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864A -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864A
KR20220126864A KR1020210031094A KR20210031094A KR20220126864A KR 20220126864 A KR20220126864 A KR 20220126864A KR 1020210031094 A KR1020210031094 A KR 1020210031094A KR 20210031094 A KR20210031094 A KR 20210031094A KR 20220126864 A KR20220126864 A KR 2022012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gover
weight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디펌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디펌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디펌양행
Priority to KR102021003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864A/ko
Publication of KR2022012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8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유산균,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및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을 포함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전반 및 간 보호기능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아스파라긴,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과 유산균을 포함함으로써 숙취의 예방 및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비를 가짐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이 부여되고 숙취의 예방 및 해소는 물론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및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간 보호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A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that combine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oriental raisin trees and lactic acid bacteria to decompose blood alcohol and prevent liver and gastrointestinal damage.}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민들레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및 유산균을 포함하여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유래의 추출물, 분말, 활성성분 및 유산균을 최적의 조성비로 배합하여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음주문화는 과음과 빈번한 음주의 형태를 나타내며 음주 후 알코올 산화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중간 대사물질은 여러 가지 생리작용의 변화를 유발하여 각종 대사성 질환과 알코올성 간경변을 초래한다. 음주 후 숙취 증상의 원인은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산물의 독성, 흡수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숙취 증상의 주된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면 혈압이 저하되고 뇌로의 혈액순환이 나빠져 두통을 일으키거나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탈수로 인한 갈증, 설사, 호르몬의 변조 및 근육통 등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숙취 증상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한약제 또는 민간요법제로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들이 개발되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자양강장제 제품이 함유하고 있는 주성분인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생약과 멜라토닌 등의 생체물질이 숙취해소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기는 하나,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숙취증상 중에서 일부 증상에만 효과가 있거나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생약제를 함유하는 드링크제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음주로 인한 숙취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해소하면서 간장 및 위장보호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전반에 대해 우수한 효능을 가지면서 종래에 복합적으로 이용된 바 없는 새로운 조성의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로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유산균,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및 민들레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아이스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첨가제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아스파라긴,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과 유산균을 포함함으로써 숙취의 예방 및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비를 가짐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이 부여되고 숙취의 예방 및 해소는 물론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및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간 보호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유래의 추출물, 분말, 활성성분 및 유산균을 최적의 조성비로 배합하여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30~50중량부,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10~15중량부, 아스파라긴 15~30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10~15중량부 및 유산균 15~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로부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여 준비하고, 민들레 원료로부터 민들레 착즙액을 제조한 후, 분무건조하여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을 제조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준비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유산균을 혼합 및 교반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헛개나무 열매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주정중독(?M???f毒), 소변불리(?P?l???) 및 구토에, 과경은 건위(健??), 자양보혈(????????)에 효과가 있다고 하고 있는 것으로,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코올 분해 촉진기능 및 간 기능 활성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헛개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특히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함량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능 및 간 해독 작용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알코올 분해능 및 간 해독 작용의 효과가 상승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8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에는 천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는 아임계 및 초임계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도 포함된다. 이들 추출법은 일반적인 추출방법보다 추출 속도가 빠르고, 추출 용매로 환경에 무해한 물질(일 예로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의 재료가 되는 헛개나무 열매는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열매는 이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재료들을 분쇄하여 사용하면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감압 여과하고, 상기 여과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예를들어,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헛개나무의 열매를 분리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3 내지 10cm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킨 다음, 상기 각 건조된 부분들을 파쇄하고 분말화한 후, 건조 중량의 2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에 달하는 물로 20~100℃, 바람직하게는 60~80℃에서 0.5시간 내지 2일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일간 일정 시간 간격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여과하고 여과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민들레와 관련하여, 상기 민들레 잎에는 비타민A가 14,000I.U./100g 함유되어 있고 그 외 비타민E, 비타민C 등도 풍부하며, 칼륨, 칼슘, 철 등의 무기질성분과 고미성분의 글라이코사이드류 또한 풍부하고, 특히 상기 민들레의 고미성분은 소화선을 자극하여 소화를 원활하게 하고, 간기능을 향상시키며 담즙분비를 촉진시켜 지방소화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민들레에는 상당량의 타우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간기능 개선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를 원료로 한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숙취해소는 물론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민들레 전초 착즙액 분말은 10~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함량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능 및 간 해독 작용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알코올 분해능 및 간해독 작용의 효과가 상승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때, 상기 민들레 분말은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의 분말로, 상기 착즙액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민들레 뿌리는 별도의 용수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서 문지르면서 세척하여 흙이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깨끗한 물에 수회 세척하도록 하고, 민들레 줄기는 1, 2, 3차 충분히 세척하여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된 것을 사용한다. 