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912A -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912A
KR20130047912A KR1020110112729A KR20110112729A KR20130047912A KR 20130047912 A KR20130047912 A KR 20130047912A KR 1020110112729 A KR1020110112729 A KR 1020110112729A KR 20110112729 A KR20110112729 A KR 20110112729A KR 20130047912 A KR20130047912 A KR 2013004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rod
sole
support
massag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진
Original Assignee
김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진 filed Critical 김완진
Priority to KR102011011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912A/ko
Publication of KR2013004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립 자세로 안전하게 이용가능하며, 발바닥 마사지를 함과 동시에 허리와 상체의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신체를 의지한 채 상기 발바닥으로 굴리며 발바닥 마사지를 하기 위한 긴 원기둥 형상의 마사지봉 및, 상기 평행한 지지부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마사지봉이 전후방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면에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A EXERCISING APPRATUS CAPABLE OF MASSAGING SOLES OF FEET}
본 발명은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립 자세로 안전하게 이용가능하며, 발바닥 마사지와 동시에 상체의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바닥은 인체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특히 체지방을 분해하고 과체중에 의해 유발되는 체내 노폐물을 분해·배출하는데 있어서 발마사지 내지는 발바닥 마사지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발마사지는 발바닥, 발등, 종아리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체세포를 활성화하여 근력이 생성되게 함으로써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시켜 자연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요법이다.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이유로 발끝까지 내려온 혈액이 되돌아가려면 심장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이 때문에 노폐물이 쌓이고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각종 질병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발바닥을 마사지해 주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한편, 체지방 분해를 위해 건강 전문가들은 걷기, 달리기 또는 등산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많이 권하는데, 이는 다른 운동에 비해 걷기, 달리기 및 등산 등이 발바닥의 족저근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발바닥 마사지처럼 발을 자극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 운동이 유산소 운동과 발바닥 마사지 효과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면 체지방을 분해하여 비만을 막고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종래 발마사지 또는 발바닥 마사지와 관련하여 발명·고안된 기구들을 살펴보면 우선, 도1에서와 같이 기계식 장치로 앉은 자세로 천(섬유) 아래 회전되는 고무 롤러가 구비된 마사지부(M)가 구비된 장치를 떠올릴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고무 롤러 사이에 발을 얹고 고무 롤러가 발에 닿는 부분에 부분적인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마사지부(M)의 고무 롤러가 회전하면서 발의 측면을 가압하여 마사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바닥에 널리 분포된 반사구와 족저근의 피로를 풀어주기에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
발바닥에 널리 분포된 반사구와 족저근의 피로를 제대로 풀어주기 위해서는 발바닥면에 직접적인 자극을 줄 필요가 있는데, 전체적으로 롤러를 밀어주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 충분히 예상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제안된 것이 선발명 특허출원 제10-2009-0023188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2077호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 및 고안에 있어서도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반드시 의자에 앉은 자세로 발을 밀면서 발바닥의 근육을 풀어주어야만 한다는 제한이 따른다. 단순히 앉아서 발바닥으로 롤러를 밀어주는 정도로는 위에서 누르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 제대로 마사지한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상부로부터 발바닥면을 충분한 힘으로 가압해줄 필요가 있는데, 일어서서 신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가압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주변에 벽 또는 보조기구가 없다면 몸을 의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벽이나 보조기구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구르는 롤러에 미끄러져 넘어질 위험성이 매우 높다 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한계점은 좌식의 발마사지 용도만을 고려한 구조이기 때문에 마사지 이외의 부가적인 운동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단순히 발바닥에 약간의 자극을 주는 정도로는 다이어트, 체지방 분해 등에 있어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마사지 내지 발바닥 마사지 장치에 비해 발바닥에 효과적으로 마사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어깨, 허리 등 전신운동을 부가하여, 유산소 운동 기능과 발바닥 마사지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체지방 분해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복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부(1);와 상기 지지부(1)에 신체를 의지한 채 상기 발바닥으로 굴리며 발바닥 마사지를 하기 위한 긴 원기둥 형상의 마사지봉(2); 및 상기 평행한 지지부(1)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마사지봉(2)이 전후방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면에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3)는 상기 마사지봉(2)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31)이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1)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토퍼(311)가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2)이 구르는 방향의 양측을 따라 가이드벽(3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3)는 상기 