, HDR-DDR에서의 리드 커맨드에 상당한다. 상기 1비트 패리티(T)는 슬레이브(200b)에서 CCC(ENTHDR)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슬레이브(200b)는 상기 전환 커맨드(CCC(ENTHDR))를 마스터(100b)로부터 수신함에 의해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를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환한다. 슬레이브(200b)는 전송 방식이 HRD 모드로 전환된 후, HDR 모드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고 HDR 커맨드(HDR WCMD), HDR 데이터(HDR WDt), HDR CRC 워드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HDR 데이터(HDR WDt)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에서 얻어진 RAW 데이터 또는 LINK층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의해 얻어진 페이로드 데이터이다. CRC 워드는 순회 용장 검사를 행하기 위한 에러 보정용 데이터이다. 마스터(100b)는 예를 들면, 이 CRC 워드의 Preamble을 감시함으로써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DR 데이터를 송신하는데에 필요한 클록 라인(SCL)상에 공급되는 시리얼 클록의 수가 헤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100b)는 헤더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리얼 클록의 수를 검출함으로써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100b)는 DDR 시퀀스의 종료를 검출하면, IBI-DDR을 종료하는 것을 지시하는 종료 커맨드(Exit)를 송신한다. 슬레이브(200b)는 종료 커맨드(Exit)를 수신함에 의해 HDR 모드를 종료하고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를 HDR 모드로부터 SDR 모드로 되돌린다.
도 6은 MDB의 데이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도 8, 도 9는 MDB의 Value Ranges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의 구체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7의 B 영역, C 영역, D 영역의 구체례를 도시한 것이다.
MD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8비트(MDB[7]∼MDB[0])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의 Value Ranges에서 Interruput Group Identifier(MDB[7:5])가 3'b000으로 되어 있는 경우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에 포함되는 MDB[4]의 값에 의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의 값이 1'b0일 때 MDB[3:0]에 기술되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RAW 데이터이고, MDB[4]의 값이 1'b1일 때 MDB[3:0]에 기술되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이다. MDB[4] 및 MDB[3:0]는 H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에 상당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의 Value Ranges에서 Interruput Group Identifier(MDB[7:5])가 3'b010, 3'b110 또는 3'b111로 되어 있는 경우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에 포함되는 MDB[4]의 값에 의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의 값이 1'b0일 때 MDB[3:0]에 기술되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RAW 데이터이고, MDB[4]의 값이 1'b1일 때 MDB[3:0]에 기술되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이다. MDB[4] 및 MDB[3:0]는 H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에 상당한다.
그런데, MDB의 Value Ranges에서 Interruput Group Identifier(MDB[7:5])에 포함되는 MDB[6]의 값이 도 8에서는 1'b0으로 되어 있고, 도 9에서는 1'b1로 되어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MDB[6]의 값에 의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이때 MDB[6]는 H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이미지 센서(200)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이미지 센서(200)의 개략 구성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210) 및 경로 선택부(220)를 가지고 있다. 경로 선택부(220)는 본 개시의 「선택부」의 한 구체례에 상당한다.
촬상부(210)는 예를 들면, 광학 렌즈 등을 통하여 얻어진 광학적인 화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촬상부(210)는 예를 들면,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부(21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가지고 있고, 아날로그의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촬상부(210)는 촬상에 의해 화상 데이터(210A)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210A)를 경로 선택부(220)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210A)는 예를 들면,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또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이다.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RAW 데이터를 들 수 있다.
경로 선택부(220)는 촬상부(210)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210A)의 해상도 등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응하여 화상 데이터(210A)를 전송시키는 경로를 선택한다.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가 저해상도인 경우 화상 데이터(210A)를 화상 데이터(220A)로서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 및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송출한다.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가 고해상도인 경우 화상 데이터(210A)를 화상 데이터(220B)로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송출한다.
이미지 센서(200)는 또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 출력 방식 선택부(250), I3CPHY층(260, 270) 및 mipiPHY층(280)을 가지고 있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은 도 1의 트랜스미터(200a)에 포함되는 구성의 한 예이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 출력 방식 선택부(250) 및 I3CPHY층(260, 270)은 도 1의 슬레이브(200b)에 포함되는 구성의 한 예이다. 트랜스미터(200a)는 예를 들면,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MPU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경로 선택부(220)로부터 입력된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220A)(예를 들어 RAW 데이터)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A)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회로이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또한 경로 선택부(220)로부터 입력된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220B)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B)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회로이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IBI 요구에 응하여 IBI를 발행하고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RAW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0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이때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데이터 전송에서 슬레이브(200b)를 선택하고 트랜스미터(200a)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1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이때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데이터 전송에서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의 쌍방을 선택한 것으로 된다.
I3CPHY층(260)은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I3CPHY층(260)은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의 전송 모드가 SDR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SDR 데이터(DT1, …, Dtn)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I3CPHY층(260)은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의 전송 모드가 HDR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HDR 데이터(HDR WDt)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이때 I3CPHY층(26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이용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220A)를 HDR 데이터(HDR WDt)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할 수 있다. I3CPHY층(26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의 입력에 응하여 화상 데이터(220A)를 HDR 데이터(HDR WDt)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할 수도 있다.
I3CPHY층(270)은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I3CPHY층(270)은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의 전송 모드가 SDR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SDR 데이터(DT1, …, Dtn)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I3CPHY층(270)은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서의 전송 모드가 HDR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HDR 데이터(HDR WDt)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이때 I3CPHY층(27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의 입력에 응하여 화상 데이터(230A)를 HDR 데이터(HDR WDt)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할 수 있다.
mipiPHY층(280)은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B)를 mipiCSI-2 또는 mipiCSI-3로 화상 데이터 버스(600)에 송출한다.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290)를 가지고 있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0인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마스터(100b)에 송출되는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220A)(예를 들어 RAW 데이터)인 경우(즉, 데이터 전송에서 슬레이브(200b)가 선택된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1인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온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마스터(100b)에 송출되는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230A)인 경우 또는 화상 데이터(210A)가 고해상도인 경우(즉, 데이터 전송에서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 중 적어도 트랜스미터(200a)가 선택된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온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경로 선택부(220)에서의 판정 결과(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10A)의 해상도), 또는 경로 선택부(220)에서의 선택 결과(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10A)를 전송시키는 경로)에 응하여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해도 좋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경로 선택부(220)에서 화상 데이터(210A)가 고해상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온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하는 대신에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만을 오프 해도 좋다. 또한 전력 공급 제어부(29)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하는 대신에 이하의 동작을 실행해도 좋다. 전력 공급 제어부(29)는 예를 들면, 슬레이브(200b)에 포함되는 PLL 회로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하거나 슬레이브(200b)에 포함되는 PLL 회로의 주파수를 내리거나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내리거나 해도 좋다.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1000)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촬상부(210)가 촬상에 의해 화상 데이터(210A)를 취득한다(스텝 S101).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가 저해상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그 결과, 화상 데이터(210A)가 저해상도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스텝 S102; N),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를 화상 데이터(220B)로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경로 선택부(2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B)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B)를 생성하고 mipiPHY층(280)에 송출한다(스텝 S103). mipiPHY층(280)은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B)를 mipiCSI-2 또는 mipiCSI-3로 화상 데이터 버스(600)에 송출한다(스텝 S104).
스텝 S102에서 화상 데이터(210A)가 저해상도라고 판정된 경우는(스텝 S102; Y),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가 RAW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그 결과, 화상 데이터(210A)가 RAW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스텝 S105; N), 경로 선택부(220)는 화상 데이터(210A)를 화상 데이터(220A)로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경로 선택부(2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A)를 생성하고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에 송출한다(스텝 S103). mipiPHY층(280)은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A)를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으로 화상 데이터 버스(600)에 송출한다(스텝 S104).
