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481A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481A
KR20220127481A KR1020210031814A KR20210031814A KR20220127481A KR 20220127481 A KR20220127481 A KR 20220127481A KR 1020210031814 A KR1020210031814 A KR 1020210031814A KR 20210031814 A KR20210031814 A KR 20210031814A KR 20220127481 A KR20220127481 A KR 2022012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upper case
hemispherical
piece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417B1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호 filed Critical 김상호
Priority to KR102021003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4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발바닥 지압은 물론 팔 근력이나 허리운동 등을 통해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상,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지압판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발뒤꿈치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압판에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구형 고정돌기 및 이 반구형 고정돌기의 내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반구형 신축돌기를 가지며, 이 반구형 신축돌기들은 두께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발 앞,뒤꿈치나 그 외 원하는 부위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지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압과정에서 타격유닛의 작동에 의해 자극을 보다 확실하게 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팔 근육이나 허리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 {Multi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발바닥 지압은 물론 팔 근력이나 허리운동 등을 통해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이 필수이지만 시간이나 장소 등의 여건이 쉽게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운동부족으로 인해 항상 많은 성인병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 실정이므로 비만을 방지하고 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걷기·조깅·자전거 타기·수영·미용체조 등의 유산소 운동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특히, 인체의 발이나 다리는 하중을 지탱하는 매우 중요한 부위로서, 한방의학에 따르면 발바닥의 경우 인체의 모든 기관과 연결된 혈관반사신경과 경락 등이 발바닥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전신의 축도라 하여 발바닥을 지압하게 되면 인체의 신경계를 자극하고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바닥은 신체 중에서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모세혈관이 종횡무진으로 뻗어있어 노폐물이 가장 잘 쌓이게 되는데, 발바닥의 반사구를 누르거나 주무르는 행위에 의해 해당 반사구와 관계되는 기관과 생리기능이 자극을 받아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노폐물의 배출이 쉬워진다.
이러한 발지압기구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564830호에 개시된 기술은 발과 접촉하는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발의 구석구석을 골고루 지압하기 어려워 만족할 만한 지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은 물론 발의 크기에 따른 제약이 많다.
또, 발바닥 지압 중 발바닥에 대한 압박 충격이 가해져 마사지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발 마사지기를 사용할 때 발을 감싸는 포켓이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포켓의 세탁과 청소가 용이하지 못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130801호 및 제1425474호에는 지압방식 또는 누름방식으로 발을 마사지하거나 적외선과 같은 부가수단을 갖는 발마사지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전동기구를 이용해야 함은 물론 앉은 자세에서만 가능하여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564830호(2006.03.21 등록) - 마사지기. 등록특허 제1130801호(2012.03.20 등록) - 발 마사지기. 등록특허 제1425474호(2014.07.25 등록) - 발 마사지 장치. 등록특허 제2012363호(2019.08.13 등록) - 종아리 근육 강화 및 발바닥 지압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의 부위별 지압효과는 물론 팔 근육이나 허리운동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상,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지압판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발뒤꿈치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압판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구형 고정돌기 및 이 반구형 고정돌기의 내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반구형 신축돌기를 가지며, 이 반구형 신축돌기들은 두께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구형 신축돌기의 하단부에는 타격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이 타격유닛은 하부 케이스의 하우징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편과, 이 지지편의 외주 둘레에 장착되는 작동편과, 이 작동편 내에 배치되어 탄력있게 승,하강하는 타격봉과, 상기 작동편 및 타격봉에 소정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및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단부에는 제3지압판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3지압판은 넓은 원반형태의 돌기들이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돌기의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발뒤꿈치 