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836A - 우산 형상 구조체 - Google Patents

우산 형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836A
KR20220124836A KR1020227030356A KR20227030356A KR20220124836A KR 20220124836 A KR20220124836 A KR 20220124836A KR 1020227030356 A KR1020227030356 A KR 1020227030356A KR 20227030356 A KR20227030356 A KR 20227030356A KR 20220124836 A KR20220124836 A KR 2022012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unner
lower runner
shaft
shap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235B1 (ko
Inventor
고 나고야
료타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나
Publication of KR2022012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우산천(umbrella cloth)의 윗살(rib) 사이에 쳐진 부분을 내측에 수용한다. 우산천의 윗살(3)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에 각각 설치된 심재(芯材)(4)와, 하측 러너(runner)(11)를 추종하여 우산축(5)을 따라 이동하며 또한 우산축(5) 둘레로 회전 가능한 중간 러너(14)와, 심재(4)와 중간 러너(14)를 연결하며, 하측 러너(11)의 핸들(15)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윗살(3)이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겨져 우산천의 팽팽함이 느슨해짐에 따라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기는 당김(引張) 부재(6)와, 하측 러너(11)의 핸들(15)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중간 러너(14)를 우산축(5) 둘레로 회전시켜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에 감아 넣는 회전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형상 구조체
[0001] 본 발명은, 우산, 양산, 일본식 우산, 비치 파라솔이나 가든 파라솔 등의 차양 우산, 등의 우산 형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0002] 우산을 접으면, 우산천(umbrella cloth)의 윗살(rib) 사이에 쳐진 부분이 늘어지며 퍼져서,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이 늘어진 부분을 우산축의 외측에 감아서 묶고, 또 묶음끈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이 일련의 동작은 손으로 하기 때문에, 비오는 날 사용함으로 인해 우산천이 젖어 있으면, 손이 젖어 버린다. 이 손이 젖는다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우산으로서, 예컨대 인용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0003] 이 우산을,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다. 우산천(101)에는 복수의 탄력성이 있는 만곡 부재(102)가 설치되어 있다. 우산(100)을 편 상태에서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윗살(103)이 우산천(101)을 당기기 때문에, 만곡 부재(102)는 평평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우산(100)을 접으면, 윗살(103)에 의한 우산천(101)의 팽팽함이 느슨해지므로, 만곡 부재(102)가 만곡되고, 우산천(101)의 윗살(103)과 윗살(103) 사이의 늘어진 부분(101a)을 우산축(104)의 외측에 감는다. 그리고, 늘어진 부분(101a)의 외측으로 만곡시킨 묶음끈(105)을 감음으로써, 늘어진 부분(101a)이 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312609호
[0005] 그러나, 상기의 우산(100)은, 우산천(101)의 늘어진 부분(101a)을 우산축(104)의 외측에 감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우산천(101)이 젖어 있는 부분은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산(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이나 옷을 적실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음으로써 우산천의 윗살 사이에 쳐진 부분을 숨길 수 있는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6]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우산 형상 구조체는, 우산천의 윗살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에 각각 설치된 심재(芯材)와, 하측 러너(runner)를 추종하여 우산축을 따라 이동하며, 또한, 우산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중간 러너와, 심재와 중간 러너를 연결하며, 하측 러너의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윗살이 우산축 측으로 끌어당겨져 우산천의 팽팽함이 느슨해짐에 따라 확장 부분을 우산축 측으로 끌어당기는 당김(引張) 부재와, 하측 러너의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중간 러너를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켜 확장 부분을 우산축과 윗살 사이에 감아 넣는 회전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윗살에 의한 우산천의 팽팽함이 느슨해지면, 우산천의 확장 부분이 윗살의 내측의 우산축 둘레에 감겨 들어간다. 이 때문에,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수 있다.