세척과정은 에어버블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2회 정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세척된 민들레로부터 물을 충분히 제거한 후, 통상적인 녹즙기를 사용하여 착즙액을 수득한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한다. 분무건조는 산업상 이용하는 일반적인 분무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150~200℃로 가열되어진 공기를 건조실로 보내고 여기에 50℃로 가열되어진 추출액을 압력노즐식분무장치, 회전원 반식분무장치 등을 이용하여 분사한다. 150℃ 이하로 가열된 공기는 분사되어지는 추출액의 순간적인 증발을 일으킬 수 없으며 200℃ 이상의 온도는 고온으로 인한 추출액 성분의 파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부적합한 것이 된다. 이로써 0.5mm~1.0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착즙액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스파라긴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숙취의 주원인이 되는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 e)와 신속하게 결합, 이를 제거하여 숙취해소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조성물의 pH와 당도를 조절하고 음료의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스파라긴의 함량은 15~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숙취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함량범위 초과인 경우 산미가 너무 강하여 섭취하기가 힘든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아스파라긴을 이용하여 음료의 농도를 조절하여 pH가 4.5~6.0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전나무, 버드나무 등 각종 나무로부터 모은 다양한 수액(식물에 따라 성분의 차이가 있음)과 꽃에서 모은 꽃가루에 꿀벌 자신의 밀랍(beeswax) 등 분비물을 이용하여 만든 물질로, 다양한 유기물 및 무기질,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다양한 암 억제에 유용, 항균·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바, 그 화학성분의 중심인 플라보노이드(퀘르세친-Quercetin)가 아세트알데히드를 빠르게 분해시키고 간 조직세포를 보호하고,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숙취를 해소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이란 꿀벌이 나무의 수액, 꽃의 암·수술에서 모은 화분과 꿀벌 자신의 분비물을 이용하여 만든 프로폴리스에서 왁스를 제거하여 얻은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말한다. 이 때,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연상태의 프로폴리스를 분쇄하여 상기 프로폴리스 무게의 3~5배량의 물과 혼합한 후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산균은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알데히드로, 알데히드 분해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전변되는데, 유산균의 섭취로 알콜 및 알데히드 분해효소를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위 및 간에서 분비되는 알코올 분해효소와 알데히드 분해효소와 함께 알코올을 더욱 신속히 분해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써모필러스(Lactobacillus therm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ggum) 및 케피어 균주 등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의 함량은 15~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 단백질(Maize Protein) 3~15중량부, 카테킨 3~15중량부, 비타민 C군 3~15중량부 및 비타민 B군 3~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옥수수 단백질은 분자량 약 21000~25000의 폴리펩티드로 소수성이 강한 단백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소수성 코팅을 가능하게 하여 산성액이 포함되는 위를 통과하여 장에 도달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테킨은 플라보노이드 그룹의 flavan-3-ols에 속하며, 폴리페놀 일종으로 녹차의 떫은 맛 성분으로, 강력한 항산화 작용 및 자유라디컬 제거기능을 나타내어 숙취 해소는 물론 해독작용 및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감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3~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량범위 미만으로 알코올 분해능력 및 간 해독 작용의 효과의 부여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관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건조상태의 감잎, 포도씨, 엉겅퀴 또는 오가피 각각의 재료들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후 재료 크기에 따라 필요한 경우 5~10cm 길이로 절단하여, 음건하거나 건조기에 말린 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약 5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배 부피/중량의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추출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농축 또는 건조하여 건조상태의 분말화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잎에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탄닌, 페놀류, 수지, 카큐민류 화합물, 환원당, 다당, 정유, 유기산,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에는 아스트라가린, 미리스트린이 있고, 특히 비타민C가 아주 풍부하여 과음 후 손실되기 쉬운 철분 등 미네랄의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감잎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도씨는 포도 중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지방 9~12%, 단백질 8~12% 및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와 같은 식이성섬유소 약 45%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칼슘(Ca), 마그네슘(Mg) 및 인(P)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이 높고, 식물성스테롤, 토코페놀 뿐만 아니라 항암, 항고혈압, 및 항산화성 카테킨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현재 포도씨유 및 추출물은 여러 나라에서 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산화효과를 높여 숙취해소및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엉겅퀴(Cirsium jap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간장보호작용과 알코올 유도지질 산화의 예방 및 알코올성 간경화 등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산화효과를 높여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아칸토파낙스 세실리플로루스(Acanthopanax sessiliflorus)로 특히, 오가피에 함유된 리그난(lignan) 계통의 아칸토시드(acanthoside) B 및 D(eleutheroside E)는 강장, 당질 및 지방대사, 알코올 해독, 식욕 증진, 혈액 순환, 보온, 변비 개선 및 지방간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오가피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의 개선에 매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가공식품으로써 아이스크림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중량대비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 고농축액이거나 분말이거나 과립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식품첨가제 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중 임의의 어느 한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는 상기에 열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숙취 해소 활성을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숙취 해소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카테킨류 외에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 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구연산, 말산(사과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억제제, 겔
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경동시장에서 구입)를 1kg을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을 300~600g을 집기병에 담은 후 증류수 2L를 넣고 70℃에서 일정간격(12시간, 6시간, 3시간)으로 3회 반복하여 열수 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40℃에서 증류수로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써 50~200g을 수득하여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민들레즙 분말의 제조
민들레 뿌리는 별도의 용수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서 문지르면서 세척하여 흙이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깨끗한 물에 3회 세척하였다. 민들레 줄기는 1, 2, 3차 세척 통에서 충분히 세척하여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자동 세척기로 이송하였다. 1차 자동세척기에서 10분간 에어버블로 세척하고 컨베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2차 자동세척기로 이송하였다. 2차 자동세척기에서 약 5분간 에어버블로 세척한 후, 민들레를 트레이에 건져서 물을 충분히 제거한 후, 착즙실로 이송하였다. 이때 각 세척통과 자동세척기에는 항상 물을 충분히 흘려서 맑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송되는 민들레는 착즙실에 입고하기 전에 알콜로 소독하고 일체의 기계나 벽, 공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였다. 녹즙기는 착즙작업 개시 전 충분히 소독하고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송된 민들레를 녹즙기 호퍼에 투입하고 착즙하였다.