지지편은 다수의 지압돌기 및 돌기부들이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회전판 및 이 회전판의 저면에 형성된 원통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고, 이 원통부의 외주 둘레에는 제1 및 제2베어링이 개재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단부 양측에는 팔근력기가 장착되어 있고, 이 팔근력기는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록킹구멍을 이용하여 탄성밴드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발 앞,뒤꿈치나 그 외 원하는 부위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지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압과정에서 타격유닛의 작동에 의해 자극을 보다 확실하게 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팔 근육이나 허리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발지압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운동기구의 측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1 및 제2지압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3지압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타격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a, 도 6b는 타격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7은 발뒤꿈치 마사지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발지압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발지압 운동기구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상,하부 케이스(20A,20B)와,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평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지압판(40A,40B)과,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평면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발뒤꿈치 지지편(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단부 양측에는 팔근력기(8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케이스(20A,20B)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케이스(20A)의 표면은 발의 굴곡형태에 따라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20B)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21)가 끼워져 설치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지압판(40A,40B)은 양측 가장자리에 반구형 고정돌기(41a)가 형성되고, 이 반구형 고정돌기(41b)의 내측에는 다단으로 다수의 반구형 신축돌기(41b)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각각의 반구형 신축돌기(41b)는 두께가 얇은 부분(a)과 두꺼운 부분(b)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후단부에는 제3지압판(4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3지압판(40C)은 비교적 넓은 원반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기(42a)들이 몸체(42b)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돌기(42a)의 저면에는 상부 케이스(30A)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43a)에 의해 눌림 위치가 유지됨에 따라 발바닥에 지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지압판(40A,40B)에 형성된 반구형 신축돌기(41b)의 내측에는 타격유닛(45)이 장착되어 발바닥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타격유닛(45)은 하부 케이스(20B)의 하우징(22)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편(46)과, 이 지지편(46)의 외주 둘레에 장착되는 작동편(47)과, 이 작동편(47) 내에 배치되어 탄력있게 승,하강하는 타격봉(48)과, 상기 작동편(47) 및 타격봉(48)에 소정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및 제2스프링(49a,49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편(46)은 사각 몸체(50a) 및 원형 받침판(50b)으로 이루어져 하부 케이스(20B)에 형성된 하우징(22)의 중공부 내로 끼워져 설치되며, 지지편(46)의 외주면 둘레에 제1스프링(49a)이 안착됨과 동시에 이 제1스프링(49a)의 상단에 배치되는 작동편(47)이 제1스프링(49a)에 의해 탄력있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작동편(47)의 상부면이 상부 케이스(20A)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편(46)의 중공부에 제2스프링(49b)이 배치됨과 동시에 타격봉(48)을 지지한 상태로 작동편(47)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격봉(48)의 돌기(51)가 지지편(46)의 측면부에 상부 및 하부 경사면을 갖는 안내구멍(52) 및 작동편(47)에 형성된 ㄴ자 형상의 가이드홈(53)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20A)에 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는 타격봉(48)의 돌기(51)가 지지편(46)에 형성된 안내구멍(52)의 상부 우측 꼭지점에 위치하여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평부에 배치됨에 따라 타격봉(48)이 격발을 위한 장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제1 및 제2지압판(40A,40B)에 올려 놓은 발에 힘을 가하게 되면, 신축돌기(41b)의 얇은 부분(a)이 눌려 구부려짐과 동시에 작동편(47)을 밀어 누르게 되고, 타격봉(48)의 돌기(51)가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평부에 눌려지면서 지지편(46)의 안내구멍(52)의 수직부를 따라 하강하여 하부 우측 꼭지점에 도달함으로써 제1스프링(49a)과 제2스프링(49b)이 압축된다.
이어서, 타격봉(48)의 돌기(51)가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평부에 의해 힘을 받으면 돌기(51)가 지지편(46)의 안내구멍(52)의 하부 우측 꼭지점에서 하부 좌측 꼭지점으로 향해 하부 경사면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평부를 벗어나게 된다.