스텝 S105에서 화상 데이터(210A)가 RAW 데이터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5; Y), 또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에서의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 경우는 슬레이브(200b)가 IBI 요구를 발행한다(스텝 S106). 그러면,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IBI 요구에 응하여 IBI를 발동하고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송출한다(스텝 S107).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RAW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3: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스텝 S108).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0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1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또한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MDB[6]에 기술되는 데이터 또는 MDB[4] 및 MDB[6]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0인 경우(스텝 S109; Y), I3CPHY층(260)은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를 페이로드 데이터에 태워서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 없이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0).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1인 경우(스텝 S109; N), I3CPHY층(27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취득했을 때에(스텝 S111),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2).
마스터(100b)는 스텝 S110 또는 스텝 S112에 의해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슬레이브(200b)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에 의해 소정의 판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마스터(100b)는 예를 들면, 취득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부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고해상도의 촬상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슬레이브(200b)에 송출해도 좋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1'b0인 경우(스텝 S109; Y), I3CPHY층(26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취득했을 때에(스텝 S113),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해도 좋다(스텝 S114).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3C의 기능을 이용한 IBI 요구가 발행된 후, 전송 모드의 전환 커맨드(CCC(ENTHDR))가 송신됨에 의해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가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IBI 요구를 위한 전용 단자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마스터(100b)로부터 전환 커맨드(CCC(ENTHDR))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서 고속화, 또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3C의 기능을 이용한 IBI 요구가 발행된 후, 전송 모드의 전환 커맨드(CCC(ENTHDR))가 마스터(100b)로부터 수신됨에 의해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가 SDR 모드로부터 HDR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IBI 요구를 위한 전용 단자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서 고속화, 또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HDR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지시하는 종료 커맨드(Exit)를 마스터(100b)로부터 수신함에 의해 HDR 모드를 종료하고 제어 데이터 버스(700)의 전송 모드가 SDR 모드에 돌아온다. 이에 의해 모드 전환을 위한 전용 단자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서 고속화, 또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BI 요구와, 전환 커맨드(CCC(ENTHDR))의 송신 사이의 기간에 H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헤더 데이터(MDB(HD0))가 송신되고, 그 식별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데이터가 슬레이브(200b)로부터 마스터(100b)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모드 전환에 기인하는 마스터(100b)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서 고속화, 또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하는 데이터에 응하여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의 어느 것을 통한 통신을 행하는지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슬레이브(200b)가 선택된 경우에는 트랜스미터(200a)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와 같이 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에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변형례>
[변형례 A]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가 촬상부(21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210A)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영역을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210A)에 대해 설정되는 영역은 ROI(Region Of Interest)라고 불린다. 이하에서는 화상 데이터(210A)에 대해 설정되는 영역을 「ROI」라고 칭한다. 또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ROI 화상 데이터」라고 칭한다.
화상 데이터(210A)에 대한 영역의 설정에 관한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10A)로부터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 「임의의 조작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 등 화상 데이터(210A)에서의 일부의 영역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처리(또는 화상 데이터(210A)로부터 일부의 영역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처리)를 들 수 있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ROI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즉, 화상 데이터(210A)의 일부를 송신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210A) 전체를 전송하는 것보다도 전송에 관한 데이터량을 작게 한다. 따라서, mipiPHY층(280)이 ROI 화상 데이터를 송신함에 의해 예를 들면, 전송 시간이 단축되는 mipiPHY층(280)에서의 전송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는 등 데이터량이 저감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효과가 이루어진다.
(패킷의 구조)
다음으로 mipiPHY층(280)으로부터 마스터(100b)에의 화상의 송신에 이용되는 패킷의 구조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mipiPHY층(280)은 화상 데이터를 행 단위의 부분 화상 데이터로 분할하고 행마다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1 이상의 패킷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것은 ROI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mipiPHY층(280)에서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패킷(Packet)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는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으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이용되는 패킷의 구조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mipiPHY층(280)으로부터 마스터(100b)에 송신되는 전송 데이터(280A)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는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으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이용되는 전송 데이터(280A)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패킷에는 패킷 헤더(PH)와, 페이로드 데이터가 이 순서로 배열되어 포함된다. 페이로드 데이터에는 행 단위의 부분 화상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된다. 패킷 헤더(PH) 및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면, SDR 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에는 개개의 SDR 데이터(DT1, …, Dtn)에 상당한다. 패킷 헤더(PH) 및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면, DDR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에는 개개의 HDR 데이터(HDR WDt)에 상당한다.
패킷 헤더(PH)는 예를 들면, LongPacket의 PayloadData의 패킷 헤더이다. LongPacket의 PayloadData란 mipiPHY층(280)과 마스터(100b) 사이에서 전송되는 주요한 데이터를 가리키고 있다. 패킷 헤더(PH)에는 예를 들면, DI, WC 및 ECC(Error-Correcting Code)가 포함되어 있다. DI는 데이터 식별자를 격납하는 영역이다. DI에는 VC(가상 채널)의 번호 및 DataType(각 ROI의 데이터 타입)이 포함되어 있다. VC는 패킷의 플로우 제어를 위해 도입된 개념이고, 동일한 링크를 공용하는 복수의 독립한 데이터 스트림을 서포트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WC는 마스터(100b)에 대해 패킷의 끝을 워드 수로 나타내기 위한 영역이다. WC에는 예를 들면, Payload 길이가 포함되어 있다. Payload 길이는 예를 들면, LongPacket의 Payload에 포함되는 바이트 수이고, 예를 들면, ROI마다의 바이트 수이다. ECC는 PayloadData에 대해 에러 검출 또는 정정을 행하기 위한 값을 포함하는 PayloadDataECC 정보이다. ECC에는 오류 정정 부호가 포함되어 있다.
전송 데이터(280A)는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프레임은 통상, 헤더 영역(R1) 및 패킷 영역(R2)을 가지고 있다. 화상 데이터 프레임에서 헤더 영역(R1)은 예를 들면, MDB(HD0) 및 옵션 데이터(HD1)를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 프레임에서 헤더 영역(R1)에는 EmbeddedData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와, 헤더 정보에 대해 에러 검출 또는 정정을 행하기 위한 헤더 ECC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EmbeddedData란 화상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에 매입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가리키고 있다. 이때 EmbeddedData에는 프레임 번호와, ROI 수와, ROI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헤더 ECC 정보는 헤더 정보에 대해 에러 검출 또는 정정을 행하기 위한 값을 포함한다. 헤더 ECC 정보에는 오류 정정 부호가 포함되어 있다.
프레임 번호는 전송 데이터(280A)의 식별자이다. ROI 수는 전송 데이터(280A)에 포함되는 ROI의 총수이다. ROI 정보는 전송 데이터(280A)에 포함되는 ROI마다 마련된 ROI에 관한 정보이다.
ROI 정보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ROI의 영역 번호(또는 우선도)와, 화상 데이터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ROI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ROI의 영역 번호는 ROI마다 부여된 식별자이다. ROI의 우선도는 ROI마다 부여된 식별자이고,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복수의 ROI의 어느 것에 대해 겹쳐지는 영역의 할애가 행해졌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 정보이다.
ROI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ROI의 좌상단 좌표(Xa, Ya)와, ROI의 X축 방향의 길이와, ROI의 Y축 방향의 길이를 포함하고 있다. ROI의 X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ROI의 X축 방향의 물리 영역 길이(XLa)이다. ROI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ROI의 Y축 방향의 물리 영역 길이(YLa)이다. 물리 영역 길이란 ROI의 물리적인 길이(데이터 길이)를 가리키고 있다. ROI의 위치 정보에서 ROI의 좌상단과는 다른 위치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ROI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또한 ROI의 X축 방향의 출력 영역 길이(XLc)나 ROI의 Y축 방향의 출력 영역 길이(YLc)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 영역 길이란 예를 들면, ROI에 대해 솎아내기 처리나 화소 가산 등에 의한 해상도 변경이 이루어진 후의 ROI의 물리적인 길이(데이터 길이)이다.