150℃로 가열되어진 공기를 건조실로 보내고 여기에 50℃로 가열되어진 상기 착즙액을 압력노즐식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사하여 분무 건조함으로써 0.5mm~1.0mm의 입자크기를 갖는 민들레 전초 착즙액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40g,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10g, 아스파라긴(SAMIN chemical L?asparagine) 15g, 프로폴리스 추출물(NUTRA-LIFE 프로폴리스 고농축액 5000) 10g, 및 유산균(YOGOURMET Freeze Dried Kefir Starter) 15g을 혼합하여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아이스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에 3에서 제조한 건강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유제품 아이스크림과 빙과류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숙취해소 효능에 대한 관능평가
건강기능성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강한 20-40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시험 개시 3일 이내에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고,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않은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Figure pat00002
또한, 알코올 섭취 후 30분 동안은 일체 물을 포함한 음료수를 섭취하지 못하게 하여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배제하였다. 두 번에 걸쳐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cross-over design, one blind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차 시험과 2차 시험을 1주일 간격으로 수행하여, 충분히 알코올이 washout 될 수 있는 시간간격을 두었다. 시험방법은 먼저 15분간 소주 반병(알콜도수 18도, C1, 한국) 200ml와 소시지 4조각을 섭취하고, 10분 후 실험군에는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건강기능성 조성물 60ml를 대조군에는 위약(시판 제품)을 복용하게 하고,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그 결과, 각 시료 섭취 30분 후 대조군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0.0753%였고, 기능성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0.0799%였다. 섭취 후 2시간 경과되었을 때, 대조군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0.701%로 그다지 감소되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에는 0.0399%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기능성 조성물이 대조군에 비해 뚜렷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아이스크림에 대한 관능평가
또한 상기 실험예 1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유제품 아이스크림(실험군 1)과 빙과류 아이스크림(실험군 2) 및 시판 아이스크림(대조군)에 대한 관능평가(점수비교법: 10점 만점)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 따르면 관능평가결과에 있어서도, 맛이나 향 등 전체적인 기호도가 오히려 저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상의 제품에 비하여 손색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빙과류 아이스크림에 비하여 유제품 아이스크림이 맛이나 향, 질감 등 종합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수 없고, 이하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아스파라긴,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30~50중량부, 민들레 전초의 착즙액 분말 10~15중량부, 아스파라긴 15~30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10~15중량부 및 유산균 15~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 단백질(Maize Protein) 3~15중량부, 카테킨 3~15중량부, 비타민 C군 3~15중량부 및 비타민 B군 3~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감압 여과하고, 상기 여과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3~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아이스크림이고,
    상기 아이스크림은 중량대비 상기 조성물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첨가제.
KR1020210031094A 2021-03-10 2021-03-10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KR20220126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94A KR20220126864A (ko) 2021-03-10 2021-03-10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94A KR20220126864A (ko) 2021-03-10 2021-03-10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64A true KR20220126864A (ko) 2022-09-19

Family

ID=8346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94A KR20220126864A (ko) 2021-03-10 2021-03-10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8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CN106418106B (zh) 一种速溶生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793928B1 (ko) 적근대, 골드키위, 및 딸기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531249B1 (ko) 블루베리 및 아로니아로 이루어진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6006318A (ja) 味覚修飾剤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5938A (ko) 고농축 양파진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9901A (ko) 유산균 발효 대추 제조방법
RU2630494C1 (ru)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CN111557363B (zh) 一种去油脂的山楂荷叶茶饮品及制备方法
KR101793929B1 (ko) 청포도, 미나리, 및 비트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CN104273615A (zh) 一种山楂浸提液的萃取方法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KR20220126864A (ko) 헛개나무 등 천연물유래의 추출물과 유산균을 배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 간장과 위장 손상 예방 효과를 가진 제품 제조 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JP2006006317A (ja) 味覚修飾剤
KR100789399B1 (ko) 다시마, 우뭇가사리 및 지누아리 추출물이 함유된건강음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