또한, 압축된 제2스프링(49b)에 의해 자동으로 타격봉(48)의 돌기(51)가 지지편(46)의 안내구멍(52)의 하부 좌측 꼭지점에서 상부 좌측 꼭지점으로 수직면을 따라 상승됨과 동시에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직부를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타격봉(48)을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타격봉(48)의 상단부가 제1 및 제2지압판(20A,20B)의 신축돌기(41b)를 강하게 밀어 올려 격발작용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을 가격하면서 지압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압판(20A,20B)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1스프링(49a)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편(47)이 상승하여 타격봉(48)의 돌기(51)가 지지편(46)의 안내구멍(52)의 상부 좌측 꼭지점에서 우측 꼭지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편(47)의 가이드홈(53)의 수평부에 배치되어 최초 위치에 장전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뒤꿈치 지지편(60)은 상부 케이스(20A)에 형성된 안착홈(23) 내에 회전판(61)이 장착되어 정,역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착홈(23)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부의 중앙에 관통공(63)이 형성되어 회전판(61)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원통부(64)로 제1베어링(65a)이 끼워져 유지되고, 관통공(63)의 주위에 형성된 수용부 내에 배치된 회전판(61)의 원통부(64)에 제2베어링(65b)이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2베어링(65b)에 와셔(66)가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67)에 의해 중심축(64)의 하단이 체결된다.
상기 회전판(61)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압돌기(69a)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해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부(69b)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오목부 내로 발뒤꿈치를 끼워넣은 후 정,역 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손쉽게 허리운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69b)에 의해 발뒤꿈치가 오목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됨은 물론 지압돌기(69a)를 이용하여 지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후방부 양측에는 한쌍의 팔근력기(8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팔근력기(80)는 상부 케이스(20A)에 형성된 록킹구멍을 이용하여 탄성밴드(81)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8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탄성밴드(81)의 상측 손잡이부(83)를 잡고 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발 앞,뒤꿈치나 그 외 원하는 부위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지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압과정에서 타격유닛의 작동에 의해 자극을 보다 확실하게 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팔 근육이나 허리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20A: 상부 케이스 20B: 하부 케이스
21: 고무패드 22: 하우징
23: 안착홈 40A: 제1지압판
40B: 제2지압판 40C: 제3지압판
41a: 반구형 고정돌기 41b: 반구형 신축돌기
42a: 돌기 42b: 몸체
43a: 내측돌기 45: 타격유닛
46: 지지편 47: 작동편
48: 타격봉 49a: 제1스프링
49b: 제2스프링 50a: 사각몸체
50b: 원형 받침판 51: 돌기
52: 안내구멍 53: 가이드홈
60: 발뒤꿈치 지지편 61: 회전판
63: 관통공 64: 중심축
65a: 제1베어링 65b: 제2베어링
66: 와셔 67: 나사
69a: 지압돌기 69b: 돌기부
80: 팔근력기 81: 탄성밴드
82: 걸림편 83: 손잡이부

Claims (5)

  1.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상,하부 케이스(20A,20B)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지압판(40A,40B)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발뒤꿈치 지지편(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압판(40A,40B)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구형 고정돌기(41a) 및 이 반구형 고정돌기의 내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반구형 신축돌기(41b)를 가지며, 이 반구형 신축돌기들은 두께가 얇은 부분(a)과 두꺼운 부분(b)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신축돌기(41b)의 하단부에는 타격유닛(45)이 구비되어 있고, 이 타격유닛(45)은 하부 케이스(20B)의 하우징(22)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편(46)과, 이 지지편의 외주 둘레에 장착되는 작동편(47)과, 이 작동편 내에 배치되어 탄력있게 승,하강하는 타격봉(48)과, 상기 작동편 및 타격봉에 소정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및 