ROI 정보는 또한 ROI마다 위치 정보 외에 예를 들면, 센싱 인포메이션, 노광 정보, 게인 정보, AD(Analog-Digital) 단어 길이, 화상 포맷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센싱 인포메이션이란 ROI에 포함되는 물체에 관한 연산 내용이나 ROI 화상 데이터에 대한 후단 신호 처리를 위한 보충 정보 등을 가리키고 있다. 노광 정보란 ROI의 노광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게인 정보란 ROI의 게인 정보를 가리키고 있다. AD 단어 길이란 ROI 내에서 AD 변환된 1화소당의 데이터의 단어 길이를 가리키고 있다. 화상 포맷이란 ROI 화상 데이터의 포맷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에서 패킷 영역(R2)에는 1라인마다 LongPacket의 PayloadData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LongPacket의 PayloadData의 선두 위치에 패킷 헤더(PH)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패킷 영역(R2)에는 화상 데이터(281)가 포함되어 있다. 패킷 영역(R2)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281)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에서 패킷 헤더(PH) 근처의 패킷군에는 예를 들면, 어느 ROI 화상 데이터(281a)가 포함되어 있고, 패킷 헤더(PH)로부터 떨어진 패킷군에는 예를 들면, 다른 ROI 화상 데이터(281b)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2개의 ROI 화상 데이터(281a, 281b)에 의해 화상 데이터(281)가 구성되어 있다. 각 라인의 LongPacket의 PayloadData에는 화상 데이터(281)에서의 1라인분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도 15는 촬상부(210)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210A)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는 다른 촬상 타이밍에서 촬상부(210)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210A)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I 화상 데이터(a1), ROI 화상 데이터(b1) 및 ROI 화상 데이터(c1)는 서로 맞겹쳐지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의 화상 데이터(210A)의 인코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6에는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에서의 SROI(Smart Region Of Interest)에서 규정된 룰에 따라 인코드가 행해졌을 때의 전송 데이터(280A)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송 데이터(280A)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프레임은 통상, 헤더 영역(R1) 및 패킷 영역(R2)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프레임에서 헤더 영역(R1)에는 EmbeddedData가 포함되어 있다. EmbeddedData란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또는 푸터에 매입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가리키고 있다. 이때 EmbeddedData에는 메타 데이터(metaData)로서의 보조 데이터(ds)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에서 패킷 영역(R2)에는 1라인마다 LongPacket의 PayloadDat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패킷 영역(R2)에는 화상 데이터(282)가 포함되어 있다. 각 라인의 LongPacket의 PayloadData에는 화상 데이터(282)에서의 1라인분의 imageData가 포함되어 있다. 도 16에는 화상 데이터(282)에서 ROI 화상 데이터(a1)에 상당하는 개소와, ROI 화상 데이터(b1)에 상당하는 개소와, ROI 화상 데이터(c1)에 상당하는 개소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ROI 화상 데이터(a1), ROI 화상 데이터(b1) 및 ROI 화상 데이터(c1)는 서로 맞겹쳐지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282)에서 ROI 화상 데이터(a1)에 상당하는 개소와, ROI 화상 데이터(b1)에 상당하는 개소와, ROI 화상 데이터(c1)에 상당하는 개소는 서로 맞겹쳐지지 않는다.
보조 데이터(dc)는 예를 들면, 보조 데이터(ds1, ds2, ds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조 데이터(ds1)에는 예를 들면, ROI 화상 데이터(a1)의 프레임 번호, ROI 번호 및 ROI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보조 데이터(ds2)에는 예를 들면, ROI 화상 데이터(b1)의 프레임 번호, ROI 번호 및 ROI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보조 데이터(ds3)에는 예를 들면, ROI 화상 데이터(c1)의 프레임 번호, ROI 번호 및 ROI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도 17은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110) 및 송신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는 화상 데이터(220A, 220B)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함에 의해 생성한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 mipiPHY층(280)에 송출한다.
화상 처리부(110)는 화상 데이터(220A, 220B)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다. 화상 처리부(110)는 ROI의 잘라냄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220A, 220B)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화상 처리부(110)는 여러 가지 데이터(110A, 110B, 110C)를 생성하고 송신부(130)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110)는 예를 들면, ROI 잘라냄부(111), ROI 해석부(112), 인코드부(113) 및 화상 처리 제어부(114)를 가지고 있다.
ROI 잘라냄부(111)는 화상 데이터(220A, 220B)에 포함되는 촬영 대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물체를 특정하고 특정한 물체마다 ROI를 설정한다. ROI 잘라냄부(111)는 화상 데이터(220A, 220B)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ROI의 화상 데이터(ROI 화상 데이터)를 잘라낸다. ROI 잘라냄부(111)는 또한 설정한 ROI마다 식별자로서 영역 번호를 부여한다. ROI 잘라냄부(111)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20A, 220B)에서 2개의 ROI를 설정한 경우에는 일방의 ROI에 대해 영역 번호 1을 부여하고 타방의 ROI에 대해 영역 번호 2를 부여한다. ROI 잘라냄부(111)는 예를 들면, 부여한 식별자(영역 번호)를 기억부에 격납한다. ROI 잘라냄부(111)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20A, 220B)로부터 잘라낸 하나 또는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에 격납한다. ROI 잘라냄부(111)는 또한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ROI에 부여한 식별자(영역 번호)를 하나 또는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와 관련시켜서, 기억부에 격납한다.
ROI 해석부(112)는 ROI마다 화상 데이터(220A, 220B)에서의 ROI 정보(110B)를 도출한다. ROI 해석부(112)는 예를 들면, 도출한 ROI 정보(110B)를 기억부에 격납한다. 인코드부(113)는 하나 또는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를 인코드 하여 화상 데이터(110A)를 생성한다. 인코드란 복수의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통합하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화상 처리 제어부(114)는 ROI 정보(110B)를 ROI 해석부(112)로부터 취득함과 함께 프레임 정보(110C)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 제어부(114)는 ROI 정보(110B) 및 프레임 정보(110C)를 송신부(130)에 송신한다. 프레임 정보(110C)는 예를 들면, 프레임마다 부여되는 가상 채널의 번호, 각 ROI의 데이터 타입, 라인마다의 Payload 길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타입에는 예를 들면, YUV 데이터, RGB 데이터 또는 RAW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타입에는 또한 예를 들면, ROI 형식의 데이터 또는 통상 형식의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송신부(130)는 입력된 여러 가지 데이터(110A, 110B, 110C, 220A, 220B)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회로이다. 송신부(130)는 화상 데이터(220A, 220B)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ROI에 관한 ROI 정보(110B)를 EmbeddedData로 송출한다. 송신부(130)는 또한 ROI의 잘라냄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220A)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110A)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A)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220B)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110A)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B)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이때 송신부(130)는 화상 데이터(110A)를 화상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송출함과 함께 각 ROI에 관한 ROI 정보(110B)를 화상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로 송출한다. 송신부(130)는 또한 통상 화상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220A)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A)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220B)에 의거하여 mipiCSI-2 규격 또는 mipiCSI-3 규격의 전송 방식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230B)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송신부(130)는 예를 들면, LINK 제어부(131), ECC 생성부(132), PH 생성부(133), EBD 버퍼(134), ROI 데이터 버퍼(135), 통상 화상 데이터 버퍼(136) 및 합성부(137)를 가지고 있다. LINK 제어부(131), ECC 생성부(132), PH 생성부(133), EBD 버퍼(134) 및 ROI 데이터 버퍼(135)는 ROI의 잘라냄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합성부(137)에의 출력을 행한다. 통상 화상 데이터 버퍼(136)는 통상 화상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합성부(137)에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ROI 데이터 버퍼(135)가 통상 화상 데이터 버퍼(136)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LINK 제어부(131)는 예를 들면, 프레임 정보(110C)를 라인마다 ECC 생성부(132) 및 PH 생성부(133)에 출력한다. ECC 생성부(132)는 예를 들면, 프레임 정보(110C)에서의 1라인의 데이터(예를 들면, 가상 채널의 번호, 각 ROI의 데이터 타입, 라인마다의 Payload 길이 등)에 의거하여 그 라인의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한다. ECC 생성부(132)는 예를 들면, 생성한 오류 정정 부호를 PH 생성부(133)에 출력한다. PH 생성부(133)는 예를 들면, 프레임 정보(110C)와, ECC 생성부(132)에서 생성된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1라인마다 패킷 헤더(PH)를 생성한다. 이때 패킷 헤더(PH)는 예를 들면, LongPacket의 PayloadData의 패킷 헤더이다. 이 패킷 헤더(PH)에는 예를 들면, DI, WC 및 ECC가 포함되어 있다. PH 생성부(133)는 생성한 패킷 헤더(PH)를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EBD 버퍼(134)는 ROI 정보(110B)를 일차적으로 격납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ROI 정보(110B)를 EmbeddedData로서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EmbeddedData란 화상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에 매입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가리키고 있다. EmbeddedData에는 예를 들면, ROI 정보(110B)가 포함되어 있다.