[0007] 또한, 본 발명의 우산 형상 구조체는, 중간 러너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 러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기구는, 하측 러너의 내주면(內周面)과 중간 러너의 외주면(外周面)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나선형 가이드와,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며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지며, 하측 러너의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하측 러너와 중간 러너 사이에서 이동 거리에 차이가 생기면, 슬라이더가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상대 이동하며 중간 러너를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0008] 또한, 본 발명의 우산 형상 구조체는, 회전 기구가, 접는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중간 러너를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 형상 구조체는, 당김 부재의 일단(一端)이 심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측 러너를 추종하여 중간 러너가 소정 위치까지 핸들 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에 의해 당김 부재의 일단의 이동이 제한되어 중간 러너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우산 형상 구조체는, 하측 러너의 우산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0009]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우산축 측으로 끌어들여서 우산축에 감도록 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산천의 비로 젖은 부분을 숨길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을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윗살의 내측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은 후에 우산천을 묶음끈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져, 묶음끈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윗살의 내측에 수용하여 숨길 수 있으므로,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디자인의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묶음끈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면, 더욱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고, 보다 참신한 디자인의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0011]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형상 구조체를 접을 때,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우산축 둘레에 감도록 하여 수용하므로, 우산천의 확장 부분이 구겨지지 않아, 얇게 접어 정리할 수 있다.
[0012] 도 1은, 우산의 심재와 당김 부재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며, (A)는 우산을 편 상태에 있어서의 도면이고, (B)는 우산이 접히기 시작하는 단계의 도면이고, (C)는 우산을 어느 정도까지 접어 우산천으로부터의 반력이 소멸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면이고, (D)는 우산을 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면이다.
도 2는, 편 상태의 우산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심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심재와 당김 부재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하측 러너 및 중간 러너를 나타내며, 하측 러너에 중간 러너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측 러너 및 중간 러너를 나타내며, 하측 러너로부터 중간 러너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우산천의 확장 부분을 윗살의 내측의 우산축 둘레의 공간(space)에 수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우산을 나타내며, 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우산을 나타내며, 접는 도중인 상태의 사시도이다.
[0013]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형상 구조체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산 형상 구조체로서는, 우산, 양산, 일본식 우산, 비치 파라솔이나 가든 파라솔 등의 차양 우산,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우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14] 도 1~도 10에, 본 발명에 따른 우산(1)을 나타낸다. 우산(1)은, 복수의 윗살(3)과 복수의 받침살(stretcher)(8)과 하측 러너(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의 (D)의 우산(1)을 접은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하측 러너(11)를 우산축(5)을 따라 페룰(ferrule)(9) 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침살(8)이 윗살(3)을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윗살(3)이 방사상으로 펴진다(도 2). 즉, 우산(1)이 펴진다(도 1의 (A)). 그리고, 우산(1)을 편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하측 러너(11)를 우산축(5)을 따라 핸들(15) 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침살(8)이 윗살(3)을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긴다. 즉, 우산(1)이 접힌다.
[0015] 또한, 우산(1)은, 우산천(2)의 윗살(3)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2a)에 각각 설치된 심재(4)와, 하측 러너(11)를 추종(follow)하여 우산축(5)을 따라 이동하며 또한 우산축(5) 둘레로 회전 가능한 중간 러너(14)와, 심재(4)와 중간 러너(14)를 연결하며, 하측 러너(4)의 핸들(15)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윗살(3)이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겨져 우산천(2)의 팽팽함이 느슨해짐에 따라 우산천(2)의 윗살(3)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2a)을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기는 당김 부재(6)와, 하측 러너(11)의 핸들(15)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중간 러너(14)를 우산축(5) 둘레로 회전시켜 우산천(2)의 윗살(3)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2a)을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에 감아 넣는 회전 기구(16)를 구비하고 있다.
[0016] 심재(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윗살(3) 사이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심재(4)는 선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예컨대 플라스틱, 수지,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재(4)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심재(4)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윗살(3)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심재(4)의 내측단(內側端)은 노치(notch)(10)에 자유자재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0017] 심재(4)의 길이는, 우산(1)을 접을 때, 중간 러너(14)가 우산축(5) 둘레로 회전하면, 우산천(2)의 윗살(3)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2a)을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에 확실히 끌어들일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재(4)의 길이를 그 외측단(外側端)이 우산천(2)의 외주 가장자리(外周緣)(2c)의 근방에 이르는 길이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여기까지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심재(4)의 외측단은 우산천(2)의 내측면(2d)에 부착되어 있다. 심재(4)에는 후술하는 연결 슬라이더(18)가 부착되어 있다.