마사지봉(2)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32)가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2)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토퍼(321)가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2)이 구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턱(322)이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2)에는 상기 가이드턱(313)에 상응하는 가이드홈(21)이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 또는 후방 스토퍼(311)(321)에 카운터 스위치(41)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에는 상기 카운터 스위치(41)가 접점될 때마다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카운터 모듈(42)과 마사지봉의 왕복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3)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3)는 상기 마사지봉(2)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33)가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3)는 상기 받침부(3)의 상면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깊이는 상기 마사지봉이 완전히 잠기지 않을 정도이며, 상기 마사지봉은 양측벽(332)의 가이드를 받아 전후방벽(331) 사이에 구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벽(331) 또는 후방벽(332)에는 카운터 스위치(41)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에는 상기 카운터 스위치가 접점될 때마다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회로를 구성하는 카운터 모듈(42)과 마사지봉의 왕복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3)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는 상부봉(11)과 하부봉(12)으로 구분되어 상부봉이 하부봉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는 상부봉(11)과 하부봉(12)으로 구분되어 상부봉이 하부봉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3)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봉(11)의 하단과 회전축(451)이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동모터(45)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조절부(46)와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제어모듈(47)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원기둥의 지름이 서로 다르고 교체 가능한 다수의 마사지봉(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3)에는 상기 다수의 마사지봉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3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전방을 향해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평행한 지지부(1)에 얹을 수 있는 안전대(5)를 구비하되, 상기 안전대(1)는 지지부 상단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전후방으로 형성된 고정대(51)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고정판(51)을 가로질러 전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대(521)(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전대(521) 및 후대(522)로 구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51)의 하부에는 안전대(1)가 상기 지지부(1)의 봉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편(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고정편(53)은 상기 안전대(5)가 부가수단 없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복부 체지방제거는 물론 소화장애 개선 등에 매우 도움이 된다. 마사지봉이 발바닥 전체를 왕복하면서 발바닥면의 반사구와 족저근을 가압하므로 발바닥 전체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체중을 이용하여 발바닥과 마사지봉 사이의 압력을 높일 수 있어 마사지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마사지 운동기구는 기립에 의해 사용하지만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에 어깨나 팔을 의지하게 되므로 이용시 매우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또한, 사용자는 발마사지와 아울러 어깨나 팔꿈치를 축으로 하는 전신운동을 하게 되므로, 체지방 분해 및 운동효과는 더욱 상승 되고, 척추교정, 오십견예방 등 관절과 관련된 각종 질병도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전기식 발마사지 기구에 관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기본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를 축으로 한 발바닥 마사지 운동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를 축으로 한 발바닥 마사지 운동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봉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봉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치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따른 안전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따른 안전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발바닥 마사지 및 전신 운동효과의 기본 원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기립자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중력방향으로 체중에 의한 압력(P)가 발생된다. 상기 압력의 부가로 마사지봉(2)이 접촉하는 부분에 충분한 자극이 전달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마사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사람에 따라 자극의 크기를 달리할 필요가 있을 것인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행의 지지부(1)에 신체를 의지한다면, 사용자 스스로가 자극의 크기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핵심원리 중의 하나는 마사지봉(2)이 이동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발 또는 발바닥 마사지 기구들은 마사지봉에 해당하는 원기둥 막대의 중심에 회전축을 고정함으로써, 발바닥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마사지봉 자체가 이동하는 구조를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발마사지를 위해 마사지봉(2)에 발바닥을 비비게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봉(2)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마사지봉(2) 자체가 굴러서 봉의 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또 다른 핵심원리인 발마사지 수행시 전신을 이용한 유산소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 표시된 화살표 RD는 마사지봉의 이동거리를 표시한 것이고, BD는 다리의 위치 이동거리를 표시한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BD는 RD보다 크고, 사용자의 신체는 발 길이의 약 2배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기본 구성은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부(1)와, 상기 지지부(1)에 신체를 의지한 채 상기 발바닥으로 굴리며 발마사지를 받기위한 긴 원기둥 형상의 마사지봉(2), 그리고 상기 평행한 지지부(1)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마사지봉(2)이 전후방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면에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지지부(1)는 기립자세로 발마사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안전을 고려한 구조임과 동시에 본 발명의 핵심원리인 유산소 운동을 돕기위한 중요한 구성이다. 