ROI 데이터 버퍼(135)는 화상 데이터(110A)를 일차적으로 격납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데이터(110A)를 LongPacket의 PayloadData로서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ROI 데이터 버퍼(135)는 ROI의 잘라냄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110A)를 LongPacket의 PayloadData로서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통상 화상 데이터 버퍼(136)는 화상 데이터(220A, 220B)를 일차적으로 격납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데이터(220A, 220B)를 LongPacket의 PayloadData로서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통상 화상 데이터 버퍼(136)는 통상 화상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화상 데이터(220A, 220B)를 LongPacket의 PayloadData로서 합성부(137)에 출력한다.
합성부(137)는 통상 화상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데이터(화상 데이터(220A, 220B))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생성한다. 합성부(137)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에 출력한다. 한편, 합성부(137)는 ROI의 잘라냄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각종 데이터(패킷 헤더(PH), ROI 정보(110B) 및 화상 데이터(110A))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생성한다. 합성부(137)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230A, 230B)를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마스터(100b)에 출력한다. 즉, 합성부(137)는 DataType(각 ROI의 데이터 타입)을 LongPacket의 PayloadData의 패킷 헤더(PH)에 포함시켜서 송출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ROI 잘라냄부(111)에 의해 잘려내여진 하나 또는 복수의 ROI 화상 데이터가 HDR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를 통하여 슬레이브(200b)로부터 마스터(100b)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마스터(100b)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서 고속화 또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례 B]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MDB가 8비트(MDB[7]∼MDB[0])로 구성되고, MDB의 Value Ranges에서 Interruput Group Identifier(MDB[7:5])가 3'b010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MDB[4:0])의 값이 5'h01일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RAW 데이터로 되어 있고, MDB[4:0])의 값이 5'h00일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로 되어 있다. MDB[4:0])에는 SDR 모드나 H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IBI 요구에 응하여 IBI를 생성함과 함께 발행하고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RAW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1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이때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데이터 전송에서 슬레이브(200b)를 선택하고 트랜스미터(200a)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0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이때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데이터 전송에서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의 쌍방을 선택하는 것이 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290)를 가지고 있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1인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마스터(100b)에 송출되는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220A)(예를 들어 RAW 데이터)인 경우(즉, 데이터 전송에서 슬레이브(200b)가 선택된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오프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0인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온 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290)는 예를 들면, 마스터(100b)에 송출되는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230A)인 경우 또는 화상 데이터(210A)가 고해상도인 경우(즉, 데이터 전송에서 트랜스미터(200a) 및 슬레이브(200b) 중 적어도 트랜스미터(200a)가 선택된 경우),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의 전력 공급을 온 한다.
다음으로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텝 S106까지의 순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스텝 S107 이후의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SDR 모드에서 IBI 요구에 응하여 IBI를 생성하고 발행하고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송출한다(스텝 S107).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RAW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의 전송용의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스텝 S108).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1인 경우 화상 데이터(22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출력 방식 선택부(250)는 예를 들면,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0인 경우 화상 데이터(230A)를 선택하고 송출한다.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1인 경우(스텝 S115), I3CPHY층(260)은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를 페이로드 데이터에 태워서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 없이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0).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0인 경우(스텝 S115), I3CPHY층(27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취득했을 때에(스텝 S111),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2).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본 변형례에서는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응하여 데이터의 처리 경로나 전송하는 데이터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에서 저소비 전력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례 C]
상기 변형례 B에서 MDB[4:0]에서의, 상술한 값(5'h00, 5'h01)과는 다른 값에 대해 새로운 기능의 식별이 추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0])의 값에서 5'h08에 대해 전력 공급이 오프 되어 있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온을 마스터(100b)에 요구하는 기능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0])의 값에서 5'h09에 대해 전력 공급이 온으로 되어 있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오프를 마스터(100b)에 요구하는 기능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00a)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220A) 또는 화상 데이터(230A)에 포함되는 얼굴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다고 한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220A) 또는 화상 데이터(230A)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검출부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슬레이브(200b)는 MDB[4:0])에 5'h08을 기록함에 의해 전력 공급이 오프 되어 있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온을 마스터(100b)에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상 데이터(220A) 또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230A)에 의거하여 얼굴이 포함되지 않게 된 것이 검출부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슬레이브(200b)는 MDB[4:0])에 5'h09를 기록함에 의해 전력 공급이 온 되어 있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오프를 마스터(100b)에 요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0)에서의 데이터 전송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텝 S108까지의 순서는 상기 변형례 B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스텝 S115 이후의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1인 경우(스텝 S115), I3CPHY층(260)은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20A)를 페이로드 데이터에 태워서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 없이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0).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0인 경우(스텝 S115), I3CPHY층(270)은 마스터(100b)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취득했을 때에(스텝 S111), 출력 방식 선택부(25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230A)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스텝 S112).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또한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8 또는 5'h09인 경우(스텝 S115), I3CPHY층(260)은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20A)나 화상 데이터(230A)를 싣지 않고, MDB[4:0]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IBI 요구를 I3C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이때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8인 경우에는 IBI 요구는 Wake-Up Request(250a)가 되고(스텝 S116), MDB[4:0]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5'h09인 경우에는 IBI 요구는 Ready-to-Sleep Request(250b)가 된다(스텝 S117).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새로운 제어선을 마련하지 않아도, IBI 요구를 활용함에 의해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 및 mipiPHY층(280)에 대한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변형례 D]
상기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서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헤더 데이터가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의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BI의 헤더에서 복수의 옵션 데이터(HD1, HD2, HD3, …)가 포함되어도 좋다. 옵션 데이터(HD1, HD2, HD3, …)에는 SDR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DataType이나 DataBy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전환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을 변경함에 의해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MDB[4:0]의 값이 5'h01일 때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RAW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고, MDB[4:0]의 값이 5'h00일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MDB[4: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0 또는 5'h01일 때 옵션 데이터(HD1)는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Virtual Channel)[7:6]과, DT(DataType)[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VC[7:6]에는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하위 2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DT[5:0]에는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Generic나 User Defined0, User Defined1, User Defined2, User Defined3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0 또는 5'h01일 때 옵션 데이터(HD2)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L(Word Count Length)[7:3]과, VCX(Virtual Channel Extension)[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L[7:3]에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Word Count Unlimited(워드 카운트 제한 없음)나 Word Count((8bit)×(h01-h1E)) 등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VCX[2:0]에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상위 3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WCL[7:3]이나 VCX[2: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0 또는 5'h01일 때 옵션 데이터(HD3)는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Word Count)[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7:0]에는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Word Count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WC[7: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옵션 데이터(HD2, HD3)에서 Word Count가 가변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단숨에 전송 중이라도 I3C로 terminate 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마지막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1회만 보내진다. 이에 의해 CRC를 1행마다 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CRC 워드의 Preamble의 감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변형례 E]
상기 변형례 D에서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전환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을 변경함에 의해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MDB[4:0]의 값이 5'h07일 때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RAW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고, MDB[4:0]의 값이 5'h06일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MDB[4: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6일 때 Specific Intertupt Indentifier Value가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0]과, HD1의 IBI_MDB_AOSC_EXT[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D1의 IBI_MDB_AOSC_EXT[7:0]에는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용 데이터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이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7일 때 옵션 데이터(HD1)는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7:6]과, DT[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DB[4:0]의 값이 5'h07일 때 옵션 데이터(HD2)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L[7:3]과, VCX[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DB[4:0]의 값이 5'h07일 때 옵션 데이터(HD3)는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MDB[4:0])의 값이 5'h07일 때 옵션 데이터(HD2, HD3)에서 Word Count가 가변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단숨에 전송 중이라도 I3C로 terminate 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변형례 F]
상기 변형례 D에서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에서 특정한 종류의 전송용 데이터가 설정되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특정한 종류로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MDB[4:0]의 값이 5'h06일 때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를 설정해도 좋다. MDB[4: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특정하는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6일 때 Specific Intertupt Indentifier Value가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B[4:0]과, HD1의 IBI_MDB_AOSC_EXT[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D1의 IBI_MDB_AOSC_EXT[7:0]에는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용 데이터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이 기술될 수 있다. 이때 HD1의 IBI_MDB_AOSC_EXT[7:0]이 예를 들면, 8'h08로 되어 있을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HD1의 IBI_MDB_AOSC_EXT[7:0]이 예를 들면, 8'h08 이외의 값으로 되어 있을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는 MDB[4:0]의 값에 응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변경 비트를 헤더(HD1의 IBI_MDB_AOSC_EXT[7:0])로부터 제외한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에 기재된 식별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전송 데이터를 IBI 요구에 포함시킨다.