[0018] 당김 부재(6)는 선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예컨대 플라스틱, 수지,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김 부재(6)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당김 부재(6)의 일단(6a)은, 심재(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측 러너(11)를 추종하여 중간 러너(14)가 소정 위치까지 핸들(15) 측으로 이동하면, 심재(4)에 고정된 스토퍼(23)에 의해 당김 부재(6)의 일단(6a)의 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김 부재(6)의 일단(6a)은 심재(4)를 따라 이동 가능한 연결 슬라이더(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당김 부재(6)의 일단(6a)은 심재(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그리고, 연결 슬라이더(18)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우산(1)을 펴고 접을 때, 심재(4)에 대해 연결 슬라이더(18)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심재(4)와 당김 부재(6)의 연결 위치가 변화하여, 우산(1)을 펴고 접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김 부재(6)의 타단(他端)(6b)은 중간 러너(1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 부재(6)의 타단(6b)은 받침살(8)의 타단(8b)보다 내측(우산축(5) 측)에 배치되어 있다.
[0019] 당김 부재(6)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받침살(8)보다 페룰(9) 측의 내측 공간(12)에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우산(1)을 사용할 때, 당김 부재(6)가 사용자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20] 도 5 및 도 6에, 하측 러너(11) 및 중간 러너(14)를 나타낸다. 도 5는, 우산(1)의 도 1의 (A)~(C)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고, 도 6은, 우산(1)의 도 1의 (D)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하측 러너(11) 및 중간 러너(14)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측 러너(11) 내에 중간 러너(1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하측 러너(11) 내에 중간 러너(14)를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하측 러너(11)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중간 러너(14)의 헤드부(頭部)(14a)에는 당김 부재(6)의 타단(6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측 러너(11)는 우산축(5) 둘레로 회전할 수 없는 데 반해, 중간 러너(14)는 우산축(5)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중간 러너(14)와 우산축(5) 사이 및 중간 러너(14)와 하측 러너(11)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 러너(14)는 우산축(5) 및 하측 러너(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21] 회전 기구(16)는, 하측 러너(11)의 내주면(內周面)(11a)과 중간 러너(14)의 외주면(14b)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나선형 가이드(19)와,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며 나선형 가이드(19)를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0)를 갖고 있고, 하측 러너(11)의 핸들(15)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하측 러너(11)와 중간 러너(14) 사이에서 이동 거리에 차이가 생기면, 슬라이더(20)가 나선형 가이드(19)를 따라 상대 이동하며 중간 러너(14)를 우산축(5) 둘레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러너(11)의 내주면(11a)에 슬라이더(20)를 설치하고, 중간 러너(14)의 외주면(14b)에 나선형 가이드(19)를 설치하고 있다. 단, 하측 러너(11)의 내주면(11a)에 나선형 가이드(19)를 설치하고, 중간 러너(14)의 외주면(14b)에 슬라이더(20)를 설치해도 된다.