마치 평행봉과 유사한 구조를 취한 이유는 평행 지지부(1)에 신체를 충분히 의지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3 및 도4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유산소 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를 축으로 하여 전신운동을 수행하는 방식(도3)과 팔꿈치를 축으로 하는 전신운동을 수행하는 방법(도2)의 예를 들 수 있다. 특히 도3의 방식의 경우 다리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어깨(중심축)와 받침부의 바닥의 거리가 더 멀어지기 때문에 마치 달리는 치이타(cheetah)나 표범의 자세와 유사한 자세가 나오게 되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치이타나 표범을 관찰해보면, 먹이를 향해 달릴 때 빈번한 척추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빈번한 척추 스트레칭으로 인해 상기 동물들이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해 반복적으로 척추 스트레칭을 수행함으로써 신체를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자세로 인해 왜곡된 척추의 교정에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어깨를 축으로 한 운동은 나이 든 사람에게 찾아오는 오십견이라는 질명의 예방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 유사 구조를 가지 선행기술에 대해 조사한 바,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4006호가 발마사지 기구 중 손잡이가 있는 형태를 제안한 사실이 있으나, 롤러가 회전판 아래 형성되어 있어 러닝 또는 워킹 상태에서는 발바닥 부위를 고르게 충분히 마사지하는 구조가 아니며, 손잡이 구조는 몸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닌 러닝과 워킹의 보조수단으로 역할만 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하는 반복적 스트레칭 운동 목적의 기구에는 응용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상기 마사지봉(2)은 목재, 금속, 세라믹, 합성수지 등 제한 없이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지만, 통나무와 같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이용하거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자성물질 등이 부가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마사지와 운동원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본 구성이외에 마사지봉(2)이 원할하게 작동을 하고, 지지대(1)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는 특수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이 각 구성들의 다양한 실시예와 부가적 구성요소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도5에서 도시된 받침부(3)와 같이 마사지봉(2)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31)이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1)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토퍼(stopper)(311)가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2)이 구르는 방향의 양측을 따라 가이드벽(3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1)는 마사지봉(2)이 일정구간 이상 구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스토퍼(311) 및 가이드벽(312)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도5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마사지봉 수용부(3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2)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각 스토퍼(321)가 형성되지만, 가이드벽(312)를 대신하여 마사지봉(2)의 운행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턱(313)이 형성되고, 마사지봉(2)에는 상기 가이드턱(313)을 추적하면서 굴러갈 수 있도록 수 있도록 외주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도7은 마사지봉 수용부(3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33)는 상기 받침부(3)의 상면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깊이는 상기 마사지봉이 완전히 잠기지 않을 정도이며, 상기 마사지봉은 양측벽(332)의 가이드를 받아 전후방벽(331)사이에 구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함몰된 마사지봉 수용부(33)의 내부 벽들을 이용하여 이동구간을제한하고,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도5 내지 7에서, 전방스토퍼 및 전방벽에 표현된 스위치는 마사지봉의 왕복횟수를 카운트(count)하기 위한 스위치(41)의 버튼을 도시한 것인데, 사용자가 마사지봉(2)을 몇 차례 왕복하였는지 및 스트레칭 운동을 몇 차례 반복 수행하였는지를 카운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에 맞게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운동기구의 전방에 구비된 제어부(4) 내부에 구성된 디스플레부(display)(43)와 카운터 모듈(42) 등과 같은 전기장치들과 연결된다. 도10은 상기 전기장치들과의 연결구조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체조공원이나, 휘트니스(fitness)센터, 병원 또는 재활센터 등에서 공동시설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물로 실시하고자 할 경우 다양한 신체 사이즈를 용할 수 있도록 지지부(1)가 가변구조를 가져야 한다. 또한, 도3 및 4에서와 같이 운동방법을 변경하는데 있어서도 지지부(1)의 가변구조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도5 내지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는 상부봉(11)과 하부봉(12)으로 구분되어 상부봉이 하부봉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받침부(3)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봉(11)의 하단과 회전축(451)이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동모터(45)가 구비되고, 발마사지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조절부(46)와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제어모듈(47)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전동모터(35)와 상부봉(11)의 결합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기계적 결합방식을 취사선택 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일 실시예로서 도9 에서와 같이 전동모터(45)의 회전축(451)이 나사산(4511)을 형성하고, 상부봉(11)의 하부는 파이프와 같이 중공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4511)과 상호작용에 의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전동모터(45)와 제어모듈(47) 등 전기장치 구성을 위한 블록도는 도10에서 참조할 수 있다.