HD1의 IBI_MDB_AOSC_EXT[7:0]이 예를 들면, 8'h08로 되어 있을 때 옵션(HD2)은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7:6]과, DT[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VC[7:6]에는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하위 2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DT[5:0]에는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Generic이나 User Defined0, User Defined1, User Defined2, User Defined3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6일 때 옵션(HD3)은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L[7:3]과, VCX[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L[7:3]에는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Word Count Unlimited(워드 카운트 제한 없음)나 Word Count((8bit)×(h01-h1E)) 등이 기술될 수 있다. VCX[2:0]에는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상위 3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6일 때 옵션(HD4)은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7:0]에는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Word Count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가 HD1인 IBI_MDB_AOSC_EXT[7: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변경 비트가 헤더(HD1의 IBI_MDB_AOSC_EXT[7:0])로부터 제외되는 경우에는 MDB[4:0]에 기재된 식별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전송 데이터가 IBI 요구에 포함된다. 이에 의해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옵션(HD3, HD4)에서 Word Count가 가변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단숨에 전송 중이라도 I3C로 terminate 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변형례 G]
상기 변형례 B 및 그 변형례에서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여러 가지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241)을 또한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때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241)에 기술된 정의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동적으로 바꾸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레지스터(241)는 예를 들면, IBI 요구에 응하여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1라인마다 행하는지 1프레임마다 행하는지를 정의하는 레지스터(REG_AOSC_IBI_FRAME)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REG_AOSC_IBI_FRAME에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IBI 요구에 응하여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마다 행한다. 예를 들면, REG_AOSC_IBI_FRAME에 0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IBI 요구에 응하여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1라인마다 행한다.
레지스터(241)는 예를 들면, 워드 카운트의 확장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정의하는 레지스터(REG_AOSC_WCX_EN)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EN에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워드 카운트의 확장을 행한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EN에 0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워드 카운트의 확장을 행하지 않는다.
레지스터(241)는 예를 들면, 워드 카운트가 0xFFFF보다 큰 경우에 자동적으로 워드 카운트를 확장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지, 0xFFFF 이하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워드 카운트를 확장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지를 정의하는 레지스터(REG_AOSC_WCX_AUTO)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AUTO에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자동적으로 워드 카운트를 확장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AUTO에 0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자동적으로 워드 카운트를 확장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레지스터(241)는 예를 들면, WCX_EN[4]=1'b0인 경우 HD2를 생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정의하는 레지스터(REG_AOSC_WCX_NOTX)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NOTX에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HD2를 생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예를 들면, REG_AOSC_WCX_NOTX에 0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HD2를 생략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도 37은 SDR 모드에서 슬레이브로부터 발행되는 IBI의 데이터 포맷의 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서는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의 데이터 포맷이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의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BI의 헤더에서 복수의 옵션 데이터(HD1, HD2, …)가 포함되어도 좋다. 옵션 데이터(HD1, HD2, …)에는 SDR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DataType이나 DataBy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ecific Interruput Identifier Value(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가 전환되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에 응하여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전환해도 좋다.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MDB[4:0]의 값을 변경함에 의해 전송용 데이터(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MDB[4:0]의 값이 5'h01일 때 취급 데이터 선택부(240)는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RAW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고, MDB[4:0]의 값이 5'h00일 때 전송용 데이터의 종류로서 mipiCSI-2 데이터 또는 mipiCSI-3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MDB[4: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옵션 데이터(HD1)는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MTYP[7:5]와, WCN_EN[4]와, STMTYP[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TMTYP[7:5]는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Reserved로 되어 있다. WCN_EN[4]에는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Word Count Extension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STMTYP[3:0]에는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Generic나 User Defined1-7, Reserved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옵션 데이터(HD2)는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X(Word Count Extension)[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X[7:0]에는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N_EN[4]가 1'b1일 때 24비트 길이의 Word Count의 최상위 1바이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DT0)는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7:6]과, DT[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VC[7:6]에는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PHY 물리층 옵션의 4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하위 2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DT[5:0]에는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페이로드 데이터의 형식/내용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DT1)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7:0]에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4비트 길이의 Word Count의 최하위 1바이트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WC[7:0]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DT2)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WC[1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C[15:8]에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4비트 길이의 Word Count의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1바이트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WC[15:8]에는 SDR 모드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MDB[4:0]의 값이 5'h01일 때 SDR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DT3)는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X[7:6]과, ECC(Error Correction Code)[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VCX[7:6]에는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PHY 물리층 옵션의 4비트 길이의 Virtual Channel ID의 상위 2비트가 기술될 수 있다. ECC[5:0]에는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하는 패킷 헤더 내의 1비트 에러 및 검출하는 2비트 에러에 대응하는 값이 기술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IBI 요구가 도 37∼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PI D-PHY Long Packet 구조를 가지고 있고, I3CPHY층(260)은 화상 데이터(220A)를 D-PHY Long Packet 구조에 태워서 제어 데이터 버스(700)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mipiPHY층(280)이 화상 데이터(230A)를 MIPI D-PHY Long Packet 구조에 태워서 화상 데이터 버스(600)에 송출하는 경우(즉, 트랜스미터(200a) 및 리시버(100a)가 MIPI D-PHY에 의해 규정된 화상 데이터 버스(600)를 통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00)는 화상 데이터(220A)를 처리하는 블록과, 화상 데이터(230A)를 처리하는 블록을 일부, 공통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10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여러 가지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241)가 슬레이브(200b)에 마련되어 있고, 레지스터(241)에 기술된 정의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변형례 H]
상기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서 화상 데이터(230A)가 예를 들면, 도 43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PI D-PHY의 데이터 포맷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LPS(Low Power State) 기간에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의 클록 공급이 정지되어 있고, 화상 데이터(230A)의 출력이 없다. 즉, LPS 기간은 저소비 전력 기간에 해당한다. 슬레이브(200b)가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MIPI D-PHY의 데이터를 I3CPHY층(260)으로 마스터(100b)에 전송하는 경우 LPS 기간에는 화상 데이터(230A)의 출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스터(100b)로부터는 클록이 공급되고, 제어 데이터 버스(700)상에 부정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슬레이브(200b)가 예를 들면, IBI를 라인 단위로 분할하여 LPS 기간 중의 데이터 출력을 피하거나 또는 프레임 버퍼를 구비하고 프레임 버퍼에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격납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프레임 버퍼로부터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전송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CPU의 부담이 커지거나 프레임 버퍼를 마련한 만큼 회로 규모가 커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서 이미지 센서(200)는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3의 상단에 기재한 바와 같이 LPS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간 중의 데이터를 D-PHY EPD Option 2의 Spacer로 메운 복수 라인 단위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전송하는 것이 생각된다. Spacer는 0xFF라고 규정된 더미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CPU의 부담의 증대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R 모드에서의 IBI에서 복수 라인 단위의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R 모드에서의 IBI에서 1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는 슬레이브(200b)는 예를 들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R 모드에서의 IBI에서 복수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마스터(100b)에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도 47은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200a), Spacer 생성부(310), 삽입 셀렉터부(320) 및 슬레이브(200b)를 가지고 있다.