[0022]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선형 가이드(19)를 나선형의 홈에 의해 구성하고, 슬라이더(20)를 나선형 가이드(19)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볼록부(凸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단,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나선형 가이드(19)를 나선형의 볼록부로 구성하고, 슬라이더(20)를 나선형 가이드(19)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오목부(凹部)를 갖는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0023] 나선형 가이드(19) 및 슬라이더(20)의 조합은, 둘레 방향(周方向)으로 등간격으로 예컨대 2쌍(組) 마련되어 있다. 이 조합 수가 너무 적으면, 하측 러너(11)에 대해 중간 러너(14)가 덜컹거릴 우려가 있어 우산(1)의 사용감이 나빠진다. 한편, 나선형 가이드(19) 및 슬라이더(20)의 조합 수가 너무 많으면, 중간 러너(14)의 회전 시에 생기는 마찰력이 커져 조작성이 악화되어 우산(1)을 사용하기가 불편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나선형 가이드(19) 및 슬라이더(20)의 조합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선형 가이드(19) 및 슬라이더(20)의 조합 수를 2쌍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2쌍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24] 우산(1)은, 하측 러너(11)의 우산축(5)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산축(5)에 설치된 오목부(5a)와, 하측 러너(11)에 설치된 볼록부(11b)에 의해 회전 방지 기구(21)를 구성하고 있다. 오목부(5a)는 우산축(5)의 외주면(5b)에 그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 형상의 우산축(5)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오목부(5a)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5a)는 적어도 하측 러너(11)가 이동하는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1b)는, 하측 러너(11)의 내주면(11a)에 설치된 칸막이벽(11c)의 내측을 일부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볼록부(11b)가 오목부(5a)에 끼워짐으로써, 하측 러너(11)의 우산축(5)을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우산축(5) 둘레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0025] 오목부(5a)와 볼록부(11b)의 조합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예컨대 2쌍 마련되어 있다. 이 조합 수가 너무 적으면, 우산축(5)에 대해 하측 러너(11)가 덜컹거릴 우려가 있어 우산(1)의 사용감이 나빠진다. 한편, 오목부(5a)와 볼록부(11b)의 조합 수가 너무 많으면, 하측 러너(11)의 이동 시에 생기는 마찰력이 커져 조작성이 악화되어 우산(1)을 사용하기가 불편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오목부(5a)와 볼록부(11b)의 조합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5a)와 볼록부(11b)의 조합 수를 2쌍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2쌍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26] 다음으로, 사용자가 우산(1)을 접는 것만으로,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이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에 자동적으로 감기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A)의 우산(1)을 펴고 있는 상태에서는, 중간 러너(14)는 하측 러너(11) 내에 수용되어 있고, 그 선단은 하측 러너(11)의 칸막이벽(11c)에 닿아 있다(도 5).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우산(1)을 접기 위해 하측 러너(11)를 핸들(15) 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침살(8)이 윗살(3)을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겨, 윗살(3)에 의해 팽팽해져 있던 우산천(2)이 느슨해지기 시작한다. 또한, 중간 러너(14)는 하측 러너(11)와 일체가 되어 핸들(15) 측으로 이동하여, 하측 러너(11)와 중간 러너(14) 사이에는 이동 거리의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중간 러너(14)는 회전하지 않는다.
[0027] 하측 러너(11) 및 중간 러너(14)가 핸들(15)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윗살(3) 및 심재(4)가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심재(4)가 우산축(5) 측으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당김 부재(6)의 일단(6a)을 심재(4)에 연결시키는 연결 슬라이더(18)가 심재(4)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0028] 그리고,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산(1)이 어느 정도까지 접히면, 연결 슬라이더(18)가 심재(4)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3)에 닿는다. 즉, 하측 러너(11)를 추종하여 중간 러너(14)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토퍼(23)에 의해 당김 부재(6)의 일단(6a)의 이동(연결 슬라이더(18)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하측 러너(11)를 추종하고 있던 중간 러너(14)는 핸들(15) 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이후, 하측 러너(11)만이 이동한다. 이 때문에, 하측 러너(11)와 중간 러너(14) 사이에서 이동 거리에 차이가 생겨, 중간 러너(14)가 회전하면서 하측 러너(11)로부터 꺼내진다.
[0029] 이와 같이, 중간 러너(14)는, 도 1의 (A)부터 도 1의 (C)까지의 상태에서는 회전하지 않지만, 도 1의 (C)로부터 도 1의 (D)의 상태에서는 회전한다. 즉, 회전 기구(16)는, 우산(1)을 접는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중간 러너(14)를 우산축(5) 둘레로 회전시킨다.
[0030] 중간 러너(14)의 회전에 의해 당김 부재(6)의 타단(6b)이 우산축(5) 둘레로 회전되고, 당김 부재(6) 전체가 우산축(5) 둘레에 감기도록 작동되어 심재(4)를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의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이에 의해, 심재(4)가 부착되어 있는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이 우산축(5)과 윗살(3) 사이로 끌려들어가 수용된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윗살(3)의 내측의 우산축(5) 둘레에 감으면서 우산(1)을 접을 수 있다.