제2스프링(49a,49b)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0B)의 후단부에는 제3지압판(4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3지압판은 넓은 원반형태의 돌기(42a)들이 몸체(42b)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돌기의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4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 지지편(60)은 다수의 지압돌기(69a) 및 돌기부(69b)들이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회전판(61) 및 이 회전판의 저면에 형성된 원통부(64)가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고, 이 원통부의 외주 둘레에는 제1 및 제2베어링(65a,65b)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0A)의 후단부 양측에는 팔근력기(80)가 장착되어 있고, 이 팔근력기(80)는 상부 케이스(20A)에 형성된 록킹구멍을 이용하여 탄성밴드(81)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82)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210031814A 2021-03-11 2021-03-11 다기능 운동기구 KR10250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14A KR102509417B1 (ko) 2021-03-11 2021-03-11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14A KR102509417B1 (ko) 2021-03-11 2021-03-11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81A true KR20220127481A (ko) 2022-09-20
KR102509417B1 KR102509417B1 (ko) 2023-03-10

Family

ID=8344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814A KR102509417B1 (ko) 2021-03-11 2021-03-11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4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95A (ko) * 2003-11-20 2005-05-25 김상호 지압런닝머신
KR100564830B1 (ko) 2003-09-12 2006-03-27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카테크노 마사지기
KR101130801B1 (ko) 2011-12-29 2012-03-29 주식회사 소닉월드 발 마사지기
KR101425474B1 (ko) 2013-02-13 2014-08-01 주식회사 라비센 발 마사지 장치
KR101488366B1 (ko) * 2013-09-11 2015-01-30 김상호 운동용 런닝머신
KR20170014234A (ko) * 2015-07-29 2017-02-08 김상호 운동용 런닝머신
KR102012363B1 (ko) 2018-04-26 2019-10-21 이태영 종아리 근육 강화 및 발바닥 지압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830B1 (ko) 2003-09-12 2006-03-27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카테크노 마사지기
KR20050048795A (ko) * 2003-11-20 2005-05-25 김상호 지압런닝머신
KR101130801B1 (ko) 2011-12-29 2012-03-29 주식회사 소닉월드 발 마사지기
KR101425474B1 (ko) 2013-02-13 2014-08-01 주식회사 라비센 발 마사지 장치
KR101488366B1 (ko) * 2013-09-11 2015-01-30 김상호 운동용 런닝머신
KR20170014234A (ko) * 2015-07-29 2017-02-08 김상호 운동용 런닝머신
KR102012363B1 (ko) 2018-04-26 2019-10-21 이태영 종아리 근육 강화 및 발바닥 지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417B1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1166A (en)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and toning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0962515B1 (ko) 왕복식 족부 안마장치
US6217488B1 (en)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and toning exercise apparatus method
JP4338101B1 (ja) 下肢健康器具
GB2271293A (en) Appliance for indoor gymnastics
KR19990043962A (ko) "티"형 바를 이용한 운동장치와 이에 의한 운동방법
US4856496A (en) Reflex massager and method
RU2423963C2 (ru) Массажер-тренажер
KR20220127481A (ko) 다기능 운동기구
JP2011194051A (ja) 足の健康器具
US20240016694A1 (en) A massager with single rod eccentric drive mechanism to provide synchronize wave oscillation treatment
JPH08322893A (ja) サイクル運動器
JP2006020651A (ja) 健康促進装置
KR20100086222A (ko) 발바닥 맛사지기
KR20190127121A (ko) 발 마사지기
JP3239470U (ja) 治療ローラ
KR20130047912A (ko)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KR20120004044A (ko) 전신 운동기기
KR200251084Y1 (ko) 발바닥 지압용 신발
KR200381077Y1 (ko) 유산소 운동기의 발목 받침대 구조
KR200250895Y1 (ko) 건강증진용 롤마사지기
KR200223931Y1 (ko) 지압운동용 슬리퍼
KR20030001774A (ko) 발바닥 지압용 신발
KR200238830Y1 (ko) 발바닥 지압장치
KR200258331Y1 (ko) 피라미드 형상의 지압돌기가 부착된 발 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