Spacer 생성부(310)는 Spacer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Spacer 생성부(310)는 Spacer 데이터(310A)(0xFF)를 삽입 셀렉터부(320)에 출력한다. Spacer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Spacer 데이터(310A)는 삽입 셀렉터부(320)에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로부터 데이터 출력이 없는 LPS 기간 중의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삽입 셀렉터부(320)는 트랜스미터(200a)(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포함되는 LPS 기간에 Spacer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Spacer 데이터(310A)를 매입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320A)를 생성한다. 즉, 삽입 셀렉터부(320)는 Spacer 생성부(310)에 기술되는 정의에 따라 LPS 기간의 데이터를 Spacer로 한다. 삽입 셀렉터부(320)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320A)를 슬레이브(200b)에 출력한다. 슬레이브(200b)는 삽입 셀렉터부(3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320A)를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프로세서(100)(마스터(100b))에 전송한다.
프로세서(100)(마스터(100b))는 예를 들면,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3C 수신부(410), PH 검출부(420), 디팩부(430), Spacer 검출부(440) 및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를 가지고 있다. I3C 수신부(410)는 이미지 센서(200)로부터 화상 데이터(320A)를 수신한다. PH 검출부(420)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패킷 헤더(PH)를 검출하고 패킷 헤더(PH)에 포함되는 워드 카운트(WC)를 Spacer 검출부(440)에 출력한다. PH 검출부(420)는 화상 데이터(320A)에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pacer 검출부(440)로부터 입력되는 Spacer 종료 위치(440B)에 의거하여 각 프레임의 패킷 헤더(PH)를 검출한다.
디팩부(430)는 PH 검출부(420)에서 얻어진 패킷 헤더(PH)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LongPacket 및 Spacer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에 출력한다. Spacer 검출부(440)는 워드 카운트(WC)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Spacer의 위치(예를 들면, Spacer 시작 위치(440A), Specer 종료 위치(440B))를 검출한다. Spacer 검출부(440)는 Spacer의 위치를 Spacer의 값(0xFF)으로 판단한다. Spacer 검출부(440)는 검출한 Spacer 시작 위치(440A)를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에 출력하고 검출한 Spacer 종료 위치(440B)를 PH 검출부(420)에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는 Spacer 시작 위치(440A)에 의거하여 디팩부(4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LongPacket을 추출하고 추출한 LongPacket으로부터 화상 데이터(450B)를 생성한다. 즉,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는 추출한 LongPacket으로부터 원래의 화상 데이터(230A)를 복원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포함되는 LPS 기간의 데이터로서 Spacer(0xFF라고 규정된 더미 데이터)가 매입된다. 이에 의해 MIPI D-PHY의 데이터를 복수 라인 단위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단위로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CPU의 부담의 증대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320A)로부터 LongPacket을 추출함에 의해 원래의 화상 데이터(230A)가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화상 데이터(230A)를 마스터(100b)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변형례에서 워드 카운트(WC)는 D-PHY 구조에 맞추어서 16비트로 되어 있고, 워드 카운트 익스텐션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 매입되는 Spacer의 길이는 D-PHY EPD Option 2의 준거로 8비트 단위로 가변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또는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에 관해서는 레지스터에 정의함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면, 레지스터에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및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의 어느 하나의 모드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에 기술된 모드로 프레임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레지스터에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의 정의가 기술됨과 함께 1회의 I3C의 IBI로 전송 가능한 프레임 수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에 정의된 프레임 수만큼 1회의 I3C의 IBI로 전송 가능하다. 즉,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모드의 정의에 따라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프레임 수의 정의에 따라 레지스터에 정의된 프레임 수만큼 1회의 I3C의 IBI로 전송을 행한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 슬레이브(200b)는 하나 또는 복수 라인마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 프레임마다 P(Stop Condition)를 발행함으로써 IBI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해도 좋다. 이때 IBI를 종료하는 방법의 정의가 레지스터에 기술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슬레이브(200b)는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IBI를 종료하는 방법의 정의에 따라 IBI를 종료한다.
예를 들면, IBI를 종료하는 방법으로서 1라인마다 P(Stop Condition)를 발행하는 것이 레지스터에 기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IBI를 종료하는 방법으로서 n프레임마다 P(Stop Condition)를 발행하는 것이 레지스터에 기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IBI를 종료하는 방법의 정의가 레지스터에 기술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슬레이브(200b)가 P(Stop Condition)를 발행하지 않고, 마스터(100b)가 Abort 할때까지 전송을 계속해도 좋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 마스터(100b)가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마스터(100b)는 예를 들면, 전송 종료 커맨드로서 T비트(Te 커맨드)를 슬레이브(200b)에 송신함에 의해 IBI-SDR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슬레이브(200b)에 정지시킨다. 즉, 슬레이브(200b)는 마스터(100b)로부터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것에 기인하는 전송 종료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에 데이터의 마스터(100b)에의 전송을 중지한다.
[변형례 I]
상기 변형례 H에서 예를 들면,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IBI의 헤더(DA/R, HD0, HD1 등)에 대한 CRC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IBI의 헤더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100b)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마스터(100b)가 IBI의 헤더에 대한 CRC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IBI의 헤더보다도 후단에서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경우와 비교하여 신속하게,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러가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에 의한 버스의 점유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전송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9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생성하는 CRC 생성부(340)가 이미지 센서(200)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의 이미지 센서(200)의 구성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 관한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330), CRC 생성부(340) 및 삽입 셀렉터부(350)를 또한 가지고 있다.
레지스터(330)에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지의 여부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다. CRC 생성부(340)는 레지스터(330)에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 셀렉터부(32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IBI의 헤더를 검출하고 검출한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생성한다. 삽입 셀렉터부(350)는 삽입 셀렉터부(32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320A)에서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IBI의 헤더와 그것에 이어지는 Short Packet 사이에 삽입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350A)를 생성한다. 삽입 셀렉터부(350)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350A)를 슬레이브(200b)에 출력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지의 여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330)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레지스터(330)에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가 화상 데이터(320A)에서의, IBI의 헤더와 그것에 이어지는 Short Packet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에러가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에 의한 버스의 점유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전송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헤더(DA/R, HD0, HD1 등)에 대한 CRC는 IBI 이외일 때에 마련되어도 좋다.
[변형례 J]
상기 변형례 H, I에서의 데이터 전송 포맷에서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가 SEP(Service Extention Packet) over CSI-2 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로 치환되어도 좋다.