[0031] 회전 기구(16)는,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감는 데 충분한 양만큼 중간 러너(1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하측 러너(11)를 하단 스프링(bottom spring)(22)에 고정시킴으로써, 하측 러너(11) 및 중간 러너(14)의 페룰(9) 측으로의 복귀를 방지하여 우산천(2)의 펴짐을 방지할 수 있다.
[0032] 이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러너(11) 내에 중간 러너(14)의 일부가 남아 있어, 중간 러너(14)가 하측 러너(11)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버리는 일은 없다.
[0033] 한편, 접은 우산(1)을 펼 경우에는, 하측 러너(11)를 하단 스프링(22)에서 빼서 페룰(9) 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펴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하측 러너(11)만이 페룰(9) 측으로 이동하며, 그 이동에 따라 중간 러너(14)가 복귀 방향으로 회전하며 하측 러너(11) 내에 수용된다. 또한, 중간 러너(14)의 회전에 따라 당김 부재(6) 및 심재(4)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며,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우산축(5)과 윗살(3)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꺼낸다. 중간 러너(14)는 하측 러너(11)의 칸막이벽(11c)에 닿을 때까지 회전하다가, 닿은 후에는 하측 러너(11)와 함께 이동하며 우산(1)이 펴진다.
[0034] 이와 같이, 우산(1)을 접으면,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이 자동적으로 우산축(5) 둘레에 감기므로, 사용자가 일부러 손으로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처리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을 적실 일이 없다.
또한, 우산(1)을 접을 때,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내측에 숨길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에 젖은 부분을 숨길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을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35]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는,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우산축(5)에 감도록 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은 우산(1)을 얇게 접어 정리할 수 있다.
[0036] 또한,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숨길 수 있으므로,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디자인의 우산(1)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우산(1)을 접을 때, 우산천(2)의 확장 부분(2a)을 내측에 감아 넣을 수 있으므로, 우산(1)을 접은 후에 우산천(2)을 묶음끈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져, 묶음끈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묶음끈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도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도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디자인의 우산(1)을 제공할 수 있다.
[0037] 본 발명은, 우산, 양산, 일본식 우산, 비치 파라솔이나 가든 파라솔 등의 차양 우산, 등의 우산 형상 구조체에 이용할 수 있다.
[0038] 1 우산(우산 형상 구조체)
2 우산천
2a 우산천의 윗살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
3 윗살
4 심재
5 우산축
6 당김 부재
11 하측 러너
14 중간 러너
15 핸들
16 회전 기구
19 나선형 가이드
20 슬라이더
21 회전 방지 기구
23 스토퍼

Claims (5)

  1. 우산천(umbrella cloth)의 윗살(rib) 사이에 쳐진 확장 부분에 각각 설치된 심재(芯材)와,
    하측 러너(runner)를 추종하여 우산축을 따라 이동하며, 또한, 상기 우산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중간 러너와,
    상기 심재와 상기 중간 러너를 연결하며, 상기 하측 러너의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윗살이 상기 우산축 측으로 끌어당겨져 상기 우산천의 팽팽함이 느슨해짐에 따라 상기 확장 부분을 상기 우산축 측으로 끌어당기는 당김(引張) 부재와,
    상기 하측 러너의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간 러너를 상기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켜 상기 확장 부분을 상기 우산축과 상기 윗살 사이에 감아 넣는 회전 기구(機構)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형상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러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측 러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하측 러너의 내주면(內周面)과 상기 중간 러너의 외주면(外周面)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나선형 가이드와,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지며, 상기 하측 러너의 상기 핸들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중간 러너 사이에서 이동 거리에 차이가 생기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상대 이동하며 상기 중간 러너를 상기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형상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접는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상기 중간 러너를 상기 우산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형상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의 일단(一端)은 상기 심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측 러너를 추종하여 상기 중간 러너가 소정 위치까지 상기 핸들 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에 의해 상기 당김 부재의 일단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중간 러너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형상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러너의 상기 우산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형상 구조체.