부가적인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마사지 운동기구는 원기둥의 지름이 서로 다르고 교체 가능한 다수의 마사지봉(2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에(3)는 상기 다수의 마사지봉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36)가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마사지봉(2)의 경우 지름이 작을수록 원주와 발바닥의 접촉면적이 좁아 발바닥을 더 세게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그 자극의 세기에 대한 선호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름을 가진 다수의 마사지봉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대(5)라고 하는 구성을 부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의 안전대(5)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전방을 향해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평행한 지지부(1)에 얹을 수 있다. 상기 안전대(1)는 지지부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전후방으로 형성된 고정대(51)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고정판(51)을 가로질러 전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또한, 도14와 같이 상기 손잡이대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전대(521) 및 후대(522)로 구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15에 도시된 사용방법은 장애자, 노약자, 재활 환자 등 신체의 상당부분을 의지하여야 기립자세를 겨우 유지할 수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전대(5)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용예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51)의 하부에는 안전대(1)가 상기 지지부(1)의 봉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편(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고정식 탈부착식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한 일 실시예는 사용상 편리를 위하여 안전대(5)가 부가수단 없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편(53)은 플라스틱, 기타 합성수지 소재를 등 탄성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취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기의 실시예로서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이 청구하는 청구범위는 물론 그 균등의 범위에 까지 권리가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지지부, 11: 상부봉,
12: 하부봉, 13: 고정수단,
2: 마사지봉, 21: 가이드홈,
3: 받침부, 31,32,33: 마사지봉 수용홈,
311,321: 전방 및 후방 스토퍼(stopper),
312: 가이드벽, 322: 가이드턱,
331: 전방 및 후방벽, 332: 측면벽,
4: 제어부, 41: 카운터 스위치,
42: 카운터모듈, 43: 디스플레이부,
45: 전동모터, 46: 조절부,
47: 제어모듈, 5: 안전대,
51: 고정대, 521: 손잡이 전대,
522: 손잡이 후대, 53: 고정편,
M: 마사지부, P: 체중에 의한 압력,
RD: 마사지봉의 이동거리, BD: 신체의 이동거리.

Claims (13)

  1.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신체를 의지한 채 상기 발바닥으로 굴리며 발바닥 마사지를 하기 위한 긴 원기둥 형상의 마사지봉; 및
    상기 평행한 지지부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마사지봉이 전후방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면에 수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마사지봉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이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이 구르는 방향의 양측을 따라 가이드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마사지봉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는 마사지봉의 왕복구간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이 구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봉에는 상기 가이드턱에 상응하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스토퍼에 카운터 스위치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카운터 스위치가 접점될 때마다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카운터 모듈과 마사지봉의 왕복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마사지봉이 일정한 거리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사지봉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마사지봉 수용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깊이는 상기 마사지봉이 완전히 잠기지 않을 정도이며, 상기 마사지봉은 양측벽의 가이드를 받아 전후방벽사이에 구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는 카운터 스위치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카운터 스위치가 접점될 때마다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회로를 구성하는 카운터 모듈과 마사지봉의 왕복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봉과 하부봉으로 구분되어 상부봉이 하부봉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봉과 하부봉으로 구분되어 상부봉이 하부봉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운동기구 전방에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 조절부와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원기둥의 지름이 서로 다르고 교체 가능한 다수의 마사지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다수의 마사지봉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전방을 향해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평행한 지지부에 얹을 수 있는 안전대를 구비하되,
    상기 안전대는 지지부 상단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평행하게 전후방으로 형성된 고정대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고정판을 가로질러 전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전대 및 후대로 구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는 안전대가 상기 지지부의 봉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편은 상기 안전대가 부가수단 없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KR1020110112729A 2011-11-01 2011-11-01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KR20130047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29A KR20130047912A (ko) 2011-11-01 2011-11-01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29A KR20130047912A (ko) 2011-11-01 2011-11-01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12A true KR20130047912A (ko) 2013-05-09

Family

ID=4865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729A KR20130047912A (ko) 2011-11-01 2011-11-01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5158A (zh) * 2018-02-27 2018-07-27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锁定装置的广场健身器材
CN114306022A (zh) * 2021-12-24 2022-04-12 刘伟平 一种捶打保健按摩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5158A (zh) * 2018-02-27 2018-07-27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锁定装置的广场健身器材
CN114306022A (zh) * 2021-12-24 2022-04-12 刘伟平 一种捶打保健按摩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8076B2 (en) Adjustable massage device for trigger point release
US9005146B2 (en) Massage roller
US6419650B1 (en)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US20100145243A1 (en) Method and massage device for stimulating active points located on a human back
US20190110947A1 (en) Therapeutic roller device
CN204521403U (zh) 一种多功能理疗床
US7314431B1 (en) Vibrating device for stretching leg muscles
US20150257962A1 (en) Hands-free ball massage device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RU2423963C2 (ru) Массажер-тренажер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RU2005133022A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двигательных функций младенца
RU2549304C1 (ru) Способ самомассажа "дар-г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убинушка"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130047912A (ko) 발바닥 마사지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Jackson Specific treatment techniques
RU173165U1 (ru) Линейно-точечный массажер
US20030167026A1 (en) Therapeutic massage vibrator
KR20090070248A (ko) 다이어트 맛사지 안마 기능을 더한 허리 어깨 팔 목 상체유연 운동보조기구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RU111436U1 (ru) Линейно-точечный массажер
KR101522794B1 (ko) 유스턴 경혈 마사지용 운동장치
Ahmedy et al. Rehabilitating individuals with spinocerebellar ataxia: Experiences from impairment-based rehabilitation through multidisciplinary care approach.
CN206152105U (zh) 肢体功能障碍康复装置
KR101638601B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