MIPI D-PHY의 Short Packet의 구조가 예를 들면,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cketHeader(PH), SEP 및 CheckSum/CRC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의 SEP는 예를 들면,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Extended PacketHeader(ePH), PacketData 및 Extended PacketFooter(eP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MIPI D-PHY의 LongPacket의 구조가 예를 들면,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cketHeader(PH), SEP 및 CheckSum/CRC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의 SEP는 예를 들면,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Extended PacketHeader(ePH), PacketData 및 Extended PacketFooter(eP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트랜스미터(200a)의 후단에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제1 구조) 및 SEP(Servic Extention Packet) over CSI-2 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제2 구조)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선택하는 셀렉터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때 이미지 센서(200)는 제1 구조 및 제2 구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셀렉터부는 예를 들면, 레지스터에 제2 구조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랜스미터(200a)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230A)에서 제1 구조를 제2 구조로 바꾸는 처리를 행해도 좋다.
[변형례 K]
상기 변형례 H에서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ller 생성부(360) 및 셀렉터부(370)를 또한 가지고 있어도 좋다.
Filler 생성부(360)는 Filler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ller는 0x00으로 규정된 더미 데이터이다. Spacer 생성부(310)는 Spacer 데이터(310A)(0xFF)를 셀렉터부(370)에 출력한다. Filler 생성부(360)는 Filler 데이터(360A)(0x00)를 셀렉터부(370)에 출력한다. Spacer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Spacer 데이터(310A) 및 Filler 생성부(360)로부터 출력되는 Filler 데이터(360A)의 어느 하나는 삽입 셀렉터부(320)에서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서 데이터 출력이 없는 LPS 기간 중의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셀렉터부(370)는 Spacer 생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Spacer 데이터(310A)(0xFF), Filler 생성부(360)로부터 출력되는 Filler 데이터(360A)(0x00)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삽입 셀렉터부(320)에 출력한다.
삽입 셀렉터부(320)는 트랜스미터(200a)(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포함되는 LPS 기간에 셀렉터부(370)로부터 입력된 Spacer 데이터(310A), Filler 데이터(360A)의 어느 하나를 매입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320A)를 생성한다. 즉, 삽입 셀렉터부(320)는 셀렉터부(370)에서 선택된 정의에 따라 LPS 기간의 데이터를 Spacer 및 Filler의 어느 하나로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삽입 셀렉터부(320)에 Filler 데이터(360A)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200)는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2의 상단, 도 53, 도 54, 도 55에 기재한 바와 같이 LPS 기간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간 중의 데이터를 D-PHY EPD Option 2의 Filler로 메운 복수 라인 단위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 관한 프로세서(100)(마스터(100b))에서는 Spacer 검출부(440) 대신에 Filler 검출부가 마련된다. Filler 검출부는 워드 카운트(WC)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Filler의 위치(예를 들면, Filler 시작 위치, Filler 종료 위치)를 검출한다. Filler 검출부는 Filler의 위치를 Filler의 값(0x00)으로 판단한다. Filler 검출부는 검출한 Filler 시작 위치를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에 출력하고 검출한 Filler 종료 위치를 PH 검출부(420)에 출력한다. PH 검출부(420)는 화상 데이터(320A)에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Filler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Filler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각 프레임의 패킷 헤더(PH)를 검출한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는 Filler 시작 위치에 의거하여 디팩부(4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LongPacket을 추출하고 추출한 LongPacket으로부터 화상 데이터(450B)를 생성한다. 즉, 화상 데이터 생성부(450)는 추출한 LongPacket으로부터 원래의 화상 데이터(230A)를 복원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mipiLINK 데이터 처리부(230)에 포함되는 LPS 기간의 데이터로서 Filler(0x00으로 규정된 더미 데이터)가 매입된다. 이에 의해 MIPI D-PHY의 데이터를 복수 라인 단위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단위로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마스터(100b)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CPU의 부담의 증대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320A)로부터 LongPacket을 추출함에 의해 원래의 화상 데이터(230A)가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I3C의 IBI 기능을 활용하여 화상 데이터(230A)를 마스터(100b)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변형례에서 워드 카운트(WC)는 D-PHY 구조에 맞추어서 16비트로 되어 있고, 워드 카운트 익스텐션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변형례에서 매입되는 Filler의 길이는 D-PHY EPD Option 2의 준거로 8비트 단위로 가변 길이로 되어 있다.
[변형례 L]
상기 변형례 K에서 예를 들면,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IBI의 헤더(DA/R, HD0, HD1 등)에 대한 CRC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IBI의 헤더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100b)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마스터(100b)가 IBI의 헤더에 대한 CRC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IBI의 헤더보다도 후단에서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경우와 비교하여 신속하게,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러가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에 의한 버스의 점유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전송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6은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생성하는 CRC 생성부(340)가 이미지 센서(200)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의 이미지 센서(200)의 구성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 관한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330), CRC 생성부(340) 및 삽입 셀렉터부(350)를 또한 가지고 있다.
레지스터(330)에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지의 여부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다. CRC 생성부(340)는 레지스터(330)에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 셀렉터부(32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IBI의 헤더를 검출하고 검출한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생성한다. 삽입 셀렉터부(350)는 삽입 셀렉터부(32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320A)에서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IBI의 헤더와 그것에 이어지는 Short Packet 사이에 삽입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350A)를 생성한다. 삽입 셀렉터부(350)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350A)를 슬레이브(200b)에 출력한다.
본 변형례에서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지의 여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330)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레지스터(330)에 IBI의 헤더에 대한 CRC를 화상 데이터(320A)에 부가하는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320A)에 포함되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가 화상 데이터(320A)에서의, IBI의 헤더와 그것에 이어지는 Short Packet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에러가 포함되는 전송 데이터에 의한 버스의 점유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전송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헤더(DA/R, HD0, HD1 등)에 대한 CRC는 IBI 이외일 때에 마련되어도 좋다.
[변형례 M]
상기 변형례 K, L에서의 데이터 전송 포맷에서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가 SEP over CSI-2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로 치환되어도 좋다.
MIPI D-PHY의 Short Packet의 구조가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cketHeader(PH), SEP 및 CheckSum/CRC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의 SEP는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Extended PacketHeader(ePH), PacketData 및 Extended PacketFooter(eP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MIPI D-PHY의 LongPacket의 구조가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cketHeader(PH), SEP 및 CheckSum/CRC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의 SEP는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Extended PacketHeader(ePH), PacketData 및 Extended PacketFooter(ePF)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변형례에서는 이미지 센서(200)는 예를 들면, 트랜스미터(200a)의 후단에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제1 구조) 및 SEP(Service Extention Packet) over CSI-2 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제2 구조)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선택하는 셀렉터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때 이미지 센서(200)는 제1 구조 및 제2 구조의 이것을 선택하는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셀렉터부는 예를 들면, 레지스터에 제2 구조의 정의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랜스미터(200a)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230A)에서 제1 구조를 제2 구조로 바꾸는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 이외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송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인터럽트 요구가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했기 때문에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관한 수신 장치에 의하면,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터럽트 요구(DA/R)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송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데이터의 종류에 응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로서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상기 정보 비트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워드 카운트 길이 및 워드 카운트에 관한 비트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3) 상기 생성부는 상기 식별 비트를 변경함에 의해 상기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송신 장치.
(4) 상기 송신부는 SDR(Standard Data Rate) 모드로 상기 IBI 요구를 발행하는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5)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상기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MDB(Mandatory Data Byte)와, 상기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헤더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IBI 요구를 발행함에 의해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4)에 기재된 송신 장치.
(6)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상기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MDB(Mandatory Data Byte)와, 상기 정보 비트 및 상기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하는 변경 비트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전송 데이터로서 상기 변경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IBI 요구를 발행함에 의해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변경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전송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4)에 기재된 송신 장치.
(7) 상기 생성부는 상기 변경 비트를 상기 헤더로부터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식별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IBI 요구에 포함하는 (6)에 기재된 송신 장치.
(8)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여러 가지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동적으로 바꾸는 (5)에 기재된 송신 장치.