KR1020227030356A 2020-02-04 2021-02-01 우산 형상 구조체 KR102498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6777 2020-02-04
JP2020016777A JP6869494B1 (ja) 2020-02-04 2020-02-04 傘状構造体
PCT/JP2021/003480 WO2021157508A1 (ja) 2020-02-04 2021-02-01 傘状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36A true KR20220124836A (ko) 2022-09-14
KR102498235B1 KR102498235B1 (ko) 2023-02-08

Family

ID=7580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356A KR102498235B1 (ko) 2020-02-04 2021-02-01 우산 형상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69494B1 (ko)
KR (1) KR102498235B1 (ko)
CN (1) CN114845598B (ko)
TW (1) TWI813937B (ko)
WO (1) WO20211575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609A (ja) 1999-04-30 2000-11-14 Sadao Nagumo 布地部が巻き込む洋傘
KR20120138945A (ko) * 2011-06-16 2012-12-27 박정호 우산천 정리되는 우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8849A (en) * 1977-09-02 1979-03-24 Okubo Osamu Umbrella that can automatically be wound
JP2002191422A (ja) * 2000-12-22 2002-07-09 Itsuo Moriya 傘布巻き取り傘
JP4712105B2 (ja) * 2008-06-04 2011-06-29 勝利 松田
JP2014233617A (ja) * 2013-05-31 2014-12-15 サイラルワークス株式会社 自動傘地巻き取り傘
JP3197959U (ja) * 2015-03-30 2015-06-11 郭世偉 位置決め構造を備えた回転傘
CN104921430B (zh) * 2015-06-10 2016-04-20 晋江富永雨具有限公司 一种伞面可伸缩的伞
CN105639914B (zh) * 2016-03-22 2017-09-19 深圳源发雨具有限公司 电动开收多折伞
TWM528630U (zh) * 2016-05-24 2016-09-21 wu-xiong Chen 摺疊式大型傘之傘架
JP2019180933A (ja) * 2018-04-12 2019-10-24 株式会社マーナ 傘状構造体
CN109984434B (zh) * 2019-03-15 2020-09-22 南京工程学院 收伞时能自动旋紧伞面并对伞面塑形的全自动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609A (ja) 1999-04-30 2000-11-14 Sadao Nagumo 布地部が巻き込む洋傘
KR20120138945A (ko) * 2011-06-16 2012-12-27 박정호 우산천 정리되는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35B1 (ko) 2023-02-08
JP6869494B1 (ja) 2021-05-12
TW202142142A (zh) 2021-11-16
JP2021122414A (ja) 2021-08-30
TWI813937B (zh) 2023-09-01
WO2021157508A1 (ja) 2021-08-12
CN114845598A (zh) 2022-08-02
CN114845598B (zh)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266B2 (ja) 傘装置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US6805144B2 (en) Protective cover for umbrellas and umbrella with the protective cover fixed thereto
US20170340075A1 (en) Unique umbrella, having arthritic-aiding pin-centering pin-guiding system, arthritic-aiding canopy-tension-adjusting system, anti-cable-fraying tri-pulley system, and auditorily-snap-locking tower-locking system
US5690131A (en) Umbrella
US5816276A (en) Self-opening and/or self-closing umbrella
US3171418A (en) Collapsible umbrella
KR20220124836A (ko) 우산 형상 구조체
US5158102A (en) Umbrella frame having folding ear structures
US3785388A (en) Telescopic umbrella
US3853135A (en) Umbrella frame
JP2019180933A (ja) 傘状構造体
CN209995519U (zh) 一种伞结构及具有该伞结构的背包
KR101440764B1 (ko) 우산
US3856031A (en) Telescopic umbrella
US3732879A (en) Umbrella
US9585447B1 (en) Reversible umbrella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GB2250191A (en) Automatic umbrella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JP2003102527A (ja) 傘用保護カバー及び該保護カバーを取着してなる雨傘
JP2023161798A (ja) 傘状構造体
JP4766246B2 (ja) 上閉じ式傘
JP2023161797A (ja) 傘状構造体
KR102238122B1 (ko) 자동 묶임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