(9)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의거하여 당해 데이터 포맷의 저소비 전력 기간에 해당하는 일부 또는 전부에 더미 데이터를 매입하는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0) 상기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포맷이 MIPI D-PHY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더미 데이터를 D-PHY EPD Option 2의 Spacer 또는 Filler로 하는 (9)에 기재된 송신 장치.
(11)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의 어느 하나의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LPS 기간의 데이터를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의 어느 하나로 하는 (10)에 기재된 송신 장치.
(12)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는 D-PHY EPD Option 2 준거로 8비트 단위로 가변 길이로 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것에 기인하는 전송 종료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수신 장치에의 전송을 중지하는 (1) 내지 (1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4)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당해 송신 장치는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및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의 어느 하나의 모드의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하는 (1) 내지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5) 상기 레지스터에는 또한 1회의 I3C의 IBI로 전송 가능한 프레임 수의 정의가 기술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에 정의된 프레임 수만큼 1회의 I3C의 IBI로 전송을 행하는 (14)에 기재된 송신 장치.
(16) 상기 송신부는 하나 또는 복수 라인마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 프레임마다 P(Stop Condition)를 발행함으로써 IBI로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는 (1) 내지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7) 상기 생성부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는 (1) 내지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8)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인 제1 구조 및 SEP(Service Extention Packet) over CSI-2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인 제2 구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의 구조를 결정하는 (1) 내지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9)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송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DA/R)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수신 장치.
(20)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의 ACK 송신에 응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송신된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19)에 기재된 수신 장치.
(21) 제어 데이터 버스와,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서 2020년 2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제2020-022847호 및 2020년 10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제2020-178104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응하여 여러 가지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는데 그것들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된다.

Claims (21)

  1.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로서,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비트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워드 카운트 길이 및 워드 카운트에 관한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식별 비트를 변경함에 의해 상기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SDR(Standard Data Rate) 모드로 상기 인터럽트 요구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상기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MDB(Mandatory Data Byte)와, 상기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헤더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IBI 요구를 발행함에 의해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상기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MDB(Mandatory Data Byte)와, 상기 정보 비트 및 상기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하는 변경 비트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전송 데이터로서 상기 변경 비트에 대응한 종류의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IBI 요구를 발행함에 의해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변경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전송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변경 비트를 상기 헤더로부터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식별 비트에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IBI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여러 가지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동적으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의거하여 당해 데이터 포맷의 저소비 전력 기간에 해당하는 일부 또는 전부에 더미 데이터를 매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포맷이 MIPI D-PHY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더미 데이터를 D-PHY EPD Option 2의 Spacer 또는 Filler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의 어느 하나의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LPS 기간의 데이터를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pacer 및 상기 Filler는 D-PHY EPD Option 2 준거로 8비트 단위로 가변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CRC 에러 또는 ECC에 의한 에러를 검출한 것에 기인하는 전송 종료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데이터의 상기 수신 장치에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송신 장치는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의 통신 규격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당해 송신 장치는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및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의 어느 하나의 모드의 정의가 기술되는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1회의 I3C의 IBI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에는 또한 1회의 I3C의 IBI로 전송 가능한 프레임 수의 정의가 기술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에 정의된 프레임 수만큼 1회의 I3C의 IBI로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하나 또는 복수 라인마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 프레임마다 P(Stop Condition)를 발행함으로써 IBI로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IBI의 헤더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MIPI D-PHY의 ShortPacket/LongPacket의 구조인 제1 구조 및 SEP(Service Extention Packet) over CSI-2ShortPacket/LongPacket for D-PHY의 구조인 제2 구조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의 정의가 기술된 레지스터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술되는 상기 정의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9.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송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DA/R)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IBI 요구(DA/R)의 수신 결과에 응하여 ACK 또는 NACK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의 ACK 송신에 응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송신된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1. 제어 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인터럽트(IBI; In-Band Interrupt) 요구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인터럽트 요구는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 비트와, 상기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27025359A 2020-02-13 2021-02-05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220130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2847 2020-02-13
JP2020022847 2020-02-13
JPJP-P-2020-178104 2020-10-23
JP2020178104 2020-10-23
PCT/JP2021/004281 WO2021161909A1 (ja) 2020-02-13 2021-02-05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133A true KR20220130133A (ko) 2022-09-26

Family

ID=7729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359A KR20220130133A (ko) 2020-02-13 2021-02-05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182042B2 (ko)
JP (1) JPWO2021161909A1 (ko)
KR (1) KR20220130133A (ko)
CN (1) CN115104090A (ko)
DE (1) DE112021001024T5 (ko)
WO (1) WO2021161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9636A (zh) * 2021-05-17 2022-09-30 广东高云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接口桥装置及其转换方法
CN118032176B (zh) * 2024-04-10 2024-07-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巡检机器人用触觉传感器、感知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330A1 (ja) 2015-10-08 2017-04-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9756A (ja) 1991-02-28 1992-12-22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転送方法
JP3697831B2 (ja) 1997-04-18 2005-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6288743B1 (en) * 1997-10-20 2001-09-11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for processing image segments
US6785013B1 (en) * 1999-05-14 2004-08-31 Ricoh Company, Ltd. System for capturing images from a peripheral unit and transferring the captured images to an image management server
US7359553B1 (en) * 2001-02-16 2008-04-15 Bio-Key International, Inc. Image identification system
US8103803B2 (en) * 2008-11-21 2012-01-24 Nvidia Corporation Communication between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US9361706B2 (en) * 2009-11-30 2016-06-07 Brigham Young University Real-time optical flow sensor design and its application to obstacle detection
GB2501504B (en) * 2012-04-25 2015-07-22 Ziath Ltd Device for reading barcodes
US9050010B2 (en) 2012-12-31 2015-06-0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Double loop lasso with single puller wire for bi-directional actuation
JP6340962B2 (ja) 2014-07-07 2018-06-13 富士通株式会社 バス制御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バス制御方法
JP6664240B2 (ja) * 2016-03-09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90171609A1 (en) * 2017-12-05 2019-06-06 Qualcomm Incorporated Non-destructive outside device alerts for multi-lane i3c
JP2019153203A (ja) 2018-03-06 2019-09-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190356412A1 (en) * 2018-05-16 2019-11-21 Qualcomm Incorporated Fast termination of multilane double data rate transactions
US10853289B2 (en) * 2018-12-17 2020-12-01 Intel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hardware-bas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via reliable high performance half-duplex link
JP7240942B2 (ja) 2019-04-22 2023-03-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切断手段の変温装置および切断手段の変温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330A1 (ja) 2015-10-08 2017-04-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04090A (zh) 2022-09-23
JPWO2021161909A1 (ko) 2021-08-19
US20230222074A1 (en) 2023-07-13
DE112021001024T5 (de) 2022-12-15
WO2021161909A1 (ja) 2021-08-19
US12182042B2 (en) 202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0055B1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output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data structure, and imaging device
JP7494126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636747B1 (ko)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장치
EP0938218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20130133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WO2021215269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856199B2 (en) Communication systems with auxiliary master and auxiliary call support functionality
JPH10243327A (ja) 画像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入出力システム
KR20170126904A (ko) 공유 멀티 모드 버스 상에서 레거시 및 차세대 디바이스들의 공존을 위한 페어웰 리셋 및 재시작 방법
JP7570930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102022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13348654B (zh)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接收方法和发送/接收装置
US12174778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217546051U (zh) 中继器及图像传输系统
JP3501613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
JP2000163326A (ja) 電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8325224B2 (en) Head separation camera apparatus
JP2003196229A (ja) バス・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
JP2006254492A (ja) ディジタル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138924A (ja) ディジタル機器、撮像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03196227A (ja) バス・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
JP2003167844A (ja) バス・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
JPH11227286A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KR20070041857A (ko) 카메라센서 모듈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카메라센서 모듈의 인코딩 데이타 전송방법
JP2001168940A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